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301B1 -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기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301B1
KR101111301B1 KR1020090051444A KR20090051444A KR101111301B1 KR 101111301 B1 KR101111301 B1 KR 101111301B1 KR 1020090051444 A KR1020090051444 A KR 1020090051444A KR 20090051444 A KR20090051444 A KR 20090051444A KR 101111301 B1 KR101111301 B1 KR 10111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wer
power generation
support pillar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477A (ko
Inventor
민승기
Original Assignee
민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승기 filed Critical 민승기
Publication of KR2010000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SSOLAR HEAT COLLECTORS; SOLAR HEAT SYSTEMS
    • F24S25/0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 F24S25/10Arrangement of stationary mountings or supports for solar heat collector modul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a suppor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 등에서 기둥에 적용되는 태양광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에서 높은 위치로 지지기둥을 돌출하는 경우, 상기 지지용 기둥에 조립으로서, 강풍에 의한 내구성의 보강 뿐 만 아니라 햇볕의 이동에 대한 균일한 조사력을 제공하여서 균일한 발전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여건상 강한 풍력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지용 기둥으로 높은 위치에 회전날개를 조립하여서 발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높은 위치로 형성하는 회전날개를 지지하는 지지용 기둥의 주위는 여건상 회전날개의 회전으로 인하면서 공중에 위치되는 공간은 안정상 실용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형편이 되는 것이다.
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풍력발전기(60)용 회전날개(49)가 구비되는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에서, 상기 회전날개(49)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프레임(55)을 상,하측으로는 각각 고정하여 주되, 상기 프레임(55)의 상,하측 구간에는 각각 경사도가 차등되는 발전판1,2(67)(68)을 고정하고, 상기 발전판1,2(67)(68)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접어지는 보조 발전판(50)(50')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프레임(55)은 발전판1,2(67)(68)의 경사도에 맞추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위의 높이에서 상,하측의 고정링(54)(54')의 양측으로 고정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진 발전판(64)(64')을 구비시켜주고, 상기 고정링(54)(54')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유도발전판(66)을 형성하여 주되, 경사진발전판(64)(64')와 방향유도발전판(66)의 하측구간에는 각각 발전판2(68)을 더 하향으로 형성하여서 단면이
Figure 112011501470025-pat00025
형집광판(80)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용 기둥(46)에 조립되는 고정링(54)(54')에 베아링(53)과 하우징(84)을 조립함으로서 방향회전을 위한 내구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지용 기둥(46)에다 경사진발전판(64)(64')이 연결된 가장자리에는 이동 구간(52)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지지용 기둥(46)과 방향유도발전판(66)의 연결부위에 힌지(65)으로 조립하는 고정링(54)(54')에 고정하면서,
상기 힌지(65)의 축에는 스프링(51)을 조립으로 방향유도발전판(66)이 바람이 대한 저항을 감소시켜 주도록 회전구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지용 기둥(46)의 하측부위에 하우징(84)과 베아링(53')으로 회전수단이 조립되는 고정봉(82)을 양측으로 돌출시켜 주되되, 상기 고정봉(82)에는 발전판1(67)을 구비하여 주어서 풍력의 유도를 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태양광 발전판, 지지용 기둥, 경사발전판, 이동구간

Description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기{omitted}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 등에서 기둥에 적용되는 태양광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상에서 높은 위치로 지지용 기둥을 돌출하는 경우, 상기 지지용 기둥에 조립으로서, 강풍에 의한 내구성의 보강 뿐 만 아니라 햇볕의 이동에 대한 균일한 조사력을 제공하여서 균일한 발전을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풍력발전기는 여건상 강한 풍력을 유도하기 위하여 지지용 기둥으로 높은 위치에 회전날개를 조립하여서 발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높은 위치로 형성하는 회전날개를 지지하는 지지용 기둥의 주위는 여건상 회전날개의 회전으로 인하면서 공중에 위치되는 공간은 안전상 실용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형편이 되는 것이다.
또한 풍력발전기는 가능한 강풍을 사용하기 위하여 바람이 부는 언덕 등에서 높은 기둥에다 회전 날개와 이의 발전장치를 형성하여서 제공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높은 기둥의 중간부위에는, 상기 풍력발전기용 회전날개의 발전을 위하는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기의 교란 등으로 거의 사용되지 아니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태양열 발전판은 대부분 평면으로 형성하여서 제공하므로 지상이나 지붕의 경사진 기울어진 면과 같은 바람의 새기가 약하는 지역에서 사용이 되고 있으 며, 풍력발전기의 지지용 기둥과 같은 지상에서 높은 위치에 설치하기에는 강풍이 부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파손의 우려가 높으며, 또한 햇볕의 이동에 따른 발전의 효율을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 바람이 부는 방향은 지형상 계절의 변화에 의하여 서북쪽 방향에서 불어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에 따라 회전날개의 방향이 풍력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회전구동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요즈음 지구의 온난화 현상으로 화석연료의 사용 절약과 아울러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이 요구되는 현실에서, 상기 기재되는 바와 같이 지지용 기둥의 주위를 사용할 수 있는 발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풍력발전기에서 사용되는 바람은 대부분 북쪽방향에서 남쪽방향으로 불어주며, 또한 햇볕은 주로 남쪽방향을 기준으로 비춰주면서, 계절에 따르는 경사도와 햇볕의 내려비추는 직사량이 서로 변화하면서 아침에서 저녁까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이에 따른 집광판에 대한 햇볕의 직사밀도와 경사도에 따라 비춰주는 집광도를 집광판의 경사지는 경사량에 따라 기능한 서로 비슷하게 제공함으로서, 이에 따른 발전에 대한 효율성도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고로 이의 대안으로서 집광판(이하; 발전판이라 칭한다)을 오전, 정오, 오후에 비춰주는 기울기와 조사도에 따른 집광판의 수직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도록, 이에 대한 이 햇볕의 기울기의 이동에 따른 균일한 햇볕의 수임이 가능한 집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햇볕은 동쪽에서 떠서 남쪽을 지나서 서쪽으로 지는 구조를 형성하는 바, 이는 남쪽 방향으로 햇볕이 비춰주는 구조인 바, 이는 바람이 부는 북서족의 방향과는 위치상으로 반대의 구조인 것이다.
고로 상기 문제점을 보강하면서 기능한 균일한 집광도를 제공하여서 가능한 균일한 발전력을 위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사막 등과 같은 건조지역에서의 풍력발전기에서의 지지용 기둥에서 유휴공간에 대한 실용적인 발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하는 장치로서, 지중에 깊숙이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돌출되는 지지용 기둥의 중,상측 부위에서 적용하여는 집광판의 크기에 맞추어서 조립하는 고정링에서 연결되는 프레임을 각각 직각으로 돌출시켜 준다.
상기 프레임에다 계절과 시각에 따라 비춰주는 햇볕의 기울기 및 조사량에 대한 균일한 수임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측부위에는 하방으로 향하는 경사도가 형성하는 집광판을 고정하여 주고, 이의 하측에는 상기 경사지는 집광판보다 더 경사지는 집광판을 고정하여 준다.
또한 상기 상하측의 집광판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지지용 기둥 방향으로 접어지는 집광판을 형성하여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용 기둥에 고정되는 집광판은 공중에서 매달아 놓는 구조가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강풍 등의 피해를 줄여주기 위하여 상기 발전판 사이의 가장자리에는 강풍의 이동용 이동구간을 프레임의 고정으로 인하여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강풍은 북쪽에서 불어주므로, 이에 대한 피해를 줄여주기 위하여 집광판의 조립용 고정링에 베아링을 조립시켜서 상기 발전장치가 회전이 용이하도록 제공하며, 또한 전체적인 구조는 상측에서 하방으로 경사진 집광판과 아울러 더 경사지는 집광판으로 형성되는 유선형의 구조를 제공하여 준다.
풍력발전기(60)용 회전날개(49)가 구비되는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에서, 상기 회전날개(49)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프레임(55)을 상,하측으로는 각각 고정하여 주되, 상기 프레임(55)의 상,하측 구간에는 각각 경사도가 차등되는 발전판1,2(67)(68)을 고정하고,
상기 발전판1,2(67)(68)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접어지는 보조 발전판(50)(50')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프레임(55)은 발전판1,2(67)(68)의 경사도에 맞추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위의 높이에서 상,하측의 고정링(54)(54')의 양측으로 고정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진발전판(64)(64')을 구비시켜주고,
상기 고정링(54)(54')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유도발전판(66)을 형성하여 주되, 경사진발전판(64)(64')와 방향유도발전판(66)의 하측구간에는 각각 발전판2(68)을 더 하향으로 형성하여서 단면이
Figure 112011501470025-pat00026
형집광판(80)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용 기둥(46)에 조립되는 고정링(54)(54')에 베아링(53)과 하우징(84)을 조립함으로서 방향회전을 위한 내구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지용 기둥(46)에다 경사진발전판(64)(64')이 연결된 가장자리에는 이동 구간(52)을 형성하여 주고,
삭제
삭제
상기 지지용 기둥(46)과 방향유도발전판(66)의 연결부위에 힌지(65)으로 조립하는 고정링(54)(54')에 고정하면서,
상기 힌지(65)의 축에는 스프링(51)을 조립으로 방향유도발전판(66)이 바람이 대한 저항을 감소시켜 주도록 회전구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지지용 기둥(46)의 하측부위에 하우징(84)과 베아링(53')으로 회전수단이 조립되는 고정봉(82)을 양측으로 돌출시켜 주되되,
상기 고정봉(82)에는 발전판1(67)을 구비하여 주어서 풍력의 유도를 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발전판1(67)에는 급,배기관(93)을 연결하여 주는 가열대(92)를 내장시켜 주고,
상기 발전판1(67)에는 빗물 유도용 유도관(90)을 설치하여주고,
상기 고정봉(82)을 고정빔(70)으로 형성시켜 주되, 베아링(53')과 캡(75)으로 회전구조를 구비시켜 주는 지지기둥(69)를 돌출시켜 주고,
상기 지지기둥(69)의 하측으로 보조기둥(94)으로 지지시켜 주고,
상기 지지기둥(69)에 샤후드(74)와 캡(75)으로 베아링(53')이 조립되는 태양광 발전기(72)를 설치하여 주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72)에는 유도리브(73)을 구비하여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바람이 부는 풍력을 이용하여서 발전을 함과 동시에,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동시에 태양광을 이용하여서 발전을 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기존 풍력발전기에서 소요되는 지지기둥의 중간부위 지역의 공간을 이용하는 경제적인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에 깊숙이 고정하면서 지상으로 돌출되는 풍력발전기의 지지용 기둥의 중,상측 부위에서 비춰주는 태양광을 이용함으로서 발전을 위하는 발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하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은 도 1에 대한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판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는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사용예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대한 사용 상태1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9에 대한 사용상태2의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2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2에서 B-B선 단면도 및 사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16는 도 15에서 요부에 대한 사영예의 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기(60)의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에서, 상기 설명되는 회전날개(49)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는 프레임(55)을 고정하여 주되, 상기 프레임(55)을 상측으로는 경사도가 낮은 발전판1(67)을 고정하고, 이의 하측으로는 경사도가 높은 집광판2(68)을 연장하여 서 프레임(55)으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경사도가 낮은 발전판1(67)을 고정되는 이의 하측으로는 경사도가 높은 집광판2(68)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지지용 기둥(46) 방향으로 접어지는 보조 발전판(50)(50')을 형성하여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발전판(50)(50')을 고정하는 프레임(55)은 발전판1,2(67)(68)의 경사도에 맞추어 주는 집광판(50)(50')을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경사도가 낮은 발전판1(67)은 주로 여름철에 비춰주는 태양의 기울기에 맞추어 주도록 하며, 또한 경사도가 높은 발전판2(68)은 겨울철에 햇볕이 더 기울어져 비춰주는 햇볕에 대한 수율을 보강하기 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집광판1,2(67)(68)의 가장자리에서 지지용 기둥(46) 방향으로 접어지는 보조 집광판(50)(50')을 형성은, 햇볕이 아침에 떠서 중천을 지나서 오후에 지는 햇볕의 이동 경로에 맞추어서 발전력을 보강하기 위하는 발명이다.
즉 상기 설명되는 집광판1,2(67)(68)에서 경사도에 대한 성명은 하절기에는 햇볕의 비춰주는 기울기가 거의 수직에 근접하므로 이에 맞추어서 햇볕의 조사도(비춰주는 강도)를 높이기 위함이며, 도한 더 경사도에 대한 설명은 동절기 및 오전 및 오후에는 햇볕의 비춰주는 기울기의 각도가 낮아 주므로 이에 따라 조사도를 보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이 설명되는 풍력발전기(60)의 지지용 기둥(46)에 고정되는 상기 태양열 발전장치는 공중에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이에 따라 강풍이 부는 경우, 이에 대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발전판1,2(67)(68) 사이와 보조발전판(50)(50') 사이의 가장자리를 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이동구간(52)에다 프레임(55)으로 고정시켜 줌으로서 구성시켜서, 강풍으로 부는 바람이 이동하도록 제공하여 주는 발명이다.
[실시예1]
풍력발전기에서 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는 풍력은 어느 정도 이상의 풍력이 비춰주어야 하는데, 대부분 날씨가 맑은 청명한 상태에서는 햇볕은 강하나 바람은 무풍상태로 유지되므로, 이에 따라 풍력발전은 거의 발전을 하지 못하지만, 높은 높이를 형성하는 지지용 기둥(46)의 부위에는 거의 무사용 상태로 되는 경우가 높은 것이다.
상기 설명되는 풍력발전기(60)의 높은 높이로 돌출되어 지지되는 지지용 기둥(55)의 중간부위의 높이에서는 날씨가 청명하고 무풍인 경우에서도 발전을 제공하기 위하면서, 강풍이 부는 경우에는, 바람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여서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위의 높이에서 상하측으로 집광판1,2(67)(68)의 폭에 맞추어주는 길이로 각각 고정되는 고정링(54)(54')을 지지용 기둥(55)에 맞추어서 고정하되, 상기 고정링(54)(54')의 양측에서 돌출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단면이 경사진발전판(64)(64')을 소정의 크기로 돌출하여주고, 또한 상기 고정링(54)(54') 양측에서 돌출되는 중앙부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유도발전판(66)을 형성하여 주되, 상기 단면이 경사진발전판(64)(64') 및 방향유도발전판(66)의 표면에는 태양광 발전용 소자를 입혀서 제공하는 발명으로 단면이
Figure 112011501470025-pat00019
형 집광판(80) 구조로 제공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날씨가 흐려서 햇볕이 비추지 않은 경우 뿐 만 아니라, 바람이 부는 경우에서도 발전을 제공하는 발명이며, 또한 바람의 부는 방향이 변하는 경우에도 상기 지지용 기둥(46)에 조립되는 고정링(54)(54')에 베아링(53)을 일체로 조립시켜서 용이하게 회전을 제공하는 구조로서 상기 발전판의 구조가 비람의 방향에 따라 피해가 감소하는 즉 저항이 적은 방향회전 이동으로 인하여 내구성을 보강하는 발명이다.
[실시예2]
본 발명에 대한 요부인 상기 설명되는 회전날개(49)가 풍력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서 발전을 하는 풍력발전기(60)의 높은 높이로 돌출되어 지지되는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위의 높이에서는 태양열이 비치는 맑은 날씨에서 계절에 따라서 햇볕이 비치는 기울기의 경사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상기 경사도에 따라
Figure 112011501470025-pat00027
형 발전판(80)에 대한 햇볕의 조사도에 대한 밀도를 보강하여 줌으로서 발전력을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온의 변화에 따른 태풍이나 강풍에 대한 저항의 피해를 감소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실시예에 대한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위의 높이에 조립으로 고정되는
Figure 112011501470025-pat00028
형 발전판(80)의 길이에 맞추어서 상하측으로 고정링(54)을 조립하되; 상기 고정링(54)에서 일체로 프레임(55)을 돌출시켜 준다.
즉 햇볕이 비치는 남방으로 향하면서 좌우측으로 수직상태로 하강하는 경사진발전판(64)(64')을 형성하여 주되; 이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는 발전판2(68)을 돌출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단면이
Figure 112011501470025-pat00020
형 발전판(8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남방으로 돌출된 부위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경사진발전판(64)(64')이 구비된 지지용 기둥(46)의 구간으로부터 더 돌출되는 방향유도발전판(66)을 형성하여서 햇볕이 이동하면서 비춰주는
Figure 112011501470025-pat00029
형 발전판(80)의 발전력을 보강하여 준다.
고로 상기 단면이
Figure 112011501470025-pat00030
형 발전판(80)은 대부분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위의 높이에 조립으로 고정으로 사용되므로, 이에 따라 강풍에 대한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하여서는, 이동하는 강풍에 대한 이동통로를 형성하여 제공하면, 이에 대한 저항의 감소를 제공을 위하는 발명으로서, 이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면 첨부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Figure 112011501470025-pat00021
형 발전판(80)의 돌출되는 가장자리 부위에는 소정의 이동 구간(52)을 형성하여 주되, 더 돌출되는 방향유도발전판(66)의 연결부위에서도 바람의 이동 구간(52)을 형성하여서 제공함이 바람직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더 돌출되는 방향유도발전판(66)의 연결부위에 힌지(65)로 상하측에서 지지용 기둥(46)을 조립하는 고정링(54)에 고정하면서, 상기 힌지(65)의 축에는 스프링(51)을 조립으로 바람의 이동에 의하여 더 돌출되는 방향유도발전판(66)의 위치인 구간에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힌지(65)와 스프링(51)의 역할로 인하여 회전 이동하여서 바람이 대한 저항을 감소시켜 준다.
또한 상기 더 돌출되는 방향유도발전판(66)의 하측부위에는 양측 방향으로 경사로 돌출되는
Figure 112011501470025-pat00022
형 발전판(80)를 형성하여서 햇볕의 조사에 대한 발전력을 보강시켜 준다.
그리고 바람이 부는 현상이 그치면 상기 스프링(51)의 응력에 의하여 원래대로 중간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주므로, 이에 따라 햇볕의 이동에 다른 발전력의 보강이 제공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더 돌출되는 방향유도발전판(66)이 바람의 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진집광판(64)(64')의 하측에서 중앙쪽으로 각각 일측 모서리(a,b)구간으로 형성되는 이동구간(52)을 힌지(65)로 연결함이며, 또한 상기 방향유도발전판(66)의 하측에서 양측의 하방 가장자리로 돌출되는 집광판2(68)를 더 경사지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65)의 역할에 의하여 좌우로 회전으로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인 발전장치에 대한 사용예를 보인 예로서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이나 건축물 등에서 고정되는 기둥(46')에다 고정하여서 제공으로 지면에 대한 경제성을 보강하는 발명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일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 변형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실시예3]
지면이나 해수면(95)에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돌출되는 지지용 기둥(46)의 상측으로 회전날개(49)가 구비되어서 운용되는 종래의 풍력발전용 단지에서는, 거대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풍력발전 단지에서의 간격에 대한 공간은 실로 적지 않은 면적이라 할 것이다.
고로 상기 설명되는 각각의 풍력 발전기(60) 사이사이의 간격에 대한 공간에서 비치는 태양광이나 풍력에 대한 사용을 극대화로 제공하여서, 이에 대한 실용성 을 보강하기 위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도 9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용 기둥(46)에서 경사지역(96)이나 해수면(95)의 상측부위의 위치에서 외측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고정봉(82)을 형성하여 주되, 상기 고정봉(82)은 지지용 기둥(46)을 감싸주면서 조립되는 베아링(53')과 하우징(84)에서 양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주는 고정봉(82)에는 발전판1(67)을 경사지게 고정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고정봉(82)과 발전판1(67)과의 조립은, 상기 회전날개(49)의 회전 구간에 맞추어주는 크기로 조립을 시켜 주되, 상기 발전판1(67)의 배면의 상,하측으로 수평지게 샤후드(74')를 구비하여 주고, 상기 상,하측으로 각각 수평지게 고정되는 샤후드(74') 사이와 고정봉(82) 사이를 일체로 고정바(77)로 연결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77)는 샤후드(74') 사이를 다수개인 3개 정도로 등 간격으로 구비하여서, 상기 발전판1(67)과 고정봉(82) 사이의 고정을 보강시켜 준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발전판1(67)은 풍력발전 단지에서 내려 비추는 햇볕으로 발전시켜 주는 것이며, 또한 풍력을 유도시켜서 회전날개(49)의 회전력을 보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발전판1(67) 에는 태양열로 가열을 하도록 급,배기관(93)을 연결하여 주는 가열대(92)를 상기 발전판1(67)의 내측 구간에 내장으로서, 상기 태양광과 같이 비춰주는 태양열로 가열수를 가열을 하여주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발전판1(67)은 소정의 넓이로 형성되므로, 우천시 상기 발전판1(67)에 내리는 빗물에 대한 저장을 위하여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전판1(67)의 하측 가장자리에 맞추어서 빗물 유도관(90)을 설치하여 주면서, 경사지역(96)과 같은 지하에 매설된 저수용 탱크에 저장이 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상기 설명되는 풍력발전장치(60)에서 회전날개(49)가 회전하는 공간에 설치되는 발전판1(67)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용 기둥(46)에서 조립으로 연결되는 베아링(53')과 하우징(84)에서 조립되는 고정봉(82)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비는, 상기 지지용 기둥(46)에서 고정으로 외측 둘레로 설치되는 고정빔(70)을 상기 설명되는 회전날개(49)의 회전구간에 맞추어 주는 구간으로 구비하여 준다.
또한 상기 고정빔(70)의 가장자리에서 원주방향으로 볼 때,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기둥(69)을 돌출시켜 준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69)의 상측부에는 캡(75)과 샤후드(74) 등으로 조립되는 발전판1(67)을 구비하여 준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69)의 하측으로 보조기둥(94)으로 지지시켜 주어서, 상기 고정 빔(70)에서 돌출되는 보조기둥(94)에 대한 고정력을 보강시켜 주어서 풍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설명되는 캡(75)과 샤후드(74) 등으로 풍력이 불어주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발전판1(67)이 조립으로 설치되는 구조는, 상기 발전판1(67)에서 불어주는 풍력이 유도되는 경우, 회전날개(49)에 대한 회전력이 보강되는 구조로 설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설명되는 풍력 발전 단지에서 서로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는 지지용 기둥(46)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용 기둥(46)의 상측에 고정되는 회전날개(49)가 회전되는 구간의 중앙부위로 위치하여 주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빔(70)에 고정하면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지지기둥(69)의 중,상측 부위에다 베아링(53')과 캡(75)으로 조립시켜 회전하도록 형성하되, 상기 캡(75)의 하측면에 맞추어서, 도면에 미도시된 평기어와 이에 연동되는 기어와 모터를 지지기둥(69)에 고정으로 구성시켜 제공으로서, 상기 캡(75)에 고정되는 샤후드(74)를 회전으로 인하여 경사지는 발전판1(67)이 태양의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 하도록 형성하여 준다.
여기서 회전하는 샤후드(74)의 구동에 관한 조정은 미 도시된 태양 추적 쎈서 및 풍향계 등의 감지에 의하여 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의 역할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조정하여 주도록 구성하여 준다.
도 1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대한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판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도 5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사용예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A-A선 단면도
도 11은 도 9에 대한 사용 상태1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대한 사용 상태2의 부분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15는 도 12에서 B-B선 단면도 및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 16는 도 15에서 요부에 대한 사용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6 : 지지용 기둥 47 : 힌지 49 : 회전날개 50 : 보조발전판
51 : 스프링 52 : 이동구간 53 : 베아링 54 : 고정링
55 : 프레임 57,57' : 경사발전판 60 : 풍력발전기
64,64' : 경사진발전판 65 : 힌지 66 : 방향유도발전판
69 : 지지기둥 70 : 고정빔 72 : 태양광발전기
73 : 유도리브 74 : 샤후드 75 : 캡
76 : 모터 77 : 고정바 80 :
Figure 112011501470025-pat00024
형 발전판 82 : 고정봉
84 : 하우징 90 : 유도관 92 : 가열대 93 : 급,배기관
95 : 해수면 96 : 경사지역

Claims (5)

  1. 풍력발전기(60)용 회전날개(49)가 구비되는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에서, 상기 회전날개(49)의 반대 방향인 후방으로 돌출하는 프레임(55)을 상,하측으로는 각각 고정하여 주되, 상기 프레임(55)의 상,하측 구간에는 각각 경사도가 차등되는 발전판1,2(67)(68)을 고정하고,
    상기 발전판1,2(67)(68)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접어지는 보조 발전판(50)(50')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프레임(55)은 발전판1,2(67)(68)의 경사도에 맞추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기둥(46)의 중간부위의 높이에서 상,하측의 고정링(54)(54')의 양측으로 고정되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경사진 발전판(64)(64')을 구비시켜주고,
    상기 고정링(54)(54')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유도발전판(66)을 형성하여 주되, 경사진발전판(64)(64')와 방향유도발전판(66)의 하측구간에는 각각 발전판2(68)을 더 하향으로 형성하여서 단면이
    Figure 112011501470025-pat00031
    형 집광판(80)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용 기둥(46)에 조립되는 고정링(54)(54')에 베아링(53)과 하우징(84)을 조립함으로서 방향회전을 위한 내구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기둥(46)에다 경사진발전판(64)(64')이 연결된 가장자리에는 이동 구간(52)을 형성하여 주고,
    상기 지지용 기둥(46)과 방향유도발전판(66)의 연결부위에 힌지(65)으로 조립하는 고정링(54)(54')에 고정하면서,
    상기 힌지(65)의 축에는 스프링(51)을 조립으로 방향유도발전판(66)이 바람이 대한 저항을 감소시켜 주도록 회전구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기둥(46)의 하측부위에 하우징(84)과 베아링(53')으로 회전수단이 조립되는 고정봉(82)을 양측으로 돌출시켜 주되되,
    상기 고정봉(82)에는 발전판1(67)을 구비하여 주어서 풍력의 유도를 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판1(67)에는 급,배기관(93)을 연결하여 주는 가열대(92)를 내장시켜 주고,
    상기 발전판1(67)에는 빗물 유도용 유도관(90)을 설치하여주고,
    상기 고정봉(82)을 고정빔(70)으로 형성시켜 주되, 베아링(53')과 캡(75)으로 회전구조를 구비시켜 주는 지지기둥(69)을 돌출시켜 주고,
    상기 지지기둥(69)의 하측으로 보조기둥(94)으로 지지시켜 주고,
    상기 지지기둥(69)에 샤후드(74)와 캡(75)으로 베아링(53')이 조립되는 태양광 발전기(72)를 설치하여 주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72)에는 유도리브(73)을 구비하여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090051444A 2008-07-17 2009-06-10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기 KR101111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0389 2008-07-17
KR1020080070389 2008-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77A KR20100009477A (ko) 2010-01-27
KR101111301B1 true KR101111301B1 (ko) 2012-02-29

Family

ID=4181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444A KR101111301B1 (ko) 2008-07-17 2009-06-10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0487A1 (it) * 2012-03-27 2013-09-28 Lodigiani Lino Ferla Assieme fotovoltaico
CN110022118A (zh) * 2019-03-01 2019-07-16 陈益香 一种节能环保紧凑一体化室外风雨阳光发电装置
CN112054746A (zh) * 2020-08-11 2020-12-08 扬州新鑫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用于户外桩杆的光伏发电系统
CN116707393B (zh) * 2023-08-04 2023-10-20 远山建安技术有限公司 一种微风光串行互补发电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00Y1 (ko) 2003-11-27 2004-02-14 이영상 하이브리드 가로등
KR200364511Y1 (ko) 2004-07-22 2004-10-19 난 희 황 광추적장치가 구비된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가로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100Y1 (ko) 2003-11-27 2004-02-14 이영상 하이브리드 가로등
KR200364511Y1 (ko) 2004-07-22 2004-10-19 난 희 황 광추적장치가 구비된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가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77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17B1 (ko) 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한 복합발전장치
US4119863A (en) Combined high density solar panels and vertical wind turbines
JP5827006B2 (ja) 太陽光発電と風力発電とを組み合わせた複合型発電装置
KR20120051893A (ko) 복합형 발전장치
KR101060156B1 (ko) 지붕형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JP5455092B1 (ja) 風力原動機
KR101111301B1 (ko) 풍력발전기의 기둥용 태양광 발전기
KR20160004245U (ko) 추적형 태양광 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101145104B1 (ko) 저수 가능한 태양광 발전용 블럭
CN109245670A (zh) 一种智能控制的风光互补发电伞
CN207021926U (zh) 一种智能控制的风光互补发电伞
KR101260379B1 (ko) 풍력 및 태양광 발전기용 블럭
KR20120109889A (ko) 건물형 태양광 및 풍력에너지 발전장치
KR101268404B1 (ko) 풍력발전기에 연설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62447B1 (ko) 풍력 발전기가 구비된 태양광 가로등
US8115332B2 (en) Solar-initiated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014755B1 (ko) 풍해방지 겸용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92070B1 (ko) 하이브리드형 발전장치
KR101847293B1 (ko) 태양광 집광패널 경사 각도 조절 장치
KR20100013230A (ko) 지지대 조립용 태양광 발전기
CN110259638B (zh) 一种能源转换与储存装置
CN113203449A (zh) 一种水文监测设备的辅助测量组件
KR101176418B1 (ko) 풍해 방지를 위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1767870B1 (ko) 태양 추적기능을 갖는 태양광 파라솔
JP2003021403A (ja) 自然エネルギーの利用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