KR20230143694A -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694A
KR20230143694A KR1020220042627A KR20220042627A KR20230143694A KR 20230143694 A KR20230143694 A KR 20230143694A KR 1020220042627 A KR1020220042627 A KR 1020220042627A KR 20220042627 A KR20220042627 A KR 20220042627A KR 20230143694 A KR20230143694 A KR 20230143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present
palm cactu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다
Priority to KR102022004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3694A/ko
Publication of KR20230143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6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손바닥선인장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피부의 수분보유능, 피부의 유연성 및 견고성을 높이고,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효과를 부여하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함으로써 건조피부나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건조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건조로 인한 잔주름의 발생도 감소시키는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함유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이 피부각질 형성세포를 분화시키고, 세포간 지질인 세라마이드 생성을 촉진시키며, 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접촉성 또는 아토피성 피부를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피부 보습기능 강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Opuntia ficus-indica cactus extract for External skin }
본 발명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 cac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을 회복시키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장벽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Marcelo C. L. et al, J. Invest.Dermatol., 80, pp37-44, 1983).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또한,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 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및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부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다양한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 되어 있다. 피부 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과 필수지방산 및 지질복합체 등 각질층에서의 수분보유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Rawlings A. V. et al, J. Invest. Dermatol., 5,pp731-741, 199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바닥선인장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피부의 수분보유능, 피부의 유연성 및 견고성을 높이고,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효과를 부여하여 피부가 본래의 보호기능을 원활히 수행함으로써 건조피부나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건조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건조로 인한 잔주름의 발생도 감소시키는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손바닥선인장으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뿐 아니라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의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유동엑기스 및 손바닥선인장 중에 함유되어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은 물론 식물 그 자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등 수영의 모든 부분으로부터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특정 부분의 추출 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는, 손바닥선인장을 세절하고 건조한 후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물, 70% 에탄올 또는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 온도는 물의 경우 18~80℃가 바람직하며, 70% 에탄올과 부틸렌 글리콜의 경우는 18~40℃가 바람직하며, 추출 시간은 6~168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이면 상기 추출물에 의한 효능, 효과가 미약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 효과, 피부 장벽 기능 강화 효과, 및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화 유도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손상된 피부 장벽 기능의 회복 및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수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및 피부 각질 형성세포 분화 유도용 조성물로서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에 의한 표피세포 분화촉진 효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함유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이 피부각질 형성세포를 분화시키고, 세포간 지질인 세라마이드 생성을 촉진시키며, 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접촉성 또는 아토피성 피부를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 강화용, 피부 보습기능 강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바닥선인장은 제주도를 중심으로 경작되는 선인장 중에서 오푼티아 피쿠tm인디카(Opuntia ficus-indicaL. var. saboten Makino) 학명을 갖는 식물로 백년초라고도 불리며, 매년 4-5월경에 작고 파란 열매를 맺고 꽃이 피며, 이 꽃이 지면서 11월경에 열매를 맺어 수확한다.
예로부터 손바닥선인장은 민간에서 종기, 화상, 부종, 기관지 천식, 가래, 백일해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고, 변비와 궤양 등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는 당뇨억제, 체내 포도당의 안정성 유지, 콜레스테롤의 감소 목적으로 식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상처치유(Fitoterpia, 2001;72: 165~167)나 항염증 효과(Fitoterpia, 2001; 72: 288~290)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6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건조된 손바닥선인장의 줄기나 열매에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구성되는 추출용매 가운데 1종 이상 선택하여 5배 내지 15배 부피비율로 가한 후 추출 또는 분획하는 단계(a); 및 상기 단계(a)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감압 농축하는 단계 (b)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분말상의 건조된 손바닥선인장 단위 중량에 대하여 물, 저급 알코올, 에칠아세테이트(Ethylacetate) 또는 노르말 헥산(n-Hexane)을 중량비 1~15 배로 가한 후, 50℃ 내지 100℃ 에서 3~24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4℃ 내지 25℃에서 3-4일간 침적시켜 그 유효 성분을 추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무수 또는 함수 에탄올과 메탄올 추출물에 적정량의 물과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또는 헥산 등의 혼합용매에 용해시킨 후 방치하여 층을 분리시킨 후 상층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처리하여 얻은 추출물은 감압증발기(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 건조시킨 후 물이나 에탄올 또는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용매에 녹여 사용한다.
[참고예 1] 수영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손바닥선인장 줄기 100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5메쉬 통과 분말로 제조 후, 정제수 1L에 가한 후 환류장치를 연결한 후 가온하여 24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80메쉬의 체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한 후 남은 여액을 다시 여과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여액 중의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손바닥선인장 줄기 추출물 14g을 얻었다.
[시험예 1]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과 측정
상기 참고예 1에 따른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의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양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신생아의 표피로부터 분리해 일차 배양한 사람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뒤 하기 표 1의 시험물질을 배양액에 5 ppm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를 수확하여 PBS(Pho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7.4) 1ml를 가하여 소니케이션(sonication), 보일링(boiling), 원심분리를 하고, 침전물을 다시 PBS 1ml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을 일부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분화정도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영 추출물인 참고예 1을 처리한 경우 각질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2]
[표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1을 처리할 경우 빠른 속도로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정상으로 돌아오며 장벽 손상이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상기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이 피부 보습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참고예 1에서 얻은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활용하여 하기 표 4의 조성비에 따라 외용제를 영양크림의 제형으로 하여 제형예 2와 비교제형예 2를 제조하였다. 하기 배합성분의 함량비의 단위는 중량%이다.
상기 표 4의 제형예 2와 비교제형예 2의 피부 보습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건조 피부로 분류된 40~50대 성인 남녀60명을 각각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2의 2개 군에 대해 30명씩 2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피부수분량측정기 (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Co., 독일)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의 결과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피부 수분량 측정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표5]
상기 표 5의 결과를 보면, 비교제형예 2를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가 이루어진 4주까지는 약 30% 정도의 수분 증가율을 보이지만, 도포를 중지한 후에는 피부수분량이 감소하는 반면, 수영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2를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를 중지한 후에도 30% 이상의 피부수분 증가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손상된 피부 장벽 회복 및 피부 보습력 증가에 있어서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

  1. 손바닥선인장(Opuntia ficus-indica cac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
KR1020220042627A 2022-04-06 2022-04-06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 KR20230143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27A KR20230143694A (ko) 2022-04-06 2022-04-06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627A KR20230143694A (ko) 2022-04-06 2022-04-06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694A true KR20230143694A (ko) 2023-10-13

Family

ID=8829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627A KR20230143694A (ko) 2022-04-06 2022-04-06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36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829B1 (ko) 유해 환경에서 유래되는 스트레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효능을 갖는 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435855B1 (ko)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3743B1 (ko) 음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080093500A (ko) 노루오줌 추출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03171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3694A (ko) 손바닥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 화장품 조성물
KR10183086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9613A (ko)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4053181A (zh) 一种抗皱组合物及其在护肤品中的应用
KR20130046994A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6693B1 (ko) 카렌듈라 인퓨즈 오일 및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5027B1 (ko) 천연 추출물 및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3018B1 (ko) 상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584A (ko) 민들레 및 자소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71105B1 (ko) 대마 엑소좀 추출물 및 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17300A (ko) 살구씨, 포도씨, 들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 제거화장료 조성물
KR102641379B1 (ko) 미백효과를 갖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