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796A -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 Google Patents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796A
KR20230134796A KR1020220032011A KR20220032011A KR20230134796A KR 20230134796 A KR20230134796 A KR 20230134796A KR 1020220032011 A KR1020220032011 A KR 1020220032011A KR 20220032011 A KR20220032011 A KR 20220032011A KR 20230134796 A KR20230134796 A KR 20230134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otation
support
supply pip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599B1 (ko
Inventor
정호창
서윤기
문성용
김병민
Original Assignee
(주)아쿠아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쿠아넷 filed Critical (주)아쿠아넷
Priority to KR1020220032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599B1/ko
Publication of KR2023013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 B01F27/92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with helices centrally mounted in the receptacle
    • B01F27/921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with helices centrally mounted in the receptacle with conical hel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는 양어장의 사육실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료가 배출되는 출구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는 사료공급관(110)과, 일측이 상기 사료공급관(110)의 출구측과 체결수단(122)에 의해 체결되고 타단에 상기 사료공급관(110)으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양어장 내에 분산 살포할 수 있게 회전분산체(1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유닛(120)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유닛(12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21)와, 상기 지지대(121)의 상측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사료공급관(110)에 상기 지지대(121)를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체결수단(122)과, 상기 지지대(121)의 하측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관(110)에서 공급되는 사료를 양어장 내에 확산되게 분산 살포할 수 있도록 한 회전분산체(125)와, 상기 지지대(121)에 대해 상기 회전분산체(12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지지수단(1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Bearing-free rotating plate feed dispersing device}
본 발명은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류 양식장 등에서 양식 어류에 사료의 공급시 넓은 지역에 골고루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 양식장 등에서는 양식 어류에 인위적으로 사료를 공급하고 있다.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을 위해서 이와 같은 사료 공급은 정해진 시간 및 공급량에 맞춰 이뤄져야 하는데, 현재 대부분의 어류 양식장에서는 이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즉, 작업자가 직접 사료가 담긴 용기를 들고 다니며, 손이나 간단한 도구를 이용해 사료를 양식장 내에 뿌려주는 방식으로 사료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생산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오늘날 어류 양식장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됨에 따라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생산성 등의 측면에서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양식 어류는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소량의 사료를 빈번하게 공급해줘야 보다 원활한 성장이 가능한데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시간이나 인력의 제한으로 인해 이와 같은 소량의 빈번한 사료 공급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정해진 정량의 사료보다 많은 양의 사료를 한번에 공급해주게 되며, 이는 양식 어류의 원활한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정량 이상의 사료 공급은 양식 어류가 공급된 사료를 미처 처리하지 못한 채 초과된 사료가 양식장 바닥으로 가라앉게 되어, 사료의 낭비 및 침전된 사료로 인한 수질 오염의 문제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수작업에 의한 사료 공급은 사료를 양식장 전체에 걸쳐 넓게 살포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즉, 수작업의 한계로 인해 양식장의 일부 구역에서 사료를 집중 공급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양식 어류 전체에 고르게 사료가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좁은 구역에서 다수의 양식 어류가 밀집되어 사료를 섭취하게 되므로, 밀집된 공간에 따른 먹이 경쟁이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양식 어류의 건강한 성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결국 양식 어류의 상품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종래 어류 양식장 등에서 사료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일부 제안된 바 있다. 일 예로, 본 출원인은 기 출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6208호(특허문헌 1)를 통해 임펠러를 구비하고 호퍼 내부에 저장된 사료를 혼합 배출할 수 있는 사료공급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들의 사료공급장치는 사료의 공급 범위에 있어 다소 한계를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즉, 특허문헌 1은 사료 공급관을 통해 일정한 위치에 사료를 공급하게 되므로, 그 공급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예컨데, 기 출원된 사료공급장치의 경우 양어장의 테두리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양어장 내에 일정범위까지 사료를 살포하는 방식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공급관에서 먼 위치로의 사료 공급은 원활하나 공급관과 가까운 위치에는 사료가 공급되지 않는 등 사료를 일정하게 공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는 등 사료를 정확히 공급하기란 쉽지 않았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를 강구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620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어장의 구석구석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양어장 내의 넓은 범위로 사료가 확산 분포될 수 있게 있도록 하여 다수의 양식 어류가 밀집되어 사료를 섭취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밀집된 공간에 따른 먹이 경쟁이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양식 어류의 건강한 성장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한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는 양어장의 사육실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료가 배출되는 출구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는 사료공급관과, 일측이 상기 사료공급관의 출구측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고 타단에 상기 사료공급관으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양어장 내에 분산 살포할 수 있게 회전분산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유닛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측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사료공급관에 상기 지지대를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체결수단과, 상기 지지대의 하측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사료를 양어장 내에 확산되게 분산 살포할 수 있도록 한 회전분산체와, 상기 지지대에 대해 상기 회전분산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분산체의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지지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는 어류가 사육되는 양어장의 중심부에서 사료를 방사상으로 확산되게 공급할 수 있는 등 넓은 지역에 사료를 골고루 분산 공급할 수 있어 양식 어류가 밀집되어 사료를 섭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어류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료를 살포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 없이 단순히 사류를 이송시키기 위한 송풍기 만으로 확산 분포시킬 수 있는 등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의 회전분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단면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베어링 회전판 분산장치는 양식 어류가 사육되는 양어장의 사육실 중심부 상측에서 설치되되,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공급관(110) 하부에 회전분산체(125)를 설치하여 공급되는 사료 및 에어에 의해 상기 회전분산체(125)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전분산체(125)가 회전되면서 사료를 방사상으로 확산 살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는 는 양어장의 사육실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사료공급관(110)과, 일단이 상기 사료공급관(110)과 체결수단(122)에 의해 체결되고 타단에 상기 사료공급관(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양어장 내에 확산되게 살포할 수 있게 회전분산체(1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는 양식 어류가 사육되는 사육실의 상측에 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사료공급관(110)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료공급관(110)은 내부에 중공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사료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사료공급관(110)은 일부분이 송풍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송풍기에서 공급되는 바람(에어)에 의해 사료가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료공급관(110)의 출구는 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료공급관(110)에서 배출되는 사료가 하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사료공급관(110)은 양어장의 지붕에 매달리는 형태로 위치되되, 사료가 배출되는 출구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료공급관(110)에서 배출되는 사료가 양식어류가 사육되고 있는 사육실로 낙하되어 어류가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유닛(120)은 상기 사료공급관(110)에서 배출되는 사료를 넓은 범위로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21)와, 상기 지지대(121)의 상측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사료공급관(110)에 상기 지지대(121)를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체결수단(122)과, 상기 지지대(121)의 하측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관(110)에서 공급되는 사료를 양어장 내에 분산되게 확산게 분산 살포할 수 있도록 한 회전분산체(125)와, 상기 지지대(121)에 대해 상기 회전분산체(12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지지수단(12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지지대(12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분산체(125)를 상기 사료공급관(110)에서 일정거리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2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위치한 일단에는 후술하는 회전분산체(125)와의 결합을 결합편(121a)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편(121a)에는 고정나사(121b)가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121c)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체결수단(122)은 상기 지지대(121)의 상측에 마련된 일단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121)가 상기 사료공급관(110)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료공급관(11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한 밴드부재(123)와, 상기 밴드부재(123)를 조여 상기 밴드부재(123)가 상기 사료공급관(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조임나사(12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밴드부재(12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을 통해 링 형상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각각의 일단이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조임나사(124)에 의해 타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한 쌍의 밴드부재(12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지지대(121)와 고정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21)의 하측에 마련된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분산체(125)는 상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상기 지지대(121)의 말단에 자유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분산체(125)는 회전지지수단(126)에 의해 상기 지지대(121)에 자유회전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도 5참조)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회전분산체(125)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 중심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원판으로 형성된 상면이 상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어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향 경사진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회전날개(125a)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날개(125a)는 상기 사료공급관(110)에서 낙하되는 사료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분산체(125)에 적어도 5개 이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날개(125a)의 갯 수는 다양하게 설계변경가능 한 것으로 낙하되는 사료를 안정적으로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회전날개(125a)의 갯 수에 제한을 두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6개의 회전날개(125a)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125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승달형상으로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방향으로 향할수록 후방측으로 소정각도를 갖게 눕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분산체(125)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사료가 낙하되면 눕혀지게 형성된 회전날개(125a)의 면을 따라 사료가 확산되면서 골고루 분산 살포될 수 있다.
즉, 회전분산체(125)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날개(125a)가 회전되는 방향의 후방으로 약 60°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도록 하되 초승달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125a)의 면을 따라 사료가 미끄러지면서 살포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날개(125a)는 상기 회전분산체(125)에 대해 90°각도로 직교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후방으로 60°각도 이하의 다양한 각도로 눕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료의 확산 범위에 따라 회전날개(125a)의 눕힘 각도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121)에 대해 상기 회전분산체(125)가 안정적으로 결합 및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지지수단(12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공(125b)에 끼움결합되며 하부가 원뿔 형상으로 함몰되게 홈이 형성되는 회전보호대(126a)와, 상측은 상기 끼움공(125b)에 삽입된 회전보호대(126a)의 원뿔 형상의 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원뿔 형상의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측은 상기 결합편(121a)을 관통하는 고정나사(121b)와 고정결합되는 회전고정축(126b)과, 상기 끼움공(125b)에 삽입된 상기 회전고정축(126b)이 끼움공(125b)에서 분리되지 않게 상기 회전고정축(126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움공(125b)에 억지끼움되는 회전지지링(126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끼움공(125b) 내측에 회전보호대(126a)가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끼움공(125b) 내측으로 상기 회전고정축(126b)이 끼움결합되어 상기 회전고정축(126b)의 상단이 상기 회전보호대(126a)와 접촉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회전분산체(125)는 상기 회전고정축(126b)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회전보호대(126a)는 회전분산체(125)와 고정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링(126c)은 상기 회전고정축(126b)에 대해 상기 회전분산체(125)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고정축(126b)이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끼움공(125b)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주면은 상기 끼움공(125b)에 억지끼움결합되어 고정되고, 내주면으로 상기 회전고정축(126b)이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보호대(126a)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보호대(126a)와 접촉되는 상기 회전고정축(126b)은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회전시 동일 재질의 마찰에 의한 융착을 방지하고 회전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회전지지수단(126)은 회전고정축(126b)의 하부가 상기 고정나사(121b)에 의해 지지대(121)의 결합편(121a)에 고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고정축(126b)의 상측이 회전분산체(125)의 끼움공(125b)으로 삽입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끼움공(125b) 내부에는 회전보호대(126a)가 끼움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회전고정축(126b)의 상단이 상기 회전보호대(126a)와 접촉되게 위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분산체(125)는 상기 회전고정축(126b)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링(126c)이 회전분산체(125)에서 회전고정축(126b)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분산체(125)의 상측에서 사료가 공급되면 회전고정축(126b)에 대해 자유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 회전분산체(125)가 낙하되는 에어 및 사료에 의해 회전되게 되고, 회전분산체(125)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해 사료가 회전날개의 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양어장 주위로 확산 분포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121)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21)의 수직부재를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낙하되는 사료를 확산시킬 수 있게 마련되는 회전분산체(125)와의 거리를 조절하여 사료가 확산되는 범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컨데 사료공급관(110)에서 회전분산체(125)을 멀리할 경우에는 사료공급관(110)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에어가 상대적으로 약해 회전분산체(125)의 회전력이 떨어져 가까운 거리에서 사료가 분산 살포되고, 사료공급관(110)과 가까운 위치에 회전분산체(125)를 위치시킬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사료공급관(110)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사료 및 에어가 강해 회전분산체(125)의 회전력이 강하여 상대적으로 사료가 먼거리로 확산 살포되게 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는 양어장의 사육실 중심부 상측에 사료공급관(110)이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료공급관(110) 내부로 사료가 에어에 의해 이동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료가 배출되는 사료공급관(110)의 하부에 지지대(121)에 의해 회전분산체(1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의 공급에 의해 사료가 상기 사료공급관(110) 내에서 이동 및 낙하되면 공급되는 에어 및 사료에 의해 상기 회전분산체(125)가 회전되며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회전에 의해 회전날개(125a)를 따라 사료가 양어장 내로 확산 살포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사료공급관 120 : 회전유닛
121 : 지지대 121a : 결합편
121b : 고정나사 121c : 결합공
122 : 체결수단 123 : 밴드부재
124 : 조임나사 125 : 회전분산체
125a : 회전날개 125b : 끼움공
126 : 회전지지수단 126a : 회전보호대
126b : 회전고정축 126c : 회전지지링

Claims (8)

  1. 양어장의 사육실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료가 배출되는 출구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는 사료공급관(110)과,
    일측이 상기 사료공급관(110)의 출구측과 체결수단(122)에 의해 체결되고 타단에 상기 사료공급관(110)으로부터 낙하되는 사료를 양어장 내에 분산 살포할 수 있게 회전분산체(12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유닛(120)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유닛(12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21)와, 상기 지지대(121)의 상측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사료공급관(110)에 상기 지지대(121)를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체결수단(122)과, 상기 지지대(121)의 하측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사료공급관(110)에서 공급되는 사료를 양어장 내에 확산되게 분산 살포할 수 있도록 한 회전분산체(125)와, 상기 지지대(121)에 대해 상기 회전분산체(12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지지수단(12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122)은
    상기 지지대(121)의 상측에 마련된 일단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사료공급관(11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한 밴드부재(123)와, 상기 밴드부재(123)를 조여 상기 밴드부재(123)가 상기 사료공급관(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조임나사(1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밴드부재(123)는 반원 형상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을 통해 링 형상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각각의 일단이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임나사(124)에 의해 타단이 각각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한 쌍의 밴드부재(12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지지대(121)와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산체(125)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면 중심부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원판으로 형성된 상면이 상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되어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향 경사진 상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회전날개(125a)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125a)는 초승달형상으로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방향으로 향할수록 후방측으로 소정각도를 갖게 눕혀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분산체(125)가 회전되는 상태에서 사료가 낙하되면 눕혀지게 형성된 회전날개(125a)의 면을 따라 사료가 확산되면서 분산 살포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125a)는 상기 회전분산체(125)을 기준으로 상기 확산날개(125a)가 회전되는 방향의 후방으로 약 60°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수단(126)은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저면에 형성되는 끼움공(125b)에 끼움결합되며 하부가 원뿔 형상으로 함몰되게 홈이 형성되는 회전보호대(126a)와,
    상측은 상기 끼움공(125b)에 삽입된 회전보호대(126a)의 원뿔 형상의 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게 원뿔 형상의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하측은 상기 결합편(121a)을 관통하는 고정나사(121b)와 고정결합되는 회전고정축(126b)과,
    상기 끼움공(125b)에 삽입된 상기 회전고정축(126b)이 끼움공(125b)에서 분리되지 않게 상기 회전고정축(126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움공(125b)에 억지끼움되는 회전지지링(126c)으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보호대(126a)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보호대(126a)와 접촉되는 상기 회전고정축(126b)은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분산체(125)의 회전시 동일 재질의 마찰에 의한 융착을 방지하고 회전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대(121)의 수직부재를 엑츄에이터로 구성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KR1020220032011A 2022-03-15 2022-03-15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KR10265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11A KR102658599B1 (ko) 2022-03-15 2022-03-15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011A KR102658599B1 (ko) 2022-03-15 2022-03-15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796A true KR20230134796A (ko) 2023-09-22
KR102658599B1 KR102658599B1 (ko) 2024-04-18

Family

ID=88190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011A KR102658599B1 (ko) 2022-03-15 2022-03-15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59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3226A (ja) * 1989-04-24 1990-11-20 Yamaha Motor Co Ltd 自動給餌装置
CN2297055Y (zh) * 1997-06-12 1998-11-18 詹子锋 一种养鱼自动投饵机
US5975021A (en) * 1997-12-20 1999-11-02 Environmental Technologies, Inc. Centrifugal feed distributor
KR200299023Y1 (ko) * 2002-10-08 2003-01-03 제해진 양어장의 사료 자동공급기
KR20130138512A (ko) * 2012-06-11 2013-12-19 주식회사 다르마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KR20160016208A (ko) 2014-08-04 2016-02-15 이상준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KR101677010B1 (ko) * 2016-06-28 2016-11-18 대한민국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3226A (ja) * 1989-04-24 1990-11-20 Yamaha Motor Co Ltd 自動給餌装置
CN2297055Y (zh) * 1997-06-12 1998-11-18 詹子锋 一种养鱼自动投饵机
US5975021A (en) * 1997-12-20 1999-11-02 Environmental Technologies, Inc. Centrifugal feed distributor
KR200299023Y1 (ko) * 2002-10-08 2003-01-03 제해진 양어장의 사료 자동공급기
KR20130138512A (ko) * 2012-06-11 2013-12-19 주식회사 다르마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KR20160016208A (ko) 2014-08-04 2016-02-15 이상준 어류 양식장용 사료공급장치
KR101677010B1 (ko) * 2016-06-28 2016-11-18 대한민국 블로워를 이용한 양식장용 사료 자동 정량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599B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9975A (en) Dual purpose bird feeder
JP2013512093A5 (ko)
KR19990044944A (ko) 조정 가능한 가금류 사료 공급통 조립체
JP3723961B2 (ja) 養殖貝用洗浄選別装置
KR102658599B1 (ko)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KR20160040832A (ko) 와류를 이용한 일체형 배기팬
US8833303B1 (en) Pellet dispersing blade assembly
US20090141586A1 (en) Mixing apparatus
CN104756944A (zh) 一种甲鱼养殖投食装置
US20230404026A1 (en) Bale cutting assembly for agricultural mixer apparatus
US6269769B1 (en) Adjustable game bird feeder
KR20230162389A (ko) 사료분배기
KR20230174447A (ko) 양어장용 사료송출관
US20170071153A1 (en) Clog preventing feeder element
ES2770079T3 (es) Alimentador de ganado rotatorio con aberturas de alimentación de flujo por gravedad
KR100761221B1 (ko) 축산용 급이기의 사료 배출량 조절장치
US20160016132A1 (en) Vertical screw feed mixer with guide paddle
KR200188614Y1 (ko)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US11382307B2 (en) Livestock self-feeder
KR101946311B1 (ko) 가축용 급이기의 사료 분산판
CN215074733U (zh) 一种家禽饲养料槽
CN209609570U (zh) 软颗粒投饵机
CN207885427U (zh) 一种畜牧场用喂料装置
CN213587184U (zh) 调节式鸡食槽
CN209788147U (zh) 一种养殖用自动喂食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