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986A - fish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 Google Patents

fish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986A
KR20230132986A KR1020220029942A KR20220029942A KR20230132986A KR 20230132986 A KR20230132986 A KR 20230132986A KR 1020220029942 A KR1020220029942 A KR 1020220029942A KR 20220029942 A KR20220029942 A KR 20220029942A KR 20230132986 A KR20230132986 A KR 20230132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escape
main body
fish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형기
Original Assignee
장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기 filed Critical 장형기
Priority to KR102022002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986A/en
Publication of KR20230132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98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상조업시에는 치어들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어자원을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중에서 유실되었을 때는 치어들뿐만 아니라 성체 어류까지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유실된 어구에 의해 발생되는 유령어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and more specifically, to protect fish resources by allowing fry to escape to the outside during normal fishing, and at the same time, when lost in the water, not only the fry but also the fry. This relates to a fishing trap that allows adult fish to escape and effectively prevents ghost fishing caused by lost fishing gear.

Description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fish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Fishing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fish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본 발명은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발이 수중에서 유실되었을 때는 치어들뿐만 아니라 성체 어류까지 통발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유실된 어구에 의해 발생되는 유령어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어로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trap is lost underwater, not only fry but also adult fish can escape from the trap, preventing ghost fishing caused by lost fishing gear. This is about a fishing trap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일반적으로 통발은 근해에서 낙지, 문어, 게, 장어 등의 어류를 잡기 위해 사용하는 어구이다. In general, traps are fishing gear used to catch fish such as octopus, octopus, crab, and eel in coastal water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통발은 골격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의 틀(20)과, 틀(20)을 둘러싸는 그물(3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 1, the fish trap typically consists of a frame 20 made of metal forming a skeleton, and a net 30 surrounding the frame 20.

틀(20)은 원형의 상부링(21)과, 원형의 하부링(23),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바(2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링(21)과 하부링(23)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링(21)과 하부링(23)의 내측에는 간주(27)가 각각 설치된다. The frame 20 consists of a circular upper ring 21, a circular lower ring 23, and support bars 25 connecting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to each other. And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a center ring 27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respectively.

그물(30)의 상부에는 포획된 어류를 꺼낼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배출구(37)가 형성된다. 배출구(37)의 주위에 노끈(38)이 설치되어 노끈(38)을 조였다 풀었다 하여 배출구(37)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노끈(38)의 일측에는 고리(39)가 연결된다.An outlet 37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net 30 so that the captured fish can be taken out. A string 38 is installed around the outlet 37 and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outlet 37 to be opened and closed by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twine 38. A ring 39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wine 38.

그리고 통발의 측면에는 통발의 내부로 어류가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유도부(15)가 다수 마련된다. 진입유도부(15)는 그물망 또는 플라스틱 성형제품으로 형성되며 통발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된다. 진입유도부(15)는 외부에서 내부로 진행할수록 통로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어류가 다시 진입유도부(15)를 통해 외부로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이다.And on the side of the trap, a number of entry induction parts 15 are provided to allow fish to enter the inside of the trap. The entry induction part 15 is formed of a net or plastic molded product, and a number of it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of the trap. The entry guide part 15 is formed so that the passage narrows as it progress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is structured to prevent fish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entry guide part 15 again.

통발의 내부로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넣은 후, 통발을 바다 속에 침강시키게 되면, 통발은 바다의 바닥면에 저면이 안착된 상태에서 각종 어류 등을 유인하게 되는데, 미끼에 의해 유인된 어류는 진입유도부를 통해 통발 내부에 들어가게 되면서 통발에 갇히게 된다.After putting bait to attract fish into the inside of the trap, when the trap is sunk into the sea, the trap settles on the bottom of the sea and attracts various fish, etc. The fish attracted by the bait are As they enter the inside of the trap through the entry guide, they become trapped in the trap.

통발조업은 통발을 장시간 바다에 투입하였다가 끌어올리기 때문에 모릿줄이나 아릿줄로부터 통발이 떨어져 나와 수중에서 유실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Fish trap fishing involves placing traps in the sea for a long time and then pulling them up, so situations often occur where the traps fall off from the fishing line or fishing line and are lost underwater.

바다 속에 버려진 통발 내부로 들어온 해양생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발에 갇혀 죽게 된다. 또한, 통발 내부에 죽은 해양생물의 사체를 먹기 위해 또 다른 해양생물들이 통발 내부로 들어오면서 해양생물들이 통발에 갇혀 죽는 유령어업이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이러한 유령어업은 수산자원을 손실시킬 뿐만 아니라 유실된 통발이 해저 바닥에 쌓여서 해양생물의 산란장과 서식장을 오염시키게 된다.Marine life that enters the inside of a trap abandoned in the sea becomes trapped in the trap and dies over time. In addition, ghost fishing, in which marine life becomes trapped in the trap and dies, is continuously repeated as other marine life enters the trap to eat the dead marine life inside the trap. This type of ghost fishing not only causes loss of fishery resources, but also causes the lost fish traps to pile up on the sea floor, contaminating the spawning grounds and habitats of marine lif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생분해성 소재의 그물로 제작된 통발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5812호에는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조성물을 이용한 어로작업용 어구가 개시되어 있다. To solve these problems, traps made of nets made of biodegradable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415812 discloses fishing gear using a biodegradable aliph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이러한 어구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수중에서 자연분해되어 유령어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Such fishing gear naturally decomposes underwate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ch is effective in preventing ghost fishing, but i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생분해성 수지로 만들어진 그물은 내구성, 취성, 인장력 등 물리적 특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First, nets made of biodegradable resin have the problem of low physical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brittleness, and tensile strength.

둘째, 생분해성 수지는 비용이 고가이므로 통발 전체를 둘러싸는 그물의 소재를 생분해성 수지로 제작할 경우 통발의 비용이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Second, biodegradable resin is expensive, so if the material of the net surrounding the entire trap is made of biodegradable res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the trap increases significantly.

셋째, 통상적인 통발의 사용연한은 주로 2년인데, 생분해성 수지의 분해시간을 짧게하면 그만큼 통발로서의 기능을 일찍 상실하므로 통발의 그물을 자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통발로서의 기능을 보다 더 오래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생분해성 수지의 분해시간을 길게 하면 통발의 유실시 그 기간 동안 유령어업이 지속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Third, the lifespan of a typical fish trap is usually 2 years, but if the decomposition time of the biodegradable resin is shortened, the function as a trap is lost earlier, resulting in the problem of having to frequently replace the trap net. In addition, if the decomposition time of the biodegradable resin is prolonged in order to maintain the function as a fish trap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 problem arises in which ghost fishing continues during that period when the fish trap is lost.

이와 같이 생분해성 수지 소재의 그물을 이용하여 통발을 제작할 경우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된다.In this way, many problems arise when making fish traps using nets made of biodegradable resin materials.

한편, 통발은 어구의 특성상 내부로 들어는 것은 쉽고 외부로 나오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치어나 크기가 작은 어린 개체들까지 포획되어 수산자원을 고갈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nature of fishing gear, traps are easy to get inside and difficult to get out,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even fry and small juveniles are captured, depleting fisheries resourc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산자원관리법상 보호 대상인 어린 개체들을 보호하기 위해 최근에는 통발에는 어린 개체만 선택적으로 빠져 나갈 수 있는 탈출구가 형성된 통발이 알려져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protect young individuals subject to protection under the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Act, traps with an escape hatch through which only young individuals can selectively escape have recently been known.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4532호에는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가 개시되어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34532 discloses a fishing trap with an escape hatch attach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통발어구는 측면에 어린 개체가 빠져나갈 수 있는 탈출구(500)를 설치함으로써 정상조업 중에는 어린 개체를 보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통발어구 역시 수중에서 유실될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즉, 어린 개체는 탈출구를 통해 외부로 탈출할 수 있지만 성체의 경우 조그만 탈출구를 통해 탈출할 수 없기 때문에 통발 내부에 갇혀 죽는 유령어업의 문제는 여전히 발생된다. As shown in Figure 2, the fish trap described above can protect young individuals during normal fishing by providing an escape hatch 500 on the side through which young individuals can escape. However, these fishing traps also become a problem if they are lost underwater. In other words, young individuals can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an escape hatch, but adults cannot escape through a small escape hatch, so the problem of ghost fishing, where they are trapped inside the trap and die, still occurs.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5812호: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어로작업용 어구 및 그의 제조방법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415812: Biodegradable aliphatic polyester-based resin composition, fishing gear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4532호: 탈출구가 부착된 통발 어구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34532: Fish trap with escape hatch attach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정상조업시에는 치어들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어자원을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중에서 유실되었을 때는 치어들뿐만 아니라 성체 어류까지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유실된 어구에 의해 발생되는 유령어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어로용 통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protects fish resources by allowing fry to escape to the outside during normal fishing, and at the same time allows not only fry but also adult fish to escape when lost in the water. The purpose is to provide fishing traps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ghost fishing caused by lost fishing gea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은 골격을 형성하는 틀과, 상기 틀을 둘러싸는 그물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어류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진입유도부와; 상기 진입유도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입한 어류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그물에 형성되어 성체 어류까지 탈출이 가능한 성체탈출구와; 상기 성체탈출구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바리케이드와; 상기 바리케이드를 상기 성체탈출구 주위의 그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로프와; 상기 본체의 유실시에 어류가 상기 성체탈출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바리케이드를 움직여 상기 성체탈출구를 개방시키는 유령어업방지수단;을 구비한다. The fishing pot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frame forming a skeleton and a net surrounding the frame; an entry guid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allow fish to enter the main body; an adult escape port formed in the net so that fish that have entered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entry guide portion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which even adult fish can escape; A barricade installed to block the Eucharistic exit; a coupling rope for coupling the barricade to the net around the adult escape hatch; and ghost fishing prevention means for opening the adult escape port by moving the barricade so that fish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adult escape port when the main body is lost.

정상조업시에는 크기가 작은 어류만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바리케이드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미니탈출구가 형성된다.During normal operation, one or more mini-escape outlets are formed in the barricade so that only small-sized fish can escape out of the main body.

상기 바리케이드는 차단플레이트와,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로프와 결합되는 사이드리브를 구비한다.The barricade has a blocking plate and side ribs formed on the edge of the blocking plate and coupled to the coupling rope.

상기 유령어업방지수단은 상기 결합로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결합로프의 지지력을 상실하는 클립을 구비한다. The ghost fishing prevention means is installed to support the coupling rope and includes a clip that loses the support of the coupling rop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상기 클립은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결합로프의 지지력을 상실하도록 자연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The clip is made of a biodegradable material so that it loses its supporting force of the coupling rop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상기 클립은 원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설치된 고정줄 또는 상기 결합로프가 삽입되는 센터홀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센터홀까지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구비한다.The clip is formed on the base plate to connect a disk-shaped base plate, a center hole formed on the base plate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line or the coupling rope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to the center hole. Provided with a guide slot.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센터홀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The guide slot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narrower in width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toward the center ho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성체탈출구를 바리케이드로 막고, 바리케이드와 연결된 결합로프를 클립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클립이 일정시간 경과되면 자연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통발이 가지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all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fish traps by blocking the adult escape hatch with a barricade, supporting the coupling rope connected to the barricade with a clip, and allowing the clip to naturally decompos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본 발명은 통발이 수중에서 유실되더라도 일정 기간 경과 후에 자연분해되는 클립에 의해 성체탈출구를 막는 바리케이드가 제거되어 성체가 탈출할 수 있는 성체탈출구가 확보되므로 버려진 어구에 의해 발생되는 유령어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ish trap is lost underwater, the barricade blocking the adult escape is removed by a clip that naturally decompose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by securing an adult escape through which the adult can escape, thus preventing ghost fishing caused by abandoned fishing gear. can do.

또한, 본 발명은 정상조업시에는 바리케이드에 형성된 미니탈출구를 통해 치어들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어자원을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fish resources by allowing fry to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a mini escape formed in the barricade during normal fishing operations.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통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따른 통발의 모습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통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적용된 일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적용된 다른 요부를 발췌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통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통발에 적용되는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통발의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 trap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view of a trap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 trap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cerpt of a main part applied to Figure 3;
Figure 6 is a front view of another main part applied to Figure 3,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 trap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ip applied to a fish trap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0,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sh trap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shing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은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로 어류가 진입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설치되는 진입유도부(15)와, 진입유도부(15)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진입한 어류가 본체(10)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그물(30)에 형성되어 성체 어류까지 탈출이 가능한 성체탈출구(35)와, 성체탈출구(35)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바리케이드(40)와, 바리케이드(40)를 성체탈출구(35) 주위의 그물(3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로프(50)와, 본체(10)의 유실시에 어류가 성체탈출구(35)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성체탈출구(35)로부터 바리케이드(40)를 제거하는 유령어업방지수단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ures 3 to 8, the fishing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n entry induction part 15 installed on the main body 10 to allow fish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and an entry An adult escape port 35 formed in the net 30 so that fish that have entere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guide portion 15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llowing even adult fish to escape, and an adult escape port. A barricade (40) installed to block (35), a coupling rope (50) for coupling the barricade (40) to the net (30) around the adult escape hatch (35), and fish in case the main body (10) is lost. It is provided with a ghost fishing prevention means to remove the barricade 40 from the adult escape port 35 so that the adult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adult escape port 35.

본체(10)는 틀(20)과, 틀(20)을 둘러싸는 그물(20)을 구비한다. The main body 10 includes a frame 20 and a net 20 surrounding the frame 20.

틀(20)은 본체(1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외에도 틀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기둥형, 스프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rame 20 forms the skeleton of the main body 10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illustrated example. In addition, of course, the frame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 rectangular, cylindrical, or spring-shaped.

틀(20)은 강성이 높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틀(20)은 원형의 상부링(21)과, 원형의 하부링(23),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바(2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부링(21)과 하부링(23)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링(21)과 하부링(23)의 내측에는 간주(27)가 각각 설치된다. The frame 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high rigidity. The frame 20 includes a circular upper ring 21, a circular lower ring 23, and support bars 25 connecting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to each other. And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a center ring 27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respectively.

틀(20)의 바깥에는 그물(30)이 씌워진다. 그물(30)은 틀(20)의 상부와 하부 그리고 측면을 둘러싼다. 그물(30)은 통상적인 나일론 소재의 실을 엮어서 만들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소재의 실을 엮어서 만든 그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물(30)은 틀(20)을 둘러싸 본체(10)의 내부에 낙지, 문어, 게, 장어 등의 어류가 포획되는 포획공간을 형성한다.A net 30 is covered outside the frame 20. The net 30 surrounds the top, bottom, and sides of the frame 20. The net 30 can be made by weaving threads of common nylon material. Additionally, a net made by weaving threads of biodegradable materials can be used. The net 30 surrounds the frame 20 and forms a trapping space inside the main body 10 where fish such as octopuses, octopuses, crabs, and eels are captured.

그물(30)은 고정용 로프(31)를 이용하여 틀(20)에 고정시킨다. 즉, 고정용 로프(31)를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인접하는 그물(30)의 코에 꿰면서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나선형으로 권취시켜 그물(30)을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고정시킨다. The net 30 is fixed to the frame 20 using a fixing rope 31. That is, the fixing rope 31 is threaded through the nose of the net 30 adjacent to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and wound spirally around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to form a net ( 30) is fixed to the upper ring (21) and lower ring (23).

그물(30)의 상부에는 포획된 어류를 꺼낼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배출구(37)가 형성된다. 배출구(37)의 주위에 노끈(38)이 설치되어 노끈(38)을 조였다 풀었다 하여 배출구(37)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노끈(38)의 일측에는 고리(39)가 연결된다. An outlet 37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net 30 so that the captured fish can be taken out. A string 38 is installed around the outlet 37 and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outlet 37 to be opened and closed by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twine 38. A ring 39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wine 38.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구실명제가 도입되면 어구의 정보가 기재된 인식표나 태그가 그물(30)에 부착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f the real-name fishing gear system is introduced, an identification tag or tag containing fishing gear information may be attached to the net 30.

진입유도부(15)는 본체(10)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진입유도부(15)는 본체(10)의 측면에 120도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된다. 진입유도부(15)는 그물로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한 플라스틱 제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e or more entry guide units 15 ar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In the example shown, three entry guide units 15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at intervals of 120 degrees. The entry guide portion 15 may be made of a net or a plastic product made by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상술한 본체(10)와 진입유도부(15)는 통상적인 구조이다. The main body 10 and the entry guide 15 described above have a typical structure.

성체탈출구(35)는 본체(10)에 형성된다. 가령, 본체(10)의 측면 또는 상부 또는 하부에 성체탈출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The adult escape port 35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the adult escape port 35 may be formed on the side, top, or bottom of the main body 10.

도시된 예에서 성체탈출구(35)는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성체탈출구(35)는 진입유도부들(15)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성체탈출구(35)는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2개 이상의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성체탈출구(35)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원형, 타원형, 막대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성체탈출구(35)는 본체(10)의 측면 중앙에 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앙에서 벗어나 상부에 치우치게 위치하거나 하부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ody escape port 35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the assemblage exit 35 is placed between the entry guides 15.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e adult exit 35 is formed, but of course, two or more can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addition, the adult exit 35 is formed in a square shape, but of course it can also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val shape, rod shape, etc. In addition, the adult escape port 35 may not onl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but may also be located away from the center and biased toward the upper or lower portion.

그물(30)의 일정 부위를 오려내어 성체탈출구(35)를 형성시킬 수 있다. 성체탈출구(35)는 대상어류의 성체까지 빠져나갈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한다. 가령, 성체탈출구(35)는 가로 5 내지 20cm, 세로 2 내지 10c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dult escape port 35 can be formed by cutting out a certain portion of the net 30. The adult escape port 35 is formed of a size sufficient to allow the adult fish to escape. For example, the adult escape port 35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f 5 to 20 cm in width and 2 to 10 cm in height.

진입유도부(15)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진입한 어류는 성체탈출구(35)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이때 치어나 어린 개체와 같이 크기가 작은 어류뿐만 아니라 성체 어류까지 성체탈출구(35)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다. Fish that have entere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entry guide 15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adult escape port 35. At this time, not only small fish such as fry or juveniles but also adult fish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adult escape port 35.

이와 같이 성체탈출구(35)를 통해 성체 어류까지 본체(10) 외부로 탈출할 수 있으므로 정상조업시에는 성체탈출구(35)를 통해 어류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바리케이드가 필요하다. In this way, since adult fish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adult escape port 35, it is necessary to prevent fish from escaping through the adult escape port 35 during normal fishing operation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quires a barricade.

바리케이드(40)는 성체탈출구(35)를 가로막도록 설치된다. 바리케이드(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또는 나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rricade (40) is installed to block the Eucharistic exit (35). The barricade 40 may be made of metal, synthetic resin, or wood.

바라케이드(40)는 판상의 차단플레이트(41)와, 차단플레이트(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사이드리브(45,47)를 구비할 수 있다. The barricade 40 may be provided with a plate-shaped blocking plate 41 and side ribs 45 and 47 formed at the edges of the blocking plate 41.

그리고 차단플레이트(41)에는 미니탈출구(43)가 형성될 수 있다. 미니탈출구(43)는 치어나 어린 개체와 같이 크기가 작은 어류만 탈출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러한 미니탈출구(43)가 형성된 차단플레이트(41)는 정상조업시에 크기가 작은 어류만이 본체(10)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성체탈출구(35)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상조업시란 통발이 유실되지 않아 통발을 이용하여 대상어류를 포획하는 조업활동이 정상적으로 가능한 상황을 의미한다. And a mini escape port 43 may be formed in the blocking plate 41. The mini escape hatch 43 is sized so that only small fish such as fry or juveniles can escape. The blocking plate 41 on which the mini escape port 43 is formed serves to reduce the size of the adult escape port 35 so that only small-sized fish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during normal operation. Here, normal fishing refers to a situation in which fishing traps are not lost and fishing activities to capture target fish using traps are possible normally.

미니탈출구(43)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미니탈출구(43)는 치어나 어린 개체와 같이 크기가 작은 어류가 빠져나가는 탈출통로로 활용된다. 따라서 미니탈출구(43)는 성체탈출구(35)의 크기보다 작다. 일 예로 미니탈출구(43)는 가로 2 내지 10cm, 세로 1 내지 5c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대상어류의 종류에 따라 미니탈출구의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대상어류의 종류에 따라 미니탈출구의 모양은 사각형 외에도 원형이나 타원형 등으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One or more mini-escape outlets 43 may be formed. The mini escape port 43 is used as an escape passage for small fish such as fry or juveniles. Therefore, the mini escape port (43)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dult escape port (35). As an example, the mini escape 43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f 2 to 10 cm in width and 1 to 5 cm in height. Depending on the type of target fish, the size of the mini escape can be changed appropriately.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type of target fish, the shape of the mini escape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to a circular or oval shape in addition to a square shape.

차단플레이트(41)는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굽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10)의 측면에 위치한 그물(30)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blocking plate 41 is preferably formed to be curved around the central portion. This is to facilitate close contact with the net 30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사이드리브(45,47)는 차단플레이트(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사이드리브(45,47)는 차단플레이트(41)의 상부와 하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다. 사이드리브(45,47)는 차단플레이트(41)의 양단부에서 중앙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다. 사이드리브(45,47) 역시 중앙 부위를 기준으로 약간 굽어지게 형성된다. Side ribs 45 and 47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blocking plate 41. In the illustrated example, side ribs 45 and 47 ar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blocking plate 41, respectively. The side ribs 45 and 47 are formed to gradually become wider as they proceed from both ends of the blocking plate 41 toward the center. The side ribs 45 and 47 are also formed to be slightly curved relative to the central portion.

2개의 사이드리브를 설명의 편의상 상부사이드리브(45)와 하부사이드리브(47)로 구분할 수 있다. 상부사이드리브(45)는 차단플레이트(41)의 상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하부사이드리브(47)는 차단플레이트(41)의 하부측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wo side ribs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side rib (45) and a lower side rib (47). The upper side rib 45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blocking plate 41, and the lower side rib 47 is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blocking plate 41.

상부사이드리브(45)의 중앙에는 결합로프(50)와 결속을 위한 결속홀(46)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사이드리브(47)에는 결합로프(50)가 통과하는 로프삽입홀(48)이 다수 형성된다. A binding hole 46 for binding the coupling rope 5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rib 45. And the lower side rib 47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ope insertion holes 48 through which the coupling rope 50 passes.

결합로프(50)는 성체탈출구(35)의 좌우측과 상하부측 가장자리의 주위를 따라 그물코에 꿰어 그물(30)에 결합된다. 이때 성체탈출구(35)의 하부측 가장자리에서는 결합로프(50)가 하부사이드리브(47)의 안과 바깥으로 교대로 이동되면서 그물코에 함께 꿰인다. 따라서 바리케이드(40)의 하부만이 그물(3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결합로프(50)의 양끝은 매듭(51)을 지어서 바리케이드(40)의 하부가 그물(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The coupling rope 50 is coupled to the net 30 by threading it around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adult escape port 35. At this time, at the lower edge of the adult escape port 35, the coupling rope 50 is alternately moved in and out of the lower side rib 47 and is threaded together into the mesh. Therefore, only the lower part of the barricade 40 is supported by being coupled to the net 30. Both ends of the coupling rope 50 are knotted 51 to prevent the lower part of the barricade 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net 40.

이와 같이 결합로프(50)를 성체탈출구(35)의 가장자리 주위의 그물코에 꿴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결합로프(50)를 상부가이드리브(45)의 내측에서 바깥 방향으로 결속홀(46)을 통과시킨 후 상방으로 잡아 당겨 고정줄(60)에 걸어 클립(65)에 지지시키면 도 3과 같이 바리케이드(40)가 성체탈출구(35)를 가로막는다. In this way, with the coupling rope 50 tied to the mesh around the edge of the adult escape port 35, the coupling rope 50 is connected to the binding hole 46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guide rib 45 as shown in FIG. After passing it, it is pulled upward and hung on the fixing line 60 and supported on the clip 65, and the barricade 40 blocks the adult escape exit 35 as shown in FIG. 3.

이와 같이 성체탈출구(35)를 가로막고 있는 바리케이드(40)는 유령어업방지수단에 의해 제거된다. 이는 통발이 유실되었을 경우 성체 어류까지 탈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this way, the barricade 40 blocking the adult exit 35 is removed by means of preventing ghost fishing. This is to ensure that even adult fish can escape if the trap is lost.

본 실시 예에서는 바리케이드(40)가 성체탈출구(35)를 막고 있으므로 유령어업방지수단은 바리케이드(40)를 제거하여 성체탈출구(35)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arricade 40 blocks the adult escape port 35, the purpose of the ghost fishing prevention means is to remove the barricade 40 to open the adult escape port 35.

유령어업방지수단은 결합로프(5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일정시간 경과 후에 결합로프(50)의 지지력을 상실하는 클립(65)을 구비한다. The ghost fishing prevention means is installed to support the combined rope 50 and includes a clip 65 that lose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ombined rope 50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도시된 예에서 클립(65)은 고정줄(60)에 설치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lip 65 is installed on the fixing line 60.

고정줄(65)로 금속 와이어나 합성수지 소재의 가는 줄을 이용할 수 있다. 고정줄(65)은 본체(10)에 고정된다. 가령, 본체(10)의 그물(30)에 고정되거나 틀(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줄(65)은 그물(30)에 고정되어 있다. As the fixing string (65), you can use a thin string made of metal wire or synthetic resin. The fixing line 65 is fixed to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it may be fixed to the net 30 of the main body 10 or to the frame 20.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xing line 65 is fixed to the net 30.

고정줄(60)의 단부에는 걸림턱(61)이 형성된다. 걸림턱(61)은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턱(61)의 직경은 고정줄(6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A locking protrusion 6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ixing line 60. The locking protrusion 61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locking protrusion 6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line 60.

클립(65)은 고정줄(60)에 설치되어 결합로프(50)를 지지한다. 도시된 클립(65)은 원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67)와, 베이스플레이트(67)에 형성되어 고정줄(60)이 삽입되는 센터홀(68)과, 베이스플레이트(67)의 가장자리에서 센터홀(68)까지 연결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67)에 형성된 가이드슬롯(69)을 구비한다. The clip 65 is installed on the fixing line 60 and supports the coupling rope 50. The illustrated clip 65 includes a disk-shaped base plate 67, a center hole 68 formed in the base plate 67 into which the fixing string 60 is inserted, and a center hole at the edge of the base plate 67. It is provided with a guide slot (69) formed in the base plate (67) to be connected to (68).

베이스플레이트(67)는 가는 두께의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가령, 베이스플레이트(67)는 직경 5 내지 20mm, 두께 0.5 내지 3mm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plate 67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hin disk. For example, the base plate 67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5 to 20 mm and a thickness of 0.5 to 3 mm.

센터홀(68)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센터홀(68)은 베이스플레이트(67)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센터홀(68)의 직경은 고정줄(60)의 직경보다 크고, 걸림턱(6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The center hole 68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center hole 68 is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67. The diameter of the center hole 68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line 60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opping protrusion 61.

가이드슬롯(69)은 고정줄(60)이 센터홀(68)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따라서 고정줄(60)은 가이드슬롯(69)을 통해 이동되어 센터홀(68)에 삽입된다. 가이드슬롯(69)은 베이스플레이트(67)의 가장자리에서 센터홀(68)까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The guide slot 69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xing line 60 moves to the center hole 68. Therefore, the fixing line 60 is moved through the guide slot 69 and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68. The guide slot 69 is formed to connect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67 to the center hole 68.

가이드슬롯(69)은 베이스플레이트(67)의 가장자리에서 센터홀(68)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가이드슬롯(69)에서 폭이 제일 좁은 부위는 가이드슬롯(69)과 센터홀(68)이 접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의 폭은 고정줄(6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The guide slot 69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narrower in width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67 toward the center hole 68. The narrowest part of the guide slot (69) is the part where the guide slot (69) and the center hole (68) come into contact. The width of this par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line 60.

고정줄(60)을 가이드슬롯(69)으로 밀어넣으면 가이드슬롯(69)이 강제로 벌어지면서 고정줄(60)이 센터홀(68)에 삽입된다. When the fixing line 60 is pushed into the guide slot 69, the guide slot 69 is forcibly opened and the fixing line 6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68.

상술한 클립(65)은 일정시간 경과 후에 결합로프(50)의 지지력을 상실하도록 자연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이러한 소재의 일 예로 생분해성 수지를 들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clip 65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naturally decompose so that it loses its supporting force of the coupling rope 50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 example of such a material is biodegradable resin.

생분해성 수지로 천연계 생분해성 수지, 미생물계 생분해성 수지, 화학합성계 생분해성 수지 모두 이용 가능하다. As biodegradable resin, natural biodegradable resin, microbial biodegradable resin, and chemically synthesized biodegradable resin can all be used.

생분해성 수지의 예로,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PES: poly ethylene succinate),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BS: poly butylene succinate),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poly butylene-co-adipate-coterephthalate),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EAT: polyethylene-co-adipate-co-terephthalate),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PBST: poly butylene-co-succinate-co-terephthalate),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PEST: poly ethylene-co-succinate-co-terephthalate),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SAT: poly butylene-co-succinate-co-adipate-co-terephthalate),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ESAT: poly ethylene-co-succinate-co-adiapte-co-terephthalate), 폴리락틱산(PLA:poly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CL: poly caprolacto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biodegradable resins include polyethylene succinate (PES),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Polyethylene adipate terephthalate (PEAT: polyethylene-co-adipate-co-terephthalate), polybutylene succinate terephthalate (PBST: poly butylene-co-succinate-co-terephthalate), polyethylene succinate terephthalate (PEST: poly ethylene-co-succinate-co-terephthalate), polybutylene succinate adipate terephthalate (PBSAT: poly butylene-co-succinate-co-adipate-co-terephthalate), polyethylene succinate adipate terephthalate (PESAT: poly Any 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ethylene-co-succinate-co-adiapte-co-terephthalate), polylactic acid (PLA), and poly caprolactone (PCL) can be used.

이러한 생분해성 수지는 수중에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 자연분해가 가능하다. 분해시간은 수지의 종류 및 첨가제의 첨가 등에 의해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These biodegradable resins can be naturally decompos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water. The decomposition time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n and the addition of additives.

클립(65)을 제작하기 위한 생분해성 수지로 10 내지 50일 정도 경과 후에 분해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어종에 따라 통발 내에서 먹이 없이 생존할 수 있는 기간이 다르므로 클립의 자연분해 시점을 50일 이후에서 1년 이내로 설정할 수 있다. It is suitable for biodegradable resin to manufacture the clip 65 that decomposes after about 10 to 50 days. In addition, since the period of time that fish can survive without food in the trap varies depending on the fish species, the natural decomposition time of the clip can be set from 50 days to within 1 year.

클립이 30일 정도 경과 후에 분해되는 생분해성 소지로 제작된 경우, 클립(65)은 30일 경과 후에는 자연분해가 되어 고정줄(60)로부터 이탈되면서 결합로프(50)의 지지력을 상실한다. 따라서 정상조업시에는 클립(65)의 분해기간이 다기오기 전에 클립(65)의 교체가 필요하다. 정상조업시에는 일정 기간마다 클립(65)을 새것으로 교체하여 통발을 사용한다. If the clip is made of biodegradable material that decomposes after about 30 days, the clip 65 decomposes naturally after 30 days, detaches from the fixing rope 60, and lose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oupling rope 50. Therefore, during normal operation, the clip 65 needs to be replaced before the disassembly period of the clip 65 expires. During normal operation, the clip (65) is replaced with a new one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trap is used.

또한, 자연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생분해성 수지 외에도 금속을 예로 들 수 있다. 가령, 철이나 구리, 아연 등의 얇은 금속 박판으로 클립(65)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은 수중, 특히 바닷물 중에서 쉽게 산화 또는 부식되어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쉽게 분해된다. Additionally, in addition to biodegradable resins, metals can be cited as examples of materials that can be naturally degraded. For example, the clip 65 can be made from a thin metal plate such as iron, copper, or zinc. These metals are easily oxidized or corroded in water, especially sea water, and are easily decompos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클립(65)이 분해되어 클립(65)이 고정줄(60)로부터 이탈되면 결합로프(50)가 고정줄(60)과 분리되면서 도 8과 같이 바리케이드(40)가 본체(10)의 바깥으로 젖혀지면서 성체탈출구(35)가 개방된다. When the clip 65 is disassembled and the clip 65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line 60, the coupling rope 50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line 60 and the barricade 40 moves out of the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As it is folded, the adult escape port (35) is open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성체탈출구(35)를 바리케이드(40)로 막고, 바리케이드(40)와 연결된 결합로프(50)를 클립(65)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클립(65)이 일정시간 경과되면 클립(65)이 자연분해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통발이 가지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the adult escape port 35 with a barricade 40, supports the coupling rope 50 connected to the barricade 40 with a clip 65, and when the clip 65 elaps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65) By allowing it to naturally decompose, all problems with conventional fish traps can be solved.

즉, 정상조업시에는 바리케이드(40)에 형성된 미니탈출구(43)를 통해 치어들이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여 어자원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통발이 수중에서 유실되는 경우 일정 기간 경과 후에 자연분해되는 클립(65)에 의해 성체탈출구(35)를 막는 바리케이드(40)가 제거되어 성체가 탈출할 수 있는 성체탈출구(35)가 확보되므로 버려진 통발에 의해 발생되는 유령어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at is, during normal fishing operations, fish resources can be protected by allowing fry to escape to the outside through the mini escape port 43 formed in the barricade 40. In addition, if the fish trap is lost underwater, the barricade 40 blocking the adult escape port 35 is removed by the clip 65, which naturally decompose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adult escape port 35 through which the adult can escape is secured. Ghost fishing caused by abandoned trap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성체탈출구(35)를 바리케이드(40)로 막고, 바리케이드(40)와 연결된 결합로프(50)을 클립(65)으로 지지하며, 클립(65)을 생분해성 수지로 만들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장점들을 갖는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blocks the adult escape hatch 35 with a barricade 40, supports the coupling rope 50 connected to the barricade 40 with a clip 65, and makes the clip 65 of biodegradable resin. It has the same advantages.

첫째, 클립의 크기는 직경 5 내지 20mm, 두께 0.5 내지 3mm로 매우 작다. 따라서 고가의 생분해성 수지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종래와 같이 통발을 둘러싸는 그물 전체를 생분해성 수지로 제작할 경우 통발의 제조비용이 2배 이상 높아지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은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First, the size of the clip is very small, with a diameter of 5 to 20 mm and a thickness of 0.5 to 3 mm. Therefore, the amount of expensive biodegradable resin used can be minimiz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where the entire net surrounding the fish trap is made of biodegradable resi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ish trap is more than doubled,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costs.

둘째, 종래와 같이 통발을 둘러싸는 그물 전체를 생분해성 수지로 제작할 경우 생분해성 수지의 분해시간이 경과하면 어구의 기능을 상실한다. 따라서 그물 전체를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클립만 생분해성 수지로 제작하면 충분하므로 클립만 주기적으로 교환해주면 된다. 그물 전체를 주기적으로 교환하는 것에 비해 클립만 주기적을 교환해주는 것이 비용과 시간면에서 크게 유리하다.Second, when the entire net surrounding the fish trap is made of biodegradable resin as in the past, the function of the fishing gear is lost when the biodegradable resin decompose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ntire net must be replaced periodically.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fficient to make only the clip with biodegradable resin, so only the clip needs to be replaced periodically. Compared to periodically replacing the entire net, periodically replacing only the clips is greatly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time.

셋째, 종래와 같이 통발을 둘러싸는 그물 전체를 생분해성 수지로 제작할 경우 통발의 유실시 유령어업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생분해성 수지의 분해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유실된 통발을 회수하더라도 통발의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반면에 본 발명은 통발의 유실시 유령어업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클립의 분해시간이 경과된 후에 유실된 통발이 회수될 경우 통발의 그물은 온전하므로 클립만 새롭게 부착하면 통발의 재사용이 즉시 가능하다. 특히, 향후 어구실명제 도입에 의해 유실된 통발이 소유자에게 회수될 경우 유실된 통발의 재사용 가능성이 더 높아진 현실에서 이러한 장점은 매우 중요하다.Third, if the entire net surrounding the trap is made of biodegradable resin as in the past, ghost fishing can be prevented when the trap is lost. However, after the decomposition time of the biodegradable resin has elapsed, even if the lost trap is recovered, the trap can be reused. This is impossible.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ghost fishing when a trap is lost,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lost trap is recovered after the clip disassembly time has elapsed, the net of the trap is intact, so the trap can be reused immediately by simply attaching a new clip. do. In particular, this advantage is very important in the reality that the possibility of reuse of lost traps is higher if they are returned to their owner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real-name fishing gear system in the future.

한편, 도 9에는 미니탈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바리케이드(40)가 설치된 통발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통발은 비록 정상조업시에는 치어들이 외부로 탈출할 수 없는 구조이지만, 통발이 유실된 상황에서는 치어들뿐만 아니라 성체 어류까지 탈출할 수 있으므로 버려진 어구에 의해 발생되는 유령어업을 방지하는 효과는 여전히 갖는다. Meanwhile, Figure 9 shows a trap in which a barricade 40 is installed without a mini escape hatch. Although these traps are structured so that fry cannot escape to the outside during normal fishing, in a situation where the trap is lost, not only fry but also adult fish can escape, so the effect of preventing ghost fishing caused by abandoned fishing gear is still effective. have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클립을 도시하고 있다. And Figures 10 and 11 show a clip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생분해성 수지로 형성된 클립(70)은 원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71)와, 베이스플레이트(71)에 형성되어 고정줄(60)이 삽입되는 센터홀(81)과, 베이스플레이트(71)의 가장자리에서 센터홀(81)까지 연결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71)에 형성된 가이드슬롯(83)을 구비한다.Referring to Figures 10 and 11, the clip 70 made of biodegradable resin includes a disc-shaped base plate 71 and a center hole 81 formed in the base plate 71 into which the fixing string 60 is inserted. and a guide slot 83 formed in the base plate 71 to connect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71 to the center hole 81.

베이스플레이트(71)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가령, 베이스플레이트(71)는 직경 5 내지 20mm, 두께 0.5 내지 3mm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plate 71 is formed in a disk shape. For example, the base plate 71 may be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5 to 20 mm and a thickness of 0.5 to 3 mm.

센터홀(81)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센터홀(81)은 베이스플레이트(7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센터홀(81)의 직경은 고정줄(60)의 직경보다 크고, 걸림턱(6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The center hole 8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center hole 81 is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71. The diameter of the center hole 81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line 60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opping protrusion 61.

가이드슬롯(83)은 고정줄(60)이 센터홀(81)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따라서 고정줄(60)은 가이드슬롯(83)을 통해 이동되어 센터홀(81)에 삽입된다. 가이드슬롯(83)은 베이스플레이트(71)의 가장자리에서 센터홀(81)까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The guide slot 83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xing line 60 moves to the center hole 81. Therefore, the fixing line 60 is moved through the guide slot 83 and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81. The guide slot 83 is formed to connect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71 to the center hole 81.

가이드슬롯(83)은 베이스플레이트(71)의 가장자리에서 센터홀(81)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가이드슬롯(83)에서 폭이 제일 좁은 부위는 가이드슬롯(83)과 센터홀(81)이 접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의 폭은 고정줄(6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The guide slot 83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narrower in width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71 toward the center hole 81. The narrowest part of the guide slot (83) is the part where the guide slot (83) and the center hole (81) come into contact. The width of this par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line 60.

베이스플레이트(71)는 센터홀(81)이 형성된 센터플레이트(72)와, 센터플레이트(72)와 이격되도록 센터플레이트(72)의 바깥을 감싸도록 형성된 사이드플레이트(76)와, 센터플레이트(72)와 사이드플레이트(76)를 연결하는 연결리브(78)를 구비한다.The base plate 71 includes a center plate 72 having a center hole 81, a side plate 76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enter plate 72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late 72, and a center plate 72. ) and a connecting rib (78) connecting the side plate (76).

센터플레이트(72)는 중앙에 센터홀(81)이 형성된 제 1부(73)와, 제 1부(73)의 주위에 형성되며 제 1부(73)보다 두께가 더 얇은 제 2부(74)를 구비한다. 제 2부는 바깥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진다. The center plate 72 includes a first part 73 with a center hole 81 formed in the center, and a second part 74 formed around the first part 73 and having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first part 73. ) is provided. The second part gradually becomes thinner as it progresses outward.

사이드플레이트(76)는 센터플레이트(72)의 제 1부(73)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The side plate 76 is formed to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part 73 of the center plate 72.

사이드플레이트(76)와 센터플레이트(72)는 연결리브(78)에 의해 연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연결리브(78)는 3개가 형성되어 있다. The side plate 76 and the center plate 72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rib 78.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ree connecting ribs 78 are formed.

연결리브(78)는 센터플레이트(72) 및 사이드플레이트(74)보다 더 일찍 분해될 수 있도록 센터플레이트(72) 및 사이드플레이트(76)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연결리브(78)는 제 2부(74)에서 가장 얇은 두께, 즉 바깥쪽 가장자리 두께와 동일하다. The connecting rib 78 is preferably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center plate 72 and the side plate 76 so that it can be disassembled earlier than the center plate 72 and the side plate 74. For example, the connecting rib 78 has the thinnest thickness of the second part 74, that is, the same as the outer edge thickness.

이와 같이 연결리브(78)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연결리브(78)가 빨리 분해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By forming the connecting rib 78 thin in this way, i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connecting rib 78 can be quickly disassembled.

베이스플레이트(71)의 가장자리에는 지느러미부(87)가 형성된다. 지느러미부(87)는 베이스플레이트(7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지느러미부(87)는 가이드슬롯(83)의 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A fin portion 87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base plate 71. The fin portion 87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71. Preferably, the fin portion 87 is formed to gradually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ntrance of the guide slot 83.

바깥으로 돌출된 지느러미부(87)에 의해 클립(70)의 센터홀(81)에 고정줄(60)을 삽입시 클립(70)을 손가락으로 밀기가 용이하다. When inserting the fixing line 60 into the center hole 81 of the clip 70, it is easy to push the clip 70 with a finger due to the fin portion 87 protruding outward.

상술한 클립은 도 3의 통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2와 같은 통발에 적용될 수 있다. Of course, the above-described clip can be applied to the trap of Figure 3. Additionally, it can be applied to traps such as those shown in Figure 12.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줄(90)은 통발(10)에 설치된다. 고정줄(90)은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고정줄(90)은 통발의 틀 또는 그물에 고정된다. Referring to Figure 12, the fixing line 90 is installed in the trap 10. The fixing line 90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fixing line 90 is fixed to the frame or net of the fish trap.

본체 및 바리케이드(40)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바리케이드(40)의 차단플레이트(41)의 상부에 클립(7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42)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결합로프(50)의 단부에 걸림턱(55)이 형성된다. 걸림턱(55)은 결합로프(50)를 묶어서 매듭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결합로프(50)가 클립(70)의 센터홀(81)에 삽입되면 걸림턱(55)이 클립(70)에 걸린다. The main body and barricade 40 have the s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3.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fixing hole 42 for fixing the clip 7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locking plate 41 of the barricade 40. Additionally, a locking protrusion 55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rope 50. The locking jaw 55 can be formed into a knot by tying the coupling rope 50. When the coupling rope 5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81 of the clip 70, the locking jaw 55 is caught on the clip 70.

고정홀(42)의 좌우 너비는 클립(70)의 베이스플레이트의 직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된다.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ixing holes 42 are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ase plate of the clip 70.

결합로프(50)는 성체탈출구(35)의 좌우측과 상하부측 가장자리의 주위를 따라 그물코에 꿰어 그물(30)에 결합된다. 이때 성체탈출구의 하부측 가장자리에서는 결합로프(50)가 바리케이드(40)의 하부사이드리브의 안과 바깥으로 교대로 이동되면서 그물코에 함께 꿰인다. The coupling rope 50 is coupled to the net 30 by threading it around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adult escape port 35. At this time, at the lower edge of the adult escape hatch, the coupling rope 50 is moved alternately in and out of the lower side ribs of the barricade 40 and is threaded together into the mesh.

결합로프(50)를 성체탈출구의 가장자리 주위의 그물코에 꿴 상태에서 결합로프(50)를 상부가이드리브(45)의 내측에서 바깥 방향으로 결속홀(46)을 통과시킨 후 상방으로 이동시켜 고정줄(90)의 내측을 통과시킨 다음 하방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결합로프(50)를 클립(70)의 센터홀(81)에 삽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클립(70)의 가이드슬롯이 고정홀(42)을 향하게 한후 클립(70)을 고정홀(42)에 삽입하면 클립(70)이 고정홀(42)에 삽입된다. 이때 클립(70)의 가장자리에 돌출된 지느러미부(87)가 고정홀(42)을 통과시에는 고정홀(42)이 강제로 벌어지면서 클립(70)이 고정홀(4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홀(42)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된 지느러미부(87)가 바리케이드(40)의 차단플레이트(41)의 내측면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다. With the coupling rope (50) tied to the mesh around the edge of the adult escape hatch, the coupling rope (50) is passed through the binding hole (46)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upper guide rib (45) and then moved upward to secure the fixing line. Af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90), the coupling rope (50)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81) of the clip (70) while being pulled downward. In this state, when the guide slot of the clip 70 faces the fixing hole 42 and the clip 7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2, the clip 7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2. At this time, when the fin portion 87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clip 70 passes through the fixing hole 42, the fixing hole 42 is forcibly opened and the clip 70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2. . And while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2, the protruding fin portion 87 is caugh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41 of the barricade 40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클립(70)이 고정홀(42)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발이 유실될 경우 일정시간 경과 후에 클립(70)이 자연분해되면 결합로프(50)가 고정줄(90)과 분리되면서 바리케이드(40)가 젖혀지면서 성체탈출구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성체탈출구가 개방된다. If the trap is lost while the clip 7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42, when the clip 70 naturally decompose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upling rope 50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line 90 and the barricade 40 It is removed from the assemblage exit as it folds over. Therefore, the Eucharistic exit is opened.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ttached registration claims.

10: 본체 15: 진입유도부
20: 틀 30: 그물
35: 성체탈출구 40: 바리케이드
43: 미니탈출구 50: 결합로프
60: 고정줄 61: 걸림턱
65: 클립
10: Main body 15: Entry guide part
20: frame 30: net
35: Eucharistic exit 40: Barricade
43: Mini escape 50: Combined rope
60: Fixing line 61: Locking jaw
65: clip

Claims (7)

골격을 형성하는 틀과, 상기 틀을 둘러싸는 그물을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어류가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진입유도부와;
상기 진입유도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입한 어류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그물에 형성되어 성체 어류까지 탈출이 가능한 성체탈출구와;
상기 성체탈출구를 가로막도록 설치되는 바리케이드와;
상기 바리케이드를 상기 성체탈출구 주위의 그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로프와;
상기 본체의 유실시에 어류가 상기 성체탈출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성체탈출구로부터 상기 바리케이드를 제거하는 유령어업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
A main body including a frame forming a skeleton and a net surrounding the frame;
an entry guid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allow fish to enter the main body;
an adult escape port formed in the net so that fish that have entered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entry guide portion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which even adult fish can escape;
A barricade installed to block the Eucharistic exit;
a coupling rope for coupling the barricade to the net around the adult escape hatch;
A fishing method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comprising: ghost fishing prevention means for removing the barricade from the adult escape port so that fish can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adult escape port when the main body is lost. Dragon trap.
제 1항에 있어서, 정상조업시에는 크기가 작은 어류만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바리케이드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미니탈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The fishing pot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r more mini-escape outlets are formed on the barricade so that only small-sized fish can escape out of the main body during normal fish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리케이드는 차단플레이트와,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로프와 결합되는 사이드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The fishing pot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rricade includes a blocking plate and a side rib formed on an edge of the blocking plate and coupled to the coupling ro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령어업방지수단은 상기 결합로프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결합로프의 지지력을 상실하는 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The fishing pot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host fishing prevention means is installed to support the combined rope and includes a clip that lose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combined rop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결합로프의 지지력을 상실하도록 자연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통발용 클립. The clip for a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lip is made of a naturally degradable material so that the holding power of the coupling rope is lost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원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설치된 고정줄 또는 상기 결합로프가 삽입되는 센터홀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센터홀까지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lip includes a disk-shaped base plate, a center hole formed on the base plate into which the fixing line or the coupling rope installed on the main body is inserted, and a connection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to the center hole. A fishing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guide slot formed on the base plate as much as possibl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센터홀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령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어로용 통발.The fishing pot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uide slot is formed to gradually narrow in width from the edge of the base plate toward the center hole.
KR1020220029942A 2022-03-10 2022-03-10 fish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KR202301329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942A KR20230132986A (en) 2022-03-10 2022-03-10 fish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942A KR20230132986A (en) 2022-03-10 2022-03-10 fish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986A true KR20230132986A (en) 2023-09-19

Family

ID=8819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942A KR20230132986A (en) 2022-03-10 2022-03-10 fish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98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12B1 (en) 2002-09-19 2004-01-24 대한민국 A resin composition for biodegradable fatty group polyester and a fishing tackle implement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102234532B1 (en) 2020-11-05 2021-03-31 대한민국 Fishing po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12B1 (en) 2002-09-19 2004-01-24 대한민국 A resin composition for biodegradable fatty group polyester and a fishing tackle implement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KR102234532B1 (en) 2020-11-05 2021-03-31 대한민국 Fishing p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12132C (en) Marine animal trap entrance gates
US10426148B2 (en) Crab pot
CA2906797C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KR101163679B1 (en) Capture tool of fish trap and fish trap using the same
CA1330163C (en) Entrance gate for fish traps
US20100313465A1 (en) Catching device
US5301450A (en) Fish net with escape panel
US5207017A (en) Marine life traps
JP4481251B2 (en) Jellyfish catching prevention method and jellyfish catching fishnet
KR102374742B1 (en) Fish trap
JP2009159898A (en) Shellfish culture basket
KR20230132986A (en) fish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KR20230132985A (en) clip of fish trap for preventing ghost fishing
KR101143597B1 (en) Fish trap for capturing mollusk
US4848025A (en) Automatic baiter for fish traps
KR101354408B1 (en) Offshore Submerged Sealed Cage
JP2007014305A (en) Protective fence and method for protecting submarine organism
JP4629708B2 (en) Shellfish
KR100554620B1 (en) The safety fishing-hook
KR20110008689U (en) Creel penetration type tool
Radu et al. Impact of turbot fishery on cetaceans in the Romanian Black Sea area
US20080202019A1 (en) Edge Protector For Wire Mesh Enclosure
KR102515447B1 (en) Frame structure for capturing octopus and crab, fishes
JP2020506669A (en) Protective net with elastic loops
KR102431526B1 (en) An eco-friendly fish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