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968A -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 Google Patents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968A
KR20230132968A KR1020220029903A KR20220029903A KR20230132968A KR 20230132968 A KR20230132968 A KR 20230132968A KR 1020220029903 A KR1020220029903 A KR 1020220029903A KR 20220029903 A KR20220029903 A KR 20220029903A KR 20230132968 A KR20230132968 A KR 20230132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molding
bending
manufactur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현
Original Assignee
권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현 filed Critical 권기현
Priority to KR102022002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968A/ko
Publication of KR2023013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9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0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 B21D51/10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conically or cylindrically shap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06Making more than one part out of the same blank; Scrapless wo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고어 암 부품 제조공법에 관련되며, 이때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은 피어싱단계, 제 1노칭단계, 챔퍼단계, 제 2노치단계, 제 1밴딩단계, 제 2밴딩단계, 리스트라이크단계, 커팅단계를 거치면서 강판이 원통형 슬리브 부품으로 연속 제조되고, 특히, 강판을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밴딩단계와 핑거홈과 핑거돌기를 결속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를 분리 편성하여 연결부 성형효율이 향상과 더불어 성형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피어싱단계(S10), 제 1노칭단계(S20), 챔퍼단계(S30), 제 2노치단계(S40), 제 1밴딩단계(S50), 제 2밴딩단계(S60), 리스트라이크단계(S70), 커팅단계(S8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Lower arm part manufacturing method using progressive molding technology}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피어싱단계, 제 1노칭단계, 챔퍼단계, 제 2노치단계, 제 1밴딩단계, 제 2밴딩단계, 리스트라이크단계, 커팅단계를 거치면서 강판이 원통형 슬리브 부품으로 연속 제조되고, 특히, 강판을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밴딩단계와 핑거홈과 핑거돌기를 결속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를 분리 편성하여 연결부 성형효율이 향상과 더불어 성형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파이프(슬리브)형태의 자동차 부품은 코일을 풀면서 피딩되는 강판을 다단의 성형롤로 성형하여 관형태로 가공하고, 이후 용접하는 단계를 거쳐 연속적으로 생산되고 있지만, 제조공정이 다분화되고, 특히, 성형공정과 별도의 용접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됨과 더불어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357981호에서, 블랭킹 금형으로 소재를 블랭킹(Blanking)하여, 일측단에 피물림부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상기 피물림부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물림부가 형성된 성형체를 블랭킹하는 블랭킹 단계와; 챔퍼링 금형으로 상기 피물림부의 일면 에지(edge)와 상기 물림부의 타면 에지를 경사지게 성형하는 챔퍼링(Chamfer)하는 챔퍼링 단계와; 1차 벤딩금형으로 성형체의 양측단을 상향으로 벤딩(Bending)하는 1차 벤딩 단계와; 2차 벤딩금형으로 상기 1차 벤딩된 성형체의 중간을 구부리는 2차 벤딩 단계와; 컬링금형으로 2차 벤딩된 성형체를 더 구부려서 피물림부와 물림부를 겹치게 하되 피물림부의 상부에 물림부가 위치하도록 컬링(curling)하는 컬링 단계와; 체결금형으로 컬링된 성형체의 외주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물림부를 눌러서 강제로 피물림부에 삽입하는 체결단계와; 진원 금형으로 체결이 완료된 성형체의 외주부를 가압하여 진원(眞圓)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블랭킹 금형은 제1 하부다이와 제1 상부펀치로 구성되되, 블랭킹 된 성형체가 몸체부의 양측에,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1 걸림홈과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1 걸림부가 형성된 피물림부와, 상기 제1 걸림홈에 끼워질 수 있게 상응하는 형상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2 걸림부와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제2 걸림홈가 형성된 물림부를 구비할 수 있게, 상기 피물림부와 물림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절개라인을 구비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 설계시 대량 생산되는 강관의 고가성, 절단 및 재가공 작업 등에 원가가 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나, 단계별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됨과 더불어 불량률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피어싱단계, 제 1노칭단계, 챔퍼단계, 제 2노치단계, 제 1밴딩단계, 제 2밴딩단계, 리스트라이크단계, 커팅단계를 거치면서 강판이 원통형 슬리브 부품으로 연속 제조되고, 특히, 강판을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밴딩단계와 핑거홈과 핑거돌기를 결속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를 분리 편성하여 연결부 성형효율이 향상과 더불어 성형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강판(A) 길이 방향으로 센터영역(C)에 형성되는 센터핀홀(10)과, 센터영역(C)을 경계로 구분되는 양측 사이드영역(S)에 형성되는 사이드핀홀(12)을 가공하는 피어싱단계(S10); 상기 사이드핀홀(12)을 기준으로 양측 사이드영역(S)을 단계적으로 노칭가공하여 판형 1차 성형물(A1)을 형성하고, 1차 성형물(A1)은 센터영역(C)에 형성되는 브릿지리브(20)에 의해 연결되어 피딩되도록 구비되는 제 1노칭단계(S20); 상기 1차 성형물(A1) 저면 선단부 모서리를 모따기 가공하여 2차 성형물(A2)을 제조하는 챔퍼단계(S30); 상기 2차 성형물(A2) 양단부에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를 각각 형성하여 3차 성형물(A3)을 제조하는 제 2노치단계(S40); 상기 3차 성형물(A3)의 양측 사이드영역(S)을 밴딩하여 아치형 곡률부(40)가 형성된 4차 성형물(A4)을 제조하는 제 1밴딩단계(S50); 상기 4차 성형물(A4)의 아치형 곡률부(40)를 하향 절곡하여 원통형의 5차 성형물(A5)을 제조하는 제 2밴딩단계(S60); 상기 5차 성형물(A5)의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가 맞물리도록 가압하여 6차 성형물(A6)을 제조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S70); 및 상기 6차 성형물(A6)에 연결된 브릿지리브(20)를 커팅하여, 6차 성형물(A6)을 독립적으로 분리하는 커팅단계(S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노치단계(S40)에서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는 오메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노치단계(S40) 이후, 상기 핑거돌기(32)를 상향 경사각으로 절곡하는 부분밴딩단계(S40-1)를 수행하고, 상기 제 2밴딩단계(S60)에서 아치형 곡률부(40)를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핑거돌기(32)의 상향 경사각에 의해 핑거홈(30)에 간섭없이 맞물리고, 이후 상기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 내부로 인입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분밴딩단계(S40-1)에서 핑거돌기(32)는 25~35도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노치단계(S40)에서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는 오메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노치단계(S40) 이후, 상기 핑거돌기(32)를 상향 경사각으로 절곡하는 부분밴딩단계(S40-1)를 수행하고, 상기 부분밴딩단계(S40-1)에서 핑거돌기(32)는 'V'형으로 절곡되어 폭방향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밴딩단계(S60)에서 아치형 곡률부(40)를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핑거돌기(32)의 상향 경사각 및 폭방향 사이즈 축소에 의해 핑거홈(30)에 맞물리고, 이후 상기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 내부로 인입되어 폭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압착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홈(30)은 내주면이 원통형의 5차 성형물(A5) 내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경사면(30a)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돌기(32)는 'V'형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양측면이 5차 성형물(A5)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행면(32a)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 내부로 인입되어 폭방향으로 펼쳐지면서 핑거돌기(32)의 평행면(32a)이 경사각으로 변형되면서 핑거홈(30)의 경사면(30a)에 경사각으로 맞물려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피어싱단계, 제 1노칭단계, 챔퍼단계, 제 2노치단계, 제 1밴딩단계, 제 2밴딩단계, 리스트라이크단계, 커팅단계를 거치면서 강판이 원통형 슬리브 부품으로 연속 제조되고, 특히, 강판을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밴딩단계와 핑거홈과 핑거돌기를 결속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를 분리 편성하여 연결부 성형효율이 향상과 더불어 성형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으로 성형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에 사용되는 금형설비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의 제 1밴딩단계, 제 2밴딩단계, 리스트라이크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의 4차 성형물, 5차 성형물, 6차 성형물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의 핑거돌기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의 펑거홈과 핑거돌기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으로 성형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에 사용되는 금형설비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의 제 1밴딩단계, 제 2밴딩단계, 리스트라이크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의 4차 성형물, 5차 성형물, 6차 성형물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의 핑거돌기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의 펑거홈과 핑거돌기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에 관련되며, 이때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은 피어싱단계, 제 1노칭단계, 챔퍼단계, 제 2노치단계, 제 1밴딩단계, 제 2밴딩단계, 리스트라이크단계, 커팅단계를 거치면서 강판이 원통형 슬리브 부품으로 연속 제조되고, 특히, 강판을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밴딩단계와 핑거홈과 핑거돌기를 결속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를 분리 편성하여 연결부 성형효율이 향상과 더불어 성형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피어싱단계(S10), 제 1노칭단계(S20), 챔퍼단계(S30), 제 2노치단계(S40), 제 1밴딩단계(S50), 제 2밴딩단계(S60), 리스트라이크단계(S70), 커팅단계(S8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로어암 부품은 파이프(원통형) 형태의 슬리브 부품을 일컫는다.
1. 피어싱단계(S10)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단계(S10)는, 강판(A) 길이 방향으로 센터영역(C)에 형성되는 센터핀홀(10)과, 센터영역(C)을 경계로 구분되는 양측 사이드영역(S)에 형성되는 사이드핀홀(12)을 가공하는 단계이다.
상기 센터영역(C)은 후술하는 제 1노칭단계(S20)를 거친 후에 브릿지리브(20)를 형성하고, 사이드영역(S)은 제 1노칭단계(S20)에서 일부 제거되고 남은 부분이 판형 1차 성형물(A1)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브릿지리브(20) 중앙에 센터핀홀(10)이 형성되고, 센터핀홀(10)은 후술하는 제 1노칭단계(S20), 챔퍼단계(S30), 제 2노치단계(S40), 제 1밴딩단계(S50), 제 2밴딩단계(S60), 리스트라이크단계(S70), 커팅단계(S80)를 수행하는 기준점이 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핀홀(10)과 한 쌍의 사이드핀홀(12)은 강판(A) 폭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2. 제 1노칭단계(S20)
본 발명에 따른 제 1노칭단계(S20)는, 상기 사이드핀홀(12)을 기준으로 양측 사이드영역(S)을 단계적으로 노칭가공하여 판형 1차 성형물(A1)을 형성하고, 1차 성형물(A1)은 센터영역(C)에 형성되는 브릿지리브(20)에 의해 연결되어 피딩되도록 구비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사이드핀홀(12)을 기준점으로 상, 하부 프레스금형이 형합되어 사이드영역(S)을 일부 제거(도 2에서 도면부호 'S20' 구간의 해칭 표시된 부분이 삭노칭가공되는 영역)하는바, 이때 상기 강판(A)의 센터영역(C)을 기준으로 양측 영역이 순차적으로 노칭가공되어 도 2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판형 1차 성형물(A1)이 브릿지리브(20)에 연결되도록 가공된다.
3. 챔퍼단계(S30)
본 발명에 따른 챔퍼단계(S30)는, 상기 1차 성형물(A1) 저면 선단부 모서리를 모따기 가공하여 2차 성형물(A2)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챔퍼단계(S30)는 적어도 2단계로 구분되는바, 모따기 각도가 단계적으로 확장 성형되도록 구성하여 강판(A) 변형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2차 성형물(A2)의 저면 선단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모따기는 후술하는 원통형으로 5차 성형물(A5)을 형성시, 원통 내경 단부를 모따기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4. 제 2노치단계(S40)
본 발명에 따른 제 2노치단계(S40)는, 상기 2차 성형물(A2) 양단부에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를 각각 형성하여 3차 성형물(A3)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2차 성형물(A2)의 일측에는 핑거홈(3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는 핑거돌기(32)가 형성되며, 상기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는 후술하는 제 2밴딩단계(S60),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2노치단계(S40)에서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는 오메가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노치단계(S40) 이후, 상기 핑거돌기(32)를 상향 경사각으로 절곡하는 부분밴딩단계(S40-1)를 수행한다.
이에 후술하는 제 2밴딩단계(S60)에서 아치형 곡률부(40)를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핑거돌기(32)의 상향 경사각에 의해 핑거홈(30)에 간섭없이 맞물리고, 이후 도 7처럼 후술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 내부로 인입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부분밴딩단계(S40-1)에서 핑거돌기(32)는 25~35도 경사각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핑거돌기(32)의 경사각이 25도 미만이면 핑거홈(30)과 간섭이 발생되고, 35도를 초과하면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핑거돌기(32)와 핑거홈(30)의 결합 불량이 발생된다.
즉, 상기 핑거돌기(32)는 25~35도 경사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 2밴딩단계(S60)에서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에 국부적으로 맞물려 가결합되므로 5차 성형물(A5)이 원통형으로 견고하게 형상 유지된다.
도 8에서, 상기 제 2노치단계(S40)에서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는 오메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노치단계(S40) 이후, 상기 핑거돌기(32)를 상향 경사각으로 절곡하는 부분밴딩단계(S40-1)를 수행하며, 상기 부분밴딩단계(S40-1)에서 핑거돌기(32)는 'V'형으로 절곡되어 폭방향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상기 제 2밴딩단계(S60)에서 아치형 곡률부(40)를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핑거돌기(32)의 상향 경사각 및 폭방향 사이즈 축소에 의해 핑거홈(30)에 맞물리고, 이후 후술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 내부로 인입되어 폭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압착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핑거돌기(32)는 'V'형으로 절곡되어 폭방향 사이즈가 축소되는 특성상 핑거홈(30) 내부로 간섭없이 삽입되므로 제 2밴딩단계(S60)에서 성형불량이 방지된다.
도 10에서, 상기 핑거홈(30)은 내주면이 원통형의 5차 성형물(A5) 내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경사면(30a)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돌기(32)는 'V'형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양측면이 5차 성형물(A5)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행면(32a)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 내부로 인입되어 폭방향으로 펼쳐지면서 핑거돌기(32)의 평행면(32a)이 경사각으로 변형되면서 핑거홈(30)의 경사면(30a)에 경사각으로 맞물려 결속되도록 구비되므로, 이력에 의한 핑거돌기(32)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5. 제 1밴딩단계(S50)
본 발명에 따른 제 1밴딩단계(S50)는, 상기 3차 성형물(A3)의 양측 사이드영역(S)을 밴딩하여 아치형 곡률부(40)가 형성된 4차 성형물(A4)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7 (a)처럼 4차 성형물(A4)은 센터영역(C)이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양측 사이드영역(S)이 아치형 곡률부(40)로 형성되는바, 이때 아치형 곡률부(40)는 후술하는 5차 성형물(A5)의 원주와 동일한 곡률로 성형된다.
6. 제 2밴딩단계(S60)
본 발명에 따른 제 2밴딩단계(S60)는, 상기 4차 성형물(A4)의 아치형 곡률부(40)를 하향 절곡하여 원통형의 5차 성형물(A5)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7 (b)처럼 상기 4차 성형물(A4)의 일자형 센터영역(C)을 아치형으로 밴딩하여, 아치형 곡률부(40)와 함께 원통형의 5차 성형물(A5)이 제조된다.
이때, 상기 제 2밴딩단계(S60)는 4차 성형물(A4)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원형의 하부금형이 구비되고, 4차 성형물(A4)은 하부금형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금형을 타고 피딩되어 후술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S70)를 연속 수행하게 된다.
7. 리스트라이크단계(S70)
본 발명에 따른 리스트라이크단계(S70)는, 상기 5차 성형물(A5)의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가 맞물리도록 가압하여 6차 성형물(A6)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도 7 (c)처럼 상기 5차 성형물(A5)을 하부에서 가압하여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 내부로 인입되면서 맞물림 상태가 유지된다.
8. 커팅단계(S80)체
본 발명에 따른 커팅단계(S80)는, 상기 6차 성형물(A6)에 연결된 브릿지리브(20)를 커팅하여, 6차 성형물(A6)을 독립적으로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브릿지리브(20)는 전, 후 방향 양단부가 동시에 커팅되어, 선단에 위치된 6차 성형물(A6)이 독립적으로 분리됨과 더불어 후단에 위치된 6차 성형물(A6)에서 브릿지리브(20)가 제거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피어싱단계(S10), 제 1노칭단계(S20), 챔퍼단계(S30), 제 2노치단계(S40), 제 1밴딩단계(S50), 제 2밴딩단계(S60), 리스트라이크단계(S70), 커팅단계(S80)를 단계적으로 거치면서 강판이 원통형 슬리브 부품으로 연속 제조되고, 특히, 강판을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밴딩단계와 핑거홈과 핑거돌기를 결속하는 리 스트라이크단계를 분리 편성하여 연결부 성형효율이 향상과 더불어 성형불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센터핀홀 12: 사이드핀홀
20: 브릿지리브 30: 핑거홈
32: 핑거돌기 40: 곡률부

Claims (5)

  1. 강판(A) 길이 방향으로 센터영역(C)에 형성되는 센터핀홀(10)과, 센터영역(C)을 경계로 구분되는 양측 사이드영역(S)에 형성되는 사이드핀홀(12)을 가공하는 피어싱단계(S10);
    상기 사이드핀홀(12)을 기준으로 양측 사이드영역(S)을 단계적으로 노칭가공하여 판형 1차 성형물(A1)을 형성하고, 1차 성형물(A1)은 센터영역(C)에 형성되는 브릿지리브(20)에 의해 연결되어 피딩되도록 구비되는 제 1노칭단계(S20);
    상기 1차 성형물(A1) 저면 선단부 모서리를 모따기 가공하여 2차 성형물(A2)을 제조하는 챔퍼단계(S30);
    상기 2차 성형물(A2) 양단부에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를 각각 형성하여 3차 성형물(A3)을 제조하는 제 2노치단계(S40);
    상기 3차 성형물(A3)의 양측 사이드영역(S)을 밴딩하여 아치형 곡률부(40)가 형성된 4차 성형물(A4)을 제조하는 제 1밴딩단계(S50);
    상기 4차 성형물(A4)의 아치형 곡률부(40)를 하향 절 곡하여 원통형의 5차 성형물(A5)을 제조하는 제 2밴딩단계(S60);
    상기 5차 성형물(A5)의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가 맞물리도록 가압하여 6차 성형물(A6)을 제조하는 리스트라이크단계(S70); 및
    상기 6차 성형물(A6)에 연결된 브릿지리브(20)를 끊어, 6차 성형물(A6)을 독립적으로 분리하는 커팅단계(S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노치단계(S40)에서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는 오메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노치단계(S40) 이후, 상기 핑거돌기(32)를 상향 경사각으로 절곡하는 부분밴딩단계(S40-1)를 수행하고,
    상기 제 2밴딩단계(S60)에서 아치형 곡률부(40)를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핑거돌기(32)의 상향 경사각에 의해 핑거홈(30)에 간섭없이 맞물리고, 이후 상기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 내부로 인입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고어 암 부품 제조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밴딩단계(S40-1)에서 핑거돌기(32)는 25~35도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노치단계(S40)에서 핑거홈(30)과 핑거돌기(32)는 오메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노치단계(S40) 이후, 상기 핑거돌기(32)를 상향 경사각으로 절곡하는 부분밴딩단계(S40-1)를 수행하고,
    상기 부분밴딩단계(S40-1)에서 핑거돌기(32)는 'V'형으로 절곡되어 폭방향 사이즈가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밴딩단계(S60)에서 아치형 곡률부(40)를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핑거돌기(32)의 상향 경사각 및 폭방향 사이즈 축소에 의해 핑거홈(30)에 맞물리고, 이후 상기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 내부로 인입되어 폭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압착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홈(30)은 내주면이 원통형의 5차 성형물(A5) 내부에서 외측방향으러 갈수록 폭이 축소되는 경사면(30a)으로 형성되고, 상기 핑거돌기(32)는 'V'형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양측면이 5차 성형물(A5)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행면(32a)으로 형성되며, 상기 리스트라이크단계(S70)에서 핑거돌기(32)가 핑거홈(30) 내부로 인입되어 폭방향으로 펼쳐지면서 핑거돌기(32)의 평행면(32a)이 경사각으로 변형되면서 핑거홈(30)의 경사면(30a)에 경사각으로 맞물려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KR1020220029903A 2022-03-10 2022-03-10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KR20230132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903A KR20230132968A (ko) 2022-03-10 2022-03-10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903A KR20230132968A (ko) 2022-03-10 2022-03-10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968A true KR20230132968A (ko) 2023-09-19

Family

ID=8819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903A KR20230132968A (ko) 2022-03-10 2022-03-10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9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73280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이용하여 차량 시트용 시트 백 프레임의 상부 브라켓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상부 브라켓
US9920826B2 (en) Hollow rack b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rack bar
RU266817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штамп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и пресс-форма
JP5835768B2 (ja) フレーム部品の製造方法
GB24123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plates by caulking
US201802810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langing a metal piece
WO2015041009A1 (ja) プレス成形品及び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並びにプレス成形品の製造装置
JP6539562B2 (ja) フランジの成形方法
JP2007029966A (ja) 部分オーバーラップ成形法
JP3767191B2 (ja) 集合ブランクおよびサイドメンバー
KR20230132968A (ko) 프로그레시브 성형기술을 이용한 로어암 부품 제조공법
JP6029748B2 (ja) プレス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45261A (ko) 프레스 성형 방법
JP2004359137A (ja) 車両用ドアのインパクトプロテクションビー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u曲げ方法
US20230071809A1 (en) Method for molding screw thread of metal pipe
KR100621965B1 (ko) 코킹에 의한 플레이트들의 결합 방법 및 장치
JP5077211B2 (ja) 異形コ字状部を有する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022363B2 (ja) 立体縁付き金属部品の製造用金型
JP5457151B2 (ja) 溶接用部材の製造方法
JP4360125B2 (ja) 成形方法
KR101239477B1 (ko) 굴곡형 채널용 금형, 이를 이용한 굴곡형 채널 제조방법
JP5039809B2 (ja) キャリア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11494A (ko) 차량의 크로스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8345A (ko) 스트레치 성형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11515299B (zh) 筒状部件以及筒状部件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