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504A - 실 권취기 - Google Patents

실 권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504A
KR20230135504A KR1020230015548A KR20230015548A KR20230135504A KR 20230135504 A KR20230135504 A KR 20230135504A KR 1020230015548 A KR1020230015548 A KR 1020230015548A KR 20230015548 A KR20230015548 A KR 20230015548A KR 20230135504 A KR20230135504 A KR 20230135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raverse
contact roller
winding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카와이
쿄헤이 요시노
Original Assignee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엠티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5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50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06Traversing devices driven by cam
    • B65H54/2809Traversing devices driven by cam rotating grooved cam
    • B65H54/2812Traversing devices driven by cam rotating grooved cam with a traversing guide running in the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1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 B65H54/20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for making packages of specified shapes or on specified types of bobbins, tubes, cores, or formers forming multiple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or replacing by cores, formers, or empty receptacles a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B65H67/044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 B65H67/048Continuous winding apparatus for winding on two or more winding heads in succession having winding heads arranged on rotary capstan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3Synthetic polymer threads
    • B65H2701/3132Synthetic polymer threads extruded from spinnerets

Landscapes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실 권취기(1)는 접촉 롤러(31)와, 트래버스 장치(21)를 구비한다. 접촉 롤러(31)는 패키지(92)와 접촉하여 회전한다. 트래버스 장치(21)는 트래버스 가이드와, 상류 가이드 레일과, 하류 가이드 레일을 갖는다. 트래버스 가이드는 실 이송 롤러(100)에서 접촉 롤러(31)에 이르는 실(91)과 접촉하여 실(91)을 트래버스한다. 상류 가이드 레일 및 하류 가이드 레일은 트래버스 가이드의 권폭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고, 트래버스 가이드의 사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을 향하는 이동을 규제한다. 하류 가이드 레일 중, 사도와 대향하는 하류 대향면은 패키지(92)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사도의 하류와 가까워짐에 따라 사도로부터 이격되는 퇴피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 권취기{Yarn Winding Machine}
본 발명은 주로 실을 보빈에 감아 패키지를 제조하는 실 권취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209831호 공보이다.
특허문헌 1은 1개의 고데트 롤러(실 이송 롤러)에 대해 2개의 권취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데트 롤러에서 권취 장치로 향하는 사도(絲道)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사도의 경사에 대응하여 트래버스사 안내 장치를 경사지게 한 레이아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209831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권취 장치에서는 트래버스사 안내 장치를 경사지게 하므로 연직 방향 하방으로 접근함에 따라 트래버스사 안내 장치가 수평 방향으로 크게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레이아웃에서는 트래버스사 안내 장치의 경사에 기인하여 권취 장치의 보빈 홀더에 최초로 실을 거는 실걸이 작업 시에, 실을 거는 보빈 홀더의 위치에 따라서는 트래버스사 안내 장치에 실이 접촉되어 실 끊어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실걸이 작업 시의 보빈 홀더의 위치의 자유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요한 목적은 실 이송 롤러로부터 보내지는 실의 사도가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실 권취기에 있어서, 실걸이 작업 시의 보빈 홀더의 위치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이하의 구성의 실 권취기가 제공된다. 즉, 실 권취기는 실 이송 롤러로부터 보내진 실을 보빈에 감아 패키지를 제조한다. 실 권취기는 보빈 홀더와, 접촉 롤러와, 트래버스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보빈 홀더는 상기 보빈을 보유한다. 상기 접촉 롤러는 상기 패키지와 접촉하여 회전한다.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상기 접촉 롤러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상기 접촉 롤러에 이르는 실을 상기 접촉 롤러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다.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트래버스 가이드와, 상류 가이드 레일과, 하류 가이드 레일을 갖는다.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는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상기 접촉 롤러에 이르는 실과 접촉하여 해당 실을 트래버스한다. 상기 상류 가이드 레일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권폭(卷幅) 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상기 사도의 상류측을 향하는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 하류 가이드 레일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권폭 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상기 사도의 하류측을 향하는 이동을 제어한다. 실의 권취 중에 있어서, 상기 실 이송 롤러에서 상기 접촉 롤러까지의 사도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상기 하류 가이드 레일 중, 상기 사도와 대향하는 하류 대향면은, 상기 패키지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사도의 하류와 가까워짐에 따라 해당 사도로부터 이격되는 퇴피면을 포함한다.
하류 가이드 레일에 퇴피면이 형성됨으로써, 실걸이 작업 시에 실이 걸려지는 보빈 홀더의 위치를 접촉 롤러에서 트래버스 장치측으로 당긴 위치로 할 수 있고, 실 이송 롤러에서 보빈 홀더에 이르는 실을 접촉 롤러로부터 멀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걸이 작업 시에 실이 접촉 롤러와 접촉하여 실 끊어짐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실걸이 작업 시의 보빈 홀더의 위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서는, 상기 패키지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상류 대향면은 상기 사도를 따라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과 접촉할 개연성이 높은 하류 가이드 레일에만 퇴피면을 형성함으로써 상류 가이드 레일의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빈 홀더, 상기 접촉 롤러, 상기 트래버스 장치를 포함하는 권취부를 복수개 구비한다. 상기 권취부가 상하 또는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권취부가 나란히 배치되고 단일의 실 이송 롤러로부터 실이 공급되는 경우, 실 이송 롤러에서 접촉 롤러까지의 사도를 경사지게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하류 가이드 레일에 퇴피면을 마련한 구성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권취부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촉 롤러까지의 사도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촉 롤러까지의 사도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도 크다. 적어도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권취부의 상기 하류 가이드 레일의 하류 대향면이 상기 퇴피면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도가 경사지는 쪽의 권취부의 하류 가이드 레일에 퇴피면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실 권취기에 대하여 상기 실 이송 롤러가 위치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를 상기 접촉 롤러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래버스 가이드와 접촉 롤러의 상대적인 높이가 변화함으로써 연직 방향에 대한 사도의 경사 각도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하류 가이드 레일에 퇴피면을 마련한 구성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실 권취기에 있어서는, 상기 패키지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보빈에 실을 거는 실걸이 위치는 상기 접촉 롤러를 기준으로 하여 트래버스 가이드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걸이 위치가 트래버스 가이드측인 경우, 실걸이 시에 있어서 사도가 하류 가이드 레일과 가까워진다. 그 때문에 하류 가이드 레일에 퇴피면을 마련한 구성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실 권취기의 정면도.
도 2는 실 권취기의 블록도.
도 3은 트래버스 장치 및 그 근방의 정면 단면도.
도 4는 프리렝스의 차이에 의해 트래버스 폭이 짧아지는 것의 설명도.
도 5는 실걸이 중, 상단 권취부의 정면도.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실 권취기(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 권취기(1)의 블록도이다. 아래 설명에서는, 실 주행 방향의 상류 또는 하류를 단순히 상류 또는 하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실 권취기(1)의 상류에는 도시를 생략한 방사기가 배치되어 있다. 방사기로 제조된 실(91)은 실 이송 롤러(100)를 통해 실 권취기(1)로 공급된다. 실 권취기(1)는 실(91)을 보빈(90)에 감아 보빈(90) 상에 실층을 형성하여 패키지(92)를 제조한다. 실(91)은 예를 들어 스판덱스 등의 탄성사이다. 단, 실(91)의 종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섬사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 권취기(1)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권취부(10)를 구비한다. 각각의 권취부(10)에는 실(91)이 개별적으로 공급되고 있고, 각각의 권취부(10)에서 개별적으로 패키지(92)가 제조된다. 권취부(10)에는 패키지(92)의 축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실(91)이 공급된다. 권취부(10)는 복수의 실(91)을 각각 감아 복수의 패키지(92)를 제조한다.
2개의 권취부(10)는 각각 동일한 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상하의 권취부(10)를 종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부(10)는 프레임(11)과, 제1 하우징(20)과, 제2 하우징(30)과, 터렛 판(40)을 구비한다.
프레임(11)은 권취부(10)가 구비하는 각 부를 보유하는 부재이다. 제1 하우징(20)에는 트래버스 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트래버스 장치(21)는 후술하는 트래버스 가이드(23)가 실(91)과 계합한 상태에서 권폭 방향(패키지(92)의 축 방향)으로 왕복 움직임으로써 하류측으로 보내지는 실(91)을 트래버스시킨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 장치(21)는 트래버스 캠(22)과, 트래버스 가이드(23)를 구비한다.
트래버스 캠(22)은 보빈(90)과 평행하게 배치된 롤러상의 부재이다. 트래버스 캠(22)의 외주면에 나선상의 캠 홈이 형성되어 있다. 트래버스 캠(22)은 트래버스 모터(51)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트래버스 모터(51)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장치(50)는 CPU, ROM, RAM 등을 구비한다. CPU는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으로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권취부(10)에 관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한다.
트래버스 가이드(23)는 실 이송 롤러(100)로부터 후술하는 접촉 롤러(31)에 이르는 실(91)과 계합하는 부분이다. 트래버스 가이드(23)의 선단은 예를 들어 약 U자상의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고, 실(91)을 권폭 방향으로 끼워 넣도록 하여 실(91)과 계합한다. 트래버스 가이드(23)의 기단은 트래버스 캠(22)의 캠 홈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트래버스 캠(22)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트래버스 가이드(23)를 권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제2 하우징(30)에는 접촉 롤러(3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접촉 롤러(31)는 실(91)의 권취 시에 패키지(92)의 실층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면서 종동 회전함으로써 패키지(92)의 실층 형상을 정돈한다. 트래버스 장치(21)와 접촉 롤러(31)는 실 이송 롤러(100)에서 접촉 롤러(31)에 이르는 실(9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촉 롤러(31)는 도시를 생략한 아암을 통해 제2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다. 이 아암이 요동함으로써 접촉 롤러(31)는 제2 하우징(30)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접촉 롤러(31)는 자중으로 하방으로 이동하지만 실린더 등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어도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부(10)는 이 아암의 요동을 검출하는 위치 센서(52)를 구비한다. 위치 센서(52)는 예를 들어 접촉 센서이며, 제2 하우징(30)에 대해 접촉 롤러(31)가 소정 이상 가까워졌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접촉 롤러(31)의 검출 결과는 제어 장치(50)로 출력된다.
제2 하우징(30)에는 조작 패널(32)이 마련되어 있다. 조작 패널(32)은 오퍼레이터가 조작하는 장치이다. 오퍼레이터는 조작 패널(32)을 조작함으로써 권취부(10)에 대해 지시를 실시한다. 오퍼레이터가 실시하는 지시로서는, 예를 들어 권취의 개시, 권취의 정지, 권취 조건의 변경 등이다.
터렛 판(40)은 원판상의 부재이다. 터렛 판(40)은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터렛 판(40)의 회전 축은 터렛 판(40)의 중심 위치이다. 터렛 판(40)은 도 2에 나타내는 터렛 모터(53)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터렛 모터(53)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터렛 판(40) 중, 중심 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개소에는 각각 보빈 홀더(41)가 마련되어 있다. 보빈 홀더(41)에는 축 방향으로 나란히 복수의 보빈(90)을 장착 가능하다. 터렛 판(40)을 회전시킴으로써, 2개의 보빈 홀더(4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각 보빈 홀더(41)는 터렛 판(40)에 외팔보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보빈 홀더(41)는 보빈 홀더(41)의 축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터렛 판(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2개의 보빈 홀더(41)는 도 2에 나타내는 보빈 홀더 모터(54)에 의해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된다. 보빈 홀더 모터(54)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2개의 보빈 홀더(41)가 상하로 나열된 상태에서 높은 쪽의 보빈 홀더(41)에 대해 실(91)의 권취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한쪽 보빈 홀더(41)의 보빈(90)에 실걸이가 이루어진 후에, 다른쪽 보빈 홀더(41)가 접촉 롤러(31)와 접촉하고, 그 상태에서 해당 다른쪽 보빈 홀더(41)가 회전함으로써, 해당 다른쪽 보빈 홀더(41)의 보빈(90)에 실(91)이 감겨져 패키지(92)가 제조된다. 또한 접촉 롤러(31)와 접촉하는 위치에 있는 보빈 홀더(41)에 대하여 해당 보빈 홀더(41)의 자유단측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선단 지지 부재(4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소정량의 실(91)을 감아 패키지(92)가 만권이 되었을 경우, 터렛 판(40)이 회전함으로써, 2개의 보빈 홀더(41)의 위치가 전환된다. 그 후, 만권이 된 패키지(92)가 회수되면서, 한쪽 보빈 홀더(41)에 장착된 보빈(90)에 대해 실(91)이 감겨진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부(10)는 승강 장치(60)를 구비한다. 승강 장치(60)는 제1 하우징(20) 및 제2 하우징(30)을 일체적으로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20) 및 제2 하우징(30)은 도시를 생략한 승강 부재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 부재에는 볼 너트(6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1)에는 나사봉(62)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 모터(63)를 이용하여 나사봉(62)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하우징(20) 및 제2 하우징(3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 모터(63)는 제어 장치(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승강 장치(60)는 볼나사 대신 실린더를 이용하여 실현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 장치(50)는 패키지(92)의 두껍게 감겨짐에 따라 승강 장치(60)를 이하와 같이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롤러(31)는 제2 하우징(30)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다. 그 때문에, 실(91)이 감겨져 패키지(92)가 두껍게 감겨짐으로써 접촉 롤러(31)는 제2 하우징(3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제어 장치(50)는 위치 센서(52)로부터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하우징(30)에 대해 접촉 롤러(31)가 소정 이상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장치(50)는 제2 하우징(30)에 대하여 접촉 롤러(31)가 소정 이상 접근했다고 판정한 경우, 승강 장치(60)를 제어하여 제1 하우징(20) 및 제2 하우징(30)을 상승시킨다. 이상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패키지(92)의 두껍게 감겨짐에 따라 제1 하우징(20) 및 제2 하우징(3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권취부(10)에 공급되는 실(91)의 사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측에 배치되는 권취부(10)를 "상단 권취부(10)"라고 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권취부(10)를 "하단 권취부(10)"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단 권취부(10)에 공급되는 실(91)이 상단 권취부(1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 권취부(10)는 수평 방향의 위치를 편위시켜 배치되어 있다. 상단 권취부(10)와 하단 권취부(10)의 편위 방향은, 수평면 내에서 패키지(92)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일의 실 이송 롤러(100)에서 상단 권취부(10)와 하단 권취부(10)에 실(91)이 공급된다. 따라서, 양쪽 권취부(10)에 공급되는 실(91)의 사도를 연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하단 권취부(10)에 공급되는 실(91)의 사도를 연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하고 상단 권취부(10)에 공급되는 실(91)의 사도를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상단 권취부(10)에 공급되는 실(91)의 사도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하단 권취부(10)에 공급되는 실(91)의 사도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도 크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행"이라는 용어는 엄밀하게 평행할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평행(각도가 약간 다른 것)도 포함한다. "수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사도는 권취의 진행 또는 트래버스 장치(21)의 위치 등에 따라 변화할 수 있지만,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사도는 권취의 개시 시점에서의 사도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상단 권취부(10)에서는 경사지는 사도에 대응한 레이아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실(91)의 권취에 관한 장치를 모두 경사지게 했을 경우, 상단 권취부(10)의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단 권취부(10) 중, 제1 하우징(20)만이 사도를 따르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트래버스 장치(21)가 사도를 따르도록 배치되므로 트래버스 가이드(23)를 이용하여 실(91)을 적절하게 트래버스시킬 수 있다. 또한, 권취에 관한 장치를 모두 경사지게 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실 권취기(1)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래버스 장치(21)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생기는 영향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트래버스 장치(21) 및 그 근방의 정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래버스 장치(21)는 상류 가이드 레일(24)과 하류 가이드 레일(25)을 구비한다. 상류 가이드 레일(24) 및 하류 가이드 레일(25)은 트래버스 가이드(23)와 접촉하여 트래버스 가이드(23)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류 가이드 레일(24) 및 하류 가이드 레일(25)은 트래버스 가이드(23)의 권폭 방향(트래버스 방향)의 이동을 허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류 가이드 레일(24)과 하류 가이드 레일(25)에 의해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된다. 트래버스 가이드(23)의 일부는 이 슬라이드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트래버스 가이드(23)는 권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또한, 상류 가이드 레일(24)은 트래버스 가이드(23)의 상면과 접촉하여 간섭함으로써 트래버스 가이드(23)의 사도의 상류측을 향하는 이동을 규제한다. 하류 가이드 레일(25)은 트래버스 가이드(23)의 하면과 접촉하여 간섭함으로써 트래버스 가이드(23)의 사도의 하류측을 향하는 이동을 규제한다. 이 구성에 의해 트래버스 가이드(23)는 사도를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권폭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류 가이드 레일(24) 중, 사도와 대향하는 면을 상류 대향면(24a)이라고 한다. 하류 가이드 레일(25) 중, 사도와 대향하는 면을 하류 대향면(25a)이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도의 경사에 맞추어 트래버스 장치(21)를 경사지게 하고 있기 때문에 상류 대향면(24a)은 사도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류 대향면(24a)은 2단 형상으로 되어 있고 위치가 다른 2개의 면을 포함하는데, 어느 면이든 사도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 형태의 하류 대향면(25a)은 사도의 하류와 가까워짐에 따라 해당 사도로부터 이격되는 퇴피면(25b)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하류 대향면(25a)은 2단 형상으로 되어 있고, 사도와 가까운 쪽의 면이 퇴피면(25b)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퇴피면(25b)은 경사면(평면)이지만 만곡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퇴피면(25b)은 연직 방향을 따른다. 단, 실 권취기(1)의 사도에 따라서는 퇴피면(25b)이 연직 방향에 대하여 사도측이어도 되고, 트래버스 캠(22)측이어도 된다. 상류 대향면(24a)에 퇴피면을 마련할 필요성은 희박하지만 부품의 대칭성 등을 고려하여 상류 대향면(24a)에 퇴피면(25b)과 대칭형상의 면(사도의 상류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사도로부터 퇴피하는 면)을 마련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단의 하류 대향면(25a)의 한쪽이 퇴피면(25b)이지만 하류 대향면(25a)의 전체가 퇴피면(25b)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권취부(10)는 접촉 롤러(31)에 대한 트래버스 가이드(23)의 높이를 일시적으로 변경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패키지(92)의 형상을 정돈하는 기능을 갖는다. 접촉 롤러(31)에 대한 트래버스 가이드(23)의 높이는 예를 들어 상술한 승강 장치(60)를 제어함으로써 변경 가능하다. 승강 장치(60)에 의해, 제1 하우징(20) 및 제2 하우징(30)이 상승시킨 경우, 트래버스 가이드(23)의 높이가 높아지는 반면, 접촉 롤러(31)의 높이는 자중에 의해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롤러(31)에 대한 트래버스 가이드(23)의 높이를 높게 했을 경우, 실(91)의 프리렝스가 길어진다(도 4의 FL1에서 FL2가 된다). 이에 따라, 트래버스 지연이 길어지고(도 4의 D1에서 D2가 됨), 트래버스 폭이 짧아진다. 따라서, 접촉 롤러(31)에 대한 트래버스 가이드(23)의 높이를 일시적으로 높게 함으로써, 패키지(92)의 권폭 방향 단부의 실층이 두꺼워지는 것(두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롤러(31)에 대한 트래버스 가이드(23)의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사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퇴피면(25b)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경우는, 실(91)과 하류 가이드 레일(25)이 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의 하류 가이드 레일(25)에는 퇴피면(25b)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어 시에 있어서 실(91)과 하류 가이드 레일(25)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실걸이 시의 보빈(90)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걸이란, 실 권취기(1)에 의한 권취 전에 한쪽 보빈 홀더(41)의 보빈(90)에 실(91)을 거는(고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석션 건 등을 이용하여 실(91)을 포착하여 보빈(90)에 복수회 권부함으로써 실걸이가 이루어진다. 또한, 오퍼레이터를 대신하여 실 권취기(1)가 실걸이를 해도 된다.
오퍼레이터는, 예를 들어 조작 패널(32)을 조작하여 실걸이를 하는 것을 입력한다. 오퍼레이터의 입력을 받아 제어 장치(50)는 터렛 모터(53)를 제어하여 터렛 판(4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보빈 홀더(41)가 실걸이 위치에 도달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보빈 홀더(41)의 실걸이 위치는 접촉 롤러(31)를 기준으로 하여 트래버스 가이드측이다. 그 후, 오퍼레이터에 의한 실걸이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빈 홀더(41)의 실걸이 위치가 접촉 롤러(31)를 기준으로 하여 트래버스 가이드측인 경우, 사도가 트래버스 가이드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그 때문에, 실(91)이 하류 가이드 레일(25)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하류 가이드 레일(25)의 형상이면, 실(91)이 하류 가이드 레일(25)과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의 하류 가이드 레일(25)에는 퇴피면(25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91)이 하류 가이드 레일(25)과 접촉하기 어렵다. 한편, 종래의 하류 가이드 레일(25)의 형상에서 실(91)이 하류 가이드 레일(25)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도가 접촉 롤러(31)측으로 당겨지도록 실걸이 위치에 보빈 홀더(41)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빈 홀더(41)의 실걸이 위치를 선택하면 실(91)이 접촉 롤러(31)와 접촉하여 실걸이 작업 실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선단 지지 부재(45)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걸이 작업이 곤란해진다. 이와 같이 하류 가이드 레일(25)에 퇴피면(25b)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실걸이 작업 실수를 일으키지 않고 실걸이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보빈 홀더(41)의 실걸이 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는 보빈 홀더(41)와, 접촉 롤러(31)와, 트래버스 장치(21)를 구비한다. 보빈 홀더(41)는 보빈(90)을 보유한다. 접촉 롤러(31)는 패키지(92)와 접촉하여 회전한다. 트래버스 장치(21)는 접촉 롤러(31)에 대향하고 있고, 실 이송 롤러(100)에서 접촉 롤러(31)에 이르는 실(91)을 해당 트래버스 장치(21)와 접촉 롤러(31)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다. 트래버스 장치(21)는 트래버스 가이드(23)와, 상류 가이드 레일(24)과, 하류 가이드 레일(25)을 갖는다. 트래버스 가이드(23)는 실 이송 롤러(100)에서 접촉 롤러(31)에 이르는 실(91)과 접촉하여 실(91)을 트래버스한다. 상류 가이드 레일(24)은 트래버스 가이드(23)의 권폭 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트래버스 가이드(23)의 사도의 상류측을 향하는 이동을 규제한다. 하류 가이드 레일(25)은 트래버스 가이드(23)의 권폭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고, 트래버스 가이드(23)의 사도의 하류측을 향하는 이동을 규제한다. 실(91)의 권취 중에 있어서, 실 이송 롤러(100)으로부터 접촉 롤러(31)까지의 사도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하류 가이드 레일(25) 중, 사도와 대향하는 하류 대향면(25a)은 패키지(92)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사도의 하류와 가까워짐에 따라 사도로부터 이격되는 퇴피면(25b)을 포함한다.
하류 가이드 레일(25)에 퇴피면(25b)이 형성됨으로써, 실걸이 작업 시에 실(91)이 걸리게 되는 보빈 홀더(41)의 위치를 접촉 롤러(31)에서 트래버스 장치(21)측으로 당긴 위치로 할 수 있고, 실 이송 롤러(100)에서 보빈 홀더(41)에 이르는 실(91)을 접촉 롤러(31)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걸이 작업 시에 실(91)이 접촉 롤러(31)와 접촉하여 실 끊어짐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실걸이 작업 시의 보빈 홀더(41)의 위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 있어서, 패키지(92)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류 대향면(24a)은 사도를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다.
실(91)과 접촉할 개연성이 높은 하류 가이드 레일(25)에만 퇴피면(25b)을 형성함으로써 상류 가이드 레일(24)의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 있어서, 보빈 홀더(41), 접촉 롤러(31), 트래버스 장치(21)를 포함하는 권취부(10)를 복수개 구비한다. 권취부(10)가 상하 또는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권취부(10)가 나란히 배치되고, 단일의 실 이송 롤러(100)로부터 실(91)이 공급되는 경우, 실 이송 롤러(100)에서 접촉 롤러(31)까지의 사도를 경사지게 하지 않을 수 없다. 그 때문에 하류 가이드 레일(25)에 퇴피면(25b)을 마련한 구성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 있어서, 권취부(10)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실 이송 롤러(100)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접촉 롤러(31)까지의 사도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실 이송 롤러(100)로부터 하측에 배치되는 접촉 롤러(31)까지의 사도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도 크다. 적어도 상측에 배치되는 권취부(10)의 하류 가이드 레일(25)의 하류 대향면(25a)이 퇴피면(25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도가 경사지는 쪽의 권취부(10)의 하류 가이드 레일(25)에 퇴피면(25b)을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는 실 권취기(1)에 대하여 실 이송 롤러(1)가 위치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했을 때, 트래버스 가이드(23)를 접촉 롤러(31)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60)를 구비한다.
트래버스 가이드(23)와 접촉 롤러(31)의 상대적인 높이가 변화으로써 연직 방향에 대한 사도의 경사 각도가 변화한다. 그 때문에 하류 가이드 레일(25)에 퇴피면(25b)을 마련한 구성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에 있어서, 패키지(92)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보빈(90)에 실(91)을 거는 실걸이 위치는 접촉 롤러(31)를 기준으로 하여 트래버스 가이드(23)측이다.
실걸이 위치가 트래버스 가이드측인 경우, 실걸이 시에 사도가 하류 가이드 레일(25)과 가까워진다. 그 때문에, 하류 가이드 레일(25)에 퇴피면(25b)을 마련한 구성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는데, 상기 구성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실 권취기(1)는 권취부(10)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를 대신하여 권취부(10)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실 이송 롤러(100)에서 적어도 한쪽 권취부(10)로 공급되는 실(91)의 사도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 이송 롤러(100)로부터 공급되는 실(91)의 사도가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모든 실 권취기에 적용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의 트래버스 장치(21)는 캠 드럼식이지만 트래버스 가이드(23)를 권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다른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트래버스 장치(21)를 대신해 벨트식 트래버스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트래버스 장치(21)에 있어서, 하단 권취부(10)의 상류 대향면(24a) 및 하류 대향면(25a)은 사도를 따르도록 형성해도 된다.

Claims (6)

  1. 실 이송 롤러로부터 보내진 실을 보빈에 감아 패키지를 제조하는 실 권취기로서,
    상기 보빈을 보유하는 보빈 홀더와,
    상기 패키지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접촉 롤러와,
    상기 접촉 롤러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상기 접촉 롤러에 이르는 실을 상기 접촉 롤러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트래버스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상기 접촉 롤러에 이르는 실과 접촉하여 해당 실을 트래버스하는 트래버스 가이드와,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권폭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사도의 상류측을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는 상류 가이드 레일과,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상기 권폭 방향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의 상기 사도의 하류측을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는 하류 가이드 레일
    을 가지며,
    실의 권취 중에 있어서,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상기 접촉 롤러까지의 사도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하류 가이드 레일 중 상기 사도와 대향하는 하류 대향면은, 상기 패키지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사도의 하류에 가까워짐에 따라 해당 사도로부터 이격되는 퇴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상류 가이드 레일 중 상기 사도와 대향하는 상류 대향면은 상기 사도를 따르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홀더, 상기 접촉 롤러, 상기 트래버스 장치를 포함하는 권취부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권취부가 상하 또는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촉 롤러까지의 사도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상기 실 이송 롤러로부터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접촉 롤러까지의 사도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보다도 크고,
    적어도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권취부의 상기 하류 가이드 레일의 상기 하류 대향면이 상기 퇴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 권취기에 대하여 상기 실 이송 롤러가 위치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트래버스 가이드를 상기 접촉 롤러에 대하여 상기 높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의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보빈에 실을 거는 실걸이 위치는, 상기 접촉 롤러를 기준으로 하여, 트래버스 가이드 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권취기.
KR1020230015548A 2022-03-16 2023-02-06 실 권취기 KR202301355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41181A JP2023135874A (ja) 2022-03-16 2022-03-16 糸巻取機
JPJP-P-2022-041181 2022-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504A true KR20230135504A (ko) 2023-09-25

Family

ID=8528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5548A KR20230135504A (ko) 2022-03-16 2023-02-06 실 권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245705A1 (ko)
JP (1) JP2023135874A (ko)
KR (1) KR20230135504A (ko)
CN (1) CN1167679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9831U (ja) 2014-04-22 2017-04-13 鄭州中遠スパンデックス工程技術有限公司Zhengzhou Zhongyuan Spandex Engineering Technology Co.,Ltd 巻取り装置及び紡糸エリア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9005Y2 (ko) * 1974-02-27 1976-09-24
DE69806795T2 (de) * 1997-10-06 2003-04-03 Du Pont Wickler für synthetische filamente
KR100936247B1 (ko) * 2007-10-23 2010-01-12 일진에이테크 주식회사 이중 데크를 갖는 사권취 장치
JP4523053B2 (ja) * 2008-07-18 2010-08-11 Tmtマシナリー株式会社 糸条巻取機
CN208814380U (zh) * 2017-07-17 2019-05-03 上海金纬化纤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纱线络筒机横动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9831U (ja) 2014-04-22 2017-04-13 鄭州中遠スパンデックス工程技術有限公司Zhengzhou Zhongyuan Spandex Engineering Technology Co.,Ltd 巻取り装置及び紡糸エリ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35874A (ja) 2023-09-29
CN116767942A (zh) 2023-09-19
EP4245705A1 (en)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7732B1 (en) Spinning winder
JP2015164875A (ja) 糸巻取機
JP5832152B2 (ja) 空ボビンを装着するための運動可能な移動装置を備えた、綾巻き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繊維機械
CN110699789B (zh) 用于加捻机或直捻机的供纱装置
JP7014804B2 (ja) 巻取り機
JP2004106972A (ja) 綾振り装置
JP5730557B2 (ja) 糸条巻取機
KR100745498B1 (ko) 탄성사용 권취시스템, 탄성사용 권취기 및 탄성사의권취방법
EP1995201A2 (en) Yarn take-up winder
CN104944221B (zh) 纱管存放装置及纱线卷绕机
KR20230135504A (ko) 실 권취기
JP4612673B2 (ja) 巻取り装置
EP1616829B1 (en) Yarn guide device of revolving type automatic winder
KR20230139318A (ko) 실 권취기
JP6337569B2 (ja) 糸条巻取装置と糸条巻取方法
JP6453717B2 (ja) 巻き取り装置を備える繊維機械
JP4088853B2 (ja) 解舒装置
JP2024038600A (ja) 糸巻取機
KR20230133192A (ko) 실 권취기
EP4378868A1 (en) Yarn winder
JP2020172709A (ja) 繊維機械
JPH08310723A (ja) 巻取機
JP2000128435A (ja) 合成繊維の巻取装置および巻取方法
JP2022030820A (ja) 紡糸引取機
JP2022085641A (ja) 糸巻取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