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050A - 버스 환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버스 환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7050A
KR20230137050A KR1020220034701A KR20220034701A KR20230137050A KR 20230137050 A KR20230137050 A KR 20230137050A KR 1020220034701 A KR1020220034701 A KR 1020220034701A KR 20220034701 A KR20220034701 A KR 20220034701A KR 20230137050 A KR20230137050 A KR 20230137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xhaust
bus
space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042B1 (ko
Inventor
홍사봉
김정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온
Priority to KR102022003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042B1/ko
Publication of KR2023013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3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lateral area (e.g. door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8Air-extractors, air-evacuation from the vehicl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41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near ventilating openings in the vehicle exteri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perfuming or deodori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Abstract

버스 환기 청정기는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중간 프레임, 전열 소자, 외측 커버, 내측 커버, 상측 커버, 배기팬, 흡기팬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 환기 청정기 {Ventil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for Bus}
본 발명은 환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버스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버스 환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환기 장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외의 청정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내/외 공기 교환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환기 장치는 예를 들어 버스 등의 밀폐 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하는데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환기 장치는 자연 환기, 기계 환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 환기는 별도의 동력이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버스 외부의 풍압이나 온도차 압력으로 버스 환기구를 통해 환기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그러나, 자연 환기로는 안정적인 환기량 확보와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환기팬과 같은 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를 강제 이동시키는 기계 환기 방식을 병용하고 있다.
버스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환기 장치는 보통 천장에 설치되는 공조 설비에 추가되어 실내/외 공기를 환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버스 환기 장치는 공기를 위(천장)에서 아래(바닥)로 분사하는 방식인데, 이 경우에는 버스 내부의 중앙에서 와류가 발생하면서 오히려 실내 공기 오염이 증가할 수 있다. 나아가, 버스에서는 오염 공기가 주로 하부로 이동하여 쌓이는데, 천장에 설치되는 종래의 버스 환기 장치는 버스 내부의 오염 공기를 효과적/효율적으로 환기 및 청정하기가 어렵다.
[선행문헌]
한국 등록공개 제10-2022-0014797호(차량용 공기 청정기)
한국 특허등록 제10-1092016호(상용 차량용 착탈식 공기 청정기)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버스 내부의 오염 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하는 청정 공기의 섞임을 최소화하여 환기/청정 효율을 극대화하고,
둘째, 버스 내부의 미세 먼지뿐 아니라 이산화산소, 암모니아 등의 유해 가스나 코로나 등의 바이러스 등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셋째, 환기 시에 배출 공기와 유입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내부 공기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 환기 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는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중간 프레임, 전열 소자, 외측 커버, 내측 커버, 상측 커버, 배기팬, 제1 흡기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은 내측에 1차 배기 공간과 외측에 1차 흡기 공간을 분리 형성하고 상부에는 1차 흡기 공간과 연통하는 하측 흡기 연통홀을 갖는 하측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은 내측에 2차 흡기 공간과 외측에 2차 배기 공간을 분리 형성하고 하부에는 2차 흡기 공간과 연통하는 상측 흡기 연통홀을 갖는 상측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중간 프레임은 1,2차 배기 공간과 1,2차 흡기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형성하면서 하측 경사부와 상측 경사부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전열 소자는 연통부에 삽입되고, 1,2차 배기 공간과 1,2차 흡기 공간을 분리하면서 각각 연통시킬 수 있다.
외측 커버는 외측에서 하부 및 상부 프레임에 결합하여 1차 흡기 공간과 2차 배기 공간을 분리 밀폐할 수 있다. 외측 커버는 외부와 연통하는 배기 튜브 결합공과 흡기 튜브 결합공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 커버는 내측에서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외측 커버에 결합하여 1차 배기 공간과 2차 흡기 공간을 분리 밀폐할 수 있다. 내측 커버는 1차 배기 공간의 영역에 배기 유입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측 커버는 상측 방향에서 상부 프레임, 외측 커버, 및 내측 커버에 결합하여 2차 흡기 공간과 2차 배기 공간을 분리 밀폐할 수 있다. 상측 커버는 2차 흡기 공간의 영역에 흡기 방출공을 형성할 수 있다.
배기팬은 2차 배기 공간에 구비되고 방출구가 배기 튜브 결합공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흡기팬은 1차 흡기 공간에 구비되고 흡입구가 흡기 튜브 결합공을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에서, 중간 프레임은 하측 격판, 상측 격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격판은 하측 흡기 연통홀 및 상측 흡기 연통홀보다 하측에서 하측 경사부 및 상측 경사부에 결합하고 1차 배기 공간과 연통하는 하측 배기 연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측 격판은 하측 흡기 연통홀 및 상측 흡기 연통홀보다 상측에서 하측 경사부 및 상측 경사부에 결합하고 2차 배기 공간과 연통하는 상측 배기 연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에서, 상부 프레임은 상측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2차 흡기 공간은 함몰부를 경계로 연통하면서 좌우로 분리될 수 있고, 2차 흡기 공간의 분리 영역에는 제2 흡기팬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에서, 내측 커버는, 하측 경사부 및 상측 경사부의 가장자리에 밀착 결합하고, 하측 경사부의 하부 영역과 상측 경사부의 상부 영역에서는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에서, 상측 커버는 흡기 방출공을 통해 방출되는 외기를 각각 상방 및 좌우로 편향시키는 흡기 방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는 배기 튜브, 흡기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튜브는 일측이 배기 튜브 결합공에 결합하고 타측은 버스의 벽체를 내측에서 관통하여 버스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흡기 튜브는 일측이 흡기 튜브 결합공에 결합하고 타측은 버스의 벽체를 내측에서 관통하여 버스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는 보호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패널은 버스의 외부 벽체에서 배기 튜브 및 흡기 튜브의 외측 단부를 커버하면서 결합하고 공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에서, 보호 패널은 공기 통로를 통해 빗물이 배기 튜브와 흡기 튜브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빗물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는 버스 내부의 중앙 영역에서 바닥과 일측 내벽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는 외부의 청정 공기를 전후 상방으로 편향시켜 분사하고 나아가 버스 내부의 중앙 영역 바닥에서 내부 공기를 포집하여 방출하게 함으로써 버스 내부의 오염 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하는 청정 공기의 섞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기/청정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는 버스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방출하고 외부의 청정 공기를 강제로 유입시킴으로써, 버스 내부의 미세 먼지뿐 아니라 이산화산소, 암모니아 등의 유해 가스나 코로나 등의 바이러스 등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버스 환기 청정기는 배출 공기와 흡입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환기에 따른 내부 공기의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여름/겨울철에 냉난방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1b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를 버스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a,3b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공기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에서 흡기 방출 가이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에서 열교환 소자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1b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를 버스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a,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 청정기(200)는 버스(100) 내부의 중앙 영역에 설치할 수 있다. 환기 청정기(200)는 일측(외측)이 버스(100) 벽체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하게 구성하고, 이를 통해 내부의 오염 공기(미세먼지, 유해가스, 바이러스 등 함유)를 방출하고, 외부의 청정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보호 패널(300)은 버스(100) 외벽에 결합하여 환기 청정기(200)의 외부 연통구를 보호하는 것으로, 공기 통로를 형성한 패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공기 통로는 환기 청정기(200)의 외부 연통구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것으로, 환기 청정기(200)의 외부 연통구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형성할 수도 있고, 보호 패널(300)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다. 공기 통로는 슬릿, 원형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보호 패널(300)은 공기 통로를 통해 빗물이 환기 청정기(200)의 외부 연통구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빗물 차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빗물 차단부는, 공기 통로를 수평으로 절결되는 슬릿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슬릿의 상단에서 슬릿의 일부를 커버하면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경사 패널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기 청정기(20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100) 내부의 중앙 영역에서 바닥과 일측 내벽에 결합하여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유입하는 청정 공기를 버스(100) 내부의 상방 및 전/후방으로 편향시켜 분사함으로써, 버스(100) 내부의 기존 공기(오염 공기)를 전/후방 및 하방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청정 공기는 승객 얼굴이 위치하는 버스(100) 내부의 상/중층에 주로 분포하면서 의자에 앉아 있거나 서있는 승객에게 최적의 청정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환기 청정기(200)는 외부로부터 유입하는 청정 공기를 버스(100) 내부에서 상방 및 전/후방으로 편향시켜 분사함으로써, 버스(100) 내부의 상층에 위치하는 오염 공기를 신속하게 전/후방 및 하방으로 연속 이동시킬 수 있다. 전/후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한 오염 공기는 중앙 영역에 위치하는 환기 청정기(200)의 강제 배기에 의해 하방(바닥 영역)을 따라 중앙 영역으로 강제 이동되므로, 버스(100) 내부의 오염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a,2b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a,3b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2b,3a,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 청정기(200)는 하부 프레임(210), 상부 프레임(220), 중간 프레임(230), 전열 소자(240), 외측 커버(250), 내측 커버(260), 상측 커버(270), 배기팬(280), 흡기팬(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10)은 내측에 1차 배기 공간(S11)과 외측에 1차 흡기 공간(S21)을 분리 형성하는 것으로, 다수의 하측 수직부(211)와 하나의 하측 경사부(212)로 구성할 수 있다.
하측 수직부(211)는 3개의 수직 플레이트를 'ㄷ'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중앙의 수직 플레이트는 상단이 평평할 수 있고, 좌우의 수직 플레이트는 상단이 경사질 수 있다.
하측 경사부(212)는 좌우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 경사를 따라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다. 하측 경사부(212)는 1차 흡기 공간(S21)을 연통시키는 하측 흡기 연통홀(C1)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20)은 내측에 2차 흡기 공간(S22)과 외측에 2차 배기 공간(S12)을 분리 형성하는 것으로, 다수의 상측 수직부(221)와 1개의 상측 경사부(222)로 구성할 수 있다.
상측 수직부(221)는 3개의 수직 플레이트를 'ㄷ' 형태로 배치할 수 있고, 중앙의 수직 플레이트는 하단이 평평할 수 있고, 좌우의 수직 플레이트는 하단이 경사질 수 있다. 'ㄷ' 형태로 배치되는 3개의 수직 플레이트는 상부 프레임(220)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R)를 형성할 수 있다. 함몰부(R)의 내부는 2차 배기 공간(S12)을 형성하고, 함몰부(R)의 외부는 2차 흡기 공간(S22)을 형성할 수 있다. 2차 흡기 공간(S22)는 3개의 수직 플레이트 외면을 따라 연통하면서 좌우로 분리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측 경사부(222)는 좌우 수직 플레이트의 하단 경사를 따라 경사지게 결합할 수 있다. 상측 경사부(222)는 2차 흡기 공간(S22)을 연통시키는 상측 흡기 연통홀(C2)을 구비할 수 있다.
중간 프레임(230)은 1,2차 배기 공간(S11,S12)과 1,2차 흡기 공간(S21,S22)을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형성하면서, 하측 경사부(212)와 상측 경사부(222)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중간 프레임(230)은 하측 격판(231), 상측 격판(2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격판(231)은 하측 흡기 연통홀(C1) 및 상측 흡기 연통홀(C2)보다 하측에서 하측 경사부(212) 및 상측 경사부(222)에 결합할 수 있다.
하측 격판(231)은 1차 배기 공간(S11)과 연통하는 하측 배기 연통홀(C3)을 형성할 수 있다.
상측 격판(232)은 하측 흡기 연통홀(C1) 및 상측 흡기 연통홀(C2)보다 상측에서 하측 경사부(212) 및 상측 경사부(222)에 결합할 수 있다.
상측 격판(232)은 2차 배기 공간(S12)과 연통하는 상측 배기 연통홀(C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중간 프레임(230)은 1,2차 배기 공간(S11,S12)과 1,2차 흡기 공간(S21,S22)을 연통시키는 '+'자 형태의 연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전열 소자(240)는 배출되는 내기와 유입하는 외기 사이에 열을 교환하는 것으로, 중간 프레임(230)의 연통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전열 소자(240)는 1차 배기 공간(S11)과 2차 배기 공간(S12)을, 그리고 1차 흡기 공간(S21)과 2차 흡기 공간(S22)을 각각 연통시키면서, 동시에 연통하는 1,2차 배기 공간(S11,S12)과 연통하는 1,2차 흡기 공간(S21,S22)을 분리할 수 있다.
외측 커버(250)는 외측에서 2차 배기 공간(S2)과 1차 흡기 공간(S21)을 분리 밀폐하는 것으로,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의 외측에 밀착 결합할 수 있다.
외측 커버(250)는 배기 튜브 결합공(H1)과 흡기 튜브 결합공(H2)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배기 튜브 결합공(H1)은 후술하는 배기 튜브(410)가 연통 결합하는 곳으로, 2차 배기 공간(S12)의 내기가 버스(100) 외부로 방출되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흡기 튜브 결합공(H2)은 후술하는 흡기 튜브(420)가 연통 결합하는 곳으로, 버스(100) 외부의 외기를 1차 흡기 공간(S21)으로 유입시키는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외측 커버(250)는 상단과 하단에 내측으로 반원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상단 지지부(251)와 하단 지지부(2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단 지지부(251)는 후술하는 내측 커버(260)의 상단과 후술하는 상측 커버(270)의 가장자리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기능할 수 있다. 하단 지지부(252)는 후술하는 내측 커버(26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로 기능할 수 있다. 상단 지지부(251)와 하단 지지부(252)는 외측 커버(250)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내측 커버(260)는 1차 배기 공간(S12)과 2차 흡기 공간(S22)을 분리 밀폐하는 것으로, 하부 프레임(210)과 상부 프레임(220)의 내측을 둘러싸면서 외측 커버(250)의 좌우 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내측 커버(260)는 곡면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내측 커버(260)는 1차 배기 공간(S11) 영역에 내기가 유입 통과하는 배기 유입공(T1)을 구비할 수 있다. 배기 유입공(T1)은 슬릿, 원형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내측 커버(260)는 내측과 좌우 측면 방향에서 하부 프레임(210)의 하측 수직부(211)와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내측 커버(260)는 하측의 전체 영역에서 내기가 유입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측 커버(270)는 2차 흡기 공간(S22)과 2차 배기 공간(S22)을 분리 밀폐하는 것으로, 상측 방향에서 상부 프레임(220), 외측 커버(250), 및 내측 커버(260)에 결합할 수 있다.
상측 커버(270)는 2차 배기 공간(S12) 영역을 폐쇄하고 2차 흡기 공간(S22) 영역에는 흡기 방출공(T2)을 구비할 수 있다. 흡기 방출공(T2)은 슬릿, 원형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측 커버(270)는 흡기 방출공(T2)을 통해 방출되는 외기를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편향, 즉 버스(100) 내부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흡기 방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흡기 방출 가이드는, 흡기 방출공(T1)을 슬릿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슬릿의 중앙방향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 가장자리로 경사지면서 상승 연장하는 경사 패널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배기팬(280)은 2차 배기 공간(S12)에 구비되고, 방출구가 배기 튜브 결합공(H1)을 향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배기팬(280)은 방출구를 배기 튜브 결합공 (H1)에 끼움 결합하여 밀착 고정할 수 있다.
흡기팬(290)은 1차 흡기 공간(S21)에 구비되고, 흡입구가 흡기 튜브 결합공(H2)을 향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흡기팬(290)는 흡입구를 흡기 튜브 결합공(H2)에 끼움 결합하여 밀착 고정할 수 있다.
흡기팬(290)은 1차 흡기 공간(S21)에 제1 흡기팬(291)을 구비하고 2차 흡기 공간(S22)에 제2 흡기팬(29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흡기팬(292)은 2차 흡기 공간(S22)이 2개로 분리되는 경우 2개를 구비할 수 있다.
배기 튜브(410)는 환기 청정기(200)와 버스(100)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일측은 배기 튜브 결합공(H1)에 결합하고 타측은 버스(100) 벽체를 내측에서 관통하여 버스(100) 외부와 연통되게 구성할 수 있다. 배기 튜브(410)는 원통, 사각통 등의 형태를 갖는 튜브(tube)로 구성할 수 있다.
흡기 튜브(420)는 버스(100) 외부와 환기 청정기(200)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일측은 흡기 튜브 결합공(H2)에 결합하고 타측은 버스(100) 벽체를 내측에서 관통하여 버스(100) 외부와 연통되게 구성할 수 있다. 흡기 튜브(420)는 원통, 사각통 등의 형태를 갖는 튜브(tube)로 구성할 수 있다.
보호 패널(300)은 버스(100)의 외부 벽체에 결합하여 배기 튜브(410)와 흡기 튜브(420)의 외측 단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 패널(300)은 적어도 배기 튜브(410)와 흡기 튜브(420)의 영역에는 공기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기 통로는 슬릿, 원형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환기 청정기(200)는 정화 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정화 필터는 흡기 유로의 소정 위치에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열 소자(240)의 1차 흡기 공간(S21) 방향에 결합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환기 청정기(200)는 내부 공기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환기 청정기(200)는 알람기(미도시)를 구비하여, 내부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소정값 이상이 되면, 승객이 알 수 있도록 소리, 불빛 등을 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환기 청정기(200)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감지되면 자동 구동되게 하고, 반대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소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 중지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의 공기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팬(280)이 가동되면, 버스(100) 내부의 내부 공기는 내측 커버(260)의 배기 유입공(T1)을 통해 1차 배기 공간(S11)으로 유입한 후, 전열 소자(240)를 거쳐 2차 배기 공간(S12)으로 이동하며, 이후 배기 튜브(410)를 통해 버스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흡기팬(290)이 가동되면, 버스(100) 외부의 외부 공기는 흡기 튜브(420)를 통해 1차 흡기 공간(S21)으로 유입하고, 이후 전열 소자(240)를 거쳐 2차 흡기 공간(S22)으로 이동한 후, 상측 커버(270)의 흡기 방출공(T2)을 통해 버스(100) 내부로 방출된다. 여기서, 상측 커버(270)에 흡기 방출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면, 흡기 방출 가이드의 경사 방향에 따라 흡기를 편향시켜 방출할 수 있다. 나아가, 2차 흡기 공간(S22)에 제2 흡기팬(292)을 추가로 구비하면, 흡기 방출 세기를 높여 버스(100) 내부의 전/후방 끝까지 청정 외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버스 내부의 오염 공기와 외부로부터 유입하는 청정 공기의 섞임이 최소화되고, 그 결과 환기/청정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4에서, 배기와 흡기가 교차하는 전열 소자(240)에서, 배기와 흡기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고, 그 결과 버스 내부로 유입하는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의 온도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에서 흡기 방출 가이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의 분사 방향을 전방와 후방으로 벌어지게 하는 흡기 방출 가이드(500)를 제2 흡기팬(292)의 방출구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흡기 방출 가이드(500)는 흡기 분사 경로를 중앙에서 외측으로 변경시키는 기류 유도판(510)을 다수 구비할 수 있다. 기류 유도판(510)은 경사 패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기에서 열교환 소자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열 소자(24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육면체 형상의 내부는 라이너 판재(241) 사이에 다수의 간격 부재(242)를 지그재그로 수직 교차되게 적층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열 소자(240)는 내/외부 공기를 수직 교차되게 이동시켜 연속적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라이너 판재(241)와 간격 부재(242)는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설명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을 단지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실시예를 다른 형태로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므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버스 200 : 환기 청정기
210 : 하부 프레임 211 : 하측 수직부
212 : 하측 경사부 220 : 상부 프레임
221 : 상측 수직부 222 : 상측 경사부
230 : 중간 프레임 231 : 하측 격판
232 : 상측 격판 240 : 전열 소자
250 : 외측 커버 251 : 상단 지지부
252 : 하단 지지부 260 : 내측 커버
270 : 상측 커버 280 : 배기팬
290(291,292) : 흡기팬? 300 : 보호 패널
410 : 배기 튜브 420 : 흡기 튜브
500 : 흡기 방출 가이드 510 : 기류 유도판
C1 : 하측 흡기 연통홀 C2 : 상측 흡기 연통홀
C3 : 하측 배기 연통홀 C4 ; 상측 배기 연통홀
H1 : 배기 튜브 결합공 H2 ; 흡기 튜브 결합공
R : 함몰부 T1 : 배기 유입공
T2 ; 흡기 방출공

Claims (9)

  1. 내측에 1차 배기 공간과 외측에 1차 흡기 공간을 분리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1차 흡기 공간과 연통하는 하측 흡기 연통홀을 형성하는 하측 경사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내측에 2차 흡기 공간과 외측에 2차 배기 공간을 분리 형성하고 하부에는 상기 2차 흡기 공간과 연통하는 상측 흡기 연통홀을 형성하는 상측 경사부를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
    상기 1,2차 배기 공간과 상기 1,2차 흡기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하측 경사부와 상기 상측 경사부 사이에 결합하는 중간 프레임;
    상기 연통부에 삽입되고, 상기 1,2차 배기 공간과 상기 1,2차 흡기 공간을 분리하면서 각각 연통시키는 전열 소자;
    외측에서 상기 하부 및 상부 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1차 흡기 공간과 상기 2차 배기 공간을 분리 밀폐하고, 외부와 연통하는 배기 튜브 결합공과 흡기 튜브 결합공을 형성하는 외측 커버;
    내측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외측 커버에 결합하여 상기 1차 배기 공간과 상기 2차 흡기 공간을 분리 밀폐하고, 상기 1차 배기 공간의 영역에 배기 유입공을 형성하는 내측 커버;
    상측 방향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외측 커버, 및 내측 커버에 결합하여 상기 2차 흡기 공간과 상기 2차 배기 공간을 분리 밀폐하고, 상기 2차 흡기 공간의 영역에 흡기 방출공을 형성하는 상측 커버;
    상기 2차 배기 공간에 구비되고 방출구가 상기 배기 튜브 결합공에 연결되는 배기팬;
    상기 1차 흡기 공간에 구비되고 흡입구가 상기 흡기 튜브 결합공을 연결되는 제1 흡기팬을 포함하는, 버스 환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프레임은
    상기 하측 흡기 연통홀 및 상측 흡기 연통홀보다 하측에서 상기 하측 경사부 및 상측 경사부에 결합하고 상기 1차 배기 공간과 연통하는 하측 배기 연통홀을 형성하는 하측 격판; 및
    상기 하측 흡기 연통홀 및 상측 흡기 연통홀보다 상측에서 상기 하측 경사부 및 상측 경사부에 결합하고 상기 2차 배기 공간과 연통하는 상측 배기 연통홀을 형성하는 상측 격판을 포함하는, 버스 환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측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2차 흡기 공간은 상기 함몰부를 경계로 연통하면서 좌우로 분리되고,
    상기 2차 흡기 공간의 분리 영역에 각각 구비되는 제2 흡기팬을 포함하는, 버스 환기 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커버는
    상기 하측 경사부 및 상측 경사부의 가장자리에 밀착 결합하고, 상기 하측 경사부의 하부 영역과 상기 상측 경사부의 상부 영역에서는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 이격되는, 버스 환기 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커버는
    상기 흡기 방출공을 통해 방출되는 외기를 각각 상방 및 좌우로 편향시키는 흡기 방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버스 환기 청정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배기 튜브 결합공에 결합하고 타측은 버스의 벽체를 내측에서 관통하여 버스 외부와 연통하는 배기 튜브; 및
    일측은 상기 흡기 튜브 결합공에 결합하고 타측은 버스의 벽체를 내측에서 관통하여 버스 외부와 연통하는 흡기 튜브를 포함하는, 버스 환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버스의 외부 벽체에서 상기 배기 튜브 및 흡기 튜브의 외측 단부를 커버하면서 결합하고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보호 패널을 포함하는, 버스 환기 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패널은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해 빗물이 상기 배기 튜브와 흡기 튜브로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빗물 차단부를 포함하는, 버스 환기 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환기 청정기는
    버스 내부의 중앙 영역에서 바닥과 일측 내벽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버스 환기 청정기.
KR1020220034701A 2022-03-21 2022-03-21 버스 환기 청정기 KR102589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701A KR102589042B1 (ko) 2022-03-21 2022-03-21 버스 환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701A KR102589042B1 (ko) 2022-03-21 2022-03-21 버스 환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7050A true KR20230137050A (ko) 2023-10-04
KR102589042B1 KR102589042B1 (ko) 2023-10-13

Family

ID=8828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701A KR102589042B1 (ko) 2022-03-21 2022-03-21 버스 환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0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186B1 (ko) * 2012-09-13 2013-01-28 주식회사 이피아 전면 하부흡입, 상부토출 구조를 가지는 스탠드형 열회수 환기장치
KR20180012957A (ko) * 2016-07-28 2018-02-07 크린테크 주식회사 상치형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2244689B1 (ko) * 2020-07-20 2021-04-26 피유연 차량용 살균 정화 모듈, 차량용 살균 정화 장치 및 차량용 살균 정화 모듈의 설치 방법
KR102351315B1 (ko) * 2021-07-19 2022-01-14 김민원 차량용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186B1 (ko) * 2012-09-13 2013-01-28 주식회사 이피아 전면 하부흡입, 상부토출 구조를 가지는 스탠드형 열회수 환기장치
KR20180012957A (ko) * 2016-07-28 2018-02-07 크린테크 주식회사 상치형 열회수형환기장치
KR102244689B1 (ko) * 2020-07-20 2021-04-26 피유연 차량용 살균 정화 모듈, 차량용 살균 정화 장치 및 차량용 살균 정화 모듈의 설치 방법
KR102351315B1 (ko) * 2021-07-19 2022-01-14 김민원 차량용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042B1 (ko)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184B1 (ko) 초미세먼지의 집진율과 공기 분배 기능이 향상된 고효율 열회수 환기장치
KR102106702B1 (ko) 전열교환기
CN100384363C (zh) 吸尘器电机室防水机构
KR101070648B1 (ko) 공기식 열교환기
US4586486A (en) Multilevel air distribution panel for air ventilation hood
KR102175153B1 (ko) 환기겸용 실내공기정화시스템
KR102589042B1 (ko) 버스 환기 청정기
AU2005227459A1 (en) Humidity control system
JP2004019966A (ja) 換気装置
FI109725B (fi) Laite huoneenilman jäähdyttämiseksi
KR20100113798A (ko) 상치형 환기유니트
JPH0464310A (ja) 空調機能付テーブル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JPH09287791A (ja) チャンバー付き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及びクリーンルーム
RU2344349C1 (ru) Поверхност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помещения
KR200442779Y1 (ko) 다기능 중계기
JPH10339488A (ja) 換気装置
CN209358423U (zh) 变频器
JPH0148441B2 (ko)
JPH07270036A (ja) 冷蔵庫
JP2002013772A (ja) 給排気装置
JP2008107007A (ja) 空気調和機
KR101549263B1 (ko) 건물용 환기시스템
KR20230040547A (ko) 환기장치
CN108731509B (zh) 一种墙角立式强制对流换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