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298A -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 Google Patents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298A
KR20230138298A KR1020220036173A KR20220036173A KR20230138298A KR 20230138298 A KR20230138298 A KR 20230138298A KR 1020220036173 A KR1020220036173 A KR 1020220036173A KR 20220036173 A KR20220036173 A KR 20220036173A KR 20230138298 A KR20230138298 A KR 20230138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enclosure
main body
members
ven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디에스디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디에스디스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디에스디스플레이
Priority to KR102022003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298A/ko
Publication of KR2023013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는, 팬 수용부 및 복수의 벤트 부재가 구비된 함체 본체; 팬 수용부에 마련되어 함체 본체의 내부 공기를 함체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부; 및 팬 수용부와 복수의 벤트 부재의 사이의 함체 본체에 마련되어 팬 수용부와 이격된 이격 공간부를 마련함으로써 함체 본체의 내부 공기를 복수의 벤트 부재와 다른 경로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빗물이 팬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ENCLOSURE BOX HAVING IMPROVED FAN DUCT STRUCTURE}
본 발명은,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팬의 부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빗물이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함체 내부의 전기 장치 등이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인 전산실에는 랙 구조물과 같은 함체가 다수 설치된다. 이러한 함체의 내부에는 전산이나 통신 장비가 장착된다.
이러한 함체 내에 장착되는 장비들은 가동시 상당한 열을 발생시키므로, 이러한 열을 제대로 냉각시켜 주지 않으면 과열에 의해 장비의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랙에 다수의 전자보드가 장착되어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단일 전자보드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기존에는 함체 내에 구비된 팬의 속도를 높여 함체의 외부로 방출함으로서 온도를 기준치 이하로 낮추었지만 이러한 팬 덕트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판금 성형으로 제작 된 기존의 벤트 구멍이 팬의 풍량을 다 소화 하지 못해 팬에 부하가 걸리게 된다.
둘째, 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마련된 벤트홀(200)을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함체 내부의 전기 장치 등에 합선을 일으킬 수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40372호(주식회사 지인테크) 2017. 05. 2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팬의 부하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빗물이 함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함체 내부의 전기 장치 등이 합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팬 수용부 및 복수의 벤트 부재가 구비된 함체 본체; 상기 팬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함체 본체의 내부 공기를 상기 함체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부; 및 상기 팬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의 사이의 상기 함체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팬 수용부와 이격된 이격 공간부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함체 본체의 내부 공기를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와 다른 경로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빗물이 상기 팬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는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팬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천장부; 상기 천장부에서 상기 함체 본체의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팬 수용부와 연통되는 벽부; 상기 벽부에서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가 마련된 함체 본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가 마련된 함체 본체의 영역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부의 하단부는 상기 팬 수용부의 하단부 높이보다 낮게 마련되고, 상기 벽부의 상단부는 상기 팬 수용부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덕트의 전체 높이는 상기 팬 수용부의 전체 높이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함체 본체는, 상기 팬 수용부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벽부 및 경사부와 대향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의 하부 위치인 상기 함체 본체에는 복수의 홀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팬부에서 공급되는 풍량을 배출시키는 복수의 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홀 부재는 장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팬 수용부와 복수의 벤트 부재의 사이의 함체 본체에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에 의해 팬 수용부와 이격된 공간부를 마련함으로써 함체 본체의 내부 공기를 복수의 벤트 부재와 다른 경로로 배출시켜 팬의 부하를 줄임과 아울러 빗물이 팬부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합선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함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팬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벤트 부재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팬부의 풍량이 가이드 덕트에 의해 마련된 이격 공간부를 통해 복수의 벤트 부재와 복수의 홀 부재를 통해 함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복수의 벤트 부재를 통해 함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가이드 덕트에 의해 마련된 이격 공간부에 의해 팬부로 전달되지 않고 복수의 홀 부재를 통해 함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팬부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벤트 부재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팬부의 풍량이 가이드 덕트에 의해 마련된 이격 공간부를 통해 복수의 벤트 부재와 복수의 홀 부재를 통해 함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실시 예의 작동도로써 복수의 벤트 부재를 통해 함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가이드 덕트에 의해 마련된 이격 공간부에 의해 팬부로 전달되지 않고 복수의 홀 부재를 통해 함체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1)는, 함체 본체(10)와, 함체 본체(10)에 마련되어 함체 본체(10)의 내부 공기를 함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부(20)와, 팬 수용부(11)와 복수의 벤트 부재(12)의 사이의 함체 본체(10)에 마련되어 팬 수용부(11)와 이격된 이격 공간부(35)를 마련함으로써 함체 본체(10)의 내부 공기를 복수의 벤트 부재(12)와 다른 경로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빗물이 팬부(20)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가이드 덕트(30)를 구비한다.
함체 본체(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수용부(11)가 마련되고, 여기에는 팬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팬 수용부(11)는 함체 본체(10)의 상측 중앙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함체 본체(10)의 일측 외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벤트 부재(12)가 마련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부(20)의 풍량을 함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벤트 부재(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본체(10)의 높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벤트 부재(12)는 루버 벤트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함체 본체(10)의 일측 외벽 즉 복수의 벤트 부재(12)가 마련된 함체 본체(10)의 하부 영역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홀 부재(13)가 마련되어 팬부(20)의 풍량을 복수의 벤트 부재(12)와 같이 함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홀 부재(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본체(10)의 높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홀 부재(13)는 복수의 벤트 부재(12)와 행과 열을 맞춰서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홀 부재(13)는 함체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팬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본체(10)의 팬 수용부(11)에 마련되어 함체 내부의 공기를 함체 외부의 내부로 보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팬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본체(10)에 결합되는 팬 브래킷(21)과, 팬 브래킷(21)에 마련되는 복수의 팬 부재(22)와, 팬 브래킷(21)에 결합되어 복수의 팬 부재(22)를 구동시키는 팬 모터(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팬부(20)는 팬 브래킷(21)에 복수의 팬 부재(22)와 팬 모터(23)를 마련하여 하나의 모듈화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수용부(11)와 복수의 벤트 부재(12)의 사이의 함체 본체(10)에 마련되어 팬 수용부(11)와 이격된 이격 공간부(35)를 마련함으로써 함체 본체(10)의 내부 공기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벤트 부재(12)와 다른 경로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팬부(20)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가이드 덕트(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수용부(11)와 복수의 벤트 부재(12)의 사이에 마련되는 천장부(31)와, 천장부(31)에서 함체 본체(10)의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며 팬 수용부(11)와 연통되는 벽부(32)와, 벽부(32)에서 복수의 벤트 부재(12)가 마련된 함체 본체(10)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부(33)와, 경사부(33)에서 복수의 벤트 부재(12)가 마련된 함체 본체(10)의 영역에 연결되는 바닥부(3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벽부(32)의 하단부는 팬 수용부(11)의 하단부 높이보다 낮게 마련되고, 벽부(32)의 상단부는 팬 수용부(11)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어 가이드 덕트(30)의 전체 높이는 팬 수용부(11)의 전체 높이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이격 공간부(35)의 전체 높이는 팬 수용부(11)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가이드 덕트(30)가 마련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벤트 부재(12)를 통해 다 빠져나가지 못한 잔여 풍량은 이격 공간부(35)를 통해 하향된 후 복수의 홀 부재(13)를 통해서 함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팬부(20)의 부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격 공간부(35)로 하향되는 공기가 경사부(33)를 통해 속도가 증가되어 함체 본체(10)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가이드 덕트(30)가 마련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이격 공간부(35)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하락된 후 복수의 홀 부재(13)를 통해 함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팬 수용부와 복수의 벤트 부재의 사이의 함체 본체에 마련되는 가이드 덕트에 의해 팬 수용부와 이격된 공간부를 마련함으로써 함체 본체의 내부 공기를 복수의 벤트 부재와 다른 경로로 배출시켜 팬의 부하를 줄임과 아울러 빗물이 팬부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합선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10 : 함체 본체 11 : 팬 수용부
12 : 벤트 부재 13 : 홀 부재
20 : 팬부 21 : 팬 브래킷
22 : 팬 부재 23 : 팬 모터
30 : 가이드 덕트 31 : 천장부
32 : 벽부 33 : 경사부
34 : 바닥부 35 : 이격 공간부

Claims (5)

  1. 팬 수용부 및 복수의 벤트 부재가 구비된 함체 본체;
    상기 팬 수용부에 마련되어 상기 함체 본체의 내부 공기를 상기 함체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부; 및
    상기 팬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의 사이의 상기 함체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팬 수용부와 이격된 이격 공간부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함체 본체의 내부 공기를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와 다른 경로로 배출시킴과 아울러 빗물이 상기 팬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는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팬 수용부와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의 사이에 마련되는 천장부;
    상기 천장부에서 상기 함체 본체의 하부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팬 수용부와 연통되는 벽부;
    상기 벽부에서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가 마련된 함체 본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마련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가 마련된 함체 본체의 영역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하단부는 상기 팬 수용부의 하단부 높이보다 낮게 마련되고, 상기 벽부의 상단부는 상기 팬 수용부의 상단부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덕트의 전체 높이는 상기 팬 수용부의 전체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는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함체 본체는,
    상기 팬 수용부보다 낮은 위치의 상기 벽부 및 경사부와 대향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의 하부 위치인 상기 함체 본체에는 복수의 홀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팬부에서 공급되는 풍량을 배출시키는 복수의 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부재는 장공으로 마련되는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KR1020220036173A 2022-03-23 2022-03-23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KR20230138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173A KR20230138298A (ko) 2022-03-23 2022-03-23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173A KR20230138298A (ko) 2022-03-23 2022-03-23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298A true KR20230138298A (ko) 2023-10-05

Family

ID=8829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173A KR20230138298A (ko) 2022-03-23 2022-03-23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2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372B1 (ko) 2016-12-06 2017-06-08 (주)지인테크 고온 다습환경에 적용가능한 모듈형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제어함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372B1 (ko) 2016-12-06 2017-06-08 (주)지인테크 고온 다습환경에 적용가능한 모듈형 제습장치를 구비한 전자제어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2729B1 (en) Electronic device cooling system having guides for guiding a flow of the air evenly
US7643291B2 (en) Cabinet for electronic equipment
US7236362B2 (en) Minimization of cooling air preheat for maximum packaging density
US90755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electrical components of a computer
EP2760262B1 (en) Cooling system
JP4983550B2 (ja) 冷却補助ユニット及び冷却システム
JP2007507090A (ja) 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のキャビネット冷却システム、及び、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のキャビネット冷却方法
KR101479897B1 (ko) 전자기기
US7423872B2 (en) Air shroud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US6951513B1 (en) Enclosure for the storage and oper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having increased airflow characteristics
JP544678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607319B1 (ko) 서버랙
US10208767B2 (en) Fa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6609975B2 (ja) ダクト及びデータセンター
KR20230138298A (ko) 개선된 팬 덕트 구조가 구비된 함체
US5762550A (en) Heat transfer system for electronic enclosures
CN110248519B (zh) 设置有自然对流风道散热的核安全级机柜
JP2005294456A (ja) 電力機器用制御盤及び電源装置
CN113923962A (zh) 一种电子设备散热系统及电子设备
JP7129192B2 (ja) 電子機器の放熱構造
JP2001177281A (ja) 冷却ユニット、および、局部冷却型電子機器装置
EP3046108B1 (en) Modular ducting solution
CN213694668U (zh) 一种防尘易清理的电气自动化控制装置
CN215835643U (zh) 机柜及控制系统
JP2019145713A (ja) サーバ冷却システム及びサーバ冷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