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597B1 - Fish trap for capturing mollusk - Google Patents

Fish trap for capturing mollu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597B1
KR101143597B1 KR1020090065029A KR20090065029A KR101143597B1 KR 101143597 B1 KR101143597 B1 KR 101143597B1 KR 1020090065029 A KR1020090065029 A KR 1020090065029A KR 20090065029 A KR20090065029 A KR 20090065029A KR 101143597 B1 KR101143597 B1 KR 101143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main body
trap
network
mollus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0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7483A (en
Inventor
장형기
Original Assignee
장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기 filed Critical 장형기
Priority to KR102009006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597B1/en
Publication of KR20110007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4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지나 문어 등의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이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부를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함과 동시에 진입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로용 통발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는 본체와,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과, 본체에 설치되어 연체동물을 상기 그물망의 외부에서 상기 그물망의 내부로 유도하며 합성수지로 성형된 진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진입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된 망체와, 상기 진입통로로 연체동물의 통과시 상기 망체의 출구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망체에 변형을 부여하는 출구변형수단과, 상기 망체에 형성되어 상기 망체를 상기 본체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Figure R1020090065029

통발, 그물망, 진입부, 합성수지, 사출성형, 망체, 낙지, 연체동물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p for capturing mollusks such as octopus and octopus,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injection molded parts of synthetic mollusks inducing mollusks that live in the sea into synthetic resins, and at the same time, breakage of the entry part. It relates to a trap for mollusk capture that can be prevented.

Fishing vess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and lower rings ar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the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bar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urrounding the body Has a net and an entrance par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guide the mollusk from the outside of the net to the inside of the net and formed of synthetic resin, and the entrance part gradually enters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nd gradually narrows in area. Is provided with a network, the exit deformation means for imparting a deformation to the network so that the exit of the network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mollusk passes through the entry passage, and formed in the network to support the network to the body It has a support means for making.

Figure R1020090065029

Trap, Mesh, Entry,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Mesh, Octopus, Mollusk

Description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 및 이를 이용한 통발{Fish trap for capturing mollusk}Inlet for trapping mollusks and trapping using them {Fish trap for capturing mollusk}

본 발명은 낙지나 문어 등의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이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구를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함과 동시에 진입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p for capturing mollusks such as octopus and octopus,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n injection port into which a mollusk living in the sea is attracted to form a synthetic resin,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breaking the entry port. It relates to a trap for mollusk capture that can be prevented.

일반적으로 통발은 근해에서 낙지, 문어, 게, 장어 등의 어류를 잡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통발은 원통형의 그물망 구조로서 측면에 1개 이상의 진입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진입부를 통해 어류가 통발의 내부로 들어오면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도구이다. In general, the trap is for catching fish such as octopus, octopus, crab, eel, etc. in the offshore, and the trap is generally a cylindrical network structure, and at least one entry part is formed at a side thereof. It is a tool to catch fish by preventing it from coming out when it comes in.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 1997-026551호, 제 1999-014314호에는 통발이 개시되어있다.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s. 1997-026551, 1999-014314 discloses the trap.

종래의 통발을 살펴보면, 금속재질로 형성된 본체의 둘레에 나일론 재질로 된 그물망이 둘러싸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어류가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통발의 내부에 갇힌 어류를 한꺼번에 꺼내기가 용이한 배출부가 형성된다. 진입부는 그물망으로 형성되며, 통발의 외부에서 내부 로 진행할수록 통로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어류가 다시 진입부를 통해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Looking at the conventional trap, the structure is surrounded by a nylon mesh net around the main body formed of a metal material, one side of the fish is attracted to the entrance is formed, the upper portion of the trapped fish inside the trap An outlet portion is formed which is easy to take out at once. The entry part is formed of a net, and the passageway is narrowed as it proceeds from the outside of the trap to the inside so that the fish cannot escape through the entry part again.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통발의 내부에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를 넣은 후, 바다 속에 침강시키게 되면, 통발은 바다의 바닥면에 저면이 착지한 상태에서 각종 어류 등을 유인하게 되는데, 미끼에서 흘러나오는 냄새와 육즙에 유인된 어류는 진입부를 통해 통발 내부에 들어가게 되면서 통발에 갇히게 된다. 통발 내부에 갇힌 어류를 꺼내고자 할 때에는 통발을 갑판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통발 상부의 배출부를 묶었던 로프를 풀어 배출부의 크기를 크게 넓히게 되면 그 내부에 갇혀있던 어류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lure for attracting fish is put into the inside of the trap formed in the above structure, and settled in the sea, the trap will attract various kinds of fish and the like while the bottom lands on the bottom of the sea. Fish attracted by the smell and the juice coming out are trapped in the trap as it enters the inside of the trap. When you want to take out the fish trapped inside the trap, place the trap on the upper side of the deck, and then loosen the rope that tied the discharge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trap to increase the size of the discharge part so that the fish trapped inside can be separated. .

이러한 구조로 형성되는 종래의 통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trap formed with such a struc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어류가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부는 나일론 재질의 어망으로 형성되어 있어 어망의 파손이 잦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낙지를 잡기 위한 통발로 사용시 미끼로 주로 양식 참게를 통발의 내부에 넣어 둔다. 이 경우 통발의 내부에 갇힌 참게의 집게다리에 의해 진입부의 그물망이 쉽게 파손이 되고 낡아져 포획된 낙지나 미끼인 참게가 탈출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Firs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ntrance portion attracted by fish is formed of a nylon fishing net, which frequently causes damage to the fishing net. In particular, when used as a trap for catching octopus, mainly farmed crab is put inside the trap. In this case, the net of the crab trapped in the inside of the trap is easily damaged, and the problem is that the trapped octopus or bait crab escapes from being worn out.

둘째, 종래의 통발은 진입부의 설치시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과 진입부의 프레임을 둘러싸는 그물망을 나일론이나 면사로 일일이 서로 엮어 결합시킨 후 다시 본체의 테두리와 그물망을 고정용 로프를 이용하여 권취시켜 진입부가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본체의 내측에 위치한 진입부의 통로를 일정한 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해 네 귀퉁이를 본체나 본체를 감싸는 그물망에 일일 이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Secondly, in the conventional trap, the mesh surrounding the main body and the mesh surrounding the frame of the entrance part are interwoven together with nylon or cotton yarn, and then the main frame and the net are wound again by using a fixing rope. It is a structure to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in order to form a passageway of the entrance part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to have a constant shape,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four corners must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or the net surrounding the main bod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akes a lot of time.

셋째, 바다 속에서 잠긴 통발은 시간이 지나면 따개비, 해조류 등 각종 이물질이 끼게 되는 데, 이러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하게 된다. 이때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그물과 진입부의 이음새가 풀리고 진입부가 종종 찢기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고압세척이 어려운 관계로 현장에서 주로 염산이나 왁스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데, 이 경우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당연한 문제이다. Third, the trap trapped in the sea is a variety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barnacles, algae, etc. over time, is cleaned using a washing machine spraying water at high pressure to remove these foreign substances. At this time, the water is injected at a high pressure, the seam of the net and the entry portion is released and the entry portion is often torn. Therefore, since high pressure washing is difficult, the field is mainly washed with hydrochloric acid or wax. In this case, it is a natural problem that the environment is contaminated.

넷째, 통발 내부로 유인된 어류는 통발 내부에 잔존한 미끼를 먹어버리기 때문에 그 이후로는 어류를 유인할 미끼가 없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통발내부로 유인된 어류가 미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999-014314호에에 개시된 통발은 본체 내주면에 일정 공간이 형성 되도록 본체의 상하방 어망에 속망을 엮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상기 통발은 본체의 내부에 속망이 일정한 모양으로 팽팽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속망 중간 높이를 찢어 각 유인구의 내측 병목부를 진입해 각 유인구의 병목부를 묶음줄로 일일이 엮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Fourth, since the fish attracted to the inside of the trap will eat the remaining bait inside the trap,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bait to attract the fish thereafter. For this purpose, the trap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1999-014314 has a structure in which a net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fishing nets of the main body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the fish attracted to the inside of the trap. . However, the trap has a problem in tha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to tie the bottleneck of each inlet by entering the inner bottleneck of each inlet by tearing the middle height of the inside of the net in order to keep the mesh in a constant shap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낙지나 문어 등의 연체동물이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구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진입구의 일정한 형체를 유지함과 동시에 진입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 molten animal such as octopus or octopus attracted by the injection molded into the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of the entry port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the breakage of the entry por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atch tra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입구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한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llusk capture trap for easy manufacture by injection molding the entrance port with a synthetic resi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연체동물을 상기 그물망의 외부에서 상기 그물망의 내부로 유도하며 합성수지로 성형된 진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진입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된 망체와, 상기 진입통로로 연체동물의 통과시 상기 망체의 출구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망체에 변형을 부여하는 출구변형수단과, 상기 망체에 형성되어 상기 망체를 상기 본체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llusk capture trap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connected to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respective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main body having a support bar; A net surrounding the body; The entrance por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guide the mollusks from the outside of the net to the inside of the net, and formed of synthetic resin; and the entrance is provided with an entry passage that gradually narrows the area as it proceeds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 net body, an outlet deforming means for imparting deformation to the net body so that the exit of the net body is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mollusk passes through the entry passage, and a support formed to the net body to support the net body to the main body A means is provided.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체의 입구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망체 의 입구측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는 지지바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및 제 4결합부와, 상기 제 3결합부 또는 제 4결합부가 감싸는 지지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3결합부 또는 제 4결합부와 나란하도록 상기 망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에 밀착되고 상기 그물망의 코를 꿰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upport means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side of the mesh,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respectively formed adjacent to the inlet side left and right of the mesh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art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support bar and the support bar surrounding the third coupling part or the fourth coupling part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hird coupling part or the fourth coupling part with the supporting bar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forme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jection for threading the nose of the mesh.

상기 출구변형수단은 상기 망체의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망체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let deform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mesh is gradually formed as it proceeds from the inlet of the mesh to the outlet direction.

상기 출구변형수단은 상기 망체의 출구 측 단부의 모서리를 따라 절제한 절제부를 형성하여 연체동물의 통과시 상기 망체의 출구를 확장시키는 다수의 확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let deform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extension pieces to form an ablation section cut along the edge of the outlet side end of the network to extend the exit of the network when the mollusk passes.

상기 출구변형수단은 상기 망체의 출구 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반호 형상의 다수의 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utlet deforming means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outlet side end of the mes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rings of the half arc shape.

상기 진입구가 설치된 영역을 벗어나서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을 감싸며 합성수지로 성형된 보호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rotective sheet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rrounding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outside the installation area is installed.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 내부로 진입한 연체동물을 한정된 포획공간에 가둘 수 있도록 상기 진입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포획공간이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성형된 포획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entry port to trap the mollusk entered into the net in a limited capture space, the capture space is formed therei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pture barrel molded of synthetic resin.

상기 포획통은 상기 망체의 출구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측벽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그물망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pture cylinder has a tubular housing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at a side wall and having an opening at which an outlet end of the mesh is inserted, and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cap coupled to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t an outside of the mesh. Characterized in tha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에 의하면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망체 형상의 진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실을 엮어 만든 그물망에 비해 진입구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진입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조가 간단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rap for mollusk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tic resin is injection molded to form a mesh-shaped entry port, which effectively prevents breakage of the entry hole compared to the net made of thread, and the entry port is integrally formed. Is simple.

또한, 사출성형된 진입구는 소재 자체만으로 일정한 형체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진입구와 같이 일정한 모양을 유지시키기 위해 일일이 잡아 매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jection molded entry port maintains a constant shape only by the material itself,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assle of tying each day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like a conventional entry port made of a net.

또한, 통발 내부로 유인된 낙지 등의 연체동물은 포획통에 포획되어 미끼와 분리되므로 잔존하는 미끼를 포획된 낙지가 전부 먹어 치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포획통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본체의 내부에 설치하는 과정이 매우 손쉽고 간편하다. In addition, mollusks such as octopus attracted to the inside of the trap is trapped in the trap and separated from the bait can prevent the trapped octopus from eating all the remaining bait. In addition, since the capture cylinder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synthetic resin, the installation process inside the main body is very easy and simp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mollusk capture 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진입구의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trance port applied to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어로용 통발(10)은 크게 본체(20)와, 그물망(30)과, 진입구(40)로 구비된다. 1 to 3, the fishing tra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20, a net 30, and an entrance 40.

본체(20)는 통발(10)의 뼈대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시된 예에서는 원통형으 로 형성된다. 이외에도 본체(20)의 형상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main body 20 forms a skeleton of the keg 10,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e illustrated exampl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main body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quare, rectangular or cylindrical.

본체(20)의 상부에는 고리 모양을 형성하는 상부링(21)이 배치된다. 상부링(21)의 하부에는 상부링(21)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하부링(23)이 배치된다. 하부링(23)은 상부링(21)과 마주하도록 상부링(21)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부링(21)의 모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링(21)의 내측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제 1간주(2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링(23)에도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 2간주(29)가 설치된다. 이 경우 제 1간주(27)와 제 2간주(29)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에서 제 1간주(27) 및 제2 간주(29)는 상호 교차하도록 즉,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여러 방향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본체(2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upper ring 21 to form a ring shape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The lower ring 23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upper ring 21 is disposed below the upper ring 21. The lower ring 23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ring 21 so as to face the upper ring 21. In order to prevent the shape of the upper ring 21 from being deformed, a first pillar 27 horizontally crossing the inner side of the upper ring 21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second ring 29 is installed in the lower ring 23 to prevent deformatio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runk 27 and the second trunk 29 are provid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example shown, the first stem 27 and the second regard 29 are formed to intersect with each other, ie at an angle of 90 degrees.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acts in various directions, the main body 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그리고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바(25)가 설치된다. 지지바(25)의 상단은 상부링(21)에 결합되고, 하단은 하부링(23)에 결합된다. 지지바(25)는 상부링(21) 및 하부링(23)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총 6개가 설치된다. 물론, 지지바(25)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를 구성하는 상부링(21) 및 하부링(23), 지지바(25)는 내부식성이 높은 스테인리스 소재의 금속 봉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support bar 25 for connecting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is installe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25 is coupled to the upper ring 21,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ring 23. The support bar 25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and a total of six support bars 25 are installed. Of course, the number of support bars 25 can be variously adjusted as needed. The upper ring 21, the lower ring 23, and the support bar 25 constituting the main body 20 may be formed using a metal rod made of stainless steel hav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본체(20)의 둘레에는 그물망(30)이 씌워진다. 그물망(30)은 본체(20)의 상부와 하부 그리고 측면을 둘러싼다. 다만 진입구(40)가 장착될 부분은 그물망을 씌우지 않는다. 그물망(30)은 통상적인 구조로, 나일론 소재의 실을 이용하여 엮어 만든다. 그물망(30)은 본체를 둘러싸 본체(20)의 내부에 낙지 또는 문어, 쭈꾸미 등의 연체동물이 포획되는 포획공간을 형성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낙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net 30 is wrapped around the main body 20. The mesh 30 surrounds the top, bottom and sides of the body 20. However, the part where the entry port 40 is to be mounted does not cover the net. The net 30 is a conventional structure, weaves using a thread of nylon material. The net 30 surrounds the main body to form a capture space in which mollusks such as octopus, octopus, and squash are captured inside the main body 2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octopu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그물망(30)은 고정용 로프(60)를 이용하여 본체(20)에 고정시킨다. 즉, 로프(60)를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인접하는 그물망(30)의 코에 꿰면서 상부링 (21)및 하부링(23)에 나선형으로 권취시켜 그물망을 고정시킨다. 이 경우 진입구(40)가 장착될 부분의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는 진입구(40)를 장착한 후에 로프를 권취하여 진입구(40)와 그물망(30)을 함께 고정시킨다.The net 30 is fixed to the main body 20 using the fixing rope 60. That is, the rope 60 is wound around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by spirally winding the nose of the mesh 30 adjacent to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to fix the mesh. . In this case, after the entry port 40 is mounted on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of the portion in which the entry port 40 is to be mounted, the rope is wound to fix the entry port 40 and the mesh 30 together.

그물망(30)의 상부에는 포획된 어류를 꺼낼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통상적인 배출부(35)가 형성된다. 배출부(35)는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37)의 주위에 노끈(38)이 설치되어 노끈(38)을 조였다 풀었다 하여 배출구(37)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노끈(38)의 일측에는 고리(39)가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mesh 30 is formed with a conventional discharge portion 35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o take out the captured fish. Discharge part 35 has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37 by installing the string (38) around the discharge port 37 formed in the center by tightening and loosening the string (38). Ring 39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id 38.

그리고 본체(20)의 측면에는 그물망이 설치되지 않은 개구(33)가 형성된다. 가령, 상호 인접하는 지지바(25) 사이의 공간을 개구(33)로 형성한다. 개구(33)에 진입구(40)를 삽입하여 본체(20)에 지지되도록 진입구(40)를 장착한다. 도시된 예에서 진입구(40)는 하나만 형성되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도 간격으로 총 3개의 진입구(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180도 간격으로 2개의 진입구(40)가 설치되거나, 90도 간격으로 4개의 진입구(40)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nd the opening 33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mesh is formed in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For example,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bars 25 adjacent to each other is formed by the opening 33. The entrance port 4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3 to mount the entrance port 40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main body 20.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ly one entry hole 40 is formed, but as shown in FIG. 4, a total of three entry holes 40 may be formed at 120 degree intervals. In addition, two entry holes 40 may be installed at intervals of 180 degrees, or four entry holes 40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본 발명에서 진입구(40)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한다. 사출 성형된 진입구(40)는 실로 엮어 만든 그물망과 달리 일정한 형체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opening 40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The injection-molded entry port 40 ha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a constant shape unlike a mesh made of thread.

진입구(40)는 본체(20)의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진입통로(45)가 마련된 망체(41)와, 진입통로(45)로 낙지의 통과시 망체(41)의 출구(47)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망체(41)에 변형을 부여하는 출구변형수단과, 망체(41)에 형성된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The entry port 40 has a network 41 provided with an entry passage 45 which gradually decreases in area as it proceeds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0, and the exit of the network 41 when the octopus passes through the entry passage 45. An outlet deforming means for imparting deformation to the net body 41 so that 47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nd a support means formed on the net body 41 are provided.

망체(41)는 본체(20)의 바깥에 입구(43)가 형성되고, 본체(20)의 내부 포획공간으로 향한 방향으로 출구(47)가 형성된다. 즉, 망체(41)는 내부에 낙지가 유인되어 들어오는 진입통로(45)가 마련되고, 진입통로(45)의 전후 양측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진입통로(45)는 망체(41)의 입구(43)에서 출구(47)측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망체(41)의 입구는 170×80mm이고, 출구는 70×7mm이다.The inlet 43 is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20, and the outlet 47 is 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internal capture space of the main body 20. That is, the mesh 41 has an entry passage 45 in which octopus is attracted to the inside, and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entry passage 45 have an open structure. The entry passage 45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area as it proceeds from the inlet 43 of the network 41 to the outlet 47. As an example, the inlet of the mesh 41 is 170 × 80 mm and the outlet is 70 × 7 mm.

출구변형수단은 망체(41)의 입구(43)를 통해 진입통로(45)로 들어온 낙지가 망체(41)의 출구(47)를 통과시 망체(41)의 출구(47)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망체(41)에 변형을 부여한다. 이는 낙지가 망체(41)의 출구(47)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20)의 내부로 포획된 낙지가 망체(41)의 출구(47)를 통해 탈출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outlet deforming means is that the outlet 47 of the mesh 41 elastically deforms when an octopus entering the entry passage 45 through the inlet 43 of the mesh 41 passes through the outlet 47 of the mesh 41. The strain is imparted to the net body 41 to enable this. This allows the octopus to easily pass through the outlet 47 of the mesh 41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octopus captured into the main body 20 from escaping through the outlet 47 of the mesh 41. to be.

출구변형수단의 일 예로 망체(41)의 입구(43)에서 출구(47)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망체(41)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형성된다. 망체(41)를 구성하는 4면의 두께가 모두 점진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입구측 보다는 출구측 망체(41)의 두께가 더 얇아 출구(47)측으로 밀고 들어오는 낙지에 의해 출 구(47)가 변형되고, 낙지가 일단 출구(47)를 통과하면 출구(47)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출구(47)를 통해 탈출할 수 없다. 또한, 망체(41)의 입구(43)에서 망체의 출구(47)측으로 진행할수록 망체(41)에 형성된 코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an example of the outlet deformation means, the thickness of the mesh 41 is gradually thinned from the inlet 43 of the mesh 41 toward the outlet 47. The thicknesses of the four surfaces constituting the mesh 41 are all gradually formed thin. Therefore, the outlet mesh 41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47 is deformed by the octopus that pushes into the outlet 47, and the octopus once passes through the outlet 47. Is restored to its original form and cannot escape through exit 47.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nose formed in the network 41 becomes smaller as it proceeds from the inlet 43 of the network 41 to the outlet 47 side of the network.

상기 출구변형수단의 다른 예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망체(41)의 출구(47) 측 모서리를 따라 절제한 절제부(48)를 형성하여 낙지의 통과시 망체의 출구(47)를 확장시키는 다수의 확개편(49)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망체(41)의 상하좌우 가장자리에서 본체(20) 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확개편(49)은 하나의 가장자리만이 망체(4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하 또는 좌우로 벌어져 출구(47)를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Another example of the outlet modifying means is shown in FIG. A plurality of pieces 49 are formed to form a cutout 48 cut along the exit 47 side edge of the mesh 41 to expand the outlet 47 of the mesh when the octopus passe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main body 20 extends from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edges of the mesh 41. Since the extension piece 49 is connected only to one edge of the net body 41, the extension piece 49 may be expand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so that the outlet 47 may be easily deformed.

이때 절제부(4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41)의 입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절제된 간격이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되고, 절제부(48)의 단부에는 확장홀(80)이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홀(80)의 구조에 의해 확개편(49)은 더욱 쉽게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또한, 낙지의 다리가 절제부(48)에 끼었을 경우 낙지가 다리를 잡아당기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절제부(48)를 통해 확장홀(80)로 다리가 이동하여 발을 쉽게 뺄 수 있다. 이는 낙지의 다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절제부(48)에 낙지의 다리가 끼어 쉽게 빠지지 않으면 놀란 낙지가 진입구로 더 들어오지 않고 밖으로 나가버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6, the cutting portion 48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the interval gradually cut in the inlet direction of the network 41, the expansion hole 8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utting portion 48 do. Due to the structure of the expansion hole 80, the extension piece 49 can be more easily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when the leg of the octopus is caught in the ablation part 48, the leg is moved to the expansion hole 80 through the ablation part 48 that gradually expands when the octopus pulls the leg so that the foot can be easily removed. This is to prevent the octopus legs from being damaged. In addition, if the leg of the octopus is caught easily in the ablation section 48, the surprised octopus can be prevented because the octopus does not enter further into the entrance without going out.

출구변형수단의 또 다른 예를 도 7에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출구변형수단은 망체(41)의 출구 측 단부에서 연장되며 반호 형상의 다수의 고리(83)가 형성된다. 이러한 반호 형상의 고리(83)는 낙지가 출구를 통과시 출구에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하며, 낙지의 다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nother example of the outlet modifying means is shown in FIG. The outlet modifying means shown extends from the outlet side end of the net body 41 and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ings 83 having a half arc shape. The half arc-shaped ring 83 allows the octopus to be easily deformed at the outlet when passing through the outlet, and can prevent the leg of the octopus from being damaged.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지지수단은 망체(41)의 입구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제 2결합부(51)(53)와, 입구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 제 3 및 제 4결합부(55)(57)를 구비한다. Referring back to FIGS. 1 to 3, the support means includes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51 and 53 form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of the net body 41, respectively, and third and third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let. Four coupling parts 55 and 57 are provided.

제 1 및 제 2결합부(51)(53)는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일부를 각각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상부링 및 하부링의 형상과 대응되는 호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및 제 4결합부(55)(57) 역시 좌우에 위치한 지지바(25)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지지바(25)의 형상과 대응되는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내지 제 4결합부는 망체(41)의 성형시 동일소재로 일체로 함께 형성된다.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51 and 53 are formed in a shape to surround a part of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respectively. That is,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is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so as to surround the front. In addition,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arts 55 and 57 are also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ort bar 25 so as to sur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ar 25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These first to fourth coupling portions are integrally formed together with the same material when the mesh 41 is molded.

제 3 및 제 4결합부(55)(57)의 가장자리에 돌기(59)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59)는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돌기(59)는 제 3 및 제 4결합부(55)(57)의 가장자리에서 본체(20)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기(59)의 상하 폭은 그물망(30)의 코에 꿰일 수 있도록 그물망(30)의 코 간격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Preferably, the protrusions 59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arts 55 and 57. The protrusions 59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protrusion 59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20 at the edges of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arts 55 and 57.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protrusions 59 are smaller than the nose spacing of the meshes 30 so that they can be sewn on the noses of the meshes 30.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진입구(40)는 개구(33)에 삽입하여 제 1 및 제 2결합부(51)(53)가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전면에 접속되도록 하고, 제 3 및 제 4결합부(55)(57)가 양 지지바(25)의 전면에 접속되도록 한다. The entrance opening 4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51 and 53 ar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s of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arts 55 and 57 are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s of both support bars 25.

진입구(40)가 본체(2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및 제 2결합부(51)(53)가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술한 고정용 로프(60)를 이용하여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을 각각 권취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로프(60)를 본체(20)의 상면에 형성된 그물망(30)의 코에 꿴 다음 진입구(40)를 구성하는 망체(41)의 코에 꿴 상태에서 제 1결합부(51) 및 상부링(21)의 주위로 돌려 감아 고정시킨다. 제 3 및 제 4결합부(55)(57)가 지지바(25)의 전면을 감싸고, 돌기(59)가 지지바(25)와 인접한 그물망(30)의 코를 꿴 상태로 그물망(3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돌기(59)가 그물망(30)과 결합된 상태에서 로프(60)를 권취하여 고정시키므로 종래와 같이 본체의 그물망과 진입구의 그물망을 일일이 나일론 및 면사로 연결한 다음 다시 로프로 고정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For the fixing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51 and 53 are coupled to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so that the entry port 4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main body 20. By using the rope 60,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may be wound and fixed,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51 and the upper portion in the nose of the mesh 41 constituting the entry hole 40 next to the nose of the mesh 3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the rope (60) Rotate around the ring 21 to fix it.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arts 55 and 57 surround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ar 25, and the projections 59 snore the mesh 30 adjacent to the support bar 25 and the net 30. Connected with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winding the rope 60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 59 is combined with the net 30, and then connecting the net of the main body and the net of the entry port with nylon and cotton yarn one by one, and then back to the rope. Eliminate the hassle of fixing.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85)는 제 3결합부(55) 또는 제 4결합부(57)가 감싸는 지지바를 사이에 두고 제 3결합부(55) 또는 제 4결합부(47)와 나란하도록 망체(41)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입구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3 및 제 4결합부(55)(57)에 의해 그물망은 지지바에 밀착되고, 이때 돌기(85)는 그물망의 코에 삽입된다. 결국 지지바를 사이에 두고 제 3또는 제 4결합부(55)(57)와, 돌기(85)가 그물망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그물망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5, the protrusion 85 includes a third coupling part 55 or a fourth coupling part 47 with a support bar between the third coupling part 55 or the fourth coupling part 57 interposed therebetween. It may be formed in the mesh 41 to be parallel to. Therefore, the mes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by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arts 55 and 57 in the state in which the entrance por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protrusion 85 is inserted into the nose of the mesh. As a result, the mesh is firmly fixed because the third or fourth coupling part 55 and 57 and the protrusion 85 fix the mesh with the support bar interposed therebetween.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85)의 단부에 망체(41)의 바깥 방향, 즉 제 4결합부(57)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87)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87)은 돌기(85)의 단부에서 형성되어 돌기(85)의 단부 반대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돌출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지지바(25)와 마주하는 방향에 경사면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진입구를 본체에 결합시 돌기(85)가 망체(41)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지지바(25)가 제 4결합부(57)로 진입된다. 이 상태에서 지지바(25)는 돌기의 걸림턱(87)에 걸려 진입구가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돌기(85)가 그물망(30)의 코에 꿰인 상태에서 지지바(25)를 사이에 두고 제 4결합부(57) 및 돌기(85)가 그물망(30)을 고정시키므로 그물망(30)이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3결합부측에 형성된 돌기에도 걸림턱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As shown in FIG. 13, a locking jaw 87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protrusion 85 to protrude outward of the mesh 41, that is, in a direction of the fourth coupling part 57. The catching jaw 87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rotrusion 85 so as to progress toward the end of the protrusion 85 so that the protruding length is gradually increas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support bar 25. Therefore, the support bar 25 enters the fourth coupling part 57 while the protrusion 85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mesh 41 when the access por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In this state, the support bar 25 is caught by the catching jaw 87 of the projection to effectively prevent the entry po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In addition, the fourth coupling portion 57 and the projections 85 fix the mesh 30 with the support bar 25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state where the protrusion 85 is stitched to the nose of the mesh 30. It is firmly fixed to this body. And although not shown, the locking step is formed of the projection formed on the sid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is a matter of cours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물망(30)의 외측에서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을 감싸며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보호시트(90)가 더 설치된다. 이때 보호시트(90)는 진입구(40)가 설치되지 않은 본체(20)의 측면에 설치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 8. Referring to FIG. 8, a protective sheet 90 which is injection molded of synthetic resin is further installed to surround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on the outside of the mesh 30. At this time, the protective sheet 9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in which the entry port 40 is not installed.

보호시트(90)는 상부링(21)에 장착되는 상부커버(91)와, 하부링(23)에 장착되는 하부커버(93)와, 상부 및 하부커버(91)(93) 사이에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커버(91)(93)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95)를 구비한다. 상부 및 하부커버(91)(93)는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절반 정도를 감쌀 수 있도록 호형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9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링(21) 및 하부링(23)의 양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도록 2개가 설치된다. 이외에도 1개 또는 세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호시트는 연결부재 없이 상부링 또는 하부링 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sheet 90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over 91 mounted on the upper ring 21, the lower cover 93 mounted on the lower ring 23, and the upper and lower covers 91 and 93. And a connecting member 95 for inter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overs 91 and 93. The upper and lower covers 91 and 93 are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cover about half of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and the connecting member 95 is shown as the upper ring 21 and Two are installed to interconnect both edges of the lower ring 23. In addition, one or three or more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protective sheet may be formed of only the upper ring or the lower ring without a connecting member.

상기와 같은 보호시트(90)는 진입구(40)가 설치된 곳을 제외하고는 본체(20)의 측면을 모두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구(40)가 하나만 설치된 경우 개구(33)를 제외하고는 보호시트(90)가 본체(20)의 측면을 따라 설치된다. 보호시트(90)는 지지바(25) 사이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상호 연결된다. 이 외에도 하나의 보호시트(90)가 진입구(40)를 제외한 본체(20)의 측면을 모두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입구(40)가 120도 간격으로 본체(20)의 측면에 3개가 설치된 경우, 진입구(40) 사이마다 보호시트가 설치된다. The protective sheet 90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surround all of the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20 except where the entrance port 40 is installed. Therefore, as shown, when only one entry port 40 is installed, except for the opening 33, the protective sheet 90 is installed along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One protective sheet 90 is instal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support bars 25. In addition to this, one protective sheet 90 may be formed to surround all sides of the main body 20 except for the entrance port 40. And when the three entry ports 40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at intervals of 120 degrees, a protective sheet is installed between the entry ports 40.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재(95)에는 인접하는 진입구(40)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가진다. 결합수단으로 연결부재(95)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돌기(95)와, 진입구(40)의 제 3 및 제 4결합부(55)(57)에 형성되어 결합돌기(97)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결합홈(99)으로 이루어진다. Preferably, the connecting member 95 has coupling means so as to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adjacent entrance port 40. Coupling protrusions (95)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member (95) by means of coupling means, and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arts (55) (57) of the entry port (40)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97) It consists of a coupling groove (99).

따라서 본체(20)의 외측에 그물망(30)이 둘러싼 상태에서 개구(33)에 진입구를 설치한 후 보호시트(90)를 설치한다. 이 경우 연결부재(95)에 형성된 결합돌기(97)를 결합홈(99)에 끼워 상호 연결시킨다. 본체(20)의 측면에 진입구(40)와 보호시트(90)가 상호 연결되어 설치되면 고정용 로프를 이용해 진입구(40)와 보호시트(90)를 본체(20)에 고정시킨다. 도시된 예와 반대로 결합돌기가 진입구(40)의 제 3 및 제 4결합부(55)(57)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연결부재(95)에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tective sheet 90 is installed after the entrance port is installed in the opening 33 in a state where the net 30 is surroun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In this case, the coupling protrusion 97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 95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99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entrance port 40 and the protective sheet 9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the entrance port 40 and the protective sheet 90 are fixed to the main body 20 using a fixing rope. In contrast to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at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parts 55 and 57 of the entry hole 40, and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at the connection member 95.

상부링(21) 및 하부링(23)에 상기의 보호시트(90)를 장착한 상태에서 로프를 감으면 로프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종래와 같이 빨래집게 등의 도구를 이용하 여 상부링 및 하부링에 씌워진 비닐시트를 일일이 집어가며 로프를 감는데 비해 훨씬 더 작업이 간단하다. 그리고 상부링 및 하부링에 비닐시트를 감을 필요가 없어 재료가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When the rope is wound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sheet 90 is mounted on the upper ring 21 and the lower ring 23, the rope operation is very easy. In addition, by using a tool such as a clothespin as in the prior art, it is much simpler to pick up the vinyl sheet covered on the upper and lower rings and wind the rope. And there is no need to wind the vinyl sheet on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terial is saved.

보호시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91)와 하부 커버(93) 사이에 그물망 형상의 패널(10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보호시트를 이용하면 본체(20)의 측면에는 그물망(30)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체(20)의 측면에 그물망(30)이 형성된 상태에서 보호시트(90)가 장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a mesh-shaped panel 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cover 91 and the lower cover 93. In addition, by using such a protective sheet, there is no need to form the mesh 30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thereby reducing the cost. Unlike this, the protective sheet 90 may be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net 3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체의 내부에는 그물망 내부로 진입한 낙지를 한정된 포획공간에 가둘 수 있도록 포획통(110)이 설치된다. 포획통(110)은 내부가 비어있어 포획공간이 형성된다. 포획통(110)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다. 포획통은 원통형의 하우징(111)과, 캡(120)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11)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망체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111)의 측벽에는 진입구(40)가 삽입되는 삽입홀(119)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1)의 상단부에는 다수의 돌기(113)가 형성되고, 돌기(113)의 상단에는 돌기(11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헤드(115)가 형성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S. 10 and 11.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trap 11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trap octopus entering the net in a limited capture space. The trap 110 has an empty inside, and a trap space is formed. The trap 110 is injection molded from a synthetic resin. The capture cylinder is composed of a cylindrical housing 111 and a cap 120. The housing 111 is made of a mesh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the upper portion is open. An insertion hole 119 into which the entrance opening 4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111.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3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11, and a head 115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rotrusion 113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113.

캡(120)은 하우징(11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113)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121)이 형성된다. 결합홀(121)의 직경은 헤드부(115)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결합홀(121)에 헤드(115)가 삽입될 때 결합홀(121)은 신장되 어 헤드(115)가 삽입된다.The cap 120 has a coupling hole 121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13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11.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hole 121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115. When the head 115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21, the coupling hole 121 is extended so that the head 115 is inserted.

하우징(111)의 하부는 본체의 제 2간주(29)에 지지된다. 이때 하우징(111)은 로프에 의해 본체의 하부 그물망과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11)에 결합되는 캡(120)은 본체의 상부 그물망(30) 외측에서 하우징(111)에 결합된다. 하우징(111)에 캡(120)이 결합되는 경우 하우징(111)과 캡(120) 사이에 그물망(30)이 끼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때 캡(120)이 제 1간주(27)에 간섭되지 않도록 캡(120)의 하부에는 반원 형상의 홈(123)이 형성된다.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11 is supported by the second trunk 29 of the main body. At this time, the housing 11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net of the main body by a rope. Cap 120 is coupled to the housing 111 is coupled to the housing 111 outside the upper mesh 30 of the body. When the cap 120 is coupled to the housing 111, the mesh 30 is coupled between the housing 111 and the cap 120. In this case, a semi-circular groove 123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p 120 so that the cap 1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gap 27.

상기와 같이 사출성형된 포획통(110)은 소재 자체로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유지하므로 통발에 설치하는 과정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하우징(111)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119)에 진입구(40)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므로 연결과정 역시 매우 간단하다. Since the injection molded capture barrel 110 maintains a constant size and shape as the material itself, the installation process in the trap is very simple. In addition, since the end of the entry port 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9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11 is connected is also very simple.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에 진입구의 망체(41) 삽입시 진입구가 삽입홀(119)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홀(119)과 대응되는 위치의 망체(41)의 상하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돌기(130)가 마련된다. 진입구를 삽입홀(119)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망체(41)를 상하방향에서 가압하여 망체(41)의 형태를 변형시키면 분리가능하다. 12, the out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sh 4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119 to prevent the entry port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insertion hole 119 when the mesh 41 of the entry hol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is illustrated in FIG. 12. The locking protrusion 130 is formed to protrude. When the entrance port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119, the mesh 41 is deformed by pressing the mesh 41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deform the shape of the mesh 41. FIG.

한편, 도 4 내지 도 12의 실시 예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Meanwhile, components not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s of FIGS. 4 to 12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 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2 is a side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진입구의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trance port applied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4 is a plan view showing a 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입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trance 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입구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access open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진입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trance 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에서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0; FIG.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12 is a cross-sectional view extracting the main portion of the 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통발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통발 20:본체10: Trap 20: Body

21:상부링 23: 하부링21: upper ring 23: lower ring

25: 지지바 30: 그물망25: support bar 30: netting

33:개구 35: 배출부33: opening 35: discharge part

40:진입구 41:망체40: entrance 41: network

51:제1결합부 53: 제 2결합부 51: first coupling portion 53: second coupling portion

55: 제 3결합부 57: 제 4결합부55: third coupling portion 57: fourth coupling portion

59: 돌기 60: 로프59: turning 60: rope

Claims (9)

삭제delete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통발에 설치되어 연체동물을 상기 그물망의 외부에서 상기 그물망의 내부로 유도하는 진입구에 있어서, A trap including an upper ring and a lower r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bar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connecting upper and lower ends to the upper and lower rings, respectively, and a net surrounding the main body. In the entrance to guide the mollusks from the outside of the mesh to the inside of the mesh, 상기 진입구는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The entrance port is molded of synthetic resin, 상기 진입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된 망체와, 상기 진입통로로 연체동물의 통과시 상기 망체의 출구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망체에 변형을 부여하는 출구변형수단과, 상기 망체에 형성되어 상기 망체를 상기 본체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The entrance port is provided with a mesh provided with an access passag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area as it proceeds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deformation is applied to the network so that the exit of the network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mollusk passes through the access passage. Outlet deforming means and supporting means formed on the mesh to support the mesh on the body,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체의 입구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망체의 입구측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는 지지바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및 제 4결합부와, 상기 망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에 밀착되고 상기 그물망의 코를 꿰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The support mea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side of the mesh,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respectively formed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let side of the mesh. And a third and fourth coupling part formed to cover a portion of the support bar, and a protrusion formed in the mesh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bar and to sniff the nose of the net.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통발에 설치되어 연체동물을 상기 그물망의 외부에서 상기 그물망의 내부로 유도하는 진입구에 있어서, A trap including an upper ring and a lower r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bar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by connecting upper and lower ends to the upper and lower rings, respectively, and a net surrounding the main body. In the entrance to guide the mollusks from the outside of the mesh to the inside of the mesh, 상기 진입구는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The entrance port is molded of synthetic resin, 상기 진입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된 망체와, 상기 진입통로로 연체동물의 통과시 상기 망체의 출구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망체에 변형을 부여하는 출구변형수단과, 상기 망체에 형성되어 상기 망체를 상기 본체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The entrance port is provided with a mesh provided with an access passag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area as it proceeds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deformation is applied to the network so that the exit of the network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mollusk passes through the access passage. Outlet deforming means and supporting means formed on the mesh to support the mesh on the body, 상기 출구변형수단은 상기 망체의 입구에서 출구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망체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얇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The exit deforming means is the entrance of the trap for mollusk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network is gradually thinner as it proceeds from the inlet of the network to the exit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변형수단은 상기 망체의 출구 측 단부의 모서리를 따라 절제한 절제부를 형성하여 연체동물의 통과시 상기 망체의 출구를 확장시키는 다수의 확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let deforming means is formed by cutting along the edge of the outlet side end of the network has a plurality of pieces to extend the outlet of the network when passing through the mollusks, characterized in that Entry point for traps for mollusk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변형수단은 상기 망체의 출구 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반호 형상의 다수의 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The entrance opening of the trap for mollusk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outlet deforming means extends from the outlet side end of the mesh and has a plurality of rings having a half arc shape.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부링 및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에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연결되어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지지바를 가지는 본체와;A main body having an upper ring and a lower r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bars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respectively and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본체를 둘러싸는 그물망과; A net surrounding the body;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연체동물을 상기 그물망의 외부에서 상기 그물망의 내부로 유도하며 합성수지로 성형된 진입구;를 구비하며, I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guide the mollusks from the outside of the mesh to the inside of the mesh and the entrance port formed of synthetic resin; 상기 진입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면적이 좁아지는 진입통로가 마련된 망체와, 상기 진입통로로 연체동물의 통과시 상기 망체의 출구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망체에 변형을 부여하는 출구변형수단과, 상기 망체에 형성되어 상기 망체를 상기 본체에 지지시키는 지지수단을 구비하고, The entrance port is provided with a mesh provided with an access passage that gradually decreases in area as it proceeds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deformation is applied to the network so that the exit of the network can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mollusk passes through the access passage. Outlet deforming means and supporting means formed on the mesh to support the mesh on the body,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체의 입구측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결합부와, 상기 망체의 입구측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는 지지바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및 제 4결합부와, 상기 망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에 밀착되고 상기 그물망의 코를 꿰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 The support mean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side of the mesh,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ring and the lower ring, respectively formed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let side of the mesh. And a third and fourth coupling portion formed to cover a portion of the support bar, and protrusions formed on the mesh to adhere to the support bar and to sniff the nose of the mesh.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그물망 내부로 진입한 연체동물을 한정된 포획공간에 가둘 수 있도록 상기 진입구와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포획공간이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성형된 포획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According to claim 6, I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entrance so that the trapped mollusks entering the inside of the net in a limited capture space, the capture space is formed therein and has a trap formed of synthetic resin Capturing mollusk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p.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포획통은 상기 망체의 출구측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측벽에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그물망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The housing of claim 7, wherein the trap is formed in a cylindrical housing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sidewall and having an open upper side, through which an outlet end of the mesh is inserted, and detachable from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from the outside of the mesh. To trap the mollusk cap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ap coupled to.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된 진입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바에 걸리도록 상기 돌기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체동물 포획용 통발의 진입구.The entrance port of the mollusk capture trap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protrusion so as to be caught by the support bar to prevent the entrance of the entrance port coupled to the main body.
KR1020090065029A 2009-07-16 2009-07-16 Fish trap for capturing mollusk KR101143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029A KR101143597B1 (en) 2009-07-16 2009-07-16 Fish trap for capturing mollu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029A KR101143597B1 (en) 2009-07-16 2009-07-16 Fish trap for capturing mollu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83A KR20110007483A (en) 2011-01-24
KR101143597B1 true KR101143597B1 (en) 2012-05-11

Family

ID=4361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029A KR101143597B1 (en) 2009-07-16 2009-07-16 Fish trap for capturing mollu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5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937B1 (en) * 2022-02-18 2022-08-05 제이와이솔루션(주) Induction implemtnt of fish trap for fishing and fish trap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393B1 (en) 2015-08-19 2017-06-16 김진선 fish trap for fishing
US20210169056A1 (en) * 2018-08-20 2021-06-10 Erick Bendure Aquatic trap
GB2603172B (en) * 2021-01-29 2023-12-27 Fishtek Marine Ltd A tra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654Y1 (en) * 1990-06-23 1992-03-09 임동한 Fish pots
KR200146640Y1 (en) * 1997-05-28 1999-06-15 김수정 The guiding device in the fishing tra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654Y1 (en) * 1990-06-23 1992-03-09 임동한 Fish pots
KR200146640Y1 (en) * 1997-05-28 1999-06-15 김수정 The guiding device in the fishing tr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937B1 (en) * 2022-02-18 2022-08-05 제이와이솔루션(주) Induction implemtnt of fish trap for fishing and fish trap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83A (en) 201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679B1 (en) Capture tool of fish trap and fish trap using the same
KR101041580B1 (en) Fish-trap for capturing octopus
KR101143597B1 (en) Fish trap for capturing mollusk
CA2951946C (en) Crab pot
KR100939101B1 (en) Entrance implement of fish trap for fishing and fish trap using the same
AU2015238795B2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CA1330163C (en) Entrance gate for fish traps
KR102428937B1 (en) Induction implemtnt of fish trap for fishing and fish trap thereof
KR102029761B1 (en) Trap for capturing octopus
KR101384136B1 (en) Foldable Trap for Fish and Shellfish
KR20110001609U (en) Fishing trap for capturing a small octopus
KR102374742B1 (en) Fish trap
KR100972782B1 (en) Attraction tool of fish trap for fishing
KR200465503Y1 (en) Tube type fish-trap for capturing octopus
KR101830507B1 (en) Prefabricated Sea fishing trap
KR20110008689U (en) Creel penetration type tool
KR101561298B1 (en) tool for leading entry of fish
DK176967B1 (en) Cage for catching crustaceans
KR200449587Y1 (en) Trap for common octopus
JP2009044968A (en) Shellfish culture basket
KR102515447B1 (en) Frame structure for capturing octopus and crab, fishes
KR19990014314U (en) Octopus
KR20070001093U (en) Trap for common octopus
KR20200047263A (en) Trap for capturing octopus and crab, fishes
EP1827089A1 (en) Collapsible fishing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