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095A - 구조체 및 건축 재료 - Google Patents

구조체 및 건축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095A
KR20230135095A KR1020237027010A KR20237027010A KR20230135095A KR 20230135095 A KR20230135095 A KR 20230135095A KR 1020237027010 A KR1020237027010 A KR 1020237027010A KR 20237027010 A KR20237027010 A KR 20237027010A KR 20230135095 A KR20230135095 A KR 20230135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wave
less
ghz
reflector
ref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노모토
도시오 에나미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07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47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provided with 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shape of the reflecting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4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using a particular conducting material, e.g. super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01Q15/141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5/14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flecting surfaces using insulating material for supporting the reflecting surface
    • H01Q15/14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flecting surfaces using insulating material for supporting the reflecting surface with a honeycomb, cellular or foamed sandwich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Abstract

전파를 공간이 넓은 범위로 반사시킬 수 있는 구조체, 건축 재료를 제공한다. 전파를 반사시키는 전파 반사재를 포함하는 전파 반사체를 갖는 구조체로서, 전파 반사체에, 입사파의 입사각이 15 도 이상 75 도 이하인 각도로, 입사파의 주파수가 3 GHz 이상 5 GHz 이하, 25 GHz 이상 30 GHz 이하, 또는 150 GHz 이상 300 GHz 이하의 전파를 반사시켰을 때에, 입사파가 정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파의 강도가 입사파에 대하여 -30 dB 이상이 되고, 입사파의 입사 방향과 상기 반사파의 반사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있어서, 반사파의 수신 각도 위치를,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 이상, +15 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변화시켰을 때의,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파의 강도 분포의 첨도가 -0.4 이하가 되는 주파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Description

구조체 및 건축 재료
본 발명은, 전파를 반사시키기 위한 구조체 및 건축 재료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나 무선 통신에 있어서는, 센티파나 밀리파라고 불리는 3 GHz 이상 300 GHz 이하 정도의 주파수대의 전파가 사용된다. 이러한 파장이 짧은 전파는 직진성이 강하여, 장해물이 있어도 돌아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전파를 넓은 범위에 도달시키기 위해, 반사판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에는, 모노폴 안테나와, 전파를 반사시키는 금속 반사판을 옥내의 바닥 아래 공간에 배치한 통신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모노폴 안테나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를 바닥 아래 공간으로 확산시킴과 함께, 바닥 아래 공간으로부터 거실 (건물) 밖으로 누설되거나, 건조물의 바닥부에 전파가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58514호
전파를 반사시키는 금속 반사판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금속 반사판은, 파장이 짧은 전파의 경우, 정규 반사 방향으로는 강한 강도로 반사시키지만, 전파를 확산시켜 반사시키기 어려운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금속판으로 구성된 반사판을 이용하면, 공간이 넓은 범위에 전파가 도달하기 어렵고,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공간 (사각 공간) 을 줄이기 위해서는, 금속 반사판을 다수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파를 공간이 넓은 범위로 반사시키는 구조체, 및 건축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의 항에 기재된 주제를 포함한다.
항 1. 전파를 반사시키는 전파 반사재를 포함하는 전파 반사체를 갖는 구조체로서,
상기 전파 반사체에, 입사파의 입사각이 15 도 이상 75 도 이하인 각도로, 상기 입사파의 주파수가 3 GHz 이상 5 GHz 이하, 25 GHz 이상 30 GHz 이하, 또는 150 GHz 이상 300 GHz 이하인 전파를 반사시켰을 때에,
상기 입사파가 정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파의 강도가 상기 입사파에 대하여 -30 dB 이상이 되고, 상기 입사파의 입사 방향과 상기 반사파의 반사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있어서, 상기 반사파의 수신 각도 위치를,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 이상, +15 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파의 강도 분포의 첨도가 -0.4 이하가 되는 주파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구조체.
항 2. 상기 입사파의 주파수가 3 GHz 이상 300 GHz 이하인 범위에 있어서, 상기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파의 강도 분포의 첨도가 -0.4 이하인, 항 1 에 기재된 구조체.
항 3. 상기 전파 반사체는, 상기 전파 반사재를 포함하는 도전 박막층과, 상기 도전 박막층을 유지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적어도 갖는, 항 1 또는 항 2 에 기재된 구조체.
항 4. 상기 도전 박막층은, 전개 계면 면적률이 0.5 % 이상 600 % 이하인, 항 3 에 기재된 구조체.
항 5. 상기 도전 박막층은, 표면 저항값이 0.3 Ω/□ 이상 10 Ω/□ 이하인, 항 3 또는 4 에 기재된 구조체.
항 6. 상기 도전 박막층의 전파 반사재는 선상이고, 상기 전파 반사재가 없는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
항 7. 상기 전파 반사재는, 선폭이 0.05 ㎛ 이상 15 ㎛ 이하이고, 두께가 0.05 ㎛ 이상 10 ㎛ 이하이고, 피복률이 50 % 이하인, 항 6 에 기재된 구조체.
항 8. 상기 도전 박막층은, 복수의 시트 형상의 상기 전파 반사재가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
항 9. 상기 도전 박막층은, 이웃하는 상기 전파 반사재의 사이의 최단 거리가 1 mm 이하이고, 두께가 0.010 ㎛ 이상 0.35 ㎛ 이하이고, 피복률이 5 % 이상 99.9 % 이하인, 항 8 에 기재된 구조체.
항 10. 상기 전파 반사체는 투명한 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
항 11. 상기 전파 반사체는, 상기 전파 반사재가 수지에 의해 적층된 것인 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
항 12. 상기 전파 반사체는, 상기 전파 반사재가 수지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
항 13. 상기 전파 반사체는, 상기 전파 반사재가 수지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는 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
항 14. 상기 전파 반사체는 가요성을 갖는 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
항 15. 상기 전파 반사체의 두께가 1 mm 이하인 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
항 16. 상기 수지는, 유전 정접이 0.018 이하인 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
항 17. 상기 수지는, 전기장에 따라 비유전율이 변화하는 항 1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
항 18. 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건축 재료.
항 19. 상기 구조체는 가요성을 갖고, 만곡면에 사용되는 항 18 에 기재된 건축 재료.
항 20. 전파를 반사시키는 전파 반사재를 포함하는 전파 반사체로 이루어지는 건축 재료로서,
상기 전파 반사체에, 입사파의 입사각이 15 도 이상 75 도 이하인 각도로, 상기 입사파의 주파수가 3 GHz 이상 5 GHz 이하, 25 GHz 이상 30 GHz 이하, 또는 150 GHz 이상 300 GHz 이하인 전파를 반사시켰을 때에,
상기 입사파가 정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파의 강도가 상기 입사파에 대하여 -30 dB 이상이 되고, 상기 입사파의 입사 방향과 상기 반사파의 반사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있어서, 상기 반사파의 수신 각도 위치를,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 이상, +15 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파의 강도 분포의 첨도가 -0.4 이하가 되는 주파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건축 재료.
본 발명에 의하면, 전파를 공간이 넓은 범위로 반사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조체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파의 각도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조체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구조체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조체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은 도 4 에 나타내는 구조체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 의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전파 반사체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A) 는 평면도, (B) 는 (A) 의 A 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8(A) ∼ (E) 는 도전체의 배치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9 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조체의 전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A) 는 건축 재료의 건축물에 대한 적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B) 는 건축 재료의 실내에 대한 적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구조체 (10) 는 전파 반사체 (11) 를 형성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파 발생원 (20) 으로부터 출력된 전파를 반사시킨다. 반사된 반사파는, 수신부 (21) 에 의해 수신된다. 전파 발생원 (20) 은 전파를 송신 가능한 송신 안테나를 갖는 통신 장치 등이다. 수신부 (21) 는, 전파를 수신 가능한 기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신부 (21) 는, 수신 안테나를 갖는 통신 기기이다. 통신 기기로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 전화, 태블릿 단말, 노트북 PC, 휴대 게임기, 중계기, 라디오, 텔레비전 등을 들 수 있다.
전파 반사체 (11) 는, 전파를 반사시키는 전파 반사재 (12) 를 포함한다. 입사파의 입사각이 15 도 이상 75 도 이하의 적어도 어느 소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15 도 이상 75 도 이하의 각도의 범위 모두에 있어서, 입사파의 주파수가 3 GHz 이상 5 GHz 이하, 25 GHz 이상 30 GHz 이하, 또는 150 GHz 이상 300 GHz 이하의 전파를 전파 반사체 (11) 에 반사시킨다. 이 때, 전파 반사체 (11) 에 입사파가 정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파의 강도 (이하, 「정규 반사 강도」라고도 한다) 가 입사파에 대하여 -30 dB 이상 0 dB 이하가 되고, 첨도 (후술) 가 -0.4 이하가 되는 주파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3 GHz 이상, 300 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모두에 있어서, 정규 반사 강도가 입사파에 대하여 -30 dB 이상 0 dB 이하가 되고, 첨도가 -0.4 이하가 된다.
정규 반사 강도는, 입사파에 대하여 -25 dB 이상, 0 dB 이하가 바람직하고, -22 dB 이상, 0 dB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dB 이상, 0 dB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5 dB 이상, 0 dB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정규 반사 강도가, 입사파에 대하여 -30 dB 이상임으로써, 수신부 (21) 가 사용에 실용적인 강도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규 반사 강도 및 반사 강도 (후술) 는, 전파 반사체 (11) 의 반사점 (11a) 과 전파 발생원 (20) 사이의 거리 및 전파 반사체 (11) 의 반사점 (11a) 과 수신부 (21) 사이의 거리를 1 m 로 한 경우의 값이다.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규 반사란, 전파 발생원 (20) (송신 안테나) 으로부터 발사된 전파가 전파 반사체 (11) 에 의해 반사될 때에, 입사파의 입사각 θ1 과 반사파의 반사각 θ2 가 동등한 것을 말한다. 전파가 정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파의 반사 방향을 「정규 반사 방향」이라고도 한다. 입사각 θ1 이란, 전파가 전파 반사체 (11) 에 입사될 때의 입사 방향 (도 1 중의 화살표 A1 로 나타낸다) 으로 진행하는 입사파와, 전파 반사체 (11) 의 반사면의 법선 (22) 이 이루는 각도이며, 반사각 θ2 란, 반사파의 반사 방향 (도 1 중의 화살표 A2 로 나타낸다) 으로 진행하는 반사파와, 반사면의 법선 (22) 이 이루는 각도이다. 법선 (22) 이란, 반사점 (11a) 에 있어서 접선 (또는 접평면) 과 직교하는 직선을 말한다.
또한, 전파 반사체 (11) 는, 입사파의 입사 방향과 반사파의 반사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있어서, 반사파의 수신 각도 위치를, 전파의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 이상, +15 도 이하의 각도 범위 (α) 에서 변화시켰을 때의,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파의 강도 분포의 첨도가 -0.4 이하가 된다. 첨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다. 상기 첨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5.0 정도이다. 또한,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파의 강도를 이하, 「반사 강도」라고도 한다. 가상의 평면은, 반사체의 반사면 상의 반사점 (11a) 과, 전파 발생원 (20) 과, 반사파의 수신부 (21) 를 포함하는 평면이라고도 할 수 있다.
첨도는, 분포가 정규 분포로부터 얼마나 일탈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통계량으로, 산의 첨도와 아래 쪽 부분의 퍼짐도를 나타낸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점 (11a) 으로부터 1 m 떨어진 위치의 전파 발생원 (20) 으로부터 출력된 전파가, 전파 반사체 (11) 에 대하여 소정의 입사각 θ1 로 입사되었다고 가정한다. 수신부 (21) 의 수신 각도 위치 (i) 를, 반사점 (11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파의 정규 반사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씩 (예를 들어 5 도씩), 전파의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 이상, +15 도 이하의 각도 범위 (α) 내에서 이동시켜, 반사 강도 (x) 를 측정한다. 수신 유닛 (21) 의 수신 각도 위치 (i) 는, 반사점 (11a) 을 중심으로 한 반경 1 m 의 원호 상에 위치하고 있다. 각 수신 각도 위치 (i) 에서의 반사 강도의 값
의 평균값을
, 표준 편차를 s 로 하면 첨도는 다음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Figure pct00003
첨도는, 부의 값인 경우에 각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강도 데이터가 정규 분포보다 편평한 분포, 즉, 데이터가 평균값 부근으로부터 분산 분포의 아래 쪽 부분이 퍼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첨도의 값이 작을수록 분포가 편평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첨도를 -0.4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전파의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의 각도 범위 (α) 내에 있어서는, 수신 각도 위치에 의한 반사 강도의 차가 작아진다. 상기 첨도는, 전파 반사체 (11) 를 구성하는 수지층 (후술하는 기재층 (13), 접착층 (14) 및 보호층 (15)) 의 수지의 종류 및 구조, 전개 계면 면적률 (Sdr)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전파 반사체 (11) 는, 전체적으로 가시광 투과성을 갖는, 즉 투명해도 된다. 후술하는 기재층 (13), 접착층 (14) 및 보호층 (15) 은, 각각 가시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전 박막층 (16) 의 전파 반사재 (12) 는 가시광 투과성을 갖는 두께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투명」이란, 전파 반사체 (11) 의 일방측에서 보아 타방측이 시인 가능한 것을 말하고, 반투명을 포함하고, 전광선 투과율이 100 % 인 완전한 투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파 반사체 (11) 는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전파 반사체 (11) 는, D65 표준 광원에 있어서의 전광선 투과율이 65 % 이상이며, 8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전광선 투과율은, 시험편의 평행 입사 광속에 대한 전투과 광속의 비율을 말하고, JISK 7375 : 2008 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전파 반사체 (1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체의 형상이 평면에서 보아 정방형이며, 1 변의 길이 (L10) 가 20 cm 이상, 400 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파수가 3 GHz 이상, 300 GHz 이하인 전파는 거리에 따라 감쇠하지만, 전파 발생원 (20) 으로부터 실용에 견디는 거리 내 모든 지점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로 반사하기 위해서, 한 변의 길이 (L10) 를 20 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변의 길이 (L10) 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조상의 관점에서 400 cm 이하가 바람직하다. 전파 반사체 (11) 의 전체의 형상은 정방형에는 한정되지 않고, 장방형이어도 되고,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이어도 되고, 이 경우, 가장 짧은 변의 길이가 20 cm 이상, 400 cm 이하로 설정된다. 또는, 어떤 정점과 맞변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 또는 어떤 변과 맞변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가 20 cm 이상, 400 cm 이하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전파 반사체 (11) 의 전체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에는, 직경이 20 cm 이상, 400 cm 이하로 설정된다. 전파 반사체 (11) 의 전체의 형상이 타원형인 경우에는, 단경이 20 cm 이상, 400 cm 이하로 설정된다. 전파 반사체 (11) 의 전체의 형상이 부채형인 경우에는, 호 (弧) 또는 반경이 짧은 쪽의 길이가 20 cm 이상, 400 cm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전파 반사체 (11) 의 전체의 형상은 통 형상, 뿔 형상 등의 3 차원 형상이어도 된다. 전파 반사체 (11) 의 전체의 형상은, 입사파에 대하여 -30 dB 이상의 반사 강도로 전파를 반사시킬 수 있는 형상, 크기를 갖고 있고, 형상, 크기는 전파 반사체 (11) 의 사용 양태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파 반사체 (11) 는 두께 (L11) 가 약 0.5 mm 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두께 (L11) 는 1 mm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기재층 (13), 도전 박막층 (16) 의 전파 반사재 (12), 접착층 (14) 및 보호층 (15) 의 각각의 두께는, 전파 반사체 (11) 의 두께 (L11) 가 1 mm 이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전파 반사체 (11) 의 두께 (L11) 가 작기 때문에, 전파 반사재 (12) 는 가요성을 갖는다. 가요성이란, 상온 상압하에 있어서 유연성을 갖고, 힘을 가해도 전단되거나 파단되거나 하지 않고, 휨이나 굴곡, 절곡 등의 변형이 가능한 성질을 말한다. 전파 반사체 (11)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률 반경 (R) 이 300 mm 정도인 만곡면을 따라 첩부할 수 있을 정도의 가요성을 갖지만, 곡률 반경 (R) 의 값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파 반사체 (11) 의 두께 (L11) 는, 도전 박막층 (16) 의 두께 (L3), 기재층 (13) 의 두께 (L8), 접착층 (14) 의 두께 (L4) 및 보호층 (15) 의 두께 (L5) 의 합계가 된다. 그러나, 도전 박막층 (16) 의 두께 (L3) 는 기재층 (13), 접착층 (14), 및 보호층 (15) 의 각 두께 (L8, L4, L5) 에 비해 매우 얇기 때문에, 전파 반사체 (11) 의 두께 (L1) 를 산출할 때에 도전 박막층 (16) 의 두께 (L3) 를 무시해도 된다.
또한, 전파 반사체 (11) 의 두께 (L11), 도전 박막층 (16) 의 두께 (L3), 기재층 (13) 의 두께 (L8), 접착층 (14) 의 두께 (L4) 및 보호층 (15) 의 두께 (L5) 는, 임의의 복수 지점을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값의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 두께 (L1), 두께 (L3), 두께 (L8), 두께 (L4) 및 두께 (L5) 의 측정에는, 예를 들어 계측기로서 반사율 분광식 막두께 측정 (예를 들어, 필메트릭스 주식회사 제조, F3-CS-NIR) 이 사용된다.
출원인은, 입사파의 입사각 θ1 이 15 도 이상 75 도 이하인 소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15 도 이상 75 도 이하의 범위의 모든 각도에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정규 반사 강도와 ±15 도의 각도 범위 (α) 내의 첨도를 각각 소정의 범위에 포함되는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전파 반사체 (11) 가 반사한 전파를 공간이 넓은 범위에서, 수신부 (21) 가 수신 가능한 것을 알아내었다. 이 때문에, 직진성이 높은 파장이 짧은 전파라도, 실내의 공간 내에 있어서 가능한 한 사각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조체 (10) 의 구조)
구조체 (10) 인 전파 반사체 (11) 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2, 도 3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전파 반사체 (11) 는, 예를 들어 메타머티리얼 구조를 갖고 있다. 메타머티리얼 구조는, 유전체인 전파 반사재 (12) 를 주기적으로 등배열시킨 것이며, 이 주기 배열 구조에 의해 부의 유전율을 갖고, 주기 간격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전파를 반사시킨다. 전파 반사체 (11) 는, 전파 반사재 (12) 를 포함하는 도전 박막층 (16) 과, 전파 반사재 (12) 를 시트 형상으로 유지하는 수지를 구비한다. 수지는, 기재를 포함하는 기재층 (13) 과, 도전 박막층 (16) 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재를 포함하는 보호층 (15) 과, 도전 박막층 (16) 과 보호층 (15) 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재를 포함하는 접착층 (14) 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전파 반사체 (11) 는, 기재층 (13) 상에 도전 박막층 (16) 이 적층되고, 그 위에 접착층 (14) 과, 보호층 (15)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 도 6 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을 규정하고, 도 3, 도 7 에 기초하여 종횡 방향을 규정하고 있지만, 상하 방향, 종횡 방향은 설명을 위해 사용하고 있고, 구조체 (10) 의 건축물 등에 대한 장착 등의 사용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종횡 방향을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 ∼ 도 12 는 실제의 축척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7(A) 에 있어서는, 전파 반사체 (11) 의 일부에서 접착층 (14), 보호층 (15)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기재층 (13))
기재층 (13)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형이 평면에서 보아 정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파 반사체 (11) 의 전체 형상에 맞추어 장방형, 원형, 타원형, 부채형, 다각형, 삼차원 형상 등이어도 된다. 기재층 (13) 인 기재로서, 합성 수지제의 시트가 사용된다. 합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포름알데히드,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염화비닐리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아세탈, AS 수지, ABS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층 (13) 의 두께 (L8) (도 2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길이)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50 ㎛ 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조체 (10) 의 사용 양태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또한, 기재층 (13) 은 기재에 더하여, 임의의 합성 수지 등의 물질이나 임의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전 박막층 (16))
도전 박막층 (16) 은, 일례에서는, 전파 반사재 (12) 가 기재층 (13) 의 상면에 정방 형상의 시트 형상의 박막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전파 반사재 (12) 는, 예를 들면 은 (Ag) 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파 반사재 (12) 는 자유 전자를 갖는 금속, 금속 화합물 또는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금, 구리, 백금, 알루미늄, 티타늄, 실리콘, 산화인듐주석 및 합금 (예를 들어 니켈, 크롬 및 몰리브덴을 함유하는 합금) 등이어도 된다. 니켈, 크롬 및 몰리브덴을 함유하는 합금으로는, 예를 들어 하스텔로이 B-2, B-3, C-4, C-2000, C-22, C-276, G-30, N, W, X 등의 각종 그레이드를 들 수 있다. 시트 형상이란,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3000 배 미만의 형상을 의미한다.
일례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전파 반사재 (12) 는 평면에서 보아 정방 형상이며, 반사되는 전파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한 변의 길이 (L1) 와,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 (12) 의 사이의 최단 거리 (간격) (L2) 가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제 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5G) 에 따른 주파수 대역인 20 GHz 이상, 300 GHz 이하의 전파를 반사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한 변의 길이 (L1) 는 77.460 mm,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 (12) 의 사이의 간격 (L2) 은 100 ㎛ 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파 반사재 (12) 가 3 GHz 이상, 300 GHz 이하의 주파수의 전파를 반사시키도록, 길이 (L1) 및 간격 (L2) 이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파 반사재 (12) 의 한 변의 길이 (L1) 는 0.7 mm 이상, 800 mm 이하여도 되고, 간격 (L2) 은 1 ㎛ 이상, 1000 ㎛ 이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파 반사재 (12) 가 기재층 (13) 의 크기에 맞추어 기재층 (13) 상에 종으로 2 개, 횡으로 2 개의 합계 4 개 형성되어 있지만, 전파 반사재 (12) 의 수는 기재층 (13) 의 크기 (면적) 에 맞추어 적절히 설정된다.
또, 전파 반사재 (12) 의 두께 (막두께) (L3) 는, 가시광 투과성을 갖는 정도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파 반사재 (12) 의 두께 (L3) 는, 350 nm (0.3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5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 (L3) 는, 적절한 전파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5 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 박막층 (16) 은, 표면 저항값이 0.3 Ω/□ 이상 10 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전 박막층 (16) 의 표면 저항값은, 즉 전파 반사체 (11) 의 표면 저항값이 된다.
표면 저항값은 도전 박막층의 표면에 측정 단자를 접촉시켜, JISK7194 : 1994 에 규정된 4 단자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시트 등으로 보호되어 도전 박막층 (16) 이 노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비접촉식 저항 측정기 (냅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 EC-80P, 또는 그 동등품) 를 사용하여 와전류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도전 박막층 (16)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5 % 이상, 6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상, 58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상, 18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 % 이상 90 %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이 이 범위 내임으로써, 정규 반사 강도, 첨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전파를 확산 반사시키기 쉬워진다.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JIS B-0681-2 : 2018 에 산출식이 나타나 있으며, JIS B-0681-6 : 2014 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레이저 현미경 (제품명 VK-X1000/1050, 키엔스사 제조, 또는 그 동등품) 을 이용하여, 도전 박막층 (16) (전파 반사재 (12)) 의 표면의 복수 지점에서 높이를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전개 면적을 산출함으로써 전파 반사재 (12)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을 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 박막층 (16) 은 복수의 시트상의 전파 반사재 (12) 를 갖고 있고, 각 전파 반사재 (12) 각각에 있어서 복수 지점에서 전파 반사재 (12) 에 있어서의 높이를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을 각각 산출한다. 그 후, 산술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도전 박막층 (16)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을 구할 수 있다.
도전 박막층 (16) 은, 피복률이 5 % 이상, 99.9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률은, 평면에서 보아 단위 면적당 전파 반사재 (12) 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말하고,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재층 (13) 의 평면에서 본 면적에 대하여, 전파 반사재 (12) 의 평면에서 본 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피복률은, 기재층 (13) 의 평면에서 본 면적에 대하여, 전파 반사재 (12) 에 의해 덮이는 기재층 (13) 의 면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피복률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 (SEM), 투과형 전자 현미경 (TEM), 광학 현미경 등을 사용하여 측정된다.
또한, 전파 반사재 (12) 의 형상은 정방형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어떤 전파 반사재 (12) 의 변과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 (12) 의 변이 평행하고, 어떤 전파 반사재 (12) 와 이웃하는 모든 전파 반사재 (12) 사이의 간격이 동등해지도록 배치 가능한 형상이며, 예를 들어 장방형, 삼각형, 육각형 등이어도 된다. 기재층 (13) 상에 형성되는 전파 반사재 (12) 의 수는, 전파 반사체 (11) 의 크기 (면적) 에 의해 설정된다.
(도전 박막층 (16) 의 다른 실시형태)
도 4, 도 5 에, 도전 박막층 (16) 인 전파 반사재 (12) 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4, 도 5 의 실시형태는, 도 2, 도 3 의 실시형태와는, 전파 반사재 (12) 의 크기와 수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의 전파 반사재 (12) 는, 특히 무선 LAN (Wi-Fi (등록상표)) 이나 제 6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6G) 이나 그 이후의 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3 GHz 이상, 10 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반사시키도록 한 변의 길이 (L1),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 (12) 의 사이의 간격 (L2) 이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변의 길이 (L1) 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보다 짧게 설정되고, 예를 들어 한 변의 길이 (L1) 가 7.7460 mm 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 변의 길이 (L1) 는 0.7 mm 이상, 800 mm 이하여도 되고, 간격 (L2) 은 1 ㎛ 이상, 1000 ㎛ 이하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층 (13) 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기재층 (13) 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층 (13) 상에 종으로 11, 횡으로 11 의 합계 121 의 전파 반사재 (1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파 반사재 (12) 의 수는 기재층 (13) 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히 설정된다. 그 밖의 도전 박막층 (16) 의 구성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기 배열된 전파 반사재 (12) 의 주기 간격이 작기 때문에, 이 주기 간격에 따른 주파수 대역인 3 GHz 이상, 10 GHz 이하의 전파를 넓은 각도 범위 (α) 에서 반사시킬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전 박막층 (16) 의 다른 실시형태)
도 6, 도 7 에 도전 박막층 (16) 인 전파 반사재 (12) 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6, 도 7 의 예에 있어서는, 도전 박막층 (16) 은, 1 또는 복수의 선상의 전파 반사재 (12) 가, 복수의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있다. 즉, 전파 반사재 (12) 및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배치된 것이다.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의 사이의 간격은, 전파 반사재 (12) 의 선폭 (L6) 과 동일한 길이여도 되고, 선폭 (L6) 보다 큰 길이여도 된다. 또한, 선상이란,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의 3000 배 이상인 것을 말한다. 도 7(B)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전파 반사재 (12) 가 종 방향 및 횡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파 반사재 (12) 에 의해 둘러싸인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이 정방형이다. 즉,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은 전파 반사재 (12) 의 선폭 (L6) 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횡 방향을 따른 전파 반사재 (12 (12A)) 와 종 방향을 따른 전파 반사재 (12 (12B)) 가 서로 겹치는 교점에 있어서 전파 반사재 (12A, 12B) 는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전파 반사재 (12) 의 선폭 (L6) 은, 0.05 ㎛ 이상, 15 ㎛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 (12) 의 사이의 길이 (L7) (정방형인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의 한 변의 길이) 는,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충분히 크고, 전파 반사체 (11) 에 반사되는 전파의 파장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이 예에서는, 2 ㎛ 이상, 10 cm 이하로 설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1 c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 1 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 250 ㎛ 이하이다. 또, 전파 반사재 (12) 의 두께 (L3) 는 0.05 ㎛ 이상, 1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전 박막층 (16) 의 피복률은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전 박막층 (16) 의 표면 저항값은 0.3 Ω/□ 이상, 10 Ω/□ 이하가 바람직하다.
도전 박막층 (16)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의 바람직한 범위, 산출식, 측정 방법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 박막층 (16) 은 복수의 선상의 전파 반사재 (12) 를 갖고 있다. 도전 박막층 (16) 의 복수 지점에서 높이를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을 각각 산출한다. 그 후, 산술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도전 박막층 (16)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을 구할 수 있다.
그 밖의 도전 박막층 (16) 의 구성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7(B) 에 나타내는 전파 반사재 (12) 의 배치에서는,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의 형상이 정방형이지만, 예를 들면, 이웃하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파 반사재 (12A) 끼리의 사이의 간격과, 이웃하는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파 반사재 (12B) 끼리의 사이의 간격이 상이하고,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의 형상이 장방형이어도 된다. 또, 전파 반사재 (12) 는 도 8(A) ∼ (E) 에 나타내는 배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8(A) 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파 반사재 (12A) 가 횡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종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 (12A) 의 사이에,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파 반사재 (12B) 가 지그재그상으로 배치된다. 지그재그상이란,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전파 반사재 (12B) 가 횡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또한 하나의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전파 반사재 (12B) 가, 이 열의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열을 형성하는 복수의 전파 반사재 (12B) 의 사이에 위치하고, 하나 건너의 열의 전파 반사재 (12B) 는 일직선상에 나열되도록 배열된 상태를 말한다. 도 8(B) 에 있어서는, 전파 반사재 (12A) 가 횡 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전파 반사재 (12B, 12C) 가 횡 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기울어진 경사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또한 전파 반사재 (12B 및 12C) 가, 서로 전파 반사재 (12A) 상에서 교차한다. 이로써,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의 형상은, 정삼각형이다. 또한,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의 형상이 정삼각형이 아니고, 2 등변 삼각형이나 3 변의 길이가 상이한 삼각형이어도 된다. 도 8(C) 에 있어서는, 선상의 전파 반사재 (12) 에 둘러싸인 정육각형의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이 주기적으로 배치되고, 도 8(D) 에 있어서는, 선상의 전파 반사재 (12) 에 둘러싸인 정오각형의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이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8(E) 에 있어서는, 선상의 전파 반사재 (12) 에 의해 둘러싸인 원형의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이 주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A) ∼ (E) 는 전파 반사재 (12) 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6 ∼ 도 8 의 배치 패턴을 가지는 도전 박막층 (16) 의 제조 방법으로는, 도전체막을 성형한 후, 에칭에 의해 패턴을 형성하고, 패턴을 가지는 도전 박막체를 취출하는 방법, 리프트 오프층을 형성한 베이스 필름 상에, 감광성 레지스트를 도공하고,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패턴 형성하고, 패턴부에 도전체를 충전한 후에, 패턴을 가지는 도전 박막체를 취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 박막층 (16) 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박막을 접착하는 방법, 금속을 증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 (14))
접착층 (14) 은, 기재층 (13) 및 도전 박막층 (16) 상에 보호층 (15) 을 접착하는 것이며, 접착재로 구성된다. 접착층 (14) 은, 평면에서 보아 기재층 (13) 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접착층 (14) 인 접착재로서, 합성 수지나 고무제의 점착 시트가 사용된다. 합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나, 실리콘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층 (14) 의 두께 (L4)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150 ㎛ 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5 ㎛ 이상, 500 ㎛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접착층 (14) 은 접착재에 더하여, 임의의 합성 수지 등의 물질이나 임의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접착층 (14) 은, 유전 정접 (tanδ) 이 0.018 이하인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 정접은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통상 0.0001 이상이다. 유전 정접이란, 유전체 내에서의 전기 에너지 손실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유전 정접이 큰 재료일수록 전기 에너지 손실은 커진다. 유전 정접이 0.018 이하인 접착층 (14) 을 사용함으로써, 전파 반사체 (11) 에 있어서의 전파의 전기 에너지의 손실이 적어져, 반사 강도를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 (14) 의 합성 수지 재료는, 전기장의 주파수에 따라 비유전율이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유전율이란, 매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 재료) 의 유전율과 진공의 유전율의 비이다. 전기장에 따라 비유전율이 변화됨으로써, 특정한 주파수의 전기장에서의 반사파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주파수 10 GHz 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은, 1.5 이상, 7 이하의 사이에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상, 6.5 이하의 사이에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 정접, 비유전율은 측정 장치 (예를 들어, 토요 테크니카사, 형번 TTPX 테이블 톱 극저온 프로버, 머티리얼 임피던스 애널라이저 MIA-5M) 를 사용하여 이미 알려진 방법 (예를 들어, 공동 공진기법, 동축 공진기법) 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접착층 (14) 뿐만 아니라, 기재층 (13) 및 보호층 (15) 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 재료가, 유전 정접이 0.018 이하인 것이어도 되고, 전기장에 따라 비유전율이 변화되는 것이어도 된다.
(보호층 (15))
보호층 (15) 은, 평면에서 보아 기재층 (13) 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고, 전파 반사재 (12) 를 보호하는 것이며, 보호재로 구성된다. 보호층 (15) 인 보호재로서, 합성 수지제의 시트 (필름) 가 사용된다. 합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COP (시클로올레핀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포름알데히드,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염화비닐리덴,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아세탈, AS 수지, ABS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보호층 (15) 의 두께 (L5)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50 ㎛ 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0 ㎛ 이상, 1000 ㎛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보호층 (15) 에는 보호재에 더하여 임의의 합성 수지 등의 물질이나 임의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입사파의 입사각이 15 도 이상, 75 도 이하인 소정의 입사각으로 전파가 입사되는 경우에, 입사된 전파가 정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파에 대하여 ±15 도의 각도 범위 (α) 라는 넓은 각도 범위 (α) 내에 있어서 반사 강도를 크게 유지한 상태로 전파를 반사시킬 수 있어, 공간이 넓은 범위에 전파를 도달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반사판과 같이, 사각 공간을 줄이기 위해 반사판을 다수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전파 반사체 (11) 가 반사시키는 전파의 주파수는, 전파 반사재 (12) 의 한 변의 길이 (L1) 및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 (12) 의 사이의 간격 (L2) 을 설정함으로써 정해진다. 한 변의 길이 (L1), 간격 (L2) 을 설정함으로써, 제 5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 (5G) 에 관련된 주파수 대역인 20 GHz 이상, 300 GHz 이하의 전파를 넓은 범위에서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전파 반사체 (11) 인 구조체 (10) 는 투명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실내에 구조체 (10) 를 형성한 경우에, 인테리어 등의 경관을 차단하거나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파 반사체 (11) 는 수지로 시트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미세한 전파 반사체 (11) 를 주기적으로 나열한 메타머티리얼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파 반사체 (11) 인 구조체 (10) 는 전체의 두께 (L11) 가 1 mm 이하로 얇기 때문에, 가요성을 갖기 쉬워져, 만곡면 상에 구조체 (10) 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유전 정접이 0.018 이하인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구조체 (10) 에 있어서의 전파의 전기 에너지의 손실이 적어져, 반사파의 강도를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지는 전기장에 따라 비유전율이 변화되기 때문에, 특정한 주파수의 전기장에서의 반사파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도 9 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9 에 나타내는 전파 반사체 (11) 인 구조체 (10) 는, 전파 반사재 (12A, 12B) 를 갖는 도전 박막층 (16A, 16B) 이 수지인 기재층 (13A, 13B) 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2 층으로 적층된 것이다. 기재층 (13A) 상에 형성된 각 전파 반사재 (12A) 와 기재층 (13B) 상에 형성된 각 전파 반사재 (12B) 는 평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위치맞춤되어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 9 의 도전 박막층 (16A, 16B) 의 배치 패턴은 평면에서 보아 겹쳐 있지 않아도 되고, 도전 박막층 (16A, 16B) 은 상이한 배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파 반사재 (12A) 상에, 기재층 (13B) 의 하면이 접착층 (14A) 에 의해 첩부되고, 전파 반사재 (12B) 상에, 접착층 (14B) 에 의해 보호층 (15) 이 첩부되어 있다.
전파 반사체 (11) 에 입사된 전파는, 1 층째의 전파 반사재 (12B) 에 의해 반사되지만, 일부는 전파 반사재 (12B) 로 반사되지 않고 전파 반사재 (12B) 를 통과한다. 이 전파 반사재 (12B) 를 통과한 전파는, 2 층째의 전파 반사재 (12A) 에 의해 반사된다. 이와 같이, 전파 반사재 (12) 를 상하 방향으로 복수 적층함으로써, 상층의 전파 반사재 (12B) 를 통과한 전파를 하층의 전파 반사재 (12A) 로 반사시킬 수 있어, 전파 반사체 (11) 의 반사 강도를 전파 반사재 (12) 가 1 층만인 경우에 비해 보다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파의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의 각도 범위 (α) 에 있어서의, 반사 강도의 분포의 첨도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각도 범위 (α) 내의 각도 위치에 의한 반사 강도의 차가 작아진다. 또한, 2 장의 접착층 (14A, 14B) 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유전 정접의 값이 도 2 ∼ 도 8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보다 더 작아져, 반사 강도를 더욱 크게 유지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 의 실시형태에서는, 기재층 (13) 에 형성된 전파 반사재 (12) 가 2 층으로 적층되어 있지만, 3 층 이상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전파 반사재 (12) 를 적층하는 수가 많아지면 반사 강도가 커지지만, 전파 반사체 (11)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가요성이 저하되고, 또한 가시광 투과성도 저하된다. 이 때문에, 특히 가요성이나 투명성이 필요하지 않은 장소에 구조체 (10) 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적층수를 많게 하는 등, 적층수는 사용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도 9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파 반사재 (12A, 12B) 의 각각에 대하여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을 구하고, 구한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의 산술 평균값을 도전 박막층 (16A, 16B)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로 해도 된다.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의 바람직한 범위, 산출식, 측정 방법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
도 10 에 전파 반사체 (11) 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0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파 반사체 (11) 인 구조체 (10) 는 도전 박막층 (16) 과 기재층 (13) 을 구비하고, 접착층 (14) 과 보호층 (15) 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경우, 도전 박막층 (16) 의 전파 반사재 (12) 는 기재층 (13) 의 상면의 대략 전체면에 시트 형상의 박막으로서 정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파 반사재 (12) 의 두께 (L3)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10 nm 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면 저항값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9.8 Ω/□ 이다. 도 10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복률은, 기재층 (13) 상의 도전 박막층 (16) 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전파 반사재 (12) 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로서 규정되고, 피복률은 100 % 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파 반사체 (11) 의 전광선 투과율은 70 % 이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평면에서 보아 전파 반사재 (12) 의 크기가 기재층 (13) 의 크기보다 한층 작고, 기재층 (13) 의 측면 가장자리에 가까운 영역에 전파 반사재 (12) 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 박막층 (16) 은 1 장의 전파 반사재 (12) 로 구성되지만, 복수 장의 전파 반사재 (12) 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전파 반사재 (12) 가 기재층 (13) 의 상면의 대략 전체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전파 반사재 (12) 의 형상은 원형, 장방형, 삼각형, 다각형 등이어도 된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전파 반사체 (11) 인 구조체 (10) 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파 반사재 (12) 는, 기재층 (13) 의 상면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13) 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전파가 정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의 넓은 각도 범위 (α) 내에 있어서 반사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파 반사체 (11) 는, 메타머티리얼 구조를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 나노와이어 적층막, 다층 그래핀, 부분 박리 그래파이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전파 반사재 (12) 가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재층 (13) 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양태에 있어서, 전파 반사재 (12) 는 입자상, 인편상, 로드상, 섬유상이어도 된다. 입자상인 경우, 전파 반사재 (12) 의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균 입자경이 0.01 ㎛ 이상, 0.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편상이란, 구상이나 괴상 등의 입체 형상인 것을 일 방향으로 눌러 찌부러뜨려 형성되는 박편 형상을 말하고, 판상 등의 형상을 포함하며, 플레이크상이라고도 한다. 인편상의 전파 반사재 (12) 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면에서 보아 외주연 상의 상이한 2 점과 중심점을 지나는 직선의 최대의 길이가 0.4 ㎛ 이상 0.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직선의 최소의 길이는 0.4 ㎛ 이상 0.6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는 0.01 ㎛ 이상 0.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애스펙트비는 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상이란, 축 방향으로 가늘고 긴 봉상의 형상을 말하고, 봉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장방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이어도 된다. 또, 봉의 단면의 형상은 축 방향을 따라 상이해도 되고, 뿔 형상, 수상 (樹狀), 침상 등도 포함한다. 축 방향의 길이는 0.4 ㎛ 이상 0.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축 방향의 임의의 위치의 단면에 있어서 외주연 상의 상이한 2 점과 중심점을 지나는 직선의 최대의 길이가 0.01 ㎛ 이상, 0.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애스펙트비는 1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상이란, 가늘고 긴 사상 (絲狀) 의 형상을 말하고, 길이 방향의 길이가 0.8 ㎛ 이상 2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은 0.01 ㎛ 이상 0.8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애스펙트비는 100 이상 1,0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층 (13) 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전파 반사재 (12) 의 주파수 10 GHz 에 있어서의 비유전율은, 1.0 × 104 이상, 1.0 × 1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 (13) 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전파 반사재 (12) 의 소재는, 상기한 형상, 비유전율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속, 합금 또는 금속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고, 금, 은, 백금, 니켈, 알루미늄, 산화인듐주석 및 이들의 합금 등이 바람직하고, 금, 은, 백금, 니켈, 알루미늄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층 (13) 중의 입자의 함유량은, 기재층 (13) 의 합성 수지 재료의 함유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상, 40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중량부 이상 2000 중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중량부 이상 1900 중량부 이하이다.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의 바람직한 범위, 산출식, 측정 방법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 (13), 즉 전파 반사체 (11) 의 표면에 있어서의 높이를 복수 지점에서 측정하고, 그것들의 측정값으로부터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을 각각 산출한다. 그 후, 산술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을 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전 박막층 (16) 인 전파 반사재 (12) 는 기재층 (13) 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 박막층 (16)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기재 (13) 의 높이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구성에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
상기 어느 것의 전파 반사체 (11) 로 이루어지는 구조체 (10) 는 건축 재료 (30) 에 포함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건축 재료 (30) 는, 예를 들면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나 복도의 벽면, 천장면, 바닥면, 파티션용 벽지, 포스터 등의 장식재 (30A), 전등 커버용 투명 시일 등의 장식재 (30B) 로서, 건축물 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구조체 (10) 를 포함한 장식재 (30A, 30B) 를 벽면 (31) 이나 전등 커버 (32) 에 장착함으로써, 옥외로부터 창 (33) 등을 통하여 실내로 들어온 전파를, 벽면 (31) 이나 전등 커버 (32) 에 장착한 장식재 (30A, 30B) 로 반사시킨다. 이로써, 실내 공간 (S) 의 보다 광범위에 전파가 도달하여, 전파 수신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구조체 (10) 는, 수지 등의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재 또는 건축 재료의 내부에 유지된 것으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건축 재료 (30) 인 벽면 (31) 그 자체나 전등 커버 (32) 그 자체가 전파 반사체 (11) 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건축 재료 (30) 는 실내의 벽이나 전등 커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파티션, 기둥, 상인방, 건축물의 외벽, 창 등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2(B) 는 실내를 평면에서 본 도면이고, 전파 반사체 (11) 인 건축 재료 (30) 는 방의 구석의 곡면을 갖는 귀기둥 (30C)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창 (33) 으로부터 들어온 전파가 귀기둥 (30C) 에 반사되어 실내 공간 (S) 의 보다 광범위에 전파가 도달한다. 또한, 도 12(A), 도 12(B) 는 건축 재료 (30) 의 적용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실제의 전파 반사의 범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평가 시험)
전파 반사체 (11) 인 구조체 (10) 로서 실시예 1 ∼ 8 을 제조하고, 이 실시예 1 ∼ 8 과 비교예 1 ∼ 3 에 대하여, 각도 실용성, 경관 담보성, 설치성에 대하여 평가 시험을 실시하였다. 단, 본 발명의 구조체는, 실시예 1 ∼ 8 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비교예의 설명)
실시예 1 로서 제조한 구조체 (10) 는,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조체 (10) 이다. 기재층 (13) 으로서 PET 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 재료 시트 (도레이사 제조, 루미러 50T60) 를 사용하였다. 기재층 (13) 의 두께를 50 ㎛, 한 변의 길이를 620.5 mm 로 하였다. 전파 반사재 (12) 는 은 (Ag) 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박막이고, 두께 (막두께) (L3) 를 50 nm, 한 변의 길이 (L1) 를 77.460 mm,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 (12) 의 사이의 간격 (L2) 을 100 ㎛ (공차 ±10 ㎛) 로 하였다. 전파 반사재 (12)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30 % 이고, 표면 저항값은 8.7 Ω/□, 피복률은 99.7 % 이다. 접착층 (14) 으로서 광학 접착 실리콘 점착 시트 (이와타니 산업사 제조, ISR-SOC 150 μ type) 를 사용하였다. 접착층 (14) 의 유전 정접은 0.04 이고, 0.018 보다 크다. 보호층 (15) 으로서 PET 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제 시트 (도레이사 제조, 루미러 50T60) 를 사용하였다. 보호층 (15) 의 두께를 50 ㎛ 로 하였다. 구조체 (10) 의 전광선 투과율은 82 % 이다.
실시예 1 의 구조체 (10) 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파 반사재 (12) 의 기재층 (13) 에 대한 형성을 실시한다. 실시예 1 의 제조에서는, 롤 to 롤 방식의 스퍼터링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스퍼터링 장치의 성막실에 구비된 캐소드에, 금속 (예를 들면 은) 을 포함하는 타깃을 장착한다. 캐소드에 대하여, 5 % 캐소드가 가려질 정도의 크기로 어스 실드를 형성한다. 스퍼터링 장치의 성막실은, 진공 펌프에 의해 배기되어, 예컨대 3.0 × 10-4 Pa 까지 감압되고, 또한 예컨대 아르곤 가스가 소정의 유량 (100 sccm) 으로 공급된다. 이 상태에서, 기재층 (13) 을 예를 들어 반송 속도 0.1 m/분, 장력 100 N 으로 캐소드 아래로 반송한다. 캐소드에 접속된 바이폴라 전원으로부터 5 kW 의 펄스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타깃으로부터 금속이 토출되어 기재층 (13) 의 표면에 퇴적되고, 이로써 금속 박막이 형성된다.
금속 박막이 원하는 두께로 형성되었는지 여부의 평가는 예를 들면 이하의 순서에 의해 실시된다. 예를 들어, 나노인덴터 (HYSITRON 사 제조, TI950) 를 사용하여, 소정의 지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30 군데) 에 금속 박막을 관통하는 압흔을 형성한다. 레이저 현미경 (KEYENCE 사 제조, VK-X1000/1050) 을 이용하여, 압흔에 의한 간극으로부터 금속 박막의 두께를 계측한다. 약 30 군데의 측정값으로부터 평균 막두께 및 표준 편차를 구하고, 평균 막두께가 원하는 두께 (L3) (예를 들어, 50 nm) 인지, 및 측정값의 편차가 원하는 범위 내 (예를 들어, 표준 편차가 5 이내) 인지를 평가한다.
다음으로, 금속 박막을 분할한다. 선단이 둥근 형상이고 선단 외경이 80 ㎛ 인 스테인리스 바늘을 사용하여, 금속 박막을 소정의 간격으로 종횡으로 직선상으로 깎아내어 복수의 정방형으로 분할한다. 이로써 복수의 전파 반사재 (12) 가 기재층 (13)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접착층 (14) 에 의해 보호층 (15) 을 전파 반사재 (12) 에 장착한다. 접착층 (14) 을 이용하여,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층 (15) 을 기재층 (13) 의 전파 반사재 (12) 상에 첩부한다. 이로써 전파 반사체 (11) 인 구조체 (10) 가 제조된다.
실시예 2 로서 제조한 구조체 (10) 는, 실시예 1 과는 도전 박막층 (16), 접착층 (14) 및 보호층 (15) 이 상이하다. 실시예 2 에서는, 도전 박막층 (16) 의 전파 반사재 (12)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27 %, 표면 저항값은 8.7 Ω/□, 피복률은 99.7 % 이다. 접착층 (14) 으로서, 이하의 고무계 접착제를 이용하였다. 즉,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적하 깔때기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고무계 폴리머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형 블록 공중합체 50 질량% 와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형 블록 공중합체 50 질량% 의 혼합물, 스티렌 함유율 15 %, 중량 평균 분자량 13 만) 100 중량부, 합성 수지 (미츠이 화학사 제조, FMR-0150) 40 중량부, 연화제 (JX 닛코 닛세키 에너지사 제조, LV-100) 20 중량부, 산화 방지제 (ADEKA 사 제조, 아데카스타브 AO-330) 0.5 중량부 및 톨루엔 150 중량부를 주입하고, 40 ℃ 에서 5 시간 교반한 것을 보호층 (15) 에 도포하고, 건조시켰다. 또한, 보호층 (15) 으로서, COP 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제 시트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제오노아 필름 ZF14) 를 사용하였다. 보호층 (15) 의 두께를 50 ㎛ 로 하였다. 실시예 2 의 접착층 (14), 보호층 (15) 은, 유전 정접이 0.018 이하인 0.002 의 값을 갖고 있고, 실시예 1 의 접착층 (14) 인 광학 접착 실리콘 점착 시트보다 유전 정접의 값이 작다. 구조체 (10) 의 전광선 투과율은 82 % 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3 으로서 제조한 구조체 (10) 는, 도 9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사용한 접착층 (14), 보호층 (15) 은 실시예 2 와 동일한 것이다. 도전 박막층 (16) 의 전파 반사재 (12A, 12B) 의 각각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60 % 이고, 각각의 표면 저항값은 8.7 Ω/□, 각각의 피복률은 99.7 % 이다. 구조체 (10) 의 전광선 투과율은 80 % 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4 로서 제조한 구조체 (10) 는,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 전파 반사재 (12) 는, 한 변의 길이 (L1) 를 7.7460 mm 로 하고 있다. 도전 박막층 (16) 의 전파 반사재 (12)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21 %, 표면 저항값은 8.6 Ω/□, 피복률은 97.4 % 이다. 구조체 (10) 의 전광선 투과율은 82 % 이다. 그 밖의 전파 반사재 (12) 의 구성, 기재층 (13), 접착층 (14), 보호층 (15) 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일하다.
실시예 5 로서 제조한 구조체 (10) 는,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조체 (10) 이다. 구조체 (10) 인 전파 반사체 (11) 는 평면 형상이 정방 형상이고, 한 변의 길이 (L10) 를 20 cm, 전파 반사체 (11) 의 두께 (L11) 를 0.25 mm 로 하였다. 구조체 (10) 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 이다. 기재층 (13) 으로서 PET 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 재료 시트 (도레이사 제조, 루미러 50T60) 를 사용하고, 기재층 (13) 의 두께 (L8) 를 50 ㎛ 로 하였다. 도전 박막층 (16) 의 전파 반사재 (12) 는 은 (Ag) 으로 이루어지는 선상의 금속 박막이며, 두께 (막두께) (L3) 를 0.5 ㎛ (500 nm), 선폭 (L6) 을 0.5 ㎛ (500 nm),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 (12) 의 사이의 길이 (L7) 를 60 ㎛ 로 하였다. 전파 반사재 (12) 의 표면 저항값은 1.7 Ω/□, 피복률은 7 % 이다. 전파 반사재 (12)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10 % 이다. 접착층 (14) 으로서, 실시예 2 와 동일한 고무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접착층 (14) 의 두께 (L4) 는 150 ㎛ 로 하였다. 접착층 (14) 의 유전 정접은 0.04 이다. 보호층 (15) 으로서 PET 로 이루어지는 합성 수지제 시트 (도레이사 제조, 루미러 50T60) 를 사용하였다. 보호층 (15) 의 두께 (L5) 를 50 ㎛ 로 하였다.
실시예 5 의 전파 반사체 (11) 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전파 반사재 (12) 의 기재층 (13) 에 대한 형성을 실시한다. 금속층으로서 충분한 강도를 갖는 5 ㎛ 이상, 200 ㎛ 이하의 두께의 동박의 일방의 표면에, 0.01 ㎛ 이상, 3 ㎛ 이하의 코어층을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그리고, 코어층의 표면에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 소정의 배치 패턴의 도전 박막층 (16) 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전 박막층 (16) 의 전부를 기재층 (13) 으로 덮는다. 기재층 (13) 에는 점착제가 미리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동박 및 코어층을 에칭 제거한다. 이로써 전파 반사재 (12) 가 기재층 (13)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접착층 (14) 에 의해 보호층 (15) 을 전파 반사재 (12) 의 기재층 (13) 과는 반대측에 장착한다. 접착층 (14) 을 이용하여,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층 (15) 을 기재층 (13) 의 전파 반사재 (12) 상에 첩부한다. 이로써 전파 반사체 (11) 가 제조된다.
실시예 6 으로서 제조한 구조체 (10) 는, 도전 박막층 (16) 의 전파 반사재 (12) 의 배치 패턴이 도 8(A) 에 나타내는 지그재그상의 것이고, 전파 반사재 (12) 의 선폭 (L6) 은 0.4 ㎛ (400 nm), 피복률은 5 % 이다. 전파 반사재 (12)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3 % 이다. 구조체 (10) 의 전광선 투과율은 87 % 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5 와 동일하다.
실시예 7 로서 제조한 구조체 (10) 는, 도전 박막층 (16) 의 전파 반사재 (12) 의 배치 패턴이 실시예 5 와 동일하고, 전파 반사재 (12) 의 두께 (막두께) (L3) 를 5 ㎛, 선폭 (L6) 을 0.2 ㎛ (200 nm) 로 하였다. 피복률은 10 % 이다. 전파 반사재 (12)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572 % 이다. 구조체 (10) 의 전광선 투과율은 90 % 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5 와 동일하다.
실시예 8 로서 제조한 구조체 (10) 는, 기재층 (13) 에 입상의 전파 반사재 (12) 가 분산된 도 11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조체 (10) 이다. 기재층 (13) 의 두께 (L8) 는 128 ㎛ 이다. 기재층 (13) 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전파 반사재 (12) 는 은으로 이루어지는 입자이며, 평균 입자 직경은 0.4 ㎛ (400 nm) 이다. 입자의 함유량은, 기재층 (13) 의 합성 수지 재료의 함유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이다.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90 % 이다. 구조체 (10) 의 전광선 투과율은 80 % 이다.
비교예 1 로서, 두께가 3 mm 인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0.3 % 이며, 전광선 투과율은 0 % 이다.
비교예 2 로서, 두께가 0.012 mm 인 알루미늄의 시트 (알루미늄박) 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6 % 이며, 전광선 투과율은 10 % 이다.
비교예 3 으로서, 두께가 0.6 mm 인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은 0.3 % 이며, 전광선 투과율은 0 % 이다.
(반사 강도의 측정, 첨도의 산출, 평가 지표)
측정 대상물인 실시예 1 ∼ 8, 비교예 1 ∼ 3 (통칭하여 「시료」라고도 한다) 의 반사파의 강도의 측정은, JISR1679 : 2007 에 기재된 반사량의 측정 방법에 따라, 이하의 순서로 실시하였다. 시료 가대에 시료를 배치하고, 전파의 입사각 θ1, 반사각 θ2 (θ1, θ2 = 30°, 45°, 60°) 에 맞추어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를 배치하였다. 시료와 수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 및 시료와 송신 안테나 사이의 거리는 1 m 로 하였다. 송신 안테나로부터 주파수를 3 GHz 에서 300 GHz 까지 변화시킨 전파 (4 GHz, 28.5 GHz, 47 GHz, 95 GHz, 144 GHz, 160 GHz, 300 GHz 의 전파) 를 출력하고,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한 반사량 (반사 강도) 을 측정하였다.
우선, 기준 금속판 (알루미늄 A1050 판, 두께 3 mm) 을 시료 가대에 설치하고, 스칼라 네트워크 애널라이저를 이용하여 수신 레벨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이 때, 스칼라 네트워크 애널라이저로 수신 안테나와 송신 안테나의 동축 케이블을 직결하고, 각 주파수에 있어서의 신호 레벨을 0 으로 하여 교정하였다. 그 후 다시 장치를 구성하고, 측정을 실시하였다. 기준 금속판을 시료 가대로부터 분리하고, 시료를 시료 가대에 설치하고, 수신 레벨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측정한 수신 레벨로부터, 기준 금속판의 수신 레벨을 감산하여, 측정 대상의 구조체 (10) 의 정규 반사 방향의 반사량을 구하였다. 또한, 시료의 반사점 (11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파의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5 도, ±10도, ±15 도의 각도 위치로 수신 안테나를 이동시켜,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수신 레벨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각 시료에 대하여, 동일한 측정을 반복하였다. 또한 전파의 주파수가 10 GHz 이하인 경우에 있어서는, 직사각형 혼 안테나의 제 1 프레넬 반경을 고려하여, 적절히 밀리미터파 렌즈를 사용하여 시료에 평면파를 조사하였다.
각 시료에 대하여, 각 수신 각도 위치에서의 반사량의 측정값으로부터, 상기 서술한 식 (1) 에 기초하여 첨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도 실용성, 경관 담보성, 설치성의 3 개의 평가 지표를 설정하였다. 각도 실용성은,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의 각도 범위 (α) 에 있어서 수신 안테나에 의해 반사파를 충분히 수신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수신 안테나를 정규 반사 방향 (0 도), ±5 도, ±10 도, ±15 도의 각도 위치로 이동시켜,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반사 강도를 측정했을 때에, 모든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반사 강도가 -40 dB 이상인 경우를 「A」, 모든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40 dB 미만, -45 dB 이상인 경우를 「B」, 어느 것의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45 dB 미만 (종래의 전파 반사재인 금속판 (알루미늄판) 과 동등한 성능 이하) 인 경우를 「C」라고 평가하였다. 평가가 A 또는 B 이면 충분한 반사 강도가 확보되어 있어 수신 안테나로 수신이 가능하다.
설치성은, 구조체 (10) 를 건축물 등에 설치할 때에 만곡면에 첩부하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시료를 곡률 반경 (R) 이 300 mm 인 곡면을 따라 첩부할 수 있는 경우를 「○」, 할 수 없는 경우를 「×」라고 평가하였다.
경관 담보성은 구조체 (10) 의 투명성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구조체 (10) 를 예를 들어 건축물의 벽에 장착할 때에, 벽의 질감을 시인할 수 있는 경우를「○」, 할 수 없는 경우를「×」라고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표 1 ∼ 표 4 에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은, 전파의 입사각을 30 도로 설정했을 때의 정규 반사 강도, 첨도, 각도 실용성의 결과이다. 실시예 1 ∼ 6, 8 에서는, 4 GHz, 28.5 GHz, 47 GHz, 95 GHz, 144 GHz, 160 GHz, 300 GHz 의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한 정규 반사 강도가 -30 dB 이상이 되었다. 실시예 7 에서는, 300 GHz 의 주파수의 전파의 경우에, 정규 반사 강도가 -30 dB 가 되었다. 또한, 수신 안테나를 시료의 반사점 (11a) 을 중심으로 하여 전파의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0 도, ±5 도, ±10 도, ±15 도의 각도 위치로 이동시켜,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반사 강도를 측정했을 경우에 실시예 1 ∼ 8 의 모든 예에서, 첨도는 -0.4 이하가 되었다. 또한, 실시예 1 ∼ 8 의 모든 예에서, 모든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반사 강도가 -45 dB 또는 -40 dB 이상이 되어, 각도 실용성이 「A」 또는 「B」로 양호한 평가가 되었다. 또, 표 1 에는, 실시예 1 ∼ 8 의 전개 계면 면적률 (Sdr) 을 기재하고 있다. 한편, 비교예 1, 3 은,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하여, 정규 반사 강도는 -30 dB 이상이지만, 첨도가 -0.4 보다 커, 각도 실용성은 「C」의 평가였다. 비교예 2 는,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하여 정규 반사 강도가 -30 dB 보다 작고, 첨도는 -0.4 이상이 되어, 각도 실용성은 「C」의 평가였다.
표 2 는, 전파의 입사각을 45 도로 설정했을 때의 정규 반사 강도, 첨도, 각도 실용성의 결과이다. 실시예 1 ∼ 8 의 모든 예에서, 상기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한 정규 반사 강도가 -30 dB 이상이 되었다. 또한, 상기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반사 강도를 측정한 경우에, 실시예 1 ∼ 8 의 모든 예에서, 첨도는 -0.4 이하가 되었다. 또한, 실시예 1 ∼ 8 의 모든 예에서, 모든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반사 강도가 -45 dB 또는 -40 dB 이상이 되어, 각도 실용성이 「A」 또는 「B」로 양호한 평가가 되었다. 한편, 비교예 1, 3 은,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하여, 정규 반사 강도는 -30 dB 이상이지만, 첨도가 -0.4 보다 커, 각도 실용성은 「C」의 평가였다. 비교예 2 는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하여 정규 반사 강도가 -30 dB 보다 작고, 첨도는 -0.4 또는 그 이상이 되어, 각도 실용성은 「C」의 평가였다.
표 3 은, 전파의 입사각을 60 도로 설정했을 때의 정규 반사 강도, 첨도, 각도 실용성의 결과이다. 실시예 1 ∼ 8 의 모든 예에서, 상기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한 정규 반사 강도가 -30 dB 이상이 되었다. 또한, 상기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반사 강도를 측정한 경우에, 실시예 1 ∼ 8 의 모든 예에서, 첨도는 -0.4 이하가 되었다. 또한, 실시예 1 ∼ 8 의 모든 예에서, 모든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 반사 강도가 -45 dB 또는 -40 dB 이상이 되어, 각도 실용성이 「A」 또는 「B」로 양호한 평가가 되었다. 한편, 비교예 1, 3 은,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하여, 정규 반사 강도는 -30 dB 이상이지만, 첨도가 -0.4 보다 커, 각도 실용성은 「C」의 평가였다. 비교예 2 는,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하여 정규 반사 강도가 -30 dB 보다 작고, 첨도는 -0.4 이상이 되어, 각도 실용성은 「C」의 평가였다.
표 1 ∼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파의 입사각이 30 도, 45 도, 60 도 중 어느 경우에도, 실시예 1 ∼ 6, 8 의 구조체 (10) 는, 4 GHz, 28.5 GHz, 47 GHz, 95 GHz, 144 GHz, 160 GHz, 300 GHz 의 각 주파수의 전파에 대한 정규 반사 강도가 -30 dB 이상이 되고, 실시예 7 의 구조체 (10) 는, 300 GHz 의 주파수의 전파에 대한 정규 반사 강도가 -30 dB 이상이 되었다. 또한, 실시예 1 ∼ 8 의 구조체 (10) 는, 전파의 입사각이 30 도, 45 도, 60 도 중 어느 경우에도, 4 GHz, 28.5 GHz, 47 GHz, 95 GHz, 144 GHz, 160 GHz, 300 GHz 의 각 주파수의 전파를 반사시켰을 때에, 첨도가 -0.4 이하였다.
각 실시예 1 ∼ 8 의 정규 반사 강도, 첨도, 각도 실용성에 대하여, 전파의 입사각을 45 도, 전파의 주파수가 28.5 GHz 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은, 정규 반사 강도가 -24.8 dB 이고, -30 dB 이하이다. 첨도는 -1.27 이며, -0.4 이하이다. 실시예 1 은, 정규 반사 강도가 비교예 6 의 -40.3 dB 보다 크고, 첨도가 비교예 1 의 -0.2, 비교예 2 의 -0.4, 비교예 3 의 -0.2 보다 작다. 각도 실용성은, 실시예 1 은, A 평가인 데에 반하여, 비교예 1 ∼ 3 은 C 평가이다.
실시예 2 에서는, 정규 반사 강도는 -22.6 dB 로서 -30 dB 이상이고, 첨도가 -1.14 로서 -0.4 이하이다. 실시예 2 는, 실시예 1 보다 유전 정접의 값이 작은 접착층 (14), 보호층 (15) 을 사용하고 있고, 실시예 1 보다 첨도가 크지만, 정규 반사 강도가 높아, 각도 실용성은 A 평가였다.
실시예 3 에 있어서는, 정규 반사 강도는 -20.5 dB 로서 -30 dB 이상이고, 첨도가 -1.72 로서 -0.4 이하이다. 실시예 3 에 있어서는, 전파 반사재 (12) 가 복수 적층되어 있고, 실시예 1 과 비교해도 정규 반사 강도가 크고, 첨도의 값도 작다. 각도 실용성은 A 평가였다.
실시예 4 는, 실시예 1 보다 전파 반사재 (12) 의 한 변의 길이 (L1) 가 작고, 정규 반사 강도는 -22.1 dB 로서 -30 dB 이상이고, 첨도가 -1.19 로서 -0.4 이하이다. 각도 실용성은 A 평가였다.
실시예 5 는, 도전 박막층 (16) 이 선상의 전파 반사재 (12) 로 이루어지고,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파 반사재 (12) 가 없는 영역 (12a) 이 정방 형상이 되도록 전파 반사재 (12) 가 반사되고 있다. 이 경우, 정규 반사 강도는 -20.1 dB 로서 -30 dB 이상이고, 첨도가 -1.01 로서 -0.4 이하이다. 각도 실용성은 A 평가였다.
실시예 6 은,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도전 박막층 (16) 이 선상의 전파 반사재 (12) 로 이루어지지만, 도전 박막층 (16) 이 도 8A 에 나타내는 형상이고, 선폭 (L6) 이 실시예 5 보다 작다. 실시예 6 에 있어서는, 정규 반사 강도는 -20.2 dB 로서 -30 dB 이상이고, 첨도가 실시예 5 보다 커져, -0.4 로서, 각도 실용성은 B 평가였다.
실시예 7 은, 도전 박막층 (16) 의 두께 (L3) 가 실시예 5 의 10 배이고, 선폭 (L6) 이 실시예 5 보다 작다. 실시예 7 에 있어서는, 정규 반사 강도는 -28.3 dB 로서 -30 dB 이상이고, 첨도가 -2.5 로서 -0.4 이하로, 각도 실용성은 A 평가였다.
실시예 8 은, 기재층 (13) 중에 입자상의 전파 반사재 (12) 가 분산되어 있고, 실시예 7 에 있어서는, 정규 반사 강도는 -24.8 dB 로서 -30 dB 이상이고, 첨도가 -4.5 로서 -0.4 이하로, 각도 실용성은 A 평가였다.
표 4 는 실시예 1 ∼ 8, 비교예 1 ∼ 3 의 설치성, 경관 담보성을 평가한 것이다. 경관 담보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 ∼ 8 은 전광선 투과율이 80 % 이상이고, 투명하여 ○ 의 평가이다. 한편, 비교예 1 ∼ 3 은 전광선 투과율이 낮고 투명하지 않아, 모두 × 의 평가였다. 또한, 설치성은, 실시예 1 ∼ 8 은 가요성을 갖고, 만곡면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 의 평가였지만, 비교예 1, 3 은 알루미늄판으로 휘기 어렵고 만곡면에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 의 평가였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행」이란, 2 개의 직선, 변, 면 등이 연장되어도 교차하지 않는 경우뿐만 아니라, 2 개의 직선, 변, 면 등이 이루는 각도가 10°이내의 범위에서 교차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10 : 구조체
11 : 전파 반사체
11a : 반사점
12, 12A, 12B : 전파 반사재
13, 13A, 13B : 기재층
14, 14A, 14B : 접착층
15 : 보호층
16 : 도전 박막층
20 : 전파 발생원
21 : 수신부
30, 30A, 30B, 30C : 건축 재료
L1 : 전파 반사재의 한 변의 길이
L2 : 이웃하는 전파 반사재의 사이의 간격
L3 : 전파 반사재의 두께
L4 : 접착층의 두께
L5 : 보호층의 두께
L6 : 전파 반사재의 선폭
L7 : 전파 반사재가 없는 영역의 한 변의 길이
L8 : 기재층의 두께
L10 : 전파 반사체의 한 변의 길이
L11 : 전파 반사체의 두께

Claims (20)

  1. 전파를 반사시키는 전파 반사재를 포함하는 전파 반사체를 갖는 구조체로서,
    상기 전파 반사체에, 입사파의 입사각이 15 도 이상 75 도 이하인 각도로, 상기 입사파의 주파수가 3 GHz 이상 5 GHz 이하, 25 GHz 이상 30 GHz 이하, 또는 150 GHz 이상 300 GHz 이하인 전파를 반사시켰을 때에,
    상기 입사파가 정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파의 강도가 상기 입사파에 대하여 -30 dB 이상이 되고, 상기 입사파의 입사 방향과 상기 반사파의 반사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있어서, 상기 반사파의 수신 각도 위치를,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 이상, +15 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파의 강도 분포의 첨도가 -0.4 이하가 되는 주파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파의 주파수가 3 GHz 이상 300 GHz 이하인 범위에 있어서, 상기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파의 강도 분포의 첨도가 -0.4 이하인,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반사체는, 상기 전파 반사재를 포함하는 도전 박막층과, 상기 도전 박막층을 유지하는 기재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적어도 갖는,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박막층은, 전개 계면 면적률이 0.05 % 이상 600 % 이하인, 구조체.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박막층은, 표면 저항값이 0.3 Ω/□ 이상 10 Ω/□ 이하인, 구조체.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박막층의 전파 반사재는 선상이며, 상기 전파 반사재가 없는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반사재는, 선폭이 0.05 ㎛ 이상 15 ㎛ 이하이고, 두께가 0.05 ㎛ 이상 10 ㎛ 이하이고, 피복률이 50 % 이하인, 구조체.
  8.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박막층은, 복수의 시트 형상의 상기 전파 반사재가 주기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박막층은, 이웃하는 상기 전파 반사재의 사이의 최단 거리가 1 mm 이하이고, 두께가 0.010 ㎛ 이상 0.35 ㎛ 이하이고, 피복률이 5 % 이상 99.9 % 이하인, 구조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반사체는 투명한, 구조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반사체는, 상기 전파 반사재가 수지에 의해 적층된 것인, 구조체.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반사체는, 상기 전파 반사재가 수지의 내부에 분산되어 있는, 구조체.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반사체는, 상기 전파 반사재가 수지에 의해 시트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는, 구조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반사체는 가요성을 갖는, 구조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반사체의 두께가 1 mm 이하인, 구조체.
  16.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유전 정접이 0.018 이하인, 구조체.
  17.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전기장에 따라 비유전율이 변화되는, 구조체.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조체를 포함하는, 건축 재료.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가요성을 갖고, 만곡면에 사용되는, 건축 재료.
  20. 전파를 반사시키는 전파 반사재를 포함하는 전파 반사체로 이루어지는 건축 재료로서,
    상기 전파 반사체에, 입사파의 입사각이 15 도 이상 75 도 이하인 각도로, 상기 입사파의 주파수가 3 GHz 이상 5 GHz 이하, 25 GHz 이상 30 GHz 이하, 또는 150 GHz 이상 300 GHz 이하인 전파를 반사시켰을 때에,
    상기 입사파가 정규 반사되었을 때의 반사파의 강도가 상기 입사파에 대하여 -30 dB 이상이 되고, 상기 입사파의 입사 방향과 상기 반사파의 반사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에 있어서, 상기 반사파의 수신 각도 위치를, 정규 반사 방향에 대하여 -15 도 이상, +15 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각 수신 각도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파의 강도 분포의 첨도가 -0.4 이하가 되는 주파수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건축 재료.
KR1020237027010A 2021-01-29 2022-01-28 구조체 및 건축 재료 KR202301350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13473 2021-01-29
JPJP-P-2021-013473 2021-01-29
PCT/JP2022/003319 WO2022163813A1 (ja) 2021-01-29 2022-01-28 構造体、及び建築材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095A true KR20230135095A (ko) 2023-09-22

Family

ID=8265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010A KR20230135095A (ko) 2021-01-29 2022-01-28 구조체 및 건축 재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088570A1 (ko)
EP (1) EP4287405A1 (ko)
JP (2) JP7271802B2 (ko)
KR (1) KR20230135095A (ko)
CN (1) CN116670927A (ko)
CA (1) CA3206140A1 (ko)
TW (1) TW202304063A (ko)
WO (1) WO2022163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345463A (zh) * 2021-12-27 2023-11-16 日商積水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電波反射體
JP7206571B1 (ja) 2022-02-01 2023-0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波反射体、および建築材料
TW202335368A (zh) * 2022-02-01 2023-09-01 日商積水化學工業股份有限公司 電波反射體、及建築材料
WO2024029365A1 (ja) * 2022-08-05 2024-02-08 Agc株式会社 反射パネル、これを用いた電磁波反射装置、及び電磁波反射フェンス
WO2024070455A1 (ja) * 2022-09-26 2024-04-04 Agc株式会社 反射パネル、これを用いた電磁波反射装置、電磁波反射フェンス、及び反射パネルの作製方法
WO2024070407A1 (ja) * 2022-09-26 2024-04-04 Agc株式会社 反射パネル、これを用いた電磁波反射装置、電磁波反射フェンス、及び反射パネルの作製方法
WO2024106405A1 (ja) * 2022-11-14 2024-05-2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波反射体、電波反射体の作製方法、電波反射構造体、電波反射システムおよび電波反射装置
JP7418883B1 (ja) 2023-07-05 2024-01-22 国立研究開発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保護層付き電波散乱シー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8514A (ja) 2009-04-21 2010-11-11 Ntt Docomo Inc 屋内移動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4737B (zh) * 2019-03-15 2024-06-04 Agc株式会社 无线通信用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8514A (ja) 2009-04-21 2010-11-11 Ntt Docomo Inc 屋内移動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7405A1 (en) 2023-12-06
CN116670927A (zh) 2023-08-29
TW202304063A (zh) 2023-01-16
US20240088570A1 (en) 2024-03-14
CA3206140A1 (en) 2022-08-04
JP2023084147A (ja) 2023-06-16
WO2022163813A1 (ja) 2022-08-04
JPWO2022163813A1 (ko) 2022-08-04
JP7271802B2 (ja)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35095A (ko) 구조체 및 건축 재료
US8164506B2 (en) Electromagnetic absorber using resistive material
CN108428976B (zh) 抑制寄生通带的全极化柔性频率选择表面结构及天线罩
US202002439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ground extension for monopole antenna with a finite ground plane using a wedge shape
EP3767745B1 (en) Antenna unit, and antenna unit-attached window glass
US20150042502A1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attenuator
JP7206571B1 (ja) 電波反射体、および建築材料
Koohestani et al. Compact rectangular slot antenna with a novel coplanar waveguide fed diamond patch for ultra wideband applications
Xuesong et al. Investigation into wideband electromagnetic stealth device based on plasma array and radar-absorbing materials
Patel et al. High gain metamaterial radome design for microstrip based radiating structure
Katsounaros et al. Optically transparent antenna for ultra wide-band applications
JP2013225797A (ja) 周波数選択板
Liu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broadband microwave absorber utilizing FSS screen constructed with circular fractal configurations
CN103296417B (zh) 超材料天线罩及天线系统
JP7303928B1 (ja) 電波反射体
WO2023149122A1 (ja) 電波反射体、および建築材料
WO2024106405A1 (ja) 電波反射体、電波反射体の作製方法、電波反射構造体、電波反射システムおよび電波反射装置
WO2023127710A1 (ja) 電波反射体
JP2024021079A (ja) 電波反射体
JP2024071369A (ja) 電波反射システムおよび電波反射体の配置方法
JP2024021078A (ja) 電波反射体、電波反射体の製造方法および電波反射体の施工方法
WO2023176382A1 (ja) 電磁波干渉吸収体
WO2024029575A1 (ja) 電波反射体、電波反射体の製造方法および電波反射体の施工方法
WO2024135455A1 (ja) 反射パネル、及び電磁波反射装置
Okramcha et al. Designing and performance analysis of low insertion loss with polarization-insensitive FSS-antenna-radome system for Airbome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