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872A -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872A
KR20230142872A KR1020220041472A KR20220041472A KR20230142872A KR 20230142872 A KR20230142872 A KR 20230142872A KR 1020220041472 A KR1020220041472 A KR 1020220041472A KR 20220041472 A KR20220041472 A KR 20220041472A KR 20230142872 A KR20230142872 A KR 20230142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ting content
voting
user
conten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소진
박기호
편백범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2872A/ko
Publication of KR2023014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소셜 플랫폼(social platform)을 통해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제1 투표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제2 사용자가 참여한 제2 투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COMPUTER DEVICE, AND COMPUTER PROGRAM TO PROVIDE VOTING CONTENT}
아래의 설명은 소셜 플랫폼(social platform)을 통해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인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는 실시간으로 메시지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가 메신저 상에 대화 상대를 등록하고 대화 상대 목록에 있는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메신저 기능은 PC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의 모바일 환경에서도 메신저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74304호(공개일 2002년 09월 30일)에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모바일 메신저 간에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메신저와 같은 소셜 플랫폼의 이용이 대중화되고 소셜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기능이 점점 다양해짐에 따라, 채팅방 내에서 친구들 간에 투표를 진행하는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소셜 플랫폼에서 사용자 간에 한 주제에 대해 복수 개의 보기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투표 유형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해당 사용자가 참여한 투표 컨텐츠를 이용하여 다른 투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참여한 투표 컨텐츠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투표 주제를 기초로 해당 투표에 대한 보기 항목을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투표 참여 여부와 무관하게 투표 컨텐츠와 관련된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소셜 플랫폼(social platform)을 통해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제1 투표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제2 사용자가 참여한 제2 투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표 컨텐츠에 참여한 전체 사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와 공통된 특징을 가진 사용자로 상기 사용자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표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가 관심사로 설정된 사용자로 상기 사용자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표 컨텐츠에 참여한 전체 사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와 소셜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로 상기 사용자 그룹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투표 컨텐츠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미참여 투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투표 컨텐츠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미참여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 및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참여도, 컨텐츠 등록일,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미참여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제3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3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투표 주제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보기 항목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투표 주제와 상기 보기 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제3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기 항목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투표 주제와의 관련도에 따라 상기 소셜 플랫폼 상의 컨텐츠를 상기 보기 항목으로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보기 항목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일부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경우 상기 투표 주제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보기 항목을 기초로 나머지 보기 항목을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4 투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투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응답율을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별로 집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특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항목에 대한 응답율을 응답자 프로필에 따라 추가 집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에 참여하는 각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투표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에 대한 응답 수신 시 응답자의 프로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투표 컨텐츠로서 상기 제3 투표 컨텐츠와 연관된 후속 투표 컨텐츠인 제5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3 투표 컨텐츠와 상기 제5 투표 컨텐츠를 하나의 투표 쓰레드(thread)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투표 쓰레드로 관리되는 투표 컨텐츠 목록과 투표 컨텐츠 별 결과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상기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셜 플랫폼을 통해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제1 투표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제2 사용자가 참여한 제2 투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그룹을 구성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투표 컨텐츠를 추천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투표 컨텐츠 생성을 위한 보기 항목을 추천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투표 컨텐츠의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후속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투표 쓰레드로 관리되는 투표 컨텐츠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셜 플랫폼을 통해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소셜 플랫폼에서 사용자 간에 컨텐츠의 일종인 투표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투표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들 중 하나의 예를 설명하는 것일 뿐, 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한 환경이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장치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서비스(일례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앞서 설명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각각이나 서버들(150, 160) 각각은 도 2를 통해 도시된 컴퓨터 장치(2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인터페이스(2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2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200)의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가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2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170)를 거쳐 컴퓨터 장치(200)의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컴퓨터 장치(2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220)나 메모리(2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2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입출력 장치(2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50)는 컴퓨터 장치(2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2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투표 컨텐츠는 선다형의 문제 형식을 가진 컨텐츠로 한 주제에 대해 둘 이상의 보기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투표 유형의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투표 컨텐츠는 투표나 설문 유형의 컨텐츠 이외에도 둘 이상의 보기 항목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형태의 게임 컨텐츠(예를 들어, 밸런스 게임, OX 퀴즈 등) 등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200)는 클라이언트(client)를 대상으로 클라이언트 상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컴퓨터 장치(20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 접속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투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투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장치(200)의 프로세서(220)는 이하의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0)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0)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이하의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터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 및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20)의 구성요소들은 컴퓨터 장치(2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20)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컴퓨터 장치(20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0)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20)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설명될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은 도시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은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가 서버(150)에서 수행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310)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참여한 투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속한 그룹(이하, '사용자 그룹'이라 칭함)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는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투표에 응답한 사용자 행동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투표에 직접 참여한 투표 컨텐츠를 분석하여 사용자 그룹을 만들 수 있다. 사용자 그룹을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S320)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그룹에 속한 다른 사용자들이 참여한 투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투표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그룹에 대해 해당 그룹 내 다른 사용자들이 이미 참여한 투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아직 참여하지 않은 투표 컨텐츠(이하, '미참여 컨텐츠'라 칭함)를 선별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220)는 미참여 컨텐츠 중에서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참여도가 높은 순으로 상위 일정 개수의 투표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20)는 미참여 컨텐츠 중에서 컨텐츠 등록일에 따른 최근일 순으로 상위 일정 개수의 투표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20)는 미참여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의 관심사에 해당되는 카테고리의 투표 컨텐츠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한 기준들 이외에도 투표 컨텐츠를 선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미참여 컨텐츠 중에서 무작위로 적어도 하나의 투표 컨텐츠를 선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단계(S330)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단계(S320)에서 선정된 투표 컨텐츠를 추천 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프로세서(220)는 추천 컨텐츠로 선정된 투표 컨텐츠를 사용자가 최근 참여한 투표 컨텐츠의 후속 컨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투표 컨텐츠에 참여한 이후 일정 주기나 정해진 이벤트에 따라 알림 등의 타입으로 추천 컨텐츠로 선정된 투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그룹을 구성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례로, 프로세서(220)는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제1 투표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1 투표 컨텐츠에 참여한 전체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와 프로필 정보(예를 들어, 성별, 나이, 지역 등)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공통점을 가진 제2 사용자를 제1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S401).
다른 예로, 프로세서(220)는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제1 투표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1 투표 컨텐츠에 참여한 전체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와 동일한 보기 항목으로 응답한 제2 사용자를 제1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S402).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20)는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제1 투표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1 투표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가 관심사로 설정된 제2 사용자를 제1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S403).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20)는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제1 투표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1 투표 컨텐츠에 참여한 전체 사용자 중에서 제1 사용자와 소셜 플랫폼 상의 관계가 설정된 제2 사용자를 제1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S404).
상기한 사용자 그룹은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셜 플랫폼 상에서 하나 이상의 공통된 특징을 가진 동질적인 집단을 분류하여 사용자 그룹을 만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투표 컨텐츠를 추천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제1 투표 컨텐츠(510)에 참여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해당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이용하여 그룹 내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이미 참여한 투표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가 아직 참여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투표 컨텐츠(520)를 추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셜 플랫폼 상에서 투표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와 공통된 특징을 가진 그룹을 만든 후 해당 그룹에서 다른 사용자가 참여한 투표 컨텐츠 중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투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10)에서 프로세서(220)는 투표 컨텐츠 생성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투표 주제를 입력받을 수 있다. 투표 컨텐츠는 하나의 투표 주제와 둘 이상의 보기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투표 주제는 투표를 위한 타이틀이나 질의에 해당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단계(S620)에서 프로세서(220)는 투표 주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기 항목을 추천할 수 있다. 보기 항목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투표 주제를 기초로 추천될 수 있으며, 사진이나 스티커와 같은 이미지, 오디오, 텍스트 등 다양한 타입의 컨텐츠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투표 주제와 관련된 컨텐츠로서 소셜 플랫폼 상에서 투표 주제와 함께 자주 등장하는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20)는 보기 항목 중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경우 투표 주제와 함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보기 항목을 기초로 나머지 보기 항목을 추천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프로세서(220)는 소셜 플랫폼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투표 주제 및 보기 항목과 관련도가 높은 컨텐츠를 나머지 보기 항목으로 추천할 수 있다.
단계(S630)에서 프로세서(220)는 추천 보기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보기 항목을 포함하는 투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주제의 투표 컨텐츠를 생성함에 있어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을 추천 보기 항목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보기 항목으로 구성할 수 있다.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일부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보기 항목으로 구성하고 나머지는 추천 보기 항목 중에서 선택된 보기 항목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투표 컨텐츠 생성을 위한 보기 항목을 추천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투표 컨텐츠 생성 화면(700)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투표 컨텐츠 생성 화면(700)은 투표 주제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710), 및 보기 항목을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7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투표 주제 입력 인터페이스(710)를 통해 투표 주제가 입력되면 보기 항목 입력 인터페이스(720) 상에 투표 주제와 관련된 컨텐츠(721)를 보기 항목으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표 주제로 '좋아하는 캐릭터?'가 입력된 경우 소셜 플랫폼 상에서 인기 있는 캐릭터의 사진이나 스티커 등에 해당되는 이미지 컨텐츠를 투표의 보기 항목으로 구성하도록 추천해 줄 수 있다.
보기 항목 입력 인터페이스(720)는 다양한 경로로 보기 항목을 입력 내지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서 보기 항목 추천을 요청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카메라 뷰를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앨범 내 사진 목록을 호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음성 녹음을 위한 인터페이스, 클라이언트 또는 소셜 플랫폼 상의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투표 주제를 기초로 보기 항목을 추천할 수 있고 추천 보기 항목을 이용하여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S810)에서 프로세서(220)는 투표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투표 참여에 따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각 사용자의 응답에는 해당 사용자가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어떤 항목을 선택하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투표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투표 컨텐츠에 대한 응답 수신 시 응답자의 프로필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응답 수신 시 응답자의 프로필 정보를 함께 수신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한 설정에 따라 투표 컨텐츠에 대한 응답과 함께 해당 응답자의 프로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820)에서 프로세서(220)는 투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의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투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투표 참여 여부와 무관하게 해당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투표 컨텐츠의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별 응답율을 집계하여 차트 형태의 결과 정보로 보여줄 수 있다.
단계(S830)에서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결과 정보에서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투표 컨텐츠의 응답자 중 선택된 특정 항목으로 응답한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단계(S840)에서 프로세서(220)는 응답자 프로필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항목에 대한 추가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투표 컨텐츠의 전체 응답자 중 특정 항목에 응답한 사용자의 프로필에 따라 해당 항목의 응답율을 다시 집계하여 추가 결과 정보로 보여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투표 컨텐츠의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투표 주제가 '좋아하는 캐릭터?'이고 4개의 보기 항목으로 구성된 투표 컨텐츠에 대해 투표 결과 정보(910)를 보여줄 수 있다. 이때, 투표 결과 정보(910)는 투표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응답율을 보기 항목 별로 집계한 차트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투표에 참여한 컨텐츠의 투표 결과 정보(910)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의 응답으로 수신된 보기 항목 또는 해당 항목의 응답율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투표에 참여하지 않은 컨텐츠의 경우 투표 결과 정보(910)를 제공함에 있어 투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특정 항목(901)을 선택하는 경우 추가 결과를 요청하기 위한 프로필 선택 화면(920)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필 선택 화면(920)은 성별, 나이, 지역 등 응답자를 분류할 수 있는 프로필 옵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20)는 사용자가 프로필 선택 화면(920)에서 연령과 성별을 선택한 경우 특정 항목(901)의 전체 응답율을 연령과 성별로 집계한 추가 결과 정보(1030)를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추가 결과 정보(1030)는 특정 항목(901)에 대한 전체 응답율을 연령별 응답자 비율과 성별 응답자 비율로 집계한 차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표 컨텐츠에 대해 여러 뎁스(depth)의 투표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일례로, 투표 컨텐츠의 전체 응답율을 보기 항목 별로 집계하여 보여준 후 보기 항목 각각에 대하여 응답자의 프로필에 따른 응답율을 추가 집계하여 보여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장치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S1110)에서 프로세서(220)는 하나의 투표 주제와 둘 이상의 보기 항목으로 구성된 제1 투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투표 주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고, 보기 항목 일부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보기 항목으로 구성하고 나머지는 투표 주제에 대한 추천 보기 항목 중에서 선택된 보기 항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단계(S1120)에서 프로세서(220)는 제1 투표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기초로 제1 투표 컨텐츠에 대한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서비스 화면은 제1 투표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응답율을 보기 항목 별로 집계한 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30)에서 프로세서(220)는 제1 서비스 화면을 통해 제1 투표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요청에 응답하여 제1 투표 컨텐츠와 연관된 제2 투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투표 컨텐츠는 제1 투표 컨텐츠의 결과에 기초한 후속 투표 컨텐츠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일차적으로 여행지에 대한 투표를 진행한 다음 투표로 결정된 여행지 내에서의 숙소에 대한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후속 투표 컨텐츠는 순차적인 일련의 컨텐츠로 생성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트리 형태의 여러 뎁스로 후속 투표 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제2 투표 컨텐츠의 투표 주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고, 보기 항목 일부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보기 항목으로 구성하고 나머지는 투표 주제에 대한 추천 보기 항목 중에서 선택된 보기 항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20)는 제1 투표 컨텐츠와 제2 투표 컨텐츠를 하나의 투표 쓰레드(thread)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단계(S1140)에서 프로세서(220)는 제2 투표 컨텐츠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응답을 기초로 제2 투표 컨텐츠에 대한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서비스 화면은 제2 투표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응답율을 보기 항목 별로 집계한 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50)에서 프로세서(220)는 제2 서비스 화면을 통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1 투표 컨텐츠에 대한 결과 정보와 제2 투표 컨텐츠에 대한 결과 결과를 포함하는 제3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220)는 제3 서비스 화면을 통해 하나의 투표 쓰레드로 관리되는 투표 컨텐츠 목록과 투표 컨텐츠 별 결과 정보를 취합하여 보여줄 수 있다.
제2 서비스 화면은 물론이고, 제1 서비스 화면, 그리고 제1 투표 컨텐츠 및 제2 투표 컨텐츠가 노출되는 다른 서비스 화면 모두 투표 쓰레드에 접근 가능한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결과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화면은 후속 투표 컨텐츠의 생성을 요청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와 투표 쓰레드로 관리되는 전체 투표 컨텐츠와 결과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후속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투표 컨텐츠에 대한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비스 화면(1210)에는 후속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후속 투표 만들기' 인터페이스(1211)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표 컨텐츠가 휴가지 후보 중 더 나은 곳을 투표하는 내용인 경우 제1 투표 컨텐츠의 결과를 확인한 후 '후속 투표 만들기' 인터페이스(1211)를 이용하여 제1 투표 컨텐츠와 관련된 다른 주제의 후속 컨텐츠인 제2 투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제1 서비스 화면(1210)에서 '후속 투표 만들기' 인터페이스(1211)가 선택되는 경우 투표 컨텐츠 생성 화면(1220)으로 이동할 수 있고. 투표 주제 입력 인터페이스(1221)를 통해 투표 주제가 입력되면 보기 항목 입력 인터페이스(1222) 상에 투표 주제와 관련된 보기 항목을 추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휴가지에 대한 투표를 진행하여 휴가지 투표 결과를 확인한 다음 이어지는 다른 주제의 투표를 추가 진행할 수 있다. 제1 투표 컨텐츠와 제1 투표 컨텐츠의 후속 투표 컨텐츠로 만들어진 제2 투표 컨텐츠는 하나의 투표 쓰레드로 관리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투표 쓰레드로 관리되는 투표 컨텐츠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투표 컨텐츠에 대한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서비스 화면(1310)에는 제2 투표 컨텐츠가 속한 투표 쓰레드의 전체 컨텐츠와 결과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투표 쓰레드 전체 보기' 인터페이스(1312)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제2 서비스 화면(1310)에서 '투표 쓰레드 전체 보기' 인터페이스(1312)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투표 쓰레드에 속하는 투표 컨텐츠 목록(제1 투표 컨텐츠, 제2 투표 컨텐츠 등)과 투표 컨텐츠 별 결과 정보가 포함된 제3 서비스 화면(1320)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서비스 화면(1310)에 후속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후속 투표 만들기' 인터페이스(1311)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투표 컨텐츠의 후속 투표 컨텐츠를 추가로 생성할 수 있고, 이는 제1 투표 컨텐츠 및 제2 투표 컨텐츠와 함께 같은 투표 쓰레드로 관리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셜 플랫폼에서 사용자 간에 한 주제에 대해 복수 개의 보기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투표 유형의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해당 사용자가 참여한 투표 컨텐츠를 이용하여 다른 투표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참여한 투표 컨텐츠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투표 주제를 기초로 해당 투표에 대한 보기 항목을 추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투표 참여 여부와 무관하게 투표 컨텐츠와 관련된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장치에서 실행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소셜 플랫폼(social platform)을 통해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제1 투표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제2 사용자가 참여한 제2 투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표 컨텐츠에 참여한 전체 사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와 공통된 특징을 가진 사용자로 상기 사용자 그룹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표 컨텐츠의 카테고리에 해당되는 정보가 관심사로 설정된 사용자로 상기 사용자 그룹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표 컨텐츠에 참여한 전체 사용자 중 상기 제1 사용자와 소셜 관계가 설정된 사용자로 상기 사용자 그룹을 구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투표 컨텐츠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미참여 투표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투표 컨텐츠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미참여 컨텐츠를 선별하는 단계; 및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참여도, 컨텐츠 등록일,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미참여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제3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투표 주제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보기 항목을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투표 주제와 상기 보기 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제3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 항목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투표 주제와의 관련도에 따라 상기 소셜 플랫폼 상의 컨텐츠를 상기 보기 항목으로 추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기 항목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일부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경우 상기 투표 주제와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보기 항목을 기초로 나머지 보기 항목을 추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4 투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투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응답율을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별로 집계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특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항목에 대한 응답율을 응답자 프로필에 따라 추가 집계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에 참여하는 각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4 투표 컨텐츠를 생성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에 대한 응답 수신 시 응답자의 프로필 정보를 함께 수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투표 컨텐츠로서 상기 제3 투표 컨텐츠와 연관된 후속 투표 컨텐츠인 제5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3 투표 컨텐츠와 상기 제5 투표 컨텐츠를 하나의 투표 쓰레드(thread)로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투표 쓰레드로 관리되는 투표 컨텐츠 목록과 투표 컨텐츠 별 결과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투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상기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7. 컴퓨터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셜 플랫폼을 통해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1 사용자가 참여한 제1 투표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속한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를 대상으로 상기 사용자 그룹에 속한 제2 사용자가 참여한 제2 투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투표 컨텐츠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참여하지 않은 미참여 컨텐츠를 선별하고,
    다른 사용자들에 의한 참여도, 컨텐츠 등록일, 상기 제1 사용자의 관심사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상기 미참여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되는 제3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투표 주제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보기 항목을 추천하고,
    상기 투표 주제와 상기 보기 항목을 포함하는 상기 제3 투표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4 투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투표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응답율을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별로 집계하여 제공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4 투표 컨텐츠의 보기 항목 중 특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항목에 대한 응답율을 응답자 프로필에 따라 추가 집계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KR1020220041472A 2022-04-04 2022-04-04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30142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472A KR20230142872A (ko) 2022-04-04 2022-04-04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1472A KR20230142872A (ko) 2022-04-04 2022-04-04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872A true KR20230142872A (ko) 2023-10-11

Family

ID=8829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1472A KR20230142872A (ko) 2022-04-04 2022-04-04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28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32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act group member suggestions
CN106302085B (zh) 即时通讯群组的推荐方法及系统
US9985923B2 (en) Mobile social interaction
US9473584B2 (en) Contribution filtering for online community advocacy management platform
US9438646B2 (en) Hover card
US20170270006A1 (en)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social graph
US20080098087A1 (en) Integrated electronic invitation process
US20160021038A1 (en) Chat-based support of communications and related functions
US20140181194A1 (en) Advocacy retention scoring for online community advocacy management platform
US201200110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Analysis Of Opinion Data
US20140181120A1 (en) Online community advocacy management platform
US20140180786A1 (en) Customer reward correlation for online community advocacy management platform
US9736253B2 (en) Populating ghost identities for online community advocacy management platform
JP6928997B2 (ja)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端末
US20140181693A1 (en) Cross-platform content management for online community advocacy management platform
KR20200096935A (ko) 다중 프로필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83870A1 (en) Social planning
US202102662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content o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JP2022176903A (ja) タイムラインサービス内でアカウントを推薦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30142872A (ko) 투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3004926A (ja) メッセージ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061383A (ko) 챗봇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과 시스템
US2015026186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KR20200098581A (ko) 다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콘텐트를 공급하는 방법
US20230019577A1 (en) Method, computer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haring payment information and settl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