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709A -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 Google Patents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709A
KR20230133709A KR1020220031016A KR20220031016A KR20230133709A KR 20230133709 A KR20230133709 A KR 20230133709A KR 1020220031016 A KR1020220031016 A KR 1020220031016A KR 20220031016 A KR20220031016 A KR 20220031016A KR 20230133709 A KR20230133709 A KR 20230133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thing
unit
water
underwa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752B1 (ko
Inventor
원린수
황연우
Original Assignee
원린수
황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린수, 황연우 filed Critical 원린수
Priority to KR102022003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752B1/ko
Publication of KR20230133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11/16Diving masks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11/14Diving masks with forced ai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30Bal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2011/121Diving masks comprising integrated optical signalling means or displays for data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면서 내부에 기밀한 호흡공간(111)을 형성하고 전방측에는 외부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115)이 구비된 헤드착용부(100);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며 일측이 상기 호흡공간(111)과 연통된 연결관(210)이 구비된 바디착용부(200); 및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연결관(210)의 타측과 연통되고 사용자가 수중바닥(10)에 직립한 상태에서 호흡공(311)이 형성된 상측이 수면(WS) 위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외기를 상기 호흡공간(111)으로 공급하는 호흡관부(300);를 포함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SNORKELING APPARATUS FOR UNDERWATER SIGHTSEEING}
본 발명은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수중바닥을 거닐면서 수중경관을 관람하는데 이용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노클링 장치는 바다, 강 또는 저수지 등에서 호흡하면서 수중을 관람하는데 이용된다. 도 19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노클링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스노클링 장치는 눈을 커버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물안경(1)과, 코와 입부분을 커버하는 마스크(3)와, 물안경(1) 및 마스크(3)가 머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조임밴드(2) 및, 상기 마스크(3)에 연결된 호흡관(4)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호흡관(4)의 상단을 수면 위로 노출시켜 호흡하면서 장시간 수중을 관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스노클링 장치는 호흡관(4)이 30cm 내외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수면에서 수영하며 수중을 내려다 보는 방식으로만 관람할 수 있을뿐 몸 전체를 수중에 잠수하는 경우 호흡관(4)의 상단이 물에 잠겨 초보자의 경우 호흡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중관람 중에는 머리를 수중에 담그고 있어 물밖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터보트나 부유물 등 주변을 지나가는 장애물을 회피하기가 어려우며 육상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대로 인지하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마스크(3)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강한 호기를 내부로 불어 강제배수해야 하나 초보자의 경우 이를 수행하기가 어려워 물로 인해 호흡곤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중에 잠수하는 경우 부력때문에 몸이 수면으로 뜨기 때문에 숙련자의 경우 신체에 납 등의 잠수추를 장착하기도 하는데 호흡곤란, 부상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잠수추로 인해 수중에서 신속하게 수면으로 올라오기가 제한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40794호(1999.12.06), 스노클링용 물안경.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수중바닥에 직립한 상태에서 상측이 수면 위로 노출되는 호흡관을 통해 호흡할 수 있어 초보자의 경우에도 수중바닥을 거닐면서 편하게 수중경관을 관람할 수 있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흡관의 상측에 장착된 카메라에서 촬영된 수상이미지를 수중에서 볼 수 있어 용이하게 주변 장애물을 회피하거나 육상으로 향하는 방향을 쉽게 인지할 수 있고, 수중관람 중 산소가 부족하거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와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내부로 에어가 자동공급되어 산소를 공급하고 내부로 유입된 물을 강제배수할 수 있어 호흡곤란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비상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잠수추가 분리되어 신속하게 수면으로 부상할 수 있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면서 내부에 기밀한 호흡공간(111)을 형성하고 전방측에는 외부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115)이 구비된 헤드착용부(100);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며 일측이 상기 호흡공간(111)과 연통된 연결관(210)이 구비된 바디착용부(200); 및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연결관(210)의 타측과 연통되고 사용자가 수중바닥(10)에 직립한 상태에서 호흡공(311)이 형성된 상측이 수면(WS) 위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외기를 상기 호흡공간(111)으로 공급하는 호흡관부(300);를 포함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호흡관부(300)는, 수면(WS) 위로 노출된 상측이 절곡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단부에 형성된 호흡공(311)이 수면(WS)을 향하도록 상하로 복수회 절곡되며, 상기 복수회 절곡된 부위의 하단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312)이 형성되고, 상기 호흡공(311)이 형성된 단부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경사면(313)이 형성되며, 상기 호흡공(311)에는 내부로 향하는 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셔터판(314)이 상기 경사면(313)을 따라 연이어 직립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호흡공간(111)은 격벽(114)에 의해 코가 배치되는 상측공간(112)과 입이 배치되는 하측공간(113)으로 구획되고, 상기 호흡관부(300)는 상기 상측공간(112)과 연통되는 제1관로(321) 및 상기 하측공간(113)과 연통되는 제2관로(3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로(321) 및 제2관로(322) 중 어느 하나의 관로에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323)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관로에는 호흡공간(111)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3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호흡관부(300)는, 수면(WS) 위로 노출된 상기 호흡관부(300)의 상측에 장착되어 물밖의 수상이미지(I1)를 촬영하는 카메라(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330)에서 촬영된 수상이미지(I1)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헤드착용부(100) 내에서 상기 투시창(115)과 선택적으로 중첩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40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투시창(115)과 중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22)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착용부(20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20)을 기밀하게 보관하기 위한 폰보관공간(221)이 형성되고, 상기 폰보관공간(221)의 내부에는 스마트폰(20)의 폰커넥터(21)와 접속되면서 신호연결되는 착용부커넥터(222)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착용부커넥터(222)와 각각 신호연결된 스피커(123) 및 마이크(1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커넥터(222)와 신호연결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스피커(123) 및 마이크(124)를 통해 외부와 통화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20)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스마트폰(20)으로 출력하는 조작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헤드착용부(100)에 장착되어 호흡공간(111)의 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센서(131); 또는 상기 헤드착용부(100)에 장착되어 호흡공간(111)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32); 상기 연결관(210)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장착되고 일정량의 에어가 저장된 에어탱크(611) 및, 상기 에어탱크(611)의 배출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탱크(61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12)를 포함하는 비상에어 공급부(610); 및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개폐밸브(612)가 개방되면서 에어탱크(611)에 저장된 에어가 연결관(210)을 통해 호흡공간(111)으로 유입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호흡관부(300)는 제어신호에 따라 관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관로차단밸브(3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호흡공간(111)의 내부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증가하면 선택적으로 개방동작되면서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설정치 미만으로 감소하면 폐쇄동작하는 체크밸브(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관로차단밸브(340)가 차단되어 호흡공간(111)이 밀폐되면서 호흡공간(111)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도록 관로차단밸브(340)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측정된 물이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21)에 비상발생 내용과 비상시 행동요령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착용부(200)에는 하향 개구된 추삽입공(231)이 형성되고, 상기 추삽입공(231)의 내부에 수평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면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절개면(622)이 형성된 회전축(621)과, 상기 회전축(621)의 단부에 축결합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축(621)이 수평축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623) 및, 상기 추삽입공(231)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수중부력에 의해 부상하지 않도록 바디착용부(200)에 일정크기의 중량을 제공하고, 상단에는 회전축(621)이 수평하게 삽입되며 상기 절개면(622)이 형성되지 않은 회전축(621)의 직경(D1)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축삽입공(625)이 형성되며 상기 축삽입공(625)의 상부에는 절개면(622)이 형성된 회전축(621)의 직경(D2)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진 축분리홈(62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621)의 수평축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추삽입공(23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잠수추(624)를 포함하는 부력조절부(6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측정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절개면(622)이 측방을 향하도록 회전축(621)을 수평축 회전시켜 상기 잠수추(624)가 자중에 의해 추삽입공(23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모터(623)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수축된 상태로 상기 바디착용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팽창하는 에어백(631)과, 상기 에어백(631)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장착되고 일정량의 에어가 압축저장된 압력탱크(632) 및, 상기 압력탱크(632)의 배출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탱크(632)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33)를 포함하는 비상부력 생성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개폐밸브(633)가 개방되면서 압력탱크(632)에 저장된 에어가 에어백(631)의 내부로 공급되어 부력이 발생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착용부(200) 또는 헤드착용부(10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비상버튼(4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비상버튼(410)으로부터 비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산소센서(131)에서 측정된 산소량이나 수위센서(132)에서 감지된 수위와 무관하게 상기 에어탱크(611)에 저장된 에어가 호흡공간(111)으로 유입되고 상기 잠수추(624)가 추삽입공(231)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압력탱크(632)에 저장된 에어가 에어백(631)에 공급되도록 상기 개폐밸브(612), 구동모터(623) 및 개폐밸브(633)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상기 비상버튼(410)이 배치된 위치 및 비상버튼(410)의 조작방법을 안내하는 내용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호흡관부(300)의 둘레에 관통삽입되고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는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감지체(641)가 구비된 부력체(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흡관부(300)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고 상기 감지체(641)와 근접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350)를 더 포함하며, 각 감지센서(350)별 수위데이터가 저장되고 각 감지센서(35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부력체(640)의 위치로 호흡관부(300)의 단부가 수면 위로 노출된 길이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21)에 호흡관부(300)가 수면에 잠긴 상태를 이미지(I3)로 표시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호흡관부(300)의 상단에 장착된 카메라(330)에서 촬영된 수상이미지(I1)는 디스플레이(121)의 일측에 표시되고 상기 호흡관부(300)가 수면에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I3)는 디스플레이(121)의 타측에 표시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정해진 관광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중바닥(10)에 직립 설치되는 수직프레임(711)과, 각 수직프레임(711)의 상측에 연결되는 수평프레임(712) 및, 상기 수평프레임(712)에 지지되어 상기 관광경로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 수평바(713)를 포함하는 안전난간대(710); 및 일단은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바(713)의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로프(7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호흡관부(300)는 하단이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전후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호흡관부(300)가 전후로 회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동구동부(370); 및 상기 호흡관부(300)의 전후 회동각을 측정하는 회동각 감지부(3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회동각 감지부(380)의 회동각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호흡관부(300)의 직립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직립상태가 아니면 호흡관부(300)가 직립되도록 상기 회동구동부(370)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헤드착용부(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면서 내부에 기밀한 호흡공간(111)을 형성하고 전방측에는 외부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115)이 구비되며, 바디착용부(200)는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고 일측이 상기 호흡공간(111)과 연통된 연결관(210)이 구비되며, 호흡관부(300)는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연결관(210)의 타측과 연통되며 사용자가 수중바닥(10)에 직립한 상태에서 호흡공(311)이 형성된 상측이 수면(WS) 위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외기를 상기 호흡공간(111)으로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중바닥(10)에 직립한 상태에서 상측이 수면(WS) 위로 노출되는 호흡관부(300)를 통해 편하게 호흡할 수 있어 초보자의 경우에도 수중바닥을 거닐면서 자유롭게 수중경관을 관람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호흡관부(300)는, 수면(WS) 위로 노출된 상측이 절곡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단부에 형성된 호흡공(311)이 수면(WS)을 향하도록 상하로 복수회 절곡되며, 상기 복수회 절곡된 부위의 하단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312)이 형성되고, 상기 호흡공(311)이 형성된 단부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경사면(313)이 형성되며, 상기 호흡공(311)에는 내부로 향하는 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셔터판(314)이 상기 경사면(313)을 따라 연이어 직립배치됨으로써, 물이나 이물질의 내부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일부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배수공(312)을 통해 모두 배수되면서 사용자의 호흡기로는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유입된 물로 인한 호흡곤란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호흡공간(111)은 격벽(114)에 의해 코가 배치되는 상측공간(112)과 입이 배치되는 하측공간(113)으로 구획되고, 상기 호흡관부(300)는 상기 상측공간(112)과 연통되는 제1관로(321) 및 상기 하측공간(113)과 연통되는 제2관로(3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로(321) 및 제2관로(322) 중 어느 하나의 관로에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323)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관로에는 호흡공간(111)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324)이 구비됨으로써, 배출되는 호기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기를 보다 원활하게 순환시켜 보다 편한 호흡이 가능할 수 있으며, 코로 외기를 흡입하고 입으로 호기를 배출하는 경우 호기에 의해 투시창(115)이 뿌옇게 되는 김서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호흡관부(300)는, 수면(WS) 위로 노출된 상기 호흡관부(300)의 상측에 장착되어 물밖의 수상이미지(I1)를 촬영하는 카메라(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330)에서 촬영된 수상이미지(I1)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1)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물밖의 수상이미지(I1)를 수중에서 볼 수 있어 주변 장애물이나 육상으로 향하는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헤드착용부(100) 내에서 상기 투시창(115)과 선택적으로 중첩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며, 조작부(4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22)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500)는 상기 조작부(40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투시창(115)과 중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22)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121) 전체를 투시창(115)과 중첩되도록 하여 수상이미지(I1)를 자세하게 볼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121)의 일부분이 투시창(115)과 중첩되도록 하여 수중상황과 물밖상황을 동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물밖상황을 보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121)와 투시창(115)이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수중경관을 자세하게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바디착용부(20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20)을 기밀하게 보관하기 위한 폰보관공간(221)이 형성되고, 상기 폰보관공간(221)의 내부에는 스마트폰(20)의 폰커넥터(21)와 접속되면서 신호연결되는 착용부커넥터(222)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착용부커넥터(222)와 각각 신호연결된 스피커(123) 및 마이크(1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400)는 착용부커넥터(222)와 신호연결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스피커(123) 및 마이크(124)를 통해 외부와 통화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20)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스마트폰(20)으로 출력함으로써, 수중에서 지인과 통화하는 색다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상시 관리자나 보호자와 통화하여 비상상황 극복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곱째, 산소센서(131)는 상기 헤드착용부(100)에 장착되어 호흡공간(111)의 산소량을 측정하고, 수위센서(132)는 상기 헤드착용부(100)에 장착되어 호흡공간(111)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며, 비상에어 공급부(610)는 상기 연결관(210)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장착되고 일정량의 에어가 저장된 에어탱크(611) 및, 상기 에어탱크(611)의 배출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탱크(61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12)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개폐밸브(612)가 개방되면서 에어탱크(611)에 저장된 에어가 연결관(210)을 통해 호흡공간(111)으로 유입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유입된 에어에 포함된 산소를 흡입하여 호흡곤란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호흡공간(111)의 내부압력을 증가시켜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강제배수하거나 더이상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호흡관부(300)는 제어신호에 따라 관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관로차단밸브(3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호흡공간(111)의 내부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증가하면 선택적으로 개방동작되면서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설정치 미만으로 감소하면 폐쇄동작하는 체크밸브(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관로차단밸브(340)가 차단되어 호흡공간(111)이 밀폐되면서 호흡공간(111)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도록 관로차단밸브(34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호흡관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내부압을 차단하여 체크밸브(140)가 개방동작할 수 있는 설정압력까지 신속하게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홉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측정된 물이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21)에 비상발생 내용과 비상시 행동요령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 발생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표시되는 비상시 행동요령을 따라 안전하게 적절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열째, 상기 바디착용부(200)에는 하향 개구된 추삽입공(231)이 형성되고, 부력조절부(620)는, 상기 추삽입공(231)의 내부에 수평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면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절개면(622)이 형성된 회전축(621)과, 상기 회전축(621)의 단부에 축결합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축(621)이 수평축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623) 및, 상기 추삽입공(231)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수중부력에 의해 부상하지 않도록 바디착용부(200)에 일정크기의 중량을 제공하고, 상단에는 회전축(621)이 수평하게 삽입되며 상기 절개면(622)이 형성되지 않은 회전축(621)의 직경(D1)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축삽입공(625)이 형성되며 상기 축삽입공(625)의 상부에는 절개면(622)이 형성된 회전축(621)의 직경(D2)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진 축분리홈(62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621)의 수평축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추삽입공(23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잠수추(62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측정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절개면(622)이 측방을 향하도록 회전축(621)을 수평축 회전시켜 상기 잠수추(624)가 자중에 의해 추삽입공(23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모터(623)를 구동제어하는 것과 같이, 비상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잠수추(624)가 분리되어 부력증가로 사용자가 단시간 내에 수면(WS) 위로 부상할 수 있다.
열한째, 비상부력 생성부(630)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바디착용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팽창하는 에어백(631)과, 상기 에어백(631)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장착되고 일정량의 에어가 압축저장된 압력탱크(632) 및, 상기 압력탱크(632)의 배출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탱크(632)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3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개폐밸브(633)가 개방되면서 압력탱크(632)에 저장된 에어가 에어백(631)의 내부로 공급되어 부력이 발생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부력을 대폭 증대시켜 더욱 신속하게 수면(WS) 위로 부상할 수 있다.
열둘째, 비상버튼(410)은 상기 바디착용부(200) 또는 헤드착용부(10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비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비상버튼(410)으로부터 비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산소센서(131)에서 측정된 산소량이나 수위센서(132)에서 감지된 수위와 무관하게 상기 에어탱크(611)에 저장된 에어가 호흡공간(111)으로 유입되고 상기 잠수추(624)가 추삽입공(231)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압력탱크(632)에 저장된 에어가 에어백(631)에 공급되도록 상기 개폐밸브(612), 구동모터(623) 및 개폐밸브(633)를 구동제어함으로써, 호흡공간(111)의 내부에 산소가 부족하거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상황 이외에 다른 비상상황이 발생하거나 각 센서(131,132)의 센서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사용자가 공포심에 의해 수중을 벗어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비상버튼(410)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호흡공간(111)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고 최단 시간 내에 사용자를 수면(WS) 위로 부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셋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상기 비상버튼(410)이 배치된 위치 및 비상버튼(410)의 조작방법을 안내하는 내용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당황하여 비상버튼(410)의 위치나 조작방법을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표시되는 안내내용을 인지하여 안전하게 비상버튼(410)을 조작할 수 있다.
열넷째, 부력체(640)는 상기 호흡관부(300)의 둘레에 관통삽입되고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는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감지체(641)가 구비되고, 상기 호흡관부(300)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고 상기 감지체(641)와 근접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3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각 감지센서(350)별 수위데이터가 저장되고 각 감지센서(35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부력체(640)의 위치로 호흡관부(300)의 단부가 수면 위로 노출된 길이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21)에 호흡관부(300)가 수면에 잠긴 상태를 이미지(I3)로 표시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I3)를 인지하여 현 상태에서 더 깊이 잠수할 수 있는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호흡관부(300)의 상단이 물에 잠겨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열다섯째,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호흡관부(300)의 상단에 장착된 카메라(330)에서 촬영된 수상이미지(I1)는 디스플레이(121)의 일측에 표시되고 상기 호흡관부(300)가 수면에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I3)는 디스플레이(121)의 타측에 표시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수중관람하면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열여섯째, 안전난간대(710)는 정해진 관광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중바닥(10)에 직립 설치되는 수직프레임(711)과, 각 수직프레임(711)의 상측에 연결되는 수평프레임(712) 및, 상기 수평프레임(712)에 지지되어 상기 관광경로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 수평바(713)를 포함하고, 안전로프(720)는 일단이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바(713)의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심한 조류가 사용자에게 가해지거나 수중 시야가 불량하더도 정해진 관광경로를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일곱째, 상기 호흡관부(300)는 하단이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전후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회동구동부(370)는 상기 호흡관부(300)가 전후로 회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회동각 감지부(380)는 상기 호흡관부(300)의 전후 회동각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회동각 감지부(380)의 회동각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호흡관부(300)의 직립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직립상태가 아니면 호흡관부(300)가 직립되도록 상기 회동구동부(37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심한 조류에 의한 물의 저항으로 호흡관부(300)가 후방으로 젖혀지더라도 항상 호흡관부(300)가 직립될 수 있어 호흡관부(300)의 상측이 물에 잠겨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를 이용가능한 수중도로가 경북 울진군 왕돌초 지역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수중바닥을 걸으면서 수중경관를 관람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착용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흡관부의 상측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격벽 및 호흡관부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수상이미지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상에어 공급부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부 및 비상부력 생성부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의 회전으로 잠수추가 분리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비상버튼이 배치된 위치 및 조작방법을 안내하는 내용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 및 감지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수상이미지와 호흡관부가 수면에 잠긴 상태이미지가 함께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화면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난간대 및 안전로프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동구동부 및 회동각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흡관부가 회동구동부에 의해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노클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중도로(11)나 평탄한 해저와 같은 수중바닥(10)에 사용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상측이 수면(WS) 위로 노출되는 호흡관부(300)를 통해 호흡할 수 있어 초보자의 경우에도 수중바닥(10)을 거닐편서 편하게 수중경관을 관람할 수 있는 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착용부(100), 바디착용부(200) 및 호흡관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사용자가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면서 내부에 기밀한 호흡공간(111)을 형성하고 전방측에는 외부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115)이 구비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헤드착용부(100)가 머리전체를 감싸는 헬멧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눈부분을 커버하는 물안경과 코와 입부분을 커버하는 마스크 형태로 이루어져 머리 둘레를 감싸는 탄성밴드 등에 의해 머리에 착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헬멧형태로 이루어진 형태를 예시하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헬멧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머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구되는데 머리를 삽입한 후 개구된 하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목부분 둘레를 기밀하게 하는 밀폐부재(101, 도 5 참고)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착용부(200)는 호흡관부(300)가 신체 주변에서 직립배치될 수 있도록 호흡관부(300)를 지탱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어 일측이 상기 호흡공간(111)과 연통된 연결관(2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착용부(200)는 도면에서와 같이 몸통의 전후면을 커버하는 조끼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체 전체에 입는 슈트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양측에 어깨끈이 있는 가방형태로 이루어져 등에 짊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호흡관부(30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바디착용부(200)의 내부에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 구조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착용부(200)에는 몸통에 밀착되게 착용될 수 있도록 조임끈과 같이 바디착용부(200)를 신체에 가압할 수 있는 조임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흡관부(300)는 사용자가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도록 헤드착용부(100)의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연결관(210)의 타측과 연통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중바닥(10)에 직립한 상태에서 호흡공(311)이 형성된 상측이 수면(WS) 위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외기를 상기 호흡공간(111)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호흡관부(300)는 바닥면이 평탄하지 않은 수중바닥(10)에서도 외기를 공급할 수 있고 수심변화를 고려하여 수면(WS)으로부터 30cm 이상 노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시 좀 더 깊은 수중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길이가 신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수심 또는 수면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되고 구동모터나 액추에이터 등의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수심(수면위치)변화에 따라 호흡관부(300)의 상하 길이가 자동으로 신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호흡관부(300)는 수중에서 수류나 주변 장애물에 의해 직립배치된 상태가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도록 금속재질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관(210)은 일측이 헤드착용부(100)과 연결되고 타측은 바디착용부(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바디착용부(200)의 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관로(301)를 통해 바디착용부(200)에 장착된 호흡관부(300)과 연통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타측이 호흡관부(300)에 직결되는 구조로도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로(301)에는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를 보다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도록 흡기팬이나 배기팬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헤드착용부(100), 바디착용부(200) 및 호흡관부(30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중바닥(10)에 직립한 상태에서 상측이 수면(WS) 위로 노출되는 호흡관부(300)를 통해 편하게 호흡할 수 있어 초보자의 경우에도 수중바닥을 거닐면서 자유롭게 수중경관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조선시대 독도를 지키던 수토사가 독도를 향하는 서남풍을 대기하던 장소인 울진 대풍헌과 근접한 위치에는 왕돌초라는 거대한 수중암초가 있는데, 이러한 지형적 특징을 이용하여 수중도로(11)를 왕돌초 지역에 설치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를 이용하여 수중도로(11)이 바닥면을 거닐면서 수중관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사적, 문화적, 교육적, 자연적 가치가 있는 명소에서 수중관광 체험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대풍헌, 수토사 및 독도 등 다양한 역사적 문화적 관심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애국심을 고취시키고 이벤트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흡관부(300)의 상측은 수면(WS) 위로 노출되고 그 단부에는 호흡공(311)이 형성되어 외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호흡공(311)이 상향 개구된 경우 파도나 우천 등으로 인해 물이나 이물질이 쉽게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흡관부(300)는, 수면(WS) 위로 노출된 상측이 절곡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단부에 형성된 호흡공(311)이 수면(WS)을 향하도록 상하로 복수회 절곡되며, 상기 복수회 절곡된 부위의 하단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3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호흡공(311)이 형성된 단부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경사면(313)이 형성되어 호흡공(311)의 개구면적을 극대화하며, 상기 호흡공(311)에는 내부로 향하는 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셔터판(314)이 상기 경사면(313)을 따라 연이어 직립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나 이물질의 내부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일부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배수공(312)을 통해 모두 배수되면서 사용자의 호흡기로는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유입된 물로 인한 호흡곤란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호흡관부(300)가 내부에 하나의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경우 외부에서 유입되는 에어와 호흡공간(111)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가 충돌하면서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호흡공간(111)은 격벽(114)에 의해 코가 배치되는 상측공간(112)과 입이 배치되는 하측공간(113)으로 구획되고, 상기 호흡관부(300)는 상기 상측공간(112)과 연통되는 제1관로(321) 및 상기 하측공간(113)과 연통되는 제2관로(3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관로(321) 및 제2관로(322) 중 어느 하나의 관로에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323)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관로에는 호흡공간(111)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32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호기나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기를 보다 원활하게 순환시켜 보다 편한 호흡이 가능할 수 있으며, 코로 외기를 흡입하고 입으로 호기를 배출하는 경우 호기에 의해 투시창(115)이 뿌옇게 되는 김서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수중에서 주변을 관람하는 중에 부표나 쓰레기 등의 부유물또는 선박이 수면(WS) 위로 흘러가는 경우 수면(WS) 위로 노출된 호흡관부(300)가 이와 충돌할 수 있고 수중에서는 육상으로 나가는 방향을 찾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흡관부(300)는, 수면(WS) 위로 노출된 상기 호흡관부(300)의 상측에 장착되어 물밖의 수상이미지(I1)를 촬영하는 카메라(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330)에서 촬영된 수상이미지(I1)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물밖의 수상이미지(I1)를 수중에서 볼 수 있어 주변 장애물이나 육상으로 향하는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헤드착용부(100) 내에서 상기 투시창(115)과 선택적으로 중첩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헤드착용부(100)의 상부 위치에서 투시창(115)이 위치한 전방측으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좌측 위치(좌측 귀 부분)에서 투시창(115)이 위치한 전방측으로 또는 우측 위치(우측 귀 부분)에서 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400)는 헤드착용부(10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헤드착용부(100)에 배치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팔이나 다리부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조작부(400)를 육안으로 보면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후술되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22)로는 기어열과 구동모터의 조합, 유압 또는 공압 액츄에이터 등 다양한 구동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40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투시창(115)과 중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22)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21) 전체를 투시창(115)과 중첩되도록 하여 수상이미지(I1)를 자세하게 볼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121)의 일부분이 투시창(115)과 중첩되도록 하여 수중상황과 물밖상황을 동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물밖상황을 보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121)와 투시창(115)이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수중경관을 자세하게 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착용부(20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20)을 기밀하게 보관하기 위한 폰보관공간(221)이 형성되고, 상기 폰보관공간(221)의 내부에는 스마트폰(20)의 폰커넥터(21)와 접속되면서 신호연결되는 착용부커넥터(222)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착용부커넥터(222)와 각각 신호연결된 스피커(123) 및 마이크(1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400)는 착용부커넥터(222)와 신호연결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스피커(123) 및 마이크(124)를 통해 외부와 통화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20)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신호를 스마트폰(20)으로 출력함으로써, 수중에서 지인과 통화하는 색다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상시 관리자나 보호자와 통화하여 비상상황 극복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호흡관부(300)의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헤드착용부(100)와 신체 사이의 밀폐부분에 틈이 발생하여 수중에서 물이 헤드착용부(100)로 유입되는 경우 호흡곤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에서는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산소가 부족하거나 물이 유입되는 비상상황을 감지하고 비상에어 공급부(61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산소를 공급하거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착용부(100)에 장착되어 호흡공간(111)의 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센서(131) 및, 상기 헤드착용부(100)에 장착되어 호흡공간(111)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32)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상에어 공급부(610)는 상기 연결관(210)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장착되고 일정량의 에어가 저장된 에어탱크(611) 및, 상기 에어탱크(611)의 배출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탱크(61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12)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500)는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개폐밸브(612)가 개방되면서 에어탱크(611)에 저장된 에어가 연결관(210)을 통해 호흡공간(111)으로 유입되도록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에어탱크(611)으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포함된 산소를 흡입하여 호흡곤란 상황을 방지할 수 있고 호흡공간(111)의 내부압력을 증가시켜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로 강제배수하거나 더이상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흡관부(300)는 제어신호에 따라 관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관로차단밸브(3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호흡공간(111)의 내부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증가하면 선택적으로 개방동작되면서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설정치 미만으로 감소하면 폐쇄동작하는 체크밸브(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관로차단밸브(340)가 차단되어 호흡공간(111)이 밀폐되면서 호흡공간(111)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도록 관로차단밸브(340)를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호흡관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내부압을 차단하여 체크밸브(140)가 개방동작할 수 있는 설정압력까지 신속하게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측정된 물이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21)에 비상발생 내용과 비상시 행동요령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상상황 발생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표시되는 비상시 행동요령을 따라 안전하게 적절 행동을 취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신체는 수중에서 부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초보자의 경우 수중바닥(10)에 머무르거나 정상적인 보행자세를 취하기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착용부(20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수중부력에 의해 부상하지 않도록 바디착용부(200)에 일정크기의 중량을 제공하는 잠수추(624)를 포함하는 부력조절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상상황시 수중에서 사용자가 수면으로 올라가고자 하는 경우 상기 잠수추(624)의 중량은 부상하는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부력조절부(620)는 비상상황시 상기 잠수추(624)가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착용부(200)에는 하향 개구된 추삽입공(231)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조절부(620)는, 상기 추삽입공(231)의 내부에 수평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면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절개면(622)이 형성된 회전축(621)과, 상기 회전축(621)의 단부에 축결합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축(621)이 수평축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623) 및 상기 잠수추(6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잠수추(624)는 추삽입공(231)에 삽입되고 상단에는 회전축(621)이 수평하게 삽입되며 상기 절개면(622)이 형성되지 않은 회전축(621)의 직경(D1, 도 12 참고)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축삽입공(625)이 형성되며 상기 축삽입공(625)의 상부에는 절개면(622)이 형성된 회전축(621)의 직경(D2)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진 축분리홈(62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621)의 수평축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추삽입공(23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잠수추(624)를 추삽입공(231)에 삽입할 때에는 절개면(622)이 측방을 향하도록 회전축(621)을 수평축 회전시켜 축삽입공(625)에 회전축(6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삽입된 후에는 도 12의 (a)와 같이 절개면(622)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축(621)을 수평축 회전시키면 축삽입공(625)과 축분리홈(626) 간의 크기 차이로 발생하는 단턱에 회전축(621)이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측정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도 12의 (b)와 같이 상기 절개면(622)이 측방을 향하도록 회전축(621)을 수평축 회전시켜 상기 잠수추(624)가 자중에 의해 추삽입공(23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모터(623)를 구동제어한다. 이와 같이 비상상황 발생시 자동으로 잠수추(624)가 분리되어 부력증가로 사용자가 단시간 내에 수면(WS) 위로 부상할 수 있다.
상기 부력조절부(620)에서 회전축(621)의 단부와 구동모터(623)의 구동축 사이에는 동력전달밸트(627)이 구비되어 구동모터(623)의 회전력으로 회전축(621)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623)는 회전각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나 스텝핑 모터를 이용하여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축(621)의 회전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는 비상부력 생성부(630)가 구비되어 비상상황시 사용자가 더욱 신속하게 부상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부력 생성부(630)는, 수축된 상태로 상기 바디착용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팽창하는 에어백(631)과, 상기 에어백(631)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장착되고 일정량의 에어가 압축저장된 압력탱크(632) 및, 상기 압력탱크(632)의 배출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탱크(632)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개폐밸브(633)가 개방되면서 압력탱크(632)에 저장된 에어가 에어백(631)의 내부로 공급되어 부력이 발생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부력을 대폭 증대시켜 더욱 신속하게 수면(WS) 위로 부상할 수 있다.
더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착용부(200)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비상신호를 제어부(500)로 출력하는 비상버튼(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비상버튼(410)으로부터 비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산소센서(131)에서 측정된 산소량이나 수위센서(132)에서 감지된 수위와 무관하게 상기 에어탱크(611)에 저장된 에어가 호흡공간(111)으로 유입되고 상기 잠수추(624)가 추삽입공(231)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압력탱크(632)에 저장된 에어가 에어백(631)에 공급되도록 상기 개폐밸브(612), 구동모터(623) 및 개폐밸브(633)를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호흡공간(111)의 내부에 산소가 부족하거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상황 이외에 다른 비상상황이 발생하거나 각 센서(131,132)의 센서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사용자가 공포심에 의해 수중을 벗어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비상버튼(410)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호흡공간(111)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고 최단 시간 내에 사용자를 수면(WS) 위로 부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에는 상기 비상버튼(410)이 바디착용부(200)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헤드착용부(1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팔이나 다리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비상버튼(410)을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21)를 통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버튼(410)이 배치된 위치 및 비상버튼(410)의 조작방법을 안내하는 내용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당황하여 비상버튼(410)의 위치나 조작방법을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표시되는 안내내용을 인지하여 안전하게 비상버튼(410)을 조작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비상버튼(410)의 위치를 안내하는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비상버튼(410)이 장착된 위치를 이미지(I2)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흡관부(300)의 둘레에 관통삽입되고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는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감지체(641)가 구비된 부력체(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흡관부(300)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고 상기 감지체(641)와 근접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센서(350)로는 감지체(641)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이동하는 부재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500)는 각 감지센서(350)별 수위데이터가 저장되고 각 감지센서(35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부력체(640)의 위치로 호흡관부(300)의 단부가 수면 위로 노출된 길이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21)에 호흡관부(300)가 수면에 잠긴 상태를 이미지(I3)로 표시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I3)를 인지하여 현 상태에서 더 깊이 잠수할 수 있는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호흡관부(300)의 상단이 물에 잠겨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호흡관부(300)의 상단에 장착된 카메라(330)에서 촬영된 수상이미지(I1)는 디스플레이(121)의 일측에 표시되고 상기 호흡관부(300)가 수면에 잠긴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I3)는 디스플레이(121)의 타측에 표시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수중관람하면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심한 조류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몸이 조류에 의해 밀리거나 수중 시야가 흐려 관광경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정해진 관광경로를 이탈하여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난간대(710) 및 안전로프(7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관광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안전난간대(710)는 정해진 관광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중바닥(10)에 직립 설치되는 수직프레임(711)과, 각 수직프레임(711)의 상측에 연결되는 수평프레임(712) 및, 상기 수평프레임(712)에 지지되어 상기 관광경로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연장배치되는 수평바(7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전로프(720)는 일단이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바(713)의 둘레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심한 조류가 사용자에게 가해지거나 수중 시야가 불량하더도 정해진 관광경로를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로프(720)의 일단에는 후크(721)가 구비되어 수평바(713)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며 타단에는 카라비너(722)가 구비되어 바디착용부(200)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수평프레임(711)에는 각 수직프레임(711)이 이격된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으로 이격된 연결프레임(714)이 구비되고 각 연결프레임(714)에 수평바(713)가 체결되어 후크(721)를 수평바(713)에 걸었다 풀었다해야 하는 횟수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전방으로부터 심한 조류가 유입되는 경우 호흡관부(300)가 물과의 마찰력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호흡관부(300)의 상측에 구비된 호흡공(311)이 물에 잠겨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에 회동구동부(370) 및 회동각 감지부(380)가 구비되어 호흡관부(300)가 항상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흡관부(300)는 하단이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전후로 회동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회동구동부(370)는 상기 호흡관부(300)가 전후로 회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회동각 감지부(380)는 상기 호흡관부(300)의 전후 회동각을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구동부(370)는 유압이나 공압을 이용한 액추에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신축동작하는 로드(371)가 호흡관부(30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동각 감지부(380)는 호흡관부(300)에 장착되어 직립된 상태에서 회전한 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호흡관부(300)의 하단에 구비된 회동축에 배치되어 회동각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회동각 감지부(380)의 회동각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호흡관부(300)의 직립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직립상태가 아니면 호흡관부(300)가 직립되도록 상기 회동구동부(370)를 구동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심한 조류에 의한 물의 저항으로 호흡관부(300)가 후방으로 젖혀지더라도 항상 호흡관부(300)가 직립될 수 있어 호흡관부(300)의 상측이 물에 잠겨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헤드착용부 111...호흡공간
112...상측공간 113...하측공간
114...격벽 115...투시창
121...디스플레이 122...슬라이딩 구동부
123...스피커 124...마이크
131...산소센서 132...수위센서
140...체크밸브 200...바디착용부
210...연결관 221...폰보관공간
222...착용부커넥터 231...추삽입공
300...호흡관부 312...배수공
313...경사면 314...셔터판
321...제1관로 322...제2관로
323...흡입팬 324...배기팬
330...카메라 340...관로차단밸브
350...감지센서 370...회동구동부
380...회동각 감지부 400...조작부
410...비상버튼 500...제어부
610...비상에어 공급부 611...에어탱크
612...개폐밸브 620...부력조절부
621...회전축 622...절개면
623...구동모터 624...잠수추
630...비상부력 생성부 631...에어백
632...압력탱크 633...개폐밸브
640...부력체 641...감지체
710...안전난간대 720...안전로프

Claims (10)

  1.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면서 내부에 기밀한 호흡공간(111)을 형성하고 전방측에는 외부를 관찰하기 위한 투시창(115)이 구비된 헤드착용부(100);
    사용자의 몸통에 착용되며 일측이 상기 호흡공간(111)과 연통된 연결관(210)이 구비된 바디착용부(200); 및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연결관(210)의 타측과 연통되고 사용자가 수중바닥(10)에 직립한 상태에서 호흡공(311)이 형성된 상측이 수면(WS) 위로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외기를 상기 호흡공간(111)으로 공급하는 호흡관부(300);를 포함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관부(300)는,
    수면(WS) 위로 노출된 상측이 절곡되어 후방측으로 연장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단부에 형성된 호흡공(311)이 수면(WS)을 향하도록 상하로 복수회 절곡되며,
    상기 복수회 절곡된 부위의 하단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312)이 형성되고,
    상기 호흡공(311)이 형성된 단부는 하향 경사진 형태로 경사면(313)이 형성되며,
    상기 호흡공(311)에는 내부로 향하는 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셔터판(314)이 상기 경사면(313)을 따라 연이어 직립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공간(111)은 격벽(114)에 의해 코가 배치되는 상측공간(112)과 입이 배치되는 하측공간(113)으로 구획되고,
    상기 호흡관부(300)는 상기 상측공간(112)과 연통되는 제1관로(321) 및 상기 하측공간(113)과 연통되는 제2관로(3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로(321) 및 제2관로(322) 중 어느 하나의 관로에는 외부공기를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팬(323)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관로에는 호흡공간(111)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32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관부(300)는, 수면(WS) 위로 노출된 상기 호흡관부(300)의 상측에 장착되어 물밖의 수상이미지(I1)를 촬영하는 카메라(3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카메라(330)에서 촬영된 수상이미지(I1)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121)는 헤드착용부(100) 내에서 상기 투시창(115)과 선택적으로 중첩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착용부(100)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슬라이딩 이동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구동부(1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400)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21)가 투시창(115)과 중첩되는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22)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착용부(100)에 장착되어 호흡공간(111)의 산소량을 측정하는 산소센서(131); 또는 상기 헤드착용부(100)에 장착되어 호흡공간(111)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32);
    상기 연결관(210)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장착되고 일정량의 에어가 저장된 에어탱크(611) 및, 상기 에어탱크(611)의 배출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에어탱크(611)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12)를 포함하는 비상에어 공급부(610); 및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개폐밸브(612)가 개방되면서 에어탱크(611)에 저장된 에어가 연결관(210)을 통해 호흡공간(111)으로 유입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디착용부(200)에는 하향 개구된 추삽입공(231)이 형성되고,
    상기 추삽입공(231)의 내부에 수평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면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절개면(622)이 형성된 회전축(621)과,
    상기 회전축(621)의 단부에 축결합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축(621)이 수평축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623) 및,
    상기 추삽입공(231)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수중부력에 의해 부상하지 않도록 바디착용부(200)에 일정크기의 중량을 제공하고, 상단에는 회전축(621)이 수평하게 삽입되며 상기 절개면(622)이 형성되지 않은 회전축(621)의 직경(D1)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축삽입공(625)이 형성되며 상기 축삽입공(625)의 상부에는 절개면(622)이 형성된 회전축(621)의 직경(D2)과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진 축분리홈(626)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621)의 수평축 회전에 따라 자중에 의해 추삽입공(23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는 잠수추(624)를 포함하는 부력조절부(6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측정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절개면(622)이 측방을 향하도록 회전축(621)을 수평축 회전시켜 상기 잠수추(624)가 자중에 의해 추삽입공(23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구동모터(623)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수축된 상태로 상기 바디착용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되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팽창하는 에어백(631)과,
    상기 에어백(631)과 연통되도록 상기 바디착용부(200)에 장착되고 일정량의 에어가 압축저장된 압력탱크(632) 및,
    상기 압력탱크(632)의 배출측에 배치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탱크(632)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33)를 포함하는 비상부력 생성부(6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산소센서(131)로부터 측정된 산소량이 설정치 이하로 낮아지거나 상기 수위센서(132)로부터 감지된 수위가 설정치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개폐밸브(633)가 개방되면서 압력탱크(632)에 저장된 에어가 에어백(631)의 내부로 공급되어 부력이 발생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디착용부(200) 또는 헤드착용부(100)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비상신호를 출력하는 비상버튼(4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비상버튼(410)으로부터 비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산소센서(131)에서 측정된 산소량이나 수위센서(132)에서 감지된 수위와 무관하게 상기 에어탱크(611)에 저장된 에어가 호흡공간(111)으로 유입되고 상기 잠수추(624)가 추삽입공(231)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압력탱크(632)에 저장된 에어가 에어백(631)에 공급되도록 상기 개폐밸브(612), 구동모터(623) 및 개폐밸브(633)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관부(300)의 둘레에 관통삽입되고 부력에 의해 수면에 부상하는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감지체(641)가 구비된 부력체(6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호흡관부(300)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배치되고 상기 감지체(641)와 근접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350)를 더 포함하며,
    각 감지센서(350)별 수위데이터가 저장되고 각 감지센서(350)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부력체(640)의 위치로 호흡관부(300)의 단부가 수면 위로 노출된 길이를 판단하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헤드착용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21)에 호흡관부(300)가 수면에 잠긴 상태를 이미지(I3)로 표시하도록 구동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KR1020220031016A 2022-03-11 2022-03-11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KR10261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016A KR102614752B1 (ko) 2022-03-11 2022-03-11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016A KR102614752B1 (ko) 2022-03-11 2022-03-11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709A true KR20230133709A (ko) 2023-09-19
KR102614752B1 KR102614752B1 (ko) 2023-12-15

Family

ID=8819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016A KR102614752B1 (ko) 2022-03-11 2022-03-11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7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60731A (zh) * 2023-11-13 2024-01-09 广州帅普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水下呼吸潜水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014Y1 (ko) * 1978-07-05 1980-01-24 남호웅 수중(水中) 호흡기
KR950008212U (ko) * 1993-09-23 1995-04-15 김철재 흡착기능을 겸한 공기주입기
JPH0737892Y2 (ja) * 1988-07-29 1995-08-30 トッパン・ムーア株式会社 隠蔽情報を有するカード
KR960009643U (ko) * 1994-09-29 1996-04-12 송재순 수경재배 겸용 양액재배용 베드
KR19990040794U (ko) 1998-05-08 1999-12-06 김동익 스노클링용 물안경
KR102119522B1 (ko) * 2018-11-30 2020-06-05 정승일 호흡낭 내장형 풀페이스 마스크
KR20210087255A (ko) * 2020-01-02 2021-07-12 정현수 수중 활동 보조 장치
KR20220000370U (ko) * 2020-08-03 2022-02-10 김준배 연장호스가 구비된 잠수용 스노클 장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014Y1 (ko) * 1978-07-05 1980-01-24 남호웅 수중(水中) 호흡기
JPH0737892Y2 (ja) * 1988-07-29 1995-08-30 トッパン・ムーア株式会社 隠蔽情報を有するカード
KR950008212U (ko) * 1993-09-23 1995-04-15 김철재 흡착기능을 겸한 공기주입기
KR960009643U (ko) * 1994-09-29 1996-04-12 송재순 수경재배 겸용 양액재배용 베드
KR19990040794U (ko) 1998-05-08 1999-12-06 김동익 스노클링용 물안경
KR102119522B1 (ko) * 2018-11-30 2020-06-05 정승일 호흡낭 내장형 풀페이스 마스크
KR20210087255A (ko) * 2020-01-02 2021-07-12 정현수 수중 활동 보조 장치
KR20220000370U (ko) * 2020-08-03 2022-02-10 김준배 연장호스가 구비된 잠수용 스노클 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60731A (zh) * 2023-11-13 2024-01-09 广州帅普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水下呼吸潜水镜
CN117360731B (zh) * 2023-11-13 2024-05-24 广州帅普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水下呼吸潜水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752B1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1654B1 (en) Inflatable life-saving swimming garment
CN217773166U (zh) 一种被配置用于泳池的反向推进游泳设备
ES2749092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ara equipos de buceo
US9789941B2 (en)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US20130280974A1 (en) Flotation device having a window and a mask to permit a user to view below the water
KR102614752B1 (ko) 수중관광용 스노클링 장치
US10912977B1 (en) Repulsion-based swim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of
EP1196324B1 (en) Hands free signal device
KR101866746B1 (ko) 수영용 호흡장치
CN103520896B (zh) 游泳安全练习机
US6293733B1 (en) Low-depth water bottom observing system
KR102684728B1 (ko) 수중관광용 자전거 장치
ES2332713T3 (es) Simulador de buceo submarino.
JP7222931B2 (ja) ウォータースポーツ用カラー救命具
KR102368566B1 (ko) 수중 활동 보조 장치
KR20230135749A (ko) 수중관광용 자전거 장치
KR102514929B1 (ko) 수중 가상체험의 제공을 위한 수중용 가상현실시스템
US11992732B2 (en) Repulsion-based swimjet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of
JP2002220100A (ja) 疑似宇宙体験装置
JPH10129587A (ja) 水中呼吸器
KR20240010200A (ko) 스노클링 장치
CN212861829U (zh) 鼻吸式浮潜装置
JP3141086U (ja) 酸素の残存量表示計付の医療用携帯小型酸素ボンベから、マウスピース、又はレギュレーター経由で口中に酸素を供給する呼吸器具。
CN201321156Y (zh) 一种简易型潜水呼吸装备
Jackson Scuba d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