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0304A -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0304A
KR20230140304A KR1020220058325A KR20220058325A KR20230140304A KR 20230140304 A KR20230140304 A KR 20230140304A KR 1020220058325 A KR1020220058325 A KR 1020220058325A KR 20220058325 A KR20220058325 A KR 20220058325A KR 20230140304 A KR20230140304 A KR 20230140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olar panel
power generation
suppor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직
김창준
우성미
김보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서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너지서비스
Publication of KR2023014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30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0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34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 F03D9/43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on stationary objects or on stationary man-made structures using infrastructure primarily used for other purposes, e.g. masts for overhead railway power lines
    • F03D9/46Tunnels or stre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4Means to utilise heat energy, e.g. hybrid systems producing warm water and electricity at the same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 F05B2240/911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already existing for a prior purpose
    • F05B2240/911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ationary structure already existing for a prior purpose which is a roadway, rail track, or the like for recovering energy from moving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및 태양광을 복합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현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도로를 구획하는 중앙 분리대; 및 상기 중앙 분리대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Road median with hybrid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및 태양광을 복합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현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예전부터 지하에 매장된 원유의 한정된 자원이 얼마 지나지 않아 고갈될 것을 예측하여 지금에는, 원유를 대신하여 사용할 많은 대체 에너지를 연구하고 있으며, 그에 관한 많은 기술이 소개되어 왔지만 실용화나 양산 단계에 와 있지는 못하다.
다른 한편으로, 태양이나 바람, 물과 같이 거의 무한적인 자연에너지를 이용하는 발전이 가장 이상적인 대체 에너지원이라는 인식 하에 많은 기술들이 연구되어 소개되었는데, 일 예로써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열을 집광판에 집적하여 전기를 얻는 태양광 발전 기술과, 바람의 힘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로 전기를 얻는 풍력 발전 기술, 그리고 파도의 너울에 의한 상/하 동작, 또는 바다의 밀려나오는 파력, 흐르는 강물로 전기를 발전시키는 물을 이용하는 발전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전의 태양광 발전은 한 개의 시설과 시스템을 설치하는데 막대한 면적과 경비가 들었고, 풍력 발전 시설은 태양광 발전과 별개로 설치되기 때문에 풍력발전을 위한 기초시설의 면적과 시설 경비가 많이 소비되었으며, 더욱이 기초 시설을 이용하여 태양광, 풍력 및 파력, 흐르는 강물이용 등의 복합 발전을 하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흐린 날은 태양광 발전이 불가능하고, 바람이 불지 않는 날이나 파도가 일지 않는 날은 풍력 및 파력 발전 장치에 의한 전력 생산을 기대할 수 없는 등, 개별적으로 설치된 발전 설비는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이지 못하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775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0763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및 태양광을 복합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구현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는, 도로를 구획하는 중앙 분리대; 및 상기 중앙 분리대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는, 상기 중앙 분리대에 설치되며,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 발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풍력 발전부는, 중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도로를 구획하는 상기 중앙 분리대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모듈; 상기 발전 모듈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회전 구동됨에 따라 상기 발전 모듈을 회전 구동시켜 주는 회전 기둥; 및 "S"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 기둥에 설치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상기 회전 기둥을 회전 구동시켜 주는 "S"자형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부는, 도로를 구획하는 상기 중앙 분리대의 일측 또는 양측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은, 차도를 따라 설치되며, 동절기 상기 풍력 발전부 또는 상기 태양광 패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되는 열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부는, 전방으로 개방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도로를 구획하는 상기 중앙 분리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는 설치 하우징; 상기 설치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중앙 분리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하우징에 안착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태양광 패널의 안착 각도를 가변시켜 주는 패널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널 이동부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설치 하우징의 전단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중앙 분리대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지지 탱크;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지지 탱크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기 설치 하우징의 후단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중앙 분리대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탱크;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제1 지지 탱크에 안착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지지 탱크에 안착되며, 상기 설치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향면에 상기 태양광 패널의 후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탱크와 상기 제2 지지 탱크 사이를 따라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위치를 가변시켜 주는 곡선형 지지 프레임; 및 상기 곡선형 지지 프레임의 내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지지 프레임을 이동시켜 주는 프레임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곡선형 지지 프레임은,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제1 지지 탱크에 안착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지지 탱크에 안착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가 상기 제1 지지 탱크와 상기 제2 지지 탱크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 탱크와 상기 제2 지지 탱크 간의 유체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단까지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통 형성되는 유체 이동 터널; 유체가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ㅇ" 형상의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 이동 터널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밀착 설치되어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을 내측을 따라 형성하며,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유체가 공급되어 팽창됨에 따라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의 직경이 줄어들고, 공급되었던 유체가 배출되어 수축됨에 따라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의 직경이 확장되는 다수 개의 가변 튜브; 및 상기 다수 개의 가변 튜브에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하였던 유체를 다시 회수하는 유체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이동부는, 상기 곡선형 지지 프레임의 후단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1 구동 기어; 상기 제1 구동 기어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곡선형 지지 프레임의 후단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제2 구동 기어; 및 전단 내향면이 상기 제1 구동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후단 내향면이 상기 제2 구동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구동 기어 또는 상기 제2 구동 기어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2 구동 기어 또는 상기 제1 구동 기어를 회전 구동시켜 주는 기어 연결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및 태양광을 복합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풍력 발전부와 태양광 패널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태양광 패널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의 패널 이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6의 곡선형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10)은, 태양광 패널부(200) 및 중앙 분리대(300)를 포함한다.
중앙 분리대(300)는, 도로를 구획한다.
태양광 패널부(200)는, 중앙 분리대(300)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풍력 발전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풍력 발전부(100)는, 중앙 분리대(300)에 설치되며,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10)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및 태양광을 복합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풍력 발전부와 태양광 패널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부(1000)는, 하우징(110), 발전 모듈(120), 주는 회전 기둥(130) 및 "S"자형 날개(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중단이 개방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도로를 구획하는 중앙 분리대(300)의 상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발전 모듈(120), 주는 회전 기둥(130) 및 "S"자형 날개(14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발전 모듈(120)은,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회전 구동됨에 따라 전기를 생산한다.
회전 기둥(130)은, 발전 모듈(120)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회전 구동됨에 따라 발전 모듈(120)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S"자형 날개(140)는, "S"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회전 기둥(130)에 설치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회전 기둥(130)을 회전 구동시켜 준다.
그리고,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부(20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에 의해 중앙 분리대(3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를 구획하는 중앙 분리대(300)의 일측 또는 양측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10)은, 열선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선부는, 차도를 따라 설치되며, 동절기 풍력 발전부(100) 또는 태양광 패널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태양광 패널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부(200b)는, 설치 하우징(210), 태양광 패널(220) 및 패널 이동부(400)를 포함한다.
설치 하우징(210)은, 태양광 패널(2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개방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도로를 구획하는 중앙 분리대(3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된다.
태양광 패널(220)은, 패널 이동부(400)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패널 이동부(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분리대(3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설치 하우징(210)에 안착되는 태양광 패널(220)을 지지하는 동시에 태양광 패널(220)의 안착 각도를 가변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부(200b)는, 태양광을 수광하는 태양광 패널(220)의 설치 각도를 태양의 고도에 대응하여 가변시켜 줌으로써, 태양광 패널(220)에 의한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의 패널 이동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패널 이동부(400)는, 제1 지지 탱크(410), 제2 지지 탱크(420), 곡선형 지지 프레임(430) 및 프레임 이동부(44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탱크(410)는, 유체(예를 들어, 물 또는 오일 등)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설치 하우징(210)의 전단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중앙 분리대(300)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곡선형 지지 프레임(430)의 전단이 안착된다.
제2 지지 탱크(420)는, 유체(예를 들어, 물 또는 오일 등)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제1 지지 탱크(41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면서 설치 하우징(210)의 후단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중앙 분리대(300)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곡선형 지지 프레임(430)의 후단이 안착된다.
곡선형 지지 프레임(430)은,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제1 지지 탱크(410)에 안착되고, 후단이 제2 지지 탱크(420)에 안착되며, 설치 하우징(21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향면에 태양광 패널(220)의 후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220a)이 설치되며, 프레임 이동부(440)에 의해 제1 지지 탱크(410)와 제2 지지 탱크(420) 사이를 따라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면서 태양광 패널(220)의 위치를 가변시켜 준다.
프레임 이동부(440)는, 곡선형 지지 프레임(430)의 내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곡선형 지지 프레임(430)을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이동부(440)는, 제1 구동 기어(441), 제2 구동 기어(442) 및 기어 연결 벨트(4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441)는, 기어 연결 벨트(443)의 전단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곡선형 지지 프레임(430)의 후단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2 구동 기어(442)는, 기어 연결 벨트(443)의 후단 내향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구동 기어(441)로부터 이격되어 곡선형 지지 프레임(430)의 후단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기어 연결 벨트(443)는, 전단 내향면이 제1 구동 기어(44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고, 후단 내향면이 제2 구동 기어(4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1 구동 기어(441) 또는 제2 구동 기어(44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회전 구동되어 제2 구동 기어(442) 또는 제1 구동 기어(441)를 회전 구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패널 이동부(400)는, 곡선형 지지 프레임(430)을 둥글게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시킴에 따라 태양광 패널(220)의 안착 각도를 가변시켜 태양광 패널(220)에 의한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6의 곡선형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곡선형 지지 프레임(430)은, 프레임 바디(431), 유체 이동 터널(432), 다수 개의 가변 튜브(433) 및 유체 공급부(434)를 포함한다.
프레임 바디(431)는,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제1 지지 탱크(410)에 안착되고, 후단이 제2 지지 탱크(420)에 안착되며, 내측을 따라 유체 이동 터널(432) 및 다수 개의 가변 튜브(433)가 설치된다.
유체 이동 터널(432)은, 프레임 바디(431)가 제1 지지 탱크(410)와 제2 지지 탱크(420)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제1 지지 탱크(410)와 제2 지지 탱크(420) 간의 유체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프레임 바디(431)의 전단으로부터 프레임 바디(431)의 후단까지 프레임 바디(431)의 내측을 따라 연통 형성된다.
가변 튜브(433)는, 유체(예를 들어, 물, 오일 또는 공기 등)가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ㅇ" 형상의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유체 이동 터널(432)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밀착 설치되어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을 내측을 따라 형성하며,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유체가 공급되어 팽창(도 11의 433a)됨에 따라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의 직경이 줄어들고, 공급되었던 유체가 배출되어 수축됨에 따라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의 직경이 확장된다.
유체 공급부(434)는, 다수 개의 가변 튜브(433)에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하였던 유체를 다시 회수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100: 풍력 발전부
200: 태양광 패널부
300: 중앙 분리대
400: 패널 이동부

Claims (2)

  1. 도로를 구획하는 중앙 분리대; 및
    상기 중앙 분리대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분리대에 설치되며,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 발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부는,
    전방으로 개방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도로를 구획하는 상기 중앙 분리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는 설치 하우징;
    상기 설치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중앙 분리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하우징에 안착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태양광 패널의 안착 각도를 가변시켜 주는 패널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이동부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설치 하우징의 전단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중앙 분리대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지지 탱크;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지지 탱크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면서 상기 설치 하우징의 후단을 향하도록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중앙 분리대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는 제2 지지 탱크;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제1 지지 탱크에 안착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지지 탱크에 안착되며, 상기 설치 하우징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향면에 상기 태양광 패널의 후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 탱크와 상기 제2 지지 탱크 사이를 따라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위치를 가변시켜 주는 곡선형 지지 프레임; 및
    상기 곡선형 지지 프레임의 내향면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지지 프레임을 이동시켜 주는 프레임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선형 지지 프레임은,
    둥근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제1 지지 탱크에 안착되고, 후단이 상기 제2 지지 탱크에 안착되는 프레임 바디;
    상기 프레임 바디가 상기 제1 지지 탱크와 상기 제2 지지 탱크 사이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 탱크와 상기 제2 지지 탱크 간의 유체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바디의 후단까지 상기 프레임 바디의 내측을 따라 연통 형성되는 유체 이동 터널;
    유체가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ㅇ" 형상의 팽창 또는 수축이 가능한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체 이동 터널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밀착 설치되어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을 내측을 따라 형성하며,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유체가 공급되어 팽창됨에 따라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의 직경이 줄어들고, 공급되었던 유체가 배출되어 수축됨에 따라 유체가 이동되기 위한 공간의 직경이 확장되는 다수 개의 가변 튜브; 및
    상기 다수 개의 가변 튜브에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공급하였던 유체를 다시 회수하는 유체 공급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KR1020220058325A 2022-03-24 2022-05-12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KR202301403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526 2022-03-24
KR20220036526 2022-03-24
KR1020220049075A KR102414464B1 (ko) 2022-03-24 2022-04-20 풍력 및 태양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075A Division KR102414464B1 (ko) 2022-03-24 2022-04-20 풍력 및 태양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304A true KR20230140304A (ko) 2023-10-06

Family

ID=822153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075A KR102414464B1 (ko) 2022-03-24 2022-04-20 풍력 및 태양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KR1020220058325A KR20230140304A (ko) 2022-03-24 2022-05-12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로 중앙분리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075A KR102414464B1 (ko) 2022-03-24 2022-04-20 풍력 및 태양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44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633B1 (ko) 2010-06-10 2011-01-12 벽산파워 주식회사 조력과 파력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KR101027757B1 (ko) 2007-02-20 2011-04-07 김윤세 태양광과 풍력 및 파력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386A (ko) * 2007-02-27 2008-09-01 탁승호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에 의한 복합발전기능을 가지고 원격제어에 의하여 작동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발광다이오드가로등
KR20130027212A (ko) * 2011-09-07 2013-03-15 안광석 도로 조명장치
KR101561577B1 (ko) * 2014-01-29 2015-10-20 그린건설환경(자) 도로 유지 관리 미끄럼 방지장치
KR101761468B1 (ko) * 2015-03-19 2017-07-27 유용선 풍력 및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교통안내표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757B1 (ko) 2007-02-20 2011-04-07 김윤세 태양광과 풍력 및 파력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KR101007633B1 (ko) 2010-06-10 2011-01-12 벽산파워 주식회사 조력과 파력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464B9 (ko) 2022-10-11
KR102414464B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264B2 (en) Inflatable heliostatic solar power collector
US6406251B1 (en) Bi-directional hydroturbine assembly for tidal deployment
AU2008234452B2 (en) Inflatable solar collector
CN101946133B (zh) 混合太阳热发电装置
US5386146A (en) In-line auger driven charging system
KR100990754B1 (ko) 태양열집열기의 집열각도 조절장치
KR100688070B1 (ko)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 장치
CN102165183B (zh) 海浪能量提取的改进
KR102107839B1 (ko) 수상 복합 발전시스템
CN100532830C (zh) 潮汐发电机
KR101125589B1 (ko) 발전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005296B1 (ko) 도로의 방음벽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37326B1 (ko) 각도 조절 가능한 태양전지판
WO2011145883A2 (ko) 기둥형 집광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장치
KR20160004245U (ko) 추적형 태양광 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100749504B1 (ko) 태양열 발전시스템에 적용되는 태양광 반사장치
KR102414464B1 (ko) 풍력 및 태양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KR101822743B1 (ko) 무동력 회전 반사수단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99704B1 (ko)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하는 복합발전장치
CN108696235A (zh) 一种太阳能风光互补的供电装置
KR101111301B1 (ko)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기
ES2429346T3 (es) Mini central hidroeléctrica
RU2674827C1 (ru) Генератор энергии посредством прилива
CN203081640U (zh) 活叶式水流动力装置
CN103994012B (zh) 活叶式水流动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