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634A -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634A
KR20230137634A KR1020220035323A KR20220035323A KR20230137634A KR 20230137634 A KR20230137634 A KR 20230137634A KR 1020220035323 A KR1020220035323 A KR 1020220035323A KR 20220035323 A KR20220035323 A KR 20220035323A KR 20230137634 A KR20230137634 A KR 20230137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atus
transportation
inform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림
손정락
신재민
김자민
김윤지
황재민
김민우
박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위너스
Priority to KR102022003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7634A/ko
Publication of KR20230137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운송 진행 상황에 따른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에 대한 것으로, 컨테이너에 구비된 IOT(Internet Of Things) 모듈 및 기 설정된 외부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기 설정된 지오펜스(geofence) 영역의 출입 상태 정보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테이너에 관련된 운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이동하는 컨테이너의 움직임에 따른 화물 운송 진행 단계별 상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태에 따라 갱신된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CONTAINER TRANSPORT STATU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YSTEM}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이용한 물류에 있어서, 컨테이너의 이동에 따라 화물 운송 진행 상황에 따른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에 대한 것이다.
현대 물류에서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식으로 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컨테이너를 이용한 화물 운송 방식, 즉 컨테이너 운송 방식은 대용량의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대량의 화물을 비교적 안전하게 먼거리까지 수송할 수 있다. 컨테이너 단위로 운송 화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 운송을 단위화 및 규격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현대의 화물 운송에서는 컨테이너 운송이 일반적이며, 이에 따라 화물 운송에서 컨테이너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컨테이너의 활용성을 보다 높이고자 하는 사회적 니즈(needs)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니즈의 일환으로,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방식으로 컨테이너의 정보를 수집하여 컨테이너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EDI를 이용한 방식은 충분한 EDI 인프라가 갖추어진 항만 등의 터미널의 경우에는 비교적 정확할 수 있으나, 충분한 EDI 인프라가 갖추어지지 않은 항만 등의 경우 그 정확도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충분한 EDI 인프라를 갖춘 터미널이라고 할지라도, 복수의 컨테이너가 하역되는 경우 컨테이너의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선사별 취합 과정을 거쳐서 정리된 컨테이너의 정보가 제공되므로, 가용 가능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EDI를 통해 제공되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컨테이너의 실제 이동에 근거하여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유휴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의 현황을 보다 빠르게 인지하여 컨테이너의 회전율을 높이고자 하는 니즈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니즈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실시간 이동 현황에 따른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연구중인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정된 터미널로부터 이탈 또는 진입하는 컨테이너의 이동 현황을 검출하고, 검출된 컨테이너의 이동 현황에 근거하여, 화물 운송 진행 과정에 따른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정보를 검출 및, 검출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가 가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가용 상태로 전환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는, 컨테이너에 구비된 IOT(Internet Of Things) 모듈 및 기 설정된 외부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컨테이너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기 설정된 지오펜스(geofence) 영역의 출입 상태 정보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테이너에 관련된 운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이동하는 컨테이너의 움직임에 따른 화물 운송 진행 단계별 상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태에 따라 갱신된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부킹(Booking) 정보가 검출되면, 검출된 부킹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별로 상태를 모니터링 할 대상 컨테이너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 컨테이너의 IOT 모듈로부터 상기 지오펜스 영역의 출입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은, 상기 컨테이너의 출발 터미널 또는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킹 정보로부터 상기 출발 터미널 및 도착 터미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오펜스 영역의 출입 상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을 출입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며,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갱신에,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검출되는 운송 정보가 더 요구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의 현재 운송 상태에 따른 운송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더 검출 및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서로 다른 경우, 다음 상태로의 갱신에 요구되는 운송 정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는, 화물의 수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가용 상태, 상차지로 이동하여 운송 대상 화물을 상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차 상태, 운송 수단으로의 선적 대기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선적 대기 상태, 상기 운송 수단에 선적된 상태를 나타내는 선적 상태, 상기 컨테이너가 도착 터미널의 양하지에 양하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양하 상태, 및 양하된 컨테이너가 기 설정된 하차지로 이동하여 운송 대상 물품을 배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송 상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부킹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가용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별로 상태를 모니터링 할 대상 컨테이너로 결정되면, 상기 대상 컨테이너가 출발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상차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차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출발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 및, 기 설정된 운송 정보의 발행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선적 대기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출발 터미널에 마련된 선적지 또는 상기 운송 수단에 배치된 영역 신호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영역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선적지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상기 운송 수단의 선적 영역에 진입하는 컨테이너의 위치 이동을 더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적 대기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의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선적지를 이탈하거나 또는 상기 선적 영역에 진입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선적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적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양하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적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선박이 상기 도착 터미널에 입항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선박의 입항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양하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듈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마련된 양하지 또는 상기 운송 수단에 배치된 영역 신호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영역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양하지에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운송 수단의 선적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컨테이너의 위치 이동을 더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적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의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양하지에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선적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양하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하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 및, 기 설정된 운송 정보가 발행되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배송 상태로 갱신하고, 상기 배송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다시 진입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다시 가용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운송 대상 화물의 하차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도착 터미널에서 상기 하차지까지의 거리를 산출 및,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가 다시 가용 상태로 갱신되기까지의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은, 화물 운송을 위한 부킹(booking) 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부킹 정보에 따른 컨테이너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컨테이너에 구비된 IOT 모듈로부터, 상기 검출된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부킹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컨테이너의 출발 터미널 및 도착 터미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출발 터미널 또는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을 출입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상기 컨테이너의 현재 운송 상태에 따른 운송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의 지오펜스 출입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다음 단계에 대응하는 상태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화물의 수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가용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출입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컨테이너에 부착된 IOT(Internet Of Things) 모듈로부터 검출되는 컨테이너의 위치에 근거하여, 컨테이너가 지정된 터미널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지정된 터미널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컨테이너 터미널 출입 상태와, 상기 선사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컨테이너의 화물 운송에 관련된 운송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판별하고 판별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제공함으로써, 화물 운송 진행 과정에 따른 해당 컨테이너의 현재 운송 상태를, 상기 컨테이너의 실제 이동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실제 이동 현황에 연동하여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가용 상태로 전환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화물 운송에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다음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의 예상 시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더 제공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회전율을 높여 운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가 복수의 IOT 모듈과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a 와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상기 상태 정보 제공 장치와 연결되는 IOT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가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이러한 화물 운송 진행 과정에 따라 상차지와 출발 터미널, 도착 터미널과 하차지에 진입 및 이탈하는 컨테이너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컨테이너의 이동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변경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가, 화물 운송 진행 과정에 따른 각각의 상태별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는 동작 과정들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도 12는, 대상 컨테이너에 대한 선적지나 양하지로의 출입 여부 또는, 운송 수단으로부터의 출입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판별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가, 대상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전환 예측 시간을 산출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가, 컨테이너 각각의 상태에 근거하여 제공하는 화물 운송 단계별 컨테이너의 현황 정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가, 특정 컨테이너로부터 검출되는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제공되는, 상기 특정 컨테이너의 운송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실시 예들의 조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로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해당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복수의 IOT(Internet Of Things) 모듈(21)과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각각의 컨테이너(20)에 부착된 IOT 모듈(21)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container)(20)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규격화된 직육면체의 용기로서, 선박안전법에 따르면, 선박에 의한 화물 운송에 반복하여 사용되고, 기계 하역 및 겹쳐서 쌓는 것이 가능하도록 몸체를 고정시키는 장구가 부착되며, 상기 장구가 부착된 밑부분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기구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대량의 화물들을 한 번에 수용하고, 화물이 수용된 컨테이너를 그대로 선박 등의 수송 수단에 적재함으로써, 화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컨테이너가 규격화됨에 따라 동일한 규격을 만족하는 서로 상이한 운송 수단을 통해 운송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육상 및 해상의 복합 운송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IOT 모듈(21)은 이러한 컨테이너(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IOT 모듈(21)은 컨테이너(20)의 관리를 위한 것으로, 컨테이너(20) 내부의 저장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컨테이너(20) 내부의 다양한 기기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20) 내부의 기기들로부터 검출되는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IOT 모듈(21)과 연결된 다른 기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IOT 모듈(21)은 기 설정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각 IOT 모듈(21)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 IOT 모듈(21)에서 제공되는 각 컨테이너(20)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IOT 모듈(21)은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정보 산출 모듈에 근거하여 상기 IOT 모듈(21)은, IOT 모듈(21)이 부착된 컨테이너(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컨테이너(20)의 위치에 관련하여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일환으로서,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모듈(21)은 지오펜싱(geofenc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컨테이너(20)에 부착된 IOT 모듈(21)들은, 상기 지오펜싱 기능을 통해 미리 지정된 지오펜스(geofence) 영역 내에 컨테이너(20)가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컨테이너(20)가 상기 지정된 지오펜스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지오펜스 진입 또는 이탈, 즉 지오펜스 출입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하기 도 2b를 참조하여 상기 IOT 모듈(21)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각 컨테이너(20)에 구비된 IOT 모듈(21)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IOT 모듈(21)이 구비된 컨테이너(20)가 기 설정된 지리적 영역, 즉 기 설정된 지오펜스 내부로 진입하였는지 여부 및, 기 설정된 지오펜스로부터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각 컨테이너(20)의 운송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3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서버(30)는 상기 컨테이너(20)를 이용한 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 즉 배송사 또는 선사(船社)의 서버(이하 선사 서버)(30)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사 서버(30)에는 상기 컨테이너(20)를 이용한 화물 운송을 위해 발행되는 다양한 정보(이하 운송 정보)들, 예를 들어 화물 운송을 위한 예약 정보, 즉 부킹(booking) 정보, 선하증권(Bill of Loading), 화물인도지시서(Delivery Order) 등에 대한 정보들이 업로드될 수 있으며, 상기 선사 서버(30)에 업로드된 컨테이너(20) 관련 정보들은, 상기 선사 서버(3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컨테이너(20)의 IOT 모듈(21)d에서 제공된 지오펜스 출입 여부와 상기 선사 서버(30)에서 제공되는 운송 정보들에 근거하여, 화물 운송 단계에 따른 상기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정된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컨테이너의 화물 운송 단계에 따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에서, 화물 운송 단계에 따른 다음 상태로의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특정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들의 현황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하 도 2a를 참조하여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구성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는 통신부(110)와 입력부(120), 출력부(130), 그리고 메모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먼저 통신부(110)는 기 설정된 외부 서버와의 접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1)은 기 설정된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외부 서버와 통신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Bro(Wireless Broadband),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1)은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부(12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및, 키패드, 키보드와 같은 복수의 키 입력 수단, 또는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가상 키, 소프트 키 또는 비주얼 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에 연결되는 IOT 모듈(21)로부터 수신되는 컨테이너(20)의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컨테이너(20)에 관련된 선사의 서버(선사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운송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50)는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복수의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및 상기 선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되는 정보들은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150)는 영역 정보 저장부(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역 정보 저장부(151)는 지오펜스로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지리적 영역 및, 그 지리적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지리적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항만, 즉 터미널일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20)의 출발지 터미널(이하 출발 터미널)이거나 목적지 터미널(도착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역 정보 저장부(151)에 저장된 정보들은,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각 IOT 모듈(21)로 전송되어, IOT 모듈(21)의 메모리(모듈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한편 제어부(100)는 통상적으로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선사 서버(30)로부터 부킹 정보와 함께 특정 컨테이너(20)가 지정되는 경우, 지정된 컨테이너(20)에 구비된 IOT 모듈(21)로부터 상기 컨테이너(20)의 이동에 따른 지오펜스 출입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상기 특정 컨테이너(20)의 현재 운송 상태와, 선사 서버(30)에서 제공되는 상기 특정 컨테이너(20)의 운송 정보, 그리고 상기 IOT 모듈(21)로부터 수신된 지오펜스 출입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다음 단계의 상태로 갱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저장 및, 상기 갱신된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게 출력부(1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IOT 모듈(21)로부터, 컨테이너(20)과 관련된 지오펜스 영역 정보(예 : 컨테이너(20)이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 특정 지오펜스 영역에 대한 컨테이너(20)의 진출입 정보 등)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영역 정보 저장부(151)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IOT (21)로부터 수신되는 컨테이너(20)의 위치로부터 상기 컨테이너(20)의 위치에 따른 지오펜스 영역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테이너(20)가 특정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거나 특정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 결과를 상기 IOT 모듈(21)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b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와 연결되는 IOT 모듈(21)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IOT 모듈(21)은 모듈 제어부(200)와 모듈 제어부(200)에 연결되는 모듈 통신부(210), 컨테이너 센서부(220), 모듈 메모리(230), 및 전원 공급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IOT 모듈(21)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IOT 모듈(21)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먼저 모듈 통신부(210)는 IOT 모듈(21)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IOT 모듈(21)과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통신부(210)는, 위치정보 모듈(211), 무선 통신 모듈(212), 및 근거리 통신 모듈(2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 모듈(211)은 IOT 모듈(21)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상기 GPS 모듈은 복수의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들을 수신하여 IOT 모듈(21)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위치정보 모듈(211)은 IOT 모듈(21)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또는 WLAN, Wi-Fi, Wi-Fi Direct, DLNA, WiBro, WiMAX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모듈일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2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213)은, IOT 모듈(21)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다른 기기가 있는 경우,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연결된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 센서부(220)는, IOT 모듈(21)이 구비된 컨테이너(20) 내부 및 외부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센서부(220)는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화학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센서부(220)의 센서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컨테이너(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컨테이너(20) 내측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모듈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40)는 모듈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IOT 모듈(21)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4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모듈 메모리(230)는 모듈 제어부(2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모듈 메모리(230)는 위치정보 모듈(211)에서 획득되는 컨테이너(2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된 컨테이너(2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제공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모듈 메모리(230)는 지오펜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오펜스 영역 정보 저장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오펜싱 영역 정보 저장부(231)는 지오펜스로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기 설정된 지리적 영역 및, 그 지리적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지리적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항만, 즉 터미널일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20)의 출발지 터미널(이하 출발 터미널)이거나 목적지 터미널(도착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오펜싱 영역 정보 저장부(231)에 저장되는 지리적 영역 및 그 지리적 영역에 대한 정보들은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메모리(230)는 컨테이너 센서부(220)를 통해 검출되는 컨테이너(20) 내측 또는 외측의 환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컨테이너(20) 내측 또는 외측의 환경 정보는 모듈 제어부(200)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모듈 제어부(200)는 통상적으로 IOT 모듈(2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모듈 제어부(200)는 위치정보 모듈(211)을 통해 기 설정된 단위 시간 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컨테이너(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컨테이너(20)의 위치와 모듈 메모리(230)에 저장된 지오펜스 영역 정보(231)에 근거하여 컨테이너(20)가 특정 지오펜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제어부(200)는 상기 위치정보 모듈(211)의 위치 정보와 상기 지오펜스 영역 정보(231)에 근거하여 컨테이너(20)가 특정 지오펜스 영역에서 이탈하는지 또는 상기 특정 지오펜스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듈 제어부(200)가 컨테이너(20)가 특정 지오펜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특정 지오펜스 영역에서 이탈 또는 진입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컨테이너(20)가 상기 특정 지오펜스 영역에서 이탈 또는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일 예로, 컨테이너(20)의 위치는 IOT 모듈(21)이 아니라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에서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IOT 모듈(21)은 상기 위치정보 모듈(211)로부터 산출된 컨테이너(20)의 위치를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로 전송하고, 상기 컨테이너(20)가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컨테이너(20)가 특정 지오펜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또는 상기 특정 지오펜스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모듈 제어부(200)는, 상기 상기 컨테이너(20)가 상기 특정 지오펜스 영역에서 이탈 또는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위치 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로 전송하고,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특정 지오펜스 영역에 대한 진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에 부하가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 제어부(200)는 상기 위치정보 모듈(211)로부터 산출된 컨테이너(20)의 위치를,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로부터 제공된 지오펜싱 영역 정보(지오펜싱 영역 정보 저장부(231)에 저장되는 정보)와 비교하여, 직접 컨테이너(20)가 위치한 특정 지오펜스 영역의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20)가 특정 지오펜스 영역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특정 지오펜스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상기 모듈 제어부(200)가, 상기 모듈 제어부(200)가 컨테이너(20)가 특정 지오펜스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거나 또는, 컨테이너(20)가 특정 지오펜스 영역에서 이탈하는지 또는 상기 특정 지오펜스 영역으로 진입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모듈 제어부(200)가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에 컨테이너(20)의 위치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일련의 과정 및, 상기 모듈 제어부(200)가 컨테이너(20)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컨테이너(20)가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을 검출하거나 또는 특정 지오펜스 영역에 대한 상기 컨테이너(20)의 진출입 여부를 직접 검출하는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그리고 컨테이너(20)가 지오펜스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지오펜스로 진입하는 경우, 즉 상기 컨테이너(20)의 지오펜스 출입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모듈 제어부(200)는 모듈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컨테이너(20)의 지오펜스 출입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20)의 지오펜스 출입이 발생한 지오펜스 영역의 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와, 컨테이너(20) 각각에 구비되며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에 연결되는 IOT 모듈(21)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IOT 모듈(21)에서 제공되는 지오펜스 출입 정보와 컨테이너(20)의 출입이 발생한 지오펜스 영역의 정보, 그리고 선사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운송 정보에 근거하여,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화물 운송 단계에 따라 검출 및 검출된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복수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IOT 모듈(21) 및 선사 서버(3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선사 서버(30)로부터 부킹(booking)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부킹 정보에 따른 컨테이너(20)를 검출할 수 있다(S300).
상기 부킹 정보는 부킹 번호와 선사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상기 부킹 번호와 선사 코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부킹 정보에 대응하는 컨테이너(20)를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20)의 조회 결과, 조회된 컨테이너(20)(이하 대상 컨테이너)에 부착된 IOT 모듈(21)과 통신 연결을 수행 및, 통신 연결된 IOT 모듈(21)로부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2).
한편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운송될 물품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물품을 수용 후 운송될 컨테이너로 예정된 컨테이너로서, 현재 물품의 상차(上車)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컨테이너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물품의 상차가 가능한 상태, 즉 사용 가능한 상태로서, [가용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에 구비된 IOT 모듈(21)로부터 대상 컨테이너(2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위치에 근거하여 출발 터미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가 [가용 상태]인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현재 위치에 따른 터미널을 출발 터미널로 설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화물 운송 요청(SR)을 위한 부킹이 이루어지는 경우, 선사의 선박 운송 스케줄에 따라 화물을 운송할 컨테이너가 결정되고, 컨테이너가 결정되면 상차 및 운송 수단(예 : 선박)으로의 선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운송 수단의 선적이 이루어지는 터미널을 출발 터미널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운송 수단으로부터 대상 컨테이너(20)의 양하(揚荷)가 이루어지는 터미널을 도착 터미널로 설정할 수 있다(S304).
여기서 제어부(100)는 선사로부터 제공되는 운송 정보로서, 상기 부킹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도착 터미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킹 정보는 화물 운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킹 정보는 부킹 번호(BKG No.), 대상 컨테이너 번호(Con No.), 입항 예정 시간(Estimated Time of Arrival, ETA), 선박 출항 시간(Estimated Time of Departure, ETD)을 포함하는 V.V.D(Vessel, Voyage and Direction), 로테이션 항만(Rotation Port), 및 양하 항만(POD, Port Of Discharge) 정보를 포함하는 거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양하 항만(POD)의 정보에 따른 항만을 대상 컨테이너(20)가 양하되는 양하지(discharging place)로 판별하고, 상기 양하 항만(POD)을 도착 터미널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304 단계에서, 출발 터미널 및 도착 터미널이 설정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에 구비된 IOT 모듈(21)로부터 대상 컨테이너(20)의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정보는, IOT 모듈(21)에 저장된 지오펜스 영역 정보에 따른 기 설정된 지오펜스 출입 여부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대상 컨테이너(20)의 IOT 모듈(21)은, 위치정보 모듈(211)로부터 획득되는 위치 정보와 기 저장된 지오펜스 영역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거나 또는 진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컨테이너(20)의 움직임에 따른 지오펜스 출입 상태 정보 및, 대상 컨테이너(20)가 진입하거나 이탈한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의 정보를,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지오펜스 출입 상태 정보로서,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상기 IOT 모듈(2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거나 또는 상기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진입하거나 이탈한 지오펜스 영역의 정보와, 상기 S304 단계에서 설정된 상기 출발 터미널과 도착 터미널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거나 상기 출발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 및,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거나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306).
여기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를 출입하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은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는 이벤트 트리거(trigg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는 화물의 운송 진행 단계에 각각에 따른 상태를 의미하며,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한하여 다음 단계에 대응하는 상태로 갱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출입한 지오펜스 및,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운송 정보에 따라 충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선사 서버(30)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운송 정보가 발행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308). 이 경우 성가 기 설정된 조건, 즉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 갱신을 위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운송 정보는 대상 컨테이너(20)의 현재 운송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갱신되지 않은 상태라면, 현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는 상기 S304 단계에서 설정된 [가용 상태]일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현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 즉 [가용 상태]에 따른 운송 정보를 선사 서버(30)에서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사 서버(30)에서 검출되는 운송 정보는, 현재 부킹 정보가 완료된 부킹 정보임을 입증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반면, 현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운송 수단으로의 선적을 위한 [선적 대기 상태]인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선사 서버(30)로부터, 현재 대상 컨테이너(20)와 관련된 운송 정보가 발행되었는지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송 정보는 선하증권(Bill Of Loadin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하증권은 해상 운송인이 운송물을 선적하였음을 인증 및, 상기 선하증권의 소지자에게 운송물을 인도할 것을 약속하는 증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현재 운송 상태와, 상기 S308 단계에서 검출된 운송 정보, 그리고 상기 S306 단계에서 검출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지오펜스 출입 상태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다음 단계에 대응하는 상태로 갱신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상기 화물의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는 복수의 서로 다른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컨테이너(20)에 화물이 상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는 화물이 수용되지 않은 [가용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화물이 상차되는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화물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차 상태]로 갱신될 수 있다. 그리고 화물이 수용된 [상차 상태]에서 선적을 위한 선적지로 이동하는 경우, 운송 수단으로의 선적을 기다리는 [선적 대기 상태]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적 대기 상태]에서 대상 컨테이너(20)가 운송 수단에 선적되는 경우, 대상 컨테이너(20)는 상기 운송 수단에 선적되었음을 나타내는 [선적 상태]로 갱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를 선적한 운송 수단이 도착 터미널에 도착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를 양하지에 양하하는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양하되었음을 나타내는 [양하 상태]로 갱신될 수 있다. 그리고 양하된 대상 컨테이너(20)가 화물의 하차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화물이 하차지로 배송됨을 나타내는 [배송 상태]로 갱신될 수 있다. 그리고 화물의 배송이 완료되어 수용된 화물을 하차하고 나면,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은송 상태는 다시 화물의 수용이 가능한 [가용 상태]로 갱신될 수 있다.
상기 S310 단계에서의 대상 컨테이너 운송 상태 갱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오펜스를 출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에 따라 트리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오펜스 영역을 출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출입이 발생한 지오펜스 영역과,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 및, 대상 컨테이너(20)의 현재 운송 상태에 따른 운송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화물의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다음 단계의 상태로 갱신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에 따라 갱신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S310 단계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갱신되면, 제어부(100)는 갱신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다시 [가용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S312). 그리고 상기 S312 단계의 체크 결과, 상기 S310 단계에서 갱신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가용 상태]가 아닌 경우라면 갱신된 현재 갱신된 대상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에 따른 컨테이너 현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314).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현황 정보는, 특정 선사 또는 사용자가 소유한 컨테이너들의 현황에 관련된 정보로서, 상기 특정 선사 또는 사용자가 소유한 다른 컨테이너들의 정보가 메모리(150)에 구비된 경우, 제어부(100)는 현재 갱신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정보를 더 반영하여 각 상태별 컨테이너 현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갱신된 각 상태별 컨테이너 현황 정보는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다시 S306 단계로 진행하여, 기 설정된 지오펜스를 출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306 단계의 검출 결과, 지오펜스를 출입하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이 검출된 경우, 상기 S308 단계에서 S310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S312 단계에서 현재 갱신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에 따라 다시 S306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312 단계의 체크 결과, 현재 갱신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다시 [가용 상태]인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부킹 정보에 따른 화물의 운송이 종료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가용 상태]로 전환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특정 선사 또는 사용자가 소유한 다른 컨테이너들의 현황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S316).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현황 정보의 일환으로서, 기 설정된 각 지역별로 가용 상태에 있는 상기 특정 선사 또는 사용자의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지역별 가용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들의 현황 정보는 출력부(13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대상 컨테이너(20)의 현재 운송 상태와, 관련된 운송 정보, 그리고 대상 컨테이너(20)의 지오펜스 출입 상태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운송 정보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운송 수단에 선적된 [선적 상태]인 경우,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의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하는 것만으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된 화물이 양하되는 [양하 상태]로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련된 운송 정보 없이, 특정 지오펜스 영역으로의 진입 또는 상기 특정 지오펜스 영역으로부터의 이탈만으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갱신될 수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S308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기 설정된 지오펜스를 출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과 상기 선사 서버(30)로부터 검출되는 운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현재 운송 상태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지오펜스를 출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과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현재 운송 상태만으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 갱신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만으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이하 화물의 운송 진행 과정에 따라 대상 컨테이너(20)가 이동하는 경로 및,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 및 관련된 운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갱신되는 대상 컨테이너(20) 각각의 상태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살펴본 각각의 대상 컨테이너(20) 상태들에 대하여, 상기 도 3의 S310 단계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갱신되는 동작 과정을 하기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화물 운송 진행 과정에 따라 상차지(411)와 출발 터미널(410), 도착 터미널(430)과 하차지(431)에 진입 및 이탈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변경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부킹 정보에 근거하여 화물을 운송할 대상 컨테이너(20)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상기 도 3의 S304 단계에서 [가용 상태](500)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대상 컨테이너(20)는, 운송할 화물이 배치된 상차지(411)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차지(411)로의 이동을 위해 출발 터미널의 지오펜스 영역(이하 출발 터미널(41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운송할 화물의 상차를 위해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는 경우, 대상 컨테이너(20)의 IOT 모듈(21)로부터 수신되는 지오펜스 출입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였음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완료된 부킹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킹이 완료된 상태인 경우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상차지(411)로 이동하여 운송 대상 화물을 상차하는 상태, 즉 [상차 상태](510)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상차지(411)에서 화물이 상차되면,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상차지(411)로부터 출발 터미널(410)에 다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상차 상태](51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에 진입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상차 상태](510)의 다음 단계인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 갱신을 위해, 기 설정된 운송 정보가 발행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상차 상태](510)의 다음 단계인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운송 정보는 선하증권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상차 상태](51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에 진입하는 이동이 검출 및, 상기 선하증권이 발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선적 대기 상태](520)에 있는지 여부를,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출발 터미널(410) 내의 기 설정된 영역에 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판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상차 상태](51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에 진입하는 이동이 검출 및, 상기 선하증권이 발행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 내의 선적지(401)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상차 상태](510)에서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출발 터미널(410)로의 진입 및 선하증권의 발행이 검출된 상태라고 할지라도,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기 설정된 선적지(401)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선적을 위해 마련된 기 설정된 장소, 즉 선적지(401)에 대상 컨테이너(20)가 이동되는 경우에 한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할 수 있다. 즉 보다 정확하게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선적 대기 상태](520)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선적 대기 상태](52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는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운송 수단(420)에 선적되어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00)는, [선적 대기 상태](52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는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상태](530)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선적 대기 상태](52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도 3의 S304 단계에서 설정된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는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운송 수단(420)에 선적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00)는, [선적 상태](53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는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양하 상태](540)로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적 대기 상태](520)에 있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도착 터미널(430)로의 진입 여부에 따라 바로 [양하 상태](540)로 갱신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선적 대기 상태](52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는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기 설정된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는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대기 상태](520)에서 [양하 상태](540)로 바로 갱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하 상태](540)의 갱신 여부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 내의 기 설정된 영역에 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판별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선적 상태](530) 또는 [선적 대기 상태](52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는 이동이 검출 및,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 내의 양하지(403)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상태](530) 또는 [선적 대기 상태](520)에서 [양하 상태](540)로 갱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착 터미널(430)로의 진입이 검출된 상태라고 할지라도,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기 설정된 양하지(403)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양하를 위해 마련된 기 설정된 장소, 즉 양하지(403)에 대상 컨테이너(20)가 이동되는 경우에 한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양하 상태](540)로 갱신할 수 있다. 즉 보다 정확하게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양하 상태](540)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도착 터미널(430)에 도착하여 양하되면, 양하지(403)로부터 화물의 하차지로 화물을 배송하기 위해 도착 터미널(43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양하 상태](54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로부터 이탈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양하 상태](540)의 다음 단계인 [배송 상태](550)로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 갱신을 위해, 기 설정된 운송 정보가 발행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양하 상태](540)의 다음 단계인 [배송 상태](550)로 갱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운송 정보는 화물인도지시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양하 상태](54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로부터 이탈하는 이동이 검출 및, 상기 화물인도지시서가 발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배송 상태](550)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화물의 배송을 위해 상기 하차지(431)로 이동한 대상 컨테이너(20)는 화물의 하차가 완료되면 도착 터미널(430)로 이동하여 상기 도착 터미널(430)에 재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도착 터미널(430)에 재진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를 이용한 화물의 운송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를 다시 [가용 상태](500)로 갱신할 수 있다. 그리고 화물 운송 요청(SR)에 따라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화물을 운송할 컨테이너로 다시 지정되면, 화물의 수용이 가능한 [가용 상태](500)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설정 및, 상기 도 3의 동작 과정을 통해 화물 운송 진행 과정에 따라 상태가 다시 갱신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화물 운송 진행 과정에 따른 각 상태별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는 동작 과정들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가용 상태](500)인 경우에,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상차 상태](510)로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가용 상태](500)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현재 입력된 부킹 정보가 완료된 부킹 정보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부킹의 완료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선적 서류가 발행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600).
여기서 상기 부킹의 완료에 필요한 선적 서류는 화주의 화물 운송 요청(SR, Shipping Request)을 위한 상업 송장(C/I, Commercial Invoice), 포장 명세서(P/L, Packing List)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업 송장과 포장 명세서의 발행 여부가 확인되면, 제어부(100)는 현재 입력된 부킹 정보가 완료된 부킹에 의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킹의 완료에 필요한 선적 서류가 발행되었는지 여부는, [가용 상태](50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에 관련된 운송 정보로서, 상기 도 3의 S308 단계에서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600 단계의 검출 결과, 현재 입력된 부킹 정보가 완료된 부킹 정보인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S602). 그리고 상기 S602 단계의 검출 결과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가 화물의 상차를 위해 상차지(411)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가용 상태](500)에서 [상차 상태](510)로 갱신할 수 있다(S604).
한편 상기 S604 단계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상차 상태](510)로 갱신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도 3의 S312 단계에서, 다시 도 3의 S306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S306 단계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출발 터미널(410) 또는 도착 터미널(430))에 출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도 3의 S308 단계 내지 S310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상차 상태](510)인 경우에,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상차 상태](510)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 갱신을 위해 필요한 운송 정보가 발행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선사 서버(30)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S700). 여기서 상기 상태 갱신을 위해 필요한 운송 정보는 선하증권일 수 있다. 선하증권은 해상 운송인이 운송물을 선적하였음을 인증 및, 상기 선하증권의 소지자에게 운송물을 인도할 것을 약속하는 증표의 기능을 하는 증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하증권이 발행되었는지 여부는, [상차 상태](51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에 관련된 운송 정보로서, 상기 도 3의 S308 단계에서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700 단계의 검출 결과, 대상 컨테이너(20)에 대한 선하증권이 발행된 상태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출발 터미널(410)에 진입하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S702). 그리고 출발 터미널(410)에 진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선적을 위해 출발 터미널(410)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상차 상태](510)에서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할 수 있다(S704).
한편 상기 S704 단계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도 3의 S312 단계에서, 다시 도 3의 S306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S306 단계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출발 터미널(410) 또는 도착 터미널(430))에 출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도 3의 S308 단계 내지 S310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선적 대기 상태](520)인 경우에,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상태](530) 또는 [양하 상태](540)로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선적 대기 상태](520)인 경우에,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802). 그리고 상기 S802 단계의 검출 결과,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한 경우라면,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대기 상태](520)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양하가 시작되는 [양하 상태](540)로 바로 갱신할 수 있다(S804).
반면 상기 S802 단계의 검출 결과, 대상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806). 그리고 상기 S806 단계의 검출 결과,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지 않은 경우라면, 다시 S802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806 단계의 검출 결과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운송 수단(420)에 선적되어 이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대기 상태](520)에서, [선적 상태](530)로 갱신할 수 있다(S808).
한편 상기 S804 단계 또는 S808 단계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양하 상태](540) 또는 [선적 상태](530)로 갱신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도 3의 S312 단계에서, 다시 도 3의 S306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S306 단계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출발 터미널(410) 또는 도착 터미널(430))에 출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도 3의 S308 단계 내지 S310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선적 상태](530)인 경우에,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양하 상태](540)로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선적 상태](530)인 경우에,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900).
그리고 상기 S900 단계의 검출 결과,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한 경우라면,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운송 수단(420)에서 도착 터미널(430)의 양하지(403)로 양하되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상태](530)에서 [양하 상태](540)로 갱신할 수 있다(S902).
한편 상기 S902 단계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양하 상태](540)로 갱신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도 3의 S312 단계에서, 다시 도 3의 S306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S306 단계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출발 터미널(410) 또는 도착 터미널(430))에 출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도 3의 S308 단계 내지 S310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양하 상태](540)인 경우에,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배송 상태](550)로 갱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양하 상태](540)인 경우,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 갱신을 위해 필요한 운송 정보가 발행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선사 서버(30)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S1000). 여기서 상기 상태 갱신을 위해 필요한 운송 정보는 화물인도지시서일 수 있다. 화물인도지시서는 화물의 보관자에 대해 그 화물을 증권의 정당한 소지인에게 인도해야 하는 것을 지시하는 증서로서, 화주가 화물을 수령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인도지시서가 발행되었는지 여부는, [양하 상태](54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에 관련된 운송 정보로서, 상기 도 3의 S308 단계에서 검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1000 단계의 검출 결과, 대상 컨테이너(20)에 대한 화물인도지시서가 발행된 상태라면, 제어부(100)는 상기 도착 터미널(430)로부터 이탈하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S1002). 그리고 도착 터미널(430)로부터 이탈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기 설정된 하차지(431)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양하 상태](540) 다음 단계에 따른 상태로 갱신할 수 있다(S1004). 따라서 상기 도 3의 S310 단계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배송 상태](550)로 갱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1004 단계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배송 상태](550)로 갱신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도 3의 S312 단계에서, 다시 도 3의 S306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S306 단계에서, 기 설정된 지오펜스(출발 터미널(410) 또는 도착 터미널(430))에 출입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도 3의 S308 단계 내지 S310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대상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배송 상태](550)인 경우에,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가용 상태](500)로 복원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도착 터미널(430)로부터 이탈한 상태인 [배송 상태](550)인 경우에,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도착 터미널(430)에 다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1100).
그리고 상기 S1100 단계의 검출 결과,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도착 터미널(430)에 다시 진입한 경우라면, 대상 컨테이너(20)가 하차지(431)로 이동하여 화물을 하차한 이후에 다시 복귀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상기 S1100 단계에서 [배송 상태](55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에 재진입하는 경우 화물의 운송 프로세스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배송 상태](550)에서, 화물의 상차가 가능한 [가용 상태](500)로 갱신할 수 있다(S1102).
한편 상기 S1102 단계에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가용 상태]로 갱신된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도 3의 S312 단계에서 S316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3의 S316 단계에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반영하여, 가용 상태에 있는 특정 선사 또는 사용자 소유의 각 지역별 컨테이너 현황을 갱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갱신된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 정보 갱신은 부가적인 정보에 근거하여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 또는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거나 또는 이탈하는 경우를, 대상 컨테이너(20)에 구비된 RFID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경우, 출발 터미널(410) 또는 도착 터미널(430)의 게이트로부터 검출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RFID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 또는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였는지 여부 또는 이탈하였는지 여부가 보다 정확하게 판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 정보는, 화물의 운송 스케줄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선사 서버(30)로부터 검출되는 부킹 정보는, 선박 출항 예정 시각(ET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 [선적 대기 상태](52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상기 선박 출항 예정 시각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상기 부킹 정보에 포함된 선박 출항 예정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의 시각에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는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를 선적한 운송 수단(420)이 출항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의 지오펜스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경우, 상기 선박 출항 예정 시각과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의 지오펜스를 이탈한 시각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상태](530)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킹 정보는 입항 예정 시각(ETA)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 [선적 상태](530)에 있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입항 예정 시각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한 시각이, 상기 부킹 정보에 포함된 입항 예정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오차 범위 내의 시각인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에 입항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의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 상기 입항 예정 시각과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의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한 시각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양하 상태](540)로 갱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부가 정보는 선박 자동 식별 시스템(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의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AIS 데이터는 선박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AIS 데이터를 활용하는 경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대상 컨테이너(20)를 선적한 선박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선박의 보다 정확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IOT 모듈(21)을 통해 검출되는 지오펜스 출입 상태 정보보다 더 정확하게 대상 컨테이너(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IOT 모듈(21)의 경우, 선박이 해상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박이 육지와 인접한 경우 상기 육지의 기지국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IOT 모듈(21)은 선박이 아직 해상에 있음에도 인접한 육지의 지오펜스에 진입하거나 이탈한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00)는 AIS 데이터에 따른 선박 식별 정보와, 상기 식별된 선박의 운항 스케줄에 근거하여 선박이 해상에 있음을 판별할 수 있으며, 이에 상기 IOT 모듈(21)에서 산출되는 위치 정보 오차로 인해 대상 컨테이너(20)가 상태가 잘못 판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착 터미널의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한 경우라고 할지라도, 상기 AIS 데이터에 근거하여 식별된 선박의 예상 도착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를 선적한 선박이 아직 입항하지 않은 상태임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아직 대상 컨테이너(20)를 선적한 선박이 입항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양하 상태](540)로 갱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가 정보는, 선사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에 대한 상태 코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코드는 상기 선사가 판별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에 대한 정보로서,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등의 방식으로 수집되는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사로부터 제공되는 상태 코드에 따른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판별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와 비교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사로부터 제공되는 상태 코드에 따른 상태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태를 비교한 결과 차이가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이를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상기 EDI 방식에 따라 사후에 수집되는 상태 정보와 대상 컨테이너(20)의 IOT 모듈(21)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상태 정보 사이의 시간적 갭(gap)을 고려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 4 및 도 5의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갱신 사이클(cycle)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갱신 단계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시간적 갭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산출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선적 대기 상태](520)인 경우 선사로부터 제공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가용 상태](500) 또는 [상차 상태](510)이면, 제어부(100)는 상기 알림 정보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선사로부터 제공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배송 상태](550)와 같이, 아직 운송 수단에 의한 운송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운송이 완료된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코드가 제공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검출된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와 상기 선사로부터 제공되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서로 상이함을 알리기 위한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 따르면,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가 [선적 상태](530)로의 갱신 또는 [양하 상태](540)로의 갱신 시, 출발 터미널(410) 내에 마련된 선적지(401) 또는 도착 터미널(430) 내에 마련된 양하지(403)에 대상 컨테이너(20)가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판별 및 갱신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도 12는, 이러한 경우에 대상 컨테이너(20)에 대한 선적지(401)나 양하지(403)로의 출입 여부 또는, 운송 수단(420)으로부터의 출입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판별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일 예로 출발 터미널(410) 또는 도착 터미널(430)에는, 컨테이너들을 운송 수단(420)에 선적하기 위한 선적지(401) 및, 운송 수단(420)으로부터 상기 운송 수단(420)이 선적한 컨테이너들을 양하하기 위한 양하지(40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선적지(401) 및 양하지(403)에는 상기 적재된 컨테이너들을 하역하기 위한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이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하역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선적지(401) 및 양하지(40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역 신호를 송신하는 영역 신호 송신부(12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역 신호 송신부(1200)는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역 신호 송신부(1200)는, 상기 영역 신호 송신부(1200)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내에 기 설정된 신호를 송출하는 송신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20)에 부착된 IOT 모듈(21)은 상기 영역 신호 송신부(12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대상 컨테이너(20)의 현재 위치가 출발 터미널(410)의 선적지(401) 또는 도착 터미널(430)의 양하지(403)임을 식별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이러한 영역 신호 송신부(1200)가 선적지(401)에 구비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영역 신호 송신부(1200)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신호가 송출되는 신호 송출 영역(1210)이 상기 선적지(401)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신호 송출 영역(1210) 내에 위치하는 경우, IOT 모듈(21)은 상기 출발 터미널(410)의 선적지(401)에 위치한 상태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모듈(21)로부터 대상 컨테이너(20)가 선적지(401)에 있음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수신한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상기 IOT 모듈(21)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2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대상 컨테이너(20)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해 운송 수단(420)에 선적되는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상기 신호 송출 영역(1210)을 이탈할 수 있다. 그러면 IOT 모듈(21)은 선적지(401)에서 대상 컨테이너(20)가 이탈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위치 정보를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IOT 모듈(21)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대기 상태](520)에서 [선적 상태](530)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2의 (a)는 선적지(401)에 영역 신호 송출부(1200)가 구비되는 예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유사하게 영역 신호 송출부(1200)가 양하지(403)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IOT 모듈(21)은 대상 컨테이너(20)가 운송 수단(420)으로부터 양하되어 양하지(403)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신호 송출 영역(1210)으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면 IOT 모듈(21)은 도착 터미널(430)의 양하지(403)에 대상 컨테이너(20)가 위치한 상태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모듈(21)로부터 대상 컨테이너(20)가 양하지(403)에 있음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수신한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상기 IOT 모듈(21)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양하 상태](540)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2의 (a)에서는 영역 신호 송출부(1200)가 선적지(401) 또는 양하지(403)에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운송 수단(420)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의 (b)는 이러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의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영역 신호 송출부(1200)가 운송 수단(420)에 구비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IOT 모듈(21)은 대상 컨테이너(20)가 상기 신호 송출 영역(121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운송 수단(420)에 선적된 상태임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모듈(21)로부터 대상 컨테이너(20)가 선적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수신한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상기 IOT 모듈(21)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상태](530)로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2의 (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대상 컨테이너(20)가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해 양하지(403)에 양하되는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는 상기 신호 송출 영역(1210)을 이탈할 수 있다. 그러면 IOT 모듈(21)은 운송 수단(420)에서 대상 컨테이너(20)가 이탈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위치 정보를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IOT 모듈(21)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선적 상태](530)에서 [양하 상태](540)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a) 및 (b)에서는 선적지(401)나 양하지(403) 또는 운송 수단(420)에 영역 신호 송출부(1200)가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선적지(401)나 양하지(403), 또는 운송 수단(420) 중 적어도 두 개에 각각 영역 신호 송출부(1200)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선적지(401)와 양하지(403) 각각에 구비된 컨테이너 크레인들에 각각 서로 다른 영역 신호 송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선적지(401)와 운송 수단(420)에, 또는 양하지(403)와 운송 수단(420)에 각각 서로 다른 영역 신호 송출부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서로 다른 영역 신호 송출부는 송출하는 신호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 컨테이너(20)의 IOT 모듈(21)은, 수신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각각의 영역 신호 송출부를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의 갱신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가 [상차 상태](510)로 갱신되는 경우, 다음 상태인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될 때까지의 예측되는 소요 시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배송 상태](550)로 갱신되는 경우, 다음 상태인 [가용 상태](500)로 갱신될 때까지 예측 소요 시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화물의 운송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소요되는 상차 시간 또는 배송 시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상차 시간 또는 배송 시간은,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상차 상태](510)에서 다음 상태인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되기까지 소요되는 평균 상차 시간의 정보 또는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배송 상태](550)에서 다음 상태인 [가용 상태](500)로 갱신되기까지 소요되는 평균 배송 시간의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상차 시간 또는 배송 시간은, 출발 터미널(410)에서 상차지(411)까지의 거리 및 도착 터미널(430)에서 하차지(431)까지의 거리에 근거하여 산출될 수 있다. 도 13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상기 상차지(411)까지의 거리 또는 상기 하차지(431)까지의 거리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 갱신 예측 시간을 산출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3의 (a)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가, 대상 컨테이너(20)가 [상차 상태](510)로 갱신된 경우에 [선적 대기 상태](520)로 갱신될 때까지의 예측되는 소요 시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부킹 정보 또는 선사 서버(30)에서 제공되는 화주의 정보에는, 화물을 상차할 장소인 상차지(411)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상차를 위해 대상 컨테이너(20)가 출발 터미널(410)을 이탈하는 경우, 상기 출발 터미널(410)의 게이트(1310)에서 상기 상차지(411)까지의 경로(상차 경로(1301))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검출된 상차 경로(1301)에 따라 상기 출발 터미널(410)의 게이트(1310)에서 상기 상차지(411)까지의 거리(상차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차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다시 출발 터미널(410)로 진입할 때까지 예상되는 시간, 즉 대상 컨테이너(20)가 [상차 상태](510)로 전환될 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예상 소요 시간은 상기 상차 경로(1301)를 왕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도로 상황이나 굴곡과 같은 상차 경로(1301)의 지형적 특성 및, 상기 출발 터미널(410) 주변의 교통 상황과 상기 상차 경로(1301) 복잡도 등에 근거하여 상기 상차 경로(1301)를 왕복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된 소요 시간을 예상 상차 시간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b)는 대상 컨테이너(20)가 [배송 상태](550)로 갱신된 경우에 다음의 상태인 [가용 상태](500)로 갱신될 때까지의 예측되는 소요 시간의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상차 시간과 유사하게, 부킹 정보 또는 선사 서버(30)에서 제공되는 화주의 정보에는, 화물을 하차할 장소인 하차지(431)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하차를 위해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을 이탈하는 경우, 상기 도착 터미널(430)의 게이트(1330)에서 상기 하차지(431)까지의 경로(하차 경로(1303))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검출된 하차 경로(1303)에 따라 상기 도착 터미널(430)의 게이트(1330)에서 상기 하차지(431)까지의 거리(하차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차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다시 도착 터미널(430)로 진입할 때까지 예상되는 시간, 즉 대상 컨테이너(20)가 [가용 상태](500)로 전환될 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예상 소요 시간은 상기 하차 경로(1303)를 왕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도로 상황이나 굴곡과 같은 하차 경로(1303)의 지형적 특성 및, 상기 도착 터미널(430) 주변의 교통 상황과 상기 하차 경로(1303) 복잡도 등에 근거하여 상기 하차 경로(1303)를 왕복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된 소요 시간을 예상 배송 시간 정보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상 배송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대상 컨테이너(20)가 도착 터미널(430)에 진입하기 전이라도 상기 대상 컨테이너(20)를 [가용 상태](500)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통 상황 등 임의의 상황에 따라 대상 컨테이너(20)의 복귀가 예상 시간보다 조금 지연되더라도, 상기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가용 상태](500)로 전환함으로써 대상 컨테이너(20)의 회전률을 보다 가속화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수집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대상 컨테이너(20)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는 동작 과정을 복수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상기 갱신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컨테이너 각각의 상태에 근거하여 제공하는 화물 운송 단계별 컨테이너의 현황 정보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는 특정 선사나 사용자가 소유한 컨테이너들에 대한 현황 정보(14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사 또는 사용자는 화물 운송을 위해 복수의 컨테이너를 소유한 사업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 현황 정보(1400)는, 상기 도 5에서 도시한 화물 운송 진행 과정에 따른 단계별로 각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들을 나타낸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도 1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화물 운송 단계에 따른 각 상태(가용 상태, 상차 상태, 선적 대기 상태, 선적 상태, 양하 상태, 배송 상태)별 컨테이너의 개수(1410)를 상기 현황 정보(1400)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상기 각 상태별 컨테이너의 개수(1410)에 포함된 각 상태별 컨테이너 정보들 중, 특정 상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컨테이너 운송 상태에 대응하는 컨테이너들의 현황 정보(1410) 및, 상기 선택된 컨테이너 운송 상태에 대응하는 컨테이너들의 목록 정보(142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가용 상태]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개수 정보(1411)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지정된 선사 또는 사용자의 소유로 등록된 컨테이너들의 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메모리(150)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컨테이너 정보 및, 선사 서버(30)로부터 제공되는 각 컨테이너에 관련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150)에 저장되는 정보들은 컨테이너 식별 정보(Refer. ID)를 기준으로 분류된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15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선택된 특정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즉 [가용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들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컨테이너들을, 각 컨테이너에 관련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정렬하고, 정렬된 정보를 상기 선택된 컨테이너 운송 상태에 대응하는 컨테이너들의 현황 정보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00)는 도 1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현재 [가용 상태]에 있는 각 컨테이너들이 현재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상기 [가용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들의 지역별 현황 정보를 출력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상기 메모리(150)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된 컨테이너들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목록 정보(1420)를 출력부(13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테이너 목록 정보(1420)는 현재 선택된 컨테이너 운송 상태, 즉 [가용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들의 식별 정보(Refer. ID) 및 각 컨테이너에 설정된 부킹 번호(BKG. No), 선하증권 번호, 정보 수집 시각(Collected Time), 네트워크 및, 현재 컨테이너가 위치한 지오펜스 영역(Geofence)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컨테이너(20)와 관련된 선사의 식별 정보(선사 코드 정보), 및 화물인도지시서의 번호나 그 외 관련된 운송 정보나 선적 정보(예 : 선박 등 운송 수단의 식별 정보) 등이 상기 각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컨테이너 목록 정보(142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14는 특정 선사 또는 특정 사용자가 소유한 복수의 컨테이너에 대한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지정된 특정 컨테이너에 대한 운송 현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특정 컨테이너의 식별 정보(예 : 컨테이너 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된 컨테이너 식별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특정 컨테이너의 운송 현황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50)로부터 검색하여 출력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가, 특정 컨테이너의 운송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는 특정 컨테이너(AAA 컨테이너)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테이너(20)에 구비된 IOT 모듈(21)로부터 식별되는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된 컨테이너 운송 상태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도 15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각 상태별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고, 현재 선택된 컨테이너에 대응하는 특정 단계의 그래픽 객체를 다른 그래픽 객체에 대하여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특정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선적 상태](530)인 경우, 제어부(100)는 도 15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선적 상태](530)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1501)를 다른 그래픽 객체들과 색상이나 크기 또는 모양을 다르게 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이전의 상태들을, 상기 특정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이후의 단계들과 서로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특정 컨테이너에 대하여, 현재까지 진행된 화물 운송 과정과, 앞으로 진행될 화물 운송 과정을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선하증권, 화물인도지시서등과 같은 운송 정보가 발행되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변경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변경되기 위해 요구되는 운송 정보가 상기 선하증권 또는 화물인도지시서 등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술한 명세서에 기재된 선하증권 또는 화물인도지시서와 같은 운송 정보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에 언급한 운송 정보의 예로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정보 갱신을 위해 얼마든지 다른 운송 정보가 요구되거나 또는 다른 운송 정보가 더 요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술한 설명에서 언급된 운송 정보들은 예시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10)의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100 : 제어부 110 : 통신부
111 : 무선 인터넷 모듈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50 : 메모리
21 : IOT 모듈
200 : 모듈 제어부 210 : 모듈 통신부
211 : 위치정보 모듈 212 : 무선 통신 모듈
213 : 근거리 통신 모듈 220: 컨테이너 센서부
230 : 모듈 메모리 231 : 지오펜스 영역정보 저장부
240 : 전원 공급부

Claims (15)

  1. 컨테이너에 구비된 IOT(Internet Of Things) 모듈 및 기 설정된 외부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컨테이너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기 설정된 지오펜스(geofence) 영역의 출입 상태 정보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테이너에 관련된 운송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이동하는 컨테이너의 움직임에 따른 화물 운송 진행 단계별 상태들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태에 따라 갱신된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부킹(Booking) 정보가 검출되면, 검출된 부킹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별로 상태를 모니터링 할 대상 컨테이너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 컨테이너의 IOT 모듈로부터 상기 지오펜스 영역의 출입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은,
    상기 컨테이너의 출발 터미널 또는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킹 정보로부터 상기 출발 터미널 및 도착 터미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오펜스 영역의 출입 상태 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을 출입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움직임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며,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갱신에,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검출되는 운송 정보가 더 요구되는 경우, 상기 컨테이너의 현재 운송 상태에 따른 운송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더 검출 및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서로 다른 경우, 다음 상태로의 갱신에 요구되는 운송 정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는,
    화물의 수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가용 상태, 상차지로 이동하여 운송 대상 화물을 상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차 상태, 운송 수단으로의 선적 대기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선적 대기 상태, 상기 운송 수단에 선적된 상태를 나타내는 선적 상태, 상기 컨테이너가 도착 터미널의 양하지에 양하 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양하 상태, 및 양하된 컨테이너가 기 설정된 하차지로 이동하여 운송 대상 물품을 배송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송 상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부킹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가용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별로 상태를 모니터링 할 대상 컨테이너로 결정되면, 상기 대상 컨테이너가 출발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상차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차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출발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 및, 기 설정된 운송 정보의 발행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선적 대기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듈은,
    상기 출발 터미널에 마련된 선적지 또는 상기 운송 수단에 배치된 영역 신호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영역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선적지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상기 운송 수단의 선적 영역에 진입하는 컨테이너의 위치 이동을 더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적 대기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의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선적지를 이탈하거나 또는 상기 선적 영역에 진입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선적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적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양하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적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선적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를 선적한 선박의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선박이 상기 도착 터미널에 입항하였는지 여부를 더 검출하고, 상기 선박의 입항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양하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듈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마련된 양하지 또는 상기 운송 수단에 배치된 영역 신호 송신부로부터 송출되는 영역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양하지에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운송 수단의 선적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컨테이너의 위치 이동을 더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적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의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양하지에 진입하거나 또는 상기 선적 영역으로부터 이탈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위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양하 상태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양하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 및, 기 설정된 운송 정보가 발행되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배송 상태로 갱신하고,
    상기 배송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에 다시 진입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다시 가용 상태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 상태에 있는 컨테이너가, 상기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운송 대상 화물의 하차지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도착 터미널에서 상기 하차지까지의 거리를 산출 및,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가 다시 가용 상태로 갱신되기까지의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15.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화물 운송을 위한 부킹(booking) 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부킹 정보에 따른 컨테이너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컨테이너에 구비된 IOT 모듈로부터, 상기 검출된 컨테이너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부킹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검출된 컨테이너의 출발 터미널 및 도착 터미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IOT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출발 터미널 또는 도착 터미널에 대응하는 지오펜스 영역을 출입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출입하는 컨테이너의 움직임이 검출되면,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상기 컨테이너의 현재 운송 상태에 따른 운송 정보 및 상기 컨테이너의 지오펜스 출입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상기 화물 운송 진행 단계에 따른 다음 단계에 대응하는 상태로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가, 화물의 수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가용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출입하는 상기 컨테이너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컨테이너의 운송 상태를 갱신하는 단계를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035323A 2022-03-22 2022-03-22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1376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323A KR20230137634A (ko) 2022-03-22 2022-03-22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323A KR20230137634A (ko) 2022-03-22 2022-03-22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634A true KR20230137634A (ko) 2023-10-05

Family

ID=8829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323A KR20230137634A (ko) 2022-03-22 2022-03-22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76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96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tracking of articles
US11790315B2 (en) Systems, methods, computing platforms, and storage media for directing and controlling an autonomous inventory management system
US11978015B1 (en) Continuous inventory management
US9442178B2 (en) Hybrid tracking device
WO2018094019A1 (en) Autonomous multimodal logistics
JP7038262B2 (ja) アセット追跡のためのサイトマッチング
EP35881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t tracking
CN107533788A (zh) 用于监视所运输的物品的系统和方法
CN112492526A (zh) 使用无线节点网络的元素的使能节点递送通知
KR101831908B1 (ko) 운송차량을 이용한 실시간 화물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112391B1 (ko) 통합된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01410862B (zh) 监控货物集装箱的状态的监控设备和方法
KR102350342B1 (ko) 지능형 iot 기반의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
US119342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containers configured for moving goods
KR20230137634A (ko) 컨테이너 운송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EP36240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ol management of transportation assets
WO2019188434A1 (ja) 配送監視装置、配送管理方法、記録媒体
KR20200054115A (ko) 자산 추적용 통신 장치
CN112556706A (zh) 一种导航方法、装置、设备和机器可读介质
CN219791778U (zh) 装卸系统
US20240020621A1 (en) Delivery support device, system, and delivery support method
JP202303922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移動体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520283A (zh) 自动运输、储存与取回系统及其方法
JP2022109570A (ja) 位置情報管理用通信装置
JP2023143441A (ja) サーバ装置、システム、及びシステム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