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512A -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512A
KR20130138512A KR1020120062163A KR20120062163A KR20130138512A KR 20130138512 A KR20130138512 A KR 20130138512A KR 1020120062163 A KR1020120062163 A KR 1020120062163A KR 20120062163 A KR20120062163 A KR 20120062163A KR 20130138512 A KR20130138512 A KR 2013013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partition
feedstuff
poultry
gui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6888B1 (ko
Inventor
조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르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르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르마
Priority to KR102012006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688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이나 오리 등의 가금류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공급장치는, 상, 하로 형성되어 있는 중공이 사료공급배관의 사료배출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공급되는 사료가 중공의 통해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사료가이드 몸체; 사료가이드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기둥이 형성되어 있고, 사료가이드 몸체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중심부로 유입되어 방사형으로 확산되도록 기둥과 기둥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칸막이 고정몸체; 칸막이 고정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료수용부에 사료가이드 몸체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펼쳐져 위치되도록 된 사료 접시; 중심부에 상기 사료가이드 몸체가 삽입되는 가이드몸체삽입홀을 가지며, 가이드몸체삽입홀의 외벽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사료수용부를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획하되 상부는 개방되도록 구획하는 칸막이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칸막이 고정몸체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칸막이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사료 공급장치는 가금류의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면서 먹이경쟁이 이루어져 가금류가 종래보다 많은 양의 먹이를 섭취하게 되므로 가금류의 성장이 종래보다 빠르고, 살이 많이 쪄 생산성이 좋아진다.

Description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Domestic animal for Feed of Supply-equipment}
본 발명은 닭이나 오리 등의 가금류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사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닭이나 오리 등의 가금류를 대량으로 사육하는 농가에서는 사육장 내에 사료 공급장치를 여러 지점에 설치해 놓고 설정된 시점에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58484호 등에는 가금류에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료 공급장치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다.
가금류에 사료를 자동 공급하기 위한 사료 공급장치는 사료가 공급되는 배관의 소정 지점에 설치되는 사료가이드 몸체를 가지고 있었다.
또, 사료가이드 몸체를 통해 공급된 사료가 안치되어 쌓이는 사료 접시를 가지고 있었다.
또, 가금류가 사료 접시의 사료를 먹을 때 서로 다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1마리의 가금류가 머리를 넣어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접시에 체결되어 사료 접시의 상부 및 측면을 다수 개의 부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 몸체를 가지고 있었다.
또, 공급안내관에 결합되어 공급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공급량조절 몸체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는 각각의 가금류가 각각 독립된 공간으로 머리를 넣어 사료를 먹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사료를 먹는 양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어느 정도 키와 몸집이 커진 가금류를 기준으로 설치된 것이어서 병아리 등의 어린 가금류에게는 너무 높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어린 가금류에 사료를 공급하는 용도로는 사용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사료공급장치를 병아리 등의 어린 가금류에 맞게 설치하는 경우 어느 정도 자란 가금류에게는 맞지 않게 되고, 어린 가금류가 사료 접시 내부로 들어가서 죽는 경우도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구조가 복잡하여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작업에 상당한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4584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금류의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면서 먹이경쟁을 하도록 유도하여 더 많은 양의 먹이를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종래보다 성장이 빠르고 살이 찌도록 할 수 있는 가금류용 사료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병아리 등의 어린 가금류에서부터 출하 직전의 다 자란 가금류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의 가금류에게 사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또, 구조가 간단하여 사료의 공급량 등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2~3마리의 가금류가 함께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칸막이를 구비하되 사료를 먹는 가금류의 상부에는 칸막이가 위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금류의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먹이경쟁을 유도하여 더 많은 양의 먹이를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종래보다 성장이 더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사료 접시가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하되 완전히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사료 접시를 분리하여 공급되는 사료가 사육장의 바닥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병아리 등의 어린 가금류에게도 안정적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칸막이 몸체를 회전시켜 안치시키는 것만으로도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료 공급장치는, 상, 하로 형성되어 있는 중공이 사료공급배관의 사료배출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공급되는 사료가 중공의 통해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사료가이드 몸체를 갖는다.
또, 사료가이드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기둥이 형성되어 있고, 사료가이드 몸체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중심부로 유입되어 방사형으로 확산되도록 기둥과 기둥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칸막이 고정몸체를 갖는다.
또, 칸막이 고정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료수용부에 사료가이드 몸체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펼쳐져 위치되도록 된 사료 접시를 갖는다.
또, 중심부에 상기 사료가이드 몸체가 삽입되는 가이드몸체삽입홀을 가지며, 가이드몸체삽입홀의 외벽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사료수용부를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획하되 상부는 개방되도록 구획하는 칸막이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칸막이 고정몸체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칸막이 몸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사료 공급장치는 2~3마리 가금류가 함께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칸막이를 구비되어 있는데 사료를 먹는 가금류의 상부에는 칸막이가 위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금류의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면서 먹이경쟁이 이루어져 가금류가 종래보다 많은 양의 먹이를 섭취하게 되므로 가금류의 성장이 종래보다 빠르고, 살이 많이 쪄 생산성이 좋아진다.
또, 사료 접시가 분리,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되어 있는데 완전히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료 접시를 분리하여 공급되는 사료가 사육장의 바닥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병아리 등의 어린 가금류에게도 안정적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 칸막이 몸체를 들어올려 기둥삽입홈에 기둥이 삽입되고 걸림턱에 걸림부)가 걸리도록 하되 어느 기둥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부가 걸리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통해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병아리 등의 어리니 가금류에 사료를 공급하도록 사료 접시가 제거된 상태의 개략도
도 5는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
A : 상대적으로 지면에서 높은 지점에 위치된 걸림턱에 걸림부가 걸려 사료의 공급량이 많도록 설정된 상태
B : 상대적으로 지면에서 낮은 지점에 위치된 걸림턱에 걸림부가 걸려 사료의 공급량이 적도록 설정된 상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하나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가 첨부된 도면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닭이나 오리 등의 가금류에게 사료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료 공급장치는 종래와 같이 상, 하로 형성되어 있는 중공(11)이 사료공급배관(1)의 사료배출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공급되는 사료가 중공(11)의 통해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사료가이드 몸체(10)를 갖는다.
또, 사료가이드 몸체(10)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사료수용부(21)에서 펼쳐져 위치되도록 된 사료 접시(20)를 갖는다.
또, 사료수용부(21)를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 몸체(30)를 갖는다.
그런데 본 발명은 가금류가 사료를 많이 먹도록 하여 종래보다 성장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살이 찌도록 할 수 있는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연구 과정에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2~3마리의 가금류, 특히 2마리의 가금류가 먹이경쟁을 하는 것이 가금류의 스트레스가 적으면서 먹이경쟁이 이루어져 더 많은 양의 먹이를 먹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사료가 위치된 공간이 칸막이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구조에서 사료가 위치된 공간의 상부는 차단되어 있지 않아야 먹이경쟁을 하는 초기에 가금류의 스트레스가 최소화되고, 한 공간에서 2~3마리의 가금류가 사료를 먹을 때에도 스트레스가 적다는 결론을 얻었다. (가금류의 스트레스는 동일한 양의 사료를 먹더라도 살이 찌는 정도의 차이를 통해 판단하였음 즉, 동일한 양의 사료를 먹더라도 살이 적게 찌면 스트레스가 심하고 살이 더 많이 찌면 스트레스가 적다고 판단한 것임)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사료공급장치는, 사료가이드 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기둥(41)이 형성되어 있는 칸막이 고정몸체(40)를 갖는다.
또, 칸막이 고정몸체(40)는 사료가이드 몸체(10)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중심부로 유입되어 방사형으로 확산되도록 기둥(41)과 기둥(4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 사료 접시(20)는 칸막이 고정몸체(40)의 하부에 결합되고, 사료수용부(21)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이룬다.
또, 칸막이 몸체(30)는 중심부에 사료가이드 몸체(10)가 삽입되는 가이드몸체삽입홀(31)을 가지며, 가이드몸체삽입홀(31)의 외벽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사료수용부(21)를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획하되 상부는 개방되도록 구획하는 칸막이(32)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또, 칸막이 몸체(30)는 칸막이 고정몸체(4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가금류가 사료를 먹기 위하여 사료공급장치의 칸막이(32)에 의해 구획된 공간으로 머리를 밀어 넣을 때 걸리는 부분이 없어 가금류가 먹이경쟁을 하는 과정에서 서로 밀어내더라도 가금류의 머리가 다치거나 끼이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고, 칸막이(32)의 회전도 방지된다.
또, 한 공간에서 2∼3마리의 가금류가 사료를 먹을 때 가금류가 잠시 머리를 들고 쉬는 것도 용이하다.
칸막이(32)와 칸막이(32) 사이의 공간에 가금류 2마리 정도가 위치되어 먹이경쟁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그러한 조건을 설정하더라도 3마리 정도가 먹이 경쟁을 하는 상황도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칸막이(32)와 칸막이(32) 사이의 공간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기 때문에 가금류의 스트레스는 크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칸막이 몸체(30)는 칸막이(32)와 칸막이(32) 사이의 최대간격(T)이 가금류 2마리의 머리가 위치될 수 있는 크기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가금류 2마리의 머리가 위치될 수 있는 간격이란 가금류의 머리와 몸집 등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발생된다. (통상의 닭이나 오리를 기준으로 할 때 13cm ∼ 18cm 정도에 해당함)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사료 접시(20)는 칸막이 고정몸체(40)에 분리, 결합 가능하되 완전히 제거되도록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료 접시(20)를 칸막이 고정몸체(40)에서 완전히 분리하여 제거하면 공급되는 사료가 사육장의 바닥부에 쏟아져 내려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병아리 등의 어린 가금류에게도 안정적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사료가 쏟아져 내리는 사육장의 바닥부에는 수용부가 얕은 별도의 접시나 판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사료공급장치를 지면에서 띄워서 설치하되 어느 정도 자란 가금류가 사료를 편하게 먹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병아리 등이 사료 접시(20)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병아리 등의 어린 가금류에게도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사료공급장치에서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사료공급량 조절을 위한 수단은 그 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조가 간단한 것이 좋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칸막이 고정몸체(40)에 형성된 각각의 기둥(41)에는 각각 높이가 다른 걸림턱(41a)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또, 칸막이 몸체(30)는 칸막이 고정몸체(40)의 기둥(41)이 삽입되는 기둥삽입홈(33)을 가지며, 칸막이 고정몸체(40)의 걸림턱(41a)에 걸리는 걸림부(34)가 기둥삽입홈(33)에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즉, 칸막이 몸체(30)를 들어올려 기둥삽입홈(33)에 기둥(41)이 삽입되고 걸림턱(41a)에 걸림부(34)가 걸리도록 하되 어느 기둥(41)에 형성된 걸림턱(41a)에 걸림부(34)가 걸리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통해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닥에서 높은 지점에 형성된 걸림턱(41a)에 걸림부(34)가 걸리면 사료 접시(20)와 칸막이 몸체(30)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커져 사료의 공급량이 많아지고, 상대적으로 바닥에서 낮은 지점에 형성된 걸림턱(41a)에 걸림부(34)가 걸리면 사료 접시(20)와 칸막이 몸체(30)의 하단부 사이의 간격이 작아져 사료의 공급량이 적어지는 것이다.
1. 사료공급배관 10. 사료가이드 몸체
11. 중공 20. 사료 접시
21. 사료수용부 30. 칸막이 몸체
31. 가이드몸체삽입홀 32. 칸막이
33. 기둥삽입홈 34. 걸림부
40. 칸막이 고정몸체 41. 기둥
41a. 걸림턱

Claims (4)

  1. 가금류에게 사료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 하로 형성되어 있는 중공(11)이 사료공급배관(1)의 사료배출홀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공급되는 사료가 중공(11)의 통해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사료가이드 몸체(10);
    상기 사료가이드 몸체(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복수 개의 기둥(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료가이드 몸체(10)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중심부로 유입되어 방사형으로 확산되도록 기둥(41)과 기둥(4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칸막이 고정몸체(40);
    상기 칸막이 고정몸체(4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개방된 사료수용부(21)에 사료가이드 몸체(10)를 통해 공급되는 사료가 펼쳐져 위치되도록 된 사료 접시(20); 및
    중심부에 상기 사료가이드 몸체(10)가 삽입되는 가이드몸체삽입홀(31)을 가지며, 가이드몸체삽입홀(31)의 외벽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사료수용부(21)를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획하되 상부는 개방되도록 구획하는 칸막이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고, 칸막이 고정몸체(4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칸막이 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고정몸체(40)에 형성된 각각의 기둥(41)에는 각각 높이가 다른 걸림턱(4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 몸체(30)는 칸막이 고정몸체(40)의 기둥(41)이 삽입되는 기둥삽입홈(33)을 가지며, 칸막이 고정몸체(40)의 걸림턱(41a)에 걸리는 걸림부(34)가 기둥삽입홈(33)에 형성되어 있어 칸막이 몸체(30)를 들어올려 기둥삽입홈(33)에 기둥(41)이 삽입되고 걸림턱(41a)에 걸림부(34)가 걸리도록 하되 어느 기둥(41)에 형성된 걸림턱(41a)에 걸림부(34)가 걸리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통해 사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접시(20)는 칸막이 고정몸체(40)에 분리, 결합 가능하되 완전히 제거되도록 분리 가능한,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몸체(30)는 칸막이와 칸막이 사이의 최대간격(T)이 가금류 2마리의 머리가 위치될 수 있는 크기인,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KR1020120062163A 2012-06-11 2012-06-11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KR101386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163A KR101386888B1 (ko) 2012-06-11 2012-06-11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163A KR101386888B1 (ko) 2012-06-11 2012-06-11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12A true KR20130138512A (ko) 2013-12-19
KR101386888B1 KR101386888B1 (ko) 2014-04-18

Family

ID=4998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163A KR101386888B1 (ko) 2012-06-11 2012-06-11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68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317B1 (ko) * 2013-05-10 2014-12-12 주식회사 다르마 가금용 사료통
CN105104235A (zh) * 2015-08-27 2015-12-02 安庆市光明禽业有限责任公司 一种家禽养殖用料盘
KR20230134796A (ko) * 2022-03-15 2023-09-22 (주)아쿠아넷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569B1 (ko) 2015-08-25 2017-07-24 박진수 사료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7230B2 (ja) * 2001-09-25 2005-07-27 株式会社中嶋製作所 養鶏用給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317B1 (ko) * 2013-05-10 2014-12-12 주식회사 다르마 가금용 사료통
CN105104235A (zh) * 2015-08-27 2015-12-02 安庆市光明禽业有限责任公司 一种家禽养殖用料盘
KR20230134796A (ko) * 2022-03-15 2023-09-22 (주)아쿠아넷 무 베어링 회전판 사료 분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6888B1 (ko) 201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484Y1 (ko) 축사용 양계급이기
CN204540347U (zh) 一种可调节的家禽喂料装置
EP2488014B1 (en) A poultry feeder
US6470826B2 (en) Poultry feeder
KR101386888B1 (ko) 가금류용 사료 공급장치
CN103371107A (zh) 家畜同步喂食系统
US20150144065A1 (en) Snack stack bird feeder
KR101702607B1 (ko) 양계장 급이기용 급수장치
KR101472317B1 (ko) 가금용 사료통
US9161513B2 (en) Bird feeder
RU2555573C2 (ru) Кормушка для домашней птицы
CN210226554U (zh) 零食栈式喂鸟器
CN204291967U (zh) 一种悬挂牛羊舔砖的装置
CN105494157A (zh) 可调节自动投食机
CN105454083A (zh) 一种饲料桶
CN203226151U (zh) 一种家禽喂养器
CN205431548U (zh) 可调节自动投食机
JPS5915886Y2 (ja) 養鶏用のコンテナ−ケ−ジ
RU68856U1 (ru) Кормушка для птиц
CN205431547U (zh) 养鸡用喂食槽
KR200432948Y1 (ko) 가금류 사료급이기
CN210017356U (zh) 一种方便对种羊养殖区域进行空间调节的隔离架
CN207733450U (zh) 一种肉鸡多位可调料盘
CN215223968U (zh) 一种笼养鸡用料槽
CN204244898U (zh) 养殖禽类用钩挂型食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