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708A -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 Google Patents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708A
KR20230135708A KR1020220032642A KR20220032642A KR20230135708A KR 20230135708 A KR20230135708 A KR 20230135708A KR 1020220032642 A KR1020220032642 A KR 1020220032642A KR 20220032642 A KR20220032642 A KR 20220032642A KR 20230135708 A KR20230135708 A KR 20230135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upstream
downstream
plat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로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로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로네트
Priority to KR102022003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708A/ko
Publication of KR20230135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36Reducing noise or vibration e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에 관한 것으로, 냄새 및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후드 포집갓 입구에 설치된 상류판과 하류판 그리고 두 판 사이에 배플로 구성된 배플 필터에 있어서 흡입 공기가 배플 유로를 통과하면서 휘어지는 유선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수증기 형태의 기름미세입자가 배플 필터에 점착되도록 하면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유로저항을 최소화하며 특히 상류판과 하류판 사이의 배플구조가 후드홴으로부터 하방으로 전파되는 것을 소음을 막는 소음기 역할을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Baffle Filter Equipped in Kitchen Rangehood}
본 발명은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에 관한 것으로, 냄새 및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후드 포집갓 입구에 설치되어 기름입자가 배플 유로를 통과하면서 점착되도록 하며 이때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유로저항이 최소화되고 특히 상류판과 하류판 사이의 배플구조가 후드홴으로부터 하방으로 전파되는 소음을 막는 소음기 역할을 하도록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취사 시 발생하는 각종 유해물질은 실내공기 오염의 주된 요인이 된다. 특히 연소 시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음식물의 조리냄새는 적절하게 옥외로 배출하여 실내의 다른 공간이나 건물 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후드를 통한 유해물질 및 냄새의 제거는 실내의 공기 환경을 쾌적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가스레인지에서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조리과정에 필요한 열량과 음식물로 전달되고, 일부는 후드를 통하여 배출된다. 나머지는 주방 주위로 확산되어 열취득 요인이 되어 주방의 냉방부하를 증가시키고, 조리과정의 냄새가 실내로 확산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러한 냄새를 일으키는 기름입자를 효과적으로 포집하기 위해 후드 포집갓 입구에 메쉬형태의 필터를 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국내 레인지후드에 많이 적용되는 메쉬 형태의 필터는 알루미늄 재질의 메쉬로 기공율(porosity)가 높아 유동저항이 작은 반면, 모든 홴 소음이 후드갓 하방으로 통과하여 소음 저감의 역할은 전무하며 특히 세척이 쉽지 않아 주방 냄새 환경오염인 기름입자나 냄새의 주범이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배플 형태의 후드 갓 입구필터를 사용해 왔으나, 상류판과 하류판 사이에 설치되는 배플형태의 장애물을 통해 유선이 휘도록 하여 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기름의 마이크로 입자가 배플표면에 점착하는 경우 세척의 용이성의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쿡탑 위에서 발생하는 음식 냄새 및 각종 연소가스를 메쉬형태의 후드로 배출하는 경우 후드 내 홴이 후드 갓 중앙 뒤쪽에 배치되어 메쉬필터의 경우 유로의 저항이 낮아 주로 유선이 홴입구로 모이게 되므로 쿡탑 근처에서 유선이 발생하지 않고 가장 저항이 낮은 주변 공기로부터 흡입되어 음식 취사 냄새 및 연소가스들이 후드 갓 바깥으로 확산되어 퍼지게 된다. 반면, 배플 형태의 후드 갓의 경우 후드 갓 내부에서 균일하게 흡입되도록 유선이 분포하므로 음식 취사 냄새 및 연소가스들의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결국 메쉬형태의 후드의 경우 유동저항이 낮아 배출풍량이 많아도 필요한 오염공기의 배출보다는 주변 공기를 배출하는 반면, 배플 형태의 후드의 경우에는 필터저항으로 풍량이 줄어드는 큰 단점이 있으나 배출유로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배플필터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상류 판의 일부는 막히고 일부는 줄어드는 형태가 적당한 피치로 반복되는 형태로서, 열려진 면적이 작고 줄어드는 면적의 배플 입구에서는 풍속이 빠르게 되어 유동손실이 많이 발생하는 반면 소음저감 효과는 커지게 된다. 반대로 도 3에 나타난 배플에서 한 피치 길이 (L up 혹은 L down ) 대비 열려진 길이 l 1 이 상대적으로 크거나 혹은 줄어드는 면적비 즉 l 2/l 1의 비가 커지는 경우 유동손실은 적은 반면 소음저감 효과는 없어지게 된다.
미국 특허공개정보 제 7,585,345/B2 에는 상류부 측 개부부 및 하류부측 개구부 그리고 둘 사이에 위치한 배플의 조합을 통해 유로중 기름입자를 제거하는 기술이 설명되어 있다. 이 기술은 기름입자를 포집하는 유로에 대한 배플구조에 대한 것으로 소음저감 혹은 유로저항에 대한 고려는 없는 배플조립구조에 대한 것이다. 등록특허 10-0624823에는 배플의 단점인 배플에서의 유동손실을 줄이기 위해 유선형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상류측 혹은 하류측에 곡면화된 유로 구조를 갖는 배플을 설치하는 형태가 나타난다. 그러나 이는 배플사이의 유로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아 비록 유선형 혹은 반원형태의 배플에서도 좁아진 단면에서의 큰 유동저항이 발생한다. 등록특허 10-1594503에는 배플과 필터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형 그리스 필터정보가 나타나 있다. 배출공기를 지그 재그 유로를 만드는 배플과 메쉬필터를 결합한 형태이다. 이 또한 배플사이의 면적의 변화에 의한 유로저항의 증가와 소음저감의 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형태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플 형태의 후드 갓의 경우 후드 갓 내부에서 균일하게 흡입되도록 유선이 분포하므로 음식 취사 냄새 및 연소가스들의 배출이 용이하나, 배플사이의 지그-재그 유로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유로저항의 증가로 인한 배출풍량 저감의 제1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로저항의 증가를 줄이기 위해 배플 한 피치 길이(L up 혹은 L down ) 대비 열려진 길이 l 1 비가 상대적으로 크게 하거나 혹은 줄어드는 면적비 즉 l 2/l 1의 비가 커지는 경우 유동손실은 줄어드는 반면 소음저감 효과는 없어지는 제2 문제점이 있다.
미국 특허등록번호 제 7,585,345호 (등록일 2009.09.08)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10-0624823호 (공고일 2006.09.18) 국내 특허등록번호 제10-1594503호 (공고일 2016.02.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냄새 및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후드 포집갓 입구에 설치된 상류판과 하류판 그리고 두 판 사이에 배플로 구성된 배플 필터에 있어서 흡입 공기가 배플 유로를 통과하면서 휘어지는 유선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수증기 형태의 기름미세입자가 배플 필터에 점착되도록 하면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유로저항을 최소화하며 특히 상류판과 하류판 사이의 배플구조가 후드홴으로부터 하방으로 전파되는 것을 소음을 막는 소음기 역할을 하도록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배플 형태의 후드 갓의 경우 메쉬 필터 장착 후드 대비 후드 갓 내부 흡입 유동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흡입되나, 후드 갓 주변의 공기가 배기홴이 위치한 후드 중앙부 배플로 통과하지 않고 갓 주변의 배플로 유입되어 에어커튼의 역할을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는 주방의 조리시 발생된 유해물질 및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발생된 소음이 하방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인지 후드 갓 하부에 상류판과 하류판을 구비한 주방용 레인지 후드의 배플형 필터에 있어서, 상기 상류판은 단면이 컵형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상류 컵형상 배플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류판은 단면이 컵형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하류 컵형상 배플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상류 컵형상 배플은 개방부가 상부로 향하고, 상기 각 하류 컵형상 배플은 개방부가 하부로 향하되 상기 각 상류 컵형상 배플과 각 하류 컵형상 배플이 엇갈리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류판에 배열된 각 상류 컵형상 배플들 사이에 형성된 배플 유로 입구 개구부(l 1 )와 수축부 출구(l 2)를 형성하며, 상기 하류판에 배열된 각 하류 컵형상 배플들 사이에 형성된 배플유로 출구 개구부(l 5)와 확산부 입구(l 4)를 형성하며, 상기 배플유로 수축부 출구(l 2)와 하류 배플필터의 확산부 입구(l 4)사이에 배플채널(l 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류판의 배플유로 입구 개구부(l 1 )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수축부 출구(l 2)를 통과하면서 수축되고, 상기 수축부 출구(l 2)에서 배출되면서 팽창하고, 상기 하류판의 확산부 입구(l 4)로 유입되면서 수축된 후 상기 배플유로 출구 개구부(l 5)를 통해 배출되면서 팽창하는 머플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배플필터의 배플들 사이의 지그-재그 유로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유로저항이 증가하는 문제점 1을 극복하며 동시에 유로저항을 줄이면 소음저감이 나빠지는 제 2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도록, 상류 판에 설치되는 입구부의 피치대 면적비를 작게 하며 동시에 수축부 배플 각도 θ1 이 가능한 커지도록 한다. 수축부 배플 각도 θ1 이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 확산부에서의 손실이 증가하고 수축부 출구속도가 증가하므로 정해진 각도, 예를 들면 30도 이상이 넘지 않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확산부에서의 각도 θ1을 정하는 경우 전체 피치 대비 입구 개구부의 비도 정해지며, 이를 통해 도 4에 나타난 일렬의 Lumped 모델의 가속-감속-가속-감속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특히 배플 채널 l 3 l 2 l 4 보다 넓어지도록 설계하여 전체적인 배플유로가 수축-팽창-수축을 통한 머플러 구조가 되도록 하여 하류판 혹은 상류판의 개구부 면적이 전체 면적 대비 약 50% 가량 되도록 하여 방사고음이 줄어듬과 동시에 홴 날개통과주파수 (Blade Passage Frequency)가 머플러 형태의 유로에 의해 Reactive 고주파 소음저감이 일어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형 배플필터를 주방 후드에 설치 시 유증기 등 마이크로 입자유동에 대한 레이져가시화 실험결과가 나타나 있다. 이로부터 기존 메쉬형 필터의 경우 중앙부 포집 외에는 많은 양의 유증기가 포집되지 않고 후드 갓 밖으로 나가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플필터의 경우 균일하게 포집됨을 알 수가 있다.
도 1의 (a)는 종래기술 중 메쉬필터를 사용하는 후드 배출 유동의 유선 특징과 배출 가스 및 취사 냄새 전파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b)는 종래 기술 중 배플필터를 사용하는 후드 배출유동의 유선 특징과 배출 가스 및 취사 냄새의 배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플필터의 구조로 상류판과 하류판 사이에 설치되는 배플형태의 장애물을 통해 유선이 휘도록 하여 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기름 마이크로 입자가 배플표면에 점착하는 유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배플 필터 내부 유로 설계변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배플 필터의 유로를 직렬 Lump 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형 배플필터의 설계 예로서, 배기풍량 440CFM의 유량이 약 400mm x 400m의 배플필터 (2 set)를 통과하는 경우 배플 각 단면적을 통과하는 풍속 및 손실에 비례하는 동압력을 비교한 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형 배플필터의 형태 및 단면도의 한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형 배플필터의 후드 갓 하부와의 조립형태를 나타내는 일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에 설치된 소음기형 배플필터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일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형 배플필터의 후드 갓 하부와의 결합을 위한 손잡이부와 요철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형 배플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배플필터의 힌지조립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배플필터의 상류판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배플필터의 상류판과 하류판의 조립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배플필터의 구조적 안전성 증대 및 유로 손실을 줄이도록 상류 혹은 하류 컵형상 배플 다리의 출구 혹은 입구 라운드를 제공하는 배플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형 배플필터의 기름미세입자 포집유로의 개선을 보여주는 유동 가시화 레이져 실험결과 사진.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의 구성도로서, 주방의 조리시 발생된 유해물질 및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발생된 소음이 하방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인지 후드 갓 하부에 상류판(11)과 하류판(14)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류판(11)은 단면이 컵형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상류 컵형상 배플(4)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류판(11)은 단면이 컵형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하류 컵형상 배플(7)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상류 컵형상 배플(4)은 개방부가 상부로 향하고, 상기 각 하류 컵형상 배플(7)은 개방부가 하부로 향하되 상기 각 상류 컵형상 배플(4)과 각 하류 컵형상 배플(7)이 엇갈리도록 배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류판(11)의 배플유로 입구 개구부(l 1 )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수축부 출구(l 2)를 통과하면서 수축되고, 상기 수축부 출구(l 2)에서 배출되면서 팽창하고, 상기 하류판(14)의 확산부 입구(l 4)로 유입되면서 수축된 후 상기 배플유로 출구 개구부(l 5)를 통해 배출되면서 팽창하는 머플러 구조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류판(11)에 설치된 배플 유로 입구부 l 1, 상류판에 부착된 수축부 출구 l 2, l 1l 2 의 입출구를 갖는 단면이 컵(Cup)형태의 형상과 겹치도록 l 4l 5의 입출구부를 갖는 확산부로 구성된다.
또한, 수축부와 확산부는 수축각 θ 1 과 확산각θ 4 를 각각 가지며 둘 사이의 배플유로는 수축부 내의 유동이 양쪽으로 퍼지면서 확산부 사잇 길이 l 3를 갖게 된다. 이 때 수축각 θ 1 과 확산각θ 4 이 비슷하며 배플 사이 채널 l 3가 하류방향과 이루는 각 θ 3 가 (90o - θ 1 ) 와 유사한 경우, 배플필터의 배플 피치(L) 대비 전체 높이비 H/L (l 1 -l 2 )/(2L)*(cot θ 1 +tan θ 1 ) + (l 5 -l 4 )/(2L)*cot θ 1 ) 이 된다.
즉, 배플높이 H를 유지하면서 소음을 저감하려면 배플필터 입구 opening을 통해 투과되는 면적을 줄여야 하므로 다음 수학식 1에서와 같이 (l 1 /L)가 작아져야 한다.
Figure pat00001
그러나 상대적으로 l 1 /L 이 줄어들면 l 2 /L 도 같이 줄어 들어야 하며 θ 1 도 유지되는 경우, 도 3의 채널을 일렬로 나타낸 도 4에서와 같이 l 2 채널 폭이 더욱 줄어들게 되며 최대로 가속되어 손실이 증가한다.
또한 θ 1 을 감소시켜 수축부에서의 가속과 확산부에서의 손실을 줄이는 경우 배플 사이 채널 l 3가 좁아져 가속되어 채널 가속손실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배플높이 H를 유지하면서 유동손실과 소음을 동시에 저감하기 위해서는 l 1 /Ll 2 /L 그리고 θ 1 의 최적값이 존재하게 된다.
이에 대한 예로써 도 5에는 배기풍량 440CFM 즉 750 CMH를 갖는 유량이 약 400mm x 400m 의 배플필터 (2 set)를 통과하는 경우 배플 사이 채널 l 3 수축부 입구 l 4 에서의 손실이 가장 크게 됨을 알 수가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 기능의 후드용 배플필터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배플 유로 입구 개구부 l 1 과 막힘부가 상류판에 번갈아 설치되며 (반복 피치는 L), 출구판에도 입구 개구부 l 1 와 비슷한 형태의 출구 개구부 l 5 가 비슷한 피치 L로 배치되며, 수축부 출구 l 2 와 확산부 입구 l 4 사이에는 배플 채널 l 3 가 존재하며 l 3 l 2 l 4 보다 넓어지도록 설계하여 전체적인 배플유로가 수축-팽창-수축을 통해 머플러 구조가 되도록 하여 홴회전수 관련 날개통과주파수의 소음이 그 안에서 갇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피치 이상 하류판(14) 혹은 상류판(11)의 출구부 혹은 입구부를 막아 후드 중앙 뒷부분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반사되는 소음의 전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배플필터 상류판 혹은 하류판의 개구부의 면적 중 하나는 전체 면적 대비 약 50% 의 값을 갖도록 하여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약 3dBA의 차단소음을 예상할 수 있다.
또한, 배플필터를 도 7에서와 같이 후드 갓에 고정하기 위해 배플필터가 도 8의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드 갓 안쪽 사각 띄 형태의 베드에 안착되고 하중방향으로 지탱을 위해 도 9에 나타난 배플필터 상류판에 설치된 손잡이에 의한 슬라이딩 스토퍼와 배플필터의 배면 튀어나온 요철 형태의 지지부가 설치된다.
도 9에는 소음기형 배플필터가 후드 갓 하부와의 결합을 위해 배플필터의 상류판(11)에 설치된 손잡이부(20)가 도시되어 있으며, 후드 갓 후면과의 결합을 위해 요철형태로 결합되는 돌출부(24)가 표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소음기형 배플필터를 상류판(11)과 하류판(14)을 분리하여 열리도록 배플필터 후방에 힌지부(30)이 설치되어 두 판이 분리되어 세척 등에 용이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배플 상류판(11) 혹은 하류판(14)의 상류 컵형상 배플 입구면(5)과 하류 컵형상 배플 출구면(8)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크로스바(25)가 상류판 혹은 하류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도 11에는 도 10의 분리 가능한 소음기형 배플필터에서 배플 상류판(11)과 하류판(14)의 후면에 힌지 하우징(31)이 설치되어 힌지부 핀(32)이 조립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배플 상류판(11)에 설치된 손잡이부(20)속에 손잡이 슬라이더부(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부(20)안의 손잡이를 누으면 스프링의 힘에 의해 힘이 가해지며 배플 필터 손잡이부 돌출부(21)가 배플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배플 필터(3)를 후드 갓(1) 하면에 고정하게 된다.
도 13에는 하류판이 상류판 위에 서로 걸칠 수 있도록 한 절곡부 단면 형상(40)이 나타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후드 갓 2 : 쿡탑
3 : 배플 필터 4 : 상류 컵형상 배플
5 : 상류 컵형상 배플 입구면 6 : 상류 컵형상 배플 다리
7 : 하류 컵형상 배플 8 : 하류 컵형상 배플 출구면
9 : 하류 컵형상 배플 다리 10 : 홴
11 : 상류판
12 : 상류판 수축부 입구 13 : 상류판 수축부 출구
14 : 하류판 15 : 하류판 확산부 입구
16 : 하류판 확산부 출구 17 : 배플 채널 통과면적부
18 : 배플 필터 피치 19 : 상류판 혹은 하류판 소음 차단부
20 : 배플 필터 손잡이부 21 : 배플 필터 손잡이부 돌출부
22 : 손잡이 슬라이더부
24 : 배플 필터 배면 돌출부 25: 크로스바
30 : 힌지부 31 : 힌지 하우징
32 : 힌지부 핀
40 : 상류판과 하류판 조립부

Claims (8)

  1. 주방의 조리시 발생된 유해물질 및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발생된 소음이 하방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인지 후드 갓 하부에 상류판과 하류판을 구비한 주방용 레인지 후드의 배플형 필터에 있어서,
    상기 상류판은 단면이 컵형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상류 컵형상 배플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류판은 단면이 컵형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하류 컵형상 배플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상류 컵형상 배플은 개방부가 상부로 향하고, 상기 각 하류 컵형상 배플은 개방부가 하부로 향하되 상기 각 상류 컵형상 배플과 각 하류 컵형상 배플이 엇갈리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판에 배열된 각 상류 컵형상 배플들 사이에 형성된 배플 유로 입구 개구부(l 1 )와 수축부 출구(l 2)를 형성하며,
    상기 하류판에 배열된 각 하류 컵형상 배플들 사이에 형성된 배플유로 출구 개구부(l 5)와 확산부 입구(l 4)를 형성하며,
    상기 배플유로 수축부 출구(l 2)와 하류 배플필터의 확산부 입구(l 4)사이에 배플채널(l 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판의 배플유로 입구 개구부(l 1 )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수축부 출구(l 2)를 통과하면서 수축되고, 상기 수축부 출구(l 2)에서 배출되면서 팽창하고, 상기 하류판의 확산부 입구(l 4)로 유입되면서 수축된 후 상기 배플유로 출구 개구부(l 5)를 통해 배출되면서 팽창하는 머플러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판의 배플유로 입구 개구부(l 1 ) 또는 상기 하류판의 배플유로 출구 개구부(l 5)는 전체 표면적 대비 약 50% 이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판 및 하류판을 후드 갓에 고정하기 위해 배플필터가 후드 갓 안쪽 사각 프레임 형태의 베드에 안착되고 하중방향으로의 무게 지지를 위해 배플필터 상류판에 설치된 손잡이에 의한 슬라이딩 스토퍼와 배플필터의 배면 튀어나온 요철 형태의 지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판 및 하류판의 상류 컵형상 배플 입구면 혹은 하류 컵형상 배플 출구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크로스바가 각 상류판 및 하류판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판과 하류판을 분리하여 열리도록 배플필터 후방에 힌지부가 설치되어 두 판이 분리되어 세척 등에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판 및 하류판 분리형 배플필터의 구조적 안전성 증대 및 유로 손실을 줄이도록 상류 혹은 하류 컵형상 배플 다리의 출구 혹은 입구 라운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KR1020220032642A 2022-03-16 2022-03-16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KR20230135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642A KR20230135708A (ko) 2022-03-16 2022-03-16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642A KR20230135708A (ko) 2022-03-16 2022-03-16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708A true KR20230135708A (ko) 2023-09-26

Family

ID=88191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642A KR20230135708A (ko) 2022-03-16 2022-03-16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57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823B1 (ko) 2004-11-10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플필터
KR101594503B1 (ko) 2014-05-26 2016-02-17 (주)지오퓨어텍 분리형 그리스 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823B1 (ko) 2004-11-10 2006-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플필터
KR101594503B1 (ko) 2014-05-26 2016-02-17 (주)지오퓨어텍 분리형 그리스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7041B2 (en) Two stage air filter
CA2222052A1 (en) Acoustic muffler
US10837653B2 (en) High efficiency grease filter
CN209752490U (zh) 高效除油除味设备
KR20130058117A (ko) 그리스 필터
US3890124A (en) Combination grease centrifugal separator and flame trap
KR20230135708A (ko) 주방용 레인지후드의 배플 필터
CN109595630B (zh) 一种吸油烟机
CN108980944B (zh) 吸油烟机
KR100393475B1 (ko) 주방용 배기 후드
KR20110012038U (ko) 보조 흡입구가 구비된 주방용 레인지 후드 장치
CN108488985B (zh) 有效降低油烟污染的排风消声装置
KR100608704B1 (ko)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CN212227164U (zh) 一种新型风力牵引排油烟机构、抽油烟机和抽油烟系统
CN109708179A (zh) 一种油烟分离器和吸油烟机
CN108980946B (zh) 吸油烟机
CN209900872U (zh) 一种可拆卸油烟过滤装置
JP3070068U (ja) 厨房用グリスフィルタ―
CN111380091B (zh) 一种过滤降噪装置及应用有该过滤降噪装置的吸油烟机
EP1487562A1 (en) Two stage air filter
EP3677844B1 (en) Kitchen hood filter
CN113883557B (zh) 一种集成烹饪器具
CN218295893U (zh) 一种吸油烟机
CN116147031A (zh) 烟机的分流滤网及吸油烟机
KR200234034Y1 (ko) 주방용 배기 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