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981A -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 Google Patents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981A
KR20230133981A KR1020237028785A KR20237028785A KR20230133981A KR 20230133981 A KR20230133981 A KR 20230133981A KR 1020237028785 A KR1020237028785 A KR 1020237028785A KR 20237028785 A KR20237028785 A KR 20237028785A KR 20230133981 A KR20230133981 A KR 20230133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rrier
locking
lock housing
arran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홀거 쉬퍼
미카엘 숄츠
외머 이난
피터 체게니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13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98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4Protection against weather or dirt, e.g. against water ingre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하우징(1)과 하나의 캐리어 하우징(2)을 구비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이다. 잠금 하우징(1)은 액추에이터(6, 7, 8)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6, 7, 8)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캐리어 하우징(2)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캐리어(4)를 구비한다. 잠금 하우징(1)과 캐리어 하우징(2)은 미디어 기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 하우징(2) 및 전자 캐리어(4)는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2, 4, 5)을 정의하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씰(16)이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 하우징(1)에 모듈식으로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하우징과 하나의 캐리어 하우징을 갖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에 관한 것으로, 잠금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캐리어 하우징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캐리어를 가지며, 잠금 하우징과 캐리어 하우징은 미디어 기밀 방식(media-tight manner)으로 함께 연결된다.
본 발명은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즉, 차량 잠금을 위한 하우징 배열에 관한 것이다. 해당 차량 잠금은 일반적으로 관련 자동차 도어, 자동차 해치 등의 위나 안에 배치되지만, 원칙적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 시트 안이나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해당 차량 잠금은 일반적으로 차체에 장착된 잠금 홀더와 상호 작용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차량 잠금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 자동차 해치 및/또는 자동차 시트를 차체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고 및/또는 차체에 대해 고정하기 위하여 해당 잠금 홀더와 상호 작용하는, 캐치와 폴로 구성된 잠금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다.
DE 10 2015 109 494 A1에 따른 일반적인 종래 기술의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은 회로 기판을 그것의 전자 장치와 함께 수용하기 위한 회로 기판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로 기판 하우징은 잠금 하우징의 나머지에 수밀 방식(liquid-tight manner)으로 결합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연결이 실현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편으로는 회로 기판 하우징 및/또는 캐리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캐리어의 설계와, 다른 한편으로는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이 수용된 잠금 하우징의 설계와 관련하여 유연성이 당연히 제한된다. 앞서 언급한 선행 기술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은 액추에이터이고 이를 통해 잠금 메커니즘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은 잠금 메커니즘과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부품을 의미한다. 잠금 메커니즘은 차례로 잠금 플레이트 또는 잠금 케이스에 장착된다.
DE 11 2014 004 455 T5에 따른 또 다른 종래 기술은 잠금 배열의 전기적 부품을 포함하는, 유체 밀폐식(fluid-tight) 전기 하우징으로 작동한다. 그 결과, 전체 전기적 잠금 배열은 물, 그리스(grease) 또는 기타 유체에 노출되는 자동차 도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EP 2 754 799 B1은 폐쇄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제1의 실질적으로 판형인 지지체 및 결과적으로 잠금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전기 자동차 폐쇄 장치를 다룬다. 또한, 추가의 제2 지지체가 실현되며, 이는 차례로 인쇄 회로 기판을 제1 지지체에 의해 걸쳐 이어지는 평면에 횡단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제2 지지체는 유체 밀폐형(fluid-tight) 하우징을 갖는다.
선행기술은 원칙적으로 하우징 배열 및/또는 잠금 하우징 및 캐리어 하우징의 미디어 기밀 설계에 관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맥락에서, 상이한 기능적 요구 사항, 다양한 설치 위치 등에 적응을 허용하지 않는 비교적 복잡한 설계가 제안되었다. 이는 더 이상 오늘날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화하는 설치 위치에서 상이한 기능 및/또는 부착을 실현하기 위하여 유연한 설계가 가능하도록 이러한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을 더욱 발전시키는 기술적 과제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일반적인 유형의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은, 캐리어 하우징 및 전자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씰이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 하우징에 모듈식으로 결합되는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을 정의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잠금 하우징은 조립된 상태에서 캐리어 하우징과 함께 잠금 메커니즘을 지지하는 잠금 케이스와 추가로 결합되는 하우징을 정의하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차량 잠금,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전과 같이 그리고 변형 없이, 잠금 하우징과 캐리어 하우징은 결과적으로 미디어 기밀 연결로 함께 결합된다. 그 결과, 잠금 하우징 및 캐리어 하우징에 수신되고 수용되는 부품, 즉 한편으로는 액추에이터와 같은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 및 다른 한편으로는 전자 캐리어는 잠금 하우징 및 캐리어 하우징으로 구성된 조립된 하우징의 내부에 보호된 방식(protected manner)으로 수용된다. 이 경우, 해당 하우징은 적어도 두 부분으로 설계, 즉 잠금 하우징과 캐리어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경우, 해당 하우징은 잠금 하우징과 캐리어 하우징으로 구성되지만 원칙적으로 추가의 하우징 부품이 추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오직 잠금 하우징과 캐리어 하우징만 일반적으로 구현되며, 미디어 기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조립된 하우징을 정의하고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어 하우징과 전자 캐리어는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을 추가로 정의한다. 이 구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씰이 삽입된 상태에서 모듈식으로 잠금 하우징에 결합된다. 모듈식 결합의 결과로, 한편으로는 캐리어 하우징과 전자 캐리어 및/또는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이, 다른 한편으로는 잠금 하우징이, 각각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연결된 모듈 또는 부품을 정의하며, 그 자체는 씰에 의해 미디어 기밀 방식으로 폐쇄된다. 캐리어 하우징과 전자 캐리어 모두 및/또는 관련된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과 잠금 하우징의 모듈식 특성은 캐리어 하우징 및/또는 전자 캐리어와 잠금 하우징 모두가 기능 및/또는 장착 위치와 관련한 각각의 요구 사항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가능성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전자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전자 부품을 구비하며, 전자 부품은 일반적으로 그리고 의무적으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제공될 수도 있다. 기능적 요구사항에 따라, 해당 전자 캐리어는 하나 이상의 에너지원 및/또는 비상 에너지원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에너지원을 통해 예를 들어 차량 배터리가 고장난 경우에도 잠금 메커니즘의 전기적 잠금 해제, 전기적 개방 등을 가능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비상 전원 공급이 실현될 수 있다.
해당 에너지원 또는 비상 에너지원은 배터리, 커패시터 등으로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설계될 수 있다. 주어진 상황에서 이러한 "비상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전자 캐리어와 이를 수신하는 캐리어 하우징은 다르게 설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더 컴팩트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잠금 하우징에 대한 모듈식 커플링으로 인해 구조 유닛과 잠금 하우징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설계를 갖습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잠금 하우징은 캐리어 하우징과 전자 캐리어로 구성된 서로 다른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 즉 예시의 첫 번째 버전에서는 비상 에너지원이 있고 두 번째 버전에서는 비상 에너지원이 없는, 서로 다른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에 모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다른 변형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의 기본 개념을 준수하면서, 다양한 기능(비상 에너지원의 유무)과 설치/장착 위치의 변경을 모두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설치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설치 공간에 의존하여 에너지 저장 용량과 관련한 비상 에너지원의 설계도 원칙적으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모든 것은 한편으로는 캐리어 하우징과 전자 캐리어로 구성된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과 다른 한편으로는 잠금 하우징 사이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이루어진다.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씰을 통해 차단되기 때문에, 잠금 하우징과 캐리어 하우징 사이의 원하는 미디어 기밀 연결을, 그것을 하우징과 결합한 후에도, 그리고 이전처럼 그리고 수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하우징은 또한 구조 유닛에 모듈식으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잠금 하우징은 또한 주어진, 원하는 기능 및/또는 설치 위치에 쉽게 적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적응은 예를 들어,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가 선택되고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잠금 하우징에 교체 가능하게 수용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를 전기 모터에 기어링을 더하거나 기어링 없이 설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잠금 메커니즘을 열기 위해 액추에이터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서로 다른 비율로) 다르게 설계된 기어링으로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구조 유닛과 잠금 하우징 사이의 모듈식 결합은 구조 유닛에 대한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잠금 하우징이 해당 구조 유닛에 용이하고 모듈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여기서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씰은 해당 기계적 인터페이스의 미디어 기밀 폐쇄를 보장한다. 다시 말해,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에 대한 잠금 하우징의 기계적 인터페이스가, 설명된 예시에서 잠금 하우징이 오직 하나의 전기 모터만 가진 엑추에이터를 그 내부에 수용하지, 기어비가 높은 액추에이터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지, 기어비가 낮은 액추에이터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지 등의 여부에 관계없이 유지된다.
보존된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과 잠금 하우징 사이의 미디어 기밀 연결은, 모든 경우에서, 그리고 연속적으로, 조립된 하우징에서 액추에이터와 전자 캐리어 모두의 미디어 기밀 인클로저를 보장한다. 여기에 필수적인 이점이 있다.
유리한 개발의 맥락에서,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은 캐리어 하우징 및 전자 캐리어로 구성된 베이스 캐리어를 추가로 구비한다. 베이스 캐리어는 전기 부품 캐리어, 즉,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수신하기 위한 전기 부품용 캐리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해당 전기 부품 캐리어에는 일반적으로 전기 도체 트랙이 삽입되거나 적용된다. 이들은 플라스틱으로 캡슐화된 펀칭 그리드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전기 부품 캐리어는 예시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탑재하고 운반하며 그것과 전기 접촉을 하는, 즉시 설치 가능한 유닛을 나타낸다.
베이스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전자 캐리어와 잠금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 베이스 캐리어가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자 캐리어에 결합될 가능성이 더 존재한다. 이 전기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전기 플러그 연결부이다. 이를 위해, 베이스 캐리어에는 예를 들어 전기 접촉을 위해 전자 캐리어의 플러그 소켓에 맞물리는 플러그 핀이 장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것은 역방향으로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자 캐리어에는 베이스 캐리어의 플러그 소켓에 맞물리는 해당 전기 플러그 핀이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캐리어와 전자 캐리어의 조합은 이들의 기계적 연결과 전기적 연결을 동시에 보장한다.
베이스 캐리어와 전자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캐리어 하우징 내에 함께 배치되고, 캐리어 하우징에 의해 수용된다. 또한, 이 경우 캐리어 하우징, 전자 캐리어 및 베이스 캐리어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씰이 삽입된 채로 잠금 하우징에 모듈식으로 결합되는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을 정의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기 인터페이스는 구조 유닛 내에 캡슐화되어 유리하게 배치된다.
또한, 베이스 캐리어 및/또는 전기 부품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는 센서는 일반적으로 비접촉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편으로는 해당 센서와, 다른 한편으로는 잠금 메커니즘, 잠금 메커니즘과 상호 작용하는 레버 등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원칙적으로 전자 캐리어와 베이스 캐리어는 단일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연속 전기 부품 캐리어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하게 그리고 부가적으로, 잠금 메커니즘을 지지하는 잠금 플레이트를 제공할 것을 권장한다. 잠금 플레이트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하우징에 모듈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캐리어 하우징과 잠금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경우 추가 부품 없이 구성된다. 그런 다음 해당 하우징은 본 발명에 따라 잠금 플레이트에 모듈식으로 결합 및/또는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하우징은 본 발명에 따라 잠금 플레이트와 관련하여 밀봉된다. 이를 위해 대부분의 경우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은 잠금 하우징에서 씰을 통해 외부로 안내된다.
잠금 하우징 내의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은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이기 때문에, 이는 액추에이터가 해당 씰의 도움으로 외부로 안내되어, 전체적으로 하우징이 밀봉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잠금 플레이트에 대해 밀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액추에이터가 하우징 밖으로 안내되는 도움으로, 삽입된 씰(interposed seal)을 고려하여 잠금 메커니즘에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하우징은 전체적으로 미디어 기밀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완전히 밀폐된다.
하우징과 잠금 플레이트 사이의 "모듈식 연결"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편으로는 하우징 및/또는 잠금 플레이트의 특정 설계 및/또는 다른 한편으로는 하우징에 의해 수행되는 잠금 메커니즘에 관계없이 하우징과 잠금 플레이트 사이에 표준화된 기계적 인터페이스가 실현되고 유지된다는 것을 표현하고 의미한다. 따라서 잠금 플레이트는 원칙적으로 하우징에 대한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면서 예를 들어 다르게 설계된 캐치 및/또는 폴을 갖는 잠금 메커니즘을 수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하우징은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비상 전원 공급 장치"가 기능으로 요구되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캐리어 하우징, 전자 캐리어 및 선택적으로 베이스 캐리어로 구성된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과 잠금 하우징 사이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와 달리, 하우징과 잠금 플레이트 사이의 기계적 인터페이스에는 반드시 밀봉이 구비될 필요는 없다. 실제로 하우징이 잠금 플레이트에 대해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계적 인터페이스 영역에서는 이러한 밀봉이 필요하지 않다. 즉, 하우징은 예를 들어 물, 먼지, 그리스 등과 같은 매체에 대해 전체적으로 긴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은, 잠금 하우징의 내부에서, 따라서 전체로서 하우징 내부에서, 잠금 플레이트 상에 운반되어 그 위에 장착된 잠금 메커니즘 상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이 씰을 통해 하우징 외부로 안내되고 하우징을 잠금 플레이트에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잠금 메커니즘과 맞물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문맥에서, 모듈식 특성으로 인해, 차량 내에서 서로 다른 원하는 기능은 물론 서로 다른 위치에서의 장착 및/또는 상이하게 설계된 설치 위치의 고려 사항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이 제공된다. 이러한 유연성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의 필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제어 장치 및 센서는 하우징에 미디어 기밀 방식으로 수용된다. 유연성과 동시에 미디어 기밀을 갖춘 이러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모델 없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만을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하우징과 잠금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하위 단계를 도시하고,
도 3은 조립되어 설치 준비가 완료된 상태의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들에서는, 잠금 하우징(1), 캐리어 하우징(2) 및 잠금 플레이트(3)로 구성되는 차량 잠금차량 잠금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도 1과 도 3을 비교하면 알 수 있다. 잠금 하우징(1) 및 캐리어 하우징(2)은 전체적으로 잠금 하우징(1)과 캐리어 하우징(2)으로 구성된 하우징(1, 2)을 정의한다. 하우징(1, 2)은 도 2의 도면에 따라 잠금 플레이트(3)와 차례로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및/또는 차량 잠금 장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잠금 하우징(1)은 액추에이터(6, 7, 8)인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6, 7, 8)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6, 7, 8)는 실질적으로 전기 모터(6), 전기 모터(6)에 의해 작동되는 기어링(7) 및 마지막으로 기어링(7)의 출력에 연결되는 제어 레버(8)로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액추에이터(6, 7, 8)는 잠금 메커니즘(9, 10)에서 작동하며, 잠금 플레이트(3) 내부 또는 위에 장착되며, 캐치(9) 및 폴(10)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액추에이터(6, 7, 8) 및/또는 전기 모터(6)에 동력이 공급될 때, 제어 레버(8)는 폴(10)이 캐치(9)와의 결합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도록 보장한다. 이를 위해, 제어 레버(8)는 하우징(1, 2)이 잠금 플레이트(3) 및 그 위에 장착된 잠금 메커니즘(9, 10)에 결합되는 즉시 폴(10) 상의 작동 핀(10a)이 그 안에 결합되는 결합 개구부(8a)를 전방 측에 구비하고 있다.
도 1로부터, 캐리어 하우징(2)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캐리어(4)를 수신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고, 캐리어 하우징(2)은 전자 캐리어(4)를 수신할 뿐만 아니라 베이스 캐리어(5)를 수신하도록 구성 및 설계된다. 베이스 캐리어(5)는 전자 캐리어(4)와 잠금 하우징(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자 캐리어(4)는 제어 유닛(11) 및 하나 이상의 에너지원 또는 비상 에너지원(12)을 수신할 수 있다. 베이스 캐리어(5)는 차례로 하나 이상의 센서(13)를 수신하고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
전자 캐리어(4)와 베이스 캐리어(5)는 전기 인터페이스(14, 15)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인터페이스(14, 15)는 베이스 캐리어(5) 상의0 플러그 핀(14)과 전자 캐리어(4) 상의 관련 플러그 소켓(15)으로 구성된다. 플러그 핀(14)이 플러그 소켓(15)에 결합되는 즉시, 베이스 캐리어(5)와 전자 캐리어(4)는 서로 결합되고 기계적으로나 전기적으로 서로 결합된다. 캐리어 하우징(2) 및 전자 캐리어(4) 및/또는 베이스 캐리어(5)는 전체적으로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2, 4, 5)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구조 유닛(2, 4, 5)은 적어도 하나의 씰(16)이 삽입된 잠금 하우징(1)에 결합, 특히 모듈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씰(16)은 잠금 하우징(1)과 캐리어 하우징(2)이 미디어 기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하우징(1, 2)을 조립된 상태로 정의하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씰(16)은 별도로 도포된 씰로서, 예를 들어, EPDM(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로 만들어진다. 물론, NBR(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SBR(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천연 고무(NR)와 같은 다른 엘라스토머 플라스틱도 이 시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씰은 예를 들어 경화제가 포함된 액체 씰과 같이 멀티-파트 부품으로도 설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씰(16)을 접착할 수도 있다. 씰(16)을 수용하기 위해 그 가장자리에서 잠금 하우징(1)을 둘러싸는 씰 채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경우에, 구조 유닛(2, 4, 5)과 잠금 하우징(1) 사이에서 이 지점에서 실현되는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씰(16)에 의해 미디어 기밀 방식으로 밀봉되며, 일반적으로 소위 IP 보호 등급 67을 달성한다. 이 분류는 한편으로는 접촉에 대한 완전한 보호(6)와 다른 한편으로는 클래스 7에 따른 일시적 침수(최대 1m 깊이에서 약 30분) 동안의 물 유입에 대한 보호가 보장되는 방식으로 DIN EN 60529에 따라 수행된다. 물론 이는 예시일 뿐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어 하우징(2) 및 전자 캐리어(4) 및/또는 전자 캐리어(4)와 베이스 캐리어(5)의 조합은 앞서 언급한,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2, 4, 5)을 정의하며, 이는 차례로 씰(16)이 삽입된 채로 잠금 하우징(1)에 결합, 특히 모듈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캐리어 하우징(2) 및/또는 구조 유닛(2, 4, 5)과 다른 한편으로는 잠금 하우징(1) 사이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심지어 다르게 설계된 캐리어 하우징(2)을 사용하더라도 이 시점에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입부에서 이미 설명한 "비상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전자 캐리어(4) 상의 추가 에너지원(12) 또는 여러 에너지원(12)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다르게 구성된 액추에이터(6, 7, 8)-예를 들어 기어링(7)에서 벗어난 기어링을 갖는 액추에이터-가 잠금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다.
전기 인터페이스(14, 15)는 구조 유닛(2, 4, 5) 내에 캡슐화되어 배열되고, 결과적으로 미디어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센서들(13)은 일반적으로 비접촉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 결과, 캐리어 하우징(2)과 잠금 하우징(1)으로 구성된 하우징(1, 2)은 도 2의 도면에 따라 잠금 플레이트(3)와 관련하여 밀봉될 수 있다. 이 씰은 특히 도 1에서 볼 수 있으며, 여기서는 씰(17)로 구체화되어 있다. 실제로, 씰(17)은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6, 7, 8) 또는 액추에이터(6, 7, 8)가 해당 씰(17)을 통해 잠금 하우징(1)의 외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그 결과,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 및/또는 액추에이터(6, 7, 8)을 잠금 메커니즘(9, 10)과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시에서의 씰(17)은 벨로우즈 씰인데, 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특별히 안내되는 제어 레버(8)가 그 종방향으로 선형 이동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씰(17) 및/또는 벨로우즈 씰은 제어 레버(8)의 모든 선형 움직임을 쉽게 따라갈 수 있다. 동시에, 씰(17)은 씰(17)이 삽입된 잠금 하우징(1)과 캐리어 하우징(2)으로 구성된 하우징(1, 2)이 전체적으로 긴밀하게 밀폐되도록 보장한다.
도 2의 도면에 대응하는 하우징(1, 2)이 잠금 플레이트(3)과 결합되는 즉시, 폴(10)의 작동 핀(10a)이 제어 레버(8)의 연관된 결합 개구부(8a)로 들어가서, 도 3의 도면에 대응하는 실시예의 조립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6, 7, 8)가 잠금 메커니즘(9, 10)을 열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것은 가능한 기능 중 하나에 불과하다. 액추에이터(6, 7, 8)는 잠금 메커니즘(9, 10)의 당김 동작 또는 폐쇄 동작을 생성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다.
이 시점에서, 그리고 더욱이, 하우징(1, 2)의 내부에 수용된 센서(13)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가 비접촉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액추에이터(6, 7, 8) 및 따라서 잠금 메커니즘(9, 10)의 임의의 작동 움직임이 여전히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3)는 상응하는 영구 자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 있다. 이는 잠금 플레이트(3)와 관련하여 하우징(1, 2)의 긴밀하게 밀폐된 설계에 어떠한 변화도 일으키지 않는다. 센서 또는 센서들(13)이 베이스 캐리어(5) 상에 더 배치되고, 베이스 캐리어(5)는 일반적으로 전기 부품 캐리어로 설계되기 때문에, 센서(13) 또는 몇몇 센서들(13)의 대응 신호는 전기 플러그 연결부(14, 15)를 통해 전자 캐리어(4) 상의 제어 유닛(11)으로 직접 전달되고, 상기 신호는 센서 또는 몇몇 센서들(13)의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6, 7, 8)를 구동시키거나 구동시킬 수 있다.
캐리어 하우징(2)과 마찬가지로, 잠금 하우징(1)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실제로, 이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잠금 메커니즘(9, 10)을 장착하기 위한 잠금 플레이트(3)는 고체 금속 및/또는 강철로 형성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비교하면, 측면도에서 잠금 플레이트(3)는 브리지 방식으로 설계되고, 하우징(1, 2)의 내부에 브리지 형상에 적합한 대응하는 리셉터클에 수용되어, 전체적으로 평평한 표면이 외부에 제공되며, 이를 통해 잠금 플레이트(3)가 예를 들어 차량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1: 잠금 하우징
1, 2: 하우징
2: 캐리어 하우징
2, 4, 5: 구조 유닛
3: 잠금 플레이트
4: 전자 캐리어
5: 베이스 캐리어
6: 전기 모터
6, 7, 8: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 액추에이터
7: 기어링
8: 제어 레버
8a: 결합 개구부
9: 캐치
9, 10: 잠금 메커니즘
10: 폴
10a: 작동 핀
11: 제어 장치
12: 에너지원, 비상 에너지원
13: 센서
14: 플러그 핀
14, 15: 전기 인터페이스, 플러그 연결부
15: 플러그 소켓
16: 씰
17: 씰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하우징(1)과 하나의 캐리어 하우징(2)을 구비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로서, 상기 잠금 하우징(1)은 적어도 하나의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6, 7, 8),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6, 7, 8)를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캐리어 하우징(2)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캐리어(4)를 수용하며, 상기 잠금 하우징(1)과 캐리어 하우징(2)은 미디어 기밀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고,
    캐리어 하우징(2) 및 전자 캐리어(4)는 적어도 하나의 씰(16)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 하우징(1)에 모듈식으로 결합되는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2, 4, 5)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2. 제1항에 있어서,
    사전 조립된 구조 유닛(2, 4, 5)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3)를 수신하기 위한 베이스 캐리어(5), 예를 들어 전기 부품 캐리어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3.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 캐리어(5)는 전자 캐리어(4)와 잠금 하우징(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 캐리어(5)와 전자 캐리어(4)는 전기 인터페이스(14, 15)-예를 들어, 전기 플러그 연결(14, 15)-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5. 제4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14, 15)는 구조 유닛(2, 4, 5) 내에 캡슐화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센서(13)는 비접촉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잠금 메커니즘(9, 10)이 장착된 잠금 플레이트(3)가 추가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8. 제7항에 있어서,
    잠금 플레이트(3)는 잠금 하우징(1)과 캐리어 하우징(2)으로 구성된 하우징(1, 2)에 모듈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9. 제8항에 있어서,
    하우징(1, 2)이 잠금 플레이트(3)에 대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10. 제9항에 있어서,
    잠금 메커니즘측 부품(6, 7, 8)은 예컨대, 잠금 메커니즘(9, 10)에 맞물리기 위해, 씰(17)을 통해 잠금 하우징(1)에서 외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KR1020237028785A 2021-01-25 2021-12-20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KR202301339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01502.2 2021-01-25
DE102021101502.2A DE102021101502A1 (de) 2021-01-25 2021-01-25 Kraftfahrzeug-Schloss-Gehäuseanordnung
PCT/DE2021/101021 WO2022156845A1 (de) 2021-01-25 2021-12-20 Kraftfahrzeug-schloss-gehäuse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981A true KR20230133981A (ko) 2023-09-19

Family

ID=8012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785A KR20230133981A (ko) 2021-01-25 2021-12-20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74830A1 (ko)
EP (1) EP4281641A1 (ko)
KR (1) KR20230133981A (ko)
CN (1) CN116745499A (ko)
DE (1) DE102021101502A1 (ko)
WO (1) WO20221568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5260A (ja) 1994-10-06 1996-04-23 Shiroki Corp シール性ハウジング装置
AT410728B (de) * 2001-02-09 2003-07-25 Pollmann Austria Ohg Verfahren zum einbetten zumindest einer flexiblen leiterbahnfolie in kunststoff, leiterbahneneinheitsowie einbettungseinheit hiefür
EP2754799B1 (en) 2012-12-21 2017-03-08 Magna Closures SpA An electrical vehicle latch
WO2015044323A1 (en) 2013-09-25 2015-04-02 Magna Closures S.P.A. An electrical vehicle latch
US10047548B2 (en) 2014-06-17 2018-08-14 Magna Closures Inc. Latch assembly for latch operation of closure panels for vehicles
US20200165843A1 (en) 2018-11-28 2020-05-28 Magna Closures Inc. Vehicular latch assembly with snap-type connection feature providing an integrated sealing function
US20200224464A1 (en) * 2019-01-10 2020-07-16 Magna Closures Inc. Smart latch assembly with actuator module
DE102019115445A1 (de) 2019-06-06 2020-12-10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81641A1 (de) 2023-11-29
DE102021101502A1 (de) 2022-07-28
US20230374830A1 (en) 2023-11-23
WO2022156845A1 (de) 2022-07-28
CN116745499A (zh)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0875B2 (en) Electrical vehicle latch having a fluid tight electrical housing
US10047548B2 (en) Latch assembly for latch operation of closure panels for vehicles
US11959314B2 (en) Motor vehicle lock
JP2006342511A (ja) ラッチ解除操作装置
US20200224464A1 (en) Smart latch assembly with actuator module
US10407947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US20050121920A1 (en) Actuator and vehicle-mounted electrically operated device having the same
KR20230133981A (ko) 차량 잠금 하우징 배열
US8513553B2 (en) Combination light and switch assembly
US8604904B2 (en) Portable device
JP2014179263A (ja) 車両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KR100811244B1 (ko) 보조키형 디지털도어록
JP2004092204A (ja) ドア開閉操作装置
WO2012085681A1 (en) Water proof connector assembly
JP4204372B2 (ja) スイッチ用二次成形品
JP4110901B2 (ja) ドア開閉操作装置
JP2009215874A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2245601B1 (ko) 차량의 트렁크용 택트 스위치 장치
JP2004092203A (ja) ドア開閉操作装置
US11745676B2 (en) Motor vehicle locking device
CN112582194A (zh) 开关装置
KR20240010813A (ko) 수밀 전동 도어 래치 장치
KR20240046233A (ko) 자동차 적용을 위한 전기 모터 구동식 구동 장치
KR20240052814A (ko) 자동차 잠금장치, 특히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EP1150315A2 (en) Switch subassembly and component assemblies including such a switch sub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