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076A - Apparatus for fixing curtain air bag cushion and curtain air bag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ing curtain air bag cushion and curtain air bag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9076A
KR20230139076A KR1020220037239A KR20220037239A KR20230139076A KR 20230139076 A KR20230139076 A KR 20230139076A KR 1020220037239 A KR1020220037239 A KR 1020220037239A KR 20220037239 A KR20220037239 A KR 20220037239A KR 20230139076 A KR20230139076 A KR 20230139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airbag
airbag cushion
fixing device
support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주경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9076A/en
Priority to US17/991,930 priority patent/US11833991B2/en
Publication of KR2023013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907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는, 차체 판넬에 장착되어 커튼 에어백 쿠션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차체 판넬과 마주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곡선을 그리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램프;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기 후크부의 상기 차체 패널과 마주하는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for the curtai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device that is mounted on a car body panel to support and fix the curtain airbag cushion, and includes a support part facing the car body panel, and a curved line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art and moving forward. A lamp including a support portion extending to and a hook portion provided at the top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reinforcing plate detachably mounted on the support portion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hook portion facing the vehicle body panel at the top of the support portion.

Description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APPARATUS FOR FIXING CURTAIN AIR BAG CUSHION AND CURTAIN AIR BAG HAVING THE SAME}Fixing device for curtain airbag cushion and curtain airbag including same {APPARATUS FOR FIXING CURTAIN AIR BAG CUSHION AND CURTAIN AIR BAG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and a curtain airbag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 사고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유입받아 에어백 쿠션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에어백이 구비된다.In general,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airbags, which are safety devices that protect occupants by receiving gas from an inflator and inflating the airbag cushion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에어백은 필요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운전석 에어백과,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는 조수석 에어백과,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루프 사이드 패널을 따라 장착되는 커튼 에어백 등이 제안되고 있다.Airbags are installed in each part of the car as needed: a driver's airbag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to protect the driver sitting in the driver's seat, a passenger airbag mounted on the top of the glove box to protect passengers sitting in the passenger seat, and To protect the sides, curtain airbags mounted along the roof side panels are being proposed.

이중에서, 커튼 에어백은 루프 사이드 패널을 따라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서 자동차 사고시에 에어백 쿠션이 도어와 탑승자 사이로 전개된다.Among these, the curtain airbag is installed along the roof side panel along the length of the car, so that in the event of a car accident,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between the door and the occupants.

커튼 에어백은 에어백 쿠션을 접은 후 풀리지 않도록 직물로 된 쿠션 커버로 감싸서 쿠션조립체를 만든 후 루프 사이드 패널에 장착되게 되는데, 에어백 쿠션과 쿠션 커버가 모두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착형상을 잡아주기 위해서,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램프(ramp)를 마련하여 그 램프의 내측에 쿠션조립체를 설치하게 된다. The curtain airbag is installed on the roof side panel after folding the airbag cushion and wrapping it with a fabric cushion cover to prevent it from coming loose to create a cushion assembly. Since both the airbag cushion and cushion cover are made of flexible materials, in order to maintain the installation shape, A ramp made of rigid plastic material is prepared, and a cushion assembly is installed inside the ramp.

이때, 쿠션 마운팅 탭을 램프의 상단 후크부에 걸림체결을 통해 고정시키게 되는데, 에어백 쿠션 내로 가스가 유입되어 에어백 쿠션이 전개할 때에 상당히 큰 외력이 쿠션 마운팅 탭에 가해져서 상단 후크부 및 후방 램프면이 변형이 이루어지며, 쿠션 마운팅 탭이 외부로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커튼 에어백이 기능을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t this time, the cushion mounting tab is fixed to the upper hook part of the lamp by fastening. When gas flows into the airbag cushion and the airbag cushion deploys, a fairly larg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ushion mounting tab, causing damage to the upper hook part and the rear lamp surface. This deformation occurs, causing the cushion mounting tab to fall out, causing the curtain airbag to mal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램프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쿠션 마운팅 탭의 빠짐을 방지하여 커튼 에어백 쿠션의 전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lamp when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and thereby prevent the cushion mounting tab from falling out, thereby preventing the curtain airbag cushion from being damaged. The object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that can improve deployability and a curtain airbag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는 차체 판넬에 장착되어 커튼 에어백 쿠션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차체 판넬과 마주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곡선을 그리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램프;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기 후크부의 상기 차체 패널과 마주하는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device for the curtai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device that is mounted on a car body panel to support and fix the curtain airbag cushion, and includes a support part facing the car body panel, and a curved line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art and moving forward. A lamp including a support portion extending to and a hook portion provided at the top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reinforcing plate detachably mounted on the support portion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hook portion facing the vehicle body panel at the top of the support portion.

상기 후크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걸림단턱을 형성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제1몸체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몸체를 커버할 수 있다.The hook portion includes a first body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body bent forward from the first body to form a locking step, and the reinforcement plate faces the rear of the first body. It may be arranged so as to cover the first body.

상기 보강판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중앙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좌우양측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includes a bas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bas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bent forward and extending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of the base portion with the reinforcing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m. It may include a fixing part bent downward and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상기 지지부는 상면에 상기 베이스부가 삽입되어 끼움고정되는 끼움홈을 구비하고, 전면에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may be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into which the base part is inserted and fixed, and may be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on the front surface into which the fixing part is seated.

상기 지지부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seating groove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re seated.

상기 보강판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중앙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보강부,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양측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includes a bas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bent forward and extending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an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It may include a fixing part that is bent and extended to the base part.

상기 지지부는 전면에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착홈 내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has a seating groove on the front surface in which the fixing part is seated, and the seating groove ha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fixing par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the back side of the support part to the front part is in the seating groove. It can be seated and fixed.

상기 보강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inforcement plate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이 상기 받침부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과 연결된 쿠션 마운팅 탭을 통과시키는 수용홀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홀은 상기 후크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may have a receiving hole through which a cushion mounting tab connected to the curtain airbag cushion passes while the curtain airbag cushion is plac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receiving hole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ok portion.

상기 후크부는 단일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hook portion may be provided singly or in plural pie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은,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는 커튼 에어백 쿠션; 및 차체 판넬에 장착되어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 curtain air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flator that generates gas; a curtain airbag cushion connected to the inflator and inflated when the gas flows into it; and a fixing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panel to support and secure the curtain airbag cush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의 전개 시 램프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쿠션 마운팅 탭의 빠짐을 방지하여 커튼 에어백 쿠션의 전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lamp can be prevented when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and thus the cushion mounting tab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reby improving the deployability of the curtain airbag cush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에서 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에서 램프 및 보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도 4a에서 보강판이 램프에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에서 램프 및 보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도 5a에서 보강판이 램프에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에서 램프 및 보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도 6a에서 보강판이 램프에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tain airbag is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AA cross section in Figure 1.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amp in a fixtur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amp and a reinforcement plate in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plate in Figure 4a is fastened to the lamp.
Figure 5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amp and a reinforcement plate in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plate in Figure 5a is fastened to the lamp.
Figure 6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amp and a reinforcement plate in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ement plate in Figure 6a is fastened to the lamp.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another component, (on or under) includes both component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that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compon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urtain airbag cushion fixing device and a curtain airbag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에서 램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에서 램프 및 보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보강판이 램프에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에서 램프 및 보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보강판이 램프에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에서 램프 및 보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보강판이 램프에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tain airbag is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A-A in Figure 1,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urtain air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lamp in the fixture of the curtain airbag cushion. Figure 4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amp and a reinforcing plate in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is fastened to the lamp in Figure 4a, and Figure 5a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lamp and reinforcing plate in the fixing device for the curtai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is fastened to the lamp in Figure 5a, and Figure 6a is This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amp and a reinforcing plate in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is fastened to the lamp in FIG. 6A.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1)은 차체 판넬(P)에 자동차 전후방향으로 길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차체 판넬(P)은 루프판넬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루프 사이드 판넬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커튼 에어백은 루프 사이드 판넬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필요는 없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urtain airba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car body panel P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ar. Here, the vehicle body panel (P) refers to the roof side panel dispos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of panel, and the curtain airbag does not need to be mounted directly on the roof side panel.

커튼 에어백(1)은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10), 인플레이터(10)와 연결되어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어 승객을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20), 및 차체 판넬(P)에 장착되어 커튼 에어백 쿠션(20)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고정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커튼 에어백 쿠션(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커튼 에어백 쿠션(20)을 고정장치(30)에 묶는 테이프(40)가 추가될 수 있다. The curtain airbag (1) includes an inflator (10) that generates gas, a curtain airbag cushion (20) that is connected to the inflator (10) and inflates when gas flows in to protect passengers, and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panel (P) to form a curtain airbag. It may include a fixing device 30 that supports and fixes the cushion 20. In an embodiment, a tape 40 that binds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to the fixing device 30 may be added to prevent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from moving.

인플레이터(10)는 클램프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차체 판넬(P)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flator 10 may be fixed to the vehicle body panel (P) through a fixing means such as a clamp.

커튼 에어백 쿠션(20)은 인플레이터(10)와 연결되며, 인플레이터(10)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 전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튼 에어백 쿠션(20)은 자동차에 장착되기 위해 접혀진 후 풀리지 않도록 쿠션 커버(21)로 감싸져서 제공될 수 있다.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is connected to the inflator 10, and can be expanded and deployed when gas generated from the inflator 10 flows into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In one embodiment,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may be provided wrapped with a cushion cover 21 to prevent it from being released after being folded for installation in a car.

고정장치(30)는 차체 판넬(P)에 장착되어 커튼 에어백 쿠션(20)을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다. The fixing device 30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panel (P) to support and fix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커튼 에어백 쿠션(20)과 쿠션 커버(21)는 모두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대로 자동차에 장착되게 된다면 처짐이 발생하는 등 장착형상이 정형화되지 못하게 되어, 커튼 에어백 쿠션(20)의 전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커튼 에어백 쿠션(20)은 고정장치(30)를 통해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Since both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and the cushion cover 21 are made of flexible materials, if they are mounted on a car as is, sagging occurs and the installation shape is not standardized, which reduces the deployment performance of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may deteriorate. Accordingly,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can be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ixing device 3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30)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xing device 30 for the curtain airbag cush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30)는 램프(100), 보강판(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xing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amp 100 and a reinforcement plate 200.

램프(100)는 차체 판넬(P)과 마주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의 하단에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연속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받침부(120)와, 지지부(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후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부(110)의 상단 중앙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스커트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amp 100 includes a support portion 110 facing the vehicle body panel P, a support portion 120 extending forward continuously in a gentle curve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portion 110,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10. It may include a hook portion 130 provided in . In an embodiment, a skirt portion 150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110 may be further included.

받침부(120)의 하면에는 차체 판넬(P)에 장착을 위한 마운트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마운트부(140)에는 볼트 등이 체결되는 체결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A mount portion 14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20 for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panel (P). A fastening hole 141 into which a bolt or the like is fastened may be formed in the mount portion 140.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110), 받침부(120), 후크부(130), 마운트부(140), 스커트부(15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램프(100)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램프(1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110, the receiving portion 120, the hook portion 130, the mount portion 140, and the skirt portion 150 may be formed as one body. In this case, the lamp 10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with sufficient rigidity. However, the material of the lamp 100 is not limited to this.

지지부(110)와 받침부(120)는 커튼 에어백 쿠션(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receiving portion 120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and may have an overall “L” shaped cross-sectional structure.

지지부(110)는 커튼 에어백 쿠션(20)이 받침부(120)에 놓인 상태에서 커튼 에어백 쿠션(20)과 연결된 쿠션 마운팅 탭(22)을 통과시키는 수용홀(111)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홀(111)은 후크부(130)의 위치에 대응하여 후크부(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1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hole 111 through which the cushion mounting tab 22 connected to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passes while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is placed on the support portion 120. The receiving hole 111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ok portion 130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the hook portion 130.

쿠션 마운팅 탭(22)은 수용홀(111)을 통과해 지지부(110)의 후면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어 후크부(130)에 걸림연결될 수 있다.The cushion mounting tab 22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hole 111 and extends upward along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part 110 to be hooked to the hook part 130.

후크부(130)는 지지부(110)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몸체(131)와, 제1몸체(131)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걸림단턱을 형성하는 제2몸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ok portion 130 may include a first body 131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10, and a second body 132 that is bent forward from the first body 131 to form a hanging step. You can.

후크부(130)는 단일 또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크부(130)가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두 개 이상 또는 단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hook portion 130 may be provided singly or in plural pieces.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wo hook parts 130 ar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110,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wo or more hook parts or a single hook part.

후크부(130)는 받침부(120) 상에 놓이는 커튼 에어백 쿠션(20)을 고정시켜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커튼 에어백 쿠션(20)과 연결되는 쿠션 마운팅 탭(22)이 후크부(130)의 걸림단턱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The hook portion 130 can prevent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placed on the support portion 120 from moving, and for this purpose, the cushion mounting tab 22 connected to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is connected to the hook portion. It can be fixed on the locking step of (130).

스커트부(150)는 후크부(130) 사이에서 지지부(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받침부(120)와 함께 커튼 에어백 쿠션(20)을 지지할 수 있다. 테이프(40)는 스커트부(150) 상에서 커튼 에어백 쿠션(20)과 받침부(120) 둘레를 묶도록 제공될 수 있다.The skirt portion 150 may protrude forward of the support portion 110 between the hook portions 130 and support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together with the support portion 120. Tape 40 may be provided to bind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and the support portion 120 on the skirt portion 150.

한편, 쿠션 마운팅 탭(22)이 후크부(130)에 걸림고정되는 구조에서 커튼 에어백 쿠션(20)이 전개될 때 상당히 큰 외력이 쿠션 마운팅 탭(22)에 가해지는데, 이러한 외력은 쿠션 마운팅 탭(22)이 고정된 후크부(130)의 파손을 발생시키며, 때로는 지지부(11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쿠션 마운팅 탭(22)이 후크부(130)에서 빠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커튼 에어백(1)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urtain airbag cushion 20 is deploy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ushion mounting tab 22 is fixed to the hook portion 130, a fairly larg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ushion mounting tab 22, and this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ushion mounting tab. (22) may cause damage to the fixed hook portion 130, and sometimes may cause deformation or damage to the support portion 110. Accordingly, the cushion mounting tab 22 may come off from the hook portion 130 and the curtain airbag 1 may not function proper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30)는 램프(100)에 보강판(200)을 장착하여 강성을 높임으로써 외력에 따른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fixing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rigidity by attaching a reinforcing plate 200 to the lamp 100 to prevent damage and deformation due to external force.

일 실시예에서, 보강판(200)은 지지부(110)의 상단에서 후크부(130)의 차체 판넬(P)과 마주하는 후면을 커버하도록 지지부(110)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판(200)은 후크부(130)의 제1몸체(131)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제1몸체(131)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plate 20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support portion 110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hook portion 130 facing the car body panel (P) at the top of the support portion 110. Specifically, the reinforcement plate 20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rear of the first body 131 of the hook portion 130 and be provided to cover the first body 131.

이러한 보강판(200)에 의한 보강을 통해서 후크부(130)의 제1몸체(131) 및 제1몸체(131)와 연결되는 지지부(110)는 외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파손 및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Through reinforcement by the reinforcement plate 200, the first body 131 of the hook portion 130 and the support portion 110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31 can sufficiently withstand external force to prevent damage and deformation. You can.

도 4a 및 도 4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200)과 보강판(200)이 장착되는 지지부(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ures 4a and 4b schematically show the reinforcing plate 200 and the support portion 110 o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200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강판(200)은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베이스부(210), 베이스부(210)의 상단 중앙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보강부(220), 보강부(220)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부(210)의 상단 좌우양측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230), 연결부(230)의 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200 includes a base portion 210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0, a reinforcing portion 220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portion 210, and a reinforcing portion 220 therebetween. It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230 that is bent and extended forward from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ortion 210, and a fixing portion 240 that is bent and extend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30.

베이스부(21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갖는 판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부(220)는 후크부(130)의 제1몸체(131)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제1몸체(131)의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연결부(230)는 보강부(220)의 좌우양측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지지부(110)의 전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240)는 연결부(230)의 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240)는 베이스부(210)를 향해 경사진 구조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고정부(240)는 연결부(230)와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210 may have an overall rectangular plate structure and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0. The reinforcement portion 2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ody 131 of the hook portion 130 and may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131. The connection portion 230 may be bent forwar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220 and exten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portion 110. The fixing part 240 may be bent downward and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art 230.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240 may extend in an inclined structure toward the base part 210. That is, the fixing part 240 may be bent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connecting part 230.

베이스부(210), 보강부(220), 연결부(230), 고정부(24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판(2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base portion 210, the reinforcement portion 220, the connection portion 230, and the fixing portion 240 may be formed as one body. In one embodiment, the reinforcement plate 2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보강판(200)이 장착되는 지지부(110)는 상면에 베이스부(210)가 삽입되어 끼움고정되는 끼움홈(112)을 구비하고, 전면에 고정부(240)가 안착되는 안착홈(113)을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10 to which the reinforcement plate 200 is mounted has a fitting groove 112 on the upper surface into which the base portion 210 is inserted and fixed, and a seating groove 113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240 is seated on the front. can be provided.

끼움홈(112)은 지지부(110)의 두께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중앙에 위치하여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210)의 길이와 두께에 대응하여 슬릿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113)은 지지부(110)의 전면에 고정부(240)의 형태에 대응하여 함몰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홈(113)은 지지부(110)의 상면에서 하부로 갈수록 함몰깊이가 증가하는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itting groove 112 may be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ortion 110 and extend long, and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base portion 210. The seating groove 113 may be recess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0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xing part 240. In this case, the seating groove 113 may have an inclined structure in which the depression depth in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10 to the lower surface.

보강판(200)은 베이스부(210)가 지지부(110)의 끼움홈(112)에 삽입되어 끼움고정되고, 고정부(240)가 안착홈(113)에 안착되는 구조로 지지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plate 2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se portion 210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fitting groove 112 of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fixing portion 24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3. Can be installed.

도 5a 및 도 5b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300)과 보강판(300)이 장착되는 지지부(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ures 5a and 5b schematically show a reinforcing plate 300 and a support portion 110 o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300 is moun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강판(300)은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베이스부(310), 베이스부(310)의 상단 중앙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보강부(320), 보강부(320)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부(310)의 상단 좌우양측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330), 연결부(330)의 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plate 300 includes a base portion 310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0, a reinforcement portion 320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portion 310, and a reinforcement portion 320 therebetween. It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330 that is bent and extended forward from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ortion 310, and a fixing portion 340 that is bent and extend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330.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하는 보강판(300)의 구성은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하는 보강판(20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하는 보강판(300)의 경우 연결부(330)의 길이가 지지부(110)의 두께에 대응하여 더 길게 형성되고, 고정부(340)의 크기가 보다 증대되어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structure of the reinforcement plate 300 shown in FIGS. 5A and 5B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ement plate 200 shown in FIGS. 4A and 4B.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inforcement plate 300 shown in FIGS. 5A and 5B,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330 is formed longer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size of the fixing portion 340 is increase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respect.

보강판(300)이 장착되는 지지부(100)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고정부(340)와 베이스부(310)가 안착되는 안착홈(113)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00 on which the reinforcement plate 300 is mounted may be provided with seating grooves 113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into which the fixing part 340 and the base part 310 are seated.

보강판(300)은 베이스부(310)가 지지부(110) 후면의 안착홈(113)에 안착되고, 고정부(340)가 지지부(110) 전면의 안착홈(113)에 안착되는 구조로 지지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The reinforcement plate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ase portion 31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3 on the rear of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fixing portion 34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3 on the front of the support portion 110. It can be mounted on (110).

도 6a 및 도 6b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판(400)과 보강판(400)이 장착되는 지지부(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ures 6a and 6b schematically show a reinforcing plate 400 and a support portion 110 o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400 is moun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강판(400)은 지지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베이스부(410), 베이스부(410)의 상단 중앙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보강부(420), 베이스부(410)의 좌우양측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430), 연결부(430)의 끝단에서 베이스부(410)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plate 400 includes a base portion 410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0, a reinforcement portion 420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portion 410, and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ortion 410. It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430 that is bent and extended forward from each end, and a fixing portion 440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430 to the base portion 410.

보강판(400)이 장착되는 지지부(110)는 전면에 고정부(440)가 안착되는 안착홈(113)을 구비하고, 안착홈(113)에는 지지부(110)를 관통하는 관통홀(114)을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10 on which the reinforcement plate 400 is mounted has a seating groove 113 on the front surface into which the fixing part 440 is seated, and the seating groove 113 has a through hole 114 penetrating the support part 110. can be provided.

보강판(400)은 지지부(110)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관통홀(114)을 통과한 고정부(440)가 절곡을 통해 안착홈(113) 내에 안착되는 구조로 지지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plate 400 can be mounted on the support part 110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xing part 440, which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14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support part 11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13 through bending. there i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 커튼 에어백 10: 인플레이터
20: 커튼 에어백 쿠션 21: 쿠션 커버
22: 쿠션 마운팅 탭 30: 고정장치
40: 테이프 100: 램프
110: 지지부 111: 수용홀
112: 끼움홈 113: 안착홈
114: 관통홀 120: 받침부
130: 후크부 131: 제1몸체
132: 제2몸체 140: 마운트부
141: 체결홀 150: 스커트부
200, 300, 400: 보강판 210, 310, 410: 베이스부
220, 320, 420: 보강부 230, 330, 430: 연결부
240, 340, 440: 고정부 P: 차체 판넬
1: Curtain airbag 10: Inflator
20: Curtain airbag cushion 21: Cushion cover
22: Cushion mounting tab 30: Fixing device
40: Tape 100: Lamp
110: support 111: receiving hole
112: Fitting groove 113: Seating groove
114: Through hole 120: Support portion
130: Hook portion 131: First body
132: second body 140: mount part
141: Fastening hole 150: Skirt part
200, 300, 400: Reinforcement plate 210, 310, 410: Base part
220, 320, 420: reinforcement part 230, 330, 430: connection part
240, 340, 440: Fixing part P: Car body panel

Claims (11)

차체 판넬에 장착되어 커튼 에어백 쿠션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로서,
상기 차체 판넬과 마주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서 곡선을 그리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받침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램프;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기 후크부의 상기 차체 패널과 마주하는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보강판;
을 포함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It is a fixing device mounted on a car body panel to support and secure the curtain airbag cushion,
a lamp including a support portion facing the vehicle body panel, a support portion extending forward in a curve from a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hook portion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reinforcing plate detachably mounted on the support portion to cover the rear side of the hook portion facing the vehicle body panel at the top of the support portion;
A fixing device for the curtain airbag cushion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걸림단턱을 형성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제1몸체의 후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몸체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ok portion includes a first body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body bent forward from the first body to form a locking step,
The reinforcement plate is arranged to face the rear of the first body and covers the firs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중앙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좌우양측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inforcing plate includes a bas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center of the top of the base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bent forward and extending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of the base portion with the reinforcing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m.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comprising a fixing part bent downward and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면에 상기 베이스부가 삽입되어 끼움고정되는 끼움홈을 구비하고, 전면에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wherein the support portion has a fitt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into which the base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and a seating groove on the front surface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is se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wherein the support portion has seating grooves on the front and rear sides, respectively,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re se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 중앙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보강부,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양측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부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inforcing plate includes a bas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a reinforcing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base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bent forward and extending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an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comprising a fixing part bent and extending to the base par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전면에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지지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안착홈 내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support part has a seating groove on the front surface in which the fixing part is seated, and the seating groove has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fixing part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the back side of the support part to the front part is in the seating groove.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that is seated and fixed.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wherein the reinforcement plate is made of a metal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이 상기 받침부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과 연결된 쿠션 마운팅 탭을 통과시키는 수용홀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홀은 상기 후크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hole through which a cushion mounting tab connected to the curtain airbag cushion passes while the curtain airbag cushion is plac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receiving hole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ok portion. Cushion fix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단일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쿠션의 고정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xing device for a curtain airbag cush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ortion is provided in single or plural pieces.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는 커튼 에어백 쿠션; 및
차체 판넬에 장착되어 상기 커튼 에어백 쿠션을 지지 및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장치는 제1항에 따른 고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
an inflator that generates gas;
a curtain airbag cushion connected to the inflator and inflated when the gas flows into it; and
A fixin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body panel to support and secure the curtain airbag cushion;
Including,
A curtain airba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device is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KR1020220037239A 2022-03-25 2022-03-25 Apparatus for fixing curtain air bag cushion and curtain air bag having the same KR2023013907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239A KR20230139076A (en) 2022-03-25 2022-03-25 Apparatus for fixing curtain air bag cushion and curtain air bag having the same
US17/991,930 US11833991B2 (en) 2022-03-25 2022-11-22 Fixing apparatus for curtain airbag cushion and curtain airbag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239A KR20230139076A (en) 2022-03-25 2022-03-25 Apparatus for fixing curtain air bag cushion and curtain air bag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076A true KR20230139076A (en) 2023-10-05

Family

ID=8809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239A KR20230139076A (en) 2022-03-25 2022-03-25 Apparatus for fixing curtain air bag cushion and curtain air bag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833991B2 (en)
KR (1) KR20230139076A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5196B2 (en) * 2004-02-09 2007-02-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upport bracket for an inflatable curtain
JP2009078717A (en) * 2007-09-26 2009-04-16 Honda Motor Co Ltd Airbag device
JP5049083B2 (en) * 2007-09-26 2012-10-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irbag device
JP5046830B2 (en) * 2007-09-26 2012-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irbag device
KR100999680B1 (en) * 2008-11-27 2010-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urtain airbag module
KR20210036562A (en) * 2019-09-26 2021-04-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Ramp of curtain air bag device and curtain air bag devic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3029A1 (en) 2023-09-28
US11833991B2 (en)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9882C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JP3900051B2 (en) Air 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US7556286B2 (en) Extended inflatable coverage of inflatable curtains
US7121579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US6719321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KR102362071B1 (en) Side airbag device
US20100066059A1 (en) Protective cushion wrap with slip feature
EP3521109B1 (en) Side airbag apparatus
US7896388B2 (en) Seat airbag
JPH0455149A (en) Air bag device for assistant driver's seat
US6786506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US20130214514A1 (en) Airbag apparatus of vehicle
US20150054262A1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KR20230139076A (en) Apparatus for fixing curtain air bag cushion and curtain air bag having the same
JP2007076517A (en) Head protection airbag device
KR102408015B1 (en) Side airbag device
US20100032929A1 (en) Automotive vehicle seat with an airbag in the backrest thereof
JP3685455B2 (en) Crew protection device
KR20230015720A (en) Tether clip and pillar connection structure provided with the same
JP4656276B2 (en) Head protection airbag device
JP3652212B2 (en) Airbag device
US20090091104A1 (en) Airbag module mounting structure for passenger seat of car
KR100990585B1 (en) Mounting bracket for curtain airbag
JP7180577B2 (en) air bag device
JP3695345B2 (en) Head protection airba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