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715A - 팩 릴레이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팩 릴레이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715A
KR20230135715A KR1020220032752A KR20220032752A KR20230135715A KR 20230135715 A KR20230135715 A KR 20230135715A KR 1020220032752 A KR1020220032752 A KR 1020220032752A KR 20220032752 A KR20220032752 A KR 20220032752A KR 20230135715 A KR20230135715 A KR 20230135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s
battery
pack
packs
batter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3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715A/ko
Priority to PCT/KR2023/003426 priority patent/WO2023177192A1/ko
Publication of KR2023013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7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19Switching between serial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75Indicating the instants of passage of current or voltage through a given value, e.g. passage through zer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01R31/3274Details related to measuring, e.g. sensing, displaying or computing; Measuring of variables related to the contact pieces, e.g. wear, position or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5Fault detection or status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72Testing of electric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시스템은, 복수의 배터리 팩, 상기 복수의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양극과 제1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릴레이, 상기 복수의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음극과 제2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릴레이, 상기 제1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배선과 상기 제2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배선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저항 및 스위치, 및 웨이크업한 후,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를 닫도록 제어한 후,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으로부터 상기 커패시터로 흐르는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복수의 팩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팩 릴레이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BATTERY SYSTEM CAPABLE OF PACK RELAY DIAGNOSIS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는 팩 릴레이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시스템은 정션 박스(junction box)에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팩으로부터 정션 박스를 통해 차량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팩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배터리 시스템은 더 많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팩 각각은, 정션 박스와 연결된 팩 릴레이와 팩 릴레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팩 배터리 관리 시스템(Pack 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팩 BMS)을 포함한다. 복수의 배터리 팩 각각의 릴레이가 닫히고 정션 박스의 릴레이가 닫히면 각 배터리 팩으로부터 차량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팩 BMS는 웨이크업(wakeup) 한 후, 팩 릴레이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이후, 팩 BMS는 팩 릴레이가 정상적으로 닫혔는지를 판단한다. 이하, 팩 릴레이가 정상적으로 닫혔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팩 릴레이 진단이라 한다.
구체적으로, 팩 BMS는 팩 릴레이 진단을 위해서, 팩 릴레이의 양단 각각의 전압을 측정하고, 양단 전압을 비교한다. 그런데, 복수의 팩 릴레이의 일단은 정션 박스에 대해서 하나의 링크 버스바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팩 릴레이 중 닫히지 않은 팩 릴레이의 일단의 전압도 배터리 팩의 전압과 유사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방법들에 따를 때, 팩 릴레이 진단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다.
복수의 팩 릴레이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하나씩 팩 릴레이 진단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복수의 팩 릴레이에 대한 진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은, 복수의 배터리 팩, 상기 복수의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양극과 제1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릴레이, 상기 복수의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음극과 제2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릴레이, 상기 제1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배선과 상기 제2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배선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저항 및 스위치, 및 웨이크업한 후,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를 닫도록 제어한 후,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으로부터 상기 커패시터로 흐르는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복수의 팩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차량은, 배터리 시스템 및 상기 배터리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이거나, 상기 배터리 시스템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시스템은, 복수의 배터리 팩, 상기 복수의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양극과 제1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릴레이, 상기 복수의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음극과 제2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릴레이, 상기 제1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배선과 상기 제2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배선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저항 및 스위치, 및 웨이크업한 후,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를 닫도록 제어한 후,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으로부터 상기 커패시터로 흐르는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복수의 팩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복수의 전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팩 BMS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전류 센서 중 대응하는 전류 센서로부터 전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류 감지 신호가 영전류를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제1 및 제2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스턱 오픈(stuck open)인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시스템이 동작을 종료하면, 상기 스위치를 소정의 방전 기간 동안 턴 온 시켜 상기 커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메인 제어 I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시스템은, 상기 배터리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장치의 제1 입력단과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의 양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전력 장치의 제2 입력단과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의 음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메인 릴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 상기 저항,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와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는,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에 대한 진단이 수행되는 기간 동안 개방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팩 릴레이에 대한 진단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팩 릴레이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3)은 배터리 시스템(1) 및 전력 장치(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시스템(1)이 적용된 장치로 차량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3)은 내연 기관 없이 모터로만 구동되거나, 내연 기관과 모터를 모두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등을 포함한다.
배터리 시스템(1)은 복수의 배터리 팩(10-30), 메인 제어 IC(Main Control Integrated Circuit)(40), 및 정션(junction) 장치(5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복수의 배터리 팩의 개수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터리 시스템(1)은 4개 이상의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복수의 배터리 팩(10-30)이 병렬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둘 이상의 배터리 팩이 직렬 연결되고,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팩들이 병렬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전력 장치(2)는 배터리 시스템(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이거나, 배터리 시스템(1)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장치(2)는 차량(3)의 인버터, DC-DC 컨버터, 모터, 전자 제어 회로, OBC(On Board Charger), 고속 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장치(2)는 두 개의 입력 단자(IN1, IN2)를 포함한다.
복수의 배터리 팩(10-30)은 서로 병렬 연결되어, 복수의 배터리 팩(10-30)의 양단 각각은 라인(151) 및 라인(152)을 통해 정션 장치(50)에 연결되어 있다.
정션 장치(50)는 라인(151)과 전력 장치(2)의 입력단(IN1) 사이에 연결된 제1 메인 릴레이(51)와 라인(152)과 전력 장치(2)의 입력단(IN2) 사이에 연결된 제2 메인 릴레이(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51, 52)는 복수의 배터리 팩(10-30)과 전력 장치(2)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 메인 제어 IC(40)는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51, 52)의 동작을 제어하는 릴레이 제어 신호(MRS)를 생성하여 정션 장치(50)에 전송할 수 있다.
정션 장치(50)는 릴레이 제어 신호(MRS)에 따라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51, 52)의 개방 및 닫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정션 장치(50)가 한 쌍의 메인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력 장치(2)의 구성 개수에 따라 메인 릴레이 쌍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션 장치(50)는 진단 회로(53)를 더 포함한다. 진단 회로(53)는 저항(531), 스위치(532), 및 커패시터(533)를 포함한다.
저항(531)의 일단은 배선(151)에 연결되어 있고, 저항(531)의 타단은 스위치(532)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532)의 타단은 배선(152)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533)의 일단은 배선(151)에 연결되어 있고, 커패시터(533)의 타단은 배선(152)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532)는 메인 제어 장치(40)로부터 전송되는 방전 신호(DS)에 따라 스위칭 동작할 수 있다. 졍선 장치(50)에서 진단 회로(53)는 제1 메인 릴레이(51) 및 제2 메인 릴레이(52)와 복수의 릴레이(101, 102, 201, 202, 301, 302) 사이에 연결되어야 한다. 메인 제어 IC(40)는 복수의 릴레이(101, 102, 201, 202, 301, 302)에 대한 팩 릴레이 진단 기간 동안,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51, 52)를 개방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진단 회로(53)는 정션 장치(50)와 구분된 별도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진단 회로(53)는 정션 장치(50)와 복수의 릴레이(101, 102, 201, 202, 301, 302) 사이에 연결되어야 한다.
복수의 배터리 팩(10-30)은 복수의 배터리 셀(11-14, 21-24, 31-34), 복수의 팩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 200, 300), 복수의 릴레이(101, 102, 201, 202, 310, 302), 및 복수의 전류 센서(103, 203, 303)를 포함한다. 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이하, 팩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라 한다. 도 1에서는 복수의 배터리 팩(10-30) 각각이 4개의 배터리 셀(11-14, 21-24, 31-34)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로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배터리 팩(10-30) 각각이 두 개의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로 릴레이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복수의 팩 BMS(100, 200, 300) 각각은 대응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11-14, 21-24, 31-34)에 연결되어, 복수의 배터리 셀(11-14, 21-24, 31-34)의 셀 전압을 측정한다. 복수의 팩 BMS(100, 200, 300) 각각은 대응하는 배터리 팩(10, 20, 30) 각각의 전압(이하, 배터리 팩 전압), 전류(이하, 배터리 팩 전류), 및 온도(이하, 배터리 팩의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팩 BMS(100, 200, 300) 각각은 대응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11-14, 21-24, 31-34)의 셀 전압, 배터리 팩 전류 등에 기초하여 배터리 팩(10-30)의 충방전을 제어하고, 복수의 배터리 셀(11-14, 21-24, 31-34)에 대한 셀 밸런싱 동작을 제어 및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팩 BMS(100, 200, 300)은 복수의 배터피 팩(10-30)의 충방전 제어를 위해서, 복수의 릴레이(101, 102, 201, 202, 301, 302) 각각의 개방 및 닫힘을 제어할 수 있다. 릴레이(101)는 배터리 팩(10)의 양극과 접점(P+)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릴레이(102)는 배터리 팩(10)의 음극과 접점(P-)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릴레이(201)는 배터리 팩(20)의 양극과 접점(P+)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릴레이(202)는 배터리 팩(20)의 음극과 접점(P-)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릴레이(301)는 배터리 팩(30)의 양극과 접점(P+)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릴레이(302)는 배터리 팩(30)의 음극과 접점(P-)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팩 BMS(100, 200, 300) 각각은 대응하는 두 릴레이(101/102, 201/202, 301/302)의 개방 및 닫힘을 제어하는 두 구동 신호(RLS1/RLS2, RLS3/RLS4, RLS5/RLS6)를 생성하여 대응하는 두 릴레이(101/102, 201/202, 301/302)에 공급할 수 있다.
메인 제어 IC(40)는 복수의 팩 BMS(100, 200, 300)으로부터 복수의 배터리 셀(11-15, 21-25, 31-35)의 셀 전압, 복수의 배터리 팩(10, 20, 30)에 대한 배터리 팩 전압, 배터리 팩 전류, 및 배터리 팩 온도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인 제어 IC(40)는 외부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복수의 팩 BMS(100, 200, 300)에 전력 제어 신호를 공급하거나, 복수의 배터리 팩(10, 20, 30)의 충전을 위해서 충전 제어 신호를 복수의 팩 BMS(100, 200, 300)에 공급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메인 제어 IC(40)는 배터리 시스템(1)의 운영에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고, 배터리 시스템(1)의 이상 상태가 감지되면 보호 동작을 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전류 센서(103, 203, 303) 각각은 배터리 팩 전류를 측정하여 복수의 팩 BMS(100, 200, 300) 각각에 측정한 전류를 지시하는 신호(이하, 전류 감지 신호)(IS1, IS2, IS3)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팩 릴레이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차량(3)의 시동-온에 따라 복수의 팩 BMS(100, 200, 300)는 웨이크업 한다(S1). 복수의 팩 BMS(100, 200, 300)는 웨이크업한 후, 복수의 릴레이(101/102, 201/202, 301/302)의 정상 닫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팩 BMS(100, 200, 300) 각각은 웨이크업한 후, 대응하는 두 릴레이(101/102, 201/202, 301/302)를 닫도록 제어한다(S2).
복수의 팩 BMS(100, 200, 300) 각각은 대응하는 두 릴레이(101/102, 201/202, 301/302)를 닫도록 제어한 시점이후 대응하는 전류 센서(103, 203, 303)로부터 수신한 전류 감지 신호(IS1, IS2, IS3)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S3).
복수의 팩 BMS(100, 200, 300) 각각은 대응하는 전류 감지 신호(IS1, IS2, IS3)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두 릴레이(101/102, 201/202, 301/302)가 정상적으로 닫혔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S4). 복수의 팩 BMS(100, 200, 300) 각각이 대응하는 두 릴레이(101/102, 201/202, 301/302)의 상태를 진단하는 기간 동안 정션 장치(50)의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51, 52)는 개방 상태이다.
웨이크업 직후 대응하는 두 릴레이(101/102, 201/202, 301/302)가 정상적으로 닫혔다면, 해당 배터리 팩(10, 20, 30)으로부터 커패시터(533)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대응하는 전류 센서(103, 203, 303)가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릴레이(101, 102)가 팩 BMS(100)로부터 닫힘을 지시하는 릴레이 제어 신호(RLS1, RLS2)를 수신한다. 두 릴레이(101, 102) 모두가 정상적으로 닫히는 경우, 배터리 팩(10)으로부터 커패시터(533)로 전류가 흐르고, 전류 센서(103)는 커패시터(533)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 감지 신호(IS1)를 생성한다. 전류 감지 신호(IS1)는 팩 BMS(100)에 전송되고, 팩 BMS(100)는 전류 감지 신호(IS1)에 기초하여 두 릴레이(101, 102) 모두가 정상적으로 닫혔다고 결정한다. 만약, 두 릴레이(101, 102) 중 적어도 하나가 스턱오픈(stuck open) 상태라면, 닫힘 제어에도 불구하고 두 릴레이(101, 102) 중 적어도 하나는 닫히지 않는다. 그러면, 배터리 팩(10)으로부터 커패시터(533)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팩 BMS(100)는 전류 센서(103)로부터 수신한 전류 감지 신호(IS1)가 영전류를 지시할 경우, 두 릴레이(101, 102) 중 적어도 하나가 스턱오픈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두 릴레이(201, 202)가 팩 BMS(200)로부터 닫힘을 지시하는 릴레이 제어 신호(RLS3, RLS4)를 수신한다. 두 릴레이(201, 202) 모두가 정상적으로 닫히는 경우, 배터리 팩(20)으로부터 커패시터(533)로 전류가 흐르고, 전류 센서(203)는 커패시터(533)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 감지 신호(IS2)를 생성한다. 전류 감지 신호(IS2)는 팩 BMS(200)에 전송되고, 팩 BMS(200)는 전류 감지 신호(IS2)에 기초하여 두 릴레이(201, 202) 모두가 정상적으로 닫혔다고 결정한다. 만약, 두 릴레이(201, 202) 중 적어도 하나가 스턱오픈(stuck open) 상태라면, 닫힘 제어에도 불구하고 두 릴레이(201, 202) 중 적어도 하나는 닫히지 않는다. 그러면, 배터리 팩(20)으로부터 커패시터(533)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팩 BMS(200)는 전류 센서(203)로부터 수신한 전류 감지 신호(IS2)가 영전류를 지시할 경우, 두 릴레이(201, 202) 중 적어도 하나가 스턱오픈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두 릴레이(301, 302)가 팩 BMS(300)로부터 닫힘을 지시하는 릴레이 제어 신호(RLS3, RLS4)를 수신한다. 두 릴레이(301, 302) 모두가 정상적으로 닫히는 경우, 배터리 팩(30)으로부터 커패시터(533)로 전류가 흐르고, 전류 센서(303)는 커패시터(533)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류 감지 신호(IS3)를 생성한다. 전류 감지 신호(IS3)는 팩 BMS(300)에 전송되고, 팩 BMS(300)는 전류 감지 신호(IS3)에 기초하여 두 릴레이(301, 302) 모두가 정상적으로 닫혔다고 결정한다. 만약, 두 릴레이(301, 302) 중 적어도 하나가 스턱오픈(stuck open) 상태라면, 닫힘 제어에도 불구하고 두 릴레이(301, 302) 중 적어도 하나는 닫히지 않는다. 그러면, 배터리 팩(30)으로부터 커패시터(533)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팩 BMS(300)는 전류 센서(303)로부터 수신한 전류 감지 신호(IS3)가 영전류를 지시할 경우, 두 릴레이(301, 302) 중 적어도 하나가 스턱오픈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팩 BMS(100, 200, 300)은 배터리 시스템(1)이 동작을 시작할 때 동시에 웨이크업할 수 있다. 메인 제어 IC(40)는 배터리 시스템(1)이 동작을 종료하면, 스위치(532)를 소정의 방전 기간 동안 턴 온 시키는 방전 신호(DS)를 생성하다. 그러면, 커패시터(533)가 저항(531) 및 스위치(532)를 통해 방전될 수 있다. 소정의 방전 기간은 커패시터(533)가 영전압으로 방전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1)은 차량(3)의 시동-온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고, 차량(3)의 시동-오프에 따라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배터리 시스템(1)이 동작은 전력을 공급하는 방전 동작 및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팩 BMS(100, 200, 300) 각각은 대응하는 두 릴레이에 대한 진단 결과가 스턱오픈인 경우, 메인 제어 IC(40)에 이를 알릴 수 있다. 메인 제어 IC(40)는 복수의 릴레이(101, 102, 201, 202, 301, 302) 중 스턱오픈인 릴레이가 있을 경우, 제1 및 제2 릴레이(51, 52)를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메인 제어 IC(40)는 복수의 릴레이(101, 102, 201, 202, 301, 302) 모두가 정상 상태일 때 정션 장치(50)의 제1 및 제2 릴레이(51, 52)를 닫히도록 제어한다. 메인 제어 IC(40)는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51, 52)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서 오프 레벨의 릴레이 제어 신호(MRS)를 생성하여 정션 장치(50)에 전송할 수 있다. 정션 장치(50)는 제1 및 제2 메인 릴레이(51, 52)를 닫힘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서 온 레벨의 릴레이 제어 신호(MRS)를 생성하여 정션 장치(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 배터리 시스템
2: 전력 장치
3: 차량
10-30: 배터리 팩
100, 200, 300: 팩(pack)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40: 메인 제어 IC
50: 정션 장치
53: 진단 회로

Claims (12)

  1. 복수의 배터리 팩;
    상기 복수의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양극과 제1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릴레이;
    상기 복수의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음극과 제2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릴레이;
    상기 제1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배선과 상기 제2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배선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저항 및 스위치; 및
    웨이크업한 후,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를 닫도록 제어한 후,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으로부터 상기 커패시터로 흐르는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복수의 팩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복수의 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팩 BMS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전류 센서 중 대응하는 전류 센서로부터 전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류 감지 신호가 영전류를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제1 및 제2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스턱 오픈(stuck open)인 것으로 진단하는, 배터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시스템이 동작을 종료하면, 상기 스위치를 소정의 방전 기간 동안 턴 온 시켜 상기 커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메인 제어 IC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 장치의 제1 입력단과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의 양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전력 장치의 제2 입력단과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의 음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메인 릴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 상기 저항,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와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 사이에 위치하는,
    배터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는,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에 대한 진단이 수행되는 기간 동안 개방 상태로 제어되는,
    배터리 시스템.
  7. 배터리 시스템; 및
    상기 배터리 시스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이거나, 상기 배터리 시스템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시스템은,
    복수의 배터리 팩;
    상기 복수의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양극과 제1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릴레이;
    상기 복수의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음극과 제2 접점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릴레이;
    상기 제1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배선과 상기 제2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배선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어 있는 커패시터;
    상기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직렬 연결되어 있는 저항 및 스위치; 및
    웨이크업한 후,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를 닫도록 제어한 후,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으로부터 상기 커패시터로 흐르는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를 정상으로 판단하는 복수의 팩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포함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배터리 팩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복수의 전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팩 BMS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전류 센서 중 대응하는 전류 센서로부터 전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전류 감지 신호가 영전류를 지시하는 경우, 대응하는 제1 및 제2 릴레이 중 적어도 하나가 스턱 오픈(stuck open)인 것으로 진단하는,
    차량.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시스템은,
    상기 차량이 시동 오프되면, 상기 스위치를 소정의 방전 기간 동안 턴 온 시켜 상기 커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메인 제어 IC를 더 포함하는,
    차량.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장치의 제1 입력단과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의 양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전력 장치의 제2 입력단과 상기 복수의 배터리 팩의 음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메인 릴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 상기 저항, 및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와 상기 제2 메인 릴레이,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와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 사이에 위치하는, 차량.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제1 릴레이 및 상기 복수의 제2 릴레이에 대한 진단이 수행되는 기간 동안 상기 제1 메인 릴레이 및 상기 제2 메인 릴레이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차량.
KR1020220032752A 2022-03-16 2022-03-16 팩 릴레이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301357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752A KR20230135715A (ko) 2022-03-16 2022-03-16 팩 릴레이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CT/KR2023/003426 WO2023177192A1 (ko) 2022-03-16 2023-03-14 팩 릴레이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752A KR20230135715A (ko) 2022-03-16 2022-03-16 팩 릴레이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715A true KR20230135715A (ko) 2023-09-26

Family

ID=8802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752A KR20230135715A (ko) 2022-03-16 2022-03-16 팩 릴레이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5715A (ko)
WO (1) WO202317719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110B1 (ko) * 2007-07-26 2010-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의 충전량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101314114B1 (ko) * 2012-02-10 2013-10-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구동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697869B2 (ja) * 2015-12-02 2020-05-27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状態判定装置および状態判定方法
JP6673035B2 (ja) * 2016-06-08 2020-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システム
KR102565347B1 (ko) * 2017-12-18 2023-08-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셀 전압센싱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7192A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5063B2 (ja) 電池システム監視装置
JP5647210B2 (ja) 電池セル用集積回路
US8513918B2 (en) Vehicle battery control system having a voltage sensor that measures a voltage between a contactor and an inverter equipment
JP4186916B2 (ja) 組電池管理装置
CN107863790B (zh) 电源系统
CN100593276C (zh) 用于电源系统的监视装置
EP3754347B1 (en) Switch diagnosing apparatus and method
CN110832726A (zh) 供电系统、供电系统的故障诊断方法和系统控制装置
KR20230135715A (ko) 팩 릴레이 진단이 가능한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20220390520A1 (en) Abnormal Cell Diagnosing Method and Battery System Applying the Same
US10935576B2 (en) Determination of operation status of shut-off element of battery module
KR20220048343A (ko) 릴레이부 진단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KR20210051539A (ko) 배터리 절연 진단 장치
EP4332599A1 (en) External short-circuit diagnosis method and battery system using same
EP4303600A1 (en) Voltage determination circuit
US20240159834A1 (en) Battery diagnosis method, battery diagnosis devic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battery diagnosis device
EP4333246A1 (en) Battery system
US20220271362A1 (en) Battery Apparatus and Diagnosing Method of Heater
US20240110982A1 (en) Relay diagnosis device and relay diagnosis method
CN116137435A (zh) 控制装置及电池组
KR20210155980A (ko) 이상 셀 진단 방법과 이를 적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KR20230098447A (ko) 배터리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전기차, 및 전기차의 동작 방법
KR20230106344A (ko) 융착 진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시스템
KR20210041981A (ko) 배터리 팩의 진단 방법,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장치
KR20240072022A (ko) 배터리 진단 방법, 그리고 이를 수행하는 배터리 진단 장치 및 배터리 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