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488A -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반의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반의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488A
KR20230141488A KR1020230032783A KR20230032783A KR20230141488A KR 20230141488 A KR20230141488 A KR 20230141488A KR 1020230032783 A KR1020230032783 A KR 1020230032783A KR 20230032783 A KR20230032783 A KR 20230032783A KR 20230141488 A KR20230141488 A KR 20230141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weight
nucleating agent
masterbatch
cla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리니바스 라오 파다다
프라빈 고팔 카담
베넷 첼리안
라마찬드라라오 보자
Original Assignee
힌두스탄 페트롤리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힌두스탄 페트롤리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힌두스탄 페트롤리움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4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48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83Nucleating agents promoting the crystallisation of the polymer matrix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0/00Masterbatc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기반 핵제 마스터배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스터배치는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60 wt.%의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HETA) 기반 핵제 및 40 내지 99.9 wt.% 부의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핵제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여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 제조를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는 모든 등급의 폴리프로필렌에 첨가할 수 있고, 취급 동안에 흡입 위험을 일으키지 않으며, 베이스 폴리프로필렌에서 분산성이 향상된 마스터배치라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반의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의 제조 방법{A PROCESS FOR PREPARATION OF BIS-2-HYDROXYETHYLENE TEREPHTHALATE BASED NUCLEATED POLYPROPYLENE MASTERBATCH}
본 발명은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nucleated polypropylene masterbatch)의 제조를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핵제(nucleating agent)로서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is-2-hydroxyethylene terephthalate, BHETA)와 함께 폴리프로필렌을 용융 혼합하여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핵제는 완성된 폴리머의 기계적 특성 및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폴리머 제조 동안에 첨가되는 첨가제 세트이고; 또는 더 빠른 결정화 속도를 제공한다. 현재 핵제는 결정화를 개시하고 생산 속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그 어느 때보다 수요가 월등하게 많다. 충분한 양의 핵제는 구결정(spherulites)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핵제 시장은 플라스틱 및 폴리머 제조 산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강도를 높이고, 결정화 속도를 높여 사이클 시간을 줄이고, 플라스틱 및 기타 폴리머의 정화(clarification)를 개선시키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핵제는 플라스틱 및 폴리머 제조 산업과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장 산업(packaging industry)의 성장은 플라스틱 및 폴리머를 위한 글로벌 핵제 시장을 주도하는 핵심 요소로 고려된다.
Nils et al.에 따른 연구 논문 명칭 'Organic Compound as Both Plasticizer and Nucleating Agent'에서 BHET의 가소화(plasticizing) 및 핵형성 효과의 조합이 폴리-l-락타이드(poly-l-lactide, PLA)의 제어된 가공성 및 성능을 위한 다용도 첨가제를 형성하는 것을 개시한다(Nils , Manta Roy, Sarah Saidi, Gijs de Kort, Daniel Hermida-Merino, and Carolus H. R. M. Wilsens; ACS Omega 2019 4 (6), 10376-10387; DOI: 10.1021/acsomega.9b00848).
US20030236332A1는 다음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제형(thermoplastic formulation)을 핵화(nucleating)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용융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제형을 제공하는 단계 a); 적어도 하나의 비사이클릭 화합물(bicyclic compound) 및 적어도 하나의 모노사이클로 지방족 화합물(monocycloaliphati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단계 "a" 의 제형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용해되는 화합물 및 적어도 하나의 유기염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도입하는 단계 b); 및 단계 "b"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냉각시켜 유핵 열가소성 플라스틱 물품(nucleated thermoplastic article)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유핵 열가소성 플라스틱 물품은 내부에 어떠한 핵제도 없는(free) 동일한 열가소성 플라스틱 물품의 것보다 초과하는 피크 결정화 온도를 나타낸다.
WO2010104628A1은 필름에 사용되는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개시하고, 상기 마스터배치는 적어도 10 중량% 내지 97 중량%의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90 중량% 내지 3 중량%의 첨가제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i) 탄화수소 수지, 상기 수지는 폴리올레핀 보다 더 낮은 분자량(molecular weight)을 가짐, 및 (ii) 상기 핵제가 없는 상기 첨가제 조성물 및 상기 폴리올레핀의 블렌드에 비교하여 상기 폴리올레핀의 결정화 온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핵제.
따라서, 필요한 것은, 요구되는 농도를 획득하기 위해 어떠한 등급의 폴리프로필렌에 첨가될 수 있는 핵제로서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HETA)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 핵제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핵제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PP)의 마스터배치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핵제로서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BHETA)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 (PP)의 마스터배치를 생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유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개시한다:
a) 1.5 내지 40 g/10 minute 범위의 용융 흐름 지수(melt flow index)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b) 핵제; 및
c)선택적으로, 분산제(dispersing agent), 상기 분산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폴리프로필렌은 호모폴리머(homopolymer)이고, 40 중량% 내지 99.9 중량%(wt.%)의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상기 핵제는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HETA)이고, 0.1 중량% - 60 중량%(wt.%)의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BHETA는 폐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의 해중합(depolymerization)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상기 분산제는 tween 20, span 60, span 80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0.01 중량% 내지 10 중량%(wt.%)의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i. 폴리프로필렌과 핵제를 혼합하고, 선택적으로 분산제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ii. 단계 i)에서 획득한 반응 혼합물을 호퍼를 통해 압출기 내로 공급하는 단계;
iii. 압출기의 공급 구역(feeding zone)에서 다이 구역(die zone)까지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iv. 압출기에서 나오는 압출물을 수조를 이용하여 냉각한 이후 과립화(granulation)하는 단계;
v. 단계 iv)에서 획득한 과립(granules)을 건조하여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를 획득하는 단계.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호모폴리머 및 40 중량% 내지 99.9 중량%(wt.%)의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상기 핵제는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HETA)이고, 0.1 중량% - 60 중량%(wt.%)의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상기 압출기는 이축 압출기이고, 마스터배치는 배치 믹서(batch mixer), 마이크로-컴파운더(micro-compounder), 일축 압출기(single screw extruder) 또는 임의의 다른 가공 장비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단계 iii)에서 온도는 150 ℃ - 300 ℃ 범위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단계 iv)에서 수조(water-bath)의 온도는 25 ℃ 내지 30 oC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단계 v)에서 건조는 90 ℃ - 110 ℃의 온도 및 약 2-3 시간 동안 오븐에서 수행되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농도를 변화시키도록 더 희석하고, 상기 희석은 배치 믹서, 마이크로-컴파운더, 일축 압출기 또는 다른 처리 장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핵제의 농도는 폴리프로필렌에서 250 ppm - 20000 ppm의 범위로 희석하여 핵화된 폴리프로필렌(nucleated polypropylene)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및/또는 임의의 다른 알켄 또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할로-알켄과의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도 1a는 제조된 실시예들에 대해 획득된 광학 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a에서 실시예 2, 실시예 5, 실시예 8, 실시예 10,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에서 iPP에 대해 획득한 광학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b는 폴리프로필렌과 핵제를 혼합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a) 1.5 g/10 minute 내지 40 g/10 minute 범위의 용융 흐름 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b) 핵제; 및
c) 선택적으로, 분산제, 상기 분산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호모폴리머이고, 40 중량% 내지 99.9 중량%(wt.%)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핵제는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HETA)이고, 0.1 중량% - 60 중량%(wt.%)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BHETA는 폐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의 해중합(depolymerization)으로부터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분산제는 tween 20, span 60, span 80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0.01 중량% 내지 10 중량%(wt.%)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i. 핵제와 함께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분산제를 첨가한다;
ii. 단계 i) 단계에서 획득한 반응 혼합물을 호퍼를 통해 압출기(extruder) 내로 공급하는 단계;
iii. 상기 압출기의 피드 영역(feeding zone)에서 다이 영역(die zone)까지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iv. 압출기로부터 나오는 압출물을 수조를 이용하여 냉각시키면서 과립화시키는 단계;
v. 단계 iv)에서 획득한 과립(granules)을 건조하여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를 획득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호모폴리머이고, 40 중량% 내지 99.9 중량%(wt.%) 범위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핵제는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BHETA)이고, 0.1 중량% - 60 중량%(wt.%)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출기는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이고, 마스터배치는 배치 믹서, 마이크로-컴파운더, 일축 압출기 또는 다른 가공 장비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단계 iii)의 온도는 150 ℃ - 300 ℃의 범위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단계 iv)에서 상기 수조의 온도는 25 ℃ - 30℃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단계 v)의 건조는 90 ℃ - 110 ℃의 온도에서 약 2-3 시간 동안 오븐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은 압출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농도로 더 희석되고, 상기 희석은 배치 믹서, 마이크로-컴파운더, 일축 압출기 또는 다른 가공 장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핵제의 농도는 폴리프로필렌 내에서 250 ppm - 20000 ppm 범위로 희석하여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이고 및/또는 임의의 다른 알켄 또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할로-알켄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폐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의 해중합(depolymerization)으로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는 것은 "More et al. (More, A.P., Kute, R.A. and Mhaske, S.T., 2014. Chemical conversion of PET waste using ethanolamine to bis (2-hydroxyethyl) terephthalamide (BHETA) through aminolysis and a novel plasticizer for PVC. Iranian Polymer Journal, 23(1), pp.59-67.)"의 방법론에 따라 수행된다.
핵제는 폴리프로필렌(PP)에 첨가되고 마스터 배치를 제조한다. 상기 마스터배치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제조된 마스터배치는 어떠한 등급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에 첨가될 수 있음
· 취급 중에 파우더의 흡입이 없음
· 취급이 용이함
· 필요한 농도로 희석하는 동안 PP에서 더 좋은 분산.
사용된 재료:
MFI 12.5 g/10 min, 및 밀도 0.9 g/cm3 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iPP), 에탄올 아민(Ethanol amine) 및 아연 아세테이트(zinc acetate )는 M/s Sigma Aldrich에서 구입하였다. 시장에서 수집한 폐기된 PET 병, 라벨 및 캡을 제거하고 비누 용액(soap solution)으로 세척하고 잘 건조시켰다. 병을 절단기를 사용하여 플레이크로 절단하고 획득한 플레이크는 해중합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모든 화학물질은 추가 변형 또는 정제 없이 수득된 그대로 사용하였다.
폴리머 가공:
마스터배치 제조 방법론:
iPP 및 제조된 제형의 압출은 스크류 직경이 30 mm이고, L/D가 48/1이고, 8개 가열 구역이 장착된 동시회전 이축 압출기(co-rotating twin-screw extruder; M/s. Boolani Engineering Corporation, Mumbai, India) 상에서 수행하였다. 처음에, PP는 5 min 내지 20 min 동안 고속 혼합기에서 핵제와 예비 혼합한 다음에 호퍼를 통해 압출기로 공급하였다. 압출기 내의 온도 프로파일은 공급 구역에서 다이 구역까지 160 ℃ 내지 230 ℃의 온도를 유지되었다. 피더 스크류 및 압출기 스크류 속도는 각각 10 rpm 및 225 rpm에서 설정하였다. 압출물을 수조(지속적인 물순환으로 25℃으로 유지됨)를 통과시켜 냉각시키고 이어서 펠릿화하였다.
획득된 펠릿은 사출 성형 전에 105 ℃에서 약 2-3 시간 동안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언급된 마스터배치는 또한 배치 믹서, 마이크로-컴파운더, 일축 압출기 또는 다른 처리 장비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핵제 마스터배치는 0.1 중량%(wt.%) 내지 60 중량%(wt.%)의 범위의 핵제 농도로 제조될 수 있다; 반면에,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기 위해서, 제조된 마스터배치는 250 ppm 내지 20000 ppm 농도로 희석될 수있다. 본 개시에서 마스터배치 내의 핵제의 농도는 10 wt.%에서 유지되었다.
마스터배치의 희석 및 샘플 제조:
500 ppm, 1000 ppm 및 2000 ppm의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기 위한 마스터배치의 희석은 다음을 이용하는 3가지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 이축 압출 공정(Twin-screw extrusion process)
· 일축 압출 공정(Single-screw extrusion process)
· 배치 혼합 공정(Batch mixing process)
이축-압출 공정(Twin-screw extrusion process):
500 ppm 내지 2000 ppm의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기 위한 마스터 배치의 희석은 마스터배치 제조 방법론 하에서 압출 공정에 대해 언급된 것과 유사한 가공 조건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일축 압출 공정(Single-screw extrusion process):
iPP 및 제조된 마스터배치의 압출은 스크류 직경이 20 mm, L/D가 30/1이고, 4개의 가열 영역이 장착된 일축 압출기(single-screw extruder, Dr. Collins, Germany)에서 수행되었다. 처음에, PP를 고속 혼합기에서 핵제 마스트배치와 5 min 내지 20 min 동안 예비혼합한 다음에 호퍼를 통해 일축 압출기 내로 공급하였다. 압출기에서 온도 프로파일은 공급 영역에서 다이 영역(die zone)까지 160 ℃ 내지 230 ℃로 유지되었다. 압출기 스크류 속도는 60 rpm으로 설정하였다. 압출물을 수조(지속적인 물 순환으로 25 ℃로 유지됨)를 통과시켜 냉각시키고, 후속적으로 펠릿화하였다. 획득한 펠릿은 사출 성형 전에 105 ℃에서 약 2-3 시간 동안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사출 성형 공정(Injection Molding process)
사출 성형(M/s. Aurburg All Rounder 410C, Germany)은 호퍼로부터 배출 노즐(ejection nozzle)까지 190 ℃ 내지 230 ℃의 온도 프로파일을 유지하여 수행되었다. 사출 압력, 보압(packing pressure) 및 냉각 시간은 성형 공정 전반에 걸쳐 각각 240 bar, 1000 bar, 및 20 s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배치 혼합 공정:
배치 혼합은 밴버리 배치혼합 챔버(banbury batchmixing chamber; M/s. HAAKE™ PolyLab™ OS system)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핵제 마스터배치 / 폴리프로필렌 프리 믹스(polypropylene pre-mix)의 첨가한 이후 배치혼합(batchmixing)은 230 oC 및 60 rpm에서 15 min 동안 계속하였다. 획득된 믹스는 압출 성형 전에 105 ℃ 및 약 2-3 시간 동안 오븐에서 건조되었다.
압축 성형(Compression molding):
압출된 펠릿을 먼저 고온 압반(hot platens (0 psi))과 5분 동안 가볍게 접촉시켜 용융시킨 이후 230 ℃에서 15 min 동안 압축 성형한 다음 가압 하에서 실온(room temperature)으로 냉각하였다.
시험 및 특성화
용융 흐름 지수(Melt Flow Index, MFI)는 ASTM D1238에 따라 결정되었다. 인장 특성[tensile strength (TS) 및 항복 연신율(percentage elongation at yield, (E@Y)] 및 굴곡 특성 [굴곡탄성율(flexural modulus (FM))]은 각각 ASTM D638 및 D790에 따라 측정되었다. 쇼어 D 경도(Shore D hardness, SD)는 ASTM D2240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차 주사 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시험은 ASTM D3418에 따라 수행하였다. 백분율 결정화(Percentage crystallinity)는 Brzozowska-Stanuch et al.(Brzozowska-Stanuch, A., Rabiej, S., Fabia, J. and Nowak, J., 2014. Changes in thermal properties of isotactic polypropylene with different additives during aging process. Polimery, 59(4), pp.302-307)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에 따라 DSC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제조된 조성물의 열 변형 온도(Heat Deflection Temperature, HDT) 및 VICAT 연화 온도(VICAT Softening Temperature, VSP)는 각각 ASTM D648 (Method A) 및 D1525 (Method A)에 따라 결정하였다.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의 구결정 형태(spherulite morphology)는 자동 핫 스테이지 열 제어 기능(automatic hot stage thermal control)을 갖는 Leica DMLP (M/s. Linkam Scientific Instruments, Britain) 편광 광학 현미경(Polarized optical microscope)에 의해 약 0.1 mm 박막 상에서 연구되었다. 샘플을 두 개의 현미경 커버 유리 사이에 끼우고 230 ℃에서 5 min 동안 녹여 열 이력(thermal history)을 제거한 다음 10 ℃/min의 속도에서 상온(room temperature)까지 냉각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은, BHETA 핵제 마스터배치 및 이의 후속 폴리프로필렌 내에서 희석은 이축 압출 공정(twin-screw extrusion process)을 사용하여 수용되고, 샘플은 사출 성형 공정(injection molding process)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1000 g의 iPP에 5.0 g (0.50 phr)의 BHETA-MB(MB: masterbatch; 여기서 BHETA의 농도는 10 중량%(wt.%)에서 유지된다.)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제조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농도는 500 ppm일 수 있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1000 g의 iPP에 0.50 g (500 ppm)의 BHETA의 직접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1000 g의 iPP에 10.0 g (1.00 phr)의 BHETA-MB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제조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농도는 1000 ppm일 수 있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1000 g의 iPP에 1.00 g (1000 ppm)의 BHETA의 직접 첨가(direct addition)에 의해 제조된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1000 g의 iPP에 20.0 g (2.00 phr)의 BHETA-MB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제조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농도는 2000 ppm일 수 있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1000 g의 iPP에 2.00 g (2000 ppm)의 BHETA 직접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표 1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된 실시예에 대해 획득한 특성은 표 2 내지 4에 내열된다.
표 1: 제조된 조성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
Nucleating Agent Conc.: BHETA-MB의 첨가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최종 농도
* iPP에서 500/1000/2000 ppm의 핵제 (BHETA)의 직접 첨가
표 2: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 획득한 기계적 특성
[표 2]
표 3: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 획득한 DSC 분석 데이터.
[표 3]
표 4: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 획득한 열적 특성
실시예 4:
실시예 4는 1000 g의 iPP에 5.0 g (0.50 phr)의 BHETA-MB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제조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농도는 500 ppm일 수 있다. 일축 압출 공정(single-screw extrusion process)을 사용하여 처리된 재료 및 사출 성형 공정(injection molding process)을 사용하여 제조된 샘플.
실시예 5:
실시예 5는 1000 g의 iPP에 10.0 g (1.0 phr)의 BHETA-MB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제조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농도는 1000 ppm일 수 있다. 일축 압출 공정을 사용하여 가공된 재료 및 사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 샘플.
실시예 6:
실시예 6은 1000 g의 iPP에 20.0 g (2.0 phr)의 BHETA-MB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제조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농도는 2000 ppm일 수 있다. 일축 압출 공정(single-screw extrusion process)을 사용하여 가공된 재료 및 사출 성형 공정(injection molding process)을 사용하여 제조된 샘플.
실시예 7:
실시예 는 1000 g의 iPP에 5.0 g (0.50 phr)의 BHETA-MB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제조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농도는 500 ppm일 수 있다. 배치 혼합 공정을 사용하여 가공된 재료 및 압축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 샘플.
실시예 8:
실시예 8는 1000 g의 iPP에 10.0 g (1.0 phr)의 BHETA-MB의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제조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농도는 1000 ppm일 수 있다. 배치 혼합 공정을 사용하여 가공된 재료 및 압출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된 샘플.
실시예 9:
실시예 9는 1000 g의 iPP 내에 20.0 g (2.0 phr)의 BHETA-MB 첨가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제조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농도는 2000 ppm이다. 배치 혼합 공정을 사용하여 가공된 재료 및 압축 성형 공정(compression molding process)으로 제조된 샘플.
표 5는 실시예 4 내지 9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된 실시예에 대해 획득한 DSC 결과는 표 6에 나열된다.
5: 제조된 조성물 : 실시예 4 내지 9
[표 5]
Nucleating agent conc.: BHETA-MB 첨가시 폴리프로필렌에서 핵제의 최종 농도
표 6: 실시예 4 내지 9에 대해 획득된 DSC 특성
[표 6]
표 7은 실시예 10 내지 12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된 실시예에 대해 획득한 특성은 표 8 내에 나열된다.
실시예 10:
실시예 10는 500 ppm의 Tween 20 분산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합된 실시예 2이다.
실시예 11:
실시예 11은 500 ppm의 Span 60 분산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합된 실시예 2이다.
실시예 12:
실시예 12는 500 ppm의 Span 80 분산제(비-이온성 계면활성제)혼합된 실시예 2이다.
표 7: 제조된 조성물들: 실시예 10 내지 12
[표 7]
Nucleating agent conc.: BHETA-MB의 첨가시 폴리프로필렌에 대한 핵제의 최종 농도
표 8: 실시예 10 내지 12에 대해 획득한 DSC특성
[표 8]

Claims (15)

  1.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a) 1.5 내지 40 g/10 minute의 용융 흐름 지수 범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b) 핵제; 및
    c) 선택적으로, 분산제,
    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인,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호모폴리머이고, 40 중량% 내지 99.9 중량%(wt.%)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제는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HETA)이고, 0.1 중량% - 60 중량%(wt.%)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고, 상기 BHETA는 폐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의 해중합으로 제조되는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tween 20, span 60, span 80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0.01 중량% 내지 10 중량%(wt.%)의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5.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 조성물의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i. 핵제와 폴리프로필렌을 혼합하고, 선택적으로 분산제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ii. 단계 i)에서 수득한 반응 혼합물을 호퍼를 통해 압출기 내로 공급하는 단계;
    iii. 압출기의 공급 구역에서 다이 구역까지 온도를 유지하는 단계;
    iv. 압출기에서 나오는 압출물을 수조를 이용하여 냉각한 이후 과립화하는 단계;
    v. 단계 iv)에서 수득한 과립을 건조하여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 조성물의 제조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호모폴리머이고, 40 중량% 내지 99.9 중량%(wt.%)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핵제는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BHETA)이고, 0.1 중량% - 60 중량%(wt.%) 범위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는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이고, 상기 마스터배치는 배치 믹서, 마이크로-컴파운더, 일축 압출기 또는 임의의 다른 가공 장비에서 제조되는 것인,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상기 온도는 150 ℃ - 300 ℃ 범위에서 유지되는 것인,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단계 iv)에서 상기 수조의 온도는 25 ℃ 내지 30 ℃에서 유지되는 것인,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단계 v)에서 건조는 90 ℃ - 110 ℃의 온도에서 약 2-3 시간 동안 오븐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농도로 더 희석되고, 상기 희석은 배치 믹서, 마이크로-컴파운더, 일축 압출기 또는 임의의 다른 처리 장비에서 수행되는 것인, 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핵제의 농도를 폴리프로필렌에서 250 ppm - 20000 ppm의 범위로 희석시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는 것인, 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및/또는 임의의 다른 알켄 또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할로-알켄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인 것인, 방법.
  15. 핵제의 농도, 분산제 및 처리 방법의 변화에 의해 115 ℃ 내지 122 ℃ 범위의 결정화 온도를 나타내는 것인, 제13항의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KR1020230032783A 2022-03-30 2023-03-13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반의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의 제조 방법 KR202301414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02241019001 2022-03-30
IN202241019001 2022-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488A true KR20230141488A (ko) 2023-10-10

Family

ID=8819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783A KR20230141488A (ko) 2022-03-30 2023-03-13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반의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12873A1 (ko)
JP (1) JP2023153023A (ko)
KR (1) KR2023014148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12873A1 (en) 2023-10-05
JP2023153023A (ja)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298B1 (ko) 실리콘재료로개질된유기중합체및이의가공방법
US6281290B1 (en) Compositions, processes for making, and articles of polyolefins,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hydrocarbon resin
US6432496B1 (en) High density polyethylene films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EP2872568B1 (en) Olefin-maleic anhydride copolymer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20060177632A1 (en) Beta-nucleation concentrates for film applications
US20150051339A1 (en) Method for processing polymers and/or polymer blends from virgin and/or recycled materials via solid-state/melt extrusion
KR100269677B1 (ko) 디아세탈의육방형결정,이육방형결정을함유한핵제,이육방형결정을함유한폴리올레핀계수지조성물및성형물,및이조성물의성형방법
KR20060066713A (ko) 폴리올레핀의 제조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첨가제의 농축물
US6255395B1 (en) Masterbatches having high levels of resin
CN112708230B (zh) 具有特殊表面性质的热塑性聚乙烯醇组合物、薄膜及其制备方法
US20230312873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bis-2-hydroxyethylene terephthalate based nucleated polypropylene masterbatch
WO2024036855A1 (zh) 一种纳米增容聚丙烯聚苯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3256613A (ja) アミド化合物の結晶を微細化する方法を含む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該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成形体、及びその二次加工成形品
JP2017218471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マスターバ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マスターバッチを用いた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成形体
KR20230141487A (ko) 디우레아 화합물을 이용한 핵화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배치의 제조 방법
CN115536929B (zh) 一种高雾度hdpe消光母粒及其制备方法
CN102604192B (zh) Pe渗透膜生产专用渗透母粒及其制备方法
CN108384200B (zh) 一种快速结晶的pbat材料及其制备方法
EP3418321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granulated plasticiser formulation containing a long-chain branched alcohol and polypropylene, formulation thus obtained and process for plasticising poly(lactic acid) using this formulation
CN118165413A (zh) 一种用于3d打印的低密度聚丙烯线材
PL235295B1 (pl) Kompozyt izotaktycznego polipropylenu o kontrolowanej szybkości krystalizacji i polepszonych właściwościach optycznych oraz sposób jego otrzymywania
WO2020261258A1 (en) Polyolefin based compositions modified by silanes
CN117209989A (zh) 一种三元二氧化碳基共聚物可降解柔性薄膜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30086744A (ko) 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147854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用マスターバッチ、及び該マスターバッチを用いた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成形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