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2524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2524A
KR20230142524A KR1020237028663A KR20237028663A KR20230142524A KR 20230142524 A KR20230142524 A KR 20230142524A KR 1020237028663 A KR1020237028663 A KR 1020237028663A KR 20237028663 A KR20237028663 A KR 20237028663A KR 20230142524 A KR20230142524 A KR 2023014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core
acquisition unit
tas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마사 가네가와
유카 구츠미
미츠히로 제이다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1704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202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1704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20258A/ja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25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61B5/7267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involving training the classification devi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3Detecting lung or respiration noi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ntis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활동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갖는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학습 정보 취득부(148)와, 제1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활동 정보 취득부(144)와, 스코어를 취득하는 스코어 취득부(149)와,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와,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하는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에 관계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에 관계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들 사이에서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강이나 생활 습관에 관한 정보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장치나 서비스가 제공되게 되고 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정보를 취득하여 기록하고, 그 내용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건강 관리와 관련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건강 관리 지원 시스템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7-041035호 공보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건강에 관계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학습 정보 취득부와, 2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에 관한 값이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값을 포함하는 제1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활동 정보 취득부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스코어 취득부와,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제1 활동 정보와는 다른 값을 포함하는 제2 활동 정보이며, 제2 활동 정보에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하는 제2 활동 정보 취득부와,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한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하는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와,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는, 한 사용자의, 생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인 생체음에 관한 소리 정보를 취득하는 소리 정보 취득부와, 소리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준비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는 태스크 취득부와, 태스크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태스크 출력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등에 의하면 사용자의 건강과 관계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 동 정보 처리 장치의 블록도
[도 3] 동 단말 장치의 블록도
[도 4] 동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 동 정보 처리 장치의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 동 정보 처리 장치의 복부음 사용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 동 정보 처리 장치의 장 관계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 동 정보 처리 장치의 배설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다 흐름도
[도 9] 동 정보 처리 장치의 식사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 동 정보 처리 장치의 음료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 동 정보 처리 장치의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 동 정보 처리 장치의 주목 요소 특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3] 동 정보 처리 장치의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 동 정보 처리 장치의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 본 실시형태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의 대응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 동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결과 표시 화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제1 도면
[도 17] 동 단말 장치에 표시되는 결과 표시 화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제2 도면
[도 18] 동 구체예의 변형예에 따른 레코멘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 동 정보 처리 장치의 블록도
[도 21] 동 단말 장치의 블록도
[도 22] 동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3] 동 정보 처리 장치의 태스크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4] 동 정보 처리 장치에서 이용되는 태스크 대응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 동 정보 처리 장치의 대응 태스크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6] 동 단말 장치의 화면 천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제1 도면
[도 27] 동 단말 장치의 화면 천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제2 도면
[도 28] 동 정보 처리 장치의 태스크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9]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블록도
[도 30] 동 정보 처리 장치에서 이용되는 태스크 대응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 동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2] 동 정보 처리 장치의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3] 동 정보 처리 장치의 태스크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4] 상술한 실시형태 2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5]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컴퓨터 시스템의 개관도
[도 36] 동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
이하, 정보 처리 장치 등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다. 또한, 실시형태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인 구성 요소는 같은 동작을 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하는 용어는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들 용어의 뜻은 항상 여기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예컨대 이하에서 개별로 설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설명도 근거로 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어느 사항에 관해서 식별자란, 그 사항을 일의적으로 나타내는 문자 또는 부호 등이다. 식별자는 예컨대 ID이지만, 대응하는 사항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라면 종류는 불문이다. 즉, 식별자는, 그것이 나타내는 것 그 자체의 이름라도 좋고, 일의적으로 대응하도록 부호를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취득이란, 사용자 등에 의해 입력된 사항을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자신 장치 또는 다른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미리 기억되어 있는 정보라도 좋고, 그 장치에서 정보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써 생성된 정보라도 좋다)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른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한다는 것은, 다른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API 경유 등으로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다른 장치에 의해 제공된 문서 파일의 내용(웹페이지의 내용 등도 포함한다)에 관해서 스크레이핑 등을 행함으로써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화상 파일에 관해서 광학식 문자 판독을 행함으로써 정보를 취득하는 것 등, 원 정보에 기초하여 그것과는 다른 포맷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정보의 취득에는 소위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기계 학습 수법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즉, 특정 종류의 입력용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취득하고 싶은 종류의 정보를 출력으로 하는 분류기를,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예컨대 미리 입력용 정보와 출력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조(교사 데이터라고 부르더라도 좋다)를 2 이상 준비하고, 이 2조 이상의 정보를 기계 학습의 분류기를 구성하기 위한 모듈에 부여하여 분류기를 구성하고, 구성한 분류기를 저장부에 축적한다. 여기서, 분류기는 학습기라고 말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 학습 수법으로서는 예컨대 심층학습, 랜덤 포레스트, SVR 등, 불문이다. 또한, 기계 학습에는, 예컨대 fastText, tinySVM, random forest, TensorFlow 등의 각종 기계 학습 프레임워크에 있어서의 함수나, 다양한 기존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류기는 기계 학습에 의해 얻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류기는, 예컨대 입력용 정보 등에 기초한 입력 벡터와 출력하는 정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라도 좋다. 이 경우, 입력용 정보에 기초한 특징 벡터에 대응하는 출력하는 정보를 테이블 중에서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고, 테이블 중 2 이상의 입력 벡터와 각 입력 벡터의 가중 등을 행하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입력용 정보에 기초한 특징 벡터에 근사한 벡터를 생성하고, 생성에 이용한 각 입력 벡터에 대응하는 출력하는 정보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출력하는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분류기는, 예컨대 입력용 정보 등에 기초한 입력 벡터와, 출력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 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입력용 정보에 기초한 특징 벡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함수에 의해 구하고, 구한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정보를 취득하거나 하여도 좋다.
정보를 출력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에 표시, 프로젝터를 이용한 투영, 프린터에 의한 인자, 소리 출력, 외부 장치에 송신, 기록 매체에 축적, 다른 처리 장치나 다른 프로그램 등에 처리 결과를 인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정보의 웹페이지에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나, 전자메일 등으로서 송신하는 것이나, 인쇄하기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정보의 접수란, 키보드나 마우스, 터치패널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된 정보의 접수, 다른 장치 등으로부터 유선 혹은 무선의 통신 회선을 통해 송신된 정보의 수신, 광 디스크나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정보의 접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정보 처리 장치 등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에 관해서, 갱신이란,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변경 외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는 것이나, 저장되어 있는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소거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에 변동을 줄 수 있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가 높아지는(사용자의 건강 정도가 높음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코어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건강 상태 정보로부터 취득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 이용하는 용어는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또, 이들 용어의 뜻은 항상 여기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예컨대 실시형태 1에서 개별로 설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설명에도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활동 정보란,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사용자의 활동 상태란, 사용자의 행동, 상태 등에 관한 다양한 요소, 즉, 생활함에 있어서 해당될 수 있는 사용자의 상태를 말한다. 활동 상태를 생활 상황이라고 하여도 좋다. 활동 상태에는, 예컨대 사용자의 배설에 관한 사항,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에 관한 사항, 사용자가 섭취한 음료에 관한 사항, 사용자의 활동 상황에 관한 사항 등, 다양한 사항이 포함될 수 있는 활동 상태에 해당하는 사항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사용자의 배설에 관한 파라미터에는, 배설물의 상태(양, 냄새, 형태(형상, 색 등)), 배설을 한 시간이나 간격 등,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에 관한 파라미터에는, 식사를 한 시간, 횟수, 어떠한 요리인지, 어떠한 식품이 포함되는지, 어떠한 영양소가 포함되는지, 양, 조미료의 양, 섭취한 에너지, 섭취 방법(예컨대 잘 씹어 먹는지, 식사에 걸린 시간) 등,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사용자가 섭취한 음료에 관한 파라미터에는, 음료를 마신 시간, 횟수, 음료의 종류, 알코올 음료인지 아닌지, 양, 섭취한 에너지, 섭취 방법(예컨대 따뜻한지 차가운지) 등,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사용자의 활동 상황에 관한 파라미터에는, 식음에 관한 것이나 배설에 관한 것 이외의, 사용자의 생활 습관(사용자가 매일의 생활에서 반복하여 행하고 있는 행위나 동작을 말한다)에 관한 상황이나, 단발적으로 행한 활동의 상황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면 시간, 수면의 질, 운동에 관한 사항(걸음수, 소비한 열량, 습관으로 하고 있는 운동, 운동 강도나 운동 빈도, 특정 운동을 한 시간, 명상을 했는지 여부나 그 시간 등) 등, 다양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활동 정보 중, 사용자의 배설에 관한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특히 배설 관계 정보라고 부르고,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에 관한 파라미터의 값이나 사용자의 섭취한 음료에 관한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특히 식음 정보라고 부르고, 사용자의 활동 상황에 관한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특히 활동 상황 정보라고 부르더라도 좋다. 바꿔 말하면, 활동 정보는 예컨대 배설 관계 정보, 식음 정보 및 활동 상황 정보 각각을 포함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활동 정보에는, 다른 요소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이들 요소의 일부에만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활동 정보의 각 요소에 관한 정보(배설 관계 정보, 식음 정보, 활동 상황 정보 등) 각각은 세세한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활동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각각의 값은, 예컨대 각 파라미터에 관한 절대적인 값으로 표시되어 있어도 좋고, 각 파라미터에 관해서 설정된 미리 정해진 역치에 대한 상대적인 값이나, 미리 정해진 역치에 대하여 큰지 작은지를 나타내는 값 등으로 표시되어 있어도 좋다.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파라미터로서, 미리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해서 준비된 태스크가 이용되어도 좋다. 태스크란, 사용자가 임해야 할 행동 또는 동작이나, 그것에 임한 결과로서 달성되었어야 할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태스크는 예컨대 식사에 관한 것, 활동 상황에 관한 것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태스크에는, 사용자가 임해야 할 미리 정해진 양(시간, 횟수, 빈도, 부하의 크기 등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에 관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파라미터로서 태스크가 이용되는 경우, 파라미터의 값으로서는, 상기 태스크를 행해야 하는 것으로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 상기 태스크를 행했는지 여부나, 태스크의 수행에 관한 진척 상황이나 달성 정도 등을 나타내는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태스크의 값은, 그 태스크가 관련되는, 별도의 파라미터의 값에 관련된 것으로서 취급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예컨대 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 조깅한다고 하는 태스크를 수행했음을, 그 사용자가 운동을 함으로써 소비한 열량을 나타내는 활동 정보로서 취급하거나, 한 사용자가 우유를 섭취했다고 하는 태스크를 수행했음을,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이나 영양소의 양을 나타내는 활동 정보로서 취급하거나 하도록 하여도 좋다.
건강 상태 정보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이며, 예컨대 사용자의 각종 건강에 관한 파라미터 등의 값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사용자의 건강 상태란, 예컨대 사용자의 형태나 특성에 관한 사항으로 할 수 있으며, 예컨대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장, 체중, 연령, 성별, 체지방률, 근육량, 맥박수, 호흡수, 혈압 등의 사항이나, 미리 정해진 질환을 앓고 있는지 여부 등으로 할 수 있다. 건강 상태 정보는, 예컨대 미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하는 것이라도 좋고, 예컨대 사용자가 몸에 지니는 웨어러블 단말 등이나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 등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라도 좋고, 사용자 정보가 기록된 외부의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취득되는 정보라도 좋다.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란, 예컨대 사용자가 건강한 정도를 득점 형식으로 나타내는 값이다. 예컨대 스코어는, 스코어가 보다 높을수록 사용자가 건강하다고 말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스코어가 낮을수록 건강함을 나타내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스코어로서 순위로 나타내는 값이 이용되도 좋고,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문구 등이 스코어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배설 관계 정보란, 사용자의 배설 상황에 관한 정보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배설 관계 정보로서는, 예컨대 배설물을 배설한 시간이나, 양, 냄새, 형태(형상, 색 등) 등, 여러 가지 관점의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설 관계 정보로서, 공지된 브리스톨 스툴 폼 스케일(이하, 브리스톨 스케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에 의해 표시되는 값이 포함된다. 브리스톨 스케일은, 생리적인 소화관 통과 시간을 시사하는 것으로, 장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브리스톨 스케일에 의해 표시되는 값에 대응하는 라벨(예컨대 「바나나 모양」, 「땡땡」, 「질척질척」 등)이 배설 관계 정보로서 이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배설 관계 정보로서는, 사용자 등의 평가자가 배설물에 관해서 평가를 한 결과의 정보(평가자의 주관이 동반되는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고, 평가기기 등에 의해 측정이나 평가가 이루어진 결과의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다.
식음 정보란, 사용자의 식음 상황에 관한 정보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식음 정보로서는 예컨대 물, 음주량, 식사 내용 등, 여러 가지 관점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식음 정보를, 식사나 식생활에 관한 식사 정보와, 음료의 섭취에 관한 음료 정보로 개념적으로 나눠 표현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음 정보에는, 음수량에 관한 정보, 음주 유무 혹은 음주량에 관한 정보, 식사 유무 혹은 식사 내용에 관한 정보 및 섭취한 특정군 식품의 유무 혹은 섭취량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특정군 식품이란, 예컨대 육류, 유제품, 야채 등으로 분류되는 군 중 특정 군에 속하는 식품을 말하지만, 이러한 「군」 분류의 관점이나 세분화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식사 정보나 음료 정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는, 소위 서플먼트(건강식품)에 관한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식음 정보로서는, 사용자 등의 평가자가 식음 상황에 관해서 평가를 하여 입력한 정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평가기기 등에 의해 측정이나 평가가 이루어진 결과의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컨대 섭취한 식품이나 음료의 종류나 양에 따라 소화기 운동에 상이한 영향이 미칠 수 있다.
활동 상황 정보란, 사용자의 활동 상황에 관한 정보이다. 여기서 말하는 활동 상황이란, 식음 상황을 제외한, 생활 습관(사용자가 매일의 생활에서 반복하여 행하고 있는 행위나 동작을 말한다)에 관한 상황을 말한다. 즉, 활동 상황 정보란, 식음 정보를 제외하고, 생활 습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동 상황 정보는, 수면에 관한 수면 정보(수면 시간이나 수면의 질 등) 및 운동에 관한 운동 정보(걸음수, 소비한 열량, 습관으로 하고 있는 운동의 유무, 운동 강도나 운동 빈도,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흡연 유무나 흡연 이력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활동 상황 정보로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몸에 지니거나 하는 기기(예컨대 웨어러블 단말, 기타 휴대 단말 등)에 설치되어 있는 활동량계에 의해 취득된 정보라도 좋고, 사용자 등의 평가자가 평가를 하여 입력한 정보라도 좋다.
복부음이란, 사용자의 복부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복부음에는 예컨대 장으로부터 발생한 장음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부음에는, 복부의 혈류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예컨대 복부대동맥음)나, 위 등의 기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포함될 수 있다.
소리 정보란, 복부음에 기초하여 얻어진 정보를 말한다. 소리 정보란, 녹음된 복부음의 데이터 그 자체라도 좋고, 그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편집하거나 하여 얻어진 데이터 등이라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정보 처리 장치(100)와 단말 장치(600)를 구비하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와 단말 장치(600)는 예컨대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시스템(1)에 포함되는 각각의 장치의 수는 불문이며, 다른 장치가 정보 처리 시스템(1)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정보 처리 시스템(1)의 사용자는 단말 장치(600)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1)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1에서는, 예컨대 소위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이며 각각 내장 마이크(681)를 갖는 것이 단말 장치(600)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단말 장치(600)로서 이용되는 것은 이러한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PC)인 단말 장치(600b)가 이용되어도 좋고, 태블릿형 정보 단말 장치 등, 이들 이외의 장치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마이크로서 외부 부착 마이크(681b)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하의 예에서는, 단말 장치(600)로서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가 이용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동 단말 장치(60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저장부(110), 수신부(120), 접수부(130), 처리부(140) 및 송신부(170)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컨대 서버 장치이다.
저장부(110)는 학습 정보 저장부(111),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 및 레코멘드 정보 저장부(117)를 구비한다.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는, 미리 취득된, 스코어 취득용 학습 정보(이하, 단순히 학습 정보라고 한다)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학습 정보는, 입력하는 정보를,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로 하고, 출력하는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로 하도록 하여 작성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는, 미리 취득된 소리 정보용 학습 정보(이하, 제2 학습 정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저장되어 있다. 제2 학습 정보는, 입력하는 정보를,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입력 정보로 하고, 출력하는 정보를, 장의 활동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출력 지표의 값으로 하도록 하여 작성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학습 정보나 제2 학습 정보는 소위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이다. 학습 정보나 제2 학습 정보는, 예컨대 후술하는 것과 같이 하여 학습 정보 생성부(147)에 의해 생성되어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기억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100)와는 다른 장치에 있어서 생성된 학습 정보나 제2 학습 정보가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학습 정보나 제2 학습 정보의 한쪽이 학습 정보 생성부(147)에 의해 생성된 것이고, 다른 쪽이 정보 처리 장치(100)와는 다른 장치에서 생성된 것이라도 좋다. 학습 정보는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분류기와 같은, 입력용 정보 등에 기초한 입력 벡터와 출력하는 정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라도 좋고, 입력용 정보 등에 기초한 입력 벡터와 출력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 등이라도 좋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학습 정보는 사용자마다 준비되어 있다. 즉, 각 학습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어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학습 정보는 복수 준비되어 있다. 각 제2 학습 정보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다. 기기 식별 정보는, 제2 학습 정보의 생성 시에 이용된 학습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이며, 이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복부음의 취득, 즉 녹음 등에 이용한 기기의 종류 등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기기 식별 정보는, 복부음의 녹음 등을 행한 방법을 식별하는 정보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기기란, 예컨대 복부음의 녹음에 이용된 마이크를 의미하여도 좋고, 상기 마이크가 포함되는 장치 셋트를 의미하여도 좋다. 기기 식별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복부음의 녹음에 이용된 기기의 모델을 식별하는 부호이거나, 녹음에 이용된 기기의 타입(스마트폰의 내장 마이크가 이용되었는지, 외부 부착 마이크가 이용되었는지 등)을 식별하는 부호이거나 하면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녹음 방법, 녹음된 복부음의 가공 방법(예컨대 적용된 필터의 유무, 종류, 음질 조정 등) 등, 학습 입력 정보의 유래를 어느 정도의 세분화로 식별 가능한 부호가 기기 식별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는, 정보 처리 시스템(1)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자인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에는 여러 가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6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나, 사용자에 관해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6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는, 예컨대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 등 외에, 후술하는 것과 같은 소리 정보나 기기 식별 정보나 활동 정보 등이 해당한다. 또한, 사용자에 관해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는, 예컨대 후술하는 것과 같은 장음의 빈도에 관한 정보나 장 상태의 추정 결과나 각 요소 스코어, 스코어 등이 해당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는, 그 밖의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레코멘드 정보 저장부(117)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코멘드 정보의 출력에 이용되는 대응 정보가 저장된다. 한 사용자에 관한 레코멘드 정보는, 활동 상태에 관해서 그 사용자가 주목해야 할 사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코멘드 정보는, 사용자가 실행하는 것으로서 설정하고, 수행해야 하는 태스크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대응 정보는, 예컨대 2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을 식별하는 파라미터 식별자와, 2 이상의 태스크를 식별하는 태스크 식별자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응 정보에 있어서, 복수의 파라미터 각각을 나타내는 파라미터 식별자에 관해서, 그 파라미터에 관련된 태스크 식별자가 1 또는 2 이상 대응되어 있다. 파라미터와 태스크의 대응 관계는 예컨대 미리 설정된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하나의 태스크의 수행을 계속적으로 행하는 것을, 그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있어서 특정 1 또는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의 변동을 가져오는 것과 동일시할 수 있는 경우에, 그 태스크와 파라미터가 대응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우유를 하루 하나 마신다」라고 하는 태스크가 「유제품의 섭취량」이라는 파라미터에 대응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6000보 이상 걷는다」라는 태스크가 「소비한 열량」이라는 파라미터나 「걸음수」라는 파라미터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걸음수」라는 파라미터가 「6000보 이상 걷는다」고 하는 태스크 외에, 「30분 이상 걷는다」라고 하는 태스크나 「계단을 걸어서 오른다」라는 태스크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가 대응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코멘드 정보 저장부(117)는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 이상의 파라미터에는, 음료를 섭취하는 것에 관한 음료 섭취, 식사를 섭취하는 것에 관한 식사 섭취, 식음 이외의 활동에 관한 생활 습관 및 운동에 관한 운동 정보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수신부(120)는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부(120)는 수신한 정보를 예컨대 저장부(110)에 보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예컨대 단말 장치(600)를 이용하여 정보의 입력 등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한다. 수신부(120)는 송신된 각 정보를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부(110)에 보존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단말 장치(600)로부터 송신된 소리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부(110)에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20)는, 단말 장치(600)로부터 이들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과 관련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특정할 수 있다.
접수부(130)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는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입력된 정보를 접수한다. 접수부(130)는 접수한 정보를 예컨대 저장부(110)에 보존한다. 또한, 입력 수단은, 텐키나 키보드나 마우스나 메뉴 화면에 의한 것 등, 어느 것이나 좋다. 접수부(130)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접속된 판독 장치(예컨대 코드 리더 등)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입력 조작(예컨대 장치에 의해 읽어 들인 정보도 포함한다)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접수하여도 좋다.
또한, 접수부(130)는, 수신부(120)가 수신한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입력된 정보로서 접수한다고 파악하여도 좋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에의 정보 입력이란, 이들 정보가 단말 장치(600) 등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하여도 좋고,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하여도 좋다. 또한, 사용자가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다양한 정보를 프로그램에 부여하여 기능시키거나 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에 정보가 주어지도록 하는 것을 정보 처리 장치(100)에의 정보 입력이라고 파악하여도 좋다.
처리부(140)는 소리 정보 취득부(141),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143), 제1 활동 정보 취득부(144), 학습 정보 생성부(147), 학습 정보 취득부(148), 스코어 취득부(149),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 및 출력부(161)를 구비한다. 처리부(140)는 각종 처리를 행한다. 각종 처리란, 예컨대 이하와 같이 처리부(140)의 각 부가 행하는 처리이다.
소리 정보 취득부(141)는 한 사용자의 소리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리 정보 취득부(141)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로부터 송신되어 수신부(12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복부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취득한다.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143)는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기기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기 식별 정보는, 소리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로부터 송신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리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600)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143)가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1 활동 정보 취득부(144)는, 2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에 관한 값이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값을 포함하는 제1 활동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활동 정보는, 배설 관계 정보, 식음 정보 및 활동 상황 정보(즉, 운동 정보나 수면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활동 정보 취득부(144)는 예컨대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 밖에, 제1 활동 정보 취득부(144)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 등으로부터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학습 정보 생성부(147)는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생성한다. 기계 학습 수법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즉, 한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그 사용자에 관해서 취득된 스코어를 출력으로 하는 학습기를,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예컨대 미리 학습 입력 정보와 출력치의 조를 2 이상 준비하고, 이 2조 이상의 정보를 기계 학습의 학습기를 구성하기 위한 모듈에 부여하여 학습기를 구성하고, 구성한 학습기를 학습 정보로서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축적한다. 즉, 학습 정보 생성부(147)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학습 정보 생성부(147)는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제2 학습 정보를 생성한다. 기계 학습 수법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즉,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입력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장의 활동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출력 지표의 값(출력치)을 출력으로 하는 학습기를,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예컨대 미리 학습 입력 정보와 출력치의 조를 2 이상 준비하고, 이 2조 이상의 정보를 기계 학습의 학습기를 구성하기 위한 모듈에 부여하여 학습기를 구성하고, 구성한 학습기를 제2 학습 정보로서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축적한다. 또한, 학습 입력 정보와 출력치의 조합은 미리 준비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새롭게 정보 처리 장치에서 취득된 소리 정보나 출력치의 조합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학습 정보를 재생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기계 학습 수법으로서는, 예컨대 컨볼루션 신경망(CNN) 등의 심층학습, 랜덤 포레스트, SVR 등, 불문이다. 또한, 기계 학습에는, 예컨대 fastText, tinySVM, random forest, TensorFlow 등의 각종 기계 학습 프레임워크에 있어서의 함수나, 여러 가지 기존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학습 정보 생성부(147)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에 대응하는 사용자(즉, 대상으로 하는 한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스코어를 갖는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용의 학습 정보를 생성한다. 학습 정보 생성부(147)는, 생성한 학습 정보를, 그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축적한다. 이에 따라,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는 사용자마다의 학습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학습 정보 생성부(147)는, 마찬가지로 사용자마다 제2 학습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학습 정보나 제2 학습 정보는 특정 사용자용으로 생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사용자에 관해서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생성된 것이라도 좋으며, 이때, 예컨대 미리 정해진 속성에 관해서 동일시할 수 있는 복수의 사용자에 관해서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생성된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학습 정보 등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관한 교사 데이터를 통합하여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학습 정보 취득부(148)는 학습 정보나 제2 학습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가 학습 정보를 이용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학습 정보 취득부(148)는, 그 대상으로 하는 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저장부(111)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학습 정보 취득부(148)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스코어 취득부(149)가 제2 학습 정보를 이용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2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저장부(111)로부터 취득한다. 이 경우, 학습 정보 취득부(148)는,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143)에 의해 취득된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제2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저장부(111)로부터 취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학습 정보가 사용자마다 생성된 것인 경우에, 제2 학습 정보를 이용한 처리를 행하는 대상으로 하는 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학습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학습 정보 취득부(148)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아닌 다른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나 제2 학습 정보를 그 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다른 장치에서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나 제2 학습 정보가 항상 이용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는 학습 정보 저장부(111)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스코어 취득부(149)는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를 구비한다.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는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 및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코어 취득부(149)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건강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건강 상태 정보는, 예컨대 상술한 것과 같이, 미리 사용자에 의해 입력 등이 이루어진 정보나, 사용자가 몸에 지니는 웨어러블 단말 등이나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 단말 등에 의해 취득된 정보나, 사용자 정보가 기록된 외부의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된 정보 등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코어 취득부(149)는, 취득한 건강 상태 정보와 제1 활동 정보 취득부(144)에 의해 취득된 제1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코어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평가 요소 각각에 관한 요소 스코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코어 취득부(149)는,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에 의해 취득된 요소 스코어를 이용하여 스코어를 취득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는,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 및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 각각에 의해 요소 스코어를 취득한다.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각 부에 의해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2 이상의 평가 요소 각각에 관한 요소 스코어를 취득한다. 2 이상의 평가 요소로서는 예컨대 장 관계의 요소, 배설, 음료, 식사, 활동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소 스코어로서, 예컨대 장 운동 스코어, 장 상태 스코어, 사용자의 배설에 관한 배설 스코어,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에 관한 식사 스코어, 사용자가 섭취한 음료에 관한 음료 스코어 및 사용자의 활동 상황에 관한 활동 상황 스코어 등이 이용된다. 각 스코어는, 대상으로 하는 사항의 상태나 양호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나 등급 등을 나타내는 부호 등이며, 사용자가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소 스코어의 하나로서,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사용자의 복부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에 기초한 요소 스코어가 취득된다. 즉, 스코어 취득부(149)는 소리 정보에 기초한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코어 취득부(149)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장의 활동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출력 지표에 관한 출력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제2 학습 정보를 취득한다. 스코어 취득부(149)는, 예컨대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제2 학습 정보를 취득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코어 취득부(149)는, 소리 정보 취득부(141)가 취득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에 제2 학습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취득한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취득한다. 스코어 취득부(14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취득한 제2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출력 지표의 값을 취득하고, 이 출력 지표의 값을 이용하여 스코어를 취득한다. 미리 정해진 출력 지표의 값을 취득하는 처리는 예컨대 후술하는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에 의해 이루어진다. 미리 정해진 출력 지표에는, 예컨대 용변의 상태 및 단위시간 당 장 연동 운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된다. 장 연동 운동의 횟수는, 미리 정해진 레벨 이상의 장음이 발생하는 빈도(이하, 단순히 장음의 빈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라고 하여도 좋다.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소리 정보 취득부(141)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와 제2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용변 상태(정상, 설사, 변비 등)에 관한 장 상태 스코어와, 장의 연동 운동(빈도 등)에 관한 장 운동 스코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기계 학습 수법에 의해, 소리 정보 취득부(141)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제2 학습 정보에 입력함으로써 출력 지표의 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출력 지표의 값에 기초하여 장 관계 스코어(장 상태 스코어 및 장 운동 스코어)를 취득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학습 정보 생성부(147)에서 학습 입력 정보로서 이용되는 소리 정보나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에서 입력되는 소리 정보는, 복부음을 녹음하여 얻어진 음성 데이터(가공된 것이라도 좋다)를 푸리에 변환이나 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해 해석한 결과를 미리 정해진 양태로 나타낸 스펙트로그램이다. 또한, 소리 정보는, 음성 데이터(가공된 것이라도 좋다) 그 자체라도 좋고, 그 밖의 형식으로 데이터 변환을 실시한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학습 정보 생성부(147)에서 학습 입력 정보로서 이용되는 소리 정보나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에서 입력되는 소리 정보는 처리부(140)에서 준비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복부음의 녹음 등을 행한 기기 등 정보 처리 장치(100) 이외의 기기에 있어서, 스펙트로그램인 소리 정보가 미리 준비되고, 그 소리 정보가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학습 정보 생성부(147)나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제2 학습 정보의 생성이나 이용에 동반하여, 건강 상태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입력 정보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생성되는 제2 학습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의해 사용자를 분류할 수 있는 몇 개의 타입별로, 그 타입을 식별하는 식별자에 대응시켜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기억되게 하면 된다. 또한,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타입의 제2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저장부(111)로부터 취득하고, 이 제2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장 관계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에 따라, 보다 높은 정밀도의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배설 스코어를 취득한다.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식음 정보에 기초하여 음료 스코어 및 식사 스코어를 취득한다.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는 활동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상황 스코어를 취득한다.
이들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의 각 부는, 출력 지표의 값이나 각종 활동 정보에 기초한 요소 스코어를, 예컨대 출력 지표의 값이나 각종 활동 정보의 내용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취득한다. 미리 정해진 조건은 각 요소마다 각 요소의 각 관점마다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제1 미리 정해진 점수를 요소 스코어에 반영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미리 정해진 점수를 요소 스코어에 반영시킨다고 하는 식으로 하여 요소 스코어를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출력 지표의 값으로서 장음의 빈도를 얻은 경우에, 장음의 빈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이면, 제1 미리 정해진 점수를 기준이 되는 장 운동 스코어에 가산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제2 미리 정해진 점수를 기준이 되는 장 운동 스코어로부터 감산하도록 하여도 좋다.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의 각 부는, 취득한 요소 스코어를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한다.
또한,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의 각 부는, 출력 지표의 값이나 각종 활동 정보의 내용과 미리 정해진 기준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계산식을 이용하거나 하여 요소 스코어를 산출하여도 좋다. 또한, 기준이 되는 역치를 복수 준비하여, 출력 지표의 값이나 각종 활동 정보의 내용이 해당하는 조건 범위 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점수를 요소 스코어에 반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장 운동, 장 상태, 배설, 음료, 식사, 활동 상황 등의 각 요소에 관해서, 복수의 평가 관점(기준치와 비교하는 관점 등)을 두고서, 관점마다 기준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점수를 요소 스코어에 반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반영시키는 점수를, 미리 복수의 관점축으로 구성되는 공간에서 맵핑한 정보(예컨대 n차원의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점수를 요소 스코어에 반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의 각 부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에 관해서 과거에 취득된 요소 스코어 또는 과거 시점에서의 출력 지표의 값 혹은 각종 활동 정보 등에 기초하여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회에 취득된 요소 스코어에 대하여 이번의 점수를 반영시킴으로써 이번의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과거의 미리 정해진 기간에 있어서의 출력 지표의 값 또는 각종 활동 정보와, 이번의 출력 지표의 값 또는 각종 활동 정보를 이용하고, 이들의 평균치 등을 이용하여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여도 좋다. 과거의 미리 정해진 수의 출력 지표의 값 또는 각종 활동 정보와 이번의 출력 지표의 값 또는 각종 활동 정보 각각에 관해서 특정한 점수를 이용하여(합산하는 등),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여도 좋다.
또한,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의 각 부가, 이러한 요소 스코어의 취득에 관해서 설정되는 조건, 비교하는 기준치, 기준이 되는 요소 스코어, 요소 스코어에 반영하는 점수, 요소 스코어에 점수를 반영하는 방법(가산, 감산, 승산 등) 등의 인자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적시에 설정하여도 좋다. 즉,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의 각 부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의 각 부가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에 따라서 다른 인자를 적용하여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코어 취득부(149)는, 이와 같이 하여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에 의해 취득한 장 운동 스코어 및 장 상태 스코어와,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에 의해 취득한 배설 스코어와,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에 의해 취득한 음료 스코어 및 식사 스코어와,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에 의해 취득한 활동 상황 스코어를 이용하여, 스코어를 취득한다. 스코어는, 예컨대 각 요소 스코어를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가산하거나 승산하거나 하는 등, 미리 정해진 계산식에 적용하여 산출함으로써 취득되어도 좋다. 또한, 각 요소 스코어를 입력으로 하고 스코어를 출력으로 하는 식으로 하여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기를 이용하여 취득되어도 좋다. 각 요소 스코어는, 필요에 따라서 정규화하거나 하는 등,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의 각 부에서 취득된 값으로부터 변경된 다음에 스코어의 취득에 이용되어도 좋다.
스코어 취득부(149)는, 취득한 스코어를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한다.
또한, 스코어 취득부(149)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에 관해서 과거에 취득된 스코어에 기초하여 이번의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회의 스코어에 기초한 기준의 스코어에 대하여 이번의 각 요소 스코어에 따른 점수를 반영시킴으로써 이번의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스코어 취득부(149)는, 이러한 스코어의 취득에 관해서 이용하는 미리 정해진 방법을,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적시에 변경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스코어 취득부(149)가,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 신장, 체중, 기왕력이나 미리 정해진 앙케이트 결과 등에 따라서, 다른 방법에 의해 요소 스코어를 이용한 연산 등을 행하여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스코어 취득부(149)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사용자에 관해서 취득된 과거의 스코어(과거 스코어)와 새롭게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새로운 스코어(신 스코어)를 비교한다. 그리고,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그 비교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2 이상의 평가 요소 중, 주목하는 1 이상의 평가 요소를 특정한다. 특정한다는 것은, 플래그를 세우는 처리를 하는 등, 상기 평가 요소를 다른 평가 요소와 구별할 수 있게 한다고 바꿔 말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과거」나 「새로운」이란, 과거의 시점을 기준으로 한 표현이라도 좋다. 미리 정해진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신 스코어의 쪽이 과거 스코어보다도 나쁜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낮은 스코어)으로 되어 있는 것이나, 신 스코어와 과거 스코어의 차가 미리 정해진 역치보다도 큰 것이나, 신 스코어와 과거 스코어의 비가 미리 정해진 역치보다도 큰 것이나, 이들의 조합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스코어의 차의 크기와 미리 정해진 값의 관계에 관한 조건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조건으로서는, 각 요소 스코어 중, 신 스코어에 있어서의 요소 스코어와 과거 스코어에 있어서의 상기 요소 스코어의 차가 미리 정해진 역치보다도 큰 것이나, 신 스코어에 있어서의 요소 스코어의 쪽이 과거 스코어에 있어서의 요소 스코어보다도 나쁜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낮은 스코어)으로 되어 있는 것이나, 양 요소 스코어의 비가 미리 정해진 역치보다도 큰 것이나,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요소 스코어의 차의 크기와 미리 정해진 값의 관계에 관한 조건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컨대 각각의 평가 요소에 관해서, 요소 스코어의 차의 크기와 미리 정해진 값의 관계에 관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평가 요소가 특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양 스코어의 비교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느 평가 요소도 특정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샘플 작성부(154) 및 샘플 스코어 취득부(155)를 구비한다.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학습 정보 취득부(148)가 취득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활동 정보란,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제1 활동 정보 취득부(144)가 취득한 제1 활동 정보와는 다른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이다. 여기서, 제2 활동 정보에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는, 제1 활동 정보 취득부(144)가 취득한 제1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다르다. 바꿔 말하면,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제1 활동 정보와는 다른 값을 포함하는 제2 활동 정보이며, 이 제2 활동 정보에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상기 제2 활동 정보에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를 구성하는, 주목 요소 특정부(152)에 의해 특정된 평가 요소에 관한 주목 요소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를 구성하는 주목 요소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한다. 예컨대 과거 스코어보다 신 스코어에 있어서 하나의 요소 스코어가 낮아진 경우,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그 평가 요소를 특정한다. 그러면,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상기 요소 스코어가 다는 스코어가 취득되는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샘플 작성부(154)에 의해 작성한, 제2 활동 정보의 후보가 되는 활동 정보(샘플 활동 정보라고 부른다)를 이용하여, 샘플 스코어 취득부(155)에 의해 스코어를 취득하고, 이 스코어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에 기초하여, 샘플 활동 정보를 제2 활동 정보로서 취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샘플 작성부(154)는, 제1 활동 정보에 대하여, 선택한 1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샘플 활동 정보를 작성한다. 여기서, 값의 변화는 다양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활동 정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값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미리 정해진 비율만큼 증가 또는 감소시키거나 할 수 있다. 샘플 스코어 취득부(155)는 샘플 활동 정보에 학습 정보 취득부(148)가 취득한 학습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스코어를 취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스코어를 편의상 샘플 스코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샘플 스코어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샘플 활동 정보를 제2 활동 정보로서 취득한다. 예컨대 양 스코어를 비교한 결과, 주목 요소 특정부(152)에 의해 특정된 평가 요소에 관한 주목 요소 스코어의 차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나, 미리 정해진 값의 폭의 범위 내인 것 등, 주목 요소 스코어의 변화와 미리 정해진 값의 관계에 관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그 샘플 활동 정보를 제2 활동 정보로서 취득한다.
또한,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각 요소 스코어와 관계없이, 샘플 스코어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샘플 활동 정보를 제2 활동 정보로서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각 요소 스코어의 비교 결과와 상관없이, 종합적인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종합적인 비교 결과에 따른 제2 활동 정보의 취득은, 주목 요소 특정부(152)에 의해 어느 주목 요소도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만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고, 매회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샘플 스코어에 있어서의 주목 요소 스코어 쪽이, 대응하는 평가 요소에 관해서 사용자의 상태나 상황이 보다 이상적인 상태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에만,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가, 그 샘플 활동 정보를 제2 활동 정보로서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의 주목 요소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의 주목 요소 스코어보다 높아지는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보다 높아지는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가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가, 과거에 취득된 제1 활동 정보 중 하나를 취득하고, 상기 제1 활동 정보에 학습 정보 취득부(148)가 취득한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된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보다 높아지는 경우에, 상기 제1 활동 정보를 제2 활동 정보로서 취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샘플 활동 정보가 과거에 취득된 제1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작성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샘플 작성부(154)는, 제1 활동 정보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에 관해서 과거에 취득된 제1 활동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 1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샘플 활동 정보를 작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과거의 활동이나 상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관해서 값을 변화시켜 샘플 활동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도록 함으로써, 개개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앞으로의 활동에 반영시키기 쉬운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활동 정보 비교부(158)를 구비한다. 활동 정보 비교부(158)는, 제1 활동 정보 취득부(144)가 취득한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가 취득한 제2 활동 정보를 비교한다.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한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활동 정보 비교부(158)는 예컨대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에서 값이 다른 1 이상의 파라미터에 관한 파라미터 식별자를 취득한다. 활동 정보 비교부(158)는, 예컨대 각 파라미터에 관해서,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의 값의 차의 크기에 관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식별자를 취득한다. 값의 차의 크기에 관한 조건으로서, 예컨대 값의 차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도 큰 것, 한쪽과 다른 쪽의 비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도 큰 것 등, 다양한 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활동 정보 비교부(158)는,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에서 값이 다른 1 이상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추가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그 파라미터에 관한 파라미터 식별자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활동 정보 비교부(158)는,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에서 값이 다르면서 또한 제1 활동 정보에서의 상기 파라미터의 값과 미리 정해진 값의 관계가 미리 정해진 상태인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에 관한 파라미터 식별자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미리 정해진 상태란, 예컨대 크다, 작다, 차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 비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 등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레코멘드 정보 저장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 정보를 참조하여, 활동 정보 비교부(158)에 의해 취득된 파라미터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취득한다.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취득한 태스크 식별자나 그것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한다. 예컨대 태스크 식별자에 의해 특정되는 태스크의 내용이나 태스크를 설명하는 정보 등이 레코멘드 정보로서 구성되어 취득된다. 이러한 정보는, 예컨대 태스크 식별자에 대응시켜 미리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구성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레코멘드 정보의 취득이란, 예컨대 태스크 식별자만을 레코멘드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활동 정보 비교부(158)에 의해 취득된 파라미터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가 이전에 수행하고 있었던 태스크의 태스크 식별자 중에서 대응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가 이전에 수행하고 있었던 태스크이며 현재는 수행하지 않은 태스크의 태스크 식별자 중에서 대응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처리는, 예컨대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있어서, 과거에 수행한 태스크의 태스크 식별자를 검색할 수 있는 이력 정보를 사용자마다 축적해 두고서 이 이력 정보를 참조하거나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지만, 실현 방법은 이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가 대응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활동 정보 비교부(158)에 의해 취득된 파라미터 식별자나 그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레코멘드 정보로서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파라미터에 관해서 레코멘드 정보로 하는 정보는, 예컨대 파라미터 식별자에 대응시켜 미리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구성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코멘드 정보는, 파라미터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 식별자나 그 밖의 정보를 적절하게 조합한 정보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파라미터 식별자나 그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가 레코멘드 정보로 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스코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신의 활동에 관한 자각을 줄 수도 있다. 또한,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한 차분에 대응하는 정보를 레코멘드 정보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활동을 행한 실적을 나타내는 값에 관해서, 제1 활동 정보인 실적치와 제2 활동 정보인 목표치의 차분을 사용자가 달성해야 할 태스크로 하도록 레코멘드 정보를 구성하여도 좋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제1 활동 정보와 2 이상의 제2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스코어에 대한 영향이 큰 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활동 정보 비교부(158)는, 제1 활동 정보와, 각각 서로 다른 파라미터에 관한 값이 다른 2 이상의 제2 활동 정보를 비교하여, 각각 1 이상의 파라미터 식별자를 취득한다.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각 제2 활동 정보에 대응하는 샘플 스코어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의 비교 결과(요소 스코어끼리의 비교 결과라도 좋다)에 따라서, 취득된 2 이상의 파라미터 식별자에 순서(순위)를 붙여, 순서에 따른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한다. 예컨대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스코어의 차가 보다 큰 제2 활동 정보에 관해서 취득된 파라미터 식별자의 순위가 보다 높아지도록 순서를 붙인다. 그리고,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예컨대 순위에 관한 정보를 각 파라미터 식별자나 그것에 대응하는 태스크 식별자 등의 정보에 대응시킨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있어서, 레코멘드 정보가, 복수의 파라미터나 그것에 대응하는 태스크 등의 정보에 관해서,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순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임하거나 의식하거나 할 때의 우선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각 파라미터의 값이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감도 분석을 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파라미터 식별자의 순서를 붙이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레코멘드 정보는, 복수의 파라미터 등의 정보에 관해서, 순서가 붙여진 순으로 출력부(161)에 의해 출력되도록 출력 순서를 규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출력부(161)는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에 의해 취득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출력부(161)는,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를 출력하지만, 스코어의 출력을 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출력부(161)는, 주목 요소 특정부(152)에 의해 특정된 평가 요소에 관한 정보(식별자 등)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코어나 평가 요소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레코멘드 정보와 스코어의 출력이 동일한 기회에 이루어지더라도 좋고, 따로따로의 기회에 이루어지더라도 좋다. 예컨대 스코어 등의 출력이 이루어지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그 스코어에 대응하여 취득된 레코멘드 정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출력부(161)는 레코멘드 정보를 단말 장치(600)에 송신함으로써 출력을 행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에 문자 또는 화상 등에 의해 레코멘드 정보를 표시하게 함으로써 출력이 이루어지더라도 좋다.
송신부(17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다른 장치에 정보를 송신한다. 송신부(170)는 예컨대 단말 장치(600)에 대하여 정보를 송신한다. 바꿔 말하면, 송신부(170)는 예컨대 단말 장치(600)에 대하여 정보를 출력한다.
이어서, 단말 장치(60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말 장치(600)는 단말 저장부(610), 단말 수신부(620), 단말 접수부(630), 단말 처리부(640), 단말 출력부(660), 단말 송신부(670) 및 센서부(680)를 구비한다. 단말 출력부(660)는 표시부(661)를 구비한다. 센서부(680)는 마이크(681) 및 가속도 센서(683)를 구비한다.
단말 저장부(610)는 소리 정보 저장부(611), 기기 식별 정보 저장부(613) 및 활동 정보 저장부(615)를 구비한다.
소리 정보 저장부(611)에는 단말 장치(600)의 센서부(680)를 이용하여 녹음된 소리 정보가 축적된다. 소리 정보는, 단말 송신부(670)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되지만, 송신이 완료된 경우에는 소리 정보 저장부(611)로부터 삭제되도록 하여도 좋고, 그대로 미리 정해진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유지되도록 하여도 좋고, 사용자에 의한 삭제 조작이 있을 때까지 영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기기 식별 정보 저장부(613)에는 기기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기기 식별 정보는 단말 장치(600)의 형식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기 식별 정보 저장부(613)에 대해서는 다른 정보가 기록 불가능이라도 좋다.
활동 정보 저장부(615)에는 활동 정보가 축적된다. 활동 정보는, 단말 송신부(670)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되지만, 송신이 완료된 경우에는 활동 정보 저장부(615)로부터 삭제되도록 하여도 좋고, 그대로 미리 정해진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유지되도록 하여도 좋고, 사용자에 의한 삭제 조작이 있을 때까지 영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활동 정보 저장부(615)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건강 상태 정보도 단말 송신부(670)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활동 정보 저장부(615)에 축적되는 활동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그것에 기초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들 정보는 예컨대 단말 접수부(630)에 의해 접수된 정보라도 좋고, 단말 접수부(630)에 의해 접수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 등을 행함으로써 단말 처리부(640)가 취득한 정보라도 좋다.
또한, 활동 정보 저장부(615)에 축적되는 활동 정보는 계측치 또는 그것에 기초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들 정보는, 예컨대 센서부(680)에 의해 계측된 정보라도 좋고, 센서부(680)에 의해 계측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 등을 행함으로써 단말 처리부(640)가 취득한 정보라도 좋다. 또한, 단말 장치(600)에 대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센서 장치에 의해서 측정 등이 이루어져, 단말 장치(600)에 송신된 정보라도 좋다.
단말 수신부(620)는 정보 처리 장치(100)나 그 밖의 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 단말 수신부(620)는, 수신한 정보를 예컨대 단말 저장부(610)에 축적하여, 단말 처리부(640) 등이 취득할 수 있게 한다.
단말 접수부(630)는, 단말 장치(6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한, 단말 장치(600)에 대한 여러 가지 입력 조작을 접수한다. 조작은 예컨대 도시하지 않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 접수부(630)는 예컨대 마이크(681)에 의해 입력된 음성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말 처리부(640)는 단말 장치(600)의 각 부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정보 처리 동작을 행한다.
단말 출력부(660)는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인 표시부(661)에 표시하거 함으로써 정보의 출력을 행한다. 또한, 정보의 출력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음성 등을 스피커 등으로부터 출력하거나 함으로써 출력되도록 하여도 좋다.
단말 송신부(670)는 예컨대 단말 처리부(640) 등에 의해 취득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
센서부(680)는, 예컨대 마이크(681) 및 가속도 센서(683) 외에, 기압 센서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센서부(680)는, 마이크(681)를 이용한 녹음이나 계측 사항에 관해서 계측을 행하여, 얻어진 음성 데이터나 계측치 등의 정보를 출력한다. 얻어진 정보는 예컨대 단말 저장부(610)에 축적된다. 여기서, 계측치는, 예컨대 가속도 센서에 의해 취득된 가속도의 추이를 나타내는 값이나, 기압 센서에 의해 취득된 기압의 추이를 나타내는 값 등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부(680)에는, 예컨대 맥박 센서나 조도 센서나 카메라나 GPS 등에 의해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센서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센서부(680)는 시간의 경과를 계측하는 타이머 등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부(680)는, 소비된 열량이나 걸음수 등의 사용자의 활동량에 관한 정보나, 사용자의 기상 시각, 취침 시각이나 통근 시간 등, 사용자의 생활 습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활동량계로서 기능한다. 또한, 센서부(680)에 의해 얻어지는 계측치에 기초하여, 예컨대 사용자가 생활하는 지역이나 기후나 소음 환경 등, 사용자의 생활 환경에 관한 정보 등이 취득되어, 단말 저장부(610)에 축적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을 사용자가 이용할 때에 행해지는 정보 처리 장치(100)의 동작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예컨대 단말 장치(600)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액세스를 하거나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하면서, 단말 장치(600)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킴으로써, 정보 처리 시스템(1)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이란,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라도 좋고,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가능하게 표시하거나 하는 웹 브라우저 등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1)은 전형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이용된다. 즉, 사용자는 정기적으로 단말 장치(600)를 이용하여 자신의 복부음을 녹음한다. 정기적이란, 예컨대 매일이나 매식전 또는 매식후나 매주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면, 소리 정보가 단말 장치(6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100)에 송신되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스코어가 취득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취득한 스코어를 이용하여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하여, 단말 장치(600)에 송신(출력)한다. 단말 장치(600)는, 레코멘드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 출력부(660)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장에 관한 정보나 그 밖의 활동 정보를 근거로 한, 건강 상태에 관해서 임해야 하는 태스크나 유의해야 하는 사항에 관해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레코멘드 정보를 참고로 하여 매일의 활동을 함으로써 건강 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시스템(1)의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컨대 이하와 같이 하여 다양한 동작을 행한다. 이들 동작은 처리부(140)가 각 부를 이용하면서 제어 동작 등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저장부(110)나 단말 저장부(610)는 불휘발성 기록 매체가 적합하지만, 휘발성 기록 매체라도 실현 가능하다. 이들에는 각각의 장치에 있어서 취득된 정보 등이 각각 저장되지만, 정보 등이 기억되는 과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기록 매체를 통해 정보 등이 기억되게 되어도 좋고, 통신 회선 등을 통해 송신된 정보 등이 기억되게 되어도 좋고, 혹은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 등이 기억되게 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처리부(140)나 단말 처리부(640)는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처리부(140)나 단말 처리부(640)의 처리 수순은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며, 이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단,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접수부(130)나 단말 접수부(630)에 의해 접수할 수 있는 정보의 입력에 이용될 수 있는 입력 수단은, 텐키나 키보드나 마우스나 메뉴 화면에 의한 것 등, 어느 것이나 좋다. 접수부(130)나 단말 접수부(630)는, 텐키나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나, 메뉴 화면의 제어 소프트웨어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20)나 단말 수신부(620)는 통상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으로 실현되지만, 방송을 수신하는 수단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한, 송신부(170)나 단말 송신부(670)는 통상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으로 실현되지만, 방송 수단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도 4는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1) 처리부(140)는, 수신부(120)에 의해, 단말 장치(600) 등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2) 처리부(140)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한다. 예컨대 활동 정보, 소리 정보 또는 기기 식별 정보 등이 단말 장치(600)로부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송신되면, 처리부(140)는 수신한 정보를 그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한다.
(단계 S13) 처리부(140)는 스코어를 취득하는 것에 관한 트리거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꿔 말하면, 처리부(140)는 스코어의 취득을 시작하는 조건을 만족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트리거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1로 되돌아간다.
또한, 예컨대 단말 장치(6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스코어를 취득하는 것에 관한 지시가 이루어진 것(지시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정보가 송신된 것) 등을 상기한 트리거로 할 수 있지만, 트리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시각으로 된 것이나, 소리 정보나 그 밖의 활동 정보를 새롭게 수신한 것 등, 다양한 조건을 만족했음을 트리거로 할 수 있다.
(단계 S14) 처리부(140)는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스코어 취득 처리를 행한다. 스코어 취득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코어 취득 처리에 의해 스코어나 각 요소 스코어가 취득되어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된다.
(단계 S15) 처리부(140)는 주목 요소 특정부(152)에 의해 주목 요소 특정 처리를 행한다. 주목 요소 특정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주목 요소 특정 처리에 의해 주목하는 1 이상의 평가 요소를 특정하면, 그것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예컨대 플래그 정보)가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된다.
(단계 S16) 처리부(140)는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에 의해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로써,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에 의해 제2 활동 정보가 취득되어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된다.
(단계 S17) 처리부(140)는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에 의해 레코멘드 정보 취득 처리를 행한다. 레코멘드 정보의 취득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레코멘드 정보의 취득 처리에 의해 레코멘드 정보가 취득되어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된다.
(단계 S18) 처리부(140)는, 출력부(161)에 의해, 취득한 스코어 등이나 레코멘드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정보를 구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코어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와, 레코멘드 정보와, 각 요소 스코어를 이용한 레이더 차트를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구축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부(161)는, 각 요소 스코어를 그 밖의 형식의 그래프로서 나타내는 정보를 구축하여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고, 요소 스코어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단계 S19) 처리부(140)는 출력부(161)에 의해 대상이 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구축한 정보를 출력한다. 즉, 처리부(140)는, 송신부(170)에 의해, 스코어의 산출대상으로 되어 있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600)에 대하여, 출력부(161)가 구축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600)에 있어서 스코어와 레코멘드 정보에 관한 표시를 할 수 있다.
도 5는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11) 스코어 취득부(149)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로부터,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그 사용자에 관한 소리 정보, 활동 정보 및 과거의 사용자 정보 등을 취득한다. 추가로 건강 상태 정보를 취득하여도 좋다.
(단계 S112) 스코어 취득부(149)는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장음의 빈도나 장 상태의 추정 결과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하, 이러한 처리를 복부음 사용 처리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복부음 사용 처리의 상세한 점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113) 스코어 취득부(149)는, 취득된 장음의 빈도나 장 상태의 추정 결과 등의 정보를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한다.
(단계 S114) 스코어 취득부(149)는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에 의해 각 요소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하, 이러한 처리를 요소 스코어 취득 처리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소 스코어 취득 처리로서는, 장 관계 스코어 취득 처리, 배설 스코어 취득 처리, 식사 스코어 취득 처리, 음료 스코어 취득 처리 및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 처리가 각각 실행된다. 각각의 요소 스코어 취득 처리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115) 각 요소 스코어가 얻어지면, 스코어 취득부(149)는 각 요소 스코어로부터 스코어를 취득한다. 이때, 스코어 취득부(149)는, 상술한 것과 같이, 예컨대 각 요소 스코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가산하거나 승산하거나 하여 스코어를 취득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16) 스코어 취득부(149)는, 취득된 스코어나 각 요소 스코어를 대상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한다. 그 후, 도 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6은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복부음 사용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21) 스코어 취득부(149)는 복부음을 녹음하여 얻어진 음성 데이터인 소리 정보로부터 스펙트로그램을 생성한다.
(단계 S122) 스코어 취득부(149)는,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소리 정보용 학습 정보 중,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리 정보용 학습 정보를, 사용하는 소리 정보용 학습 정보로서 선택한다.
(단계 S123) 스코어 취득부(149)는, 소리 정보를 소리 정보용 학습 정보에 대하여 입력하여, 출력 지표의 값을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부음에 포함되는 장음의 빈도나 장 상태의 추정 결과가 출력된다. 그 후, 도 5에 도시하는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말 장치(600)로부터 송신된 소리 정보가 스펙트로그램인 경우 등,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저장된 소리 정보가 스펙트로그램인 경우에는, 단계 S121의 처리는 실시되지 않게 하면 된다.
도 7은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장 관계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41)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 운동 스코어와 장 상태 스코어를 각각 초기치(예컨대 제로)로 리셋한다.
(단계 S142)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음의 빈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 정해진 범위 내라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4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44로 진행한다.
여기서, 장음의 빈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라는 것은, 예컨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미리 정해진 레벨보다 큰 장음이 5회 이상 20회 미만인 것 등으로 설정할 수 있지만, 횟수 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43)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 운동 스코어를 10점 가점한다. 즉,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 요동 운동에 관해서는 적정한 상태라고 판정한다. 단계 S145로 진행한다.
(단계 S144)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 운동 스코어를 5점 가점한다. 즉,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 요동 운동에 관해서 불량인 상태라고 판정한다. 단계 S145로 진행한다.
(단계 S145)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 상태의 추정 결과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 정해진 범위 내라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4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44로 진행한다. 장 상태의 추정 결과가 「설사」 또는 「변비」인 경우에는 단계 S147로 진행하게 된다.
(단계 S146)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 상태 스코어를 10점 가점한다. 즉,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 상태가 좋은 상태라고 판정한다.
(단계 S147)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 상태 스코어를 5점 가점한다. 즉,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는 장 요동 운동에 관해서는 적정한 상태라고 판정한다.
단계 S146 또는 단계 S147이 종료되면,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1511)가 이상의 결과로서 장 운동 스코어 및 장 상태 스코어를 취득하고, 도 5로 되돌아간다.
도 8은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배설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51)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 스코어를 각각 초기치(예컨대 제로)로 리셋한다.
(단계 S152)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물 형상이 미리 정해진 타입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배설 관계 정보에 포함되는 브리스톨 스케일의 라벨치가 미리 정해진 값(예컨대 「바나나 모양」, 「땡땡」 등의 미리 정해진 문구)이면, 배설물 형상이 미리 정해진 타입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배설물 형상이 미리 정해진 타입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5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54로 진행한다.
(단계 S153)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 스코어에 10점을 가점한다. 단계 S155로 진행한다.
(단계 S154)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 스코어에 5점을 가점한다. 단계 S155로 진행한다.
(단계 S155)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물의 양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배설물의 양으로서, 배설 관계 정보에 포함되는 배설물의 양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0 그램부터 200 그램까지의 범위를 미리 정해진 범위로서 정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설물의 양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라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5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57로 진행한다.
(단계 S156)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 스코어에 10점을 가점한다. 단계 S158로 진행한다.
(단계 S157)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 스코어에 5점을 가점한다. 단계 S158로 진행한다.
(단계 S158)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물의 냄새가 고약하진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배설물의 냄새로서, 배설 관계 정보에 포함되는 배설물의 냄새에 관한 사용자의 입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배설물의 냄새가 고약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5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6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59)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 스코어에 10점을 가점한다.
(단계 S160)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는 배설 스코어에 5점을 가점한다.
단계 S159 또는 단계 S160이 종료되면, 배설 스코어 취득부(1512)가 이상의 결과로서 배설 스코어를 취득하여, 도 5로 되돌아간다.
도 9는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식사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61)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식사 스코어를 각각 초기치(예컨대 제로)로 리셋한다.
(단계 S162)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사용자가 아침식사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식사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가 아침식사를 했다는 취지의 입력치 유무 등에 기초하여 판단을 할 수 있다. 아침식사를 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6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64로 진행한다.
(단계 S163)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식사 스코어에 10점을 가점한다. 단계 S165로 진행한다.
(단계 S164)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식사 스코어에 5점을 가점한다. 단계 S165로 진행한다.
(단계 S165)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사용자가 식물섬유를 미리 정해진 량 이상섭취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식사 정보에 포함되는, 식사의 내용에 기초하여 식물섬유 상당량을 산출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12 그램을 미리 정해진 량으로서 정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한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식물섬유를 미리 정해진 이상 섭취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6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67로 진행한다.
(단계 S166)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식사 스코어에 10점을 가점한다. 단계 S168로 진행한다.
(단계 S167)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식사 스코어에 5점을 가점한다. 단계 S168로 진행한다.
(단계 S168)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사용자가 칼슘을 미리 정해진 량 이상 섭취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식사 정보에 포함되는, 식사의 내용에 기초하여 칼슘 상당량을 산출하고, 그 값을 이용하여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160 밀리그램을 미리 정해진 량으로서 정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한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칼슘을 미리 정해진 량 이상 섭취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6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6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9)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식사 스코어에 10점을 가점한다.
(단계 S170)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식사 스코어에 5점을 가점한다.
단계 S169 또는 단계 S170이 종료되면,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가 이상의 결과로서 식사 스코어를 취득하여, 도 5로 되돌아간다.
도 10은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음료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71)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음료 스코어를 각각 초기치(예컨대 제로)로 리셋한다.
(단계 S172)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사용자가 아침에 음료를 미리 정해진 량 이상 섭취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음료 정보에 포함되는, 미리 정해진 시간대에서의 사용자의 음수량 입력치 등에 기초하여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300 밀리리터를 미리 정해진 량으로서 정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한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사용자가 아침에 음료를 미리 정해진 량 이상 섭취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7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74로 진행한다.
(단계 S173)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음료 스코어에 10점을 가점한다. 단계 S175로 진행한다.
(단계 S174)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음료 스코어에 5점을 가점한다. 단계 S175로 진행한다.
(단계 S175)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사용자의 하루 음료 섭취량이 미리 정해진 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음료 정보에 포함되는, 하루 동안의 사용자의 음수량의 입력치 등에 기초하여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2000 밀리리터를 미리 정해진 량으로서 정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한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하루의 음료 섭취량이 미리 정해진 량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7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77로 진행한다.
(단계 S176)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음료 스코어에 10점을 가점한다.
(단계 S177)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는 음료 스코어에 5점을 가점한다.
단계 S176 또는 단계 S177이 종료되면, 식음 스코어 취득부(1513)가 이상의 결과로서 음료 스코어를 취득하여, 도 5로 되돌아간다.
도 11은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81)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는 활동 상황 스코어를 각각 초기치(예컨대 제로)로 리셋한다.
(단계 S182)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는 하루의 걸음수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활동 상황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하루의 걸음수의 누적치 등에 기초하여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7000보를 미리 정해진 값로서 정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한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하루의 걸음수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8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84로 진행한다.
(단계 S183)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는 활동 상황 스코어에 10점을 가점한다. 단계 S185로 진행한다.
(단계 S184)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는 활동 상황 스코어에 5점을 가점한다. 단계 S185로 진행한다.
(단계 S185)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는 사용자의 수면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활동 상황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의 수면 시간의 입력치 등에 기초하여 판단을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7시간을 미리 정해진 시간으로서 정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한치가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수면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18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87로 진행한다.
(단계 S186)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는 활동 상황 스코어에 10점을 가점한다.
(단계 S187)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는 활동 상황 스코어에 5점을 가점한다.
단계 S186 또는 단계 S187이 종료되면,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1514)가 이상의 결과로서 활동 상황 스코어를 취득하여, 도 5로 되돌아간다.
도 12는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주목 요소 특정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21)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사용자에 관해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스코어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이번에 취득된 신 스코어를 취득한다.
(단계 S22)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과거 스코어와 신 스코어를 비교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예컨대 주목 요소 특정부(152)에 의해 특정된 평가 요소에 관한 주목 요소 스코어의 차를 구한다.
(단계 S23)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양 스코어의 비교 결과에 관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는 단계 S2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5로 진행한다.
(단계 S24)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양 스코어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1 이상의 평가 요소를 특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소 스코어의 차의 크기와 미리 정해진 값의 관계에 관한 조건을 만족하는 각각의 평가 요소가 특정된다.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예컨대 특정한 평가 요소를 식별하는 식별자에 플래그를 세운 플래그 정보를 저장부(110)에 보존한다.
(단계 S25)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어느 평가 요소도 특정하지 않는다. 이 경우, 주목 요소 특정부(152)는, 특정한 평가 요소가 없다고 판단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저장부(110)에 보존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평가 요소에 관해서도 플래그가 세워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된 평가 요소가 없다고 판단되었다고 파악할 수 있다.
단계 S24 또는 단계 S25가 종료되면 도 4로 되돌아간다.
도 13은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31)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샘플 작성부(154)에 의해 제1 활동 정보로부터 샘플 활동 정보를 작성한다.
(단계 S32)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샘플 스코어 취득부(155)에 의해 샘플 스코어를 취득한다.
(단계 S33)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주목 요소 특정부(152)에 의해 어느 하나의 주목 요소가 특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어느 하나의 주목 요소가 특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3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35로 진행한다.
(단계 S34)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주목 요소 스코어에 관해서 샘플 스코어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를 비교하여, 주목 요소 스코어의 변화와 미리 정해진 값의 관계에 관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단계 S3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단계 S35)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샘플 스코어와 스코어 취득부(149)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를 비교하여, 스코어의 변화와 미리 정해진 값의 관계에 관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단계 S3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단계 S36)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샘플 활동 정보를 제2 활동 정보로서 취득한다. 제2 활동 정보 취득부(153)는, 취득한 제2 활동 정보를, 예컨대 대상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사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한다. 그 후, 도 4로 되돌아간다.
도 14는 동 정보 처리 장치(100)의 레코멘드 정보의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41)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로부터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42)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활동 정보 비교부(158)에 의해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를 비교한다.
(단계 S43) 활동 정보 비교부(158)는,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의 값의 차의 크기에 관한 조건을 만족하는 파라미터의 파라미터 식별자를 취득한다.
(단계 S44)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레코멘드 정보 저장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 정보를 참조하여, 활동 정보 비교부(158)에 의해 취득된 파라미터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취득한다.
(단계 S45)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취득한 태스크 식별자나 그것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레코멘드 정보를 구성하여 취득한다.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157)는 취득한 레코멘드 정보를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115)에 축적한다. 그 후, 도 4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1)의 동작의 구체예에 관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600)의 화면 천이에 관해서 나타내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1)이 사용자가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활동 정보에 관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며 또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용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600)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단말 장치(600)와 정보 처리 장치(100) 사이에서 통신이 이루어짐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이하의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는 단말 처리부(640)의 제어에 기초하여 단말 출력부(660)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다. 사용자는,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시킴으로써 스코어 취득을 지시하면,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스코어에 관한 정보와 레코멘드 정보가 출력된다. 단말 장치(600)가 이들 출력 정보를 수신하면, 예컨대 결과 표시 화면이 단말 출력부(660)에 의해 표시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일 구체예에서의 대응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레코멘드 정보 저장부(117)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 정보는 예컨대 도 15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것이면 된다. 즉, 대응 정보에 있어서는 파라미터 식별자와 태스크 식별자가 대응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예컨대 태스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정보, 예컨대 태스크의 명칭이나 태스크의 설명 등이 파라미터 식별자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태스크의 명칭이나 태스크의 설명이 태스크 식별자로서 이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예컨대 태스크에 관련된 상품에 관한 상품 식별자가 파라미터 식별자에 대응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태스크에 관련된 상품에 관한 그 밖의 정보, 예컨대 상품의 명칭이나 상품의 화상이나 가격 등이 파라미터 식별자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태스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이들 여러 가지 정보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수행해야 할 태스크에 관한 정보를 보다 자세하게 인식시키거나, 관련된 상품의 구입 동기를 효과적으로 부여하거나 할 수 있다.
도 16은 동 단말 장치(600)에 표시되는 결과 표시 화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제1 도면이다. 도 17은 동 단말 장치(600)에 표시되는 결과 표시 화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제2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결과 표시 화면의 하나인 스코어 표시 화면(904)이 도시되어 있다. 스코어 표시 화면(904)에는, 예컨대 취득된 스코어(이 구체예에서 장 스코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를 나타내는 장 스코어 표시부(941)와, 각 요소 스코어에 관해서 레이더 차트로 나타내는 요소 스코어 표시부(942)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스코어 표시 화면(904)에 의해 장 스코어나 요소 스코어를 확인할 수 있다. 각 요소 스코어가 레이더 차트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장의 상태를 좋게 유지하는 것에 관해 대처가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요소를 직감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과거의 스코어도 포함하여, 추이를 확인하기 위한 이력 표시 버튼(943)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이력 표시 버튼(943)을 조작함으로써 장 스코어나 각 요소 스코어에 관한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스코어 표시 화면(904)에는 레코멘드 정보를 표시하게 하기 위한 태스크 제안 버튼(948)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태스크 제안 버튼(948)을 조작함으로써,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결과 표시 화면의 하나인 레코멘드 화면(905)을 표시하게 하여 레코멘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결과 표시 화면에 장 스코어와 레코멘드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레코멘드 화면(905)에는, 예컨대 레코멘드 정보에 포함되는 태스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표시하는 태스크 표시부(952)와, 표시되어 있는 태스크를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것으로서 설정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태스크 설정 버튼(953)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태스크 표시부(952)에 표시되어 있는 태스크를 확인함으로써, 그 태스크가 자신의 건강 상태의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태스크 설정 버튼(953)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어 있는 태스크를 자신이 수행해야 할 것으로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레코멘드 정보를 단말 장치(600)에 출력하여 레코멘드 화면(905)을 표시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건강 상태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동기를 용이하면서 또한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레코멘드 화면(905)에는 또한 관련 정보 표시부(954)가 포함되어 있다. 관련 정보 표시부(954)에는, 레코멘드 정보에 포함되는, 태스크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다. 예컨대 태스크 표시부(952)에 표시되어 있는 태스크의 설명이나 그 태스크에 관련된 상품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수행해야 할 태스크에 관한 정보를 보다 자세하게 인식하게 하거나, 관련된 상품의 구입 동기를 효과적으로 부여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태스크에 관련된 정보는, 예컨대 대응 정보에 기초한 정보이면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은 동 구체예의 변형예에 따른 레코멘드 화면(905B)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레코멘드 화면(905B)에는, 태스크 표시부(952)와 태스크 설정 버튼(953)에 더하여, 사용자가 주목했으면 하는 평가 요소 또는 파라미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주목 정보 표시부(956)가 포함되어 있다. 주목 정보 표시부(956)에는 예컨대 주목 요소 특정부(152)에 의해 특정된 평가 요소 또는 파라미터가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가 태스크 표시부(952)와 더불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건강 상태에 관한 과제를 인식한 다음에, 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태스크를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있어서 설득력을 높이는 제시 방법으로 태스크를 제시할 수 있어, 태스크를 실행하는 것을 보다 강하게 동기 부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태스크 표시부(952)에는, 사용자가 이전수행하고 있었던 태스크를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이 이전에 수행하고 있었음을 인식할 수 있는 표시 방법으로 상기 태스크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태스크를 수행하는 것의 장벽을 덜 느끼게 할 수 있어, 태스크 수행에 관해서 용이하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와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은 정보 처리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100)는, 학습 정보 취득부에 의해,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취득하고, 제1 활동 정보 취득부에 의해, 2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에 관한 값이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값을 포함하는 제1 활동 정보를 취득하고,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고, 제2 활동 정보 취득부에 의해,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제1 활동 정보와는 다른 값을 포함하는 제2 활동 정보이며, 이 제2 활동 정보에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하고,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에 의해,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한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하고, 출력부에 의해,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에 변동을 주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출력된 정보를 인식한 다음의 활동을 할 것을 재촉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해서 스코어화하고, 스코어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컨대 단순히 과거의 태스크 수행 결과와 스코어의 대응 관계를 기록한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의 스코어가 좋았을 때에 실행했던 태스크를 레코멘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에서 정확도가 높은 정보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새롭게 취득된 신 스코어에 관해서, 어떠한 활동 상태이면 어떻게 변화된 스코어로 될 것인지(예컨대 보다 좋은 스코어가 될 것인지)를, 학습 정보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면서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코어는 장의 상태에 관계된다고 생각되는 요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된다. 따라서, 보다 정밀도 높은 스코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코어를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경우에도, 보다 정밀도 높은 스코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코어는 복수의 요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된다. 따라서, 더욱 정밀도가 높은 스코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요소 스코어가 취득되고, 이들을 이용하여 스코어가 취득된다. 또한, 복수의 요소 스코어는 레이더 차트 등의 그래프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감적으로 건강 상태에 관한 각 요소에 관한 평가 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각각 하나의 서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상호 연계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서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밖의 기기에 내장된 전자계산기 등이라도 좋다. 또한, 서버는, 소위 클라우드 서버라도, ASP 서버 등이라도 좋으며, 그 종류는 불문인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의 처리는 소프트웨어로 실현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 소프트웨어를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등에 의해 배포하여도 좋다. 또한, 이 소프트웨어를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유포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100)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는 이하와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 이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100)의 컴퓨터를,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학습 정보 취득부와, 2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에 관한 값이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값을 포함하는 제1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활동 정보 취득부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스코어 취득부와,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제1 활동 정보와는 다른 값을 포함하는 제2 활동 정보이며, 이 제2 활동 정보에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하는 제2 활동 정보 취득부와,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한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하는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와,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단말 장치가, 상술한 정보 처리 장치가 갖는 장 스코어의 취득 및 출력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복부음 사용 처리에서는, 장음 빈도의 추출과 장 상태의 추정을, 서로 다른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각 요소 스코어를 취득함에 있어서는, 요소 스코어에의 평가점의 가산뿐만 아니라, 감산 등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요소 스코어를 기초점에서 가감 등을 행함으로써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기초점으로서는, 미리 정해진 점수로 하는 것 외에, 과거의 이력 등에 기초하여 설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회에 취득한 요소 스코어를 이번의 기초점으로서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미리 정해진 기간 안의 과거의 요소 스코어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값(예컨대 평균치 등)을 기초점으로서 설정하여도 좋다. 이러한 수법을 이용함으로써, 각 요소 스코어에 관해서, 기준에 대한 판정 결과와 그것이 요소 스코어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현할 수 있는 몇 개의 활동 상태 중,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현재보다도 좋아지는 것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을 특정할 수 있으면 유용하다. 즉, 사용자는 특정된 활동 상태를 의식한 활동을 함으로써 건강 상태를 좋게 만들 수 있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한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해서, 어떠한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는 어려웠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건강에 관한 스코어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 정보 처리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양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 1은 이하의 양태의 구체예라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학습 정보 취득부와, 2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에 관한 값이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값을 포함하는 제1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활동 정보 취득부와,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스코어 취득부와,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제1 활동 정보와는 다른 값을 포함하는 제2 활동 정보이며, 제2 활동 정보에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하는 제2 활동 정보 취득부와, 제1 활동 정보와 제2 활동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한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하는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와,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건강에 관한 스코어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양태에 대하여, 스코어 취득부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건강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건강 상태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한 스코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3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2 양태에 대하여, 스코어 취득부는, 취득한 건강 상태 정보와 제1 활동 정보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제1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건강 상태 정보와 제1 활동 정보를 반영한 스코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4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부터 제3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대하여, 제2 활동 정보 취득부는,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보다 높아지는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건강에 관한 스코어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5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4 양태에 대하여, 제2 활동 정보 취득부는 서로 다른 2 이상의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고,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는, 제1 활동 정보와 2 이상의 제2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에 관한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2 이상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이 높은 순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6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부터 제5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대하여, 학습 정보 취득부는,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스코어를 갖는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용으로 구성된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건강에 관한 스코어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마다 높은 정밀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7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부터 제6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대하여, 스코어 취득부는 사용자의 복부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에 기초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복부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에 기초한 스코어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8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7 양태에 대하여, 사용자의 복부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취득하는 소리 정보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스코어 취득부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장의 활동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출력 지표에 관한 출력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소리 정보용 학습 정보를 취득하며, 또한 소리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에 소리 정보용 학습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취득한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스코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장의 활동 상태를 반영하는 스코어에 대하여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9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8 양태에 대하여, 사용자의 복부음을 녹음하는 마이크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소리 정보 취득부는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복부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취득하고, 출력부는 표시부에 레코멘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마이크로 녹음한 복부음에 기초하여 표시된 레코멘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0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부터 제9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대하여, 스코어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평가 요소 각각에 관한 요소 스코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스코어 취득부는, 요소 스코어를 취득함으로써 스코어를 취득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2 이상의 요소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배설에 관한 배설 스코어,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에 관한 식사 스코어, 사용자가 섭취한 음료에 관한 음료 스코어, 사용자의 활동 상황에 관한 활동 상황 스코어 및 사용자의 장의 활동 상태에 관한 장 관계 스코어의 어느 하나인,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평가 요소 각각에 관한 요소 스코어에 의해 구성되는 스코어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1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0 양태에 대하여, 한 사용자에 관해서 취득된 과거의 스코어와 새로운 스코어의 비교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2 이상의 평가 요소 중 주목하는 1 이상의 평가 요소를 특정하는 주목 요소 특정부를 더 구비하고, 제2 활동 정보 취득부는, 제2 활동 정보에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를 구성하는 주목 요소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평가 요소에 관한 주목 요소 스코어가,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를 구성하는 주목 요소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과거의 스코어와 새로운 스코어의 비교에 있어서 주목한 평가 요소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2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부터 제11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대하여,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는, 음료를 섭취하는 것에 관한 음료 섭취, 식사를 섭취하는 것에 관한 식사 섭취, 식음 이외의 활동에 관한 생활 습관 및 운동에 관한 운동 정보의 어느 하나인,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식사 섭취, 음료 섭취, 생활 습관 및 운동 정보의 어느 하나에 관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한 사용자의 생체음에 관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준비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1 이상의 태스크를 선택하고, 선택한 태스크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체음으로서 복부음이 이용된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정보 처리 장치(2100)를 갖는 정보 처리 시스템(2001)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 2에서 이용하는 용어는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또한, 이들 용어의 뜻은 항상 여기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예컨대 실시형태 2에서 개별로 설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설명도 근거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생체음이란, 사용자의 생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생체음으로서는, 예컨대 복부음, 심장음, 호흡음, 경부음(頸部音), 각부음(脚部音), 관절음, 이명음, 연하음(嚥下音) 등을 들 수 있다. 복부음이란, 사용자의 복부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복부음에는 예컨대 장으로부터 발생한 장음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부음에는, 복부의 혈류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예컨대 복부대동맥음)나, 위 등의 기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가 포함될 수 있다. 심장음이란, 심장이 박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호흡음이란, 호흡할 때에 폐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경부음이란, 경부로부터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각부음이란, 다리의 혈류가 흐를 때에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관절음이란, 관절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이명음이란, 귀의 혈류가 흐를 때에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연하음은, 음식물이 인두부에서 식도에 걸쳐 흘러 들어갈 때에 발생하는 연하음이나 경부대동맥으로부터 발생하는 소리 등을 말한다.
소리 정보란, 생체음에 기초하여 얻어진 정보를 말한다. 소리 정보란, 녹음된 생체음 데이터 그 자체라도 좋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편집하거나 하여 얻어진 데이터 등이라도 좋다.
생활 정보란, 한 사용자의 생활 상황에 관한 정보이다. 생활 상황에는, 사용자의 행동, 상태 등에 관한 여러 가지 요소의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생활 정보는 예컨대 배설 관계 정보, 식음 정보, 활동 상황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생활 상황에는 예컨대 사용자의 배설 상황, 사용자의 식음 상황, 사용자의 활동 상황 등이 포함된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생활 정보에는 다른 요소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이들 요소의 일부에 관한 정보만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생활 정보의 각 요소에 관한 정보(배설 관계 정보, 식음 정보, 활동 상황 정보 등) 각각은 세세한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설 관계 정보란, 사용자의 배설 상황에 관한 정보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배설 관계 정보로서는 예컨대 배설물을 배설한 시간이나 양, 냄새, 형태(형상, 색 등) 등, 여러 가지 관점의 파라미터의 값이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설 관계 정보로서 공지된 브리스톨 스툴 폼 스케일(이하, 브리스톨 스케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에 의해 표시되는 값이 포함된다. 브리스톨 스케일은, 생리적인 소화관 통과 시간을 시사하는 것으로, 장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브리스톨 스케일에 의해 표시되는 값에 대응하는 라벨(예컨대 「바나나 모양」, 「땡땡」, 「질척질척」 등)이 배설 관계 정보로서 이용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배설 관계 정보로서는, 사용자 등의 평가자가 배설물에 관해서 평가를 한 결과의 정보(평가자의 주관이 동반되는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고, 평가기기 등에 의해 측정이나 평가가 이루어진 결과의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다.
식음 정보란, 사용자의 식음 상황에 관한 정보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식음 정보로서는 예컨대 물, 음주량, 식사 내용 등, 여러 가지 관점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식음 정보를, 식사나 식생활에 관한 식사 정보와 음료의 섭취에 관한 음료 정보로 개념적으로 나눠 표현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음 정보에는, 음수량에 관한 정보, 음주 유무 혹은 음주량에 관한 정보, 식사 유무 혹은 식사 내용에 관한 정보 및 섭취한 특정군 식품의 유무 혹은 섭취량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특정군의 식품이란, 예컨대 육류, 유제품, 야채 등으로 분류되는 군 중 특정한 군에 속하는 식품을 말하지만, 이러한 「군」 분류의 관점이나 세분화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식사 정보나 음료 정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는 소위 서플먼트(건강식품)에 관한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식음 정보로서는, 사용자 등의 평가자가 식음 상황에 관해서 평가를 하여 입력한 정보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평가기기 등에 의해 측정이나 평가가 이루어진 결과의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컨대 섭취한 식품이나 음료의 종류나 양에 따라서 소화기 운동에 다른 영향이 미칠 수 있다.
활동 상황 정보란, 사용자의 활동 상황에 관한 정보이다. 여기서 말하는 활동 상황이란, 식음 상황을 제외한, 생활 습관(사용자가 매일의 생활에서 반복하여 행하고 있는 행위나 동작을 말한다)에 관한 상황을 말한다. 즉, 활동 상황 정보란, 식음 정보를 제외하고, 생활 습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동 상황 정보는 수면에 관한 수면 정보(수면 시간이나 수면의 질 등) 및 운동에 관한 운동 정보(걸음수, 소비한 열량, 습관으로 하고 있는 운동의 유무, 운동 강도나 운동의 빈도,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흡연 유무나 흡연 이력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활동 상황 정보로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몸에 지니거나 하는 기기(예컨대 웨어러블 단말, 기타 휴대 단말 등)에 설치되어 있는 활동량계에 의해 취득된 정보라도 좋고, 사용자 등의 평가자가 평가를 하여 입력한 정보라도 좋다.
기초 정보란, 사용자의 형태나 특성에 관한 정보이다. 예컨대 기초 정보에는, 사용자의 신장, 체중, 연령, 성별, 체지방률, 근육량, 맥박수, 호흡수, 혈압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초 정보에는, 사용자의 앙케이트 회답이나 그 회답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 사용자의 기왕력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장 장해를 가진 사람의 진단에 이용되는 앙케이트 항목의 회답 내용은 사용자의 체질을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기초 정보는, 예컨대 미리 사용자에 의해 입력 등이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사용자가 몸에 지니는 웨어러블 단말 등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나, 사용자 정보가 기록된 외부의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취득되는 정보라도 좋다.
태스크란, 사용자가 임해야 하는 행동 또는 동작이나, 그것에 임한 결과로서 달성되었어야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태스크는 예컨대 식사에 관하는 것, 활동 상황에 관하는 것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태스크에는, 사용자가 행해야 하는 미리 정해진 양(시간, 횟수, 빈도, 부하의 크기 등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에 관한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태스크에 관해서, 상기 태스크를 행해야 하는 것으로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나, 상기 태스크를 실행했는지 여부나, 태스크의 수행에 관한 진척 상황이나 달성한 정도 등을 나타내는 정보(태스크의 값이라고 한다)를 취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태스크의 값은, 그 태스크가 관련된, 별도의 값에 관련한 것으로서 취급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예컨대 한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거리를 조깅한다고 하는 태스크를 수행했음을, 그 사용자가 운동을 함으로써 소비한 열량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취급하거나, 한 사용자가 우유를 섭취했다고 하는 태스크를 수행했음을,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이나 영양소의 양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취급하거나 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은 정보 처리 장치(2100)와 단말 장치(2600)를 구비하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2100)와 단말 장치(2600)는 예컨대 LAN(local area network)이나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처리 시스템(2001)에 포함되는 각각의 장치의 수는 불문이며, 다른 장치가 정보 처리 시스템(2001)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의 사용자는, 단말 장치(2600)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서는, 예컨대 소위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이며 각각 내장 마이크(681)를 갖는 것이 단말 장치(2600)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단말 장치(2600)로서 이용되는 것은 이러한 휴대 정보 단말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노트북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PC)인 단말 장치(2600b)가 이용되어도 좋고, 태블릿형 정보 단말 장치 등, 이들 이외의 장치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마이크로서 외부 부착 마이크(681b)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하의 예에서는, 단말 장치(2600)로서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정보 단말 장치가 이용되는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0은 동 정보 처리 장치(2100)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동 단말 장치(2600)의 블록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2100)는 저장부(2110), 수신부(2120), 접수부(2130), 처리부(2140) 및 송신부(2170)를 구비한다. 정보 처리 장치(2100)는 예컨대 서버 장치이다.
저장부(2110)는 학습 정보 저장부(2111)와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와 태스크 저장부(2118)를 구비한다.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는 미리 취득된 학습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학습 정보는, 예컨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소위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학습 정보 생성부(2147)에 의해 생성되어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 기억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정보 처리 장치(2100)와는 다른 장치에서 생성된 학습 정보가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학습 정보는,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분류기와 같은, 입력용 정보 등에 기초한 입력 벡터와 출력하는 정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라도 좋고, 입력용 정보 등에 기초한 입력 벡터와 출력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 등이라도 좋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학습 정보는 복수 준비되어 있다. 각 학습 정보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 저장되어 있다. 기기 식별 정보는, 학습 정보의 생성 시에 이용된 학습 입력 정보에 포함되는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이며, 이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복부음의 취득, 즉, 녹음 등에 이용한 기기의 종류 등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기기 식별 정보는 복부음의 녹음 등을 행한 방법을 식별하는 정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기란, 예컨대 복부음의 녹음에 이용된 마이크를 의미하여도 좋고, 상기 마이크가 포함되는 장치 셋트를 의미하여도 좋다. 기기 식별 정보의 구체예로서는, 복부음의 녹음에 이용된 기기의 모델을 식별하는 부호이거나, 녹음에 이용된 기기의 타입(스마트폰의 내장 마이크가 이용되었는지, 외부 부착 마이크가 이용되었는지 등)을 식별하는 부호이거나 하면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녹음 방법, 녹음된 복부음의 가공 방법(예컨대 적용된 필터의 유무, 종류, 음질 조정 등) 등, 학습 입력 정보의 유래를 어느 정도의 세분화로 식별할 수 있는 부호가 기기 식별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는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자인 사용자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정보이다. 사용자 정보에는 여러 가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26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나, 사용자에 관해서 후술하는 것과 같이 하여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의해 취득되는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26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는, 예컨대 사용자의 기초 정보 등 외에, 후술하는 것과 같은 소리 정보나 기기 식별 정보나 생활 정보 등이 해당된다. 또한, 사용자에 관해서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는, 예컨대 후술하는 것 같은, 과제 식별자나, 태스크나, 그 밖에 장음 빈도에 관한 정보, 장 상태의 추정 결과, 각 요소 스코어, 장 스코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는 그 밖의 외부 장치 등으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태스크 저장부(2118)에는, 하나의 과제 식별자와 하나 이상의 태스크가 대응된 조가 2 이상 포함되는, 태스크 대응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과제 식별자란, 예컨대 사용자가 안고 있는 과제를 식별하는 것이다. 과제란, 특히 건강면에 관한 과제이며, 예컨대 설사 기운이 있다던가 변비 기운이 있다고 하는 것과 같은, 소화기관의 활동이나 상태에 관한 것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장 상태에 관한 과제인, 설사인 것, 변비인 것, 낮은 요동 운동인 것 등이 과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낮은 요동 운동이란, 예컨대 요동 운동의 빈도가 작은 상태이거나, 요동 운동이 활발한 시간이 비교적 짧거나 하는 것을 말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심신의 건강 상태에 관한 과제가 해당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섭취하는 식사 등의 내용에 관한 것이나, 운동량에 관한 것 등,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활동 상태와의 차이가 과제로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2 이상의 과제가 사용자에 관해서 해당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서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이 태스크 대응 정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태스크에 대응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하나의 과제 식별자와 하나 이상의 태스크가 대응된 조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예컨대 설사 기운이 있다고 하는 과제에 대하여, 매운 것이나 술을 삼간다고 하는 것과 같은 태스크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변비 기운이 있다고 하는 과제에 대하여, 식물섬유를 섭취하는 태스크나 미리 정해진 음료를 섭취하는 태스크 등이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낮은 요동 운동이라는 과제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음료를 섭취하는 태스크나 맛사지를 하는(미리 정해진 부위나 전신 등에 대한 맛사지 시술을 받는다) 태스크 등이 대응될 수 있다.
수신부(2120)는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부(2120)는 수신한 정보를 예컨대 저장부(2110)에 보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예컨대 단말 장치(2600)를 이용하여 정보의 입력 등을 행하여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송신한다. 수신부(2120)는 송신된 각 정보를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부(2110)에 보존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단말 장치(2600)로부터 송신된,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저장부(2110)에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120)는, 단말 장치(2600)로부터 이들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와 관련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특정할 수 있다.
접수부(2130)는,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는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입력된 정보를 접수한다. 접수부(2130)는 접수한 정보를 예컨대 저장부(2110)에 보존한다. 또한, 입력 수단은 텐키나 키보드나 마우스나 메뉴 화면에 의한 것 등, 어느 것이나 좋다. 접수부(2130)는,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접속된 판독 장치(예컨대 코드 리더 등)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입력 조작(예컨대 장치에 의해 읽어 들인 정보도 포함한다)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접수하여도 좋다.
또한, 접수부(2130)는, 수신부(2120)가 수신한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입력된 정보로서 접수한다고 파악하여도 좋다. 즉, 정보 처리 장치(2100)에의 정보 입력이란, 이들 정보가 단말 장치(2600) 등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하여도 좋고,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입력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하여도 좋다. 또한, 사용자가, 정보를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다양한 정보를 프로그램에 부여하여 기능시키거나 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정보가 주어지도록 하는 것을, 정보 처리 장치(2100)에의 정보 입력이라고 파악하여도 좋다.
처리부(2140)는 소리 정보 취득부(2141),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2143), 생활 정보 취득부(2145), 학습 정보 생성부(2147), 태스크 취득부(2162) 및 태스크 출력부(2168)를 구비한다. 처리부(2140)는 각종 처리를 행한다. 각종 처리란, 예컨대 이하와 같이 처리부(2140)의 각 부가 행하는 처리이다.
소리 정보 취득부(2141)는 한 사용자의 소리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리 정보 취득부(2141)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2600)로부터 송신되어 수신부(2120)에 의해 수신된 소리 정보를 취득한다.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2143)는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기기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기 식별 정보는, 소리 정보에 대응시켜 사용자의 단말 장치(2600)로부터 송신된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리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2600)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저장부(2110)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 식별 정보를,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2143)가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생활 정보 취득부(2145)는 생활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생활 정보는, 배설 관계 정보, 식음 정보 및 활동 상황 정보(즉, 운동 정보나 수면 정보)를 포함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활 정보 취득부(2145)는 예컨대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 밖에 생활 정보 취득부(2145)는 사용자의 기초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학습 정보 생성부(2147)는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생성한다. 기계 학습 수법을 예컨대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 즉,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분류기를,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예컨대 미리 학습 입력 정보와 학습용 출력 정보의 조(교사 데이터)를 2 이상 준비하고, 이 2조 이상의 정보를 기계 학습의 분류기를 구성하기 위한 모듈에 부여하여 분류기를 구성하고, 구성한 분류기를 학습 정보로서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 축적한다. 또한, 분류기는 학습기라고 말할 수도 있다. 또한, 기계 학습 수법으로서는, 예컨대 컨볼루션 신경망(CNN) 등의 심층학습, 랜덤 포레스트, SVR 등, 불문이다. 또한, 기계 학습에는, 예컨대 fastText, tinySVM, random forest, TensorFlow 등의 각종 기계 학습 프레임워크에 있어서의 함수나, 다양한 기존의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다. 학습 입력 정보와 학습용 출력 정보의 조합은 미리 준비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새롭게 정보 처리 장치에서 취득된 소리 정보나 출력 정보의 조합을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학습 정보를 재생성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학습 정보 생성부(2147)는, 예컨대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학습 입력 정보와 장 상태에 관한 과제를 식별하는 과제 식별자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구성한다. 즉,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는, 학습 정보로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학습 입력 정보와 장 상태에 관한 과제를 식별하는 과제 식별자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정보가 저장된다.
태스크 취득부(2162)는, 소리 정보 취득부(2141)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준비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태스크 취득부(2162)는, 소리 정보 취득부(2141)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학습 정보에 적용함으로써 과제 식별자를 취득한다. 그리고,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한 과제 식별자를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한다. 과제 식별자를 이용한 태스크는, 예컨대 태스크 저장부(2118)에 저장되어 있는 태스크 대응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즉, 태스크 취득부(2162)는, 예컨대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태스크 대응 정보에서 검색한다(취득 후보로서 선택한다). 그리고, 검색된 1 이상의 태스크(선택 후보로서 선택된 태스크)를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태스크로서 취득한다. 바꿔 말하면,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한 과제 식별자를 이용하여 태스크 저장부(2118)에 저장되어 있는 태스크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태스크 취득부(2162)는,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2143)에 의해 취득된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저장부(2111)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복부음의 녹음에 이용된 단말 장치(2600)의 특성 등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입력 정보를 학습 정보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알맞은 출력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학습 정보 생성부(2147)에서 학습 입력 정보로서 이용되는 소리 정보나 태스크 취득부(2162)에서 입력되는 소리 정보는, 복부음을 녹음하여 얻어진 음성 데이터(가공된 것이라도 좋다)를 푸리에 변환이나 고속 푸리에 변환에 의해 해석한 결과를 미리 정해진 양태로 나타낸 스펙트로그램이다. 또한, 소리 정보는, 음성 데이터(가공된 것이라도 좋다) 그 자체라도 좋고, 그 밖의 형식으로 데이터 변환을 한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학습 정보 생성부(2147)에서 학습 입력 정보로서 이용되는 소리 정보나 태스크 취득부(2162)에서 입력되는 소리 정보는 처리부(2140)에 있어서 준비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복부음의 녹음 등이 이루어진 기기 등, 정보 처리 장치(2100) 이외의 기기에 있어서, 스펙트로그램인 소리 정보가 미리 준비되어, 그 소리 정보가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송신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학습 정보 생성부(2147)나 태스크 취득부(2162)는, 학습 정보의 생성이나 이용에 동반하여, 기초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입력 정보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생성되는 학습 정보는, 사용자 정보에 의해 사용자를 분류할 수 있는 몇 개의 타입별로, 그 타입을 식별하는 식별자에 대응시켜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 기억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태스크 취득부(2162)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타입의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저장부(2111)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에 따라, 보다 높은 정밀도의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생활 정보가 입력 정보에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 후보로서 선택한 태스크 중, 미리 정해진 취득 조건을 만족하는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취득 조건은 여러 가지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태스크 취득부(2162)는, 사용자에 관해서 현재 또는 과거에 적용된 태스크를 식별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취득하고, 취득한 태스크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스크 취득부(2162)는 사용자에 관해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와는 다른 태스크를 취득한다. 이 경우, 취득 조건은, 사용자에 관해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와는 다른 태스크인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태스크 취득부(2162)는,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 중,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와는 다른 태스크를 우선적으로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태스크 취득부(2162)는,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 전부가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인 경우에는 이들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와는 다른 태스크가 취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있어서 신선미가 있는 태스크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스크 취득부(2162)는, 현재뿐만 아니라 과거의 미리 정해진 기간에 적용되었던 태스크에도 해당하지 않는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것과는 달리, 태스크 취득부(2162)는,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 중, 현재 또는 과거에 적용되었던 적이 있는 태스크를 우선적으로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취득조건은, 현재 또는 과거에 적용되었던 적이 있는 태스크와 동일한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있어서 친숙하고 임하기 쉬운 태스크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과거에 적용되었던 태스크의 태스크 식별자에 기초하여 이번 태스크를 취득하는 경우에, 과거에 적용되었던 태스크 중, 사용자가 완료시킨 태스크(달성한 태스크, 행한 태스크 등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에 기초하여 이번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현재 또는 과거에 적용되었던 태스크의 태스크 식별자와 상기 태스크의 수행 정보에 기초하여 이번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한 태스크를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한다. 또한,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한 태스크를, 사용자에 대하여 출력해야 하는 태스크로서 축적하도록 하여도 좋고, 사용자가 임해야 하는 태스크로서 사용자에 대하여 적용한 상태에서 축적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태스크 취득부(2162)는, 이러한 태스크의 취득에 관해서 이용하는 미리 정해진 방법을, 사용자의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적시에 변경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태스크 취득부(2162)는,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 신장, 체중, 기왕력이나 미리 정해진 앙케이트 결과 등에 따라서, 다른 방법에 의해 소리 정보를 이용한 과제 식별자의 취득이나,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 중 취득하는 태스크의 선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태스크 취득부(2162)는 사용자의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태스크 출력부(2168)는 태스크 취득부(2162)에 의해 취득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태스크 정보의 출력이란, 송신부(2170)에 의해 사용자의 단말 장치(2600)에 대하여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거나, 사용자가 단말 장치(2600)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정보 처리 장치(2100)의 저장부(2110) 또는 다른 장치에 정보를 기억시키는 것(전자메일 등의 메시지 송신도 포함된다)이거나, 어느 것이라도 좋다. 태스크 출력부(2168)가 출력하는 태스크의 정보는, 예컨대 태스크를 식별하는 태스크 식별자와, 그것에 대응하는 그 밖의 정보(예컨대 태스크 대응 정보에 있어서 태스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태스크 식별자만이라도 좋다. 이 경우, 태스크 식별자를 수신한 단말 장치(2600) 등에 있어서, 태스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그 밖의 정보가 취득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태스크 취득부(2162)는, 2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 후보로서 특정한 경우에는, 상기 2 이상의 태스크 중 랜덤하게 특정한 하나의 태스크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은, 태스크 출력부(2168)가, 태스크 취득부(2162)에 의해 2 이상의 태스크가 취득된 경우에, 랜덤하게 특정한 하나의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한다고 표현하여도 좋다. 또한, 태스크 출력부(2168)는, 태스크 취득부(2162)에 의해 3 이상의 태스크가 취득된 경우에, 랜덤하게 특정한 2 이상의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태스크 출력부(2168)는, 태스크 취득부(2162)에 의해 2 이상의 태스크가 취득된 경우에, 상기한 것 이외의 방법으로, 취득된 태스크의 수보다도 적은 수의 태스크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송신부(2170)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을 구성하는 다른 장치에 송신한다. 송신부(2170)는 예컨대 단말 장치(2600)에 대하여 정보를 송신한다. 바꿔 말하면, 송신부(2170)는 예컨대 단말 장치(2600)에 대하여 정보를 출력한다.
이어서, 단말 장치(260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단말 장치(2600)는 상술한 실시형태 1에 따른 단말 장치(600)와 대략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즉, 도 2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말 장치(2600)는 단말 저장부(610), 단말 수신부(620), 단말 접수부(630), 단말 처리부(640), 단말 출력부(660), 단말 송신부(670) 및 센서부(680)를 구비한다. 단말 출력부(660)는 표시부(661)를 구비한다. 센서부(680)는 마이크(681) 및 가속도 센서(683)를 구비한다.
단말 장치(2600)에 있어서, 단말 저장부(610)가 활동 정보 저장부(615) 대신에 생활 정보 저장부(2615)를 갖고 있는 점이 단말 장치(600)와 상이하다.
생활 정보 저장부(2615)에는 생활 정보가 축적된다. 생활 정보는, 단말 송신부(670)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송신되지만, 송신이 완료된 경우에는 생활 정보 저장부(2615)로부터 삭제되도록 하여도 좋고, 그대로 미리 정해진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유지되도록 하여도 좋고, 사용자에 의한 삭제 조작이 있을 때까지 영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생활 정보 저장부(2615)에 축적되는 생활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그것에 기초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들 정보는 예컨대 단말 접수부(630)에 의해 접수된 정보라도 좋고, 단말 접수부(630)에 의해 접수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 등을 행함으로써 단말 처리부(640)가 취득한 정보라도 좋다.
또한, 생활 정보 저장부(2615)에 축적되는 생활 정보는 계측치 또는 그것에 기초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들 정보는, 예컨대 센서부(680)에 의해 계측된 정보라도 좋고, 센서부(680)에 의해 계측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 등을 행함으로써 단말 처리부(640)가 취득한 정보라도 좋다. 또한, 단말 장치(2600)에 대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센서 장치에 의해서 측정 등이 이루어져, 단말 장치(2600)에 송신된 정보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저장부(2110)는 불휘발성의 기록 매체가 적합하지만, 휘발성 기록 매체라도 실현 가능하다. 이들에는 각각의 장치에 있어서 취득된 정보 등이 각각 저장되지만, 정보 등이 기억되는 과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기록 매체를 통해 정보 등이 기억되게 되어도 좋고, 통신 회선 등을 통해 송신된 정보 등이 기억되게 되어도 좋고, 혹은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정보 등이 기억되게 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처리부(2140)는 통상 MPU나 메모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처리부(2140)의 처리 수순은 통상 소프트웨어로 실현되고, 이 소프트웨어는 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다. 단, 하드웨어(전용 회로)로 실현하여도 좋다.
또한, 접수부(2130)에 의해 접수 가능한 정보의 입력에 이용될 수 있는 입력수단은, 텐키나 키보드나 마우스나 메뉴 화면에 의한 것 등, 어느 것이나 좋다. 접수부(2130)는, 텐키나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나 메뉴 화면의 제어 소프트웨어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120)는 통상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으로 실현되지만, 방송을 수신하는 수단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한, 송신부(2170)는 통상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 수단으로 실현되지만, 방송 수단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을 사용자가 이용할 때에 실시되는 정보 처리 장치(2100)의 동작의 일례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예컨대 단말 장치(2600)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액세스하거나 정보 처리 장치(21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하거나 하면서 단말 장치(2600)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킴으로써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이란,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210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라도 좋고,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있어서 제공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 가능하게 표시하거나 하는 웹 브라우저 등이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은 전형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이용된다. 즉, 사용자는 단말 장치(2600)를 이용하여 자신의 복부음을 녹음한다. 그러면, 소리 정보가 단말 장치(2600)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송신되어,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있어서 태스크가 취득된다. 정보 처리 장치(2100)는 취득한 태스크를 단말 장치(2600)에 송신(출력)한다. 단말 장치(2600)는, 태스크를 수신하여, 단말 출력부(660)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태스크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정보 처리 시스템(2001)에 의해 자신이 수행해야 되는 것으로서 권장된 태스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복부음에 따라서 적절한 태스크가 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건강과 관련된 태스크를 알게 되거나 그 태스크에 임하거나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2100)는 예컨대 이하와 같이 하여 다양한 동작을 실행한다. 이들 동작은 처리부(2140)가 각 부를 이용하면서 제어 동작 등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2는 동 정보 처리 장치(2100)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201) 처리부(2140)는 수신부(2120)에 의해 단말 장치(2600) 등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했다고 판단한 경우는 단계 S20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2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2) 처리부(2140)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수신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한다. 예컨대 생활 정보, 소리 정보 또는 기기 식별 정보 등이 단말 장치(2600)로부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송신되면, 처리부(2140)는 수신한 정보를 그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한다.
(단계 S203) 처리부(2140)는, 태스크를 취득하는 것에 관한 트리거가 발생했는지(트리거가 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꿔 말하면, 처리부(2140)는 태스크의 취득을 시작하는 조건을 만족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트리거가 발생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20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01로 되돌아간다.
또한, 예컨대 단말 장치(26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태스크를 취득하는 것에 관한 지시가 이루어진 것(지시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정보가 송신된 것) 등을 상기한 트리거로 할 수 있지만, 트리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시각으로 된 것이나, 소리 정보나 그 밖의 생활 정보를 새롭게 수신한 것 등, 여러 가지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트리거로 할 수 있다.
(단계 S204) 처리부(2140)는 태스크 취득부(2162)에 의해 태스크 취득 처리를 행한다. 태스크 취득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태스크 취득 처리에 의해 사용자의 태스크의 정보가 취득되어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된다.
(단계 S205) 처리부(2140)는, 태스크 출력부(2168)에 의해, 취득한 태스크의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정보를 구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스크의 정보를 단말 장치(2600)에서 표시하게 하기 위한 정보가 구축된다.
(단계 S206) 처리부(2140)는, 태스크 출력부(2168)에 의해, 대상이 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구축한 정보를 출력한다. 즉, 처리부(2140)는, 송신부(2170)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2600)에 대하여, 태스크에 관해서 구축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정보를 수신한 단말 장치(2600)에 있어서 태스크에 관한 표시를 할 수 있다.
도 23은 동 정보 처리 장치(2100)의 태스크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211) 태스크 취득부(2162)는 복부음을 녹음하여 얻어진 음성 데이터인 소리 정보로부터 스펙트로그램을 생성한다.
(단계 S212) 태스크 취득부(2162)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로부터,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생성한 스펙트로그램과, 상기 사용자에 관한 생활 정보 및 과거의 사용자 정보 등을 취득한다. 기초 정보를 취득하여도 좋다.
(단계 S213) 태스크 취득부(2162)는,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 중,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사용하는 학습 정보로서 선택한다.
(단계 S214) 태스크 취득부(2162)는 입력 정보를 선택한 학습 정보에 대하여 적용하여 출력 정보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과제 식별자가 취득된다.
(단계 S215)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된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취득한다(대응 태스크 취득 처리). 대응 태스크 취득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216)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된 태스크를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한다. 그 후, 도 2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말 장치(2600)로부터 송신된 소리 정보가 스펙트로그램인 경우 등,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저장된 소리 정보가 스펙트로그램인 경우에는, 단계 S221의 처리는 실행되지 않게 하면 된다. 또한, 스펙트로그램을 입력 화상으로 하지 않고,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그대로 소리 정보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24는 동 정보 처리 장치(2100)에서 이용되는 태스크 대응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태스크 대응 정보에는, 예컨대 과제 식별자와 태스크를 식별하는 태스크 식별자가 대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스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명칭, 태스크에 관한 설명문, 태스크에 대응하는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자 등이, 또한 태스크 대응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태스크 대응 정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속성의 속성치가 더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상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속성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 24에서는 일례로서 다양한 속성치가 예시되어 있다. 과제 식별자로서는, 낮은 요동 운동인 상태를 나타내는 「요동 운동」이나, 「설사 기운」, 「변비 기운」과 같은, 과제를 식별하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다. 태스크 식별자로서는, 태스크 명칭이나 태스크 설명의 각 속성치로 표시되는 태스크를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다. 상품 식별자로서는, 예컨대 태스크의 수행에 관련된 특정 상품이 있는 경우에, 그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 식별자나 그 밖의 속성치는,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자원을 나타내는 정보나, 다른 테이블 등에서 이용되는 키의 값 등이라도 좋다.
도 25는 동 정보 처리 장치(2100)의 대응 태스크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 후보가 되는 태스크가 하나인 경우에는 그 태스크를 취득한다. 다른 한편,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 후보가 되는 태스크가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지금까지(현재 또는 과거에) 적용된 태스크와는 다른 하나의 태스크를 취득한다. 그와 같은 태스크가 취득 후보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 후보로부터 랜덤하게 선택한 하나의 태스크를 취득한다.
(단계 S251) 태스크 취득부(2162)는, 태스크 대응 정보를 취득한 과제 식별자를 이용하여 검색하여,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특정한다. 또한, 태스크 취득부(2162)는 특정한 태스크의 수가 2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2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25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52로 진행한다.
(단계 S252) 태스크 취득부(2162)는 하나만 특정된 태스크를 취득하고, 도 2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단계 S253) 태스크 취득부(2162)는 카운터 i에 제로를 셋트한다. 카운터 i를 리셋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단계 S254) 태스크 취득부(2162)는 카운터 i를 1만큼 인크리멘트한다. 카운터 i의 값에 1을 더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단계 S255) 태스크 취득부(2162)는 특정한 태스크 중 i번째 태스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태스크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 S25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258로 진행한다.
(단계 S256) 태스크 취득부(2162)는 i번째의 태스크가 미리 정해진 취득 조건을 만족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취득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25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단계 S254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취득 조건은 예컨대 사용자에 관해서 현재 또는 과거에 적용된 태스크와는 다른 태스크인 것이다.
(단계 S257) 태스크 취득부(2162)는 i번째 태스크를 선택한다. 그 후, 단계 S259로 진행한다.
(단계 S258)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 후보의 태스크로부터 랜덤하게 하나의 태스크를 선택한다. 그 후, 단계 S259로 진행한다.
(단계 S259) 태스크 취득부(2162)는 선택한 하나의 태스크를 취득한다. 그 후, 도 2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대응 태스크 취득 처리에 의해 하나의 태스크가 취득되면, 상기 태스크의 정보가 출력된다. 따라서, 복수의 태스크가 취득 후보로 되는 경우에도, 이들 중 하나의 태스크의 정보를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태스크가 많음으로 인한 과도한 부담감을 느끼지 않고서 태스크의 정보를 알게 되거나, 그 태스크에 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가능한 한 현재 또는 과거의 태스크와는 다른 태스크가 취득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있어서 신선미가 있는 태스크를 우선적으로 알거나 그 태스크에 임하거나 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의 동작의 구체예에 관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2600)의 화면 천이에 관해서 나타내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이 사용자가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생활 정보에 관한 입력 조작을 접수하며 또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용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단말 장치(2600)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단말 장치(2600)와 정보 처리 장치(2100) 사이에서 통신이 이루어짐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이하의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예는 단말 처리부(640)의 제어에 기초하여 단말 출력부(660)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다.
도 26은 동 단말 장치(2600)의 화면 천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제1 도면이다.
도 26에서는,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표시 화면(2905)이 도시되어 있다. 태스크 표시 화면(2905)에는, 예컨대 사용자에 관해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태스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태스크 표시부(2951)와, 태스크 완료 횟수 등의 수행 실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행 실적 표시부(2953)와, 새롭게 태스크의 제안을 실행시키기 위한 태스크 제안 버튼(2955)과, 태스크의 설정 이력을 확인하기 위한 이력 표시 버튼(2957) 등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태스크 제안 버튼(2955)을 조작함으로써, 복부음의 녹음을 단말 장치(2600)에 실행시키고, 태스크 제안 화면(2906)으로 천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력 표시 버튼(2957)을 조작함으로써 태스크의 설정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태스크 제안 버튼(2955)이 조작되면, 복부음의 녹음이 실행된 후, 태스크 제안 화면(2906)으로 천이한다.
태스크 표시부(2951)는 예컨대 태스크의 명칭이나 그 설명문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태스크 표시부(2951)는 설정되어 있는 태스크의 수행 상황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태스크의 수행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나 수행 정도 등에 관해서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도 27은 동 단말 장치(2600)의 화면 천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제2 도면이다.
도 27에서는 건강 지원 애플리케이션의 태스크 제안 화면(2906)이 도시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태스크 제안 화면(2906)에는, 예컨대 출력된 태스크를 표시하는 태스크 표시부(2961)와, 표시되어 있는 태스크를 사용자가 수행해야 할 것으로서 설정하기 위한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태스크 설정 버튼(2963)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태스크 표시부(2961)에 표시되어 있는 태스크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태스크가 자신의 건강 상태의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태스크 설정 버튼(2963)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어 있는 태스크를 자신이 수행해야 할 것으로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2100)에 의해 이러한 태스크의 정보를 단말 장치(2600)에 출력하여 태스크 제안 화면(2906)을 표시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건강 상태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동기를 용이하며 또한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태스크 제안 화면(2906)에는 또한 관련 정보 표시부(2964)가 포함되어 있다. 관련 정보 표시부(2964)에는, 출력된 정보에 포함되는, 태스크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된다. 예컨대 태스크 표시부(2961)에 표시되어 있는 태스크의 설명이나, 그 태스크와 관련된 상품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수행해야 할 태스크에 관한 정보를 보다 자세하게 인식시키거나, 관련된 상품의 구입 동기를 효과적으로 부여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태스크에 관련된 정보는 예컨대 태스크 대응 정보에 기초한 정보이면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정보 처리 장치(2100)는, 저장부(2110)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와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하와 같은 정보 처리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2100)는, 한 사용자의, 복부로부터 나오는 소리인 복부음에 관한 소리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준비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고, 취득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한다. 소리 정보에 기초하여 취득된 태스크가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객관적으로 선택된 자신에게 알맞은 태스크에 관해서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가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의 장 상태에 관한 과제에 대응하는 태스크에 관해서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실시형태 2의 변형예의 설명)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학습 정보의 출력 정보에 포함되는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가 취득되어 출력되지만, 학습 정보의 출력 정보에, 태스크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게 하여도 좋다. 즉, 학습 정보로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장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태스크를 식별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정보가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태스크 취득부(2162)는, 소리 정보 취득부(2141)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학습 정보에 적용함으로써, 태스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취득한다. 즉, 태스크를 취득한다. 그리고, 태스크 출력부(2168)는 취득된 태스크의 출력을 실행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예컨대 다음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태스크 취득 처리가 실행되게 하면 된다.
도 28은 동 정보 처리 장치(2100)의 태스크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611부터 단계 S613의 처리는 상술한 실시형태 2의 단계 S211부터 단계 S213의 처리와 마찬가지다. 즉, 태스크 취득부(2162)는, 소리 정보로부터 스펙트로그램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취득하여, 사용하는 학습 정보를 선택한다.
(단계 S614) 태스크 취득부(2162)는, 입력 정보를, 선택한 학습 정보에 대하여 적용하여 출력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스크 식별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가 취득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태스크 식별자, 즉 태스크가 취득된다.
(단계 S615) 태스크 취득부(2162)는, 취득된 태스크를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한다. 그 후, 도 2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출력 정보에 사용자 식별자가 포함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태스크 출력부(2162)가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술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의 개요를 상술한 실시형태 2와는 다른 부분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3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200)와 실시형태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단말 장치(2600)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이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100) 대신에, 장 상태를 나타내는 스코어를 이용하여 태스크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2200)가 이용되는 점이 실시형태 2와는 다르다.
즉, 실시형태 3에 있어서, 학습 정보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정보로 하고, 장의 활동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출력 정보로 하도록 하여 작성된 것이며, 정보 처리 장치(2200)는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이용하여 태스크를 선택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지표는, 예컨대 용변의 상태 및 단위시간 당 장 요동 운동의 횟수, 복부음이 울리는 빈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 정해진 지표에 대응된 태스크가 미리 준비되어 있고, 취득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에 기초하여 태스크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2001)의 정보 처리 장치(22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2200)의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2200)는 상술한 실시형태 2와 같은 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저장부(2110), 수신부(2120), 접수부(2130) 및 송신부(21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2200)는 처리부(2140) 대신에 처리부(2240)를 구비하고 있다.
처리부(2240)는 소리 정보 취득부(2141),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2143), 생활 정보 취득부(2145), 학습 정보 생성부(2147) 및 태스크 출력부(216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처리부(2240)는 태스크 취득부(2262)와 장 스코어 출력부(216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학습 정보 생성부(2147)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입력 정보와, 장의 활동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포함하는 출력 정보의 조를 2 이상을 이용하여, 기계 학습에 의해 학습 정보를 생성한다. 즉, 소리 정보를 입력 정보로 하여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출력하는 학습 정보가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 저장되어 있다.
태스크 취득부(226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 스코어 취득부(2149)를 구비하고 있다. 태스크 취득부(2262)는, 장 스코어 취득부(2149)에 의해, 소리 정보 취득부(2141)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학습 정보에 적용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태스크 취득부(2262)는 취득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한다.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소리 정보 취득부(2141)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준비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 상태에 관한 장 스코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를 갖는다.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는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2152), 배설 스코어 취득부(2153), 식음 스코어 취득부(2154) 및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2155)를 갖는다.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취득하고, 이 출력 지표의 값을 이용하여 장 스코어를 취득한다.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취득하는 처리는 예컨대 후술하는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2152)에 의해 이루어진다. 미리 정해진 지표로서는, 예컨대 용변의 상태, 단위시간 당 장 요동 운동의 횟수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된다. 장 요동 운동의 횟수는, 미리 정해진 레벨 이상의 복부음이 울리는 빈도(이하, 단순히 장음 빈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라고 말할 수도 있다. 또한,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2143)에 의해 취득된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저장부(2111)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장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에 의해 취득된 요소 스코어를 이용하여 장 스코어를 취득한다.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각 부에 의해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2 이상의 평가 요소 각각에 관한 요소 스코어를 취득한다. 2 이상의 평가 요소로서는 예컨대 장 관계 요소, 배설, 음료, 식사, 활동 상황 등을 들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소 스코어로서 예컨대 장 운동 스코어, 장 상태 스코어, 배설 스코어, 음료 스코어, 식사 스코어 및 활동 상황 스코어 등이 이용된다. 각 스코어는, 대상으로 하는 사항의 상태나 양호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나 등급 등을 나타내는 부호 등이며, 사용자에게 있어서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정보이다.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2152)는, 소리 정보 취득부(2141)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와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용변의 상태(정상, 설사, 변비 등)에 관한 장 상태 스코어와, 장의 요동 운동(빈도 등)에 관한 장 운동 스코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2152)는, 기계 학습 수법에 의해, 소리 정보 취득부(2141)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학습 정보에 입력함으로써 출력 지표의 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출력 지표의 값에 기초하여 장 관계 스코어(장 상태 스코어 및 장 운동 스코어)를 취득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도, 처리부(2240)에 있어서 이용되는 소리 정보는 스펙트로그램이라도 좋고, 그 밖의 음성 데이터 등이라도 좋다. 또한, 처리부(2240)에서도, 학습 정보의 생성이나 이용에 동반하여, 기초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입력 정보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2152)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식별자에 대응하는 타입의 학습 정보를 학습 정보 저장부(2111)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장 관계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에 따라, 보다 높은 정밀도의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배설 스코어 취득부(2153)는 배설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배설 스코어를 취득한다.
식음 스코어 취득부(2154)는 식음 정보에 기초하여 음료 스코어 및 식사 스코어를 취득한다.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2155)는 활동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활동 상황 스코어를 취득한다.
이들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의 각 부는, 출력 지표의 값이나 각종 생활 정보에 기초한 요소 스코어를, 예컨대 출력 지표의 값이나 각종 생활 정보의 내용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취득한다. 미리 정해진 조건은 각 요소마다 각 요소의 각 관점마다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제1 미리 정해진 점수를 요소 스코어에 반영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미리 정해진 점수를 요소 스코어에 반영시킨다고 하는 식으로 함으로써 요소 스코어를 취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출력 지표의 값으로서 장음의 빈도를 얻는 경우에, 장음의 빈도가 미리 정해진 범위 내이면 제1 미리 정해진 점수를 기준이 되는 장 운동 스코어에 가산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제2 미리 정해진 점수를 기준이 되는 장 운동 스코어로부터 감산하도록 하여도 좋다.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의 각 부는, 취득한 요소 스코어를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한다.
또한,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의 각 부는, 출력 지표의 값이나 각종 생활 정보의 내용과 미리 정해진 기준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계산식을 이용하거나 하여 요소 스코어를 산출하여도 좋다. 또한, 기준이 되는 역치를 복수 준비하여, 출력 지표의 값이나 각종 생활 정보의 내용이 해당하는 조건 범위 내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점수를 요소 스코어에 반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장 운동, 장 상태, 배설, 음료, 식사, 활동 상황 등의 각 요소에 관해서, 복수의 평가 관점(기준치와 비교하는 관점 등)을 두고서, 관점마다 기준치와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점수를 요소 스코어에 반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반영시키는 점수를, 미리 복수의 관점축으로 구성되는 공간에서 맵핑한 정보(예컨대 n차원의 룩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점수를 요소 스코어에 반영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의 각 부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에 관해서 과거에 취득된 요소 스코어, 또는 과거 시점에서의 출력 지표의 값 혹은 각종 생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회에 취득된 요소 스코어에 대하여 이번의 점수를 반영시킴으로써 이번의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과거의 미리 정해진 기간에 있어서의 출력 지표의 값 또는 각종 생활 정보와, 이번의 출력 지표의 값 또는 각종 생활 정보를 이용하고, 이들의 평균치 등을 이용하여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여도 좋다. 과거의 미리 정해진 수의 출력 지표의 값 또는 각종 생활 정보와, 이번의 출력 지표의 값 또는 각종 생활 정보 각각에 관해서 특정한 점수를 이용하여(합산하는 등),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여도 좋다.
또한,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의 각 부가, 이러한 요소 스코어의 취득에 관해서 설정되는 조건, 비교하는 기준치, 기준이 되는 요소 스코어, 요소 스코어에 반영하는 점수, 요소 스코어에 점수를 반영하는 방법(가산, 감산, 승산 등) 등의 인자를, 사용자의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적시에 설정하여도 좋다. 즉,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의 각 부는, 사용자의 기초 정보에 기초하여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의 각 부가, 사용자의 성별이나 연령에 따라서 다른 인자를 적용하여 요소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이와 같이 하여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2152)에 의해 취득한 장 운동 스코어 및 장 상태 스코어와, 배설 스코어 취득부(2153)에 의해 취득한 배설 스코어와, 식음 스코어 취득부(2154)에 의해 취득한 음료 스코어 및 식사 스코어와,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부(2155)에 의해 취득한 활동 상황 스코어를 이용하여, 장 스코어를 취득한다. 장 스코어는, 예컨대 각 요소 스코어를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가산하거나 승산하거나 하는 등, 미리 정해진 계산식에 적용하여 산출함으로써 취득되어도 좋다. 또한, 각 요소 스코어를 입력으로 하고 장 스코어를 출력으로 하도록 하여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기를 이용하여 취득하거나 하여도 좋다. 각 요소 스코어는 필요에 따라서 정규화하거나 한 다음에 장 스코어의 취득에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취득한 장 스코어를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한다.
또한,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에 관해서 과거에 취득된 장 스코어에 기초하여 이번의 장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회의 장 스코어에 기초한 기준의 스코어에 대하여 이번의 각 요소 스코어에 따른 점수를 반영시킴으로써 이번의 장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장 스코어 출력부(2161)는 장 스코어 취득부(2149)에 의해 취득된 장 스코어를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 스코어 출력부(2161)는, 예컨대 장 스코어 등의 정보를 단말 장치(2600)에 송신함으로써 출력을 실행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2100)가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에 문자 또는 화상 등에 의해 장 스코어를 표시하게 함으로써 출력이 이루어지더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태스크 취득부(2262)는, 장 스코어 취득부(2149)에 있어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된 장 관계 스코어에 기초하여 태스크를 취득한다. 여기서, 태스크 취득부(2262)는, 장 관계 스코어에 한정되지 않고, 장 스코어나 다른 요소 스코어 등에도 기초하여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태스크 취득부(2162)는,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스코어)이 하나의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그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2 이상의 태스크 각각에 관해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에 관한 선택 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선택 조건이란, 예컨대 어떤 지표의 역치와 값의 관계가 미리 정해진 상태인 것을 말한다. 미리 정해진 상태란, 예컨대 큰 것, 작은 것, 같은 것, 예컨대 미리 정해진 비인 것 등 미리 정해진 함수로 표시되는 관계인 것 등을 말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미리 정해진 내용의 맛사지를 실시한다고 하는 태스크에 대하여, 예컨대 장 요동 운동에 관한 선택 조건으로서 단위시간 당 요동 운동 횟수가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인 것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조건과 태스크의 대응 관계는, 예컨대 태스크 대응 정보로서 태스크 저장부(2118)에 저장되어 있으면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0은 동 정보 처리 장치(2200)에서 이용되는 태스크 대응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태스크 대응 정보에는, 예컨대 선택 조건과 태스크를 식별하는 태스크 식별자가 대응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태스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명칭, 태스크에 관한 설명문, 태스크에 대응하는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자 등이 또한 태스크 대응 정보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태스크 대응 정보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속성의 속성치가 더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상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속성치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선택 조건으로서는, 예컨대 장 상태 스코어가 역치 X1 미만인 것, 장 운동 스코어가 역치 X2 미만인 것 등, 스코어에 관해서 역치와의 비교 결과가 미리 정해진 상태인지에 관한 것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장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 장 요동 운동이 불량인 것 등과 같은, 스코어와는 다른 값이 선택 조건으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태스크 취득부(2262)가 장의 상태나 장 요동 운동 등에 관한 판정 결과를 취득하여, 판정 결과가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2200)는 예컨대 이하와 같이 하여 여러 가지 동작을 행한다. 이들 동작은, 처리부(2240)가 각 부를 이용하면서 제어 동작 등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1은 동 정보 처리 장치(2200)의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301부터 단계 S303의 처리는 상술한 실시형태 2의 단계 S201부터 단계 S203의 처리와 마찬가지다. 태스크 취득부(2262)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 등에 축적한다. 또한, 태스크 취득부(2262)는, 태스크 취득을 위한 트리거가 발생한 경우에, 다음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S304) 처리부(2240)는 장 스코어 취득부(2149)에 의해 스코어 취득 처리를 행한다. 스코어 취득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코어 취득 처리에 의해 사용자의 태스크의 정보가 취득되어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된다.
(단계 S305) 처리부(2240)는 태스크 취득부(2262)에 의해 태스크 취득 처리를 행한다. 태스크 취득 처리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태스크 취득 처리에 의해 사용자의 태스크의 정보가 취득되어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된다.
단계 S306 및 단계 S307의 처리는 상술한 실시형태 2의 단계 S205 및 단계 S206의 처리와 마찬가지다.
도 32는 동 정보 처리 장치(2200)의 스코어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311)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로부터,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관한 소리 정보, 생활 정보 및 과거의 사용자 정보 등을 취득한다. 기초 정보를 취득하여도 좋다.
(단계 S312)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장음의 빈도나 장 상태의 추정 결과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하, 이러한 처리를 복부음 사용 처리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복부음 사용 처리는 예컨대 실시형태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행된다. 즉,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스코어 취득부(149)가 학습 정보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소리 정보용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지표의 값을 출력하는 처리와 같은 식의 처리가, 장 스코어 취득부(2149)가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또한, 단말 장치(2600)로부터 송신된 소리 정보가 스펙트로그램인 경우 등,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저장된 소리 정보가 스펙트로그램인 경우에는, 장 스코어 취득부(2149)가 스펙트로그램을 생성하는 처리는 실행되지 않게 하면 된다.
(단계 S313)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취득된 장음의 빈도나 장 상태의 추정 결과 등의 정보를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한다.
(단계 S314)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에 의해 각 요소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하, 이러한 처리를 요소 스코어 취득 처리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소 스코어 취득 처리로서는, 장 관계 스코어 취득 처리, 배설 스코어 취득 처리, 식사 스코어 취득 처리, 음료 스코어 취득 처리 및 활동 상황 스코어 취득 처리가 각각 실행된다.
또한, 각각의 요소 스코어 취득 처리는 예컨대 실시형태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행된다. 즉,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요소 스코어 취득부(151)에 의해 이루어지는 처리와 마찬가지로, 요소 스코어 취득부(2151)가 각 요소 스코어를 취득한다. 예컨대 장음의 빈도나 장 상태의 추정 결과, 배설물의 형상, 양, 냄새, 식사 등의 타이밍이나 식사 등의 양, 식사 등의 내용 등에 관한 판단 결과에 따라서, 스코어에 미리 정해진 점수를 가산하거나 감산하거나 하여 스코어가 취득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요소 스코어의 기초점으로서는, 미리 정해진 점수로 하는 것 외에, 과거의 이력 등에 기초하여 설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회에 취득한 요소 스코어를 이번의 기초점으로서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미리 정해진 기간 내의 과거의 요소 스코어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한 값(예컨대 평균치 등)을 기초점으로서 설정하여도 좋다.
(단계 S315) 각 요소 스코어를 얻으면,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각 요소 스코어로부터 장 스코어를 취득한다. 이때,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상술한 것과 같이 예컨대 각 요소 스코어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방법으로 가산하거나 승산하거나 하여 장 스코어를 취득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316)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취득된 장 스코어나 각 요소 스코어를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한다. 그 후, 도 3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도 33은 동 정보 처리 장치(2200)의 태스크 취득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351) 태스크 취득부(2262)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로부터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어 있는 장 스코어나 각 요소 스코어를 취득한다.
(단계 S352) 태스크 취득부(2262)는, 취득한 스코어에 기초하여, 태스크 대응 정보에 포함되는 각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53) 태스크 취득부(2262)는, 만족한다고 판단한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취득한다(이 처리를 대응 태스크 취득 처리라고 부른다.). 또한, 대응 태스크 취득 처리에 관해서는, 예컨대 실시형태 2와 같은 식으로 실행되도록 하면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만족한다고 판단한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모든 태스크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계 S354) 태스크 취득부(2262)는, 취득된 태스크를 대상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축적한다. 그 후, 도 3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실시형태 3에서도, 정보 처리 장치(2200)는, 저장부(2110)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와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고, 취득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객관적으로 선택된 자신에게 알맞은 태스크에 관해서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코어에 대응하는 태스크가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의 장 활동 상태를 반영하는 값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정보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태스크 출력부(2168)에 의해 태스크가 출력되는 것에 맞춰, 장 스코어 출력부(2161)에 의해, 상술한 것과 같이 하여 취득되어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에 저장되어 있는 각 스코어를 나타내는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여도 좋다. 사용자가, 단말 장치(2600)를 이용하여 태스크와 스코어를 함께 확인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장 상태를 나타내는 스코어를 의식하게 하면서 태스크를 확인시켜,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기를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실시형태 3의 변형예의 설명)
스코어의 취득에 관한 처리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장음 빈도의 추출과 장 상태의 추정을, 서로 다른 입력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입력을 소리 정보로 하고, 출력이 복부음 부분의 소리 정보가 되도록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장음의 빈도를 출력하고, 소리 정보에 더하여 미리 정해진 생활 정보(예컨대 배설 정보나 식음 정보 등)를 입력으로 하고, 출력이 장 상태의 추정 결과가 되도록 기계 학습 수법을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장 상태 추정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보다 높은 정밀도로 각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생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학습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학습 정보 저장부(2111)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가, 생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요소, 하나 이상의 관점에 대응되어 있고, 복부음 사용 처리에 있어서, 생활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요소, 하나 이상의 관점에 기초하여, 사용하는 학습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복부음 사용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음의 빈도나 장 상태 추정 결과를 보다 높은 정밀도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소리 정보와 생활 정보를 입력하고, 장 관계 스코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장 관계 스코어 취득부(2152)가 소리 정보와 생활 정보로부터 장 관계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생활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요소, 관점을 입력 정보로서 이용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생활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서 장 관계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어느 경우나 기초 정보를 입력 정보로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용되는 학습 정보는, 소리 정보와 생활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입력 정보와 장 관계 스코어의 조를 2 이상 이용하여, 학습 정보 생성부(2147)가, 상기 2조 이상의 정보와 기계 학습의 분류기를 구성하기 위한 모듈을 이용하여 분류기를 구성함으로써 생성되면 되고, 다른 장치 등에 있어서 같은 식으로 하여 생성되어도 좋다. 예컨대 학습 입력 정보와 장 관계 스코어의 조가 충분한 수만큼 얻어지는 경우에는, 이들 조합의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장 관계 스코어를 직접 출력함으로써, 용이하면서 높은 정밀도로 장 관계 스코어 및 장 스코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학습 입력 정보와 장 스코어의 조가 다수 얻어지는 경우에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장 스코어를 출력 정보로 하는 학습 정보를 기계 학습 수법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장 스코어 취득부(2149)는, 소리 정보와 그 밖의 입력 정보(생활 정보나 기초 정보 등)를 학습 정보에 입력하여 장 스코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용이하면서 높은 정밀도로 장 스코어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 2나 실시형태 3에서의 처리는 소프트웨어로 실현하여도 좋다. 그리고, 이 소프트웨어를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등에 의해 배포하여도 좋다. 또한, 이 소프트웨어를 C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유포하여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의 정보 처리 장치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는 이하와 같은 프로그램이다. 즉, 이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한 사용자의, 복부로부터 나오는 소리인 복부음에 관한 소리 정보를 취득하는 소리 정보 취득부와, 소리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준비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는 태스크 취득부와, 태스크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태스크 출력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단말 장치가, 상술한 정보 처리 장치가 갖는 태스크의 취득 및 출력에 관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도 34는 상술한 실시형태 2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4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 2의 구성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단말 장치(3600)는, 상술한 정보 처리 장치(2100)와 같은 식으로 장 스코어의 취득 및 출력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말 장치(3600)에 있어서, 단말 저장부(610)에 학습 정보 저장부(2111)와 사용자 정보 저장부(2115)와 태스크 저장부(211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단말 처리부(640)가 소리 정보 취득부(2141),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2143), 생활 정보 취득부(2145), 학습 정보 생성부(2147), 태스크 취득부(2162) 및 태스크 출력부(2168)를 구비한다. 소리 정보 취득부(2141)는 마이크(681)에 의해 녹음한 복부음에 기초하여 소리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2143)는 단말 장치(3600)의 기기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생활 정보 취득부(2145)는 단말 접수부(630)에 의해 접수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센서부(680)를 이용하여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활 정보를 취득한다.
이와 같이, 단말 장치(3600)가 태스크의 취득 및 출력을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태스크의 취득 및 출력에 관해서, 단말 장치(3600)의 일부의 기능이나 역할이 정보 처리 장치(2100) 등에서 실행되거나 담당되거나 하게 하여도 좋다. 예컨대 학습 정보 생성부(2147)가 정보 처리 장치(2100) 측에 설치되어 있고, 생성된 학습 정보를 단말 장치(3600)가 수신하여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2100) 측에 복수의 학습 정보가 저장된 학습 정보 저장부(2111)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학습 정보 중 단말 장치(3600)의 기기 식별 정보 등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가 단말 장치(3600)에 다운로드되어 이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종래부터 소위 건강에 좋은 활동이 어떤 것인가라는 지식이나, 건강에 좋지 않은 활동이 어떤 것인가라는 지식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와 같은 활동에 관한 태스크를 각 사용자에게 설정하여, 각 사용자가 예컨대 건강 상태를 유지하거나 개선하거나 하기 위해서 상기 태스크에 임하도록 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개개인 사용자의 건강 상태는 다양한 바, 하나의 태스크에 관해서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임하는 경우에, 모든 사용자가 기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즉, 사용자마다 실행하기에 알맞은 태스크가 상이할 가능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2 또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에게 알맞은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한다고 하는 효과를 가져, 정보 처리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양태)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 2나 실시형태 3은 이하의 양태의 구체예인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다.
제1 양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는, 한 사용자의, 생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인 생체음에 관한 소리 정보를 취득하는 소리 정보 취득부와, 소리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준비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는 태스크 취득부와, 태스크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태스크 출력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맞은 1 이상의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양태에 대하여, 학습 정보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몸의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태스크를 식별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정보인,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몸의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3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양태에 대하여, 학습 정보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정보와, 몸의 상태에 관한 과제를 식별하는 과제 식별자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정보이며, 태스크 취득부는, 소리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학습 정보에 적용함으로써 과제 식별자를 취득하고, 취득한 과제 식별자를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몸의 상태에 관한 과제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4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3 양태에 대하여, 하나의 과제 식별자와 1 이상의 태스크가 대응된 조가 2 이상 저장된 태스크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태스크 취득부는, 태스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몸의 상태에 관한 과제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5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양태에 대하여, 생체음은 복부로부터 발생하는 복부음이며, 태스크 취득부는, 소리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학습 정보에 적용함으로써 취득한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6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5 양태에 대하여, 생체음은 복부로부터 발생하는 복부음이며, 미리 정해진 지표는 용변의 상태, 단위시간 당 장 요동 운동의 횟수 및 복부음이 울리는 빈도 중 적어도 하나인,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장 활동 상태를 반영하는 값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7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5 또는 제6의 양태에 대하여, 2 이상의 태스크 각각에 관해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에 관한 선택 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태스크 취득부는,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이 하나의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8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부터 제7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대하여, 태스크 취득부는, 2 이상의 태스크가 취득 후보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태스크 중 랜덤하게 특정한 하나의 태스크의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에게 하나의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9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부터 제8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대하여, 태스크 취득부는, 사용자에 관해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를 식별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취득하고, 취득한 태스크 식별자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에 기초하여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0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9 양태에 대하여, 태스크 취득부는, 사용자에 관해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와는 다른 태스크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와는 다른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1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부터 제10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대하여,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음의 취득에 이용한 기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기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학습 정보는 각각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복수 준비되어 있고, 태스크 취득부는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생체음의 취득에 이용한 기기의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한 태스크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제12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부터 제11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대하여, 생체음을 녹음하기 위한 마이크와, 태스크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태스크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마이크로 녹음한 생체음에 기초하여 표시된 태스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3 양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제12 양태에 대하여, 학습 정보가 저장되는 학습 정보 저장부를 더 구비하고, 태스크 취득부는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생체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학습 정보에 적용하여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고, 태스크 출력부는 표시부에 태스크를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다른 장치와 통신 등을 하지 않고서 사용자가 마이크로 녹음한 생체음에 기초하여 표시된 태스크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기타)
도 35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컴퓨터 시스템(800)의 개관도이다. 도 36은 동 컴퓨터 시스템(800)의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 등을 실현하는 컴퓨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그 위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800)은 CD-ROM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컴퓨터(801)와 키보드(802)와 마우스(803)와 모니터(804)를 포함한다.
컴퓨터(801)는, CD-ROM 드라이브(8012)에 더하여, MPU(8013)와 CD-ROM 드라이브(8012) 등에 접속된 버스(8014)와, 부팅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ROM(8015)과, MPU(8013)에 접속되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명령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며 또한 일시 기억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RAM(8016)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하드디스크(8017)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컴퓨터(801)는 또한 LAN에의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카드를 포함하여도 좋다.
컴퓨터 시스템(800)에, 상술한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 등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CD-ROM(8101)에 기억되고, CD-ROM 드라이브(8012)에 삽입되고, 또한 하드디스크(8017)에 전송되어도 좋다. 이 대신에, 프로그램은 도시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801)에 송신되어 하드디스크(8017)에 기억되어도 좋다. 프로그램은 실행 시에 RAM(8016)에 로드된다. 프로그램은 CD-ROM(8101)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직접 로드되어도 좋다.
프로그램은, 컴퓨터(801)에 상술한 실시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 등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또는 서드파티 프로그램 등을 반드시 포함하지 않아도 좋다. 프로그램은 제어된 양태로 적절한 기능(모듈)을 불러내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명령 부분만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컴퓨터 시스템(800)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주지된 바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에 있어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등에서는,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행되는 처리, 예컨대 송신 단계에서의 모뎀이나 인터페이스 카드 등에서 실행되는 처리(하드웨어에서밖에 실행되지 않는 처리)는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단수라도 좋고 복수라도 좋다. 즉, 집중 처리를 하여도 좋고, 혹은 분산 처리를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장치에 존재하는 2 이상의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하나의 매체로 실현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는 전용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고,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할 수 있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다. 예컨대 하드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CPU 등의 프로그램 실행부가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각 구성 요소가 실현될 수 있다. 그 실행 시에, 프로그램 실행부는 기억부나 기록 매체에 액세스하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그 프로그램은 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됨으로써 실행되어도 좋고, 미리 정해진 기록 매체(예컨대 광 디스크나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에 기록된 프로그램이 독출됨으로써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프로덕트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단수라도 좋고 복수라도 좋다. 즉, 집중 처리를 하여도 좋고, 또는 분산 처리를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처리(각 기능)는, 단일의 장치(시스템)에 의해서 집중 처리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고, 혹은 복수의 장치에 의해서 분산 처리됨으로써 실현되어도 좋다(이 경우, 분산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 전체를 하나의 「장치」로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가 행한다고 기재되어 있는 동작의 일부가 단말 장치 등, 다른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 사이에서 행해지는 정보의 전달은, 예컨대 그 정보의 전달을 행하는 2개의 구성 요소가 물리적으로 다른 것인 경우에는, 한쪽의 구성 요소에 의한 정보의 출력과 다른 쪽의 구성 요소에 의한 정보의 접수에 의해서 이루어지더라도 좋고, 또는 그 정보의 전달을 행하는 2개의 구성 요소가 물리적으로 같은 것인 경우에는, 한쪽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처리의 페이즈로부터 다른 쪽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처리의 페이즈로 옮김으로써 이루어지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가 실행하는 처리에 관계된 정보, 예컨대 각 구성 요소가 접수하거나 취득하거나 선택하거나 생성하거나 송신하거나 수신하거나 하는 정보나, 각 구성 요소가 처리에서 이용하는 역치나 수식, 어드레스 등의 정보 등은, 상기 설명에서 명기하지 않더라도, 도시하지 않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또는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고 있어도 좋다. 또한, 그 도시하지 않는 기록 매체에의 정보 축적을, 각 구성 요소 또는 도시하지 않는 축적부가 행하여도 좋다. 또한, 그 도시하지 않는 기록 매체로부터의 정보 독출을, 각 구성 요소 또는 도시하지 않는 독출부가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 등에서 이용되는 정보, 예컨대 각 구성 요소가 처리에서 이용하는 역치나 어드레스, 각종 설정치 등의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되어도 좋은 경우에는, 상기 설명에서 명기하지 않았더라도, 사용자가 적절하게 이들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또는 그렇지 않아도 좋다. 이들 정보를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변경은 예컨대 사용자로부터의 변경 지시를 접수하는 도시하지 않는 접수부와, 그 변경 지시에 따라서 정보를 변경하는 도시하지 않는 변경부에 의해서 실현되어도 좋다. 그 도시하지 않는 접수부에 의한 변경 지시의 접수는, 예컨대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수라도 좋고, 통신 회선을 통해 송신된 정보의 수신이라도 좋고, 미리 정해진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정보의 접수라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며,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성 그 자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실시형태의 일부의 구성 요소나 기능이 생략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형태 2에서는 생체음으로서 복부음이 이용되고 있지만, 다른 생체음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예컨대 복부음과 다른 생체음의 조합 등, 복수의 생체음 조합이 이용되어도 좋다. 그리고, 몸의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태스크가 출력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몸의 과제에 관한 과제의 과제 식별자를 취득하고, 그 과제 식별자를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하여도 좋다. 또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값을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하여도 좋다. 예컨대 심장음의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소리의 간격이나 잡음의 유무 등에 따라서 부정맥이나 심장판막증에 관련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호흡음의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잡음의 종류에 따라서 폐렴이나 천식 등에 관련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취득한 폐활량 등에 따라서 적절한 운동 부하를 제안하거나 그에 따른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하거나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경부음이나 각부음, 이명음 등의 혈류에 관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운동 부하의 태스크를 제안하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연하음의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모르고 잘못 삼켜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적당하게 걸쭉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을 태스크로서 출력하여도 좋다. 또한, 예컨대 음료가 목구멍을 지날 때의 목넘김 소리로부터 알맞은 탄산감(가스압의 세기)의 음료를 마실 것을 태스크로서 출력하거나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건강에 관계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어, 정보 처리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29)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학습 정보 취득부와,
    상기 2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에 관한 값이며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값을 포함하는 제1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활동 정보 취득부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스코어 취득부와,
    상기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상기 제1 활동 정보와는 다른 값을 포함하는 제2 활동 정보이며, 상기 제2 활동 정보에 상기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상기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상기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하는 제2 활동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활동 정보와 상기 제2 활동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한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하는 레코멘드(recommand) 정보 취득부와,
    상기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취득부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건강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건강 상태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취득부는, 취득한 건강 상태 정보와, 상기 제1 활동 정보 취득부로부터 취득된 제1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활동 정보 취득부는, 상기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상기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보다 높아지는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활동 정보 취득부는 서로 다른 2 이상의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는, 상기 제1 활동 정보와 상기 2 이상의 제2 활동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2개의 파라미터에 관한 상기 스코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순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 취득부는, 상기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활동 정보와 스코어를 갖는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용으로 구성된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취득부는, 상기 사용자의 복부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에 기초한 상기 스코어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복부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취득하는 소리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코어 취득부는,
    상기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장의 활동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출력 지표에 관한 출력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소리 정보용 학습 정보를 취득하며, 또한,
    상기 소리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에 상기 소리 정보용 학습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취득한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코어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복부음을 녹음하는 마이크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리 정보 취득부는 상기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복부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레코멘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평가 요소 각각에 관한 요소 스코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스코어 취득부는, 상기 요소 스코어를 취득함으로써 상기 스코어를 취득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2 이상의 요소 스코어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배설에 관한 배설 스코어, 사용자가 섭취한 식사에 관한 식사 스코어, 사용자가 섭취한 음료에 관한 음료 스코어, 사용자의 활동 상황에 관한 활동 상황 스코어 및 사용자의 장 활동 상태에 관한 장 관계 스코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한 사용자에 관해서 취득된 과거의 스코어와 새로운 스코어의 비교 결과가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2 이상의 평가 요소 중 주목하는 1 이상의 평가 요소를 특정하는 주목 요소 특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활동 정보 취득부는, 상기 제2 활동 정보에 상기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주목 요소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평가 요소에 관한 주목 요소 스코어가 상기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를 구성하는 상기 주목 요소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는, 음료를 섭취하는 것에 관한 음료 섭취, 식사를 섭취하는 것에 관한 식사 섭취, 식음 이외의 활동에 관한 생활 습관 및 운동에 관한 운동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3. 정보 처리 장치로서,
    한 사용자의, 생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인 생체음에 관한 소리 정보를 취득하는 소리 정보 취득부와,
    상기 소리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준비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는 태스크 취득부와,
    상기 태스크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태스크 출력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몸의 상태를 개선시키기 위한 태스크를 식별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정보인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는,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 정보와, 몸의 상태에 관한 과제를 식별하는 과제 식별자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정보이고,
    상기 태스크 취득부는, 상기 소리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학습 정보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과제 식별자를 취득하고, 취득한 과제 식별자를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하나의 과제 식별자와 1 이상의 태스크가 대응된 조가 2 이상 저장된 태스크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취득부는, 상기 태스크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과제 식별자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취득부는, 상기 소리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학습 정보에 적용함으로써 취득한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건강 상태에 관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을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음은 복부로부터 발생하는 복부음이고,
    상기 미리 정해진 지표는, 용변의 상태, 단위시간 당 장 요동 운동의 횟수, 및 복부음이 울리는 빈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정보 처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2 이상의 태스크 각각에 관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에 관한 선택 조건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상기 태스크 취득부는, 상기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미리 정해진 지표의 값이 하나의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조건에 대응하는 태스크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취득부는, 2 이상의 태스크가 취득 후보인 경우에는, 상기 2 이상의 태스크 중 랜덤하게 특정한 하나의 태스크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취득부는, 사용자에 관해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를 식별하는 태스크 식별자를 취득하고, 취득한 태스크 식별자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취득부는 사용자에 관해서 현재 적용되고 있는 태스크와는 다른 태스크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음의 취득에 이용한 기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기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정보는 각각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복수 준비되어 있고,
    상기 태스크 취득부는, 상기 기기 식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기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태스크를 취득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음을 녹음하기 위한 마이크와,
    상기 태스크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태스크가 표시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정보가 저장되는 학습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태스크 취득부는, 상기 마이크에 의해 녹음된 생체음으로부터의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학습 정보에 적용하여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고,
    상기 태스크 출력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태스크를 표시하는 것인, 정보 처리 장치.
  26. 정보 처리 장치가 갖는 학습 정보 취득부, 제1 활동 정보 취득부, 스코어 취득부, 제2 활동 정보 취득부,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 및 출력부에 의해 실현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학습 정보 취득부가,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학습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제1 활동 정보 취득부가, 상기 2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에 관한 값이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값을 포함하는 제1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활동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스코어 취득부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스코어 취득 단계와,
    상기 제2 활동 정보 취득부가, 상기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상기 제1 활동 정보와는 다른 값을 포함하는 제2 활동 정보이며, 상기 제2 활동 정보에 상기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상기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상기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하는 제2 활동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가, 상기 제1 활동 정보와 상기 제2 활동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한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하는 레코멘드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출력부가, 상기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7. 정보 처리 장치의 소리 정보 취득부와, 태스크 취득부와, 태스크 출력부에 의해 실현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소리 정보 취득부가, 한 사용자의, 생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인 생체음에 관한 소리 정보를 취득하는 소리 정보 취득 단계와,
    상기 태스크 취득부가, 상기 소리 정보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준비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는 태스크 취득 단계와,
    상기 태스크 출력부가, 상기 태스크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태스크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8.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의 컴퓨터를,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의 값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갖는 2 이상의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학습 정보 취득부와,
    상기 2 이상의 파라미터 각각에 관한 값이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따른 값을 포함하는 제1 활동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활동 정보 취득부와,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관한 스코어를 취득하는 스코어 취득부와,
    상기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해서 상기 제1 활동 정보와는 다른 값을 포함하는 제2 활동 정보이며, 상기 제2 활동 정보에 상기 학습 정보를 적용하여 취득되는 스코어가 상기 스코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스코어와는 다른 제2 활동 정보를, 상기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하는 제2 활동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제1 활동 정보와 상기 제2 활동 정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활동 상태에 관한 2 이상의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관한 레코멘드 정보를 취득하는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와,
    상기 레코멘드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레코멘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것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29.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한 사용자의, 생체로부터 발생하는 소리인 생체음에 관한 소리 정보를 취득하는 소리 정보 취득부와,
    상기 소리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소리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와 미리 준비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1 이상의 태스크를 취득하는 태스크 취득부와,
    상기 태스크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태스크의 정보를 출력하는 태스크 출력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237028663A 2021-02-05 2022-02-01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2301425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17041A JP2022120259A (ja) 2021-02-05 2021-02-05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21-017040 2021-02-05
JP2021017040A JP2022120258A (ja) 2021-02-05 2021-02-05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21-017041 2021-02-05
PCT/JP2022/003809 WO2022168827A1 (ja) 2021-02-05 2022-02-01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2524A true KR20230142524A (ko) 2023-10-11

Family

ID=8274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663A KR20230142524A (ko) 2021-02-05 2022-02-01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90526A1 (ko)
KR (1) KR20230142524A (ko)
TW (1) TW202302047A (ko)
WO (1) WO202216882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1035A (ja) 2015-08-19 2017-02-23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健康管理支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504A (ja) * 2002-03-12 2003-09-19 Nippon Colin Co Ltd 指導情報提供方法および装置
JP2009233027A (ja) * 2008-03-26 2009-10-15 Aisin Seiki Co Ltd 睡眠改善装置及び睡眠改善プログラム
JP2012085906A (ja) * 2010-10-21 2012-05-10 Sharp Corp 生体監視装置、生体監視方法、生体監視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2256186A (ja) * 2011-06-08 2012-12-27 Sharp Corp 飲食物摂取タイミング提示方法および飲食物摂取タイミング提示装置
JP7114215B2 (ja) * 2016-06-30 2022-08-08 株式会社東芝 生活データ統合分析システム、生活データ統合分析方法、及び生活データ統合分析プログラム
JP2019197269A (ja) * 2018-05-07 2019-11-1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健康サポー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1035A (ja) 2015-08-19 2017-02-23 株式会社野村総合研究所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健康管理支援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8827A1 (ja) 2022-08-11
TW202302047A (zh) 2023-01-16
EP4290526A1 (en)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107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select a compatible element
Lee et al. Evaluation of a mobile phone-based diet game for weight control
US10271783B2 (en) Stimulus presenting system, stimulus presenting method, computer, and control method
US8612363B2 (en) Avatar individualized by physical characteristic
US20100179833A1 (en) Automated coaching
US2021016226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physical activity sets for a human subject
JP2008176816A (ja) 健康状態によるアバター映像の生成方法及び装置
US1177505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nalyze user activity data
CN112528009A (zh) 生成用户慢病调理方案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JP2017091586A (ja) 健康管理サーバおよび健康管理サーバ制御方法並びに健康管理プログラム
CN112512417A (zh) 痴呆症风险的呈现系统以及方法
JP2008310606A (ja) ヘルスケアシステム及びヘルスケア方法
Kean et al. Health, weight, and fitness messages in Ebony and Essence: A framing analysis of articles in African American women's magazines
Decker et al. The Eating Habits Confidence Surve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overweight and obese postmenopausal women
KR20230142524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210052123A (ko)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US202200540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f-fulfillment of an alimentary instruction set based on vibrant constitutional guidance
WO202212419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US20210391047A1 (en) Document creatio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16848585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记录介质
JP202212025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Námesztovszki et al. Research of the usage of health-behavior improving mobile applications
Young et al. Self, partner, and relationship motivations for healthy and unhealthy behaviors
JP5309612B2 (ja) フロー体験支援方法、フロー体験支援装置、フロー体験支援サーバ、フロー体験支援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Giannattasio et al. Crafting a healthier future: exploring the nexus of product design, digital innovations and dynamic marketing for obesity prevention. A literature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