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129A -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129A
KR20230138129A KR1020220035793A KR20220035793A KR20230138129A KR 20230138129 A KR20230138129 A KR 20230138129A KR 1020220035793 A KR1020220035793 A KR 1020220035793A KR 20220035793 A KR20220035793 A KR 20220035793A KR 20230138129 A KR20230138129 A KR 20230138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unit
wearer
voice recognition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원
함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35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8129A/ko
Publication of KR2023013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착용되는 스트랩부;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스트랩부와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상기 스트랩부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부를 제어해 상기 착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1 신호를 전달받으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2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길이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줄여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하되,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동작을 멈추어 자동으로 상기 스트랩부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조절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착용되는 스트랩부;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스트랩부와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상기 스트랩부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부를 제어해 상기 착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는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으로서, (1)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3) 상기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2 신호 또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4)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해 상기 길이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줄여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하되,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동작을 멈추어 자동으로 상기 스트랩부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조절되도록 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해 상기 길이 조절부(400)의 모터(410)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늘여 벗어지도록 하되, 상기 스트랩부(200)가 미리 정해진 길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에 따르면,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고,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스트랩 조절 모드에서 길이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스트랩 길이를 조절하되, 착용자의 뒤통수에 위치한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모터의 동작을 멈추어 스트랩이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두상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다양한 착용자가 모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음성 명령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쓰고 벗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AR GLASSES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STRAP SIZE ADJUSTMENT USING VOICE RECOGNITION AND AUTOMATIC STRAP SIZE ADJUSTMENT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FOR AR GLASSES APPARATUS}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의 스트랩 사이즈 조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종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되어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투과(see-through)형과 밀폐(see-closed)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투과형은 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용으로 사용되고, 밀폐형은 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안경처럼 착용하는 형태도 있으나 헤드셋이나 고글처럼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도 있다. 이러한 헤드셋 또는 고글 형태의 AR 또는 VR용 HMD는 머리에 잘 맞게 착용하여야 움직임이 쉽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헤드셋/고글 형태의 HMD는 착용 밴드에 구비된 조절용 다이얼을 이용해 수동으로 사이즈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얼은 수동으로 기어를 돌려야 하므로 쓰고 벗기가 번거롭고, 잘 맞게 조절하기 위해 다이얼을 조절하는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여러 사람이 하나의 HMD를 공유하는 환경에서 다이얼을 이용해 밴드 길이를 조절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일일이 개별 사용자의 두상에 맞게 다이얼을 조절하다 보니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헤드셋/고글 형태의 HMD의 사이즈를 쉽고 빠르게 조절해 머리에 잘 맞게 착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9-0093966호(발명의 명칭: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공개일자: 2019년 08월 12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고,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스트랩 조절 모드에서 길이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스트랩 길이를 조절하되, 착용자의 뒤통수에 위치한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모터의 동작을 멈추어 스트랩이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두상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다양한 착용자가 모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음성 명령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쓰고 벗을 수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착용되는 스트랩부;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스트랩부와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상기 스트랩부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부를 제어해 상기 착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1 신호를 전달받으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2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길이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줄여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하되,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동작을 멈추어 자동으로 상기 스트랩부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조절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3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길이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늘여 벗어지도록 하되, 상기 스트랩부가 미리 정해진 길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상기 스트랩부의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에 밀착되고, 상기 압력 감지부가 내장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쿠션부에 내장되며, 압력 유무를 감지하는 감압 센서 모듈; 및
상기 쿠션부에 내장되며,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에 의해 상기 쿠션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스트랩부를 연결하는 HMD 프레임; 및
상기 HMD 프레임의 하면에 상기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구비된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인식부는,
딥러닝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사용해 상기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며,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 저장되어 임베디드 동작을 하거나,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상기 서버에서 동작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은,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착용되는 스트랩부;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스트랩부와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상기 스트랩부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부를 제어해 상기 착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는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으로서,
(1)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3) 상기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2 신호 또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4)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해 상기 길이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줄여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하되, 상기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동작을 멈추어 자동으로 상기 스트랩부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조절되도록 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해 상기 길이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의 길이를 늘여 벗어지도록 하되, 상기 스트랩부가 미리 정해진 길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인식부는,
딥러닝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사용해 상기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며,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 저장되어 임베디드 동작을 하거나,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상기 서버에서 동작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에 따르면,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고,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스트랩 조절 모드에서 길이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스트랩 길이를 조절하되, 착용자의 뒤통수에 위치한 압력 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모터의 동작을 멈추어 스트랩이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두상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다양한 착용자가 모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음성 명령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쓰고 벗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음성 명령에 의해 스트랩부의 길이를 줄이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음성 명령에 의해 스트랩부의 길이를 늘이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스트랩부(200), 음성 인식부(300), 길이 조절부(400), 압력 감지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HMD 프레임(150), 음성 입력부(350), 쿠션부(500), 센서부(800) 및 통신부(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는,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셋 또는 고글 형태의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저면에 구비된 음성 입력부(350)를 통해 음성에 의한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하고, 음성 신호에 따라 길이 조절부(400)의 모터(410)를 동작시켜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하되, 착용자의 뒤통수 쪽에 위치한 압력 감지부(600)에서 감지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모터(410)의 동작을 멈추어 스트랩부(200)가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두상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다양한 착용자가 모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착용자의 음성 신호만으로 쉽고 편리하고 빠르게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쓰고 벗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착용자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쓸 때, 착용자는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음성으로 제1 신호를 먼저 입력하고, 스트랩 조절 모드에서 제2 신호를 음성으로 입력해 길이 조절부(400)를 제어하여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압력 감지부(600)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모터(410)의 동작이 자동으로 멈추어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스트랩부(200)가 착용될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벗을 때는, 착용자가 음성으로 제1 신호를 입력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다음, 제3 신호를 음성으로 입력해 길이 조절부(400)를 제어하여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늘일 수 있다. 따라서 짐을 들고 있거나 조이스틱 등 컨트롤러를 쥐고 있을 때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음성만으로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정해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쓰고 벗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는,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AR 글라스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 및 광학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 정보가 착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0)는, 영상 정보가 착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광학계(120)에 결합해, 광학계(120)에 의해 착용자의 눈 방향으로 전달되는 영상 광을 출력하며,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110)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OLED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광학계(120)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학계(120)는, 착용자의 시야를 통한 실제 세계(real world)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디스플레이(110)에서 출력되는 영상 광의 적어도 일부를 착용자의 눈 방향으로 전달하여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광학계(120)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한 착용자가 증강현실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계(120)는 복수의 렌즈와 미러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광학 회절 방식, 빔 스플리터 방식, 핀 미러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프레임(150)은,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와 스트랩부(200)를 연결하며,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프레임 구성이다. 이러한 HMD 프레임(150)은,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와 스트랩부(200)를 연결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음성 인식부(300) 및 제어부(700) 등을 내장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하면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착용자의 양안 전방에 위치하도록 HMD 프레임(150)에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HMD 프레임(150)에 스트랩부(200)가 연결되어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스트랩부(200)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20)를 감싸 착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랩부(2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어, 추후 상세히 설명할 길이 조절부(400)의 조절에 따라 착용자의 머리(20)의 크기와 형태에 맞게 감쌀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부(200)는, 일측은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또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고정 연결하는 HMD 프레임(150)에 연결되고, 타측은 길이 조절부(400)에 연결된 유연한 재질의 스트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부(200)는, 착용자의 머리(20) 양측을 감싸는 메인 스트랩(210), 및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와 길이 조절부(400) 사이를 연결하며 착용자의 머리(20) 위쪽을 감싸는 보조 스트랩(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스트랩(210)은,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에 연결되고 길이 조절부(40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보조 스트랩(220)은 메인 스트랩(210)의 길이 조절 전에도 착용자 머리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보조 스트랩(220) 자체 길이를 조절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트랩부(200)는, 길이 조절부(400)에 의해 착용자의 머리(20)를 감싸는 내부 공간의 크기가 조절되는 원형의 스트랩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원형의 스트랩은 메인 스트랩(210)에 해당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300)는,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부(300)는, 음성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되는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명령을 추출하고, 음성 명령인 스트랩 조절 신호를 추후 상세히 설명할 제어부(700)에 전달해, 음성 명령에 따라 스트랩부(200)의 길이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부(300)는, 다양한 방식의 음성 인식 엔진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부(300)는, 딥러닝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사용해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모델은, 연속된 음성 데이터를 사용해 음성명령어를 추정하는 모델로, 대량의 음성 데이터로 학습된 학습 완료 모델일 수 있으며, 음성 인식에 최적화된 RNN(Recurrent neur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 RNN, 트랜스포머 모델 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 모델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저장되어 임베디드 동작을 하거나,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와 통신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서버에서 동작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델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임베디드 방식으로 음성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서 경량화된 모델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미리 설정된 음성명령어만 인식 가능하도록 제한적으로 동작하는 모델일 수도 있다. 또한, 딥러닝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임베디드 방식으로 직접 동작하기에는 연산량이 너무 많아서 실시간 음성 인식이 어려울 수 있고,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다른 기능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서버와의 통신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된 음성 인식 모델에 음성 입력부(35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음성 인식부(300)는 음성 인식 모델이 음성 데이터를 인식한 결과를 수신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인식부(300)가 입력받는 음성명령어는 스트랩 조절 신호로 제1 신호, 제2 신호 또는 제3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신호는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을 명령하는 신호, 제2 신호는 스트랩 길이를 줄이는 착용 신호, 제3 신호는 스트랩 길이를 늘이는 벗는 신호일 수 있다.
음성 입력부(350)는, HMD 프레임(150)의 하면에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등으로 구현되는 음성 입력부(350)를 HMD 프레임(150)의 하면에 설치하여, 착용자가 말을 할 때의 음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입력부(350)는 HMD 프레임(150)의 좌측 하면뿐만 아니라 우측 하면에 설치되거나, 둘 이상 설치되는 등 구체적인 위치와 개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350)는 착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해 음성 인식부(300)에 전달하여, 음성 명령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400)는, 스트랩부(200)와 연결되어 모터(410)의 동작에 의해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부(400)는 착용자가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뒤통수에 위치하며, 초정밀 모터(410)의 동작에 의해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길이 조절부(400)는 스트랩부(200)에서 착용자의 뒤통수 쪽에 구현된 랙과 톱니에 맞물린 피니언을 포함해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초정밀 모터(410)의 동작에 의해 피니언이 회전함에 따라 양쪽 밴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해 양쪽의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특히, 길이 조절부(400)의 모터(410)는, 초정밀 모터(410)로 구성하여 mm 단위로 세밀하게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쿠션부(500)는,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스트랩부(200)의 내면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뒤통수에 밀착되고, 추후 상세히 설명할 압력 감지부(600)가 내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500)는, 뒤통수 굴곡에 따라 안쪽으로 휘어진 곡면 형태이고, 스트랩부(200)의 길이 조절에 따라 곡면의 휘어진 정도가 변형되어 착용자의 뒤통수에 밀착되는 가변형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쿠션부(500)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구성하여, 재질의 유연한 성질을 통해 착용자의 뒤통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500)는 착용자의 이마 쪽에 위치하는 전면 쿠션부(510)와 뒤통수 쪽에 위치하는 후면 쿠션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면 쿠션부(510)는, HMD 프레임(150)의 위쪽에서 스트랩부(200)에 연결되며, 이마 굴곡에 따라 안쪽으로 휘어진 곡면 형태이고, 길이 조절부(400)에 의한 스트랩부(200) 조절에 따라 곡면의 휘어진 정도가 변형되어 착용자의 이마에 밀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위쪽에서 착용자의 이마에 닿는 부분에 전면 쿠션부(510)가 위치하므로,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무게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착용자의 머리(20)에 안정적으로 착용 되도록 도울 수 있다.
후면 쿠션부(520)는,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스트랩부(200)의 내면에 연결되며, 뒤통수 굴곡에 따라 안쪽으로 휘어진 곡면 형태이고, 길이 조절부(400)에 의한 스트랩부(200) 조절에 따라 곡면의 휘어진 정도가 변형되어 착용자의 뒤통수에 밀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쿠션부(520)는, 스트랩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며, 양쪽 말단이 둥글게 처리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500)는, 스트랩부(20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길게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쿠션부(500)는,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미리 정해진 폭의 구멍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폭의 구멍 및 구멍 사이의 살은 쿠션부(500)가 착용자의 두상에 맞추어 유연하게 변형되도록 하고, 통풍을 도울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즉, 스트랩부(20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쿠션부(500)에 형성된 구멍의 폭이나 형태가 변형되면서 전면 쿠션부(510)와 후면 쿠션부(520)의 형태가 착용자의 이마와 뒤통수 형상에 맞게 좀 더 유연하게 변형되어 밀착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600)는,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스트랩부(200)에 구비되며, 착용자의 뒤통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압력 감지부(600)는, 후면 쿠션부(520)에 내장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위치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압력 감지부(600)가 전면 쿠션부(510)에도 내장되어 착용자의 이마에 의해 전면 쿠션부(510)에 가해지는 압력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 감지부(600)는, 쿠션부(500)에 내장되며 압력 유무를 감지하는 감압 센서 모듈(610) 및 쿠션부(500)에 내장되며 착용자의 뒤통수에 의해 쿠션부(5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 모듈(6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음성 인식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길이 조절부(400)를 제어해 착용자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음성 인식부(300)에서 제1 신호를 전달받으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하고,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음성 인식부(300)에서 제2 신호를 전달받으면 길이 조절부(400)의 모터(410)를 제어해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줄여 착용자의 머리(20)에 착용되도록 하되, 압력 감지부(600)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모터(410)의 동작을 멈추어 자동으로 스트랩부(200)가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음성 인식부(300)에서 제3 신호를 전달받으면 길이 조절부(400)의 모터(410)를 제어해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늘여 벗어지도록 하되, 스트랩부(200)가 미리 정해진 길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음성 명령에 의해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줄이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착용자가 음성으로 “STRAP”이라고 제1 신호를 입력하면 스트랩부(200)의 조절이 가능한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 대기하고, 대기 상태에서 음성으로 “up”이라고 제2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700)가 길이 조절부(400)의 초정밀 모터(410)를 제어해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줄여 착용자의 머리(20)에 착용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부(600)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410)를 작동하여, 스트랩부(200)가 너무 조이거나 느슨하지 않은 적절한 압력으로 착용자의 머리(20)에 착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압력 감지부(600)를 후면 쿠션부(500)뿐만 아니라 전면 쿠션부(500)에도 구비하면, 뒤통수와 이마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모두 측정해 스트랩부(200)의 길이 조절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신호나 제2 신호는 착용자가 원하는 음성명령어로 직접 설정해 사용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압력도 착용자가 최적화해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는, 음성 명령을 이용해 스트랩 사이즈를 줄여서 착용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처음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할 때뿐만 아니라, 착용 상태로 장시간 작업 중 스트랩부(200)가 헐거워지거나 땀 등으로 인해 흘러내릴 때,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음성만으로 간편하게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높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음성 명령에 의해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늘이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착용자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음성으로 “STRAP”이라고 제1 신호를 입력하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 대기하고, 음성으로 “down”이라고 제3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700)가 길이 조절부(400)의 초정밀 모터(410)를 제어해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늘여 벗어지도록 하되, 스트랩부(200)가 미리 정해진 길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제3 신호(벗는 신호)가 입력되면 스트랩부(200)의 길이가 착용자의 착용 전 초기 상태가 되도록 길이 조절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착용자가 직접 제1 신호나 제3 신호를 원하는 음성명령어로 설정해 사용할 수도 있다.
센서부(8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홍채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700)는,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등 스트랩 조절 신호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음성명령어, 착용 시 초정밀 모터(410)가 멈추는 압력인 미리 설정된 압력 등을 착용자의 사용자 인증 정보와 매칭해 저장할 수 있다. 착용자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얼굴에 대고 홍채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하면, 사용자 인증 정보와 매칭된 정보를 사용해 착용자가 설정한 음성명령어에 의해 착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압력으로 스트랩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다.
통신부(900)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른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나 서버 등과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900)가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3/4/5/6G(3/4/5/6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며, 음성 인식부(300)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 제1 신호에 대응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00),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음성 인식부(300)에서 제2 신호 또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0), 제2 신호에 대응해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줄여 착용자의 머리(20)에 착용되도록 하는 단계(S400) 및 제3 신호에 대응해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늘여 벗어지도록 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단계들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들은,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와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에 따르면,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고,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스트랩 조절 모드에서 길이 조절부(400)의 모터(410)를 제어해 스트랩 길이를 조절하되, 착용자의 뒤통수에 위치한 압력 감지부(600)에서 감지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모터(410)의 동작을 멈추어 스트랩이 착용자의 머리(20)에 맞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두상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다양한 착용자가 모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고, 음성 명령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쓰고 벗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20: 착용자의 머리
100: 광학 디스플레이부
110: 디스플레이
120: 광학계
150: HMD 프레임
200: 스트랩부
210: 메인 스트랩
220: 보조 스트랩
300: 음성 인식부
350: 음성 입력부
400: 길이 조절부
410: 모터
500: 쿠션부
510: 전면 쿠션부
520: 후면 쿠션부
600: 압력 감지부
610: 감압 센서 모듈
620: 압력 센서 모듈
700: 제어부
800: 센서부
900: 통신부
S100: 음성 인식부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200: 제1 신호에 대응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S300: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음성 인식부에서 제2 신호 또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400: 제2 신호에 대응해 스트랩부의 길이를 줄여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하는 단계
S500: 제3 신호에 대응해 스트랩부의 길이를 늘여 벗어지도록 하는 단계

Claims (8)

  1.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20)를 감싸 착용되는 스트랩부(200);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300); 및
    상기 스트랩부(200)와 연결되어 모터(4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400);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상기 스트랩부(200)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600); 및
    상기 음성 인식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부(400)를 제어해 상기 착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음성 인식부(300)에서 제1 신호를 전달받으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300)에서 제2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길이 조절부(400)의 모터(410)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줄여 착용자의 머리(20)에 착용되도록 하되, 상기 압력 감지부(600)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410)의 동작을 멈추어 자동으로 상기 스트랩부(200)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20)에 맞게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300)에서 제3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길이 조절부(400)의 모터(410)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늘여 벗어지도록 하되, 상기 스트랩부(200)가 미리 정해진 길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상기 스트랩부(200)의 내면에 연결되어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에 밀착되고, 상기 압력 감지부(600)가 내장되는 쿠션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600)는,
    상기 쿠션부(500)에 내장되며, 압력 유무를 감지하는 감압 센서 모듈(610); 및
    상기 쿠션부(500)에 내장되며,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에 의해 상기 쿠션부(500)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 모듈(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스트랩부(200)를 연결하는 HMD 프레임(150); 및
    상기 HMD 프레임(150)의 하면에 상기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구비된 음성 입력부(3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인식부(300)는,
    상기 음성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되는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300)는,
    딥러닝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사용해 상기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며,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저장되어 임베디드 동작을 하거나,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와 통신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상기 서버에서 동작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7.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20)를 감싸 착용되는 스트랩부(200);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스트랩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300); 및
    상기 스트랩부(200)와 연결되어 모터(41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400);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를 향하는 상기 스트랩부(200)에 구비되며, 상기 착용자의 뒤통수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600); 및
    상기 음성 인식부(300)를 통해 입력되는 스트랩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길이 조절부(400)를 제어해 상기 착용자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도록 상기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는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으로서,
    (1) 상기 음성 인식부(300)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해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3) 상기 스트랩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300)에서 제2 신호 또는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4)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해 상기 길이 조절부(400)의 모터(410)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줄여 착용자의 머리(20)에 착용되도록 하되, 상기 압력 감지부(600)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410)의 동작을 멈추어 자동으로 상기 스트랩부(200)가 상기 착용자의 머리(20)에 맞게 조절되도록 하는 단계; 및
    (5)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해 상기 길이 조절부(400)의 모터(410)를 제어해 상기 스트랩부(200)의 길이를 늘여 벗어지도록 하되, 상기 스트랩부(200)가 미리 정해진 길이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300)는,
    딥러닝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사용해 상기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며,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저장되어 임베디드 동작을 하거나,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와 통신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상기 서버에서 동작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KR1020220035793A 2022-03-23 2022-03-23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KR20230138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93A KR20230138129A (ko) 2022-03-23 2022-03-23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793A KR20230138129A (ko) 2022-03-23 2022-03-23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129A true KR20230138129A (ko) 2023-10-05

Family

ID=88294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793A KR20230138129A (ko) 2022-03-23 2022-03-23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812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8075A (zh) * 2023-12-14 2024-01-1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生理参数检测方法及可穿戴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98075A (zh) * 2023-12-14 2024-01-1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生理参数检测方法及可穿戴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1928B2 (en) Smart glasses with a fixed frame and a rotatable frame
CN104932679B (zh) 可穿戴设备及其操作方法
EP3134825B1 (en) Head-worn computing systems
EP2828704B1 (en) Wearable device wi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EP3525031B1 (en) Display device
EP3210202B1 (en) Illumination perception augment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s, head-mountable compu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US11002437B2 (en) Head-mounted illumination devices
KR20230138129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US20230194899A1 (en) Augmented reality smart glass
JP7088172B2 (ja) ヘッドホン
KR102578214B1 (ko) 원-버튼 자동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3391B1 (ko) 제스처를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자동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제스처를 이용한 동공 간 거리 자동 조절 방법
JPH11136598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情報機器
KR20230157085A (ko) 아이트래킹 및 글래스 틸팅을 이용해 작동 제어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그의 작동 제어 방법
KR20230085777A (ko) 제스처를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제스처를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KR20230109228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해 틸팅 제어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틸팅 제어 방법
KR102619431B1 (ko) 초정밀 모터와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사이즈가 조절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30481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
KR102577516B1 (ko) 착용자의 머리 사이즈에 맞는 가변형 쿠션 구조의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7019B1 (ko)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양안 렌즈가 동시에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정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4380B1 (ko) 스트랩 조절용 저소음 기어가 장착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08551A (ko) 제스처를 이용해 글래스가 틸팅 제어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제스처를 이용한 틸팅 제어 방법
KR102633493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확인 이벤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636996B1 (ko)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손 인식 기반의 가상메뉴 제공 방법 및 손 인식 기반의 가상메뉴를 제공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시스템
KR102633495B1 (ko) 손목과 트리거 제스처의 단계적 인식을 통한 앱 라이브러리 동작 방법 및 앱 라이브러리가 동작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