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210A -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210A
KR20230134210A KR1020220031231A KR20220031231A KR20230134210A KR 20230134210 A KR20230134210 A KR 20230134210A KR 1020220031231 A KR1020220031231 A KR 1020220031231A KR 20220031231 A KR20220031231 A KR 20220031231A KR 20230134210 A KR20230134210 A KR 20230134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power
elastic
steering device
fastening
coupl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식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1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210A/ko
Priority to US18/120,526 priority patent/US20230286572A1/en
Publication of KR2023013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42Conversion of rotational into longitudinal movement
    • B62D5/0454Worm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2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a steering gear element, e.g. on a rack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3Mount clips, snap-fit, e.g. quick fit with elastic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21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 B62D5/0424Electric motor acting on or near steering gear the axes of motor and final driven element of steering gear, e.g. rack, being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되고 웜축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웜휠과 마주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센싱 유닛; 및 상기 센싱 유닛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Structure for sensor mounting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향장치는 차량의 운행방향을 조종하는 장치다. 이러한 조향장치는 래크와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조향기어박스와, 핸들의 회전을 조향기어박스의 피니언기어로 전달해 래크의 횡방향 동작을 유발하는 조향축과, 양측 휠의 너클부와 조향기어박스의 래크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타이로드 등을 포함한다.
조향장치 중에는 조향력을 보조하는 유압식 또는 전동식 동력장치를 부가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있다. 여기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모터로 조향축을 회전시키거나 래크를 횡으로 이동시켜 조향을 돕는 방식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는 피니언기어(3a)를 통해 래크(미도시)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웜휠(2), 웜축(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웜축은 웜휠(2)과 맞물리도록 마련되어 모터(미도시)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웜휠(2)에 전달하고, 웜휠(2)에는 피니언기어(3a)가 마련된 출력축(3)이 결합되어 웜휠(2)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피니언기어(3a)와 맞물린 래크가 횡 방향으로 이동하며 조향을 돕게 된다. 이러한 웜휠(2)과 웜축은 하우징(4)의 내부에 수용되는데, 하우징(4)은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2)을 수용하고 하우징커버(5)가 하우징(4)의 일측면을 차폐하며 하우징(4)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는 전자제어유닛(ECU : 미도시)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의 핸들 조작력을 토크 센서, 앵글 센서 등에서 감지하여 전자제어유닛으로 전달하고, 전자제어유닛에서 감지된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모터의 구동에 따라 작동하는 웜휠(2)의 회전 각도 또는 회전 토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6)가 마련된다. 이때, 센서(6)는 토크와 회전 각도를 하나의 센서에서 감지할 수 있는 토크 앵글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6)는 웜휠(2)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출력축(3)에 설치되는데, 센서(6)의 설치를 위해서는 별도의 조립 툴(tool : T)을 통해 설치하게 된다. 즉, 툴(T)로 센서(6)를 고정 후 하우징커버(5)를 조립한다. 이때, 센서(6)는 툴(T)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하우징커버(5)에 일정부분 삽입되어 지지되면, 이 상태에서 툴(T)을 제거 후 하우징커버(5)를 하우징(4)에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툴(T)을 통해 센서(6)를 설치 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T)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6)를 잡은 툴(T)과 하우징(4) 사이에 유격거리(A)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유격거리(A)의 확보에 따라 웜휠(2)과 센서(6) 사이의 거리(B)가 증가하여 전체적인 제품의 전장이 증대됨은 물론, 패키지화가 불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센서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종래에 비하여 제품의 전장 감소 및 패키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되고 웜축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웜휠과 마주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센싱 유닛; 및 상기 센싱 유닛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센싱 유닛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제1 수용부의 내측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체결홈; 및 일단이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부가 상기 결합몸체에 결합 시 탄성변형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몸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결합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탄성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부,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밴딩되는 밴딩부; 상기 밴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탄성암; 및 상기 탄성암의 두께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탄성암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밴딩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로부터 만곡지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몸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 탄성접촉부; 및 상기 제1 탄성접촉부로부터 만곡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탄성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 탄성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측면이 개구되어 출력축에 결합되는 웜휠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웜휠과 맞물리는 웜축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웜축과 결합되어 상기 웜축을 통해 상기 웜휠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제1 수용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상기 웜휠과 마주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센싱 유닛; 및 전술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센싱 유닛을 하우징에 고정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전장을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패키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적용된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체결 구조체가 적용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체결 구조체에 구비된 체결부재를 통해 센싱 유닛이 하우징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체결 구조체에 구비된 체결부재와 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가 적용된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향장치(10)는 래크와 피니언기어(도 5 '126' 참조)를 내장한 조향기어박스(11)와, 조향축(미도시)이 연결되는 조향축 연결부(12)와, 양측 휠의 너클부(미도시)와 조향기어박스(11)의 래크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타이로드(13)와, 조향기어박스(11)에 설치되며 조향에 따라 래크를 동작시켜 조향력을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조향장치(10)는 운전자가 핸들(20)에 가하는 토크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출력하는 토크센서(31)와, 핸들(20)의 회전각을 감지하여 전기 신호로 출력하는 앵글센서(32)와, 토크센서(31)와 앵글센서(3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자제어유닛(ECU : 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제어유닛(30)은 토크센서(31)와 앵글센서(32)로부터 입력된 신호값과 기설정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모터(도 5의 '130' 참조)를 제어하게 된다. 즉,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00)는 전자제어유닛(30)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체결 구조체가 적용된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체결 구조체에 구비된 체결부재를 통해 센싱 유닛이 하우징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조립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체결 구조체에 구비된 체결부재와 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100)는 감속기(120)가 수용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140), 감속기(120)로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130),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는 센싱 유닛(150) 및 센싱 유닛(150)을 하우징(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20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120)는 모터(130)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증폭하여 래크(미도시)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웜축(121)과 웜휠(123)로 구성될 수 있다.
웜축(121)은 모터(13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모터축과 연결된다. 이 웜축(121)의 외주면에는 웜기어가 형성된다.
웜휠(123)은 외주면에 웜기어에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이 웜휠(123)의 중심에는 피니언기어(126)가 형성된 출력축(125)이 결합된다. 즉, 웜휠(123)은 웜축(121)으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력에 의해 출력축(125)과 함께 회전하고, 피니언기어(126)와 맞물린 래크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운전자의 핸들(도 3의 '20' 참조) 조작을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웜휠(123)과 웜축(121)은 각각 하우징(110)의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에 수용되어 진다. 즉,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는 일부가 서로 연통되게 구비되어,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가 연통되는 부위에서 웜휠(123)과 웜축(121)이 맞물리게 된다.
제1 수용부(111)는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123)이 수용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웜휠(123)의 축방향으로 개구되고, 제1 수용부(111)의 개구된 일측면에는 하우징커버(140)가 결합된다. 하우징커버(140)가 결합됨으로써 제1 수용부(111)의 개구된 일측면이 차폐되고, 하우징커버(140)와 제1 수용부(111) 사이에 센싱 유닛(150)이 마련된다. 웜휠(123)의 중심에 결합된 출력축(125)은 하우징(110)의 제1 수용부(111)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래크와 연결되고, 제1 수용부(111)에 베어링(12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제1 수용부(111)의 내측면에는 체결홈(210)이 형성된다. 이 체결홈(210)은 센싱 유닛(150)을 하우징(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200)의 하나로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수용부(112)에는 모터축과 결합된 웜축(121)이 삽입되도록 하여 모터(130)가 결합된다. 이에, 제2 수용부(112)의 개구된 일측면은 모터(130)에 의해 차폐된다.
센싱 유닛(150)은 웜휠(123)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마주하도록 출력축(125)에 연결된다. 이 센싱 유닛(150)은 모터(13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윔휠(123)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앵글센서로 마련되거나, 토크와 회전 각도를 하나의 센서에서 감지할 수 있는 토크 앵글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센싱 유닛(150)은 웜휠(123)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여 검출된 측정값을 전자제어유닛(도 3의 '30' 참조)으로 송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유닛(150)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센싱 유닛(150)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151)에는 결합부(2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30)는 센싱 유닛(150)을 하우징(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200)의 하나로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수단(200)은 센싱 유닛(150)을 하우징(110)에 고정시키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체결홈(210), 센싱 유닛(150)에 마련되는 결합부(230) 및 상기 체결홈(210)과 결합부(23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홈(210)은 제1 수용부(111)의 내측면에 요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홈(210)이 제1 수용부(111)에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수용부(111)의 반경방향 측으로 일직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220)는 몸체부(221)와, 상기 몸체부(2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결부(222) 및 몸체부(22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221)는 소정 강성을 가지며 플레이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22)는 체결홈(21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몸체부(221)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3)는 결합부(230)의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몸체부(221)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부(223)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지지부(223)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몸체부(221)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결합부(23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진다.
이러한 몸체부(221)와, 체결부(222) 및 한 쌍의 지지부(223)는 하나의 몸체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재(220)를 통해 체결홈(210) 및 결합부(230)에 결합 시 센싱 유닛(150)은 움직임이 제한된 상태로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결합부(230)는 센싱 유닛(150)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151)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30)는 제1 수용부(111)의 내측면과 근접한 위치의 프레임(15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부(230)는 한 쌍의 지지부(223) 사이에 마련되는 결합몸체(231) 및 상기 결합몸체(231)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탄성부재(233)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몸체(231)는 프레임(151)으로부터 하우징(110) 즉, 제1 수용부(111)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 결합몸체(231)는 프레임(15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33)는 한 쌍의 지지부(223)가 결합몸체(231)에 결합 시 탄성변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233)는 결합몸체(231)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탄성부(234) 및 제1 탄성부(234)와 결합몸체(231) 사이에 마련되어 제1 탄성부(234)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부(23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탄성부(234) 결합몸체(231)로부터 밴딩되는 밴딩부(234a)와, 상기 밴딩부(234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탄성암(234b) 및 상기 탄성암(234b)의 두께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탄성암(234b)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234c)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탄성부(235)는 결합몸체(2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결합몸체(231)로부터 밴딩되는 절곡부(235a)와, 상기 절곡부(235a)로부터 만곡지게 연장되어 결합몸체(231)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 탄성접촉부(235b) 및 제1 탄성접촉부(235b)로부터 만곡지게 연장되어 제1 탄성부(234)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 탄성접촉부(235c)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한 쌍의 지지부(223)가 결합부(230)에 결합 시, 한 쌍의 지지부(223) 중 어느 하나의 지지부(223)는 탄성부재(233)가 마련되지 않은 결합몸체(231)의 일측면을 따라 가이드되며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부(223)는 탄성부재(233)를 가압하며 결합되어 진다. 이에, 탄성부재(233)는 지지부(223)에 의해 가압되며 결합몸체(231)를 향하여 탄성변형되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탄성부재(233)가 탄성변형 시 제1 탄성부(234)는 지지부(223)의 가압에 따라 밴딩부(234a)를 기준으로 결합몸체(231)를 향하여 탄성변형되고, 제2 탄성부(235)는 제1 탄성부(234)의 탄성변형에 따른 가압에 의해 제1 탄성접촉부(235b)와 제2 탄성접촉부(235c)가 탄성변형되며 제1 탄성부(234)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체결부재(220)와 결합부(230)의 긴밀한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33)는 결합몸체(2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 번의 조립 공정으로 체결부재(220)를 체결홈(210) 및 결합부(230)에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센싱 유닛(150)을 하우징(1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종래에 비해 별도로 조립 툴을 이용하지 않아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전장 증대를 해소할 수 있어 패키징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110 : 하우징
150 : 센싱유닛
200 : 체결수단
210 : 체결홈
220 : 체결부재
230 : 결합부

Claims (9)

  1. 일측면이 개구되어 웜휠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되고 웜축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웜휠과 마주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센싱 유닛; 및
    상기 센싱 유닛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센싱 유닛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제1 수용부의 내측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체결홈; 및
    일단이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체결홈에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는 결합몸체; 및
    상기 결합몸체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부가 상기 결합몸체에 결합 시 탄성변형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몸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와 상기 결합몸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탄성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부;를 구비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밴딩되는 밴딩부;
    상기 밴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탄성암; 및
    상기 탄성암의 두께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상기 탄성암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구비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결합몸체로부터 밴딩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로부터 만곡지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몸체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 탄성접촉부; 및
    상기 제1 탄성접촉부로부터 만곡지게 연장되어 상기 제1 탄성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 탄성접촉부;를 구비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9. 일측면이 개구되어 출력축에 결합되는 웜휠이 수용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웜휠과 맞물리는 웜축이 수용되는 제2 수용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웜축과 결합되어 상기 웜축을 통해 상기 웜휠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제1 수용부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상기 웜휠과 마주하도록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센싱 유닛; 및
    상기 제1 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20220031231A 2022-03-14 2022-03-14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230134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231A KR20230134210A (ko) 2022-03-14 2022-03-14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18/120,526 US20230286572A1 (en) 2022-03-14 2023-03-13 Sensor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 power steering assist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231A KR20230134210A (ko) 2022-03-14 2022-03-14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210A true KR20230134210A (ko) 2023-09-21

Family

ID=8793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231A KR20230134210A (ko) 2022-03-14 2022-03-14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86572A1 (ko)
KR (1) KR2023013421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6572A1 (en)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8215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005488B2 (en) Electrically controlled steering assistance actuator
KR101285518B1 (ko) 토크 앵글 센서 및 이를 구비한 전동식 조향장치
KR101681778B1 (ko) 토크앵글센서
US9108666B2 (en) Steering system in a vehicle
US20090107756A1 (en) Motor rotation angle detection device
CN108706045A (zh) 电动转向装置的减速器
KR20230134210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센서 체결 구조체 및 이를 갖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101085336B1 (ko) 세레이션이 형성된 댐핑 커플러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기식동력 보조 조향장치
EP1905672B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KR101584612B1 (ko) 전동식 조향장치의 토크 앵글 센서 조립체
KR101261094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CN111422243A (zh) 传感器
US20230304880A1 (en) Pinion sensor structure of steer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pinion sensor structure of steering apparatus
KR20230072716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CN115066365A (zh) 转向角度感测装置
KR20170030934A (ko) Tas센서를 이용한 전동식 능동 롤 스태빌라이저 장치
KR101251241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20200068413A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CN217111257U (zh) 转子的固定结构、感应传感器和电动助力转向系统
KR20230024009A (ko) 차량용 조향장치
KR20220126137A (ko) 차량용 조향장치
KR101611458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토크 센서
JP635388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14343B1 (ko) 후륜 조향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