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481A -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481A
KR20230130481A KR1020220027753A KR20220027753A KR20230130481A KR 20230130481 A KR20230130481 A KR 20230130481A KR 1020220027753 A KR1020220027753 A KR 1020220027753A KR 20220027753 A KR20220027753 A KR 20220027753A KR 20230130481 A KR20230130481 A KR 20230130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recognition
ipd
unit
signal
optic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치원
함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27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481A/ko
Publication of KR2023013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기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 IPD)를 조절하는 IPD 조절부;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IPD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IPD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1 신호를 전달받으면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2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IPD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이동시켜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이동 중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3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IPD 조절부의 모터를 정지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기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 IPD)를 조절하는 IPD 조절부;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IPD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IPD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며, (1)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해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3) 상기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4)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해 상기 IPD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이동시켜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5)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이동 중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6)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해 상기 IPD 조절부의 모터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에 따르면,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고, IPD 조절 신호에 따라 IPD 조절 모드에서 IPD 조절부를 제어해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한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가 음성 명령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속도 이하로 천천히 모터를 제어해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임으로써, 착용자가 초점이 잘 맞는 위치에서 음성 명령으로 정지 신호를 입력해 동공 간 거리를 최적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AR GLASSES APPARATUS HAVING A IPD ADJUSTMENT USING VOICE RECOGNITION AND IPD ADJUSTMENT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FOR AR GLASSES APPARATUS}
본 발명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의 동공 간 거리 조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종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되어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투과(see-through)형과 밀폐(see-closed)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투과형은 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용으로 사용되고, 밀폐형은 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단안 렌즈를 구비할 수 있으나, 양안 모두에 영상을 제공하는 양안 렌즈를 구비할 수도 있다. 특히, 양안 모두에 영상을 제공하는 양안 HMD에서, 착용자마다 동공 사이의 거리는 다르므로 동공 간의 거리를 쉽게 조정하여 착용자에게 맞추어야 초점이 잘 맞고 선명한 영상을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용 HMD 제품 대부분은 동공 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 IPD)가 고정되어 있거나, 동공 간 거리의 조정이 가능하더라도 손으로 직접 조절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짐을 들고 있거나 조이스틱 등 제어 장치를 손에 쥐고 있는 경우에는 IPD를 조정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HMD를 벗거나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IPD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9-0093966호(발명의 명칭: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공개일자: 2019년 08월 12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고, IPD 조절 신호에 따라 IPD 조절 모드에서 IPD 조절부를 제어해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한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가 음성 명령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속도 이하로 천천히 모터를 제어해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임으로써, 착용자가 초점이 잘 맞는 위치에서 음성 명령으로 정지 신호를 입력해 동공 간 거리를 최적화할 수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기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 IPD)를 조절하는 IPD 조절부;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IPD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IPD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1 신호를 전달받으면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2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IPD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이동시켜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이동 중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3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IPD 조절부의 모터를 정지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착용부를 연결하며, 상기 IPD 조절부를 내장하는 HMD 프레임; 및
상기 HMD 프레임의 하면에 상기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구비된 음성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성 인식부는,
딥러닝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사용해 상기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며,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 저장되어 임베디드 동작을 하거나,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와 통신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상기 서버에서 동작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신호는,
좌측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우측 이동, 좌측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좌측 이동, 우측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우측 이동 및 우측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좌측 이동 중 어느 하나를 명령하는 신호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IPD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각각 이동시키는 한 쌍의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모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정해진 속도 이하로 천천히 제어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신호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가 가까워지게 이동 또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가 멀어지게 이동 중 어느 하나를 명령하는 신호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IPD 조절부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에 고정 연결된 한 쌍의 랙; 및
상기 한 쌍의 랙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랙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랙을 미리 정해진 속도 이하로 천천히 동시에 움직여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은,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
상기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 IPD)를 조절하는 IPD 조절부;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되는 IPD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IPD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며,
(1)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해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3) 상기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4)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해 상기 IPD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이동시켜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5)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이동 중 상기 음성 인식부에서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6)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해 상기 IPD 조절부의 모터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에 따르면,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고, IPD 조절 신호에 따라 IPD 조절 모드에서 IPD 조절부를 제어해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한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가 음성 명령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속도 이하로 천천히 모터를 제어해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임으로써, 착용자가 초점이 잘 맞는 위치에서 음성 명령으로 정지 신호를 입력해 동공 간 거리를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IPD 조절부와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음성 명령에 의해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움직여 IPD를 조절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HMD 프레임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HMD 프레임을 위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에서, 음성 명령에 의해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가 동시에 움직여 IPD를 조절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IPD 조절부(300), 음성 인식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HMD 프레임(200), 음성 입력부(400), 착용부(700), 센서부(800) 및 통신부(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전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저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는, 착용부(700)를 이용해 HMD 프레임(200)을 착용한 착용자의 눈 전방에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한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위치한다. 이때, 착용자마다 동공 사이의 거리가 다르므로 초점이 잘 맞고 선명한 영상을 경험하기 위해서는, 동공 간의 거리를 착용자에게 맞게 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저면에 구비된 음성 입력부(400)를 통해 음성에 의한 IPD 조절 신호를 입력하고, 음성 신호에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위치를 조절해 IPD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착용자는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음성으로 제1 신호를 먼저 입력하고, IPD 조절 모드에서 제2 신호를 음성으로 입력해 IPD 조절부(300)를 제어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며, 착용자가 원하는 만큼 IPD가 조정되면 제3 신호를 음성으로 입력해 IPD 조절부(300)의 모터를 정지해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로 구성되는 음성으로 된 IPD 조절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손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음성만 이용해 쉽고 편리하게 동공 간 거리를 세밀하게 조정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짐을 들고 있거나 조이스틱 등 컨트롤러를 쥐고 있을 때도 음성만으로 IPD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는,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며,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해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와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의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AR 글라스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와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 및 광학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 정보가 착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0)는, 영상 정보가 착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광학계(120)에 결합해, 광학계(120)에 의해 착용자의 눈 방향으로 전달되는 영상 광을 출력하며,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110)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OLED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광학계(120)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디스플레이(110)에서 출력되는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학계(120)는, 착용자의 시야를 통한 실제 세계(real world)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디스플레이(110)에서 출력되는 영상 광을 착용자의 눈 방향으로 전달하여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광학계(120)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한 착용자가 증강현실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계(120)는 복수의 렌즈와 미러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광학 회절 방식, 빔 스플리터 방식, 핀 미러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프레임(200)은,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프레임 구성이다. 이러한 HMD 프레임(200)은,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와 착용부(700)를 연결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IPD 조절부(300)를 내장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착용하면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착용자의 양안 전방에 위치하도록 HMD 프레임(200)에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HMD 프레임(200)에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상측을 고정 연결하고 동공 간 거리를 조정하는 IPD 조절부(300)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HMD 프레임(200)에 착용부(700)가 연결되어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IPD 조절부(300)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 IPD)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IPD 조절부(300)는 모터(320)를 포함해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와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를 각각 따로 움직이거나, 동시에 움직여서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IPD 조절부(300)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움직이기 위한 모터(3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모터(320)를 초정밀 모터(320)로 구성하여 ㎜ 단위로 세밀하게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400)는, HMD 프레임(200)의 하면에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 등으로 구현되는 음성 입력부(400)를 HMD 프레임(200)의 하면에 설치하여, 착용자가 말을 할 때의 음성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입력부(400)는 좌측 하면뿐만 아니라 우측 하면에 설치되거나, 둘 이상 설치되는 등 구체적인 위치와 개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400)는 착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수집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음성 인식부(500)에 전달하여, 음성 명령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500)는,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부(500)는, 음성 입력부(400)를 통해 입력되는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명령을 추출하고, 음성 명령인 IPD 조절 신호를 추후 상세히 설명할 제어부(600)에 전달해, 음성 명령에 따라 동공 간 거리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부(500)는, 다양한 방식의 음성 인식 엔진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부(500)는, 딥러닝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사용해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모델은, 연속된 음성 데이터를 사용해 음성명령어를 추정하는 모델로, 대량의 음성 데이터로 학습된 학습 완료 모델일 수 있으며, 음성 인식에 최적화된 RNN(Recurrent neural network), LSTM(Long Short-Term Memory) RNN, 트랜스포머 모델 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 모델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저장되어 임베디드 동작을 하거나,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와 통신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서버에서 동작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델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임베디드 방식으로 음성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서 경량화된 모델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미리 설정된 음성명령어만 인식 가능하도록 제한적으로 동작하는 모델일 수도 있다. 또한, 딥러닝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은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임베디드 방식으로 직접 동작하기에는 연산량이 너무 많아서 실시간 음성 인식이 어려울 수 있고,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다른 기능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서버와의 통신을 이용해 서버에 저장된 음성 인식 모델에 음성 입력부(40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음성 인식부(500)는 음성 인식 모델이 음성 데이터를 인식한 결과를 수신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인식부(500)가 입력받는 음성명령어는 IPD 조절 신호로 제1 신호, 제2 신호 또는 제3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신호는 IPD 조절 모드로 전환을 명령하는 신호, 제2 신호는 IPD 조절을 위해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 및/또는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의 위치 조정을 명령하는 신호, 제3 신호는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 및/또는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의 이동을 멈추는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음성 인식부(500)를 통해 입력되는 IPD 조절 신호에 따라 IPD 조절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1 신호를 전달받으면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고,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제2 신호를 입력받으면 IPD 조절부(300)의 모터(320)를 제어해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이동시켜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이동 중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3 신호를 전달받으면 IPD 조절부(300)의 모터(320)를 정지할 수 있다. 이때, IPD 조절부(300)의 모터(320)를 초정밀 모터(320)로 구성하고, 제어부(600)가 제2 신호에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0.1㎜씩 천천히 움직이도록 제어하여, 천천히 움직이는 중에 착용자가 초점이 잘 맞는 위치를 포착하여 제3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IPD 조절부(300)와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음성 명령에 의해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를 움직여 IPD를 조절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IPD 조절부(300)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각각 이동시키는 한 쌍의 모터(320a, 320b)를 포함하며, 제어부(600)는 제2 신호에 따라 한 쌍의 모터(320a, 32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정해진 속도 이하로 천천히 제어해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신호는, 좌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우측 이동, 좌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측 이동, 우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우측 이동 및 우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측 이동 중 어느 하나를 명령하는 신호일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IPD 조절부(300)는,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모터(320a)와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모터(320b)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600)는 IPD 조절 신호에 따라 제1 모터(320a) 및/또는 제2 모터(320b)를 각각 조정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착용자는 IPD 조절 신호 중 제2 신호를 사용해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 및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를 각각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음성으로 “IPD”라고 제1 신호를 입력하면 IPD의 조절이 가능한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고, IPD 조절 모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음성으로 “Left Lens Left”라고 제2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600)가 제2 모터(320b)를 제어해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가 천천히 착용자의 좌측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가 천천히 움직이는 상태에서 착용자가 초점이 맞는 위치를 찾으면 음성으로 “Stop”이라고 제3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600)가 제2 모터(320b)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그밖에, 제2 신호에는 좌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의 우측 이동을 명령하는 “Left Lens Right”, 우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의 우측 이동을 명령하는 “Right Lens Right”, 및 우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의 좌측 이동을 명령하는 “Right Lens Left”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직접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를 원하는 음성 명령어로 설정해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HMD 프레임(200) 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HMD 프레임(200)을 위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음성 명령에 의해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동시에 움직여 IPD를 조절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IPD 조절부(300)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에 고정 연결된 한 쌍의 랙(310); 및 한 쌍의 랙(310) 사이에 위치하며,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여 한 쌍의 랙(31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터(320)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랙(310)을 미리 정해진 속도 이하로 천천히 동시에 움직여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랙(310)은,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 및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에 각각 고정 연결된 제1 랙(310a) 및 제2 랙(3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랙(310a)과 제2 랙(310b)은 서로 마주보며, 길이 방향으로 긴 형태의 홀이 형성되고, 홀 내부의 길이 방향의 일면에 모터(320)와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홀이 형성되지 않은 몸체 부분이 나사 등으로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위에 고정 결합되어, 랙(310)이 움직임에 따라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한 쌍의 랙(310)은, 제1 랙(310a)과 제2 랙(310b)의 홀을 통해 모터(320)가 삽입되고, 제1 랙(310a)과 제2 랙(310b)의 홀 내부에 형성된 톱니가 대향하여 모터(320)에 맞물리도록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즉, 결합 상태에서 제1 랙(310a)의 톱니와 제2 랙(310b)의 톱니가 마주 보도록 하여 모터(320)의 반대 방향에 각각 맞물리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320)의 회전 시 제1 랙(310a)과 제2 랙(310b)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IPD 조절부(300)에서, 모터(3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랙(310a)과 제2 랙(310b)이 안쪽(모터(320) 쪽, 착용자의 코 쪽)으로 이동하여, 제1 랙(310a)과 제2 랙(310b)에 각각 고정 결합된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와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가 동시에 착용자의 코에 가깝게 움직여 동공 간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또한, 모터(3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랙(310a)과 제2 랙(310b)이 바깥쪽(모터(320) 반대쪽, 착용자의 귀 쪽)으로 이동하여, 제1 랙(310a)과 제2 랙(310b)에 각각 고정 결합된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와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가 동시에 착용자의 귀 방향으로 움직여 동공 간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IPD 조절부(300)의 구조 및 IPD 조절부(300)와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결합 방식을 이용해, 착용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와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를 동시에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용자가 음성으로 “IPD”라고 제1 신호를 입력하면 IPD의 조절이 가능한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고, IPD 조절 모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음성으로 “IPD 넓게”라고 제2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600)가 모터(320)를 반시계방향으로 제어해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100a)와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100b)가 동시에 착용자의 귀 쪽으로 천천히 움직여 동공 간 거리가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착용자가 초점이 맞는 위치를 찾으면 음성으로 “Stop”이라고 제3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600)가 모터(320)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그밖에, 제2 신호에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명령하는 “IPD 좁게”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착용자가 직접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를 원하는 음성 명령어로 설정해 사용할 수 있다.
착용부(700)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착용될 수 있다. 착용부(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 형태일 수 있으나, 안경 형태 등 착용자의 머리에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착용부(70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어, 착용자의 머리의 크기와 형태에 맞게 감쌀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부(700)는, 착용자의 머리 양측을 감싸는 메인 스트랩(710), 및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와 길이 조절부 사이를 연결하며 착용자의 머리 위쪽을 감싸는 보조 스트랩(7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스트랩(710)은,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에 연결되고 뒤통수 쪽의 길이 조절용 다이얼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보조 스트랩(720)은 메인 스트랩(710)의 길이 조절 전에도 착용자 머리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돕는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보조 스트랩(720) 자체 길이를 조절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8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홍채 인식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600)는, 제1 신호, 제2 신호, 제3 신호 등 IPD 조절 신호에 해당하는 구체적인 음성명령어를 사용자 인증 정보와 매칭해 저장하며, 착용자가 사용자 인증을 하면, 사용자 인증 정보와 매칭된 정보를 사용해 착용자가 설정한 음성명령어에 의해 동공 간 거리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인증은 센서부(800)에 포함된 홍채 인식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900)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른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나 서버 등과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900)가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3/4/5/6G(3/4/5/6th Generation Mobile Teleco㎜unica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며,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0), 제1 신호에 대응해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S200),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0), 제2 신호에 대응해 IPD 조절부(300)의 모터(320)를 제어해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이동시켜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S400),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이동 중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500) 및 제3 신호에 대응해 IPD 조절부(300)의 모터(320)를 정지하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단계들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들은,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와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에 따르면,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서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고, IPD 조절 신호에 따라 IPD 조절 모드에서 IPD 조절부(300)를 제어해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한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착용자가 음성 명령만으로 쉽고 편리하게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속도 이하로 천천히 모터(320)를 제어해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움직임으로써, 착용자가 초점이 잘 맞는 위치에서 음성 명령으로 정지 신호를 입력해 동공 간 거리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100: 광학 디스플레이부
100a: 제1 광학 디스플레이부
100b: 제2 광학 디스플레이부
110: 디스플레이
120: 광학계
200: HMD 프레임
300: IPD 조절부
310: 랙
310a: 제1 랙
310b: 제2 랙
320: 모터
320a: 제1 모터
320b: 제2 모터
400: 음성 입력부
500: 음성 인식부
600: 제어부
700: 착용부
710: 메인 스트랩
720: 보조 스트랩
800: 센서부
900: 통신부
S100: 음성 인식부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200: 제1 신호에 대응해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S300: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음성 인식부에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400: 제2 신호에 대응해 IPD 조절부의 모터를 제어해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이동시켜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S500: 광학 디스플레이부의 이동 중 음성 인식부에서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S600: 제3 신호에 대응해 IPD 조절부의 모터를 정지하는 단계

Claims (8)

  1.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 IPD)를 조절하는 IPD 조절부(300);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500); 및
    상기 음성 인식부(500)를 통해 입력되는 IPD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IPD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1 신호를 전달받으면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2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IPD 조절부(300)의 모터(320)를 제어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이동시켜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며,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이동 중 상기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3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IPD 조절부(300)의 모터(320)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에 연결되며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 착용되는 착용부(700);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착용부(700)를 연결하며, 상기 IPD 조절부(300)를 내장하는 HMD 프레임(200); 및
    상기 HMD 프레임(200)의 하면에 상기 착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구비된 음성 입력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성 인식부(500)는,
    상기 음성 입력부(400)를 통해 입력되는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500)는,
    딥러닝 기반의 음성 인식 모델을 사용해 상기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며,
    상기 음성 인식 모델은,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저장되어 임베디드 동작을 하거나,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와 통신하는 서버에 저장되어 상기 서버에서 동작하여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좌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우측 이동, 좌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측 이동, 우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우측 이동 및 우측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좌측 이동 중 어느 하나를 명령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PD 조절부(300)는,
    상기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각각 이동시키는 한 쌍의 모터(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2 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모터(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정해진 속도 이하로 천천히 제어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가까워지게 이동 또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가 멀어지게 이동 중 어느 하나를 명령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PD 조절부(300)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에 고정 연결된 한 쌍의 랙(310); 및
    상기 한 쌍의 랙(31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랙(310)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320)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랙(310)을 미리 정해진 속도 이하로 천천히 동시에 움직여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
  8.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으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한 쌍의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움직여 동공 간 거리(Interpupillary Distance, IPD)를 조절하는 IPD 조절부(300);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IPD 조절 신호를 입력받는 음성 인식부(500); 및
    상기 음성 인식부(500)를 통해 입력되는 IPD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IPD 조절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며,
    (1) 상기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2)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해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3) 상기 IPD 조절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4) 상기 제2 신호에 대응해 상기 IPD 조절부(300)의 모터(320)를 제어해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이동시켜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단계;
    (5)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의 이동 중 상기 음성 인식부(500)에서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6) 상기 제3 신호에 대응해 상기 IPD 조절부(300)의 모터(320)를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10)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
KR1020220027753A 2022-03-03 2022-03-03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 KR20230130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753A KR20230130481A (ko) 2022-03-03 2022-03-03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753A KR20230130481A (ko) 2022-03-03 2022-03-03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481A true KR20230130481A (ko) 2023-09-12

Family

ID=8802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753A KR20230130481A (ko) 2022-03-03 2022-03-03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4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23820A1 (en) Spectacle with invisible optics
CN108196629A (zh) 显示设备
EP3712688A1 (en) System for eye training and use of the system for eye training
KR20190106900A (ko) 전자 디바이스
KR20230130481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 기반의 동공 간 거리 조절 방법
KR20230138129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스트랩 사이즈 자동 조절 방법
KR102617019B1 (ko) 랙과 피니언 방식으로 양안 렌즈가 동시에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정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3391B1 (ko) 제스처를 이용해 동공 간 거리를 자동 조절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를 위한 제스처를 이용한 동공 간 거리 자동 조절 방법
KR102619429B1 (ko) 시선 추적을 통해 동공 간 거리를 자동 조절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6863B1 (ko) 로터리 댐퍼를 사용해 양안 렌즈를 동시에 움직여 동공 간 거리를 조정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JP4641647B2 (ja) 拡大鏡
KR20230109228A (ko) 음성 인식을 이용해 틸팅 제어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음성 인식을 이용한 틸팅 제어 방법
WO2018150191A1 (en) Reality viewer
KR20230040066A (ko) 원-버튼 자동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9431B1 (ko) 초정밀 모터와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사이즈가 조절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3491B1 (ko) 허상 거리의 조정이 가능한 증강현실 글라스 장치
KR20230157085A (ko) 아이트래킹 및 글래스 틸팅을 이용해 작동 제어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및 그의 작동 제어 방법
KR102564380B1 (ko) 스트랩 조절용 저소음 기어가 장착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68554A (ko) 제스처를 이용한 화면 밝기 조절 기능을 갖는 ar 글라스 장치
KR20240027482A (ko) 허상 거리가 조절되는 증강현실 글래스 장치
KR20230108551A (ko) 제스처를 이용해 글래스가 틸팅 제어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제스처를 이용한 틸팅 제어 방법
WO2020031125A1 (en) Eyewear for simulating face-to-face communication
KR102621112B1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KR102572591B1 (ko) 증강현실 글라스를 위한 시야 정합형 광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증강현실 글라스 장치
KR20230168555A (ko) 조도 센서와 음성 인식을 이용한 화면 밝기 조절 기능을 갖는 ar 글라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