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958A -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 Google Patents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958A
KR20230133958A KR1020220031098A KR20220031098A KR20230133958A KR 20230133958 A KR20230133958 A KR 20230133958A KR 1020220031098 A KR1020220031098 A KR 1020220031098A KR 20220031098 A KR20220031098 A KR 20220031098A KR 20230133958 A KR20230133958 A KR 20230133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ye
powder hair
microbeads
powder
y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리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리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리플렉스
Priority to KR102022003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958A/ko
Publication of KR2023013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2Peroxides; Oxygen;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1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주효모를 함유하는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로서, 방습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비드; 및 상기 마이크로비드 내에 봉입된 과산 금속염을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MICROBEAD FOR POWDER HAIR DYE}
본 발명은 맥주효모를 함유한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에 관한 것이다
분말 염모제는 통상적인 액상 염모제과는 달리 분말 타입으로 포장되어 운송 및 보관하기 편리하며, 사용직전 사용자가 물에 용해시켜 사용하게 되므로 물에 용해시 과산화수소를 발생할 수 있는 과산염을 필수성분으로 포함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과산화수소는 모발내부로 침투하고, 과산화수소에서 생성된 산소는 모발내의 멜라닌 색소를 산화시켜 모발을 탈색시키고, 과산화수소 또는 공기 중의 산소 성분이 침투된 염료의 중간체와 커플러 성분을 축중합시켜 발현된 색소에 의해 발색을 일으키는 것으로, 이를 통상 염색이라 일컫는다.
그러나 종래의 분말 염모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말 자체의 색상이 변질되며, 염색력이 2제의 액상 염모제보다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공보 1020160064132 (2016.06.07)
본 발명은 분말 염모제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과산염의 반응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장시간 보관후에도 분말이 변색되지 않고, 염색력이 높은 분말 염모제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분말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두피 자극이 적은 분말 염모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맥주 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를 포함하는데 과산 금속염(peracid metal salt)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쉘을 포함하며,상기 쉘에는 수분을 차단하거나 건조시키는 방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과산 금속염(peracid metal salt)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쉘을 포함하며,상기 쉘에는 수분을 차단하거나 건조시키는 방습제를 포함하는 맥주효모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습제가 0.5~3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습제는 황산설페이트 또는 실리카일 수 있다.
상기 방습제는 마이크로비드의 최외곽 쉘에 포함된 것인 맥주효모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과산 금속염은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맥주효모분말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비드; 및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구조체로 발현되는 발현염료를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일 수 있다.
[화학식 1]
[PPD]a-[PPDS]b-[TDS]c-[PAPS]d-[PAP]e-[RS]f-[MAPS]g-[MAP]h-[24DAPE]i
(이 때, a, b, c, d, e, f, g, h, i는 각 화합물의 몰비로서 0이상의 값이며, a+b+c+d+e+f+g+h+i=1이고, a+b+c+d와 e+f+g+h+i는 각각 0보다 크며, (a+b+c+d)/(e+f+g+h+i)의 값이 0.1 내지 10 범위 내이다.)
상기 분말 염모제는 점증제 및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 또는 분산제는 유기오일 또는 실리콘오일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발현염료는 상기 과산 금속염을 100중량부로할 때 80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말 염모제는 물에 1:5~1:20 중량비(분말 염모제:물의 비)로 용해시킨 다음 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가 10,000 cPs 내지 55,000 cPs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는 과산 금속염을 사용전까지 봉입하고, 외부로부터의 수분도 차단할 수 있어서, 장기간 보관시에도 분말의 색상이 변색되지 않고, 사용시 물에 용해시 과산화수소의 용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균일한 색소 발현을 제공할 수 있어 분말 염모제용 필수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염모제는 수분함유량이 낮아 염색시간 기준 염색효과가 증대되며, 모발 속의 멜라닌 산화분해를 효율적으로 이루어 우수한 염색력을 발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모제는 두피자극 완화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비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색상변화를 촬영한 사진을 정리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염모색상을 도시한 사진을 정리하였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반드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할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바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가 제공된다.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는 과산 금속염(peracid metal salt)과 방습제를 포함한다.
과산 금속염은 화학 가수분해형 과산 금속염, 효소분해형 과산 금속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학 가수분해형 과산 금속염일 수 있다. 이 때, 과산금속염은 적어도 2종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과산 금속염의 구체적인 예로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등과 같은 반응성이 매우 크고 물에 대한 용해력이 우수한 특징이 있을 뿐 아니라 물 내에서 쉽게 분해되어 과산화수소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과탄산나트륨일 수 있다.
방습제는 분말 염모제를 비롯한 염모제 분야에서 수분차단제 또는/및 건조제로서 공지된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나 과산 금속염의 화학 가수분해를 방해하지 않고 물과 접촉전까지는 과산 금속염에 수분이 침투하지 않게 하며, 사용을 위해 물과 접촉시 과산 금속염의 화학 가수분해를 방해하지 않는 성분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황산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과산 금속염과 방습제는 혼합되어 사용되어도 가능하지만, 효율적인 제습작용을 위하여 과산 금속염이 방습제가 이루는 막의 내부에 봉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방습제는 과산 금속염이 이루는 코어상의 쉘 또는 최외곽 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마이크로비드는 방습제를 외부 쉘에 포함시켜,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면서도 미사용시 습기를 차단하며, 사용시 물에 대한 용해력이 뛰어난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습제는 0.5~3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 1.5~2.5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제습 효과와 과산 금속염의 화학 가수분해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과산 금속염과 방습제가 상기 범위 내에서는 용출거동이 안정화되지만, 100:0.5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방습제 농도가 낮아지면 수분차단 효과가 감소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과산화수소의 용출거동이 불안정하고 불일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비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에 따르면 마이크로비드는 코어-쉘의 구조를 가지며, 코어에는 과산 금속염이 포함되고, 쉘에는 방습제가 포함된다.
이 때, 마이크로비드의 평균직경은 0.2mm 내지 1.0mm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균일한 코팅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점증제가 엉기는 문제점이 생긴다.
전술한 실시예의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의 제조방법은 비제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 수용액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부터 유동상 성장 과립화에 의해 과산 금속염을 제조하고, 55 내지 60
Figure pat00001
의 유동상 온도에서 유동상에서 방습제 코팅 물질 수용액을 분무하고 동시에 물을 증발시키고 이어서 90
Figure pat00002
이하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분말 염모제는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발현염료, 점증제, 분산제를 포함한다.
이 때 마이크로비드는 전술한 제1측면에서의 마이크로 비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산화제를 포함하는 분말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과산 금속염을 코어로 하고 방습제를 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현염료는 통상적으로 중간체와 커플러를 포함하며, 발현하고자 하는 색상에 따라서 중간체와 커플러는 다른 종류 및 다른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중간체와 커플러의 각 성분은 PPD(p-Phenyldimine), PPDS(p-Phenyldimine sulfate), TDS(Toluene-2,5-diamine sulfate), MAPS(m-Aminophenol sulfate), PAPS(p-Aminophenol sulfate), MAP(m-Aminophenol), PAP(p-Aminophenol), RS(Resorcinol), 24DAPE(2,4-Diaminophenoxyethanol Dihydrochloride)로 이루어지는 성분에서 선택된다.
이 때, 중간체 및 커플러의 평균직경은 0.1mm 내지 0.7mm이고,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입자가 가벼워 날리는 문제점이 생기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점증제와 엉켜 발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중간체와 커플러는 모발 속으로 침투하여 중합하여 발현염료로 작용하게 되는데, 발현염료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색소를 형성하여 모발을 염색하게 된다.
[화학식 1]
[PPD]a-[PPDS]b-[TDS]c-[PAPS]d-[PAP]e-[RS]f-[MAPS]g-[MAP]h-[24DAPE]i
(이 때, a, b, c, d, e, f, g, h, i는 각 화합물의 몰비로서 0이상의 값이며, a+b+c+d+e+f+g+h+i=1이고, a+b+c+d와 e+f+g+h+i는 각각 0보다 크며, (a+b+c+d)/(e+f+g+h+i)의 값이 0.1 내지 10 범위 내이다.)
여기서 (a+b+c+d)/(e+f+g+h+i)는 보다 바람직하게 0.1 내지 10범위 내일 수 있으며, 밝은 갈색을 위해서는 0.1 내지 0.9가 바람직하며, 자연갈색을 위해서는 0.9 내지 4, 흑갈색을 위해서는 4 내지 10가 바람직하다.
발현염료는 마이크로비드의 코어의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0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염료조성비의 부족으로 충분한 염모력을 얻을수 없어 발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기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기대하는 최적 색상의 염색효과를 기대할수 없고 피부착색의 문제점이 생긴다. 화학식 1로 나타낸 구조체는 마이크로비드의 코어 성분에서 얻어지는 과산 금속염 유래의 산소(O2)에 의해 발현될 수 있다.
특히, [MAPS] 및 [PAPS] 를 포함시킬 경우 발현 색소의 선명한 발색성과 함께 세척견뢰성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점증제는 마이크로비드의 코어의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점도가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혼합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생긴다.
점증제는 여러 종류의 점증제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셀룰로오스계 점증제 45 내지 55 중량부, 구아계 점증제 10내지 3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 덱스트린류의 점증제도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과산금속염 100중량부 기준으로 덱스트린 점증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셀룰로오스계 점증제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스타치를 비롯하여 이 분야에서 점증제 또는 농축제로 공지된 다양한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을 사용할 경우, 1% 수용액 점도가 1000~3000이고 에테르화도가 0.7~0.9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후술하는 점도범위를 비롯한 점증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며,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나트륨과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장기 보관시에도 사용감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또한, 구아계 점증제로는 구아계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점증제로는 추가적으로 맥주효모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맥주효모(brewer's yeast)는 맥주 제조과정 중에서 맥즙의 발효가 완료되어 맥주를 여과한 후에 분리시킨 효모로, 단백질 50%, 천연비타민 10가지, 필수미네랄 30%, 식물 섬유, 핵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발 생성을위한 단백질 대사에 필수적인 비타민 B군인 비오틴과 모발 단백질을 구성하는 시스틴, 메티오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인슐린의 활동력을 높여주는 아연과 크롬이라는 미량원소를 포함하고 있다. 정상 세포의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비정상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베타글루칸이 풍부해 면역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약 30%가 식물성 섬유질이기 때문에 장 청소나 변통을 개선하고 장 움직임을 좋게 하거나 장내 세균이 증가하여 변비나 설사의 예방 및 치료를 하며 장 흡수를 개선시킨다. 또한, 소화 효소제로 쓰여왔으며 각종 분해효소가 풍부하여 소화액의 부족에서 오는 영양 결함을 잡아주며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셀레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간이지질화되는 것을 막아 간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간질환 환자들의 회복식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손상된 위장점막을 수복하는 데 필요한 아미노산과 핵산을 함유하고 있고 기타 영양소도 함유되어 있어 위장질환에 효과적이다. 맥주효모는 분말형태의 것을 사용하며 산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맥주효모 분말은 상용으로 판매되는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좀 더 나은 성능을 위하여 별도의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분말일 수도 있다.
추가점증제는 과산금속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내지 30중량부로 포함이 될 수 있다. 10중량부 이하인 경우 효과가 매우 미미하고 30중량부 이상은 제조상 그 이상 포함하기가 어렵다 추가점증제로는 분말형태의 맥주효모분말 이외에 솔잎추출물이나 다시마 분말, 쑥분말을 더 첨가할 수 있으며 맥주효모분말이외에는 100중량부 대비 20중량부를 넘지 않돌고 한다.
분산제는 마이크로비드의 코어의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부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파우더가 뭉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흰색 가루가 석출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때 분산제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등을 포함하여 염모제 분야에서 분산제로 공지된 다양한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말 염모제는 물에 1:5~1:20 중량비(분말 염모제:물의 비)로 용해시킨 다음 Brookfield 점도계로 섭씨25도 2분간, 회전속도: 12rpm의 조건에서 측정한 점도가 10,000 cPs 내지 55,000 cPs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30,000 내지 50,000 cPs이다. 이때 점도값은 크림 타입으로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이 통상 70,000 cPs 부근을 나타내는 점을 고려할 때 물에 용해시킨 다음 모발에 액상 타입으로 적용하기에 흘러내리지 않은 정도의 적절한 점도범위에 해당한다.
또한, pH는 7 내지 9 인 것이 색조 안정성 및 세척견뢰성 등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통상의 pH조절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범위보다 미만인 경우 염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기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붉은 색상이 발현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pH조절제는 전술한 마이크로비드의 쉘과 동일한 성분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점증제 및 분산제는 실리카, 오일, 오산화인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을 코팅제로 사용하여 코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분산제 및 점증제로 침투하는 수분차단기능을 제공하여 염색효과가 높아지며, 보관시에도 수분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시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과산 금속염에 방습제와 분산제 및 점증제에 코팅이 모두 이루어질 경우 제조공정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수분량이 증가하지 않는 효과가 높다.
이 때, 코팅제는 각 점증제 또는 분산제 100중량부에 대해서 0.5 내지 3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분말 염모제는 제조후 60일 경과 후 과산 금속염을 방습제로 코팅한 경우4%이하, 과산 금속염에 방습제와 분산제 및 점증제에 코팅이 모두 이루어질 경우 3%이하의 수분함유량을 가진다. 이 때, 염모제의 수분함유량은 수분을 증발시켜 남은 시료의 중량인 제습량의 측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즉, 제조 후 6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상기 수분함유량을 가진 분말 염모제는 제조 직후부터 지속적으로 상기 수분함유량 이하의 수분량을 가진다. 이러한 수분량을 함유한 분말 염모제는 염색효과를 증대시키며, 특히 Lab색좌표계에서 L의 값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살펴본다.
실시예
<실시예 1: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먼저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 수용액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부터 유동상 성장 과립화에 의해 과탄산나트륨 100g을 제조하고, 55 내지 60
Figure pat00003
의 유동상 온도에서 유동상에서 황산나트륨 수용액을 분무하고 동시에 물을 증발시키고 이어서 90
Figure pat00004
이하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건조시켜 황산나트륨 2g이 되도록 코팅층을 형성한다.
<실시예 2: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면서 코팅되는 황산나트륨의 양이 1.5g이 되도록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마이크로비드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면서 코팅되는 황산나트륨의 양이 2.5g이 되도록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하기 표 1에서 정리하였다.
과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마이크로비드 크기
실시예 1 100g 2g 0.7mm
실시예 2 100g 1.5g 0.6mm
실시예 3 100g 2.5g 0.8mm
<실시예 4: 분말 염모제>
실시예 1의 마이크로비드 102g(코팅제 2g), 발현염료 96.4g, 점증제 82.6g, 분산제 8g, pH조절제 100g을 혼합하여 밝은 갈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점증제는 추가점증제로 사용되는 맥주효모분말을 더 포함한것이다.
이 때 발현염료로는 p-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34.4g, m-아미노페놀 16g, P-아미노페놀 36g, 레조르시놀10g을 사용하였고, 점증제로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를 20g, 셀룰로오스검 46.6g, 말토덱스트린 20g을 사용하였으며, 분산제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8g를 사용하였다. 또한 pH조절제로서 소듐설페이트를 100, 계면활성제 다이소듐라우릴설포석시네이트11g을 사용하였다.(실제 처방과 달리 기재하였습니다.)
<실시예 5: 분말 염모제>
실시예 1의 마이크로비드 102g, 발현염료 96.8g, 점증제 181.2g, 분산제 g, pH조절제를 혼합하여 자연갈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이 때 발현염료로는 p-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57.6g, 톨루엔 2,5-디아민설페이트 14.4g, m-아미노페놀설페이트 9.6g, p-아미노페놀설페이트 8.8g, 레조르시놀6.4g을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실시예4와 같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6: 분말 염모제>
실시예 1의 마이크로비드 102g, 발현염료 92.8g, 점증제 197g, 분산제 2g, pH조절제를 혼합하여 흑갈색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이 때 발현염료로는 p-페닐렌디아민 설페이트 64g, 톨루엔 2,5-디아민설페이트 24g, m-아미노페놀 1.2g, 염산2,4-디아미노페녹시에탄올 3.2g, 레조르시놀3.6g을 사용하였고, 나머지는 실시예4와 같이 사용하였다.
<실시예 7 내지 9: 첨가제 코팅>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조성에서 점증제, 분산제를 각각 유기오일(실시예 7, 8)로 또는 실리콘(silicone)(실시예 9)으로 코팅시켜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여,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2>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조성에서 점증제로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를 20g, 셀룰로오스검 46.6g, 말토덱스트린 16g을 사용하는 대신에, 구아히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를 26g, 셀룰로오스검(MICELLCMC GF8-K20) 24g, 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 스타치24g, 덱스트린 32으로 하고, pH조절제로 Sodium Sulfate 100g을 78g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예 10 내지 12의 분말염모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과탄산나트륨의 제조>
먼저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를 제조하기 위해 과산화수소 수용액 및 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부터 유동상 성장 분말화에 의해 과탄산나트륨 100g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지 4: 분말염모제의 제조 >
비교예 1의 분말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의 발현염료, 점증제, 분산제, pH조절제를 혼합하여 분말 염모제를 제조하였다.
이에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12 및 비교예 2내지 4를 하기 표 2과 같이 정리하였다.
마이크로비드 발현염료 점증제 분산제 코팅제 색상
실시예 4 102g 96.4g 106g 8g 밝은 갈색
실시예 5 102g 92.8g 106g 8g 자연갈색
실시예 6 102g 96.8g 106g 8g 흑갈색
실시예 7 102g 96.4g 106g 8g 오일코팅 밝은 갈색
실시예 8 102g 92.8g 106g 8g 오일코팅 자연갈색
실시예 9 102g 96.8g 106g 8g 실리콘 코팅 흑갈색
실시예 10 102g 96.4g 106g 8g 밝은 갈색
실시예 11 102g 92.8g 106g 8g 자연갈색
실시예 12 102g 96.8g 106g 8g 흑갈색
비교예 2 과탄산나트륨
100g
96.4g 106g 8g 밝은 갈색
비교예 3 과탄산나트륨100g 92.8g 106g 8g 자연갈색
비교예 4 과탄산나트륨100g 96.8g 106g 8g 흑갈색
<실험예 1 : 분말 염모제 색도 안정성 평가> 실시예들 및 비교예의 분말 염모제에 대하여 색도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색도안정성은 제조후 시간 경과에 따른 색상변화를 관측하여 측정하였다.
도 2,3은 시간 경과에 따른 마이크로비드의 색상변화를 촬영한 사진을 정리하였다. 이에 따르면 방습제를 코팅하지 않은 비교예에서는 색상변화가 심하게 나타났으나 실시예들에서는 미미한 색상변화만 관측되었다.
특히 마이크로비드외에 오일이나 실리콘으로 점증제, 분산제등을 코팅한 실시예 7, 8, 9의 경우 보다 색상변화가 거의 관측되지 않았다.
<실험예 2 : 염모 평가>
실시예들의 염모제를 물과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솔로 사람의 두발에 도포한 후 30
Figure pat00005
하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그후, 염모제 도포액을 씻어내고, 샴푸에 의한 세정 및 린스에 의한 트리트먼트 처리를 각 1회 한 후, 드라이어로 두발을 건조시키고서 염모력을 눈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2의 분말 염모제는 각각 균일한 밝은 갈색, 흑갈색, 자연갈색을 나타내었다. 도 4는 이를 촬영한 사진이다.
<실험예 3 : 초기조작성 및 경시안정성 평가>
실시예 7 내지 실시예 9의 분말 염모제에 대하여 초기 조작성 및 경시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초기조작성은 실시예들의 분말 염모제를 물과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하여 솔로 사람의 두발에 도포할 때의 조작용이성을 평가하였다.
조작용이성은 물과 균일하게 잘 혼합되는 지 여부와 흐르지 않고 잘 손에 잘 보관되는 지 여부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또한 실시예들을 25
Figure pat00006
에서 5분 경과 후 조작용이성을 측정하여 경시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평가점수
물과 매우 균일하게 혼합되고, 흐르지 않고 손에 잘 보관됨. 5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고, 흐르지 않고 손에 잘 보관됨. 4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나, 약간의 흐름성이 있음. 3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으며, 약간의 흐름성이 있음. 2
물과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으며, 흐름성이 강하여 손에 잘 보관됨. 1
실시예 초기 점도 cPs 초기 조작성 평가점수 시간경과후 점도 cPs 경시안정성 평가점수
실시예 4 32,000 5 31,000 5
실시예 5 31,000 5 30,000 5
실시예 6 32,000 5 31,000 5
실시예 7 32,000 5 31,000 5
실시예 8 31,000 5 30,000 5
실시예 9 32,000 5 31,000 5
실시예 10 27,000 5 26,000 5
실시예 11 28,000 5 26,000 5
실시예 12 27,000 5 26,000 5
비교예 2 32,000 4 27,000 3
이에 따르면 실시예들에서는 초가점도 및 시간 경과후 점도가 변화가 2000~ 3000cPs 범위에 포함되나 비교예는 시간경과후 점도 변화가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성에 있어서도 실시예들은 변화가 없으나 비교예는 조작성이 나빠졌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제습량 평가 >
실시예 4, 7에 따라 제조 후 60일후 분말 염모제를 가열식 수분측정기(Moisture analyzer, 한국 AND사, MX-50)를 사용하여, 105도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남은 시료의 중량을 특정한 제습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유량은 4% 이하였고, 비교예에 따른 분말 염모제의 수분함유량은 6%였다. 표 5는 이를 정리한 표이다.
제습량
실시예 4 4%
실시예 7 2.75%
실시예 10 3%
비교예 6%
<실험예 5 : 염색 후 색차계 측정 >
동일한 발현 염모제를 사용한 실시예 4, 7와 비교예의 분말 염모제를 물과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하여 모발에 염색하여 Lab색차계로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L a b Lab
실시예 4 27.33 3.25 4.38 34.96
실시예 7 28.35 2.93 4.62 35.90
비교예 25.23 3.67 4.53 33.43
이 때, 실시예 4, 7의 L값은 각각 27.33와 28.35으로 나타났고, 비교예의 L값은 25.23로 나타났다. L값은 명도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동일 염색시간기준 염색효과가 증대를 의미하며, 모발속의 멜라닌의 산화가 더 잘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래의 표는 실시예 4, 7 및 비교예의 제품을 일주일에 한번식 사용을 하도록 한뒤 두피가려움, 두피자극감 등에 대하여 만족도를 5점 만점으로 50명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두피가려움 두피자극감
실시예4 4.5 4.3
비교예7 4.4 4.2
비교예 3.9 4.0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4,7은 두피가려움증이나 두피자극감에서 비교예보다 큰 만족도를 가지고 큰 만족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로서,
    과산 금속염(peracid metal salt)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를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쉘을 포함하며,
    상기 쉘에는 수분을 차단하거나 건조시키는 방습제를 포함하며
    코어의 과산금속염 100중량부 대비 10내지 30중량부의 맥주효모를 추가점증제로 포함하는,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 금속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방습제가 0.5~3 중량부 범위로 포함되는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제는 황산설페이트 또는 실리카인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습제는 마이크로비드의 최외곽 쉘에 포함된 것인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 금속염은 과탄산나트륨, 과붕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를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로서,
    상기 마이크로비드; 및
    하기 화학식 1에 따른 구조체로 발현되는 발현염료를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
    [화학식 1]
    [PPD]a-[PPDS]b-[TDS]c-[PAPS]d-[PAP]e-[RS]f-[MAPS]g-[MAP]h-[24DAPE]i
    (이 때, a, b, c, d, e, f, g, h, i는 각 화합물의 몰비로서 0이상의 값이며, a+b+c+d+e+f+g+h+i=1이고, a+b+c+d와 e+f+g+h+i는 각각 0보다 크며, (a+b+c+d)/(e+f+g+h+i)의 값이 0.1 내지 10 범위 내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염모제는 점증제 및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 또는 분산제는 유기오일 또는 실리콘오일로 코팅된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현염료는 상기 과산 금속염을 100중량부로할 때 80 내지 100중량부로 포함되는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염모제는 물에 1:5~1:20 중량비(분말 염모제:물의 비)로 용해시킨 다음 Brookfield 점도계로 측정한 점도가 10,000 cPs 내지 55,000 cPs를 나타내는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KR1020220031098A 2022-03-12 2022-03-12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KR20230133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098A KR20230133958A (ko) 2022-03-12 2022-03-12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098A KR20230133958A (ko) 2022-03-12 2022-03-12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958A true KR20230133958A (ko) 2023-09-19

Family

ID=8819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098A KR20230133958A (ko) 2022-03-12 2022-03-12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9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132A (ko) 2013-10-07 2016-06-07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분말염모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132A (ko) 2013-10-07 2016-06-07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분말염모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4056B1 (de) Aufhellmittel mit kationischen 3,4-dihydroisochinoliniumderivaten, speziellen alkanolaminen und wasserstoffperoxid
WO2008020730A1 (en) Hair dye composition containing cephalopod ink extract
KR101922996B1 (ko) 천연물로 조성된 염모제
KR101809561B1 (ko) 커피추출물, 암라파우더 및 마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염색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3011951B1 (en) Yellow colorant for hair dyeing, composition for hair dyeing, and hair dyeing method
CN109646377A (zh) 一种自然黑染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H0660089B2 (ja) 染毛化粧料
KR20230133958A (ko) 맥주효모를 함유한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JP3720000B2 (ja) 染毛料及び染毛方法
DE102012201265A1 (de) Reduktiver Farbabzug
KR102286697B1 (ko) 분말 염모제용 마이크로비드 및 분말 염모제
CA2233746A1 (en) Ascorbic and isoascorbic acids to remove or adjust oxidative color in hair
CN111568796A (zh) 花色苷稳态复合体及其制备方法、应用
KR20090089032A (ko) 산화형 염모제 조성물
JPH04187625A (ja) ハロゲン化銀を含む染毛剤
US5447538A (en) Composition for dyeing hair comprising in admixture a non-exhausted vegetable powder, a direct dye and a solid diluent
JP2003048819A (ja) 染毛のための頭髪化粧品
KR102584625B1 (ko) 쑥 포함 분말 염모제
KR100884894B1 (ko)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0999614B (zh) 从桂花种子皮中提取的红色素、其制备方法及其用途
KR20230131740A (ko) 솔잎 성분과 다시마성분을 포함하는 분말 염모제
KR102584626B1 (ko) 카카오 포함 분말 염모제
TW202005633A (zh) 毛髮染毛劑
RU2787822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цвета волос, содержащая полифенол
KR102665183B1 (ko) 비타민 c와 효소 처리된 베타인을 포함하는 공융 용매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