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420A - 쉐이커 - Google Patents

쉐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420A
KR20230140420A KR1020230040070A KR20230040070A KR20230140420A KR 20230140420 A KR20230140420 A KR 20230140420A KR 1020230040070 A KR1020230040070 A KR 1020230040070A KR 20230040070 A KR20230040070 A KR 20230040070A KR 20230140420 A KR20230140420 A KR 20230140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haker
inner lid
main body
fig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바 다카히로
오카베 야스유키
아라키 겐이치로
고자와 미쓰요
타마키 아야코
아키야마 마미
호자키 히카루
Original Assignee
니혼 야마무라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셔널 호스피탈 오가니제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야마무라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내셔널 호스피탈 오가니제이션 filed Critical 니혼 야마무라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4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42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6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with a vibrating receptac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5Closure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receptacles; Operating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트로미 첨가 작업과 같은 혼합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혼합에 사용하는 기구 등을 줄여 그 준비나 뒷정리 작업의 생력화에도 도움이 되는 쉐이커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중공의 본체(1)에 대한 뚜껑(2)의 개폐가 가능하고, 그 내부 공간에 투입된 재료의 혼합을 위해, 닫힌 상태에서 흔들기 동작이 가능한 쉐이커(S)로서, 닫힌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계량 수단(18)이 상기 뚜껑(2)에 적어도 하나는 설치된다.

Description

쉐이커{SHAKE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연하 장애인에게 제공하는 음료 등에 적정량의 트로미제를 혼합하기 위해 사용하는데 적합한 쉐이커에 관한 것이다.
모르고 잘못 삼키는 것, 즉 오연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연하 장애인의 음식물(물, 차, 된장국 등)에 트로미제를 첨가할 경우, 음식물에 적당량의 트로미제를 첨가·혼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이러한 트로미의 첨가는 계량 스푼으로 계량한 트로미제를 컵이나 음료 등의 용기 내의 음식물에 투입 후, 계량 스푼이나 계량 스푼과는 별도로 준비한 교반용 스푼을 사용한 젓는 작업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예를 들어, 농후 유동식과 같이 트로미를 첨가하기 어려운 음식물의 경우에는 젓고 나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5분)이 경과한 후, 추가로 저어줄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계량 스푼을 사용하여 젓기 작업을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계량 스푼은 소형이고, 높은 교반 성능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과 트로미제가 충분히 섞이지 않거나, 충분히 섞인 상태가 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덩어리나 녹지 않은 잔여물이 생기기 쉽고, 그것이 오연으로 이어질 우려도 있기 때문에, 덩어리 등을 없애는 여분의 수고가 필요하게 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교반용 스푼을 사용하여 저어주는 경우에서도, 교반용 스푼과 음식물 등(음식물 및 트로미제)의 접촉 면적이 한정되어 있고, 심하게 교반용 스푼을 움직이면 음식물 등이 쏟아져 버리기 때문에, 음식물과 트로미제가 충분히 섞인 상태가 되기까지 수십초 정도의 젓기 작업이 필요하고, 이 작업은 결코 편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계량 스푼이나 교반용 스푼을 사용하므로, 사용하는 기구나 도구의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해 버려, 그만큼 트로미 첨가 작업을 위한 준비나 뒷정리에 손이 많이 간다. 또한, 계량 스푼이나 교반용 스푼을 교반에 사용한 후, 용기 내에 남겨두면 취식에 방해가 되고, 용기에서 꺼내면 이들 스푼에 부착되어 있는 음식물이 바닥 등에 떨어져, 그 뒤처리가 필요해질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항에 유의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트로미 첨가 작업과 같은 혼합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면서, 혼합에 사용되는 기구 등을 줄여 그 준비나 뒷정리 작업의 수고를 덜어주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쉐이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쉐이커는 중공의 본체에 대한 뚜껑의 개폐가 가능하고, 그 내부 공간에 투입된 재료의 혼합을 위해, 닫힌 상태에서 흔들어 동작되는 쉐이커로서, 닫힌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계량 수단이 상기 본체 이외의 부위에 적어도 하나는 설치될 수 있다(청구항 1).
상기 쉐이커에 있어서, 상기 계량 수단은 서로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청구항 2), 개구 측으로 부터 안쪽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횡단면이 적어지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청구항 3).
상기 쉐이커에 있어서, 상기 계량 수단은 그 개구를 비스듬히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계량하도록 구성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청구항 4).
본원 발명에서는, 트로미 첨가 작업과 같은 혼합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면서, 혼합에 사용하는 기구 등을 줄여 그 준비나 뒷정리 작업의 생력화에도 도움이 되는 쉐이커를 얻을 수 있다.
즉, 본원의 각 청구항에 따른 발명의 쉐이커에서는 혼합 대상을 그 내부에 투입하고 흔들어 동작함으로써 혼합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닫힌 상태에서 계량 수단이 내부 공간에 접하기 때문에, 계량 수단에 의해 계량한 혼합 대상의 일부가 계량 수단의 표면 등에 잔류하고 있어도 흔들기 동작에 따른 접촉을 받아 다른 혼합 대상에 혼합됨으로써 보다 양호한 혼합의 실현이 확실화된다. 더욱이, 트로미제 등의 계량을 계량 수단에 의해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계량 스푼 등이 불필요해지고 그만큼 혼합에 필요한 기구 등이 줄어들어 그 준비나 뒷정리 작업의 생력화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의 쉐이커에서는, 서로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오목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양을 계량 가능하게 함으로써, 계량 작업의 용이화 및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고,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의 쉐이커에서는 그 개구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단계적으로 횡단면이 작아지는 오목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양을 계량 가능하게 함으로써, 계량 작업의 용이화 및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의 쉐이커에서는, 오목부의 개구를 비스듬히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계량할 수 있고, 계량한 혼합 대상을 본체에 투입할 때, 오목부 내의 혼합 대상이 본체 내로 흘러내리도록 뚜껑을 기울이지만, 오목부의 개구가 비스듬히 상향 상태의 뚜껑을 기울여도 되고, 개구가 완전히 바로 위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울어지는 경우에 비해, 그 기울기를 위한 동작을 작게 할 수 있고, 즉, 이 기울기 동작의 전후에 걸쳐 오목부의 내면에 있어서 액상물 등이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게되어 이 접촉 면적의 축소는 오목부의 내면에 접촉·부착하여 그 장소(즉 뚜껑 위)에 잔존하는 혼합 대상의 저감, 나아가서는 혼합 대상의 혼합성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쉐이커의 사시도이며, 도 1의 (A)는 가역 변형부가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 (B)는 전개 상태에 있을 경우를 도시한다.
도 2는 상기 쉐이커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상기 쉐이커의 사시도, (B)는 외부 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상기 쉐이커의 부분 확대 분해사시도, (C)는 내부 뚜껑의 사시도, (D)는 내부 뚜껑의 저면도, (E)는 본체의 사시도 및 (F)는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외부 뚜껑의 기저부와 내부 뚜껑의 접속부의 접속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5의 (A)는 상기 쉐이커의 모식도, (B) 내지 (D)는 각각 상기 쉐이커의 변형예의 모식도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상기 내부 뚜껑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의 (A) 내지 (D)는 상기 내부 뚜껑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상기 내부 뚜껑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상기 내부 뚜껑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10의 (A) 및 (C)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쉐이커의 본체 및 내부 뚜껑의 사시도, 그리고 (B)는 이들을 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쉐이커의 사시도 및 내부 뚜껑의 정면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상기 내부 뚜껑의 변형예를 도시한 상측 및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및 도 13의 (B)는 상기 내부 뚜껑의 변형예를 도시한 상측 및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의 (A) 및 (C)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쉐이커의 본체 및 내부 뚜껑의 사시도, 그리고 (B)는 이들을 조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쉐이커의 사시도 및 내부 뚜껑의 정면도이다.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쉐이커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7의 (A) 내지 (C)는 상기 본체의 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설명도, 저면 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18의 (A) 내지 (E)는 상기 외부 뚜껑의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쉐이커(S)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중공의 본체(1)(도 3의 (E) 및 도 3의 (F)도 참조) 및 본체(1)에 대한 개폐(입구부(1a)에 대한 착탈)가 가능한 뚜껑(2)을 구비하고, 그 내부 공간에 투입된 재료(혼합 대상)의 혼합을 위해 닫힌 상태(뚜껑(2)을 닫은 상태)에서 흔들기가 동작되어 닫힌 상태에서의 내압 상승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부위에 설치된 가역 변형부(10)가 변형되어 용량이 증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쉐이커(S)의 내부 공간에 투입하는 재료(혼합 대상)로서는 예를 들어, 음식물(물, 차, 된장국 등)과 이것에 트로미를 첨가하기 위한 트로미제를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예의 쉐이커(S)는 다양한 재료를 혼합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측벽에는 본체(1) 내에 투입된 재료를 계량하기 위한 계량 눈금(계량 수단)(3)이 설치되고, 도시예에서는, 50 내지 300 ml를 나타내는 눈금이 50 ml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예의 본체(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 등의 재료로 성형하고, 그 측벽 외면에 계량 눈금(3)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체(1)를 불투명한 재료로 성형하고 계량 눈금(3)을 측벽 내면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 도 3의 (E) 및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에는 또한, 그 측벽 외면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돌출하여 하향 연장되는 손잡이(4)가 설치된다. 이 손잡이(4)는 예를 들어, 물건을 잡거나 쥐는 등의 손 동작에 다소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도 잡기 쉽도록 굵직하고, 또한, 손바닥 전체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4)의 길이(L)(도 3의 (F) 참조)가 70 내지 80 ㎜로 되어 있다. 여기서, 길이(L)는 손잡이(4)의 기단부 하면의 가장 높은 위치에서 손잡이(4) 하단까지의 거리를 가리킨다. 또한, 손잡이(4)의 가장 굵은 부분(4a)의 두께(T)(도 3의 (F) 참조)를 10 내지 15 mm, 폭(W)(도 3의 (E) 참조)을 15 내지 20 mm로 하고, 이러한 가장 굵은 부분(4a)이 손잡이(4) 길이(L)의 약 절반 이상의 범위에 걸쳐 상하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게다가, 손잡이(4)의 하부(가장 굵은 부분(4a)보다도 하방의 부분)(4b)는, 도 3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만큼 본체(1)의 측벽 외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4)와 본체(1)의 측벽 외면 사이에 손을 넣어 손잡이(4)를 잡는 동작이 쉬어진다.
여기서, 본체(1)에 투입된 재료가 예를 들어, 영하 이하의 저온이나 80℃ 이상의 고온이면, 본체(1)의 측면(측벽 외면)을 손으로 잡았을 때, 그 재료의 차가움이나 뜨거움이 손에 전해져 본체(1)를 잡은 사람에게 고통을 줄 우려가 있지만, 본 예의 쉐이커(S)에서는, 열이 비교적 전해지기 어려운 손잡이(4)를 잡음으로써, 그러한 고통을 회피·경감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 도 3의 (A), (E) 및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하부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본체(1)의 측방에 플랜지 형상으로 예를 들어, 10 내지 15mm 정도 확장되어 나온 장출부(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출부(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일수록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며, 장출부(5)의 하단은 본체(1)의 저면보다도 하방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본체(1)의 하부에 장출부(5)를 설치함으로써, 테이블 등에 놓인 본체(1)가 넘어지기(轉倒) 어려워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출부(5)가 소위 절개 고대(高臺:용기의 바닥에 접하는 다리부)로서 기능하도록, 장출부(5)의 접지 부분(하면)에 장출부(5)의 외측에서 내측에 이르는 홈(6)(도 17의 (A) 내지 (C) 참조)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온의 혼합 대상을 투입한 상태에서 테이블에 놓인 본체(1)가 장출부(5)와 테이블 사이에 밀봉된 공기 팽창 등의 영향으로 테이블 위를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홈(6)의 수는 복수 또는 단수일 수 있고, 복수의 경우에는 장출부(5)의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홈(6)을 배치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장출부(5)의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3개의 홈(6)을 배치하고, 본체(1)가 3개(3개의 다리)로 서도록 함으로써 자세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뚜껑(2)은 도 1의 (A) 및 (B),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뚜껑(7) 및 내부 뚜껑(8)을 구비한다.
외부 뚜껑(7)은 증기, 뜨거운 물, 세제 등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열화되기 어려운 내구성, 내마모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로 성형되고, 도 18의 (A) 내지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의 기저부(9), 기저부(9)로 이어지는 가역 변형부(10) 및 가역 변형부(10)로 이어지는 대략 원반형의 천정부(11)를 갖는다.
가역 변형부(10)는 도 18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육부(10a)를 통해 복수의 벽편(10b)이 연결되고, 각각의 벽편(10b)이 교대로 내외로 구부러짐으로써, 도 1의 (A)에 도시한 접힌 상태와 도 1의 (B)에 도시한 전개 상태로 가역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내부 뚜껑(8)은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 형상을 나타내고,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부에 있는 입구부(1a)(도 3의 (E) 참조)를 막은 닫힌 상태에서는 본체(1)의 상부(입구부(1a))보다도 전체 원주에 걸쳐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뚜껑(8)은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주연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원 형상의 접속부(12)를 갖고, 이 접속부(12)에 외부 뚜껑(7)의 기저부(9)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 접속 구조는 적절히 구성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부(9)의 하부 내측에 그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연장되는 후크(9a)을 설치하는 한편, 접속부(12)의 외주면 상부에 환상 돌기(12a)를 형성하여 기저부(9)를 접속부(12)에 대하여 외측 끼워맞춤 가능하게 하고, 외측 끼워맞춤시에는 가이드면(9b)(12b) 각각에 의해 서로 가이드되어 후크(9a)가 환상 돌기(12a)에 계합하도록 구성된다(도 4의 (B) 참조).
한편, 기저부(9)의 하부 외측에는 내부 뚜껑(8)보다도 (외)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플랜지(9c)가 설치되고, 이 플랜지(9c)를 끌어올림 조작에 의해 내부 뚜껑(8)으로부터 외부 뚜껑(7)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9c)는 후크(9a)보다도 약간 상방에 있고, 상하 방향으로 보아, 후크(9a)의 상부에 플랜지(9c)의 하부가 오버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저부(9)에서의 상기 오버랩 부분은 확경(擴徑)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 돌기(12a)에 후크(9a)를 계합시키면, 이 계합은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고, 외부 뚜껑(7)이 내부 뚜껑(8)으로부터 갑자기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저부(9)를 접속부(12)에 대하여 외측 끼워맞춤이 아닌 내측 끼워맞춤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기저부(9)의 하부에 있어서 후크(9a) 및 플랜지(9c)를 제외한 부분은 일직선 형상으로 성형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동일한 부분의 성형시 하향으로 확경 혹은 축경시키거나, 외측 끼워맞춤시 탄성 변형에 의해 확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외, 후크(9a) 및 환상 돌기(12a) 대신에, 예를 들어, 서로 감합(嵌合;끼워맞춤)하는 요철 구조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내부 뚜껑(8)은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입구부(1a)가 닫힐(막힐) 경우, 그 주연부의 하면이 입구부(1a)에 맞닿고, 맞닿는 부분의 내주 측에는 입구부(1a) 내에 끼워넣는(嵌入) 대략 원통형의 감입부(13)(도 3의 (B) 내지 (D) 참조)를 갖고, 감입부(13)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한 패킹(14)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환상 홈(15)이 형성된다. 이 패킹(14)은 증기, 뜨거운 물, 세제 등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열화되기 어려운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료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예에서는 도 3의 (B) 및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입부(13)에 있어서 환상 홈(15)보다도 선단 측 부위에 노치(13a)를 설치하여 환상 홈(15)에 장착한 패킹(14)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내부 뚜껑(8)의 주연부 하면에 있어서 상기 맞닿는 부분의 외주측 상호 간에 180°이격된 2개의 장소에는 도 3의 (C) 및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L 형상의 갈고리(16)를 형성하고, 감입부(13)를 본체(1)의 입구부(1a)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내부 뚜껑(8)을 그 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2개의 L 형상의 갈고리(16)를 본체(1)의 측벽 외면 상부의 2개의 계합용 돌기(17)(도 3의 (E) 및 (F) 참조)에 각각 계합(잠금)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내부 뚜껑(8)이 본체(1)에 밀착된 닫힌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뚜껑(8)의 주연부 측면에 있어서 L 형상의 갈고리(16)와 위상이 90°어긋난 위치에 총 2개의 회전 조작용 돌기(8a)가 설치되어, 이것들에 손가락을 걸음으로써, 내부 뚜껑(8)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회전 조작용 돌기(8a)는 적절한 크기(예를 들어, 외부 뚜껑(7)보다도 측방으로 돌출하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3의 (B) 및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합용 돌기(17) 각각에는 L 형상의 갈고리(16)보다도 세로(상하) 방향으로 긴 스토퍼부(17a)가 설치되어 L 형상의 갈고리(16)가 스토퍼부(17a)에 맞닿으면 내부 뚜껑(8)은 더 이상의 회전이 불가능해지고, 이로써 사용자는 계합 완료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17a)의 상부에는 본체(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테이퍼 가이드부(17b)가 설치되고, 이것에 의해 L 형상의 갈고리(16)가 계합용 돌기(17)에 용이하게 계합된다.
그리고, 내부 뚜껑(8)은 감입부(13)보다도 내측에 계량 수단으로서 복수(도시예에서는 3개)의 오목부(18)를 갖고, 오목부(18)는 계량시에 내부 뚜껑(8)의 원주부 하면을 상향으로 한 계량 가능 상태(도 3의 (C)에 도시한 상태이고, 도 3의 (B)에 도시한 상태와는 상하 역 상태)로 사용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뚜껑(8)에서 감입부(13)의 내측 공간이 감입부(13)(내부 뚜껑(8))의 중심으로부터 3개 방향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칸막이벽(19)에 의해 3분할되고, 이와 같이 분할된 각 공간에서 내부 뚜껑(8)의 중앙 근방의 위치에 오목부(18)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총 3개의 오목부(18)는 서로 크기가 다르고, 도 3의 (D)에 「2.5」의 기재가 있는 공간에 설치한 오목부(18)(이하, 다른 2개의 오목부(18)와 구별하는 경우, 오목부(18A)라고도 한다)가 가장 작고, 「5」의 기재가 있는 공간에 설치한 오목부(18)(이하, 오목부(18B)라고도 한다)가 그 다음으로 작고, 「10」의 기재가 있는 공간에 설치한 오목부(18)(이하, 오목부(18C)라고도 한다)가 가장 크다.
구체적으로,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오목부(18)는 각각 중심각이 120도의 저면도(평면도) 대략 부채꼴 형상을 나타내고, 오목부(18A)와 오목부(18B)는 부채꼴형의 반경이 대략 동일하고 오목부(18B)를 오목부(18A)보다도 깊게(오목부(18A)를 오목부(18B)의 약 80%의 깊이로)한다(도 3의 (B) 참조). 또한, 오목부(18B)와 오목부(18C)는 깊이가 동일하고 오목부(18C)의 부채꼴형의 반경을 보다 길게 한다.
즉, 본 예의 내부 뚜껑(8)에서는, 오목부(18A 내지 18C)에 의해 2.5 ml, 5 ml 및 10 ml 3 종류의 계량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계량 작업의 용이화 및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3 종류의 계량을 각각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오목부(18A 내지 18C)의 계량면(개구)보다 높이가 있는 칸막이벽(19)을 오목부(18A 내지 18C)의 경계 위치에 설치하여 투입 대상이 아닌 오목부(18)로의 혼합 대상(재료)의 투입 방지를 도모한다. 또한,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벽(19)의 높이는 감입부(13)의 절반 정도 예를 들어, 감입부(13)와 동일 높이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8A 내지 18C)보다 접속부(12)를 상방으로 돌출시키고, 그 천정면(도 3의 (C)에 도시한 계량 가능 상태에서는 저면이 된다)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도 3의 (C)에 도시한 계량 가능 상태의 내부 뚜껑(8)을 안정성있게 테이블 등의 수평면 상에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8A 내지 18C)의 각 모서리를 둥글게함으로써 세정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뚜껑(2)에서는, 환상 홈(15)에 패킹(14)이 장착된 상태의 감입부(13)를 본체(1)의 입구부(1a)에 끼워넣고, 이 상태에서 내부 뚜껑(8)을 축방향으로 회전시켜 L 형상의 갈고리(16)를 계합용 돌기(17)에 계합시킴으로써 본체(1)의 입구부(1a)에 내부 뚜껑(8)을 부착할 수 있고, 내부 뚜껑(8)의 접속부(12)에 외부 뚜껑(7)의 기저부(9)를 접속함으로써 내부 뚜껑(8)에 외부 뚜껑(7)을 부착할 수 있으며, 입구부(1a)에 내부 뚜껑(8)을 부착하여 내부 뚜껑(8)에 외부 뚜껑(7)를 부착한 잠금 상태에서는, 외부 뚜껑(7) 및 내부 뚜껑(8)으로 구성되는 뚜껑(2)으로 입구부(1a)를 막을 수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본체(1) 내의 재료(혼합 대상)가 누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잠금 상태에서는 손잡이(4)를 잡고 한 손으로 쉐이커(S)를 흔들 수 있다.
그리고, 도 2, 도 3의 (B)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뚜껑(8)의 적절한 위치(본 예에서는, 내부 뚜껑(8)에 있어서 감입부(13)와 칸막이벽(19)에 의해 둘러싸이고, 오목부(18A)가 위치하는 영역)에, 내부 뚜껑(8)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인 통기공(20)이 설치된다.
여기서, 본체(1)에 고온의 재료를 투입한 상태에서 입구부(1a)를 뚜껑(2)으로 막고 닫힌 상태에서 쉐이커(S)의 흔들기 동작을 하면, 쉐이커(S) 내의 공기가 고온의 재료와 접촉하여 가열되고, 열팽창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쉐이커(S)의 내압이 상승하면, 뚜껑(2)을 떼어낼 때에 내용물(혼합 대상)이 분출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쉐이커(S) 내의 공기의 온도 저하에 의해, 본체(1)의 내압이 저하되면, 뚜껑(2)이 본체(1)에 부착된 상태가 되어, 뚜껑(2)을 분리하기 어려워지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그러나, 상기 흔들기 동작을 할 경우,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역 변형부(10)를 접힌 상태로 해둠으로써 쉐이커(S)의 내압이 상승하면 예를 들어, 도 1의 (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역 변형부(10)가 변형(전개)되어 용량이 증대하는 것이고, 이로써 내압 상승을 완화 내지 억제시켜, 상기와 같은 내용물이 분출하는 현상의 발생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B) 및 도 2에는 가역 변형부(10)가 최대한 전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가역 변형부(10)는 항상 최대한 전개되는 것은 아니고, 쉐이커(S)의 내압 상승 정도가 작은 경우에는, 가역 변형부(10)의 전개 정도도 작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쉐이커(S)의 내압이 상승하고 예를 들어 도 1의 (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역 변형부(10)가 변형(전개)되어 용량이 증대한 후, 쉐이커(S) 내의 공기의 온도 저하에 의해 본체(1)의 내압이 저하된 경우, 만일 가역 변형부(10)가 전개된 상태로 유지되면, 내압 저하에 의해 뚜껑(2)이 본체(1)에 부착된 상태가 되어, 뚜껑(2)을 분리하기 어려워지지만, 본 예의 쉐이커(S)에서는 내압 저하에 따라 가역 변형부(10)도 접힐 수 있도록(오므라지도록) 변형되어, 내압 저하를 완화 내지 억제시켜, 상기와 같이 뚜껑(2)가 본체(1)에 부착된 상태가 되고, 뚜껑(2)을 분리하기 어려워지는 현상의 발생 방지를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예의 쉐이커(S)에서는 혼합 대상을 그 내부에 투입하여 닫힌 상태에서 흔들기 동작을 함으로써, 혼합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흔들기 동작시, 상기 잠금 상태로 있으면 손잡이(4)를 사용하여 한 손으로 흔들 수 있지만, 근력 등의 관계로 한 손으로 흔들기가 곤란하거나, 뚜껑(2)에서 손을 떼어 흔드는 것에 불안을 느끼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본체(1) 하부에서 그 측방으로 확장되어 나온 장출부(5)와, 본체(1) 상부에서 그 측방으로 확장되어 나오는 내부 뚜껑(8)의 외연 부분을 잡고 서로 가압하면서 흔들 수도 있으며, 어느 경우에도 쉐이커(S) 내에 투입된 혼합 대상의 열이 손에 전해지기 어렵다. 또한, 혼합 작업의 완료 후, L 형상의 갈고리(16)가 계합용 돌기(17)에 계합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되면, 손잡이(4)를 잡으면서 내부 뚜껑(8)의 외연 부분을 밀어올림으로써,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뚜껑(2)(내부 뚜껑(8))을 열 수 있다.
또한, 쉐이커(S)에서는 본체(1)의 계량 눈금(3)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된장국을 계량하고, 뚜껑(2)(내부 뚜껑(8))의 오목부(18)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트로미제를 계량하는 것처럼, 본체(1)와 뚜껑(2)으로 각각 다른 재료를 계량함으로써, 복수 재료의 적당량으로의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은 본체(1)와 뚜껑(2)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기구류를 줄여 그 준비나 사용 후 기구류의 세정 등의 작업에 걸리는 노력을 대폭 경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쉐이커(S)에서는 가역 변형부(10)를 외부 뚜껑(7)에 설치하므로 가역 변형부(10)의 변형이 다른 부재 등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게 하는 것이 용이하고, 즉 분출 현상 발생 방지의 확실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내부 뚜껑(8)에 계량 수단(오목부(18))을 설치하므로, 이 계량 수단을 닫힌 상태에서 쉐이커(S)의 내부 공간에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실제로 닫힌 상태에서 계량 수단(오목부(18))이 본체(1)의 내측 공간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계량 수단에 의해 계량한 재료의 일부가 그 점성의 높이 등에 기인하여 계량 수단의 표면 등에 잔류하고 있어도, 흔들기 동작에 따른 다른 재료의 접촉을 받아 혼합되므로, 보다 양호하고 신속한 혼합의 실현을 확실화한다.
더하여, 쉐이커(S)에서는 닫힌 상태에서 가역 변형부(10)보다 본체(1)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내부 뚜껑(8)에 통기공(20)을 설치함으로써 본체(1) 내에서 고온의 혼합 대상에 의해 따뜻해져 열팽창한 공기를 외부 뚜껑(7)측으로 확실하게 빼낼 수 있어, 내압 상승에 의한 분출 현상의 발생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측에서 외부 뚜껑(7)측으로 빠진 공기는 본체(1) 내에 있는 고온의 혼합 대상의 접촉을 받기 어려워지는 한편, 외기에 접하는 외부 뚜껑(7)에 의해 다소 냉각되기 때문에 내압이 높아져 변형된 상태의 가역 변형부(10)는 그만큼 외기에 접하는 면적이 커져 냉각 효율이 높아지므로, 내압의 최대치의 저감화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쉐이커(S)에서는, 본체(1)에 손잡이(4)를 설치함으로써 뚜껑(2)을 열면(분리하면) 본체(1)를 컵으로서 그대로 이용(음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변형예를 들 수 있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한 손잡이(4)에서는 경량화와 성형시 수축 변형 방지를 위해 그 좌우 양측의 두께를 얇게 하지만, 두께를 얇게 하는 위치 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예를 들어 두께를 얇게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손잡이(4)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고, 그 수도 하나로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도 5의 (A)와 같이 모식적으로 도시할 수 있는 상기의 쉐이커(S)는 본체(1), 가역 변형부(10)를 갖는 외부 뚜껑(7), 계량 수단으로서의 오목부(18) 및 통기공(20)을 갖는 내부 뚜껑(8)으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뚜껑(8)을 없애고 내부 뚜껑(8)에 설치된 계량 수단으로서의 오목부(18)를 외부 뚜껑(7), 예를 들어 천정부(11)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외부 뚜껑(7)이 본체(1)에 착탈 가능한 뚜껑(2)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의 예에서는, 가역 변형부(10)의 존재에 의해 천정부(11)의 면적이 한정되어 천정부(11)에 설치할 수 있는 오목부(18)도 작아질 우려가 있으며, 이 점이 우려될 경우, 예를 들어,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뚜껑(7)(뚜껑(2))의 측벽에 상하 방향으로 신축하는 주름 형상의 가역 변형부(10)를 설치하여 천정부(11) 나아가서는 오목부(18)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 내지 (C)의 예에서는 가역 변형부(10)가 뚜껑(2)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역 변형부(10)를 본체(1)측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 경우, 가역 변형부(10)를 본체(1)의 계량 눈금(3)보다 상방에 설치하고, 계량 눈금(3)에 의한 계량을 저해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A) 내지 (C)의 예에서는, 계량 수단으로서의 오목부(18)가 뚜껑(2)(내부 뚜껑(8))에 3개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목부(18)를 2개 이하로 해도 4개 이상으로 해도 되며, 오목부(18)의 크기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오목부(18)를 설치하는 경우, 반드시 이들을 뚜껑(2)(내부 뚜껑(8))의 중심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나열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일렬 그 외의 행렬 형상으로 나열하거나, 지그재그 형상 등으로 나열할 수 있다.
그리고, 계량 수단으로서의 예를 들면 하나의 오목부(18)를 설치할 경우, 도 6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량 수단으로서 하나의 오목부(18)를 뚜껑(2)(내부 뚜껑(8))의 중심에 설치하고, 오목부(18)의 횡단면은 상(개구)측에서 하(안쪽)측을 향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스텝형일 수 있다. 또한,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한 내부 뚜껑(8)에서는 외부 뚜껑(7)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12)의 도시가 생략되고, 이 점은 후술하는 도 7의 (A) 내지 (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도 6의 (A) 내지 (D)에 도시한 뚜껑(2)(내부 뚜껑(8))은 계량시에는 도 6의 (A) 및 (C)에 도시한 자세에서 상하 거꾸로 한 상태(계량 가능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고, 이때, 오목부(18)의 가장 하(안쪽)측의 단부(18a)에 의해 2.5 ml의 계량이 가능하고, 단부(18a)와 이에 연속되는 단부(18b)를 합하여 5 ml의 계량이, 또한 3개의 단부(18a 내지 18c)를 합하여 10 ml의 계량이 가능해진다.
물론, 단부(18a 내지 18c)의 수는 3 개로 한정되지 않고, 2 개 이하라도 4 개 이상이라도 된다(도 7의 (A) 내지 (D)에는 4 개의 단부(18a 내지 18d)를 설치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의 (B) 내지 도 3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2 개 이상의 오목부(18)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임의의 오목부(18)를 스텝상으로 하여 보다 여러 종류의 계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도 8의 (A) 및 (B)는 2 개의 오목부(18)에 각각 2 개의 단부(18a, 18b) 및 단부(18c, 18d)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B) 내지 (D)에 도시한 내부 뚜껑(8)은 도 3의 (C)에 도시한 계량 가능 상태에서 안정성있게 테이블 등의 수평면 상에 올려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도 6의 (A) 내지 (D)에 도시한 뚜껑(2)(내부 뚜껑(8))도 동일하게 계량 가능 상태(도 6의 (A), (C)에 도시한 자세에서 상하 거꾸로 한 상태)에서 안정성 있게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오목부(18)의 선단측 면에 평면에서 볼 때 십자 리브형의 다리부(21)가 설치된다. 그리고, 다리부(21)의 형상, 크기, 배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예를 들어 도 7의 (A) 내지 (D)에 도시한 예와 같이, 다리부(21)가 내부 뚜껑(8) 전체에 걸쳐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오목부(18)를 스텝상으로 할 경우, 도 6의 (A), (C), 도 7의 (A),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18a 내지 18d) 자체에 계량용 표기를 설치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9의 (A)와 같은 도면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뚜껑(8)의 주연부 등에 계량용의 표기를 설치하고, 각 표기와 단부(18a 내지 18d)와의 관련성을 알 수 있도록, 단부(18a 내지 18d)의 측면의 외형(예를 들면, 색, 표면 거칠기, 인쇄 등)과 각 표기를 서로 관련지어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쉐이커(S)에서는 본체(1)의 입구부(1a)에 대한 뚜껑(2)(내부 뚜껑(8))의 착탈 가능한 설치가 감입부(13)에 의한 끼워맞춤과 계합용 돌기(17)에 대한 L 형상의 갈고리(16)의 계합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각각의 예와 같이, 본체(1)의 입구부(1a)의 외주면에 설치한 수나사(22)(도 10의 (A) 참조)와 뚜껑(2)(내부 뚜껑(8))의 내주면에 설치한 암나사(23)(도 12의 (B), 도 13의 (B) 참조)의 나사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5에 도시한 각각의 예와 같이, 본체(1)의 입구부(1a)의 내주면에 설치한 암나사(24)(도 14의 (A) 참조)와 뚜껑(2)(내부 뚜껑(8))의 외주면에 설치한 수나사(25)(도 14의 (C), 도 15의 (B) 참조)의 나사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외, 도 16에 도시한 예와 같이, 뚜껑(2)(내부 뚜껑(8))에 한 쌍의 스토퍼(26)를 설치하여, 뚜껑(2)(내부 뚜껑(8))을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6의 각각의 예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도 10의 (B)에 도시한 쉐이커(S)는, 도 10의 (A)에 도시한 본체(1)에 도 10의 (C)에 도시한 내부 뚜껑(8)을 장착한 것이고, 내부 뚜껑(8)에는 외부 뚜껑(7)를 장착하기 위한 접속부(12)가 설치되지만, 이해의 용이성을 위해 외부 뚜껑(7) 및 접속부(12)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며, 이 점은 도 11 내지 도 13도 마찬가지이다.
도 10의 (C)의 내부 뚜껑(8)은 본체(1)의 입구부(1a)의 수나사(22)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23)(도 12의 (B), 도 13의 (B) 참조)가 설치된 대략 원통형의 주연부(27)을 갖는다. 그리고,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뚜껑(8)이 본체(1)의 입구부(1a)를 막을 경우, 주연부(27)의 하단(27a)(도 10의 (C) 참조)의 하면이 입구부(1a)의 하단에 설치된 환상 돌기(28)(도 10의 (A) 참조)에 맞닿음과 동시에, 주연부(27)의 상부에 설치된 내향 플랜지 형상의 단부(27b)(도 10의 (C) 참조)의 하면이 입구부(1a)의 상단(1b)(도 10의 (A) 참조)에 맞닿는다. 또한, 이렇게 맞닿을 경우, 입구부(1a) 또는 주연부(27) 중 어느 한쪽에 패킹 등의 씰 부재를 설치하거나, 입구부(1a)의 내주면에 밀착하는 외주면을 갖는 씰 구조를 단부(27b) 내에 연결하여 설치함으로써 수밀성(水密性)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B) 내지 (D)에 도시한 내부 뚜껑(8)은 각각의 오목부(18)를 계량 수단으로 구성하지만, 도 10의 (B) 및 (C)에 도시한 내부 뚜껑(8)에서는 오목부(18)의 천정면(29)과 측면(30)의 일부로 끼워지는 위치에 있는 능선(31)이 바로 아래로 향한 상태(즉, 오목부(18) 전체가 약간 기울어진 상태)에서 오목부(18) 내에 소정량의 액상 재료를 투입했을 때의 액면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선(32)이 오목부(18)의 내면에 설치되고, 눈금선(32)과 오목부(18)로 계량 수단을 구성한다. 단, 오목부(18)에 투입하는 재료는 액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일반적인 트로미제와 같은 분말상일 수 있고, 이 경우도 눈금선(32)에 의한 계량은 가능하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3 개의 눈금선(32)을 설치하여 3 종류(1.00 ml, 3.00 ml, 4.00 ml)를 계량가능하게 하는데, 눈금선(32)을 2개 이하로 해도 4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도 10의 (B) 및 (C)에 도시한 내부 뚜껑(8)에서는, 내부 뚜껑(8)을 비스듬하게 한 상태(오목부(18)의 개구를 비스듬히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재료(혼합 대상)를 계량하여 계량한 재료를 본체(1)에 투입할 때, 내부 뚜껑(8) 내의 재료가 본체(1) 내로 흘러내리도록 내부 뚜껑(8)을 기울이되 비스듬한 상태의 내부 뚜껑(8)을 기울일 수 있어, 내부 뚜껑(8)이 완전히 바로 위를 향하고 있는 상태(천정면(29) 전체가 완전히 바로 아래를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울이는 경우에 비해, 기울기를 위한 동작을 작게 할 수 있어서, 결국은 기울기 동작의 전후에 걸쳐 내부 뚜껑(8) 내면에 있어서 재료가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고, 이러한 접촉 면적의 축소는 내부 뚜껑(8)의 내면에 접촉·부착하여 그 장소(즉 내부 뚜껑(8) 내)에 잔존하는 재료의 저감, 나아가서는 재료의 혼합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도 10의 (C)에 도시한 내부 뚜껑(8)에서는, 도 10의 (B)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있어서 각 눈금선(32)에서 보아 능선(31)과 반대측의 영역에 통기 공(20)을 배치하고, 통기공(20)은 상부 뚜껑(33)에 의해 개폐 및 폐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10의 (B)에 도시한 본체(1)와 내부 뚜껑(8)을 포함하는 쉐이커(S)에 의해 고온의 재료를 혼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분출 현상의 발생 방지의 관점에서, 통기공(20)을 상부 뚜껑(33)으로 막지 않고 내부 뚜껑(8)에 외부 뚜껑(7)을 접속한 상태에서 흔들기 동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혼합 대상이 고온이 아니고 분출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에는 내부 뚜껑(8)에 외부 뚜껑(7)을 접속하지 않고, 통기공(20)을 상부 뚜껑(33)으로 막은 상태에서 흔들기 동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외부 뚜껑(7)를 더럽히지 않아도 되는 만큼, 뒤처리에 따른 작업의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부 뚜껑(33)이 열린 상태인 통기공(20)은 쉐이커(S) 내의 재료를 직접 마시기 위한 입구나, 빨대의 삽입구로서도 이용 가능하며, 통기공(20)은 눈금선(32)을 이용한 계량시에는 각각의 눈금선(3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내부 뚜껑(8)으로 계량한 혼합 대상을 통기공(20)으로부터 본체(1)에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내부 뚜껑(8)을 조금 기울이는 것만으로 본체(1)로 혼합 대상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뚜껑(33)은 가요성을 갖는 아암(34)을 통해 내부 뚜껑(8)(오목부(18))의 상면 등의 적절한 위치에 연결 고정되어 상부 뚜껑(33)의 분실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한 쉐이커(S)는, 내부 뚜껑(8)의 오목부(18)와 눈금선(32)으로 계량 수단을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한 예와 마찬가지로, 스텝 상의 오목부(18)에 의해 계량 수단을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더욱 변형시켜, 예를 들어 도 1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8)를 내부 뚜껑(8)의 중앙에 설치하고 그 주위에 테이퍼면(35)을 설치하여 도 12의 (B)에 도시한 상태에서 재료를 계량할 때, 오목부(18)에 재료가 모이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통기공(20) 및 상부 뚜껑(3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예를 들면, 도 1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뚜껑(8)에 있어서, 주연부(27)의 내측에 천장을 가지며 바닥이 없는 대략 타원(oval)의 통 형상을 이루도록 상향으로 돌출된 돌출부(36)를 설치하고, 돌출부(36)의 내측의 공간을 칸막이벽(19)에 의해 크기가 다른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 각 공간을 계량 수단으로서의 오목부(18D, 18E)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도시예에서는, 투입(계량)하는 재료가 트로미제(소정의 밀도를 갖는 것)인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오목부(18D)로 1.5 g과 3.0 g을, 오목부(18E)로 4.5 g을 계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통기공(20) 및 상부 뚜껑(3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램(질량) 기준으로 하지 않고, 예를 들면 밀리리터(체적) 기준으로 오목부(18D, 18E)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13의 (A) 및 (B)의 예에서는, 내부 뚜껑(8)의 적당한 위치에 이름 기입란(37)이 설치되고, 이름 기입란(37)을 본체(1)측 또는 외부 뚜껑(7)에 설치할 수 있슴은 말할 것까지도 없다.
도 14의 (B)에 도시한 쉐이커(S)는, 도 14의 (A)에 도시한 본체(1)에 도 14의 (C)에 도시한 내부 뚜껑(8)을 장착한 것이고, 내부 뚜껑(8)에는 외부 뚜껑(7)를 장착하기 위한 접속부(12)가 설치되지만, 이해의 용이성을 위해 외부 뚜껑(7) 및 접속부(1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며, 이 점은 도 15도 마찬가지이다.
도 14의 (C)의 내부 뚜껑(8)은 본체(1)의 입구부(1a)의 암나사(24)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25)가 설치된 대략 통 형상의 주연부(27)를 갖는다. 그리고,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뚜껑(8)이 본체(1)의 입구부(1a)를 막을 때, 주연부(27)의 하단(27a)(도 14의 (C) 참조)의 하면이 입구부(1a)의 하단에 설치된 단부(38)(도 14의 (A), b 참조)에 맞닿는 동시에, 주연부(27)의 중간부에 설치된 외향 플랜지 형상의 단부(27c)(도 14의 (C) 참조)의 하면이 입구부(1a)의 상단(1b)(도 14의 (A) 참조)에 맞닿는다. 또한, 이렇게 맞닿을 때, 입구부(1a) 또는 주연부(27) 중 어느 한쪽에 패킹 등의 씰 부재를 설치하여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4의 (B) 및 (C)에 있어서, 오목부(18) 등의 구성은 도 12의 (A)에 도시한 오목부(18) 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14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24)와 수나사(25)의 나사 결합에 의해 본체(1)에 내부 뚜껑(8)을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도 1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5의 (A) 및 (B)에 도시한 예에서는, 도 13의 (A) 및 (B)의 예와 마찬가지로 내부 뚜껑(8)에는 돌출부(36)가 설치되고, 돌출부(36)는 2.5 ml, 5 ml 및 10 ml를 계량할 수 있는 오목부(18F)와, 15 ml를 계량할 수 있는 오목부(18G)를 포함한다. 또한, 도 14의 (B) 및 (C)의 예에서는, 주연부(27)의 측면에 이름 기입란(37)이 설치되어 있지만, 도 15의 (A)의 예에서는 돌출부(36)의 상면에 이름 기입란(37)이 설치되어 있다.
도 16의 (A) 및 (B)에 도시한 쉐이커(S)는 본체(1)에 내부 뚜껑(8)을 장착하고, 내부 뚜껑(8)에는 외부 뚜껑(7)을 장착하기 위한 접속부(12)가 설치되지만, 이해의 용이성을 위해 외부 뚜껑(7) 및 접속부(12)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내부 뚜껑(8)의 주연부(27)의 좌우에 스토퍼(26)를 각각 설치하고, 내부 뚜껑(8)을 본체(1)의 입구부(1a)에 밀어넣으면, 각 스토퍼(26)가 입구부(1a)의 주연부에 계합하여 내부 뚜껑(8)이 본체(1)에 고정되고, 스토퍼(26)의 측방으로돌출부(26a)를 밀어올려 상기 계합을 해제하거나, 입구부(1a)의 일부에 설치한 노치부(1c)의 위치에 스토퍼(26)가 올 때까지 내부 뚜껑(8)을 돌리면, 본체(1)로부터 내부 뚜껑(8)을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노치부(1c)에 스토퍼(26)를 정렬한 상태에서 내부 뚜껑(8)을 회전시켜도 본체(1)에 대하여 내부 뚜껑(8)이 닫힌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C)와 동일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열거한 변형예들을 적절히 조합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본체 1a 입구부
1b 상단 1c 노치부
2 뚜껑 3 계량 눈금
4 손잡이 4a 가장 굵은 부분
4b 하부 5 장출부
6 홈 7 외부 뚜껑
8 내부 뚜껑 8a 회전 조작용 돌기
9 기저부 9a 후크
9b 가이드면 9c 플랜지
10 가역 변형부 10a 박육부
10b 벽편 11 천정부
12 접속부 12a 환상 돌기
12b 가이드면 13 감입부
13a 노치 14 패킹
15 환상 홈 16 L 형상의 갈고리
17 계합용 돌기 17a 스토퍼부
17b 가이드부 18 오목부(18a 내지 18G)
18a 내지 18d 단부 19 칸막이벽
20 통기공 21 다리부
22 수나사 23 암나사
24 암나사 25 수나사
26 스토퍼 26a 돌출부
27 주연부 27a 하단
27b 단부 27c 단부
28 환상 돌기 29 천정면
30 측면 31 능선
32 눈금선 33 상부 뚜껑
34 아암 35 테이퍼면
36 돌출부 37 이름 기입란
38 단부 L 길이
S 쉐이커 T 두께
W 폭

Claims (4)

  1. 중공의 본체에 대한 뚜껑의 개폐가 가능하고, 그 내부 공간에 투입된 재료의 혼합을 위해 닫힌 상태에서 흔들어 동작되는 쉐이커로서,
    닫힌 상태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계량 수단이 상기 뚜껑에 적어도 하나는 설치되어 있는, 쉐이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수단는 서로 크기가 다른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쉐이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개구 측으로 부터 안쪽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횡단면이 적어지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쉐이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수단은 그 개구를 비스듬히 상향으로 한 상태에서 계량하도록 구성한 오목부를 포함하는, 쉐이커.
KR1020230040070A 2022-03-29 2023-03-27 쉐이커 KR20230140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52864 2022-03-29
JP2022052864A JP7193821B1 (ja) 2022-03-29 2022-03-29 シェーカ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420A true KR20230140420A (ko) 2023-10-06

Family

ID=8453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070A KR20230140420A (ko) 2022-03-29 2023-03-27 쉐이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93821B1 (ko)
KR (1) KR20230140420A (ko)
CN (1) CN116889813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0004472A (es) * 2010-04-23 2011-10-28 Jose Rodrigo Oliva Salinas Tapa de liberacion de concentrado.
WO2016150159A1 (en) * 2015-03-23 2016-09-29 Cogito Et Creo Limited Lid for contai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258202B2 (en) * 2016-01-20 2019-04-16 Pacific Market International, Llc Cocktail shaker and tool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3821B1 (ja) 2022-12-21
JP2023145940A (ja) 2023-10-12
CN116889813A (zh)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6685A (en) Adjustable measuring device
JPS59164011A (ja) 香辛料振出し器
US20190336403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eething device
KR20230140420A (ko) 쉐이커
KR20230140419A (ko) 쉐이커
US2592192A (en) Spoon with a base
US6125699A (en) Adjustable measuring spoon
JP4226727B2 (ja) 調味料収納容器
US4488432A (en) Measuring cup
US20130105520A1 (en) Batter dispenser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9529949A (ja) 粉末又は流体を集め注ぐ用具と方法
KR101854759B1 (ko)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JP2023145938A (ja) シェーカー
JP2003232665A (ja) 計量スプーン
KR200475519Y1 (ko) 밥물 지시기
RU155068U1 (ru) Тарелка
CN216168883U (zh) 一种儿科用喂药器
KR890002132Y1 (ko) 농약용기
JP3046105U (ja) 調理用具収納装置
JP3100693U (ja) フライパン
KR20190088602A (ko) 숟가락 뚜껑
CN111166128A (zh) 一种保温碗
JPH10236500A (ja) 計量キャップ付容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体計量方法
TWM645819U (zh) 具有弧狀溝槽的湯匙
JP2000093282A (ja) 食卓さじ状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