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1034A -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1034A
KR20230141034A KR1020220040079A KR20220040079A KR20230141034A KR 20230141034 A KR20230141034 A KR 20230141034A KR 1020220040079 A KR1020220040079 A KR 1020220040079A KR 20220040079 A KR20220040079 A KR 20220040079A KR 20230141034 A KR20230141034 A KR 20230141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loss
preventing
improving hai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유안
김수민
Original Assignee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22004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1034A/ko
Publication of KR2023014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0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정콩 추출물, 풋귤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탈모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air loss comprising liposomes containing a mixture of black soybean, green mandarin and turmeric extract}
본 발명은 검정콩(black soybean; Glycine max seed), 풋귤(green mandarin; Citrus reticulata fruit) 및 울금(turmeric; Curcuma longa root)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머리보호, 외향에 대한 영향, 머리의 온도유지 등 인체에서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생명유지에 중요한 기관은 아니지만, 건강상태의 척도이자 외모를 결정짓는 신체의 중요한 일부분이다.
인체의 모발은 10만 ∼ 15만개 정도로,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가지며 정상모발의 90%를 차지하는 성장기(anagen, growing phase), 생장정지와 모근이 위축되는 퇴행기(catagen, transitional phase), 모구가 건조되고 곤봉모가 되는 휴지기(telogen, resting phase) 등의 모주기(hair cycle)를 거치면서 모발은 성장과 탈모를 거듭한다. 이러한 주기는 3 ∼ 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정상적으로 하루 평균 50 ∼ 100개의 모발이 탈락하게 된다.
탈모(alopecia)는 모발의 성장 주기에서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의 탈락이 증가하고, 정상적으로 자라던 모발이 어떤 원인에 의해 빠지게 되는 현상을 일컫는다. 스트레스나 질병으로 인한 탈모가 아닌 대부분의 탈모는 모발이 영양을 잃어가며 자연스럽게 굵기가 가늘어지고 약해져서 빠지게 되고, 이런 주기가 빨라지면서 모발이 재생되지 않는 탈모가 되는 것이다. 탈모는 불균형한 식생활, 과다한 음주와 흡연, 약물복용, 수면부족, 스트레스, 출산, 환경오염, 유전, 잦은 파마와 염색, 호르몬의 불균형 등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모의 치료방법으로는 국소도포제, 경구복용제, 건강보조식품, 모발 이식수술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사용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지속적인 탈모완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약물치료의 효과도 일시적이며, 두피 혹은 피지의 생성을 오히려 가속화시키기도 한다.
탈모를 치료하기 위해서 성장기(Anagen)의 모낭세포를 증가시키고, 퇴행기(Catagen)와 휴지기(Telogen)의 세포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 탈모진행과정에서 감소하는 Wnt/β-catenin을 활성화시키고, 모발성장인자인 IGF-1, VEGF를 증가시킴으로써 모발 형성에 관여하는 세포를 분화시킨다.
현재 가장 많이 알려져있는 모발성장 촉진제제로서 미녹시딜(minoxidil, 경피도포제) 및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경구복용제) 등이 FDA 승인을 얻어 임상적으로 상용되고 있다. 특히 미녹시딜은 1970년 초에 혈관확장제로 최초로 소개되어 약물효과 이외의 부작용이 발모임이 밝혀져 현재 발모촉진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피나스테리드제제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개발로부터 유래된 5α-reductase 억제효과를 가진 탈모 억제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주로 사용되는 발모제의 약물 이상반응이 보고되고 있어 적극적 치료에 상당한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소비자가 믿고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며 탈모완화 및 발모촉진 효능이 우수한 천연 원료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10-14241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정콩(Glycine max seed) 추출물, 풋귤(Citrus reticulata fruit) 추출물 및 울금(Curcuma longa root)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검정콩은 검정콩 원물을 사용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검정콩 유박(defatted Glycine max seed)을 추출 대상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정콩(Glycine max seed) 추출물, 풋귤(Citrus reticulata fruit) 추출물 및 울금(Curcuma longa root)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검정콩은 검정콩 원물을 사용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검정콩 유박(defatted Glycine max seed)을 추출 대상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포좀'은 통상의 제조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일례로서 실시예 2에 기재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검정콩(Glycine max seed) 추출물, 풋귤(Citrus reticulata fruit) 추출물 및 울금(Curcuma longa root)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 예방 또는 개선 효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검정콩 추출물의 제조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풋귤 추출물의 제조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울금 추출물의 제조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리포좀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유효물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형태로는 화장수, 유액, 크림, 스킨, 로션, 세럼, 에센스, 에멀젼, 파우더,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클렌저, 비누, 샴푸, 린스, 입욕제, 세정제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폼(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유효물질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유효물질이 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물질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제,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화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고, 패치, 젤, 크림 또는 분무제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검정콩( Glycine max seed) 추출물의 제조
도 1의 제조 단계와 같이 검정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검정콩(Glycine max) 씨앗을 압착 착유하여 유박을 얻는다. 상기 유박 50 g에 정제수 1L 혼합 후 프로테아제로서 Protamex®(제조사: novozymes) 및 Flavourzyme®(제조사: novozymes) 각각 0.5g 혼합하여, 50℃에서 4시간 동안 효소가수분해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filter paper (Filter paper, Hyundai Micro, 1~2 ㎛)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은 우선 90℃에서 5분이상 가열하여 비활성화시킨 다음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검정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풋귤( Citrus reticulata fruit) 추출물의 제조
도 2의 제조단계와 같이 풋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풋귤 미성숙 열매(Citrus reticulata fruit) 100 g에 추출용매로 증류수 900 mL을 넣고 shaking water bath(KMC-1205SW1, Vision, 대전, 한국)에서 90℃, 3시간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filter paper (Filter paper, Hyundai Micro, 1~2 ㎛)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풋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울금( Curcuma longa root) 추출물의 제조
도 3의 제조 단계와 같이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울금(Curcuma longa) 뿌리 100 g에 추출용매로 증류수 900 mL을 넣고 shaking water bath(KMC-1205SW1, Vision, Daejeon, Korea)에서 90℃, 3시간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상기 추출액을 filter paper (Filter paper, Hyundai Micro, 1~2 ㎛)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한 여과액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검정콩( Glycine max seed) 추출물, 풋귤( Citrus reticulata fruit) 추출물 및 울금( Curcuma longa root) 추출물 혼합물의 제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3종 추출물과 부틸렌글라이콜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물 시료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검정콩 추출물 0.1 중량%, 풋귤 추출물 0.1 중량%, 울금 추출물 0.1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1> 검정콩 추출물 시료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검정콩 추출물 0.3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2> 풋귤 추출물 시료의 제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풋귤 추출물 0.3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3> 울금 추출물 시료의 제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울금 추출물 0.3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4> 검정콩 추출물 및 풋귤 추출물 포함 시료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검정콩 추출물 0.15 중량%,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풋귤 추출물 0.15 중량% 및 부틸렌글라이콜 4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5> 검정콩 추출물 및 울금 추출물 포함 시료의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검정콩 추출물 0.15 중량%,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울금 추출물 0.1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40 중량% 및 정제수 잔량을 혼합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실험예 1> 인간모유두세포 세포생존율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준비한 시료를 인간모유두세포에 처리하여 세포생존율을 평가하여, 탈모 효능을 알아보았다.
WST(high sensitivity water soluble tetrazolium salts)는 세포 내의 디하이드로게나제(dehydrogenase)와 반응하여 포르마잔(formazan)을 생성한다. 따라서 살아있는 세포가 많을수록 포르마잔의 생성이 많아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며, 이를 이용하여 세포의 독성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시험에 사용한 인간모유두세포(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제조사: Promo cell)는 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Growth Medium (제조사: PromoCell)에 Fetal Calf Serum, Bovine Pituitary Extract,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nsul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시켰다.
배양된 세포는 96-웰 플레이트에 5 X 103개로 나누어 분주하여 80% 이상 배양되었을 때 시료를 5가지 농도로 처리한 후 24,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에 WST 기질 용액(모델명: CCK-8; 제조사: Dojindo)을 넣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Microplate reader (VARIOSKAN LUX, Thermo Fisher Scientific)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OD)를 측정하고, 아래의 식에 의해 계산하여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세포생존율(%)= (ODexp-ODblnk)/(ODcon-ODblnk) X 100
- blank(blnk): WST 기질을 포함하는 배지
- Control(con, 음성대조군): 시료 비처리군
- Experiment(exp, 실험군): 시료 처리군
시료처리 후 배양시간(h) 시료 처리농도 (ppm)
0 3.125 6.25 12.5 25
실시예 1(검정콩+풋귤+울금) 24 100.000 106.365 112.566 128.214 146.729
48 103.856 108.131 119.789 164.493
비교예 1(검정콩) 24 102.854 104.135 109.269 121.583
48 98.412 100.889 104.887 116.518
비교예 2(풋귤) 24 101.544 102.178 104.216 109.326
48 100.654 101.524 102.558 104.213
비교예 3(울금) 24 101.958 103.569 106.312 112.258
48 100.998 102.007 103.441 107.481
비교예 4(검정콩+풋귤) 24 103.254 108.269 113.458 131.257
48 101.303 104.210 108.558 120.087
비교예 5(검정콩+울금) 24 103.026 109.007 118.859 133.251
48 101.227 105.334 115.589 128.887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5 대비 실시예 1의 3종 추출물 콤플렉스 시료의 경우 인간모유두세포 생존율이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25 ppm 처리농도에서 시료처리 배양 24시간 후 대비 48시간 후에 비교예 1 내지 5는 모두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실시예 1의 경우 24시간 후 대비 48시간 후에 세포 생존율이 더욱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피부 자극성 평가
실시예 1 시료의 피부 자극성을 평가하여 안전성을 알아보았다.
실시예 1의 시료를 1% 희석액 상태로 준비하여, 성인 31명을 대상으로 하여 24시간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패치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에 각각 일차 피부자극 유무를 피부과 전문의가 판정하였다.
피부 자극성 점수 시스템은 하기와 같이 하였다.
<피부 자극성 점수 시스템 표>
연구 대상자들의 피부 반응 점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자극지수를 계산하였다.
평균 자극 지수를 산출한 후 Draiz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 및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andard Procedur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을 응용한 다음 결과 판정표에 따라 자극성의 정도를 판정한다.
자극 지수 자극성 평가
0≤ <0.02 무자극
0.02≤ <0.25 저자극
0.25≤ <1 경자극
1≤ <2.5 중자극
2.51≤ 강자극
피부반응 판정은 ICDRG(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기준 및 PCPC(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였으며, 31명 연구대상자들의 피부반응 점수를 이용하여 자극 지수를 산출한 결과 피부자극 지수 0.027점을 얻어, 저자극 시료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검정콩( Glycine max seed) 추출물, 풋귤( Citrus reticulata fruit) 추출물 및 울금( Curcuma longa root) 추출물 혼합물을 포함하는 리포좀의 제조
도 4에 나타낸 제조공정으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A상) 및 유상(B상)을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각각 준비하고 72℃로 가온하였다. 유상(B상)을 수상(A상)에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한 다음, 30℃까지 냉각, 탈기(deaeration), 및 여과 과정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고압 유화기로 700bar 조건에서 분산을 3회 반복하여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리포좀은 'BGT Liposome'으로 명명하였다.
화장료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화장료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장료 제조예 1> 유연 화장수의 제조
유효물질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중량부
알란토인 0.10 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중량부
시트르산 0.01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 0.02 중량부
글리세레스-26 1.00 중량부
알부틴 2.00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중량부
에탄올 30.0 중량부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화장료 제조예 2> 영양 크림의 제조
유효물질 1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7.00 중량부
글리세린 1.00 중량부
D-판테놀 0.10 중량부
식물 추출물 3.20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0 중량부
PEG-40 스테아레이트 1.20 중량부
스테아르산 2.0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50 중량부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0 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0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 3.00 중량부
미네랄오일 4.00 중량부
스쿠알란 3.80 중량부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0 중량부
식물성오일 1.80 중량부
디메치콘 0.40 중량부
디포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피부 외용제의 제조예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함유시킨 몇몇 제제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부 외용제 제조예 1> 분무제의 제조
유효물질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분무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 향을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고 멸균시켜 분무제를 제조하였다.
<피부 외용제 제조예 2> 젤제의 제조
유효물질 100 mg
에탄올 10 g
글리세린 4 g
프로필렌글리콜 4 g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 g
카르복시폴리머 0.3 g
트리에탄올아민 0.3g
산화방지제 적량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적량
통상의 젤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향료를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젤제를 제조하였다.
<피부 외용제 제조예 3> 연고제의 제조
유효물질 100 mg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 g
자가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2 g
스테아린산 1 g
밀납 4 g
스쿠알란 7 g
모노스테아린 글리세린 3 g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 g
폴리솔베이트 80 3 g
글리세린 5 g
프로필렌글리콜 4 g
향료 적량
바세린 잔량
통상의 연고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바세린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향료를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연고제를 제조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검정콩(Glycine max seed) 추출물, 풋귤(Citrus reticulata fruit) 추출물 및 울금(Curcuma longa root)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콩 추출물은 검정콩 유박(defatted Glycine max seed)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유액, 크림, 스킨, 로션, 세럼, 에센스, 에멀젼, 파우더,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클렌저, 비누, 샴푸, 린스, 입욕제, 세정제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검정콩(Glycine max seed) 추출물, 풋귤(Citrus reticulata fruit) 추출물 및 울금(Curcuma longa root)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콩 추출물은 검정콩 유박(defatted Glycine max seed)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치, 젤, 크림 또는 분무제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220040079A 2022-03-31 2022-03-31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41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079A KR20230141034A (ko) 2022-03-31 2022-03-31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079A KR20230141034A (ko) 2022-03-31 2022-03-31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034A true KR20230141034A (ko) 2023-10-10

Family

ID=8829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079A KR20230141034A (ko) 2022-03-31 2022-03-31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10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75B1 (ko) 2012-12-26 2014-08-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검은콩, 하수오, 감태 및 다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 및 발모 효능이 증진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175B1 (ko) 2012-12-26 2014-08-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검은콩, 하수오, 감태 및 다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 및 발모 효능이 증진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3963B2 (ja) エストロゲン様作用剤、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線維芽細胞増殖剤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5400A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두피케어조성물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JPH0892057A (ja) コーヒーノキ種子抽出物配合化粧料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EP1768684B1 (fr) Composition comprenant un extrait de lotus bleu pour le traitement des contractions musculaires faciales incontrôlees
KR20080031156A (ko) 헤어 토닉
JP2002370922A (ja) 梅抽出物を含む化粧品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90137328A (ko)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08531550A (ja) クエン酸、亜鉛およびアルギニンからなる皮膚線条予防および治療用組成物
KR102602321B1 (ko)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증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20230141034A (ko) 검정콩, 풋귤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096050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2002249772A (ja) 抗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1081038A (ja) 活性酸素消去剤、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食品
EP2699227B1 (fr) Complexe d&#39;extraits végétaux pour la protection de la peau.
JP2000256175A (ja) 化粧料組成物
KR101762314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060007083A (ko) 람부탄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람부탄추출방법
JPH0987135A (ja) 皮膚外用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