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785A -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785A
KR20230141785A KR1020237026451A KR20237026451A KR20230141785A KR 20230141785 A KR20230141785 A KR 20230141785A KR 1020237026451 A KR1020237026451 A KR 1020237026451A KR 20237026451 A KR20237026451 A KR 20237026451A KR 20230141785 A KR20230141785 A KR 2023014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chamber
adapter
opening
consu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안 화이트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7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9/00Compositions of polyacetal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acetals
    • C08L59/02Polyacetals containing polyoxymethylene sequences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 및 어댑터(14)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이 개시된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는 챔버(22), 및 소모품이 챔버(22) 내에 위치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기(20)를 포함한다. 챔버(22)는 소모품이 챔버(22) 내로 삽입 가능한 개구(48)를 포함하는 근위 단부(40), 및 개구로부터 거리를 두고 챔버의 중심 축을 향해 테이퍼링되는 테이퍼형 벽(44)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42)를 갖는다. 어댑터(14)는 개구를 통해 챔버(22)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본 발명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시가렛들, 시가들 등과 같은 흡연 물품들은 담배 연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 중에 담배를 연소시킨다. 연소 없이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제품들을 생성함으로써 담배를 연소시키는 이러한 물품들에 대한 대안들을 제공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제품들의 예들은 재료를 가열하지만 연소시키지 않음으로써 화합물들을 방출하는 가열 디바이스들이다. 재료는 예를 들어 니코틴을 보유하거나 보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또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는 챔버, 및 소모품이 챔버 내에 위치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 챔버는 소모품이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개구를 포함하는 근위 단부, 및 개구로부터 거리를 두고 챔버의 중심 축을 향해 테이퍼링되는 테이퍼형 벽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를 가짐 ―; 및 개구를 통해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챔버의 중심 축은 개구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챔버를 규정하는 소모품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는 개구를 통해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 가능할, 예를 들어 해제 가능하게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어댑터는 개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개구에 대해 위치결정 가능할 수 있다. 어댑터는 개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 가능할, 예를 들어 해제 가능하게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어댑터는 개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개구에 대해 위치결정 가능한 메인 바디, 및 소모품이 개구 내로 삽입 가능한 보어(bore)를 포함할 수 있고, 보어는 메인 바디에 형성되고, 보어는 개구의 최대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보어는 개구의 최대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대체로 원형인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보어는 5.0 내지 5.5mm의 범위 내의 폭을 포함할 수 있다.
보어는 6.5 내지 7.0mm의 범위 내의 폭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는 보어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주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주요 부분은 개구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포함할 수 있다. 주요 부분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테이퍼형 벽 및 어댑터는 소모품이 주요 부분을 규정하는 벽과 접촉하지 않도록 소모품을 지지할 수 있다. 주요 부분을 규정하는 벽은 챔버 내에 수용된 소모품을 가열하는 가열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는 소모품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어댑터는 제1 나사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제2 나사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나사형 연결부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대해 어댑터를 위치하기 위해 제2 나사형 연결부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가능하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챔버를 규정하는 소모품 홀더를 포함할 수 있고, 소모품 홀더는 제1 나사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챔버가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은 제1 나사형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는 300℃ 초과의 융점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을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는 폴리옥시메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의 벽, 예를 들어 주요 부분의 벽은 어댑터의 재료보다 큰 내열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어댑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어댑터는 개구를 통해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상이한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한다. 각각의 어댑터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때 개구를 통해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상이한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각각의 어댑터는 상이한 정도로 개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각각의 어댑터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때 개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각각의 어댑터는 개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개구에 대해 위치결정 가능한 메인 바디, 및 소모품이 개구 내로 삽입 가능한 보어를 포함할 수 있고, 보어는 메인 바디에 형성되고, 각각의 어댑터의 보어는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어댑터들 중 제1 어댑터는 5.0 내지 5.5mm의 범위 내의 폭, 예를 들어 5.0 내지 5.5mm의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어댑터들 중 제2 어댑터는 6.5 내지 7.0mm의 범위 내의 폭, 예를 들어 6.5 내지 7.0mm의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기는 소모품이 챔버 내에 위치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소모품에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조립체는 유도 가열 조립체, 예를 들어 자기장 생성기, 및 서셉터의 가열을 야기하기 위한 가변 자기장에 의해 투과 가능한 서셉터를 포함하는 가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는 챔버, 소모품이 챔버 내에 위치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기 ― 챔버는 소모품이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개구를 포함하는 근위 단부, 및 개구로부터 거리를 두고 챔버의 중심 축을 향해 테이퍼링되는 테이퍼형 벽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를 가짐 ―; 및 개구를 통해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어댑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는 챔버, 및 소모품이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개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가 제공되며, 어댑터는 개구를 통해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단지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례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어댑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사용중인 소모품을 수용하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어댑터들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10으로 지정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 및 어댑터(14)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는 하우징(16), 전원(18), 가열 조립체(20)의 형태의 에어로졸 생성기, 챔버(22), 프로세서(24),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25) 및 사용자 조작 가능 제어 요소(26)를 포함한다.
하우징(16)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의 외부 커버를 형성하고,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둘러싸고 수용한다.
전원(18)은 예를 들어 가열 조립체(2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전원(18)은 가열 조립체(20)에 AC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28) 및 DC-AC 컨버터(30)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가열 조립체(20)는 직류 전류를 필요로 할 수 있고, 따라서 DC-AC 컨버터(30)는 생략되거나 DC-DC 컨버터, 예를 들어 벅(buck) 또는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에 의해 적절하게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는 또한 배터리(28)를 충전하기 위한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소켓/포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전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은 USB 충전 포트와 같은 충전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소켓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와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소켓은 또한 전기 트랙들을 통해 배터리(28)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24)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25)와 데이터 통신한다. 프로세서(24)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의 동작의 다양한 양태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24)는 컴퓨터 판독가능 메모리(25)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양태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는 가열 조립체(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들 등과 같은 다양한 전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함으로써 전원(18)으로부터 가열 조립체(20)로의 전력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가능 제어 요소(26)는 예를 들어, 눌러질 때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를 동작시키는 버튼 또는 스위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조작 가능 제어 요소(26)를 동작시킴으로써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를 턴 온할 수 있거나, 사용자 조작 가능 제어 요소(26)를 동작시킴으로써 가열 조립체(2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의 가열 조립체(20)는 유도 가열 조립체이고, 복수의 가열 코일들(32) 및 서셉터(34)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열 코일들(32)은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하고, 챔버(22)를 따라 이격되며, 서셉터(34)는 챔버(22)의 벽 내에 매립된다. 서셉터(34)의 다른 로케이션들도 예상되며, 실제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셉터(34)는 사용 중인 챔버(22) 내에 수용되는 소모품에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셉터(34)는 복수의 서셉터들, 예를 들어 가열 코일(32)당 하나의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더 이해할 것이다.
서셉터는 교류 자기장과 같은 가변 자기장에 의한 침투에 의해 가열 가능한 재료이다. 서셉터는 전기 전도성 재료일 수 있으며, 따라서 가변 자기장에 의한 그의 침투는 가열 재료의 유도 가열을 야기한다. 가열 재료는 자기 재료일 수 있으며, 따라서 가변 자기장에 의한 그의 침투는 가열 재료의 자기 이력 가열을 야기한다. 서셉터는 전기 전도성 및 자성을 모두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서셉터는 양 가열 메커니즘들에 의해 가열 가능하다.
챔버(22)의 가열, 따라서 챔버(22) 내에 수용된 소모품의 가열을 야기하기 위해, DC-AC 컨버터(30)는 복수의 가열 코일들(32)에 AC 전류를 공급하고, 따라서 복수의 가열 코일들(32)은 가변 자기장을 생성한다. 가변 자기장은 서셉터(34)와 상호작용하여 서셉터(34) 내에서 와전류들을 구동하고, 와전류들의 흐름은 서셉터(34), 따라서 챔버(22)의 가열을 야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챔버(22) 내에 수용된 소모품이 가열될 수 있다.
전술한 가열 조립체(20)는 유도 가열을 이용하지만, 다른 유형들의 가열 조립체, 예를 들어 전류가 저항 요소를 따라 구동되는 다른 유형들의 주울(Joule) 가열 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른 형태들의 에어로졸 생성기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기는 가열 없이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되게 한다. 에어로졸 생성기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진동, 증가된 압력, 또는 정전기 에너지 중 하나 이상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챔버(22)는 도 2의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중공 튜브형 부재(36)에 의해 규정된다. 튜브형 부재(36)는 확대된 연결 부분(38)을 갖는 세장형 중공 바디를 포함한다. 튜브형 부재(36)의 내부 벽들은 챔버(22)를 규정하고, 챔버(22)는 근위 단부(40) 및 원위 단부(42)를 갖는다. 근위 단부(40)와 원위 단부(42) 사이의 챔버(22)의 연장부(extent)는 챔버(22)의 주요 부분(23)으로 지칭될 수 있다. 원위 단부(42)는 챔버(22)의 중심 축(A-A)을 향해 테이퍼링되는 테이퍼형 벽(44)을 포함한다. 테이퍼형 벽(44) 내의 애퍼처(46)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의 공기 유입구(47)와 유체 연통한다.
챔버(22)의 근위 단부(40)는 소모품(도 2에 도시되지 않음)이 챔버(22) 내로 삽입 가능한 개구(48)를 포함한다. 개구(48)의 평면은 확대된 연결 부분(38)의 내부 벽(50)의 대향 측면들 사이에 연장되며, 내부 벽(50)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댑터(14)의 나사형 연결 부분(54)에 연결하기 위한 나사형 연결부(52)를 포함한다.
사용 시에, 챔버(22)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들을 한 번에 하나씩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가열 조립체(20)는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에어로졸을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챔버(22)는 가열 챔버로 간주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가열되거나, 조사되거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에너자이징될 때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재료이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활성 물질 및/또는 향료들을 함유할 수 있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고체, 액체 또는 겔의 형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비정질 고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대안적으로 "모놀리식 고체"(즉, 비섬유성)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정질 고체는 건조된 겔일 수 있다. 비정질 고체는 내부에 액체와 같은 소정의 유체를 보유할 수 있는 고체 재료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약 50wt%, 60wt% 또는 70wt%의 비정질 고체 내지 약 90wt%, 95wt% 또는 100wt%의 비정질 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들 및/또는 향료들,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형성기 재료들, 및 옵션으로서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는 소모품 내의 가열될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수용한다. 소모품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거나 그것으로 구성하는 물품이며, 그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소비되도록 의도된다. 소모품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저장 영역, 에어로졸 생성 재료 전달 구성요소, 에어로졸 생성 영역, 하우징, 래퍼(wrapper), 마우스피스, 필터 및/또는 에어로졸 개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은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사용 중에 에어로졸을 생성하게 하기 위해 열을 방출하는 가열기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기는 예를 들어 가연성 재료, 전기 전도에 의해 가열가능한 재료, 또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모품들은 전형적으로 세장형이고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그러나 상이한 치수들, 예컨대 상이한 길이들 및/또는 직경들을 갖는 소모품들이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가 상이한 직경들의 소모품들과 함께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도 3의 단면에 도시되어 있는 어댑터(14)를 포함한다.
어댑터(14)는 나사형 연결 부분(54), 접합 부분(abutment portion)(56) 및 수용 부분(58)을 포함한다. 나사형 연결 부분(54), 접합 부분(56) 및 수용 부분(58) 각각은 대체로 원통형이고 중공형이다. 나사형 연결 부분(54), 접합 부분(56) 및 수용 부분(58)은 공동으로 어댑터(14)의 메인 바디를 규정한다. 나사형 연결 부분(54), 접합 부분(56) 및 수용 부분(58)은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어댑터(14)는 모놀리식 구조를 포함하고, 성형 공정, 예를 들어 단발 성형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나사형 연결 부분(54)의 외부 표면에는 나사(60)가 제공되고, 따라서 나사형 연결 부분(54)은 확대된 연결 부분(38)의 암형(female)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수형(male) 연결부를 규정한다. 나사형 연결 부분(54)의 외경은 튜브형 부재(36)의 확대된 연결 부분(38)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어댑터(14)는 확대된 연결 부분(38)의 나사형 연결부(52)와 어댑터(14)의 나사형 연결 부분(54)의 연결을 통해 튜브형 부재(36)에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나사형 연결 부분(54)의 내경은 개구(48)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나사형 연결 부분(54)의 단부면은 어댑터(14)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48)에 인접한 확대된 연결 부분(38)의 면과 접한다.
접합 부분(56)은 확대된 연결 부분(38)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따라서 접합 부분(56)은 확대된 연결 부분(38)의 단부면과 접촉하여 확대된 연결 부분(38) 내로의 어댑터(14)의 과도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보어(62)가 접합 부분(56) 및 수용 부분(58)을 통해 형성되며, 보어(62)의 폭, 예를 들어 직경은 개구(48)의 폭보다 작다. 보어(62)의 정확한 치수는 어댑터(14)가 함께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소모품에 의존할 것이지만, 보어의 전형적인 직경은 5 내지 5.0mm의 범위 또는 6.5 내지 7.0mm의 범위일 수 있다. 보어(62)에는 테이퍼형 입구가 제공되고, 이는 보어(62)를 통한 소모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어댑터(14)가 튜브형 부재(36)에 연결되는 사용중 구성(in-use configuration)이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어댑터(14)는 확대된 연결 부분(38)의 나사형 연결부(52)와 어댑터(14)의 나사형 연결 부분(54)의 맞물림에 의해 튜브형 부재(36)의 확대된 연결 부분(38)에 연결되고, 접합 부분(56)은 확대된 연결 부분(38)의 단부면들과 맞물린다. 일부 예들에서, 맞물림은 어댑터(14)가 하우징(16)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반면, 다른 예들에서 맞물림은 어댑터(14)가 하우징(16) 내에 내부적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후자의 예에서, 하우징(16)은 어댑터(14)의 삽입 및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제거 가능한 단부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소모품(64)은 보어(62)를 통해 개구(48)를 통해 챔버(22) 내로 삽입된다. 소모품(64)의 제1 단부(66)는 테이퍼형 벽(44)과 접촉하는 반면, 제1 단부(66)로부터 이격된 소모품의 메인 바디의 일부는 보어(62) 내에 유지된다. 따라서, 소모품(64)은 보어(62) 및 테이퍼형 벽(44)을 통해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다. 테이퍼형 벽(44) 및 어댑터(14)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가 소모품들을 단단하게 유지하면서 상이한 폭들, 예를 들어 상이한 직경들의 소모품들과 함께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보어(62)가 개구(48)의 폭보다 작은 폭, 예를 들어 직경을 가짐에 따라, 어댑터(14), 특히 어댑터(14)의 메인 바디는 개구(48)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고, 소모품(64)은 챔버(22)의 벽과 소모품(64) 사이에 갭이 존재하도록 지지된다. 이것은 소모품(64)과 챔버(22)의 벽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억제할 수 있고, 이는 소모품(64)의 챔버(22)로부터의 삽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로부터, 어댑터(14)는 서셉터(34)가 위치되는 영역인 챔버(22)의 주요 부분(23)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따라서 챔버(22)가 가열되는 영역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위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어댑터(14)가 챔버(22)의 벽보다, 예를 들어 튜브형 부재(36)보다 작은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어쨌든, 사용 중인 어댑터(14)의 변형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예들에서 어댑터(14)는 300℃ 초과의 융점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이것은 어댑터(14)가 사용 중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의 정상 동작 온도들을 견딜 수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어댑터(14)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PEEK는 비교적 고가의 재료일 수 있고, 따라서 다른 예들에서 어댑터는 폴리옥시메틸렌(아세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14)를 폴리옥시메틸렌(아세탈)으로 형성하는 것은 또한 PEEK로부터 형성된 대응하는 어댑터보다 나사형 연결 부분(54)의 더 쉬운 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이한 치수들, 예를 들어 상이한 길이들 및/또는 직경들을 갖는 소모품들이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가 상이한 직경들을 갖는 추가 소모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2 어댑터(68)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0)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2 어댑터(68)는 도 5에 제1 어댑터(14)와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제2 어댑터(68)는 제1 어댑터(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보어(62)의 폭, 즉 직경만 상이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댑터(14)는 6.5 내지 7.0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 보어(62)를 갖는 반면, 제2 어댑터(68)는 5.0 내지 5.5mm의 범위의 직경을 갖는 보어(62)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어댑터(14) 및 제2 어댑터(68)는 상이한 정도로 개구(48)를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상이한 직경들을 갖는 소모품들의 개구(48) 내로의 삽입을 허용할 수 있다. 테이퍼형 벽(44)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2)가 상이한 직경들의 소모품들을 수용하도록 더 허용할 수 있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임의의 수의 어댑터들이 제공될 수 있고, 각각의 어댑터가 내부에 상이한 직경의 소모품을 유지하도록 치수가 설정된 보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이한 소모품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만이 어댑터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청구된 특징들을 이해하고 교시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만 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로서 제공되고, 포괄적 및/또는 배타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에 대한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적절한 조합들을 적합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하거나,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 않았지만 미래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6)

  1.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는 챔버, 및 상기 소모품이 상기 챔버 내에 위치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aerosol provision device) ― 상기 챔버는 상기 소모품이 상기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개구를 포함하는 근위 단부, 및 상기 개구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챔버의 중심 축을 향해 테이퍼링되는 테이퍼형 벽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를 가짐 ―;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어댑터(adapter)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개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개구에 대해 위치결정 가능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개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개구에 대해 위치결정 가능한 메인 바디, 및 상기 소모품이 상기 개구 내로 삽입 가능한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보어는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보어는 상기 개구의 최대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는 5.0 내지 5.5mm의 범위의 폭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는 6.5 내지 7.0mm의 범위의 폭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6. 제3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보어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주요 부분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제1 나사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제2 나사형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나사형 연결부는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어댑터를 위치하기 위해 상기 제2 나사형 연결부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300℃ 초과의 융점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9.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폴리옥시메틸렌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벽은 상기 어댑터의 재료보다 큰 내열성을 갖는 재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어댑터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어댑터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상이한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어댑터는 상기 개구를 부분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개구에 대해 위치결정 가능한 메인 바디, 및 상기 소모품이 상기 개구 내로 삽입 가능한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보어는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되고, 각각의 어댑터의 상기 보어는 상이한 폭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소모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4.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기는 상기 소모품이 상기 챔버 내에 위치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소모품에 열을 가하기 위한 가열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5.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로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는 챔버, 상기 소모품이 상기 챔버 내에 위치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기 ― 상기 챔버는 상기 소모품이 상기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개구를 포함하는 근위 단부, 및 상기 개구로부터 거리를 두고 상기 챔버의 중심 축을 향해 테이퍼링되는 테이퍼형 벽을 포함하는 원위 단부를 가짐 ―;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상기 어댑터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6. 어댑터로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하는 소모품을 수용하는 챔버, 및 상기 소모품이 상기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개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에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챔버 내로 삽입 가능한 소모품의 최대 폭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어댑터.
KR1020237026451A 2021-02-03 2022-01-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301417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2101461.8 2021-02-03
GBGB2101461.8A GB202101461D0 (en) 2021-02-03 2021-02-03 Aerosol provision system
PCT/EP2022/050684 WO2022167194A1 (en) 2021-02-03 2022-01-13 Aerosol provis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785A true KR20230141785A (ko) 2023-10-10

Family

ID=7486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451A KR20230141785A (ko) 2021-02-03 2022-01-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14957A1 (ko)
EP (2) EP4353102A2 (ko)
JP (1) JP2024504418A (ko)
KR (1) KR20230141785A (ko)
CN (1) CN116761523A (ko)
GB (1) GB202101461D0 (ko)
WO (1) WO20221671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840B1 (en) * 2002-02-15 2003-09-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Electrical smoking system and method
IL277293B (en) * 2011-11-21 2022-08-01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xtraction device for a substrate that produces a spray, a device for producing a spray that includes an extraction device and an extraction device
GB201705888D0 (en) * 2017-04-12 2017-05-2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pparatus for volatilising smokable material and a smoking article
CN108451028A (zh) * 2018-01-22 2018-08-28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松脱机构、气雾产生装置、松脱方法及发烟制品
KR102447360B1 (ko) * 2018-04-25 2022-09-2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09090043U (zh) * 2018-07-05 2019-07-12 深圳市艾维普思科技有限公司 电子烟
GB201903251D0 (en) * 2019-03-11 2019-04-2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14957A1 (en) 2024-04-11
GB202101461D0 (en) 2021-03-17
JP2024504418A (ja) 2024-01-31
CN116761523A (zh) 2023-09-15
EP4353102A2 (en) 2024-04-17
WO2022167194A1 (en) 2022-08-11
EP4287861A1 (en)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0397B2 (ja) モジュール式誘導ヒーター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KR20210131366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EP3817609A1 (en) Aerosol-generating consumable
EP3993652B1 (en) An inductive heating arrangement having an annular channel
KR20220050923A (ko)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모품
KR20230141785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WO2022263658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N117813022A (zh) 气溶胶生成装置
CN117813023A (zh) 气溶胶生成装置
JP2024521971A (ja) エアロゾル生成デバイス
WO2024094501A1 (en) Heater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4094650A1 (en) Heater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3052369A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4083851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409450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eater
WO2023117901A1 (e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4094641A1 (en) Heater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2167429A1 (en) Non-combustible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4094648A1 (en) Heater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4094643A1 (en) Heater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
CN117222331A (zh) 不可燃气溶胶供应装置
WO2023117991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4094503A1 (en) Heater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
WO2023094293A1 (en) Apparatus for heating aerosol generating material
WO2023117948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