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447A -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447A
KR20230133447A KR1020220030449A KR20220030449A KR20230133447A KR 20230133447 A KR20230133447 A KR 20230133447A KR 1020220030449 A KR1020220030449 A KR 1020220030449A KR 20220030449 A KR20220030449 A KR 20220030449A KR 20230133447 A KR20230133447 A KR 20230133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lcohol
polyethylene
silica
odor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피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피지
Priority to KR102022003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447A/ko
Publication of KR20230133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4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81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23L3/349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with singly-bound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6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질이나 미생물, 곰팡이 등의 번식으로 상품성이 크게 훼손되는 가공식품 또는 신선식품, 약학적 제품 등에서 미생물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은 알코올 휘산제가 함침된 다공성이 뛰어난 무정형 실리카(Silicon dioxide) 담체를 담지하는 필름으로서, 상기 실리카 담체는 200 내지 100메쉬(mesh)의 입도가 90% 이상인 무정형 실리카를 활성화시킨 것이고, 상기 필름은 폴리에틸렌 30㎛ 이하를 적용한 종이와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특정 입도의 무정형 실리카를 담체로 사용하여 다공성 무기질을 활성화시켜 기존 다공성 무기질에 비하여 높은 흡수율을 제공하고, 폴리에틸렌을 적용한 종이와의 복합 포장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제거된 수분 등 분순물의 양만큼 함침량을 증가시켜 성능을 향상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산되어 식품과 같은 포장된 제품에 침투하는 알코올 휘산 양이 조절되어 포장되는 제품의 원래의 품질, 맛 및 향을 보존함으로써 상품성을 개선하는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미생물 억제를 위한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을 제공하므로 종래의 기술에서 요구되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유용한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FILM FOR CARRYING ALCOHOL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변질이나 미생물, 곰팡이 등의 번식으로 상품성이 크게 훼손되는 가공식품 또는 신선식품, 약학적 제품 등에서 미생물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알코올 휘산제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그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특정 입도를 갖는 무정형 실리카를 담체로 사용하고 폴리에틸렌을 적용한 종이와의 복합 포장재를 사용하여, 제거된 수분 등 분순물의 양만큼 함침량을 증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산되어 식품에 침투하는 알코올 휘산 양이 조절되어 포장되는 제품의 원래의 품질, 맛 및 향을 보존함으로써 상품성을 개선하는 효능을 제공하는, 미생물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식품 또는 신선식품과 같은 식품뿐만 아니라 일부 약학적 제품은 유통기간 중에 미생물이 쉽게 발생하고 증식하여 쉽게 변질되는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고, 따라서 이러한 유통 중의 미생물 증식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예로부터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로부터 식품에 미생물의 발생 및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휘발성을 가지는 항균물질의 휘발을 일정하게 지속시켜주는 여러가지 담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예컨데 고체분말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실리카 겔, 활성 알루미나, 알루미나-실리카의 혼합물, 제올라이트, 규산소다, 벤토나이트 및 활성백토 등을 사용하는 것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또한 흡착제로서 소취기능을 겸비하고 있는 장점이 있어 식품에 있어 미생물의 발생 및 증식을 억제하기 위한 항균물질을 담지하기 위한 유용한 담체로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 제시된 물질들은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흐름성이 없어 제조공정상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항균물질인 에틸알코올과 같은 휘발성 물질에 대한 흡착력도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다량의 항균성 물질을 보유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물질들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을 모색하여 발명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10-0053248호(특허문헌 1)에서는 "혼합 담체를 이용한 식품의 미생물 억제 제형 및 그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실리카 겔, 활성탄 및 해포석과 같은 담체에 항균성 제제를 함침한 제형에 있어서, 상기 제형은 실리카 겔 분말에 활성탄과 해포석을 부가하여 1% 하이드록시페닐 메틸셀룰로스와 함께 과립화함으로써 얻은 담체에 에틸알코올과 시나믹 알데하이드로 된 항균성 제제를 함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담체를 이용한 식품의 미생물 억제 제형"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한 제형 이외에도 미생물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14-0094866호(특허문헌 2)에서는 "식품포장용 친환경 저탄소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서방성 다층방충필름"이라는 명칭으로, "볏짚, 옥수수대, 보리대, 밀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다공성 초본계 농산폐기물을 동결 건조하고 볼밀로 분쇄한 후, 150 내지 200 메쉬로 통과시키고 에어제트밀로 분쇄하여 얻어진 100 중량부의 분말상의 다공성 초본계 농산폐기물 다공에 방충제 성분인 라벤더 오일을 10 내지 50 중량부로 함침시키고, 표면코팅제인 스테아린산염을 2 중량부로 첨가하여 코팅시킨 방충 다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 필름용 마스터 배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17-0103477호(특허문헌 3)에서는 "식품포장용 필름"이라는 명칭으로, "폴리프로필렌 90중량부 및 이산화티탄(TiO2)10중량부로 구성된 제1 층;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 삼원 중합체 20~60 중량부와 에틸렌-폴리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40~80중량부로 구성된 제2 층; 및 폴리프로필렌 90중량부 및 이산화티탄(TiO2)10중량부로 구성된 제3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21-0126929호(특허문헌 4)에서는 "항균성 식품 선도유지제 및 그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에탄올 용액에 스테아르산 나트륨 3 내지 5%(w/v)가 함유되어 겔화된 에탄올 겔로 이루어진 항균성 식품 선도유지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래전부터 국내외에서는 식품 등 각종 제품의 품질을 보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중에서 특히 알코올 휘산제 제품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담체에 알코올이 함침되는 양이 적고, 특유의 취기로 인한 거부감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무기질 담체의 내부에 기본적으로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수분 등의 불순물을 활성화를 통하여 제거함으로써 알코올 성분의 함침되는 양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켜 충분한 신선도 유지 능력을 확보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기도가 있는 포장지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투기도는 없으나 신선도 유지에 필요한 알코올 성분을 방출할 수 있는 전용 필름에 대한 구성을 제안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 이러한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보전되는 식품 등에서 미생물, 곰팡이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제품의 변질과 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코올 휘산제의 성능 향상과 사용상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취기를 막을 수 있어 식품 등에 그 적용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와 이에 대한 전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10-005324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14-0094866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17-0103477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제2021-012692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통상적인 종래의 알코올 휘산제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그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특정 입도가 90% 이상인 무정형 실리카를 담체로 사용하고 폴리에틸렌을 적용한 종이와의 복합 포장재를 사용하여, 제거된 수분 등 분순물의 양만큼 함침량을 증가시켜 성능을 향상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산되어 식품에 침투하는 알코올 휘산 양이 조절되어 포장되는 제품의 원래의 품질, 맛 및 향을 보존함으로써 상품성을 개선하는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미생물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특정한 목적을 지닌 알코올 휘산제 담지를 위한 전용 필름은 주로 폴리올레핀 계열의 합성 필름을 사용하며, 두께는 유효한 양의 알코올이 방출될 수 있는 5 내지 30㎛을 사용하는 미생물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미생물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에 부가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휘산제를 담지하는 무기질 담체의 내부에는 기본적으로 존재할 수 밖에 없는 수분 등의 불순물이 존재함을 인지하고 이를 활성화를 통하여 제거함으로써 알코올 성분의 함침되는 양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켜 충분한 신선도 유지 능력을 확보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기도가 있는 포장지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투기도는 없으나 신선도 유지에 필요한 알코올 성분을 방출할 수 있는 전용 필름에 대한 구성을 제안할 수 있어, 보전되는 식품에서 미생물이나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하여 제품의 변질과 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와 이에 대한 전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달성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은;
알코올 휘산제가 함침된 다공성이 뛰어난 무정형 실리카(Silicon dioxide) 담체를 담지하는 필름으로서, 상기 실리카 담체는 200 내지 100메쉬(mesh)의 입도가 90% 이상인 무정형 실리카를 활성화시킨 것이고, 상기 필름은 폴리에틸렌 30㎛ 이하를 적용한 종이와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활성화된 실리카 담체는 수분이 0.2% 이하로 존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은 에틸알코올 가스투과도가 30g/㎡.day.25℃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은 두께가 5 내지 3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다공성이 뛰어난 무정형 실리카(Silicon dioxide) 담체를 함수율이 0.2% 이하가 되도록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활성화된 무정형 실리카에 알코올을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함침 단계에서 얻은 실리카를 타공이 없는 40 내지 60g 누루지와 5 내지 30㎛ 두께의 폴리에틸렌과 합지한 필름에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활성화 단계는 실리카 담체를 가열에 의해 120℃ 이상의 고온에서 가열하고 진공 건조하여 실리카 내부의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특정 입도가 90% 이상인 무정형 실리카를 담체로 사용하여 다공성 무기질을 활성화시켜 기존 다공성 무기질에 비하여 높은 흡수율을 제공하고, 폴리에틸렌을 적용한 종이와의 복합 포장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제거된 수분 등 분순물의 양만큼 함침량을 증가시켜 성능을 향상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휘산되어 식품과 같은 포장된 제품에 침투하는 알코올 휘산 양이 조절되어 포장되는 제품의 원래의 품질, 맛 및 향을 보존함으로써 상품성을 개선하는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미생물 억제를 위해 사용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을 제공하므로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서 요구되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유용한 작용효과를 또한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용어 또는 기호가 아래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정의되지 않는 경우, 이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그것의 일반적인 의미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는 당업계의 기술 내에 있는 유기 화학, 분자 생물학(재조합 기술을 포함함), 미생물학, 세포 생물학, 생화학 및 면역학의 통상적인 기술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요소를 설명하는 맥락에서, 특히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단수 및 유사한 지시대상은 본 명세서에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또는 문맥상 분명히 반대로 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양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값의 범위의 언급은 단지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범위의 상한 및 하한을 포함하여,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속기 방법으로서 기능을 하기 위한 것이며, 각각의 개별 값은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으로 인용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하게 반대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생물 억제를 위한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은, 알코올 휘산제가 함침된 다공성이 뛰어난 무정형 실리카(Silicon dioxide) 담체를 담지하는 필름으로서, 상기 실리카 담체는 200 내지 100메쉬(mesh)의 입도가 90% 이상인 무정형 실리카를 활성화시킨 것이고, 상기 필름은 폴리에틸렌 30㎛ 이하를 적용한 종이와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활성화된 실리카 담체는 수분이 0.2% 이하로 존재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폴리에틸렌은 에틸알코올 가스투과도가 30g/㎡.day.25℃ 이상, 바람직하게는 40g/㎡.day.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g/㎡.day.25℃ 이상인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폴리에틸렌은 두께는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미생물 억제를 위한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필름의 제조방법은 다공성이 뛰어난 무정형 실리카(Silicon dioxide) 담체를 함수율이 0.2% 이하가 되도록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활성화된 무정형 실리카에 알코올을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함침 단계에서 얻은 실리카를 타공이 없는 40 내지 60g 누루지와 5 내지 30㎛ 두께의 폴리에틸렌과 합지한 필름에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단계는 실리카 담체를 가열에 의해 12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고 진공 건조하여 실리카 내부의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알코올 휘산제를 담지하는 실리카 담체는 적당한 크기로 포장되어 식품과 같은 보존되는 제품의 일정한 용적 내에 장기간 일정한 양을 휘산되도록 하는게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중으로 합지된 필름, 상세하게는 종이 + 폴리에틸렌으로 합지된 필름을 이용하여 이러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미생물 억제를 위한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은 일반적인 실리카 담체를 사용하는 알코올 휘산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거된 수분 등 분순물의 양만큼 함침량을 증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휘산되어 포장된 제품에 침투하는 알코올 휘산 양이 조절되어 포장되는 제품의 고유의 품질, 맛 및 향을 보존함으로써 상품성을 개선하는 효능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다공성이 뛰어난 무정형 실리카를 120℃에서 함수율이 0.2% 이하가 도달될 때까지 가열하여 활성화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활성화된 무정형 실리카에 65% 알코올을 중량 대비 60%까지 함침시켰다.
상기와 같이 알코올이 함침된 실리카를 타공이 없는 약 40g 누루지와 20㎛ 두께의 폴리에틸렌과 합지한 포장지에 1g를 삼면 포장으로 포장하였다.
실시예 2
50g 누루지와 25㎛ 두께의 폴리에틸렌과 합지한 포장지에 1g를 삼면 포장으로 포장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포장하였다.
실시예 3
60g 누루지와 30㎛ 두께의 폴리에틸렌과 합지한 포장지에 1g를 삼면 포장으로 포장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포장하였다.
비교예 1
기본 함수율이 약 7%인 다공성이 뛰어난 무정형 실리카를 담체로 사용한다. 상기 무정형 실리카에 65% 알코올을 중량대비 50%까지 함침시킨다.
상기와 같이 알코올이 함침된 실리카를, 누루지와 25㎛ 두께의 폴리에틸렌을 합지한 포장지를 타공한 포장지에 1g를 삼면 포장으로 포장한다.
실험예 1
중량 100g의 빵에 공시료,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을 투여하여 상온에서 8일 동안 보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선도유지제 상온 보관 이취 상품성
1일 4일 6일 8일
빵100g 공시료 - 곰팡이발생 썩은내 남 없음
빵100g 실시예 1 - - - - 없음 있음
빵100g 실시예 2 - - - - 없음 있음
빵100g 실시예 3 - - - - 없음 있음
빵100g 비교예 1 - - - - 알코올취기 없음
실험예 2
참고로 포장지 별 알코올 휘산제 내부의 에틸알코올 휘발량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명 칭 에틸알코올 휘산 비율(%) 상 태
초기 1주 2주 3주 4주
종이+CPP(30㎛) 0 5.98 13.94 21.9 25.88 너무 늦음
종이+PE(30㎛) 0 32.2 55.62 84.88 100 적당함
pet(4mm타공)+종이+PE(30㎛) 0 11.3 21.6 34.5 49.3 늦음
pet(10mm타공)+종이+PE(30㎛) 0 9.33 17.66 25.77 36.65 늦음
pet(타공)+종이+pe(타공) 0 100 너무 빠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알코올 휘산제가 함침된 다공성이 뛰어난 무정형 실리카(Silicon dioxide) 담체를 담지하는 필름으로서, 상기 실리카 담체는 200 내지 100메쉬(mesh)의 입도가 90% 이상인 무정형 실리카를 활성화시킨 것이고, 상기 필름은 폴리에틸렌 30㎛ 이하를 적용한 종이와 폴리에틸렌 복합 필름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실리카 담체는 수분이 0.2% 이하로 존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에틸알코올 가스투과도가 30g/㎡.day.25℃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두께가 5 내지 3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5. 다공성이 뛰어난 무정형 실리카(Silicon dioxide) 담체를 함수율이 0.2% 이하가 되도록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활성화된 무정형 실리카에 알코올을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함침 단계에서 얻은 실리카를 타공이 없는 40 내지 60g 누루지와 5 내지 30㎛ 두께의 폴리에틸렌과 합지한 필름에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실리카 담체를 가열에 의해 120℃ 이상의 고온에서 가열하고 진공 건조하여 실리카 내부의 수분과 불순물을 제거하여 활성화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20030449A 2022-03-11 2022-03-11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33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449A KR20230133447A (ko) 2022-03-11 2022-03-11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449A KR20230133447A (ko) 2022-03-11 2022-03-11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447A true KR20230133447A (ko) 2023-09-19

Family

ID=88196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449A KR20230133447A (ko) 2022-03-11 2022-03-11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344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248A (ko) 2008-11-12 2010-05-20 주식회사 티피지 혼합 담체를 이용한 식품의 미생물 억제 제형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4866A (ko)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 에이유 식품포장용 친환경 저탄소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서방성 다층방충필름
KR20170103477A (ko)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케이테크 식품포장용 필름
KR20210126929A (ko) 2020-04-13 2021-10-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항균성 식품 선도유지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3248A (ko) 2008-11-12 2010-05-20 주식회사 티피지 혼합 담체를 이용한 식품의 미생물 억제 제형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4866A (ko) 2013-01-23 2014-07-31 주식회사 에이유 식품포장용 친환경 저탄소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서방성 다층방충필름
KR20170103477A (ko) 2016-03-04 2017-09-13 주식회사 케이테크 식품포장용 필름
KR20210126929A (ko) 2020-04-13 2021-10-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항균성 식품 선도유지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7667B2 (en) Antimicrobial packaging material
CN111134177A (zh) 一种花生贮藏用缓释防霉剂及其制备方法
JP2005170944A (ja) イソチオシアン酸アリルを含有する抗微生物剤およびイソチオシアン酸アリルの放出速度制御方法
KR20230133447A (ko) 무취 알코올 휘산제 담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30318B1 (ko) 항균성능이 뛰어난 펄프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펄프성형체
CN101108022B (zh) 一种外控型保鲜剂及其制备方法
JP2660196B2 (ja) 米の品質保存剤
KR100386120B1 (ko) 방충, 방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식물성 정유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농산물 품질 보존제
AU678332B2 (en) Controlled-release ait prepara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101168049B1 (ko) 살균성분을 갖는 식품 보존제와 그 제조방법
KR101023018B1 (ko) 혼합 담체를 이용한 식품의 미생물 억제 제형 및 그 제조방법
JPH02145502A (ja) 農作物の病害防除剤
KR101168640B1 (ko) 항균기능이 있는 탈산소제와 그 제조 방법
JP2790772B2 (ja) 抗菌性食品包装材料
AU2005256153B2 (en) Antimicrobial packaging material
KR102479389B1 (ko) 바이오폴리머를 포함하는 항균성 선도유지제
KR102541263B1 (ko) 화학적 처리된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수분함유 식품의 선도유지제의 제조방법
JPH0356711B2 (ko)
JPH10179104A (ja) 食品の保存方法
KR101307506B1 (ko) 선도유지기능을 갖는 골판지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KR20090050838A (ko) 수목정유를 함유하는 탈취제 및 이를 이용한 필터
JPS59132876A (ja) 食品の保存方法
KR100227693B1 (ko) 방향성 살균살충 식품포장지 가공방법
CN110999959A (zh) 一种大米复合保鲜剂
KR100627354B1 (ko) 열 접착이 가능한 코팅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