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212A -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212A
KR20230135212A KR1020220032070A KR20220032070A KR20230135212A KR 20230135212 A KR20230135212 A KR 20230135212A KR 1020220032070 A KR1020220032070 A KR 1020220032070A KR 20220032070 A KR20220032070 A KR 20220032070A KR 20230135212 A KR20230135212 A KR 2023013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input pad
input
outpu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신기해
박영진
송현섭
신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2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212A/ko
Priority to US18/098,374 priority patent/US20230300981A1/en
Priority to CN202320476785.4U priority patent/CN220475982U/zh
Publication of KR2023013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9Use of materials for the conductive, e.g. metallic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5Via connections; Lands around holes or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381Shape of non-curved single flat metallic pad, land or exposed part thereof; Shape of electrode of leadless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18Special orientation of pads, lands or terminals of component, e.g. radial or polygonal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인쇄 회로 기판은 베이스 부재,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과 제2 배선 및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제1 배선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 패드 및 제2 입력 패드를 각각 포함하며, 제2 배선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제1 출력 패드 및 제2 출력 패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옵션 패드부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매체인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OLE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device, PDP), 양자점 표시 장치(quantum dot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표시 장치는 2개 이상의 전자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때, 솔더링(soldering)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솔더링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패드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등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불량이 개선된 인쇄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이 이와 같은 목적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과 제2 배선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배선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 패드 및 제2 입력 패드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선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전압을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제1 출력 패드 및 제2 출력 패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옵션 패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상기 제2 입력 패드,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 각각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상기 제2 입력 패드,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 각각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는 제1 행 및 제1 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는 상기 제1 행에 인접한 제2 행 및 상기 제1 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입력 패드는 상기 제2 행 및 상기 제1 열에 인접한 제2 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출력 패드는 상기 제1 행 및 상기 제2 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연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물질은 납(P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은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1 출력 패드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은 상기 제2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은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에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1 입력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 배선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 각각에 제1 관통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브릿지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제2 출력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 배선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 각각에 제2 관통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브릿지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벤딩 영역 및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과 제2 배선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배선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 패드 및 제2 입력 패드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선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전압을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제1 출력 패드 및 제2 출력 패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옵션 패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상기 제2 입력 패드,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 각각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 패드 또는 상기 제2 입력 패드를 포함하는 입력 패드와 상기 제1 출력 패드 또는 상기 제2 출력 패드를 포함하는 출력 패드에 각각 접촉하는 연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 물질은 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1 입력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 배선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 각각에 제1 관통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브릿지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의 복수의 옵션 패드부들 각각은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 패드 및 제2 입력 패드를 포함하고,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제1 출력 패드 및 제2 출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쇄 회로 기판의 옵션 패드부들 각각은 2개의 입력 패드들 및 2개의 출력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패드와 출력 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패드의 쇼트(short)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회로 기판의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인쇄 회로 기판의 일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제2 패드부의 입력 패드와 출력 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의 일 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제2 패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DP)이 벤딩되기 전 상태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DP), 구동 집적 회로(DIC), 인쇄 회로 기판(PCB), 신호 제어 회로(SC) 및 전원 제어 모듈(PC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DP)은 패드 전극들(PE) 및 복수의 화소들(PX)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영역(DA), 벤딩 영역(BA) 및 패드 영역(PA)으로 구분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은 표시 영역(DA)의 일 측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의 상면에 평행한 제2 방향(DR2)과 반대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평면 상에서 표시 영역(DA)과 패드 영역(P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장치(101)는 표시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101)는 인쇄 회로 기판(PCB)을 통해 표시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장치(101)는 표시 패널(DP)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전기적 신호, 전압 등을 생성할 수 있다.
패드 영역(PA)에는 패드 전극들(PE)이 배치될 수 있다. 패드 전극들(PE)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R1)은 표시 장치(100)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패드 전극들(PE)의 일부는 배선을 통해 구동 집적 회로(DIC)와 연결될 수 있고, 패드 전극들(PE)의 나머지는 배선을 통해 복수의 화소들(PX)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 전극들(FPE) 각각은 금속, 합금, 금속 질화물, 도전성 금속 산화물, 투명 도전성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PCB)의 일단은 표시 패널(DP)의 패드 전극들(P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PCB)의 타단은 외부 장치(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101)로부터 생성된 상기 전기적 신호, 상기 전압 등이 인쇄 회로 기판(PCB)을 통해 구동 집적 회로(DIC) 및 복수의 화소들(PX)에 제공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는 외부 장치(101)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표시 패널(DP)에 전달하기 위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는 표시 패널(DP)에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제어 회로(SC)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는 표시 패널(DP)에 제공되는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 모듈(PCM)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집적 회로(DIC)는 표시 패널(DP) 상의 패드 영역(PA)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집적 회로(DIC)는 상기 전기적 신호 중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복수의 화소들(PX)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집적 회로(DIC)는 데이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시 장치(100)는 게이트 드라이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는 표시 영역(D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PX)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 각각은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들(PX)은 표시 영역(DA)에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방향(DR2)은 제1 방향(DR1)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PX)과 연결되는 배선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배선들은 데이터 신호 배선, 게이트 신호 배선, 전원 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는 본 발명의 표시 영역(DA), 벤딩 영역(BA) 및 패드 영역(PA) 각각의 형상이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 벤딩 영역(BA) 및 패드 영역(PA) 각각의 형상은 삼각형의 평면 형상, 마름모의 평면 형상, 원형의 평면 형상, 트랙형의 평면 형상 또는 타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본 발명의 구동 집적 회로(DIC)가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는 칩 온 플라스틱(chip on plastic, COP) 구조 또는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 집적 회로(DIC)는 연성 필름(flexible film) 상에 직접 배치되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구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인쇄 회로 기판(PCB)은 상기 연성 필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장치가 벤딩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DP)이 벤딩되기 전 상태이고,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DP)이 벤딩된 상태이다. 표시 장치(100)는 벤딩 영역(BA)과 중첩하는 표시 패널(DP)의 부분이 벤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 패널(DP), 하부 보호 필름(LPF), 하부 접착층(LAL), 스페이서(SP), 기능성 부재(FM), 편광 부재(POL), 벤딩 보호층(BPL), 상부 접착층(UAL), 커버 윈도우(CW), 구동 집적 회로(DIC), 커버 테이프(CTP), 인쇄 회로 기판(PCB) 및 도전 테이프(CT)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DP)은 패드 전극(PE)을 포함할 수 있고, 하부 보호 필름(LPF)은 제1 보호 필름(PF1) 및 제2 보호 필름(PF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저면 상에 하부 보호 필름(LPF)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의 저면 상의 표시 영역(DA)에 제1 보호 필름(PF1)이 배치될 수 있고, 표시 패널(DP)의 저면 상의 패드 영역(PA)에 제2 보호 필름(PF2)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 보호 필름(LPF)은 표시 패널(DP)의 저면 상의 벤딩 영역(BA)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하부 보호 필름(LPF)은 표시 패널(DP)의 저면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보호 필름(LPF)은 포토레지스트,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부 보호 필름(LPF)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트렌(polystyrene, PS),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과 하부 보호 필름(LPF) 사이에 접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하부 보호 필름(LPF)을 표시 패널(DP)의 저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벤딩 영역(BA)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보호 필름(PF1)의 저면 상에 하부 접착층(LAL)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접착층(LAL)은 기능성 부재(FM)를 제1 보호 필름(PF1)의 저면에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접착층(LAL)은 광학용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압감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용 투명 수지(optical clear resin, OC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부 접착층(LAL)의 저면 상에 기능성 부재(FM)가 배치될 수 있다. 기능성 부재(FM)는 디지타이저, 방열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지타이저는 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이 커버 윈도우(CW) 상에 접촉될 경우, 상기 입력 수단의 좌표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는 전자기 공진 방식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은 표시 패널(DP)의 저면으로 전달되는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방열판은 열 전도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판은 그라파이트(graphite)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열판은 알루미늄(Al), 알루미늄을 함유하는 합금, 구리(Cu), 구리를 함유하는 합금, 은(Ag), 은을 함유하는 합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2 보호 필름(PF2)의 저면 상에 스페이서(SP)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SP)는 단차를 보상해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페이서(SP)는 접착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페이서(SP)는 기능성 부재(FM)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SP)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SP)는 PET, PP, PC, PS, P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 상의 표시 영역(DA)에 편광 부재(POL)가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외부로부터 표시 패널(DP)로 입사하는 외광을 차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 상에 벤딩 보호층(BPL)이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표시 영역(DA)의 일부, 벤딩 영역(BA) 및 패드 영역(PA)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벤딩 영역(BA)에서 표시 장치(100)의 중립면을 상승시켜 줄 수 있다. 벤딩 보호층(BPL)은 광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아미노 수지(amino resin), 페놀 수지(phenol resin), 우레아 수지(urea resin),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불포화 폴리에스텔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hane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편광 부재(POL) 및 벤딩 보호층(BPL) 상에 상부 접착층(UAL)이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접착층(UAL)은 벤딩 보호층(BPL)의 일부 및 편광 부재(POL)와 중첩할 수 있다. 상부 접착층(UAL)은 편광 부재(POL) 및 벤딩 보호층(BPL) 상에 커버 윈도우(CW)를 접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접착층(UAL)은 OCA, PSA, OC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부 접착층(UAL) 상에 커버 윈도우(CW)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편광 부재(POL), 벤딩 보호층(BPL), 표시 패널(DP) 등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강화 유리, 강화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커버 윈도우(CW)는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기능층들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PCB)의 저면 상에 도전 테이프(CT)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영역(BA)과 중첩하는 표시 패널(DP)의 부분이 벤딩되는 경우, 도전 테이프(CT)는 단차를 보상해줄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전 테이프(CT)는 접착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도전 테이프(CT)는 기능성 부재(FM)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 테이프(CT)는 이방성 도전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집적 회로(DIC) 상의 패드 영역(PA)에 커버 테이프(CTP)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테이프(CTP)는 벤딩 보호층(BPL)의 일부 및 연결 필름(CF)의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과 인접하는 패드 영역(PA)에서 커버 테이프(CTP)의 일단은 벤딩 보호층(BPL)과 중첩하고, 커버 테이프(CTP)의 타단은 인쇄 회로 기판(PCB)과 중첩할 수 있다. 즉, 커버 테이프(CTP)는 구동 집적 회로(DIC)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테이프(CTP)는 PET 등과 같은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 테이프(CTP)는 벤딩 보호층(BPL)의 일부 및 인쇄 회로 기판(PCB)의 일부에만 접촉할 수도 있다. 즉, 커버 테이프(CTP)는 표시 패널(DP)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고, 커버 테이프(CTP)와 표시 패널(DP)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인쇄 회로 기판의 일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인쇄 회로 기판(PCB)은 베이스 부재(BS), 제1 패드부들(PD1), 제2 패드부들(PD2), 제1 배선들(LN1), 제2 배선들(LN2), 제3 배선들(LN3) 및 제4 배선들(LN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BS)는 가요성(flexible)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BS)는 폴리이미드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BS) 상에 제1 배선들(LN1) 및 제2 배선들(LN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선들(LN1) 각각은 제1 방향(DR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배선들(LN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선들(LN2)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배선들(LN2)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BS) 상에 제3 배선들(LN3) 및 제4 배선들(LN4)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배선들(LN3) 각각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배선들(LN3)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배선들(LN4) 각각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배선들(LN4)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BS) 상에 제1 패드부들(PD1) 및 제2 패드부들(PD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부들(PD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패드부들(PD2)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패드부들(PD2) 각각은 제1 입력 패드(IPD1), 제2 입력 패드(IPD2),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패드부들(PD2) 각각은 2개의 입력 패드들 및 2개의 출력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패드부들(PD2) 각각은 4개의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패드(IPD1), 제2 입력 패드(IPD2),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 각각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선(LN1)은 제1 패드부(PD1)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배선(LN3)은 제1 패드부(PD1)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선(LN2)은 제2 패드부(PD2)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배선(LN4)은 제2 패드부(PD2)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4 배선(LN4)은 제3 배선(LN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배선(LN2)은 제2 패드부(PD2)의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배선(LN4)은 제2 패드부(PD2)의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선(LN1)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제어 회로(SC) 또는 전원 제어 모듈(P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배선(LN2)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제어 회로(SC) 또는 전원 제어 모듈(P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배선(LN2)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제어 회로(SC) 또는 전원 제어 모듈(P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배선(LN1)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제어 회로(SC) 또는 전원 제어 모듈(P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배선(LN2)이 도 1에 도시된 신호 제어 회로(SC) 또는 전원 제어 모듈(P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는 제2 배선(LN2)을 통해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는 제4 배선(LN4)을 통해 상기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전압을 표시 패널(예를 들어, 도 1의 표시 패널(DP))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는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직교하는 제2 방향(DR2)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상에서,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 상에서, 제1 입력 패드(IPD1)는 제1 행(1N) 및 제1 열(1M)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출력 패드(OPD1)는 제1 행(1N)에 인접한 제2 행(2N) 및 제1 열(1M)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 상에서, 제2 입력 패드(IPD2)는 제2 행(2N) 및 제1 열(1M)에 인접한 제2 열(2M)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출력 패드(OPD2)는 제1 행(1N) 및 제2 열(2M)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배선(LN2)은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4 배선(LN4)은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배선(LN2)은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와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되고, 제4 배선(LN4)은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와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배선(LN2)은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제4 배선(LN4)은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입력 패드(IPD1), 제2 입력 패드(IPD2),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 각각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제1 입력 패드(IPD1), 제2 입력 패드(IPD2),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 각각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입력 패드(IPD1), 제2 입력 패드(IPD2),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 각각의 평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패드부들(PD1) 각각의 패드들은 0옴 저항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패드부들(PD2) 각각의 입력 패드(예를 들어, 제1 입력 패드(IPD1) 또는 제2 입력 패드(IPD2)) 및 출력 패드(예를 들어, 제1 출력 패드(OPD1) 또는 제2 출력 패드(OPD2))는 옵션 저항(option resistor)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옵션 저항은 납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부들(PD2) 각각은 옵션 패드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제2 패드부의 입력 패드와 출력 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인쇄 회로 기판(PCB)은 연결층(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층(CL)은 입력 패드(예를 들어, 제1 입력 패드(IPD1) 또는 제2 입력 패드(IPD2)) 및 출력 패드(제1 출력 패드(OPD1) 또는 제2 출력 패드(OPD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층(CL)은 상기 입력 패드 및 상기 출력 패드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연결층(CL)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층(CL)은 납(P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연결층(CL)은 솔더링(soldering)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층(CL)은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1 출력 패드(OPD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층(CL)은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1 출력 패드(OPD1)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LN2)이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배치되는 부품(예를 들어, 도 1의 신호 제어 회로(SC) 또는 전원 제어 모듈(P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상기 부품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은 제2 배선(LN2), 제1 입력 패드(IPD1), 연결층(CL),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4 배선(LN4)을 통해 표시 패널(예를 들어, 도 1의 표시 패널(DP))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입력 패드(IPD2) 및 제2 출력 패드(OPD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층(CL)은 제2 입력 패드(IPD2) 및 제2 출력 패드(OPD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층(CL)은 제2 입력 패드(IPD2) 및 제2 출력 패드(OPD2)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LN2)이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배치되는 부품(예를 들어, 도 1의 신호 제어 회로(SC) 또는 전원 제어 모듈(P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상기 부품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은 제2 배선(LN2), 제2 입력 패드(IPD2), 연결층(CL), 제2 출력 패드(OPD2) 및 제4 배선(LN4)을 통해 표시 패널(예를 들어, 도 1의 표시 패널(DP))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1 출력 패드(OPD1)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층(CL)은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연결층(CL)은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와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선(LN2)이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배치되는 부품(예를 들어, 도 1의 신호 제어 회로(SC) 또는 전원 제어 모듈(P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 상기 부품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은 제2 배선(LN2), 제1 입력 패드(IPD1), 연결층(CL), 제2 출력 패드(OPD2) 및 제4 배선(LN4)을 통해 표시 패널(예를 들어, 도 1의 표시 패널(DP))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인쇄 회로 기판(PCB)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PCB)의 제2 패드부들(PD2)(즉, 옵션 패드부들) 각각은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전압을 표시 패널(예를 들어, 도 1의 표시 패널(DP))에 제공하는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쇄 회로 기판(PCB)의 제2 패드부들(PD2) 각각은 2개의 입력 패드들(예를 들어,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 및 2개의 출력 패드들(예를 들어,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 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입력 패드와 상기 출력 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출력 패드의 쇼트(short) 가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쇄 회로 기판(PCB)의 불량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의 일 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5, 도 6,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인쇄 회로 기판(PCB)은 베이스 부재(BS), 제1 패드부들(PD1), 제2 패드부들(PD2), 제1 배선들(LN1), 제2 배선들(LN2), 제3 배선들(LN3) 및 제4 배선들(LN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쇄 회로 기판(PCB)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선(LN2)은 제1 연결 배선(CL1) 및 평면 상에서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브릿지 배선(BR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 배선(CL1)은 제1 입력 패드(IPD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브릿지 배선(BR1)은 제1 관통홀(TH1)을 통해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 배선(CL1)은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브릿지 배선(BR1)은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브릿지 배선(BR1)은 제1 입력 패드(IPD1) 및 제2 입력 패드(IPD2)와 다른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배선(LN4)은 제2 연결 배선(CL2) 및 평면 상에서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브릿지 배선(BR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연결 배선(CL2)은 제2 출력 패드(OPD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브릿지 배선(BR2)은 제2 관통홀(TH2)을 통해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 배선(CL2)은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 브릿지 배선(BR2)은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브릿지 배선(BR2)은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와 다른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제2 패드부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5, 도 6,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인쇄 회로 기판(PCB)은 베이스 부재(BS), 제1 패드부들(PD1), 제2 패드부들(PD2), 제1 배선들(LN1), 제2 배선들(LN2), 제3 배선들(LN3) 및 제4 배선들(LN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패드부들(PD2) 각각은 제1 입력 패드(IPD1), 제2 입력 패드(IPD2),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인쇄 회로 기판(PCB)의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제1 입력 패드(IPD1), 제2 입력 패드(IPD2),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 각각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제1 입력 패드(IPD1), 제2 입력 패드(IPD2),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 각각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제1 입력 패드(IPD1), 제2 입력 패드(IPD2),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 각각은 육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면 상에서, 제1 입력 패드(IPD1), 제2 입력 패드(IPD2), 제1 출력 패드(OPD1) 및 제2 출력 패드(OPD2) 각각은 다양한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고해상도 스마트폰, 휴대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워치, 태블릿 PC,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노트북 등에 적용될 수 있다.
100: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DIC: 구동 집적 회로 PCB: 인쇄 회로 기판
BS: 베이스 부재 DA: 표시 영역
BA: 벤딩 영역 PA: 패드 영역
PD1: 제1 패드부 PD2: 제2 패드부
IPD1, IPD2: 제1 및 제2 입력 패드들
OPD1, OPD2: 제1 및 제2 출력 패드들
LN1, LN2, LN3, LN4: 제1 내지 제4 배선들

Claims (20)

  1.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과 제2 배선;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배선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 패드 및 제2 입력 패드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선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전압을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제1 출력 패드 및 제2 출력 패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옵션 패드부들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2.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상기 제2 입력 패드,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 각각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3.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상기 제2 입력 패드,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 각각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4.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5. 제1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는 제1 행 및 제1 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는 상기 제1 행에 인접한 제2 행 및 상기 제1 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입력 패드는 상기 제2 행 및 상기 제1 열에 인접한 제2 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출력 패드는 상기 제1 행 및 상기 제2 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연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물질은 납(P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은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1 출력 패드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은 상기 제2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층은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1 입력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 배선;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 각각에 제1 관통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브릿지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제2 출력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 배선;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 각각에 제2 관통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브릿지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
  14. 표시 영역, 벤딩 영역 및 패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상기 패드 영역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제1 배선과 제2 배선;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배선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 또는 전압을 수신하는 제1 입력 패드 및 제2 입력 패드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선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기적 신호 또는 상기 전압을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제1 출력 패드 및 제2 출력 패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옵션 패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상기 제2 입력 패드,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 각각은 삼각형, 사각형 및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 사이의 제1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고,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는 상기 제1 대각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베이스 부재 상에 배치되고, 금속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 패드 또는 상기 제2 입력 패드를 포함하는 입력 패드와 상기 제1 출력 패드 또는 상기 제2 출력 패드를 포함하는 출력 패드에 각각 접촉하는 연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물질은 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제1 출력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패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1 입력 패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 배선; 및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력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패드 각각에 제1 관통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브릿지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20032070A 2022-03-15 2022-03-15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30135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70A KR20230135212A (ko) 2022-03-15 2022-03-15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8/098,374 US20230300981A1 (en) 2022-03-15 2023-01-18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320476785.4U CN220475982U (zh) 2022-03-15 2023-03-14 印刷电路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70A KR20230135212A (ko) 2022-03-15 2022-03-15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212A true KR20230135212A (ko) 2023-09-25

Family

ID=8806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070A KR20230135212A (ko) 2022-03-15 2022-03-15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00981A1 (ko)
KR (1) KR20230135212A (ko)
CN (1) CN220475982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00981A1 (en) 2023-09-21
CN220475982U (zh) 2024-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7648B2 (en)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 regions having an apertured TFT layer for signal conductors
EP2936949B1 (en) Narrow border displays for electronic devices
US7683471B2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device, film, and module
KR102457907B1 (ko) 표시 장치
KR101148467B1 (ko) 전자종이 표시장치
US9305990B2 (en) Chip-on-film package and devic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KR20200048205A (ko) 플렉서블 회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468327B1 (ko) 표시 장치
CN110688025A (zh) 输入检测单元及包括输入检测单元的显示设备
KR101996653B1 (ko) 평판표시장치
CN108845465B (zh) 显示面板扇出走线结构及其制作方法
KR102396021B1 (ko) 구동칩이 구비된 인쇄 회로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4318074A (ja) 電気光学装置及びこの電気光学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並びにこ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20230135212A (ko)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27579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468470B2 (en) OLED display modul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105116578A (zh) 驱动器芯片结构及液晶显示装置
KR20230101074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05788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80075282A (ko) 회로 필름과 이를 이용한 평판표시장치
KR20190142461A (ko)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66846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209754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20220400566A1 (en) Electronic device
KR20220096393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