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759B1 -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 Google Patents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759B1
KR101854759B1 KR1020160126387A KR20160126387A KR101854759B1 KR 101854759 B1 KR101854759 B1 KR 101854759B1 KR 1020160126387 A KR1020160126387 A KR 1020160126387A KR 20160126387 A KR20160126387 A KR 20160126387A KR 101854759 B1 KR101854759 B1 KR 101854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insertion space
hooks
hea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6829A (ko
Inventor
김인성
Original Assignee
김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성 filed Critical 김인성
Priority to KR102016012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7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3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스턴트 복합밥의 내용물을 훨씬 안정적으로 비비고 뜰 수 있는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을 비비고 뜰 수 있도록 움푹하게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면 테두리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넥 및 상기 넥의 끝 부분 상면과 양측면이 일직선으로 덮이듯이 눌러 끼워지도록 삽입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넥의 상면과 대향하는 상기 삽입공간부의 밑면에 탄성 변형으로 상기 넥의 길이 방향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 부분을 감싸듯이 걸어서 이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후크와, 상기 넥의 양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삽입공간부의 양측 안쪽 면에 상기 넥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 부분을 각각 감싸듯이 걸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후크가 형성된 핸드그립을 포함하는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ASSEMBLY DISPOSABLE SPOON}
본 발명은 넥의 선단부를 핸드그립에 걸고 가장자리를 눌러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일회용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보관 시나 포장용기에 담을 시 등에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인스턴트 복합밥의 내용물을 훨씬 안정적으로 비비거나 섞어서 뜰 수 있는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떠먹는 아이스크림, 젤리, 푸딩, 씨리얼 등의 다양한 식품을 야외에서도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일회용 스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일회용 스푼은 주로 합성수지 재질로 하여 스푼의 몸체와 손잡이를 일체로 성형하는 특성상 손잡이의 길이만큼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휴대가 상당히 불편한 데다 보관에 따른 공간 효율성이 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푼의 손잡이를 접철 및 절취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스푼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1996-0009620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손잡이의 일부분을 얇은 폭으로 하여 절취부를 형성하고, 사용 시에는 절취부를 통해 분리된 각각의 손잡이를 다시 상호 결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손잡이의 결합부위가 외력에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거나 음식물을 뜰 때 종종 꺾이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간편식으로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컵밥(컵라면 크기의 플라스틱이나 종이컵 용기에 밥과 반찬을 함께 담아 파는 것)이나 비빔밥, 덮밥 따위의 이른바 인스턴트 복합밥이 도시락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여 바쁜 직장인들과 학생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이와 같은 인스턴트 복합밥의 경우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데우거나 즉석에서 간단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도록 한 인스턴트식품의 특성상 대부분이 그 용기 내에 별개로 포장한 일회용 숟가락을 음식물과 함께 담아서 제공하고 있다.
즉, 여기에 사용되는 일회용 숟가락은 용기 내에 담아서 제공하기 위해 통상의 숟가락에 비해 길이를 최소화한 상태로 제공하는 분리형 또는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20-1988-0000286호에는 2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고 그 각각의 부분을 굴곡자재부로 연결하며, 떠올리기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굴곡자재부를 대략 W자형 분리선으로 손잡이부 양 가장자리에 형성하고, 상기 굴곡자재부 사이에 형성된 떠올리기부 측의 멈춤받이부와 손잡이부 측에 돌출 설치된 갈고리 형상의 끼워 넣기부를 형성한 절첩식 성형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사용을 위해 폈을 때 멈춤받이부와 끼워 넣기부가 서로 탄성적으로 걸려서, 즉 멈춤받이부에는 대략 V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끼워 넣기부에는 V자형 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끼워 넣기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끼워 넣기부의 돌기가 멈춤받이부의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돌기가 홈에 끼워질 때 돌기의 끝단 부분이 쉽게 파손되고, 이로 인해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 시 흔들거림이 발생하여 밥과 같이 점도가 높거나 끈적이는 음식물을 떠먹기에는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인스턴트 복합밥의 경우 그 내용물을 먹기 전에, 즉 밥 위에 얹은 여러 가지 고명과 야채 등을 비빔밥처럼 반복적으로 고루 비비거나 섞는 과정이 필요한데 종래의 일회용 숟가락은 조립식으로 이루어진 구조적 특성상 그 연결 부분이 외력에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각종 음식물을 비비거나 섞는 과정에서 쉽게 꺾이거나 분리 및 파손되므로 인스턴트 복합밥의 내용물을 비비거나 섞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상당한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20-1996-0009620 Y1(1995.11.17) KR 10-1317636 B1(2013.10.02) KR 20-0435170 Y1(2007.01.04) KR 20-1992-0003657 Y1(1988.02.17) KR 20-1992-0008876 U(1992.06.16) KR 20-1992-0008874 U(1992.06.16)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존의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이 지닌 한계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휴대 및 보관 시나 포장용기에 담을 시 등에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특히 인스턴트 복합밥의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비비고 섞어서 퍼내거나 덜어 내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비비거나 섞을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음식물을 비비고 뜰 수 있도록 움푹하게 형성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한쪽에 일체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 테두리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넥 및 상기 넥의 끝 부분 상면과 양측면이 일직선으로 덮이듯이 눌러 끼워지도록 삽입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넥의 상면과 대향하는 상기 삽입공간부의 밑면에 탄성 변형으로 상기 넥의 길이 방향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턱 부분을 감싸듯이 걸어서 이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후크와, 상기 넥의 양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삽입공간부의 양측 안쪽 면에 상기 넥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 부분을 각각 감싸듯이 걸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후크가 형성된 핸드그립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휴대 및 보관 시 또는 포장용기에 담을 시 등에 길이를 최소화하는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고, 아울러 인스턴트 복합밥의 내용물을 훨씬 안정적으로 비비거나 섞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으로, 상기 넥은, 상기 헤드와 반대쪽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은, 단면의 형상이 그 안쪽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후크들은, 그 단면의 형상이 'ㄷ'자 홈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후크들의 서로 마주하는 쪽의 모서리는 상기 넥의 끝 부분이 미끄러지듯이 타고 내려가 끼워지도록 경사면 또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제1후크는 상기 핸드그립의 밑면에 강도 보강을 위해 일체로 형성된 보강리브의 끝 부분에 형성됨으로써 넥과 핸드그립 간이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후크부들과 인접하는 상기 핸드그립의 삽입공간부 밑면에 상기 넥의 끼움 결합 시 탄력적인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유도공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넥과 핸드그립 간의 결합 과정이 더욱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넥의 상면과 양측면이 그와 대향하는 핸드그립의 끝 부분에 일직선으로 덮이는 형태로 눌러 끼울 때, 즉 넥의 선단부를 핸드그립에 걸고 가장자리를 눌러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할 때 1차적으로 제1후크가 넥의 길이 방향 선단부 테두리에 형성된 제1걸림턱 부분을 감싸듯이 걸어서 이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고, 2차적으로 제2후크들이 넥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제2걸림턱 부분을 각각 감싸듯이 걸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함으로써 상호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및 보관 시나 포장용기에 담을 시 등에 길이를 최소화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인스턴트 복합밥의 내용물을 양쪽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여러 번 휘젓거나 버무리는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넥과 핸드그립 간의 연결 상태가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없어 그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비비거나 섞은 후 퍼내거나 덜어낼 수 있다.
즉, 종래와 달리 음식물을 비비거나 섞는 과정에서 넥과 핸드그립의 연결 부분이 꺾이거나 접히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비비고 섞어 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은, 제2후크들의 서로 마주하는 쪽의 모서리는 경사면이나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넥의 길이 방향 선단부에 형성된 제1걸림턱 부분을 제1후크에 걸리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그 제1후크를 중심으로 하여 넥을 핸드그립의 삽입공간부를 향해 회전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듯이 타고 내려가 끼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그립의 변형유도공들이 넥의 끼움 결합 시 제2후크들의 탄력적이고 원활한 탄성 변형을 유도하기 때문에 넥과 핸드그립 간의 결합 과정이 더욱 용이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뒤집은 상태를 나타낸 국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중 핸드그립을 저면 상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중 핸드그립을 평면 상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은 크게 헤드(10), 넥(20) 및 핸드그립(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10)는 음식물을 뜨거나 비비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으로, 밥이나 국물 등의 각종 음식물을 간편하게 비비거나 퍼낼 수 있도록 둥근 외형으로 바닥이 움푹하게 형성되어 있다.
넥(20)은 헤드(10)와 핸드그립(30)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갖는 평판이나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 헤드(10)의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헤드(10)와 반대쪽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넥(20)의 하면 중 길이 방향 선단부 테두리에는 제1걸림턱(21)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 테두리에는 제1걸림턱(21)보다 높이가 낮은 제2걸림턱(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걸림턱(21)은 제1후크(32)와 1차적으로 비스듬하게 걸림 결합되어 회전축의 기능 및 역할을 하도록 제2걸림턱(22)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걸림턱(21)(22)의 단면 형상은 제1 및 제2후크(32)(33)들과 더욱 수월하고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그 안쪽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넥(20)의 밑면 가운데 부분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살(미부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헤드(10)와 넥(20)은 마치 스푼과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핸드그립(30)의 결합 없이 그 자체만으로도 스푼처럼 아이스크림 등을 떠먹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핸드그립(30)은 헤드(10)와 넥(2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집고 다루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외형이 유려한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넥(20)의 끝 부분 상면과 양측면이 일직선으로 덮이듯이 눌러 끼워져 연결되도록 삽입공간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삽입공간부(31)의 끝 부분은 넥(20)의 끝 부분 테두리와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넥(20)과의 결합 시 그 상면과 대향하는 삽입공간부(31)의 밑면에는 탄성 변형으로 제1걸림턱(21) 부분을 감싸듯이 걸어서 이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후크(32)가 형성되어 있고, 넥(20)의 양측면과 대향하는 삽입공간부(31)의 양측 안쪽 면에는 제2걸림턱(22) 부분을 각각 감싸듯이 걸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후크(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드그립(30)의 밑면 가운데 부분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후크(32)는 제1후크(33)들보다 높이가 높도록 보강리브(34)의 끝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후크(33)들은 삽입공간부(31)를 이루는 양측 벽면상에 서로 대칭되게 일체로 제2걸림턱(22)이 끼워질 수 있는 정도만큼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후크(33)들과 인접하는 삽입공간부(31)의 밑면에는 넥(20)의 눌러 끼움 결합 시 탄력적인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유도공(35)이 핸드그립(30)의 상면과 밑면을 상하로 관통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후크(32)(33)들은 그 단면의 형상이 마치 'ㄷ'자 홈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후크(33)들의 서로 마주하는 쪽의 모서리는 넥(20)의 끝 부분이 미끄러지듯이 타고 내려가 눌러 끼워지도록 경사면이나 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후크(33)들은 제2걸림턱(22)을 충분히 감싸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핸드그립(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 제2후크(33)들은 삽입공간부(31)를 이루는 벽면상에서 안쪽으로 마치 'ㄱ'자와 역'ㄱ'자 형상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10) 및 넥(20)은 폴리스티렌(P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등과 같이 인체에 무해한 경질수지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핸드그립(30)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틸렌 프탈레이트(PEP) 등과 같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상대적으로 탄성률이 높은 연질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삽입공간부(31)에 넥(20)의 끝 부분을 눌러 끼울 때 핸드그립(30)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한결 원활하고 수월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넥(20)은 평면상에서 볼 때 그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핸드그립의 삽입공간부(31) 끝 부분은 넥(20)의 끝 부분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적 특성상 넥(20)과 핸드그립(30)은 서로 슬라이딩 삽입방식으로 끼움 결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20)의 제1걸림턱(21)을 제1후크(32)에 건 상태에서 그 제1후크(32)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으로 넥(20)의 끝 부분을 삽입공간부(31) 속으로 눌러 끼워서 결합할 수밖에 없으므로 넥(20)과의 접촉 및 가압력에 의해 제2후크(33)들 부분이 외향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지다가 넥(20)의 상면이 삽입공간부(31)의 밑면과 접촉되어 수평 및 일직선 상태를 이루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여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넥(20)의 끝 부분 상면을 핸드그립(30)의 끝 부분에 형성된 삽입공간부(31) 밑면과 마주하도록 하여 넥의 제1걸림턱(21) 부분을 핸드그립의 제1후크(32)에 걸리도록 끼운 상태에서 그 제1후크(32)를 중심으로 넥(20)이 회전하도록 눌러서 넥(20)의 끝 부분을 삽입공간부(31) 속으로 끼워넣을 수 있다.
이때, 핸드그립(30)의 끝 부분, 즉 제2후크(33)들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자체 탄성 및 변형유도공(35)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자연스럽게 벌어지다가 넥(20)의 상면과 양측면이 삽입공간부(31) 속에 일직선으로 덮이듯이 끼워진 상태에 이르면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 및 형태로 복귀·복원된다.
이와 동시에 제1후크(32)가 넥(20)의 길이 방향 선단부 테두리에 형성된 제1걸림턱(21) 부분을 감싸듯이 걸어서 이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고, 아울러 제2후크(33)들이 넥(20)의 양측 테두리에 형성된 제2걸림턱(22) 부분을 각각 감싸듯이 걸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렇게 넥(20)과 핸드그립(30)이 일직선상으로 눌러 끼워지듯이 연결되면 이중으로 상호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 과정에서 그 연결 부분이 흔들리거나 꺾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넥(20)은 헤드(10) 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고, 또 제2후크(33)들의 서로 마주하는 쪽의 모서리는 경사면이나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적 특성상 넥(20)의 끝 부분이 미끄러지듯이 타고 내려감으로써 한결 자연스럽고 수월하게 핸드그립의 삽입공간부(31) 속으로 눌러 끼울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및 보관 시나 포장용기에 담을 시 등에는 헤드(10)와 넥(20) 그리고 핸드그립(30)으로 분리한 체로 제공함으로써 길이를 최소화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고, 특히 인스턴트 복합밥의 내용물을 여러 번 휘젓거나 버무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용도로 사용하더라도 넥(20)과 핸드그립(30) 간의 연결 상태가 쉽게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아 그 내용물을 훨씬 안정적으로 비비거나 섞어서 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헤드 20: 넥
21: 제1걸림턱 22: 제2걸림턱
30: 핸드그립 31: 삽입공간부
32: 제1후크 33: 제2후크
34: 보강리브 35: 변형유도공

Claims (2)

  1. 음식물을 비비고 뜰 수 있도록 움푹하게 형성된 헤드;
    상기 헤드의 한쪽에 일체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하면의 길이 방향 선단부 테두리에 제1걸림턱이, 양측 테두리에 상기 제1걸림턱보다 높이가 낮은 제2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넥; 및
    상기 넥의 끝 부분 상면과 양측면이 일직선으로 덮이듯이 눌러 끼워지도록 삽입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넥의 상면과 대향하는 상기 삽입공간부의 밑면에 탄성 변형으로 상기 제1걸림턱 부분을 감싸듯이 걸어서 이동 및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후크와, 상기 넥의 양측면과 대향하는 상기 삽입공간부의 양측 안쪽 면에 상기 제2걸림턱 부분을 각각 감싸듯이 걸어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후크가 형성된 핸드그립;
    을 포함하며,
    상기 넥은, 상기 헤드와 반대쪽 끝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턱은, 단면의 형상이 그 안쪽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후크들은, 그 단면의 형상이 'ㄷ'자 홈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후크들의 서로 마주하는 쪽의 모서리는 상기 넥의 끝 부분이 미끄러지듯이 타고 내려가 끼워지도록 경사면 또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후크는 상기 핸드그립의 밑면에 강도 보강을 위해 일체로 형성된 보강리브의 끝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2후크들과 인접하는 상기 삽입공간부의 밑면에, 상기 넥의 눌러 끼움 결합 시 탄력적인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변형유도공이 각각 형성된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2. 삭제
KR1020160126387A 2016-09-30 2016-09-30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KR101854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387A KR101854759B1 (ko) 2016-09-30 2016-09-30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387A KR101854759B1 (ko) 2016-09-30 2016-09-30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829A KR20180036829A (ko) 2018-04-10
KR101854759B1 true KR101854759B1 (ko) 2018-05-08

Family

ID=6197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387A KR101854759B1 (ko) 2016-09-30 2016-09-30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174B1 (ko) 2019-01-16 2019-04-08 김인성 신축형 일회용 숟가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636B1 (ko) * 2013-03-27 2013-10-10 한석빈 접이식 식사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636B1 (ko) * 2013-03-27 2013-10-10 한석빈 접이식 식사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174B1 (ko) 2019-01-16 2019-04-08 김인성 신축형 일회용 숟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829A (ko)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41B1 (ko)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KR101317636B1 (ko) 접이식 식사도구
US4791030A (en) Super hero cup holder
KR102378966B1 (ko) 일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KR101854759B1 (ko) 조립식 일회용 숟가락
KR101966174B1 (ko) 신축형 일회용 숟가락
JP2004521837A (ja) 調理済み食品のための使い捨てパッケージ
JP6625888B2 (ja) 食品用容器の蓋体、食品用容器
US11759058B2 (en) Shaker devices
US7354189B2 (en) Culinary utensil
US11172754B2 (en) Collapsible vessel
US11540670B2 (en) Microwave whisk assembly
US6355918B1 (en) Food support for use in a microwave oven
US10368696B2 (en) Culinary mixer and methods of use
KR101660175B1 (ko) 쌈숟가락조립체
KR101108330B1 (ko) 음식물 고정구
RU128464U1 (ru) Складной 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KR102340907B1 (ko) 꼬치 홀더
KR970000757Y1 (ko) 음식용구
KR101437520B1 (ko) 포크 겸용 컵라면 뚜껑의 홀더
KR20190002257U (ko) 1회용 접이식 식사도구
KR20230140420A (ko) 쉐이커
WO2020180319A1 (en) Collapsible vessel
KR20230140419A (ko) 쉐이커
KR20200116665A (ko) 접이식 식사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