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120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120A
KR20230139120A KR1020220037381A KR20220037381A KR20230139120A KR 20230139120 A KR20230139120 A KR 20230139120A KR 1020220037381 A KR1020220037381 A KR 1020220037381A KR 20220037381 A KR20220037381 A KR 20220037381A KR 20230139120 A KR20230139120 A KR 20230139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ir conditioning
sensor
moisture
conditio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영복
이동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120A/ko
Publication of KR2023013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측 수분이 공조케이스의 관통홀을 통해 차실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부분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과, 관통홀에 체결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갖추고 있는 공조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공조케이스의 관통홀로 공조케이스 내부의 수분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 또는 저감하는 누수방지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의 내부측 수분이 공조케이스의 관통홀을 통해 차실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차실내를 냉,난방하는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공조케이스에는 증발기, 히터 등의 열교환기와, 공조케이스의 내부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각종 도어들이 내장되어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의 일측부분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홀(20)들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0)의 일례로서, 증발기(12)의 하류측 공기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이 있다.
상기 센서홀(22)로는, 말단의 센싱부(32)를 갖는 에어감지식 로드(Rod)형 증발기 센서(30)와, 상기 로드형 증발기 센서(30)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센서홀(22)에 체결 결합되는 결합부재(40)가 끼워져 조립된다.
특히, 결합부재(40)는, 말단의 센싱부(32)가 증발기(12)의 후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형 증발기 센서(30)를 상기 센서홀(22)에 고정시키는 일종의 증발기 센서 홀더(Holder) 역할을 하며, 상기 증발기 센서(30)와 공조장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커넥터부(42)를 갖추고 있다. 이하, 상기 결합부재(40)를 "증발기 센서 커넥터 홀더"라 칭한다.
관통홀(20)의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12)의 표면온도를 직접 감지하기 위한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4)이 있다.
상기 센서홀(24)로는, 증발기(12)의 표면에 설치되는 접촉식 증발기 센서(50)의 전기케이블(52)이 인출된다.
통상적으로,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4)이 공조케이스(1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도 동시에 형성되어 있다. 이는, 하나의 공조케이스(10)로 접촉식 증발기 센서(50)와, 에어감지식 로드형 증발기 센서(30)를 설치할 수 있게 하여, 부품의 공용화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때,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에는, 결합부재(40), 즉, 증발기 센서 커넥터 홀더(40)가 결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기 센서 커넥터 홀더(40)의 전기커넥터부(42)에는, 접촉식 증발기 센서(50)의 전기케이블(52)이 연결되어, 접촉식 증발기 센서(50)의 감지 데이터가 공조장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4)은, 공조케이스(10)의 일측부분 중, 상기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의 중력방향 하측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관통홀(20)의 또 다른 예로서, 각종 도어(도시하지 않음) 구동에 관련된 관통홀이 있다. 예를 들면, 도어 샤프트(Door Shaft) 설치용 관통홀, 도어 구동을 위한 도어캠(Door Cam) 설치용 관통홀, 도어 구동을 위한 도어 액츄에이터(Door Actuator) 설치를 위한 관통홀 등이 있다.
또한, 관통홀(20)에 체결 결합되는 결합부재(40)의 다른 예로서, 상기 도어 샤프트(Door Shaft), 도어 구동을 위한 도어캠 축, 도어 액츄에이터 브라켓(Door Actuator Bracket)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장치는, 증발기(12)측의 수분이 상기 관통홀(20)을 통해 차실내로 누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증발기(12)의 표면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는데, 이렇게 응결된 수분이 블로어(도시하지 않음)의 풍압에 의해 공기의 흐름방향으로 비산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렇게 비산되는 수분이 공조케이스(10)의 관통홀(20), 예를 들면, 센서홀(22)로 유입되면서 외부로 누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증발기(12) 표면의 수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으로 비산되는데, 이렇게 비산되는 수분은,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을 따라 중력방향 하측으로 흐르면서 센서홀(22)로 유입된다.
그리고 센서홀(22)로 유입된 수분은, 센서홀(22)과 증발기 센서 커넥터 홀더(40) 사이로 스며들면서 공조케이스(10)의 외측면으로 누출되며, 이렇게 누출된 수분이 차실내로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관통홀 주변 공조케이스부분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공조케이스 내벽면측의 수분이 관통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조케이스 내벽면측의 수분이 관통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조케이스 내부의 수분이 관통홀을 통해 차실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일측부분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체결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갖추고 있는 공조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관통홀로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의 수분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 또는 저감하는 누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분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관통홀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향해 유동하는 수분을 다른 방향으로 배수되게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상기 관통홀과 냉방용 열교환기 사이부분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유동하는 수분을 다른 방향으로 배수되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상기 관통홀의 중력방향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관통홀의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력방향 상측에서 하측의 상기 관통홀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로부터 중력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호부에 의해 차단된 수분을 상기 관통홀 이외의 중력방향 하측으로 배수시키는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직선부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측과 상기 관통홀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관통홀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적어도 상기 관통홀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돌기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되, 그 돌출높이가,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는 상기 결합부재의 돌출높이보다 더 높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적어도 상기 관통홀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는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적어도 상기 관통홀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조케이스의 관통홀 주변 둘레부분에 수분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공조케이스의 내벽면을 따라 관통홀측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 및 배수하는 구조이므로, 공조케이스 내벽면측의 수분이 관통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 내부측의 수분이 관통홀을 통해 차실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조케이스 내부의 수분이 관통홀을 통해 차실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1실시예의 주요 특징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의 주요 특징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3실시예의 주요 특징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4실시예의 주요 특징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공조장치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하며,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일측부분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관통홀(20)들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0)의 일례로서, 증발기(12)의 하류측 공기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이 있다.
상기 센서홀(22)로는, 말단의 센싱부(32)를 갖는 에어감지식 로드형 증발기 센서(30)와, 상기 로드형 증발기 센서(30)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센서홀(22)에 체결 결합되는 결합부재(40)가 끼워져 조립된다.
결합부재(40)는, 말단의 센싱부(32)가 증발기(12)의 후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 센서(30)를 상기 센서홀(22)에 고정시키는 일종의 증발기 센서 홀더이다.
이러한 결합부재(40)의 증발기 센서 커넥터 홀더는, 상기 증발기 센서(30)와 공조장치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커넥터부(42)를 갖추고 있다.
관통홀(20)의 다른 예로서, 각종 도어(도시하지 않음) 구동에 관련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어 샤프트(Door Shaft) 설치용 관통홀, 도어 구동을 위한 도어캠(Door Cam) 설치용 관통홀, 도어 구동을 위한 도어 액츄에이터(Door Actuator) 설치를 위한 관통홀 등이 있다.
또한, 관통홀(20)에 체결 결합되는 결합부재(40)의 다른 예로서, 상기 도어 샤프트(Door Shaft), 도어 구동을 위한 도어캠 축, 도어 액츄에이터 브라켓(Door Actuator Bracket) 등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관통홀(20), 예컨대, 센서홀(22)로 상기 공조케이스(10) 내부의 수분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 또는 저감하는 누수방지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누수방지부재(60)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측 수분이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을 따라 관통홀(20)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10) 내벽면(10a)의 관통홀(20) 둘레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게 형성되는 수분가이드부(62)를 구비한다.
상기 수분가이드부(62)는, 공조케이스(10) 내벽면(10a)의 관통홀(20) 둘레부분 중, 상기 관통홀(20)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圓弧)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돌기(64)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돌기(64)는, 관통홀(20)의 상측부분에 원호 모양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을 따라 중력방향 하측으로 흐르면서 상기 관통홀(20)측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증발기(12)의 표면으로부터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으로 비산된 수분은, 중력방향 하측으로 흘러내리면서 관통홀(20)측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렇게 관통홀(20)측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상기 돌출돌기(64)가 차단함과 동시에, 관통홀(20) 이외의 방향으로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한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0) 내벽면(10a)측의 수분이 관통홀(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으며, 이로써, 공조케이스(10) 내부측의 수분이 관통홀(20)을 통해 차실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돌출돌기(64)는, 관통홀(20)의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호 모양으로 돌출되는 원호부(64a)와, 상기 원호부(64a)로부터 중력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직선부(64b)를 포함한다.
상기 원호부(64a)는,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을 따라 중력방향 하측의 관통홀(20)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한다.
상기 직선부(64b)는, 원호부(64a)에 의해 차단된 수분을 관통홀(20) 이외의 방향, 즉, 중력방향 하측의 공조케이스(10) 바닥면(10b)측으로 배수시킨다.
여기서, 상기 직선부(64b)는, 냉방용 열교환기, 즉, 증발기(12)측과 관통홀(20)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상기 직선부(64b)가 증발기(12)로부터 관통홀(20)로 비산되는 수분을 직접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원호부(64a)와 직선부(64b)로 구성된 상기 돌출돌기(64)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되, 그 돌출높이(H)가, 상기 관통홀(20)에 결합되어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돌출되는 결합부재(40)의 돌출높이(h)보다 더 높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돌출돌기(64)측의 수분이 하부로 낙하할 시에, 낙하되는 수분이 결합부재(40)의 말단부분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제 2실시예]
다음으로, 도 6과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2실시예의 공조장치는, 상기 수분가이드부(62)를 구비하되, 상기 수분가이드부(62)가 공조케이스(10) 내벽면(10a)의 관통홀(20) 둘레부분 중, 적어도 상기 관통홀(20)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는 요홈(66)으로 구성된다.
상기 요홈(66)은, 관통홀(20)의 상측부분에 원호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을 따라 중력방향 하측으로 흐르면서 상기 관통홀(20)측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한다.
특히, 증발기(12)의 표면에서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으로 비산된 수분은, 중력방향 하측으로 흘러내리면서 관통홀(20)측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렇게 관통홀(20)측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상기 요홈(66)이 차단함과 동시에, 관통홀(20) 이외의 방향으로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한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0) 내벽면(10a)측의 수분이 관통홀(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요홈(66)은, 관통홀(20)의 상측부분에 원호 모양으로 돌출되는 원호부(66a)와, 상기 원호부(66a)로부터 중력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직선부(66b)를 포함한다.
상기 원호부(66a)는,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을 따라 중력방향 하측의 관통홀(20)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한다.
상기 직선부(66b)는, 원호부(66a)에 의해 차단된 수분을 관통홀(20) 이외의 방향, 즉, 중력방향 하측의 공조케이스(10) 바닥면(10b)측으로 배수시킨다.
여기서, 상기 직선부(66b)는, 열교환기, 즉, 증발기(12)측과 관통홀(20)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증발기(12)측의 공조케이스(10) 내벽면(10a)부분으로부터 유동하는 수분을 상기 직선부(66b)가 직접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 3실시예]
다음으로, 도 8과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3실시예의 공조장치는, 상기 수분가이드부(62)를 구비하되, 상기 수분가이드부(62)가 공조케이스(10) 내벽면(10a)의 관통홀(20) 둘레부분 중, 적어도 상기 관통홀(20)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 리브(Rib)(68)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 리브(68)는, 관통홀(20)의 상측부분에 원호 모양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을 따라 중력방향 하측으로 흐르면서 상기 관통홀(20)측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함과 동시에, 관통홀(20) 이외의 방향으로 배수될 수 있게 안내한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0) 내벽면(10a)측의 수분이 관통홀(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안내 리브(68)는, 관통홀(20)의 상측부분에 원호 모양으로 돌출되는 원호부(68a)와, 상기 원호부(68a)로부터 중력방향 하측으로 연장되는 직선부(68b)를 포함한다.
상기 원호부(68a)는,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을 따라 중력방향 하측의 관통홀(20)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하고, 상기 직선부(68b)는, 원호부(68a)에 의해 차단된 수분을 관통홀(20) 이외의 방향, 즉, 중력방향 하측의 공조케이스(10) 바닥면(10b)측으로 배수시킨다.
여기서, 상기 직선부(68b)는, 열교환기, 즉, 증발기(12)측과 관통홀(20)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원호부(68a)와 직선부(68b)로 구성된 상기 안내 리브(68)는,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되, 그 돌출높이(H)가, 상기 관통홀(20)에 결합되어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돌출되는 결합부재(40)의 돌출높이(h)보다 더 높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안내 리브(68)측의 수분이 하부로 낙하할 시에, 낙하되는 수분이 결합부재(40)의 말단부분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제 4실시예]
다음으로, 도 10과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4실시예의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에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과,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4)이 동시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분가이드부(62)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 4실시예의 공조장치는, 수분가이드부(62)를 구비하되, 상기 수분가이드부(62)가, 상기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과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4)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에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과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4)은, 상,하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수분가이드부(62)는,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의 둘레부분 중, 상기 센서홀(22)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에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수분가이드부(62)는, 수직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과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4)측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한다.
특히,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을 따라 상기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과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4)측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한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0) 내벽면(10a)측의 수분이 상기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2)과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24)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조케이스(10)의 관통홀(20) 주변 둘레부분에 수분가이드부(62)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공조케이스(10)의 내벽면(10a)을 따라 관통홀(20)측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 및 배수하는 구조이므로, 공조케이스(10) 내벽면(10a)측의 수분이 관통홀(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10) 내부측의 수분이 관통홀(20)을 통해 차실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공조케이스(10) 내부의 수분이 관통홀(20)을 통해 차실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공조케이스(Case) 10a: 내벽면
10b: 바닥면 12: 증발기
20: 관통홀(Hole)
22: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Sensor Hole)
24: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
30: 에어감지식 로드형 증발기 센서
32; 센싱부
40: 결합부재(증발기 센서 커넥터 홀더)
42: 전기커넥터부 50: 접촉식 증발기 센서
52: 전기케이블(Cable) 60: 누수방지부재
62: 수분가이드부 64: 돌출돌기
64a: 원호부 64b: 직선부
66: 요홈 66a: 원호부
66b: 직선부 68: 안내 리브(Rib)
68a: 원호부 68b: 직선부

Claims (15)

  1. 일측부분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체결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갖추고 있는 공조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관통홀로 상기 공조케이스 내부의 수분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 또는 저감하는 누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방지부재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분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관통홀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향해 유동하는 수분을 다른 방향으로 배수되게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상기 관통홀과 냉방용 열교환기 사이부분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측에서 유동하는 수분을 다른 방향으로 배수되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상기 관통홀의 중력방향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관통홀의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력방향 상측에서 하측의 상기 관통홀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원호부와;
    상기 원호부로부터 중력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원호부에 의해 차단된 수분을 상기 관통홀 이외의 중력방향 하측으로 배수시키는 직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는,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측과 상기 관통홀측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로부터 상기 관통홀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적어도 상기 관통홀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圓弧)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기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되, 그 돌출높이가,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는 상기 결합부재의 돌출높이보다 더 높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적어도 상기 관통홀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는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기 공조케이스 내벽면의 관통홀 둘레부분 중, 적어도 상기 관통홀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모양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내 리브(Ri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리브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되, 그 돌출높이가,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어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는 상기 결합부재의 돌출높이보다 더 높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냉방용 열교환기측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이며;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는, 증발기 센서 홀더(Hol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측의 하류측 공기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과;
    상기 냉방용 열교환기측의 표면온도를 직접 감지하기 위한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과 상기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은, 상,하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분가이드부는,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의 둘레부분 중, 상기 센서홀의 중력방향 상측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중력방향 상측에서 하측의 상기 에어감지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과 접촉식 증발기 센서 설치용 센서홀측으로 유동하는 수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 흐름 제어용 도어들의 구동에 관련된 도어 샤프트(Door Shaft) 설치용 관통홀, 도어캠(Door Cam) 설치용 관통홀, 도어 액츄에이터(Door Actuator) 설치용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도어 샤프트 설치용 관통홀에 결합되는 도어 샤프트, 상기 도어캠 설치용 관통홀에 결합되는 도어캠 축, 상기 도어 액츄에이터 설치용 관통홀에 결합되는 도어 액츄에이터 브라켓(Door Actuator Brack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220037381A 2022-03-25 2022-03-25 차량용 공조장치 KR20230139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381A KR20230139120A (ko) 2022-03-25 2022-03-25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381A KR20230139120A (ko) 2022-03-25 2022-03-25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120A true KR20230139120A (ko) 2023-10-05

Family

ID=8829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381A KR20230139120A (ko) 2022-03-25 2022-03-2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91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455B2 (en) Pressure sensor with water restriction plate
EP2112010B1 (en) HVAC drain system
US9272601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case
KR20230139120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792412B2 (ja) 電気制御機器の防水機器ケース構造
JP3351269B2 (ja) 車両用エンジン冷却用放熱器
KR20170108228A (ko) 압력센서
JP3826869B2 (ja) 電装品箱
KR101380713B1 (ko)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파이프 설치구조
US10059169B2 (en) Assembly for collecting and removing leaked refrigerant
CN212005833U (zh) 出风箱以及集成灶
JP555186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60104125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JP4852463B2 (ja) 自動車のカウル構造
CN218544890U (zh) 蒸发器壳体结构、蒸发器总成及空调机
KR101315746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H0450422Y2 (ko)
US20240019283A1 (en) Sensor Module
KR1011504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모터의 수분 유입방지장치
JPH0590274U (ja) 電装箱
KR100633405B1 (ko) 에어클리너 부착형 피시유 컨넥터의 커버
KR20080103298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RU2643852C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асляного бака для узла тормоза с гидравл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трамвайного вагона
KR20030096936A (ko) 자동차의 엔진제어유니트 장착구조
KR200167956Y1 (ko) 온도센서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