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3506A -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 Google Patents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3506A
KR20230143506A KR1020220042518A KR20220042518A KR20230143506A KR 20230143506 A KR20230143506 A KR 20230143506A KR 1020220042518 A KR1020220042518 A KR 1020220042518A KR 20220042518 A KR20220042518 A KR 20220042518A KR 20230143506 A KR20230143506 A KR 20230143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marker
pipe
marking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808B1 (ko
Inventor
유기성
Original Assignee
유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성 filed Critical 유기성
Priority to KR102022004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808B1/ko
Publication of KR2023014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감싸기 위한 한 쌍의 커플러몸체, 상기 한 쌍의 커플러몸체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커플러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표식체,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표식체를 가압하여 일부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와셔,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커플러몸체를 파이프 연결부에 설치할 경우, 설치상태가 정확하게 된것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the pipe coupler having markers}
본 발명은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커플러몸체를 파이프 연결부에 설치할 경우, 설치상태가 정확하게 된것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커플링은 2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flexiblepipe cooupling)과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rigid pipe coupling)의 2종류로 구분된다.
유동식 파이프 커플링은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에 체결된 후 이 파이프들이 진동되거나 열변형되는 것을 고려하여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약간 유동될 수 있는 커플링이며, 고정식 파이프 커플링은 연결되는 두 개의 파이프에 체결되면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없는 커플링을 말한다.
종래 커플링은 등록특허 제10-0647065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내측에 개스킷을 갖는 한 쌍의 커플링을 두 개의 파이프 연결부를 감싼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함에 따라, 두 개의 파이프를 기밀상태로 연결시킨다.
그러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한 쌍의 커플링을 체결할 경우, 볼트와 너트의 조임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개스킷이 파이프 연결부 외측을 기밀하게 가압하지 못함에 따라 유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작업자가 볼트와 너트를 잘 조이면 해결될 부분이지만, 어느 정도가 잘 조인 상태인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볼트와 너트의 잘 조여진 상태를 확인함에 따라 신뢰도와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감싸기 위한 한 쌍의 커플러몸체, 상기 한 쌍의 커플러몸체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커플러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표식체,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표식체를 가압하여 일부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와셔,를 포함하여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커플러몸체를 파이프 연결부에 설치할 경우, 설치상태가 정확하게 된것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감싸기 위한 한 쌍의 커플러몸체, 상기 한 쌍의 커플러몸체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커플러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표식체,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표식체를 가압하여 일부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와셔,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플러몸체는, 일단부가 다른 커플러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몸체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몸체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다른 커플러몸체의 타단부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각 커플러몸체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파이프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커플러몸체의 중앙부를 지나는 연장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되어 한 쌍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몸체힌지부는, 상기 커플러몸체의 일단부 일측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제1힌지프레임, 상기 연장선의 타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힌지프레임, 연결되는 다른 커플러몸체의 제2힌지프레임이 위치되도록 상기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제1힌지설치홈, 연결되는 다른 커플러몸체의 제1힌지프레임이 위치되도록 상기 커플러몸체의 일단부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제2힌지설치홈, 상기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에 관통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힌지공, 및 상기 각 힌지공과 연결되는 다른 커플러몸체의 제1힌지프레임과 제2힌지프레임의 힌지공에 삽입되기 위한 힌지봉,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고정공에 삽입되기 위한 고정볼트, 및 관통된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되기 위한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식체는, 내부에 상기 몸체고정공에 대응되는 표식설치공을 갖는 표식몸체, 및 상기 표식몸체에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절단표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식몸체가 삽입되기 위한 표식설치홈이 상기 커플러몸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표식체를 커플러몸체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몸체고정공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턱, 및 상기 걸림턱에 걸려지도록 상기 표식몸체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식체를 커플러몸체에 안착시키기 위한 표식안착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표식안착부는, 상기 표식설치홈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커플러몸체에 형성되는 표식안착홈, 및 상기 표식안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표식몸체에 형성되는 표식안착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식안착홈과 표식안착돌기는, 반구, 반타원구,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절단와셔는, 내부에 상기 몸체고정공에 대응되는 와셔설치공을 갖는 절단와셔몸체, 및 상기 표식체를 절단하도록 상기 절단와셔몸체의 해당 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절단와셔칼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단와셔몸체와 고정너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와셔미끄럼방지부는, 켜는톱니형상으로 상호 접하는 해당 면을 따라 복수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셔미끄럼방지부의 톱니는 중앙부가 일측으로 굴곡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커플러몸체를 가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러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가이드부는, 다른 커플러몸체와 결합되는 타단부의 해당 면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커플러가이드돌기, 및 상기 커플러가이드돌기에 대응되도록 타단부의 해당 면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커플러가이드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변형시, 외주면에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몸체변위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변위방지부는, 상기 파이프와 접하는 커플러몸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몸체변위방지돌기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변위방지돌기는,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플러몸체는, 상기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개스킷,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부분이 위치되는 내측 중앙부에 밀폐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스킷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개스킷협착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스킷협착방지부는, 개스킷협착방지돌기로, 상기 밀폐공간부의 각 모서리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돌출형성되어 개스킷이 눌러져 협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에 의하면,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커플러몸체를 파이프 연결부에 설치할 경우, 설치상태가 정확하게 된것인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 표식체 및 절단와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가이드부와 몸체변위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몸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 표식체 및 절단와셔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가이드부와 몸체변위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10)는 커플러몸체(100)와 고정부재(200), 표식체(300) 및 절단와셔(400)를 포함한다.
커플러몸체(100)는 내부에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감싸기 위한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00)는 한 쌍의 커플러몸체(100)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표식체(300)는 한 쌍의 커플러몸체(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다.
또한 절단와셔(400)는 고정부재(200)에 의해 표식체(300)를 가압하여 일부 절단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10)에 의하면, 두 개의 파이프의 연결부를 감싸 연결시키되, 고정부재(200)에 의해 쪼여지는 절단와셔(400)에 의해 표식체(300) 일부가 절단됨에 따라, 한 쌍의 커플러몸체(100)가 잘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커플러몸체(100)는 일단부가 다른 커플러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몸체힌지부(110)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몸체고정공(120)이 형성되어 고정부재(200)에 의해 다른 커플러몸체의 타단부와 고정된다.
여기서, 각 커플러몸체(1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파이프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커플러몸체(100)의 중앙부를 지나는 연장선(A)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커플러몸체(100)는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되어 한 쌍으로 사용는 것으로, 파이프를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어디나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몸체힌지부(110)는 제1힌지프레임(111)과 제2힌지프레임(112), 제1힌지설치홈(113), 제2힌지설치홈(114), 힌지공(115) 및 힌지봉(116)을 포함한다.
제1힌지프레임(111)은 커플러몸체(100)의 일단부 일측단부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2힌지프레임(112)은 연장선(A)을 기준으로, 커플러몸체(100)의 일단부 타측에 돌출형성되되, 일단부 타측단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1힌지설치홈(113)은 연결되는 다른 커플러몸체(100')의 제2힌지프레임(112')이 위치되도록 제1힌지프레임(111)과 제2힌지프레임(112)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제2힌지설치홈(114)은 연결되는 다른 커플러몸체(100')의 제1힌지프레임(111')이 위치되도록 커플러몸체(100)의 일단부 타측단부에 형성된다.
힌지공(115)은 제1힌지프레임(111)과 제2힌지프레임(112)에 관통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봉(116)은 각 힌지공(115)과 연결되는 다른 커플러몸체의 제1힌지프레임(111)과 제2힌지프레임(112)의 힌지공(115)에 삽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고정부재(200)는 고정볼트(210)와 고정너트(220)를 포함한다.
고정볼트(210)는 몸체고정공(120)에 삽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너트(220)는 관통설치된 고정볼트(210)의 단부에 체결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표식체(3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식몸체(310)와 절단표식(320)을 포함한다.
표식몸체(310)는 내부에 몸체고정공(120)에 대응되는 표식설치공(3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단표식(320)은 표식몸체(310)에 일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커플러몸체(100)에는 표식몸체(310)가 삽입되기 위한 표식설치홈(130)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표식설치홈(130)은 몸체고정공(120)보다 크게 형성되되, 관통형성되지 않게 형성된다.
그리고 표식체(300)는 탈부착부(330)를 더 포함한다.
이 탈부착부(330)는 표식체(300)를 커플러몸체(100)에 탈부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탈부착부(330)는 걸림턱(332)과 걸림후크(334)를 포함한다.
걸림턱(332)은 몸체고정공(120)의 양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후크(334)는 걸림턱(332)에 걸려지도록 표식몸체(310)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표식체(300)는 표식안착부(340)를 더 포함한다.
이 표식안착부(340)는 표식체(300)를 커플러몸체(100)에 안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표식안착부(340)는 표식안착홈(342)과 표식안착돌기(344)를 포함한다.
표식안착홈(342)은 표식설치홈(130)의 저면 양측에 위치되도록 커플러몸체(100)에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고정공(12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표식안착돌기(344)는 표식안착홈(342)에 대응되도록 표식몸체(310)에 형성된다.
이 표식안착홈(342)과 표식안착돌기(344)는 반구, 반타원구,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표식안착돌기(344)는 표식안착홈(342)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절단와셔(400)는 절단와셔몸체(410)와 절단와셔칼날(420)을 포함한다.
절단와셔몸체(410)는 내부에 몸체고정공(120)에 대응되는 와셔설치공(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단와셔칼날(420)은 표식체(300)를 절단하도록 절단와셔몸체(410)의 해당 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절단와셔(400)는 와셔미끄럼방지부(430)를 더 포함한다.
와셔미끄럼방지부(430)는 절단와셔몸체(410)와 고정너트(22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와셔미끄럼방지부(430)는 복수의 켜는톱니형상으로 절단와셔몸체(410)와 고정너트(220)가 상호 접하는 해당 면을 따라 각각 형성된다.
이 와셔미끄럼방지부(430)의 톱니는 중앙부가 일측으로 굴곡형성된다.
이에, 절단와셔몸체(410)와 고정너트(220)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절단와셔(400)를 표식체(300)로 가압시켜 절단표식(320)을 표식몸체(310)에서 절단시켜 분리시킨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플러몸체(100, 100')를 가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러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 커플러가이드부(140)는 커플러가이드돌기(142)와 커플러가이드홈(144)을 포함한다.
커플러가이드돌기(142)는 다른 커플러몸체(100')와 결합되는 타단부의 해당 면의 일측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커플러가이드홈(144)은 커플러가이드돌기(142)에 대응되도록 타단부의 해당 면의 타측단부에 형성된다.
이에, 한 쌍의 커플러몸체(100, 100') 각 타단부가 가이드되어 용이하게 결합을 유도한다.
또한 커플러몸체(100, 100')는 몸체변위방지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 몸체변위방지부(150)는 파이프의 변형시, 커플러몸체(100, 100')가 파이프의 외주면에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파이프의 변형은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흔들림이나 열 또는 냉기에 의한 수축 및 팽창등이 발생된다.
이러한 몸체변위방지부(150)는 몸체변위방지돌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파이프와 접하는 커플러몸체(100, 100')에 돌출형성된다.
몸체변위방지돌기는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인접한 두 개의 몸체변위방지돌기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외부나 내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흔들림이나 고온 또는 저온의 기체나 액체가 이동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서 커플러몸체(100, 100')가 변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몸체변위방지부(150)에 의해 파이프 연결부분이 흔들리거나 변형되는 것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러몸체(100, 100')는 개스킷(160)을 더 포함한다.
이 개스킷(160)은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커플러몸체(100, 10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개스킷(160)은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부분이 위치되는 내측 중앙부에 밀폐공간부(162)가 형성되어 파이프 연결부와의 사이에 층을 형성하여 일정 압력이 유지됨에 따라,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개스킷(160)은 개스킷협착방지부(164)를 더 포함한다.
이 개스킷협착방지부(164)는 한 쌍의 커플러몸체(100, 100')의 결합 시, 개스킷(16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개스킷협착방지부(164)는 개스킷협착방지돌기로, 밀폐공간부(161)의 각 모서리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돌출형성되어 개스킷(160)이 눌러져 협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10 : 커플러 100 : 커플러몸체
200 : 고정부재 300 : 표식체
400 : 절단와셔

Claims (10)

  1. 내부에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연결부를 감싸기 위한 한 쌍의 커플러몸체;
    상기 한 쌍의 커플러몸체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커플러몸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표식체;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표식체를 가압하여 일부 절단시키기 위한 절단와셔;를 포함하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몸체는,
    일단부가 다른 커플러몸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몸체힌지부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몸체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다른 커플러몸체의 타단부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커플러몸체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 파이프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커플러몸체의 중앙부를 지나는 연장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금형에서 성형되어 한 쌍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고정공에 삽입되기 위한 고정볼트; 및
    관통된 고정볼트의 단부에 체결되기 위한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체는,
    내부에 상기 몸체고정공에 대응되는 표식설치공을 갖는 표식몸체; 및
    상기 표식몸체에 일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절단표식;을 포함하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체를 커플러몸체에 탈부착시키기 위한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체를 커플러몸체에 안착시키기 위한 표식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와셔는,
    내부에 상기 몸체고정공에 대응되는 와셔설치공을 갖는 절단와셔몸체; 및
    상기 표식체를 절단하도록 상기 절단와셔몸체의 해당 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절단와셔칼날;을 포함하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9. 제2항에 있어서, 각 상기 커플러몸체는,
    상기 파이프의 변형시, 외주면에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몸체변위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몸체는,
    상기 두 개의 파이프가 연결되는 부분을 밀폐시키도록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KR1020220042518A 2022-04-05 2022-04-05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KR102604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518A KR102604808B1 (ko) 2022-04-05 2022-04-05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518A KR102604808B1 (ko) 2022-04-05 2022-04-05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3506A true KR20230143506A (ko) 2023-10-12
KR102604808B1 KR102604808B1 (ko) 2023-11-20

Family

ID=8829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518A KR102604808B1 (ko) 2022-04-05 2022-04-05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8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539A (ja) * 2002-05-31 2004-01-08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管継手部の離脱防止装置
JP2009222107A (ja) * 2008-03-14 2009-10-01 Riken Corp ハウジング形管継手
KR20190095398A (ko) * 2017-02-02 2019-08-14 빅톨릭 컴패니 기계관 및 구조관을 위한 기계적 커플링
KR20190108402A (ko) * 2018-03-14 2019-09-24 김동립 표식체, 그리고 식별와셔와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
KR20200025564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체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링
KR20200073385A (ko) * 2018-12-14 2020-06-24 이진숙 그루브 조인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539A (ja) * 2002-05-31 2004-01-08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管継手部の離脱防止装置
JP2009222107A (ja) * 2008-03-14 2009-10-01 Riken Corp ハウジング形管継手
KR20190095398A (ko) * 2017-02-02 2019-08-14 빅톨릭 컴패니 기계관 및 구조관을 위한 기계적 커플링
KR20190108402A (ko) * 2018-03-14 2019-09-24 김동립 표식체, 그리고 식별와셔와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
KR20200025564A (ko) *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체결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파이프 커플링
KR20200073385A (ko) * 2018-12-14 2020-06-24 이진숙 그루브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808B1 (ko)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918B2 (en) Radiator tank fastening system
KR102505320B1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KR100799740B1 (ko) 단열 파이프 고정장치
KR102604808B1 (ko) 표식체를 갖는 파이프 커플러
KR200426468Y1 (ko) 쓰러짐 방지 가스켓
KR100721422B1 (ko) 관이음용 조인트 장치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KR101035206B1 (ko) 전선 매립박스용 컨넥터
KR200295415Y1 (ko) 이음부 커버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JP2005337403A (ja) 管継手
KR102054436B1 (ko) 배관용 조인트
KR1009936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2098963B1 (ko) 표식체, 그리고 식별와셔와 이를 이용한 파이프 커플러
KR100535577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 구조
KR200436657Y1 (ko) 플랜지로 연결되는 보일러 배기연통의 연결구조
KR101992423B1 (ko) 결합력 향상된 상수도 배관용 플랜지구조
JP3978401B2 (ja) 既設,新設のマンホール等の角形側面孔と角筒形をした本管および枝管,支管等の接続継手
JPH0212391Y2 (ko)
JP3764883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JP3825859B2 (ja) 管継手
JPH0144878Y2 (ko)
CN214425351U (zh) 一种复合结构密封连接管
KR200362304Y1 (ko) 가스관 연결용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