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183A - 펄세이터 및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펄세이터 및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183A
KR20230133183A KR1020220189982A KR20220189982A KR20230133183A KR 20230133183 A KR20230133183 A KR 20230133183A KR 1020220189982 A KR1020220189982 A KR 1020220189982A KR 20220189982 A KR20220189982 A KR 20220189982A KR 20230133183 A KR20230133183 A KR 20230133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ator
fluid
blade
inle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9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엔홍 저우
홍 장
정정 양
잔양 왕
Original Assignee
광동 소스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210237822.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657737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0538558.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678183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10240136.4A external-priority patent/CN114635254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0537717.X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678182U/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소스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소스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3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18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08Driving arrangements for the impe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펄세이터(pulsator) 및 클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펄세이터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입구가 설치되고, 입구는 외부 유체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진입하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블레이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와 연통되고, 블레이드의 측면에는 출구가 설치되고, 출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진입한 유체가 흘러나가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의 유체가 입구부터 출구까지의 방향을 따라 흡인력을 받는 상황에서, 블레이드에서부터 흘러나온 유체는 펄세이터를 움직여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펄세이터 및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펄세이터는 유체가 유동하는 추진력의 작용하에 회전되어 세탁 용기 내부의 세탁 액체를 휘저어 급류를 형성하고, 및, 세탁 용기 내부에 진입한 유체가 세탁 액체에 충격을 가해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급류와 기포를 통해 때를 벗겨내므로, 클리닝 효과가 강하다. 종래기술에서 모터가 펄세이터를 구동해 회전시키는 기술수단에 비해, 클리닝할 물체와 접촉할 때 발생된 마찰력이 더 작아 클리닝할 물체에 대한 손상을 피한다.

Description

펄세이터 및 클리닝 장치 {PULSATOR AND CLEANING APPARATUS}
본 출원은 클리닝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펄세이터(pulsator) 및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품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클리닝 장치를 사용해 의류 또는 신발을 클리닝하는 것이 새로운 생활방식으로 되었다. 관련 기술에서, 세탁기 또는 신발세척기는 통상적으로 펄세이터(pulsator)와 펄세이터에 설치된 교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작동할 때 세탁기 또는 신발세척기는 구동장치에 의해 발생된 기계에너지를 통해 펄세이터를 움직여 롤링하도록 함으로써, 의류 또는 신발을 깨끗이 세탁한다. 이는 전체 구조를 크게 진동시킬 뿐만 아니라, 기계에너지가 펄세이터를 움직여 롤링하도록 하여 펄세이터의 롤링이 지나치게 강렬해지도록 하므로, 의류 또는 신발에 비교적 큰 마찰을 발생시켜 쉽게 의류와 신발을 손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클리닝 과정에서 클리닝할 물체에 대한 손상을 피할 수 있는 펄세이터 및 클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펄세이터(pulsator)는, 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는 외부 유체가 내부로 진입하는 데 사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에는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출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진입한 유체가 흘러나가도록 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의 유체가 상기 입구부터 상기 출구까지의 방향을 따라 흡인력을 받는 상황에서, 상기 블레이드에서부터 흘러나온 유체가 상기 펄세이터를 움직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는 다수 개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입구의 중심을 에워싸고 균일하게 분포되고;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에는 모두 하나의 상기 출구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출구의 중심이 상기 입구의 중심에서 떨어져있는 거리는 동일하며; 또는, 상기 블레이드는 다수 개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입구의 중심을 에워싸고 균일하게 분포되고;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에는 모두 다수 개의 상기 출구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출구는 모두 다른 어느 한 상기 블레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출구와 함께 상기 입구의 중심을 원형으로 하는 동일한 원주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1 면, 제2 면 및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서로 등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고, 상기 입구는 상기 제1 면에 개설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2 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블레이드는 다수 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에 대응되고,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 및 대응되는 상기 블레이드는 둘러싸서 하나의 유로를 구성하고, 각각의 상기 유로의 일단이 상기 입구와 연통되고 다른 일단에 상기 출구가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유로는 상호 격리된 제1 서브 유로와 제2 서브 유로로 분리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서로 등진 2개의 측면은 모두 상기 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와 대응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제1 서브 유로와 상기 입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그 중 하나의 측면의 상기 출구에서부터 흘러나온 유체가 상기 펄세이터를 움직여 정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및, 상기 제2 서브 유로와 상기 입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다른 하나의 측면의 상기 출구에서부터 흘러나온 유체가 상기 펄세이터를 움직여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호 결합된 제1 플레이트바디와 제2 플레이트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는 상기 제1 플레이트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 플레이트바디에 가까운 상기 제1 플레이트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를 에워싸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2 플레이트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바디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제2 플레이트바디의 일측에 돌출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한 클리닝 장치는, 수용공간이 설치된 세탁 용기; 및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서 기재한 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상기 세탁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펄세이터를 통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유체 진입 어셈블리; 및 상기 세탁 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유체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고, 외부 유체가 상기 유체 진입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펄세이터에 진입해 상기 펄세이터를 구동하여 회전시키도록 하는 유체 추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탁 용기는 서로 등진 제1 단과 제2 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진입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추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진입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단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 추출 어셈블리가 상기 제2 단에 설치된 위치와 마주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추출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에 설치된 추출유닛;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추출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추출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하는 동력유닛; 및 상기 세탁 용기의 제2 단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추출유닛과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데 사용되는 추출통로;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펄세이터(pulsator) 및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펄세이터는 유체가 유동하는 추진력의 작용하에 회전되어 세탁 용기 내부의 세탁 액체를 휘저어 급류를 형성하고, 및, 세탁 용기 내부에 진입한 유체가 세탁 액체에 충격을 가해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급류와 기포를 통해 때를 벗겨내므로, 클리닝 효과가 강하다. 종래기술에서 모터가 펄세이터를 구동해 회전시키는 기술수단에 비해, 클리닝할 물체와 접촉할 때 발생된 마찰력이 더 작아 클리닝할 물체에 대한 손상을 피한다.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의 부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아래의 기재에서 일부 제공될 것이며, 일부는 아래의 기재에서 명료해지거나 또는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의 실천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인 측면과 장점은 아래의 도면을 결합해 본 실시예를 기재하는 과정에서 명료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여기에서,
도 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평면 조립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입체 분해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pulsator)의 입체 분해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입체 조립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유로 및 밸브에 대한 구조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의 유로 및 밸브에 대한 구조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에에 따른 펄세이터의 단면 입체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추출 통로의 입체 설명도이고;
도 9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11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고;
도 12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구조 설명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의 실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고, 여기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줄곧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소자를 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를 해석하는 데만 사용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의류 또는 신발을 세탁하는 데 사용하는 클리닝 장치(100)를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을 결합하면 알 수 있다 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는 펄세이터(pulsator)(20)를 제공하고, 펄세이터(20)는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100), 즉,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클리닝 장치(100)에 사용할 수 있다. 펄세이터(20)는 세탁기, 신발세척기 등과 같은 다른 실시예의 클리닝 장치(100)에도 사용되어 클리닝 장치(100)의 클리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20)는 베이스 플레이트(22) 및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설치된 블레이드(23)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2)에는 입구(221)가 설치되고, 입구(221)는 외부 유체가 베이스 플레이트(22)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블레이드(23)는 베이스 플레이트(22)의 내부와 연통되고, 블레이드(23)의 측면(231)에는 출구(211)가 설치되고, 출구(211)는 베이스 플레이트(22) 내부에 진입하는 유체가 흘러나가도록 하는 데 사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2) 내부의 유체가 입구(221)부터 출구(211)까지의 방향을 따라 흡인력을 받는 상황에서, 블레이드(23)에서부터 흘러나온 유체는 펄세이터(20)를 움직여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을 결합하면 알 수 있다시피, 클리닝 장치(100)는 세탁 용기(10)를 포함하고, 클리닝 장치(100)가 클리닝할 물체를 클리닝할 경우, 세탁 용기(10)의 내부에는 세탁 액체가 담겨진다. 세탁 액체에는 가루 세제, 액체 세제 등 세탁 물질이 용해된다. 펄세이터(20) 내부의 액체는 블레이드(23)의 측면(231)의 출구(211)에서부터 세탁 용기(10)에 진입한다. 펄세이터(20)가 회전됨에 따라, 블레이드(23)는 세탁 용기(10) 내부의 세탁 액체를 휘저어 급류를 형성해, 때가 급류에 의해 세탁되어 쉽게 액체에 용해되고 클리닝할 물체에서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클리닝 효과를 증강하고 클리닝 시간을 단축한다. 펄세이터(20)에서 세탁 용기(10) 내부에 진입한 유체가 세탁 용기(10) 내부의 세탁 액체에 충격을 가해 기포를 발생시키고, 기포는 클리닝할 물체와 접촉할 때 파열되면서 진동을 발생시켜 때를 벗겨내 클리닝 효과를 증강하며, 클리닝할 물체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여기에서, 클리닝할 물체는 의류, 신발, 원단, 수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일일이 다 열거하지 않는다.
종래기술에 따른 클리닝 장치(100)는 주로 펄세이터(20)와 클리닝할 물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때를 이탈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20)는 유체가 유동하는 추진력의 작용하에 회전하여 세탁 용기(10) 내부의 세탁 액체를 휘저어 급류를 형성하고, 및, 세탁 용기(10) 내부에 진입한 유체가 세탁 액체에 충격을 가해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급류와 기포를 통해 때를 벗겨내므로, 클리닝 효과가 강하다. 종래기술에서 모터가 펄세이터(20)를 구동해 회전시키는 기술수단에 비해, 본 출원의 펄세이터(20)는 클리닝할 물체와 접촉할 때 발생된 마찰력이 더 작아 클리닝할 물체에 대한 손상을 피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펄세이터(20)는 베이스 플레이트(22) 및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설치된 블레이드(23)를 포함한다. 블레이드(23)가 베이스 플레이트(22)를 따라 회전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23)는 세탁 용기(10) 내부의 액체를 움직이고 회전시켜 급류를 형성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펄세이터 세탁기의 액체는 급류 형식으로 유동하지 않고, 유동하는 액체가 클리닝할 물체와 접촉할 경우, 클리닝할 물체의 표면에 안정된 포화층이 형성되어 때가 클리닝할 물체로부터 이탈하기 어렵게 된다. 급류가 클리닝할 물체와 접촉할 경우, 클리닝할 물체의 표면에 안정된 포화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때가 급류에 의해 세탁되어 쉽게 액체에 용해되고 클리닝할 물체로부터 이탈하도록 함으로써, 클리닝 효과를 증강하고 클리닝 시간을 단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3)는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원주면(221)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3)의 근부(根部)는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원주면(221)과 연결된다. 도 1을 결합하면 알 수 있다 시피, 이렇게 베이스 플레이트(22)와 블레이드(23)의 위치가 세탁 용기(10)의 바닥벽(16)에 밀착하도록 구성되므로, 펄세이터(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클리닝할 물체와 잘 접촉되지 않아, 펄세이터(20)와 클리닝할 물체 사이의 마찰에 의해 클리닝할 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피한다.
이하, 도면을 결합해 펄세이터(20)를 더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를 포함한다.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는 세탁 용기(10)와 연결되고,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는 세탁 용기(10)의 수용공간(11) 내부의 유체를 추출하는 데 사용된다. 세탁 용기(10)에서부터 유체를 추출하는 유량이 유체가 출구(211)에서부터 세탁 용기(10)에 진입하는 유체의 유량보다 많아, 세탁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부압의 작용하에, 펄세이터(20) 내부의 유체가 수용공간(11)에 흡입되고, 유체가 수용공간(11)에 흡입되는 과정에서 펄세이터(20)를 밀어 움직여 회전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3)는 다수 개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블레이드(23) 형상은 소용돌이 모양을 이루어 블레이드(23)가 회전할 때 세탁 용기(10) 내부의 세탁 액체를 휘저어 급류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11)의 내부에 액체가 담겨진 상황에서, 유체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펄세이터(20)를 거쳐 수용공간(11)에 진입할 경우, 유체는 수용공간(11) 내부의 액체에 충격을 가해 대량의 기포를 발생시키고, 기포는 클리닝할 물체와 접촉할 때 파열되면서 진동을 발생시켜, 진동을 통해 클리닝할 물체의 때를 벗겨낸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 구동식 펄세이터와 달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20)는 기포가 있는 물과 급류를 형성하여 클리닝할 물체의 때를 벗겨내므로, 클리닝 효과를 증강하고, 클리닝할 물체에 대해 비교적 큰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피해 클리닝할 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 개의 블레이드(23)는 입구(221)의 중심을 에워싸고 균일하게 분포된다. 이 경우, 블레이드(23)가 회전할 때 동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데 유리해 펄세이터(20)의 회전이 안정되도록 하고, 펄세이터(20)가 회전할 경우의 슬로싱 또는 스윙 정도를 줄인다.
바람직하게, 다수 개의 블레이드(23)의 형상은 소용돌이 형상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블레이드(23)에는 모두 하나의 출구(211)가 설치되고, 각각의 출구(211)의 중심이 입구(221)의 중심에서 떨어져있는 거리는 동일하다. 여기에서, 각각의 출구(211)의 중심이 입구(221)의 중심에서 떨어져있는 거리는 동일하며, 즉, 각각의 출구(211)는 모두 입구(221)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동일한 원주에 위치한다. 유체가 출구(211)에서부터 수용공간(11)으로 흡입되는 과정은 펄세이터(20)의 회전에 동력을 제공하며, 각각의 출구(211)의 중심이 입구(221)의 중심에서 떨어져있는 거리가 동일하여, 각각의 출구(211)가 구비된 위치가 펄세이터(20)의 회전에 제공하는 토크가 동일해지도록 한다. 이 경우, 블레이드(23)가 회전할 때 동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데 유리해 펄세이터(20)의 회전이 안정되도록 하고, 펄세이터(20)가 회전할 경우의 슬로싱 또는 스윙 정도를 줄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블레이드(23)에는 모두 다수 개의 출구(211)가 설치되어 세탁 용기(10)에 진입하는 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키고, 및, 유체가 펄세이터(20)의 회전에 제공하는 동력을 증가시킨다. 각각의 블레이드(23)의 출구(211)는 모두 다른 어느 한 블레이드(23)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211)와 함께 입구(221)의 중심을 원형으로 하는 동일한 원주에 위치해 상이한 블레이드(23) 사이에서 출구(211)가 펄세이터(20)의 회전에 제공하는 토크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보장해 펄세이터(20)의 회전이 안정되도록 보장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블레이드(23)의 각각의 출구(211)는 사이즈가 모두 동일해 생산제조에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블레이드(23)의 인접한 2개의 출구(211) 사이는 간격이 모두 동일해 블레이드(23)의 반경방향을 따라 균일한 동력을 제공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블레이드(23)에서, 입구(221)의 중심에 가까운 일단에서부터 입구(221)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일단까지, 출구(211)의 사이즈가 점차 증가된다. 즉, 블레이드(23)의 외측에 가까운 출구(211)일수록 사이즈가 커지고, 블레이드(23)의 내측에 가까운 출구(211)일수록 사이즈가 작아진다. 이 경우, 블레이드(23) 외측의 출구(211) 지점이 펄세이터(20)의 회전에 제공하는 비교적 큰 토크는 펄세이터(20)를 움직여 회전시키는 주요 동력이고; 블레이드(23) 내측에 가까운 출구(211)에서 흘러나간 유체는 주로 펄세이터(20)의 회전이 안정되도록 보장해 블레이드(23)가 반경방향으로 받는 힘이 안정되도록 하고 펄세이터(20)가 회전할 때의 슬로싱 또는 스윙 정도를 줄이는 데 사용한다. 입구(221)의 중심에 가까운 일단에서부터 입구(221)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일단까지, 인접한 출구(211) 사이의 간격은 점차 감소된다. 즉, 블레이드(23)의 외측에 가까운 출구(211)일수록 더 밀집하게 분포되고, 블레이드(23) 내측에 가까운 출구(211)일수록 더 성기게 분포되어, 블레이드(23)의 외측에 가까운 위치에서 더 큰 동력을 제공해 펄세이터(20)의 회전 속도를 향상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출구(211)의 형상은 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일 수 있고, 여기에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출구(211)의 형상은 원형으로서, 생산제조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23)의 측면의 면적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 개의 블레이드(23)의 수량은 홀수 개이고, 예를 들어, 다수 개의 블레이드(23)의 수량은 3개, 5개, 7개 등일 수 있고, 여기에서 일일이 더 열거하지 않는다. 홀수의 블레이드(23)는 회전과정에서의 공명을 감소해 블레이드(23) 회전의 동적 평형을 향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 개의 블레이드(23)의 수랑은 짝수이고, 다수 개의 블레이드(23)의 형상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 회전과정 중의 공명을 감소해 블레이드(23) 회전의 동적 평형을 향상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23)의 수량은 4개이고, 여기에서, 1개의 블레이드(23)의 사이즈는 다른 3개의 블레이드(23)의 사이즈와 다르다. 다수 개의 블레이드(23)의 등가적 중심(重心)이 입구(221)의 중심에 위치해 동적 평형을 보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2)는 제1 면(225), 제2 면(226) 및 측면(227)을 포함하고, 제1 면(225)과 제2 면(226)은 서로 등지고,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측면(227)은 제1 면(225)과 제2 면(226)을 연결하고, 입구(221)는 제1 면(225)에 개설되고, 블레이드(23)는 제2 면(226)에 설치된다. 블레이드(23)는 제2 면(226)에 설치되어 블레이드(23)가 입구(221)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출구(211) 지점의 토크에 대응되는 모먼트 암이 비교적 짧아 유체가 펄세이터(20)에 제공하는 동력이 더 커지도록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3)는 제2 면(226)(즉, 상표면(上表面))의 내부에 위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원주는 전체 펄세이터(20)의 가장 바깥쪽으로서, 펄세이터(20)가 수평방향을 따르는 사이즈가 비교적 작아지도록 하고, 출구(211)가 펄세이터(20)의 회전 중심, 즉, 입구(221)의 중심에서 비교적 가깝게 떨어져있으므로, 출구(211) 지점의 토크에 대응되는 모먼트 암을 단축시켜 유체가 펄세이터(20)에 더 큰 동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3) 부분이 제2 면(226)을 초과하고, 즉, 블레이드(23)가 입구(221)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말단에서부터 입구(221)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제2 면(226)의 반경보다 길다. 이 경우, 블레이드(23)가 세탁 용기(10) 내부의 유체를 움직여 회전시켜 발생된 소용돌이 범위가 더 커 클리닝 범위가 더 넓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3) 꼭대기부의 최고 지점과 제2 면(226) 사이의 거리 값 범위가 [2.0cm, 4.0cm]로서, 블레이드(23)의 위치가 제2 면(226)에 밀착하고 펄세이터(20)의 위치가 세탁 용기(10)의 바닥벽(16)에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펄세이터(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블레이드(23)가 클리닝할 물체와 잘 접촉하지 않아, 펄세이터(20)와 클리닝할 물체 사이의 마찰에 의해 클리닝할 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피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3)의 측면(231)이 제2 면(226)에서부터 연장해 뻗어나가 블레이드(23)가 유체를 움직여 회전시키는 범위를 확대해 더 큰 범위의 소용돌이를 발생시킨다. 블레이드(23)는 연결면(233)을 더 포함하고, 연결면(233)은 제2 면(226)과 블레이드(23)의 측면(231)을 경사지도록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연결면(233)은 유선형 곡면으로서, 유동의 저항력을 감소해 펄세이터(20)의 회전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급류를 더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펄세이터(20)에는 수용공간(11)과 연통된 유로(21)가 설치되고, 외부 유체는 유로(21)를 경유해 수용공간(11)에 진입한다.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는 진입 통로(32)를 포함하고, 진입 통로(32)는 세탁 용기(10)의 제1 단(12)을 관통해 지나 유로(21)의 입구와 연통되어 외부 유체가 진입 통로(32)를 통해 유로(21)에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2)의내부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25)가 설치되고, 각각의 가이드부재(25)는 하나의 블레이드(23)에 대응되고, 각각의 가이드부재(25) 및 대응되는 블레이드(23)는 둘러싸여 하나의 유로(21)를 형성하고, 각각의 유로(21)는 일단이 입구(221)와 연통되고 다른 일단에는 블레이드(23)에 개설된 출구(211)가 설치된다. 유체는 입구(221)에서부터 유로(21)에 진입하고, 세탁 용기(10) 내부 부압의 작용하에, 출구(211)에서부터 수용공간(11)에 진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25)의 형상은 블레이드(23)에 대응되고,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25)는 소용돌이 형상을 이루어 블레이드(23)에 매칭되게 소용돌이 형상의 유로(21)를 형성하여 펄세이터(20)의 유체에 대해 가이드 역할을 함으로써, 펄세이터(20)에서부터 수용공간(11)에 진입한 유체가 더 쉽게 소용돌이를 형성해 급류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로(21)는 상호 격리된 제1 서브 유로(214)와 제2 서브 유로(215)로 분리되고, 블레이드(23)의 서로 등진 2개의 측면은 모두 출구(211)가 설치된다. 펄세이터(20)는 베이스 플레이트(22)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로(21)에 대응되는 밸브(27)를 더 포함하고, 밸브(27)는 제1 서브 유로(214)와 입구(221)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블레이드(23)의 그 중 하나의 측면의 출구(211)에서부터 흘러나온 유체가 펄세이터(20)를 움직여 정회전시키도록 하고, 및, 제2 서브 유로(215)와 입구(221)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블레이드(23)의 다른 하나의 측면의 출구(211)에서부터 흘러나온 유체가 펄세이터(20)를 움직여 역회전시키도록 하는 데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3)는 서로 등진 제1 측면(2314)과 제2 측면(2315)을 포함하고, 제1 측면(2314)에는 제1 출구(2114)가 설치되고, 제2 측면(2315)에는 제2 출구(2115)가 설치되고, 제1 서브 유로(214)는 제1 출구(2114)와 입구(221)를 연통시키고, 제2 서브 유로(215)는 제2 출구(2115)와 입구(221)를 연통시킨다. 펄세이터(20)에 있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정회전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역회전 방향이라고 가정한다. 밸브(27)가 우측을 향해 편향될 경우, 제2 서브 유로(215) 내부의 유체가 제2 출구(2115)에서부터 세탁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진입하는 것을 제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유체가 제1 서브 유로(214)에서부터 제1 출구(2114)를 흘러나가는 경로를 개방해 펄세이터(20) 내부의 유체가 제1 출구(2114)에서부터 수용공간(11)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출구(2114) 지점의 유체는 부압의 작용하에, 수용공간(11)에 “흡입”되어 펄세이터(20)를 움직여 정회전시킨다. 밸브(27)가 좌측을 향해 편향될 경우, 제1 서브 유로(214) 내부의 유체가 제1 출구(2114)에서부터 세탁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진입하는 것을 제지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유체가 제2 서브 유로(215)에서부터 제2 출구(2115)를 흘러나가는 경로를 개방해 펄세이터(20) 내부의 유체가 제2 출구(2115)에서부터 수용공간(11)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출구(2115) 지점의 유체는 부압의 작용하에, 수용공간(11)에 “흡입”되어 펄세이터(20)를 움직여 역회전시킨다.
다른 실시예는 펄세이터(20)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정회전 방향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역회전 방향으로 가정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3)의 서로 등진 2개의 측면에는 각각 제1 출구(2114)와 제2 출구(2115)가 설치되고, 제1 출구(2114) 지점에는 제1 밸브(271)가 설치되고, 제2 출구(2115) 지점에는 제2 밸브(272)가 설치된다. 펄세이터(20)에 있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정회전 방향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역회전 방향으로 가정한다. 제1 밸브(271)와 제2 밸브(272)가 모두 잠겨질 경우, 유체는 펄세이터(20)에서부터 세탁 용기(10)의 수용공간(11)에 진입할 수 없고, 이 상태에서는 수용공간(11) 내부의 유체를 추출해 펄세이터(20) 내부의 유체가 수용공간(11)에 진입하기 전에 수용공간(11)이 미리 설정된 부압 값에 도달하도록 하여, 펄세이터(20)가 미리 설정된 부압의 작용하에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펄세이터(20)가 회전하여 수용공간(11) 내부의 세탁 액체를 휘저어 급류를 형성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제1 밸브(271)가 개방되고 제2 밸브(272)가 잠겨질 경우, 유체는 제1 출구(2114)에서부터 수용공간(11)에 진입해 펄세이터(20)를 움직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밸브(271)가 잠겨지고 제2 밸브(272)가 개방될 경우, 유체는 제2 출구(2115)에서부터 수용공간(11)에 진입해 펄세이터(20)를 움직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밸브(271)와 제2 밸브(272)가 개방되고 잠겨지는 방향은 수직방향을 따라 평행 이동할 수 있어 셔터가 개방되고 잠겨지는 방향과 유사하며; 수평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도 있어 장롱문이 개방되고 잠겨지는 방향과 유사하며, 여기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2)는 상호 결합된 제1 플레이트바디(228)와 제2 플레이트바디(229)를 포함하며; 입구(221)는 제1 플레이트바디(228)를 관통하고, 가이드부재(25)는 제2 플레이트바디(229)에 가까운 제1 플레이트바디(228)의 일측에 설치되어 입구(221)를 에워싸며; 블레이드(23)는 제2 플레이트바디(229)에 설치되어, 제1 플레이트바디(228)에서 멀리 떨어진 제2 플레이트바디(229)의 일측에 돌출된다. 블레이드(23)와 가이드부재(25)는 각각 제1 플레이트바디(228)와 제2 플레이트바디(229)에 설치되어 생산에 편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형상이 상이한 블레이드(23)가 설치된 제1 플레이트바디(228)를 이용해 제2 플레이트바디(229)와 매칭시켜 비교적 높은 범용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바디(228)와 제2 플레이트바디(229)는 분리할수 없는 연결방식으로 상호 결합하고, 예를 들어, 용접 연결, 접착 연결 등 방식으로 결합한다. 또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바디(228)와 제2 플레이트바디(229)는 분리 가능한 연결방식으로 상호 결합하고, 예를 들어, 끼움 결합, 나사산 연결 등 방식을 통해 결합하며, 여기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221)의 형상은 원형으로서, 원형 통로를 비교적 잘 매칭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221)의 형상은 소용돌이 형상으로서, 일정하게 유체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여 펄세이터(20) 내부의 유체를 유도해 대응되는 가이드부재(25)의 유로(21)에 진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부재(25)는 경사면(251)을 포함하고, 경사면(251)의 낮은 지점은 입구(221)에 밀착하고, 경사면(251)의 높은 지점은 가이드부재(25)의 측벽에 밀착하고, 경사면(251) 부분은 입구(221)를 가로막아 입구(221)가 소용돌이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고, 입구(221)에서부터 펄세이터(20)에 진입하는 유체는 경사면(251)이 가이드 역할을 하여 대응되는 유로(21)에 진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클리닝 장치(100)는 세탁 용기(10)와 펄세이터(20)를 포함한다. 세탁 용기(10)에는 수용공간(11)이 설치되고, 펄세이터(20)는 수용공간(11)의 내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펄세이터(20)는 본 출원의 상기 어느 한 실시예에 기재된 펄세이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유체 진입 어셈블리(30)와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를 더 포함한다.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는 세탁 용기(10)에 장착되어 펄세이터(20)를 통해 외부와 수용공간(11)을 연통시킨다.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는 세탁 용기(10)와 연결되어, 수용공간(11) 내부의 유체를 추출하고 외부 유체가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를 거쳐 펄세이터(20)에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펄세이터(20)를 구동해 회전시키는 데 사용한다.
본 출원의 클리닝 장치(100)는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를 통해 수용공간(11) 내부의 유체를 추출하여 수용공간(11)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부압의 작용하에, 외부 유체는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를 거쳐 펄세이터(20)에 진입할 수 있어, 외부 유체의 유동을 통해 펄세이터(20)를 구동하여 고속 회전시킨다. 수용공간(11) 내부에 액체가 담겨진 상황에서, 유체가 고속 회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2)를 통해 수용공간(11)에 진입할 경우, 유체는 수용공간(11) 내부의 액체에 충격을 가해 대량의 기포를 생성하며, 기포는 클리닝할 물체와 접촉할 때 파열되면서 진동을 발생시켜, 진동을 통해 클리닝할 물체의 때를 벗겨낸다. 이 경우, 클리닝 장치(100)는 세탁 용기(10)에 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클리닝 장치(100)는 작동할 때 격렬한 슬로싱이 발생하지 않아 격렬한 슬로싱으로 클리닝할 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피한다. 클리닝 장치(100)는 펄세이터(20)에 의해 회전될 때 펄세이터(20)와 클리닝할 물체 사이의 마찰로 때를 클리닝하지 않아, 비교적 큰 마찰력으로 클리닝할 물체가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덮개판(90)을 더 포함하고, 덮개판(90)은 세탁 용기(10)의 수용공간(11)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외에도, 클리닝 장치(100)는 상부 슬리브(81)와 하부 슬리브(82)를 더 포함한다. 상부 슬리브(81)와 하부 슬리브(82)는 조합을 이루어 슬리브를 형성해 세탁 용기(10)의 외부에 씌워 설치되어 세탁 용기(10)를 보호한다. 덮개판(90)은 상부 슬리브(81)와 연결되어 세탁 용기(10)의 수용공간(11)의 상부를 밀폐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덮개판(90)은 상부 슬리브(81)에서부터 분리해 수용공간(11)으로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도 1,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세탁 용기(10)는 서로 등진 제1 단(12)과 제2 단(13)을 포함하고,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는 제1 단(12)에 설치되고,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는 제2 단(13)에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등진 제1 단(12)과 제2 단(13)은 구체적으로 제1 단(12)이 세탁 용기(10)의 센터라인(center line)(14) 이하에 위치한 부분, 제2 단(13)의 세탁 용기(10)의 센터라인(14) 이상에 위치한 부분을 가리키고, 세탁 용기(10)의 상방과 하방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탁 용기(10)는 꼭대기벽(15), 바닥벽(16) 및 꼭대기벽(15)과 바닥벽(16)을 연결시키는 측벽(17)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예를 들어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단(12)은 바닥벽(16)이고,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는 바닥벽(16)에 설치되고, 제2 단(13)은 꼭대기벽(15)이고,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는 꼭대기벽(15)에 설치된다. 이 경우, 유체는 세탁 용기(10) 내부의 유로가 간단해 유체의 추출 효율이 비교적 높다. 도 8에서 예를 들어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단(12)은 바닥벽(16)에 가까운 측벽(17)의 위치이고,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는 측벽(17)에 설치되고, 제2 단(13)은 꼭대기벽(15)이고,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는 꼭대기벽(15)에 설치된다. 이 경우, 측벽(17)의 위치에서부터 수용공간(11)을 향해 외부 유체를 유입시킬 수 있고 바닥벽(16)이 지면에 가까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클리닝 장치(100)의 높이방향 사이즈를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단(13)은 꼭대기벽(15)에 가까운 측벽(17)의 위치일 수 있고, 유체 추출 어셈블리(40)가 측벽(17)에 설치되어 클리닝 장치(100)가 측벽(17)에서부터 수용공간(11) 내부의 유체를 유도해 내보낼 수 있다.
도 1 및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진입 어셈블리(30)가 제1 단(12)에 설치되는 위치는 유체 추출 어셈블리(40)가 제2 단(13)에 설치되는 위치와 마주한다. 여기에서,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는 유체 추출 어셈블리(40)와 마주하고, 즉, 유체 진입 어셈블리(30)의 중심(31)과 유체 추출 어셈블리(40)의 중심(41)의 연결선은 세탁 용기(10)의 중심 축선(18)과 평행된다. 이 경우, 유체가 세탁 용기(10)를 출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손실을 감소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단(12)은 바닥벽(16)에 위치하고, 제2 단(13)은 꼭대기벽(15)에 위치하고,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는 제1 단(12)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고,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도 제2 단(13)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고, 유체 진입 어셈블리(30)의 중심과 유체 추출 어셈블리(40)의 중심의 연결선은 세탁 용기(10)의 중심 축선과 겹쳐져 유체가 세탁 용기(10)에 출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손실을 더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 진입 어셈블리(30)의 중심과 유체 추출 어셈블리(40)의 중심의 연결선은 세탁 용기(10)의 중심 축선과 평행되고 엇갈릴 수 있으며, 여기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유체 진입 어셈블리(30)의 중심과 유체 추출 어셈블리(40)의 중심도 엇갈릴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는 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밸브는 진입 통로(32)에 설치되어, 진입 통로(32)의 내부를 흘러지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펄세이터(20)의 회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펄세이터(20)의 회전을 제어하고 세탁 용기(10) 내부의 액체를 움직여 급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추출 어셈블리(40)가 에어를 흡입하여 미리 설정된 부압을 형성하기 전에 밸브가 잠겨진 상태에 놓여져, 세탁 용기(10) 내부의 부압이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에서, 외부 유체가 세탁 용기(10)의 내부에 흘러들어가는 것을 피해, 세탁 용기(10) 내부가 미리 설정된 수치의 부압이 형성되도록 도움준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는 수용공간(11)의 외부에 설치된 추출유닛(42), 수용공간(11)의 외부에 설치된 동력유닛(43) 및 추출 통로(44)를 포함한다. 유체의 유형에 근거해, 추출유닛(42)은 에어 추출 펌프, 물 추출 펌프 등일 수 있다. 동력유닛(43)은 모터를 포함하고, 동력유닛(43)은 추출유닛(42)과 연결되어 추출유닛(42)에 동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추출 통로(44)는 세탁 용기(10)의 제2 단(13)에 관통 설치되어 추출유닛(42)과 수용공간(11)을 연통시키는 데 사용되며, 수용공간(11) 내부의 유체가 추출유닛(42)의 작용하에 추출 통로(44)에 추출되어 들어감으로써, 수용공간(11) 내부의 유체가 추출되어 이탈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 통로(44)는 덮개판(90)에 장착되어 수용공간(11)의 내부에 위치한다. 추출유닛(42)과 동력유닛(43)은 덮개판(90)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고, 추출 통로(44)와 함께 덮개판(90)의 일측에 장착되어 서로 등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유닛(42)은 물 추출 펌프로서, 수용공간(11) 내부의 액체를 추출하는 데 사용하고, 추출 통로(44)는 수용공간(11)의 내부에 뻗어들어가고 세탁 용기(10)의 꼭대기벽(15)에서부터 일정한 높이로 떨어져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용공간(11) 내부의 액체에 의해 추출 통로(44)가 잠기도록 하여 추출유닛(42)이 액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 통로(44)는 다수 개의 통로(441)를 포함하고, 각각의 통로(441)는 추출유닛(42)의 중심에서부터 나사선 방사형을 이룬다. 이 경우, 유체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쉽게 추출 통로(44)에 진입한 기포가 파열되도록 하여 추출 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기포 중의 가루 세제, 액체 세제 등 세탁 물질이 세탁 용기(10)에 다시 진입하도록 할 수 있어 세탁 물질의 낭비를 줄여 세탁 물질의 이용률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 도 3과 도 8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추출 통로(44)에는 수용공간(11)과 연통된 피드홈(442)이 설치되고,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는 진입 통로(32)를 포함하고, 피드홈(442)의 개구 사이즈는 진입 통로(32)의 진입구(321)의 개구 사이즈보다 크다. 도 1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홈(442)은 유체가 수용공간(11)에서 이탈하는 출구이고, 피드홈(442)의 크기가 수용공간(11)에서부터 추출되어 이탈하는 유체의 최대 유량을 결정한다. 유로(21)의 출구(211)에서부터 흘러나가는 유체의 유량이 진입구(321)의 진입 통로(32)로 흘러들어가는 유체의 유량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진입구(321)의 크기가 수용공간(11)에 유입하는 최대 유량을 결정한다. 이 경우, 유체의 유출량이 유체의 유입량보다 많아 수용공간(11)이 줄곧 부압을 유지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유체 진입 어셈블리(30)의 유체통로가 수용공간(11)에 진입하는 흐름이 유지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유체는 기체를 포함하고, 가체는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를 경유해 펄세이터(20)에 진입하여 펄세이터(20)를 구동해 회전하도록 하며,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는 수용공간(11)의 기체를 추출해 수용공간(11)이 부압을 형성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며; 피드홈(442)과 진입구(321)는 덕트를 형성하고, 덕트는 나팔 형상을 이룬다. 즉, 덕트는 진입구(321)에 가까운 일단의 직경이 가장 작고, 덕트의 직경은 진입구(321)의 일단에서부터 피드홈(442)의 일단을 향해 점차 등차로 커진다. 이 경우, 기체가 피드홈(442)에서부터 진입구(321)에 유입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손실을 감소함으로써, 불규칙적인 유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피해 기류의 에너지를 고효율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액체 저장 용기(50)를 더 포함한다. 액체 저장 용기(50)는 세탁액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수용공간(11)의 내부를 향해 세탁액을 주입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세탁액은 가루 세제, 액체 세제 등과같은 세탁 물질이 혼합된 용액일 수 있다. 클리닝하는 과정에서, 수용공간(11)은 부압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세탁 용기(10)의 밀폐 성능에 대해 일정한 요구를 제기한다. 수도꼭지의 모델 사이즈는 종류가 비교적 다양하여, 세탁 용기(10)의 물 주입 통로(미도시)는 다양한 모델의 수도꼭지를 동시에 받아들이는 동시에, 밀폐 성능도 함께 고려하기가 어렵다. 액체 저장 용기(50)의 물 방출 통로(51)와 세탁 용기(10)의 물 주입 통로는 사이즈가 상호 매칭되고, 물 방출 통로(51)와 물 주입 통로는 모두 밀폐 처리를 이용해 수용공간(11)이 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액체 저장 용기(50)와 세탁 용기(10)는 분리되도록 연결되고, 클리닝을 진행하지 않는 상황에서 액체 저장 용기(50)와 세탁 용기(10)를 별도로 보관 또는 운송하여, 액체 저장 용기(50)와 세탁 용기(10)를 보관하고 이동시키는 데 편리하다. 수용공간(11)에 세탁액을 주입해야 하는 상황에서, 세탁 용기(10)가 이동하는 데 불편할 경우, 먼저 액체 저장 용기(50)를 분리시켜 액체 저장 용기(50)에 세탁액을 주입하고, 다시, 액체 저장 용기(50)와 세탁 용기(10)를 연결시켜 액체 저장 용기(50)를 통해 수용공간(11)에 세탁액을 주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 용기(10)가 수도꼭지 등과 같은 물 공급원에서 떨어져있는 상황에서 수용공간(11)에 세탁액을 주입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 장치(100)가 임의의 위치에서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액체 저장 용기(50)와 세탁 용기(10)는 고정해 연결되고, 액체 저장 용기(50)에 세탁액 주입을 완성한 후, 액체 저장 용기(50)의 액체 입구를 밀폐하고, 액체 저장 용기(50)와 세탁 용기(10) 사이의 물 주입 통로와 물 방출 통로(51)를 개방함으로써, 세탁액이 액체 저장 용기(50)에서부터 세탁 용기(10)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액체 저장 용기(50)와 세탁 용기(10)의 밀폐성을 보장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유체는 액체를 포함하고, 액체는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를 경유해 펄세이터(20)에 진입하여 펄세이터(20)를 구동해 회전시키고,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는 수용공간(11)의 액체를 추출해 수용공간(11)이 부압을 형성하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유체 추출 어셈블리(40)가 수용공간(11) 내부에서부터 추출한 액체는 액체 저장 용기(50)의 내부에 저장되고, 액체 저장 용기(50) 내부의 액체는 유체 진입 어셈블리(30)를 경유해 수용공간(11)의 내부에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리닝액을 순환 이용할 수 있고, 클리닝액 중의 세탁 물질은 다시 수용공간(11)으로 리턴해 클리닝할 물체를 클리닝하여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세탁 용기(10)는 클리닝 장치(100)의 내부 드럼이고, 액체 저장 용기는 클리닝 장치(100)의 외부 드럼이고, 내부 드럼은 외부 드럼 내부에 수용된다. 내부 드럼이 외부 드럼을 씌우는 구조가 간단해 밀폐 성능이 우수하고 공간 이용율이 높다. 유체 추출 어셈블리(40)는 제1 통로(45)와 제2 통로(46)를 포함한다. 제1 통로(45)는 외부 대기와 연통되고, 제2 통로(46)는 외부 드럼과 연통된다. 클리닝을 진행하기 전에, 유체 추출 어셈블리(40)가 제1 통로(45)를 개방하고 제2 통로(46)를 잠그어 내부 드럼 내부의 기체를 추출해 이탈시켜 내부 드럼이 부압 상태에 놓여지도록 한다. 클리닝을 진행할 경우, 외부 드럼의 액체가 부압의 작용하에 내부 드럼에 진입하고, 유체 추출 어셈블리(40)가 제2 통로(46)를 개방하고 제1 통로(45)를 잠그어, 내부 드럼 내부의 액체를 외부 드럼으로 추출해 리턴시켜 내부 드럼이 외부 드럼에 상대되게 줄곧 부압차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드럼의 액체가 지속적으로 내부 드럼에 진입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배수유닛(60)을 더 포함한다. 배수유닛(60)은 수용공간(11)과 외부를 연통시켜 수용공간(11) 내부의 액체를 배출시키는 데 사용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100)는 가열유닛(70)을 더 포함하고, 가열유닛(70)은 세탁 용기(10)에 대한 가열을 진행하는 데 사용된다. 가열된 세탁 용기(10)는 세탁 용기(10) 내부 액체의 온도를 올려 때가 더 쉽고 더 신속하게 액체에 용해되도록 함으로써, 클리닝 장치(100)의 클리닝 능력과 클리닝 효율을 향상한다.
여기에서, 가열유닛(70)은 저항선(resistance wire)일 수 있고, 세탁 용기(10)는 금속 재질일 수 있어 세탁 용기(10)가 신속하게 열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가열유닛(70)은 세탁 용기(10)의 바닥부에 위치하여 전기를 연결하는 데 편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열유닛(70)은 유체 진입 어셈블리(30) 내부의 유체를 가열해 일정한 온도를 구비한 유체가 유체 진입 어셈블리(30)에서부터 세탁 용기(10)의 내부에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때가 더 쉽고 더 신속하게 액체에 용해되도록 하여 클리닝 장치(100)의 클리닝 능력과 클리닝 효율을 향상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시피,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진입 어셈블리(30)에 가까운 일측에서부터 유체 추출 어셈블리(40)에 가까운 일측까지, 세탁 용기(10)의 내경은 점차 증가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예를 들어 도시한 실시예에서 세탁 용기(10)의 내경은 아래에서부터 위로 점차 커진다. 유체 추출 어셈블리(40)에 가까운 세탁 용기(10)의 일측은 내경이 크고 유체 진입 어셈블리(30)에 가까운 일측은 내경이 작고, 즉, 유체가 세탁 용기(10)를 이탈하는 출구의 구경이 유체가 세탁 용기(10)에 진입하는 입구의 구경보다 크다. 이 경우, 세탁 용기(10) 내부 유체의 유속을 증가시켜, 유체가 세탁 용기(10)에 진입하는 효율 및 유체가 세탁 용기(10)에서부터 추출되어 이탈되는 효율을 포함한 세탁 용기(10) 내부의 유체 유동 효율 향상시킬 수 있어 클리닝 효율이 향상된다.
총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펄세이터(20)는 유체가 유동하는 추진력의 작용하에 회전되어 세탁 용기(10) 내부의 세탁 액체를 휘저어 급류를 형성하고, 및, 세탁 용기(10) 내부에 진입한 유체가 세탁 액체에 충격을 가해 기포를 발생시키고, 급류와 기포를 통해 때를 벗겨내므로, 클리닝 효과가 강하다. 종래기술에서 모터가 펄세이터(20)를 구동해 회전시키는 기술수단에 비해, 클리닝할 물체와 접촉할 때 발생된 마찰력이 더 작아 클리닝할 물체에 대한 손상을 피한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서, 참조 용어인 “일부 실시예”, “하나의 실례에서”, “예시적으로” 등의 기재는 상기 실시예 또는 실례를 결합해 기재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소재 또는 특점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사례에 포함되는 구성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인 설명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실례를 가리킨다고 볼 수 없다. 또한, 기재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소재 또는 특점은 어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실시예 또는 실례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로 모순되지 않는 상황에서,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이한 실시예 또는 실례 및 상이한 실시예 또는 실례의 특징을 결합하고 조합할 수 있다.
흐름도 또는 여기의 다른 방식으로 기재한 모든 프로세스 또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특정된 논리 기능 또는 프로세스의 단계를 실현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또는 더 많은 실행성 명령의 코드를 포함한 모듈, 세그먼트 또는, 부분을 표시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범위는 별도의 실현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도시하거나 논의된 순서에 따르지 않을 수 있고, 관련된 기능을 포함시켜 기본적으로 동시에 이루는 방식 또는 상반되는 순서에 따라 기능을 실행할 수 있고, 이 점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내용이 본 출원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기재하였지만,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할 수 없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한 변경, 수정, 치환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다.
100: 클리닝 장치
10: 세탁 용기
11: 수용공간
12: 제1 단
13: 제2 단
14: 센터라인(center line)
15: 꼭대기벽
16: 바닥벽
17: 측벽
18: 중심 축선
20: 펄세이터(pulsator)
21: 유로
211: 출구
221: 원주면
222: 상표면(上表面)
214: 제1서브 유로
215: 제2 서브 유로
211: 출구
22: 베이스 플레이트
228: 제1 플레이트바디
229: 제2 플레이트바디
221: 입구
225: 제1 면
226: 제2 면
227: 측면
23: 블레이드
231: 측면
233: 연결면
25: 가이드부재
27: 밸브
30: 유체 진입 어셈블리
32: 진입 통로
321: 진입구
40: 유체 추출 어셈블리
42: 추출유닛
43: 동력유닛
44: 추출 통로
442: 피드홈
50: 액체 저장 용기
51: 물 방출 통로
60: 배수유닛
70: 가열유닛

Claims (10)

  1. 펄세이터(pulsator)에 있어서,
    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는 외부 유체가 내부로 진입하는 데 사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에는 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출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진입한 유체가 흘러나가도록 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의 유체가 상기 입구부터 상기 출구까지의 방향을 따라 흡인력을 받는 상황에서, 상기 블레이드에서부터 흘러나온 유체가 상기 펄세이터를 움직여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다수 개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입구의 중심을 에워싸고 균일하게 분포되고;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에는 모두 하나의 상기 출구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출구의 중심이 상기 입구의 중심에서 떨어져있는 거리는 동일하며; 또는,
    상기 블레이드는 다수 개를 포함하고, 다수 개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입구의 중심을 에워싸고 균일하게 분포되고;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에는 모두 다수 개의 상기 출구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출구는 모두 다른 어느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출구와 함께 상기 입구의 중심을 원형으로 하는 동일한 원주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제1 면, 제2 면 및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서로 등지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측면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고, 상기 입구는 상기 제1 면에 개설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2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다수 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가이드부재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는 하나의 상기 블레이드에 대응되고, 각각의 상기 가이드부재 및 대응되는 상기 블레이드는 둘러싸서 하나의 유로를 구성하고, 각각의 상기 유로는 일단이 상기 입구와 연통되고 다른 일단에 상기 출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유로는 상호 격리된 제1 서브 유로와 제2 서브 유로로 분리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서로 등진 2개의 측면은 모두 상기 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와 대응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제1 서브 유로와 상기 입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그 중 하나의 측면의 상기 출구에서부터 흘러나온 유체가 상기 펄세이터를 움직여 정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및 상기 제2 서브 유로와 상기 입구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다른 하나의 측면의 상기 출구에서부터 흘러나온 유체가 상기 펄세이터를 움직여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호 결합된 제1 플레이트바디와 제2 플레이트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는 상기 제1 플레이트바디를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 플레이트바디에 가까운 상기 제1 플레이트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입구를 에워싸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2 플레이트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바디에서 멀리 떨어진 상기 제2 플레이트바디의 일측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터.
  7.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설치된 세탁 용기; 및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펄세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펄세이터를 통해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유체 진입 어셈블리; 및
    상기 세탁 용기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유체를 추출하는 데 사용되고, 외부 유체가 상기 유체 진입 어셈블리를 거쳐 상기 펄세이터에 진입해 상기 펄세이터를 구동하여 회전시키도록 하는 유체 추출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용기는 서로 등진 제1 단과 제2 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진입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추출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진입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단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 추출 어셈블리가 상기 제2 단에 설치된 위치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추출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에 설치된 추출유닛;
    상기 수용공간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추출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추출유닛에 동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하는 동력유닛; 및
    상기 세탁 용기의 제2 단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추출유닛과 상기 수용공간을 연통시키는 데 사용하는 추출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장치.
KR1020220189982A 2022-03-10 2022-12-29 펄세이터 및 클리닝 장치 KR202301331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237822.6A CN114657737B (zh) 2022-03-10 2022-03-10 清洁设备
CN202210237822.6 2022-03-10
CN202220538558.5U CN217678183U (zh) 2022-03-10 2022-03-10 清洁设备
CN202210240136.4A CN114635254B (zh) 2022-03-10 2022-03-10 波轮及清洁设备
CN202220537717.XU CN217678182U (zh) 2022-03-10 2022-03-10 波轮及清洁设备
CN202220537717.X 2022-03-10
CN202210240136.4 2022-03-10
CN202220538558.5 2022-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183A true KR20230133183A (ko) 2023-09-19

Family

ID=8806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9982A KR20230133183A (ko) 2022-03-10 2022-12-29 펄세이터 및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87358B2 (ko)
KR (1) KR20230133183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87358B2 (ja) 2024-05-20
JP2023133131A (ja)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2676C (zh) 滚筒式洗衣机及使用该滚筒式洗衣机的洗衣方法
KR20120071528A (ko) 세탁기
JP2008113982A5 (ko)
TWI403626B (zh) washing machine
KR20180108999A (ko) 세탁기
KR20120040793A (ko) 세탁기
KR102350317B1 (ko) 세탁기
JP201305212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6706135B2 (ja) 洗濯機
JP5919488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4045932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30133183A (ko) 펄세이터 및 클리닝 장치
JPH10235064A (ja) 乱流発生装置を備えた洗濯機
CN110453453B (zh) 投放组件、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KR20080084386A (ko) 드럼세탁기
TWI676722B (zh) 洗衣機
JP5555616B2 (ja) 洗濯機
JP5560911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00027871A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수 분사장치
KR20050098521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3291433B2 (ja) 洗濯機
KR102460245B1 (ko) 세탁기
JP2016168278A (ja) 洗濯機
WO2020048530A1 (zh) 一种喷淋洗衣机
KR101453277B1 (ko) 부레장치를 갖는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