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176A - 시트용 에어백 - Google Patents
시트용 에어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7176A KR20230137176A KR1020220035001A KR20220035001A KR20230137176A KR 20230137176 A KR20230137176 A KR 20230137176A KR 1020220035001 A KR1020220035001 A KR 1020220035001A KR 20220035001 A KR20220035001 A KR 20220035001A KR 20230137176 A KR20230137176 A KR 202301371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bag
- seat
- airbag cushion
- ribs
- passeng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60R2021/207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in head 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의 머리부분을 안전하게 지지하여 승객의 상해 위험을 저감하는 시트용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시트의 측면에 마련된 지지부; 시트의 상부와 전방을 덮는 형상으로 전개되고, 전방의 일부에 승객을 향해 꺾어진 형상의 꺾임부가 형성되어 승객의 상반신이 직접적으로 로딩되는 에어백쿠션; 지지부와 에어백쿠션 사이에서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을 따라 복수 연결되며, 에어백쿠션의 전개과정에서 에어백쿠션과 함께 장력을 형성하면서 펼쳐지되,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강체로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트용 에어백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객의 머리부분을 안전하게 지지하여 승객의 상해 위험을 저감하는 시트용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 차량의 도입으로 인해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에 큰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즉, 승객의 다양한 착좌 자세를 구현하도록 대면모드, 릴렉스모드, 롱슬라이드모드 및 스위블모드 등의 시트 배열을 갖게 된다.
특히, 운전에 필요한 여러 제약들이 해소되어 차실 내부 공간이 넓어짐에 따라 여정의 편안함을 위해 독립시트의 적용이 확대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자율주행시 승객 착좌 자유도가 증대되고, 승객의 승차감 및 편의성을 중시한 디자인 트랜드의 발전으로 인해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승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이에 승객 보호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에어백과 더불어, 승객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시트 별로 추가적인 에어백의 장착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승객의 머리부분을 안전하게 지지하여 승객의 상해 위험을 저감하는 시트용 에어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시트의 측면에 마련된 지지부; 시트의 상부와 전방을 덮는 형상으로 전개되고, 전방의 일부에 승객을 향해 꺾어진 형상의 꺾임부가 형성되어 승객의 상반신이 직접적으로 로딩되는 에어백쿠션; 지지부와 에어백쿠션 사이에서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을 따라 복수 연결되며, 에어백쿠션의 전개과정에서 에어백쿠션과 함께 장력을 형성하면서 펼쳐지되,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강체로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가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브가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에어백쿠션이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승객의 머리부분을 향해 연결되는 리브가 강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리브가 와이어 형상의 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강체의 리브는 중간에 벤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강체의 리브는 나머지 리브보다 시트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쿠션은 시트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에어백쿠션이 폴딩된 에어백모듈이 시트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쿠션의 측면에 연결고리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고리에 리브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꺾임부의 시작지점과 끝지점 사이에 테더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쿠션의 양측에 가스가 채워지지 않는 측부 인액티브존이 형성되어 상기 측부 인액티브존 부위에서 에어백쿠션의 꺾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측부 인액티브존은 꺾임부의 시작지점 직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 인액티브존은 꺾임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꺾임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측부 인액티브존 사이에는 가스가 채워지는 액티브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꺾임부의 시작지점과 끝지점에 리브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꺾임부의 중간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에어백쿠션의 전방에 형성된 꺾임부가 승객을 향해 꺾어지면서 전개됨으로써, 전방 충돌시 승객의 머리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꺾임부에 로딩된다.
따라서, 에어백쿠션에 가해지는 승객의 하중이 에어백쿠션 양측에 연결된 리브에 전달되어 승객이 전방으로 향하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게 됨으로써,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강체로 이루어진 리브에 벤딩부가 형성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리브의 전개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모듈이 시트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에어백모듈과 크기가 다른 에어백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에어백쿠션의 전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강체로 이루어진 리브에 벤딩부가 형성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리브의 전개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모듈이 시트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에어백모듈과 크기가 다른 에어백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에어백쿠션의 전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분리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시트(10)의 측면에 마련된 지지부(100); 시트(10)의 상부와 전방을 덮는 형상으로 전개되고, 전방의 일부에 승객을 향해 꺾어진 형상의 꺾임부(200a)가 형성되어 승객의 상반신이 직접적으로 로딩되는 에어백쿠션(200); 지지부(100)와 에어백쿠션(200) 사이에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방향을 따라 복수 연결되며, 에어백쿠션(200)의 전개과정에서 에어백쿠션(200)과 함께 장력을 형성하면서 펼쳐지되,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강체로 형성된 리브(300);를 포함하여 구성이 된다.
예컨대, 시트(10)의 양측에 측벽(10a)이 마련되고, 측벽(10a) 바깥면에 지지부(100)가 형성된다.
그리고, 리브(300)는 지지부(100)와 에어백쿠션(200)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리브(300)의 일단이 지지부(100)에 연결되고, 리브(300)의 타단이 에어백쿠션(200)에 연결된다.
또한, 여러 개의 리브(300)가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되는 방향을 따라 부채살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리브(300)들에 장력이 형성되면서 에어백쿠션(200)과 함께 펼쳐지게 된다.
이처럼 전개되는 에어백쿠션(200)은 시트(10)에 착좌한 승객의 머리 윗부분과 함께 승객의 전방에서 상반신을 덮는 형상으로 전개되고, 특히 에어백쿠션(200)의 전방에 형성된 꺾임부(200a)가 승객을 향해 꺾어지면서 전개됨으로써, 전방 충돌시 승객의 머리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꺾임부(200a)에 로딩된다.
다만,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리브의 장력이 감소하게 되면 에어백쿠션(200)이 하단으로 쳐지게 된다.
충돌상황에 따라 승객이 에어백쿠션(200)에 로딩되는 시점이 지연된다면, 에어백쿠션(200)이 쳐진 상태에서 승객이 로딩될 수 있다.
이에, 충돌 중 전개된 에어백쿠션(200)의 쳐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브 중 일부를 강체의 쳐짐방지구조로 구현한다. 이때에, 강체로 이루어진 리브(300b)의 개수 제한은 없다.
따라서, 에어백쿠션(200)의 꺾임부(200a)에 가해지는 승객의 하중이 에어백쿠션(200) 양측에 연결된 리브(300)에 전달되어 승객이 전방으로 향하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게 됨으로써,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참고로, 에어백쿠션(200)이 꺾어지는 정도에 따라 꺾임부(200a)를 통해 승객의 머리 뿐만 아니라, 가슴 부위도 직접적으로 지지하여 승객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와 같이 상기 지지부(100)가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브(300)가 지지부(1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될 수 있다.
즉,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전에는 도 5와 같이 리브(300)가 지지부(100)의 한쪽 끝에 겹쳐진 형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시, 에어백쿠션(200)에 연결된 리브(300)의 상단이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됨으로써, 리브(300)의 하단 역시 지지부(100)를 따라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게 되어, 에어백쿠션(200)이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성을 확보함으로써,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3과 같이 상기 지지부(100)는 시트(10) 측면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이 되거나, 시트(10) 측면에 함몰된 형태로 구성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300)의 단부에 가이드블록(310)이 형성되어 가이드블록(310)이 레일홈(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부(100)는 에어백쿠션(200)의 전개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쿠션(200)이 시트(10) 후방 상단에서 시트(10) 전방 하단을 향해 전개된다.
이에, 지지부(100) 역시 후방 상단에서 전방 하단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리브(300)가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되는 방향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는바,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성을 향상시켜 에어백쿠션(200)이 안정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본 발명은 승객의 머리부분을 향해 연결되는 리브(300b)가 강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리브(300a)가 와이어 형상의 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체로 이루어진 리브(300b)는 스테인레스봉, 강화플라스틱 등의 소재일 수 있는 것으로, 에어백쿠션(200)에 연결되는 리브(300b) 중에서 승객의 머리 상단을 향해 연결되는 리브(300b)가 강체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강체로 이루어진 리브(300b)는 봉 형상 외에 판 형상 혹은 다른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강체의 리브(300b)를 제외한 나머지 연체의 리브(300a)는 휘거나 구부러지는 와이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강체의 리브(300b)와 연체의 리브(300a) 모두 에어백쿠션(200)과 지지부(100) 사이에 동일한 연결구조로 연결된다.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강체로 이루어진 리브(300b)에 벤딩부(302)가 형성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강체의 리브(300b)는 중간에 벤딩부(30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승객이 시트(10) 바깥으로 손이나 고개를 내밀면 강체의 리브(300b)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와이어로 이루어진 리브(300a)는 강체가 아니기 때문에 승객에게 끼임으로 인한 상해를 유발하지 않지만, 강체인 리브(300b)에 끼임이 발생하면 승객에게 중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강체의 리브(300b)의 경우 중간부분을 그루브 형상으로 벤딩하여 벤딩부(302)를 형성함으로써, 리브(300)가 펼쳐질 때에 벤딩부(302) 내에 승객의 신체가 위치함에 따라 승객의 신체가 강체의 리브(300b) 사이에 끼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리브(300)의 전개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강체의 리브(300b)는 나머지 리브(300a)보다 시트(10)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전에 강체로 이루어진 리브(300b)와 연체로 이루어진 와이어 형상의 리브(300a)가 함께 한쪽으로 위치하되, 강체로 이루어진 리브(300b)가 연체로 이루어진 리브(300a)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에어백모듈(20)이 시트(10) 상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쿠션(200)은 시트(10)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모듈(20)에 에어백쿠션(200)이 폴딩되고, 에어백모듈(20)이 시트(10)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트(10) 상단에 플레이트(21)가 좌우로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21)에 에어백모듈(20)이 볼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모듈(20)에는 에어백쿠션(200)이 폴딩 상태로 수납된다. 에어백쿠션(200)은 지그재그 구조로 폴딩되어 폴딩 및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쿠션(200)에 가스를 공급하도록 인플레이터가 연결된다. 그리고, 에어백모듈(20)이 커버에 의해 덮여져 외부 이물질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아울러, 도 7은 도 6의 에어백모듈(20)과 크기가 다른 에어백모듈(2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플레이트(21)와 에어백모듈(20)은 시트(10)의 사이즈 및 에어백쿠션(200)의 크기에 따라 전방으로 연장하거나, 그 형상을 달리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쿠션(200)의 측면에 연결고리(240)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고리(240)에 리브(300)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에어백쿠션(200)은 직사각 형상으로 전개되어 좌우 양측에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300)의 장착을 위한 연결고리(240)가 결합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꺾임부(200a)의 시작지점(P1)과 끝지점(P3) 사이에 테더(202)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테더(202)는 사각의 판넬 형상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상단이 에어백쿠션(200)의 외측면 중간에 고정되고, 하단이 에어백쿠션(200)의 외측면 하단에 고정된다.
이러한 테더(202)의 상하 길이는 테더(202)가 고정되는 에어백쿠션(200)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에어백쿠션(200)에 승객을 향해 꺾어지는 형상의 꺾임부(200a)를 구현하게 되고, 이에 꺾임부(200a)의 승객의 머리가 로딩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백쿠션(200)의 양측에 가스가 채워지지 않는 측부 인액티브존(220)이 형성되어 상기 측부 인액티브존(220) 부위에서 에어백쿠션(200)의 꺾어짐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례로, 측부 인액티브존(220)은 꺾임부(200a)의 시작지점(P1) 직전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백쿠션(200)의 후방에 인플레이터가 삽입되고, 인플레이터가 삽입되는 부분에 디퓨저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디퓨저와 이어지는 에어백쿠션(200)의 중간 부분에는 가스가 채워지지 않는 중앙 인액티브존(210)이 형성됨으로써, 디퓨저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중앙 인액티브존(210)의 좌우에 형성된 액티브존(230)을 따라 편심되지 않고 일정하게 채워지면서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된다.
특히, 중앙 인액티브존(210)에서 에어백쿠션(200)의 전방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꺾임부(200a)의 시작지점(P1)이 형성되는데, 상기 시작지점(P1) 이전에 꺾임부(200a)가 꺾이는 지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에어백쿠션(200)의 측면에 그루브 형상의 측부 인액티브존(220a)을 형성하여 꺾임부(200a)의 꺾임을 유도하게 된다.
참고로, 측부 인액티브존(220a)을 형성하여 에어백쿠션(200)을 꺾는 구조는 꺾임부(200a) 시작지점(P1) 이전 뿐만 아니라, 꺾임부(200a)의 끝지점(P3) 이후에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꺾임부(200a)의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측부 인액티브존(220)의 다른 예시로서, 측부 인액티브존(220)은 꺾임부(200a)의 중간지점(P2)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 인액티브존(210)에서 에어백쿠션(200)의 전방으로 이어지는 부분의 중앙, 즉 꺾임부(200a)의 중간지점(P2)에 형성되는 측부 인액티브존(220b) 사이에는 가스가 채워지는 액티브존(2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액티브존(230) 양측에 측부 인액티브존(220b)이 형성된다.
이처럼, 꺾임부(200a)의 중간지점(P2) 양측에 형성된 측부 인액티브존(220b)이 그 중간의 액티브존(230)보다 상대적으로 지지강성이 낮기 때문에 꺾임부(200a) 중간지점(P2) 양측의 측부 인액티브존(220b)을 기준으로 꺾임부(200a)의 중간지점(P2)에서 더욱 완연한 꺾임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쿠션(200)의 꺾임부(200a)가 승객의 전방을 향해 더욱 안정적으로 꺾어지면서 전개될 수 있다.
참고로, 꺾임부(200a)의 중간지점(P2) 양측에 형성된 측부 인액티브존(220b)의 크기에 따라 꺾임부(200a) 중간지점(P2)에 형성된 액티브존(230)의 돌출량을 변경하여 승객의 지지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측부 인액티브존(220b)의 크기가 크면 액티브존(230)의 돌출량 및 좌우 폭이 축소되고, 측부 인액티브존(220b)의 크기가 작으면 액티브존(230)의 돌출량 및 좌우 폭이 증대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꺾임부(200a)의 시작지점(P1)과 끝지점(P3)에 리브(3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꺾임부(200a)의 중간지점(P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30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리브(300)가 꺾임부(200a)의 시작지점(P1)과 끝지점(P3), 그리고 꺾임부(200a)의 중간지점(P2)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꺾임부(200a)가 삼각 형상으로 꺾여지는 형상을 더욱 확연하게 구현하게 된다.
아울러, 꺾임부(200a)의 중간지점(P2)에 리브(300)가 2개 이상의 리브(300)가 연결되는 경우, 꺾임부(200a)의 형상을 사각 이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게 되고, 이에 꺾임부(200a)의 다양한 형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용 에어백의 작동관계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충돌 발생시, 에어백제어기에 의해 인플레이터에 작동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인플레이터가 폭발하게 되고, 인플레이터의 폭발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여 가스가 에어백쿠션(200) 내부에 공급된다.
그러면, 에어백모듈(20)에 지그재그 형태로 폴딩된 에어백쿠션(200)이 시트(10) 상부에서 시트(10) 전방을 향해 펼쳐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에어백쿠션(200)의 중간지점(P2)과 끝부분 사이에 테더(202)의 양단이 고정됨으로써, 에어백쿠션(200) 전방의 일부가 승객을 향해 꺾어지게 되어 꺾임부(200a)를 구현하게 된다.
이와 함께, 에어백쿠션(200)의 양측에 연결된 리브(300)가 에어백쿠션(20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리브(300)의 하단이 지지부(100)를 따라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리브(300)들이 부채살 형태로 전개되면서 리브(300)에 장력이 형성되고, 특히 강체로 이루어진 리브(300b)에 의해 에어백쿠션(200)의 전개 형상을 형성 및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리브(300)가 에어백쿠션(200)의 전개방향을 따라가면서 이동됨에 따라 에어백쿠션(200)의 전개작용을 가이드하게 됨으로써, 시트(10)의 상부에서 시트(10)의 전방을 향해 에어백쿠션(200)이 전개된다.
특히, 에어백쿠션(200)의 전방에 형성된 꺾임부(200a)가 승객을 향해 꺾어지면서 전개됨으로써, 전방 충돌시 승객의 머리부분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꺾임부(200a)에 로딩된다.
따라서, 에어백쿠션(200)에 가해지는 승객의 하중이 에어백쿠션(200) 양측에 연결된 리브(300)에 전달되어 승객이 전방으로 향하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게 됨으로써,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시트
10a : 측벽
20 : 에어백모듈
21 : 플레이트
100 : 지지부
110 : 레일홈
200 : 에어백쿠션
200a : 꺾임부
202 : 테더
210 : 중앙 인액티브존
220(220a, 220b) : 측부 인액티브존
230 : 액티브존
240 : 연결고리
300(300a, 300b) : 리브
302 : 벤딩부
310 : 가이드블록
P1 : 시작지점
P2 : 중간지점
P3 : 끝지점
10a : 측벽
20 : 에어백모듈
21 : 플레이트
100 : 지지부
110 : 레일홈
200 : 에어백쿠션
200a : 꺾임부
202 : 테더
210 : 중앙 인액티브존
220(220a, 220b) : 측부 인액티브존
230 : 액티브존
240 : 연결고리
300(300a, 300b) : 리브
302 : 벤딩부
310 : 가이드블록
P1 : 시작지점
P2 : 중간지점
P3 : 끝지점
Claims (16)
- 시트의 측면에 마련된 지지부;
시트의 상부와 전방을 덮는 형상으로 전개되고, 전방의 일부에 승객을 향해 꺾어진 형상의 꺾임부가 형성되어 승객의 상반신이 직접적으로 로딩되는 에어백쿠션;
지지부와 에어백쿠션 사이에서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을 따라 복수 연결되며, 에어백쿠션의 전개과정에서 에어백쿠션과 함께 장력을 형성하면서 펼쳐지되,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강체로 형성된 리브;를 포함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브가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에어백쿠션이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에어백쿠션의 전개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승객의 머리부분을 향해 연결되는 리브가 강체로 형성되고, 나머지 리브가 와이어 형상의 연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강체의 리브는 중간에 벤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강체의 리브는 나머지 리브보다 시트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은 시트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백쿠션이 폴딩된 에어백모듈이 시트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측면에 연결고리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고리에 리브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의 시작지점과 끝지점 사이에 테더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의 양측에 가스가 채워지지 않는 측부 인액티브존이 형성되어 상기 측부 인액티브존 부위에서 에어백쿠션의 꺾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측부 인액티브존은 꺾임부의 시작지점 직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측부 인액티브존은 꺾임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3에 있어서,
꺾임부의 중간지점에 형성되는 측부 인액티브존 사이에는 가스가 채워지는 액티브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의 시작지점과 끝지점에 리브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꺾임부의 중간지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에어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5001A KR20230137176A (ko) | 2022-03-21 | 2022-03-21 | 시트용 에어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5001A KR20230137176A (ko) | 2022-03-21 | 2022-03-21 | 시트용 에어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7176A true KR20230137176A (ko) | 2023-10-04 |
Family
ID=8829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5001A KR20230137176A (ko) | 2022-03-21 | 2022-03-21 | 시트용 에어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37176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14371B2 (en) | 2017-08-23 | 2019-09-17 | Toyoda Gosei Co., Ltd. | Airbag apparatus |
US20200307489A1 (en) | 2019-03-29 | 2020-10-0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eat assembly with full seatback airbag |
JP2020163977A (ja) | 2019-03-29 | 2020-10-0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及び乗員拘束装置 |
-
2022
- 2022-03-21 KR KR1020220035001A patent/KR2023013717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414371B2 (en) | 2017-08-23 | 2019-09-17 | Toyoda Gosei Co., Ltd. | Airbag apparatus |
US20200307489A1 (en) | 2019-03-29 | 2020-10-01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eat assembly with full seatback airbag |
JP2020163977A (ja) | 2019-03-29 | 2020-10-08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及び乗員拘束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91323B1 (en) | Vehicle having an airbag system | |
JP6614047B2 (ja)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
US8047564B2 (en) | Airbag | |
KR102674890B1 (ko) |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 |
US7758068B2 (en) | Curtain airbag device | |
US11833990B2 (en) |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 |
JP2019018593A (ja) | エアバッグ装置 | |
KR20080048092A (ko) | 에어백 장치 | |
JP2007216733A (ja) |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 |
JP7047666B2 (ja) | 乗員保護装置 | |
KR20170051824A (ko) | 센터에어백 장치 | |
JP4678265B2 (ja) |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 |
KR101637205B1 (ko) | 자동차용 측면 에어백 | |
KR20230082657A (ko) | 에어백 장치 | |
JP2008137458A (ja) | エアバッグ装置 | |
US20240140348A1 (en) | Center side airbag | |
US11260819B2 (en) | Airbag apparatus | |
CN112061070B (zh) | 侧面安全气囊装置 | |
JP6499096B2 (ja) | 乗員保護装置 | |
KR20240058580A (ko) | 시트용 에어백 및 그 전개 제어방법 | |
CN218198199U (zh) | 中央侧安全气囊 | |
JP2017124759A (ja) | 乗員保護装置 | |
JP6872373B2 (ja) | エアバッグ | |
KR20230137176A (ko) | 시트용 에어백 | |
KR102408036B1 (ko) | 에어백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