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416A -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 Google Patents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416A
KR20230132416A KR1020230116624A KR20230116624A KR20230132416A KR 20230132416 A KR20230132416 A KR 20230132416A KR 1020230116624 A KR1020230116624 A KR 1020230116624A KR 20230116624 A KR20230116624 A KR 20230116624A KR 20230132416 A KR20230132416 A KR 20230132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opening
floating
hous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6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017B1 (ko
Inventor
정병규
Original Assignee
정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규 filed Critical 정병규
Priority to KR1020230116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017B1/ko
Publication of KR2023013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부유체는 상방으로 개방된 입출개구를 갖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본체와, 수용공간을 다수의 격실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갖는 부상하우징, 다수의 격실에 입출 가능하게 수용되며 부력을 갖는 다수의 부력체, 입출개구 및 다수의 격실을 개방 가능하게 차폐하는 개폐부, 개폐부에 지지되어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대, 지지대와 개폐부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대와 개폐부를 상호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연결하는 탄성지지연결부, 수면 아래에 잠기는 하우징본체로부터 측방, 측하방 및 측상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물의 움직임에 대한 하우징본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완충날개, 지지대와 개폐부 중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축과 연장축과 일체로 형성된 볼형상의 회전연결부 및 지지대와 개폐부 중 타측으로부터 회전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공을 갖는 회전연결부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Floating assembly that reduces shaking load in a floating state}
본 발명은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을 수면 위에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수면 위에 부상할 수 있는 구조물은 부자, 부교, 양식용 또는 바지(barge), 항만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다수의 부양보조체가 하부에 결합되어 부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부양보조체는 구조물과 결합되어 지지하는데 파도에 의해 부양보조체와 구조물이 상호 흔들리게 되면서 연결부위에 부하가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해 부양보조체의 외형이 찌그러지기도 하고 연결부위를 포함하여 외형이 파손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부양보조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구조물의 무게에 의해 부양보조체와 구조물이 침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을 수면 위에 부상시키며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부유체는, 상방으로 개방된 입출개구를 갖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다수의 격실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갖는 부상하우징; 상기 다수의 격실에 입출 가능하게 수용되며 부력을 갖는 다수의 부력체; 상기 입출개구 및 상기 다수의 격실을 개방 가능하게 차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지지되어 상기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개폐부를 상호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연결하는 탄성지지연결부; 수면 아래에 잠기는 상기 하우징본체로부터 측방, 측하방 및 측상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물의 움직임에 대한 상기 하우징본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완충날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 파도높이를 감지하는 파도높이센서; 및 상기 풍속센서 및 상기 파도높이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면 소정 풍속 이상이거나 소정 파도높이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지지대가 상호 중첩되면서 길이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상하우징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부상하우징은 수평영역 및 수직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결합되면 파도에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상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수면에 부상된 상태에서 수평영역 중앙영역에서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더 포함하면 함몰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파도에 따른 흔들림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본체는, 하방외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외향연장부를 갖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외향연장부 연장말단으로부터 하방외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외향연장부를 갖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면 침수되는 하부본체가 상부본체보다 넓게 형성되어 파도와 같은 물의 움직임에 안정적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다수의 부력체를 수용하며 상기 다수의 격실을 이루는 중앙수용공간과, 상기 상부외향연장부와 상기 하부외향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외곽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외곽수용공간이 중앙수용공간보다 넓게 형성되어 파도에도 안정적인 부력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기 위한 지지대결합부를 더 포함하면 지지대가 개폐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지지연결부는, 상기 지지대결합부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대의 다수의 측방에서 탄성을 가하는 다수의 측방탄성지지부와, 상기 지지대결합부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대의 다수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탄성을 가하는 다수의 상방탄성지지부;를 포함하면 측방과 하방에서 탄성을 가하여 흔들림에 대한 유연성을 갖도록 하여 흔들림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지지대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해제되는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하는 지지대 이탈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연결부는, 상기 이탈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대의 다수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탄성을 가하는 다수의 하방탄성지지부;를 포함하면 지지대의 상방에서 탄성을 가하여 흔들림에 대한 상하 유연성을 증가시켜 흔들림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획벽의 일부를 물림수용하는 물림결합부가 형성되면 구획벽의 일부가 물림결합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므로 다수의 격실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상하우징과 부력체에 의해 구조물을 수면 위에 부상시킬 수 있으며 지지대에 개폐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도에 의해 부상하우징과 구조물이 상호 흔들리는 경우에도 탄성지지연결부에 의해 연결부위가 유연하게 되므로 연결부위의 부하가 감소하므로 연결부위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의 설치예시도이다.
도 2는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하우징본체의 상세도이다.
도 4는 하우징본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탄성지지연결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지지대와 탄성지지연결부의 설치단면도이다.
도 7은 완충날개의 예시도이다.
도 8은 함몰부의 예시도이다.
도 9는 수평의 지지대 길이가 조절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수직의 지지대 길이가 조절되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1)의 설치예시도이고, 도 2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하우징본체(11)의 상세도이고, 도 4는 하우징본체(11)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탄성지지연결부(50)의 상세도이고, 도 6은 지지대(40)와 탄성지지연결부(50)의 설치단면도이며, 도 7은 완충날개(70)의 예시도이며, 도 8은 함몰부(113)의 예시도이다.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1)는 메인부상하우징(10), 보조부상하우징(15), 부력체(20), 개폐부(30), 지지대(40), 탄성지지연결부(50), 이탈저지부(60) 및 완충날개(70)를 포함한다.
메인부상하우징(10)은 부력체(11)를 수용하여 수면에 부상할 수 있고, 구조물(2)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한다. 메인부상하우징(10)은 메인하우징본체(11)와 메인구획벽(12)을 포함한다.
메인하우징본체(11)는 상방으로 개방된 입출개구를 갖고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수용공간은 다수의 부력체(20)를 수용하며 다수의 격실을 이루는 중앙수용공간과 후술할 상부외향연장부(111-1)와 하부외향연장부(112-1)에 의해 형성되는 외곽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하우징본체(11)는 메인상부본체(111), 메인하부본체(112), 함몰부(113), 지지대결합부(114), 하우징물림부(미도시) 및 관통부(116)를 포함한다.
메인상부본체(111)는 입출개구가 형성되며, 투입개구로부터 하방외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외향연장부(111-1)를 갖는다.
메인하부본체(112)는 메인상부본체(11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외향연장부(111-1)의 연장 말단으로부터 하방외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외향연장부(112-1)를 갖는다.
함몰부(113)는 메인하우징본체(11)가 수면에 부상된 상태에서 수평영역 중앙영역에서 수직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지지대결합부(114)는 지지대(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메인상부본체(111)의 측벽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하우징물림부(미도시)는 구획벽(12)의 하단의 일부영역이 수용 삽입되면서 물림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관통부(116)는 함몰부(113)로부터 메인상부본체(111)와 메인하부본체(112)의 측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함몰부(113)로 유입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획벽(12)은 수용공간을 다수의 격실로 구획한다. 구획벽(12)은 다수로 마련되어 그 수에 따라 격실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구획벽(12)은 측방탄성수용부(32), 상방탄성수용부(33) 및 하방탄성수용부(6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형성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부상하우징(1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부상하우징(10)은 수평영역 및 수직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보조부상하우징(15)은 메인부상하우징(10)에 결합되어 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조부상하우징(15)은 보조하우징본체(151)와 보조구획벽(152)을 갖는다. 보조부상하우징(15)은 메인부상하우징(10)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메인부상하우징(10)에 결합되기 편한 형상 또는 부상의 안정성을 위하여 측방으로 넓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보조하우징본체(151)와 보조구획벽(152)은 메인하우징본체(11)와 구획벽(12)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조금은 단순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보조하우징본체(151)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외향 연장 형성되는 보조외향연장부(151-1)을 가질 수 있다. 보조구획벽(152)은 구획벽(12)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부력체(20)는 메인하우징본체(11)와 보조하우징본체(151)에 형성된 다수의 격실 각각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다수의 격실에 입출 가능하게 수용되며 부력을 가지며 다수로 마련된다. 부력체(20)는 폴리스티렌, 우레탄, 스타이렌 등을 발포하여 형성되며, 내부에 기포가 형성되어 부력을 갖는다. 부력체(20)의 내부의 기포는 외부와 격리되어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부력을 잃지 않는다.
여기서, 부력체(20)는 외곽수용공간에 직접 폴리스티렌, 우레탄, 스타이렌 등을 증기와 함께 발포하여 외곽수용공간을 채우며 형성될 수도 있다.
개폐부(30)는 메인부상하우징(10)과 보조부상하우징(15)의 입출개구 및 다수의 격실을 개방 가능하게 차폐한다. 개폐부(30)는 지지대결합부(31), 측방탄성수용부(32), 상방탄성수용부(33), 물림결합부(34) 및 실링부(35)를 갖는다.
지지대결합부(31)는 지지대(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롯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방탄성수용부(32)는 후술할 측방탄성지지부(51)의 측방피스톤(511)과 측방탄성부재(512)를 수용할 수 있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된다. 측방탄성수용부(32)는 지지대결합부(31)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방탄성수용부(33)는 후술할 상방탄성지지부(52)의 상방피스톤(521)과 상방탄성부재(522)를 수용할 수 있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방탄성수용부(33)는 지지대결합부(31)를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물림결합부(34)는 구획벽(12)의 말단 영역을 수용하면서 물림결합되도록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림결합부(34)는 지지대결합부(31)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구획벽(12)의 위치에 따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35)는 개폐부(30)가 메인부상하우징(10)과 보조부상하우징(15)의 입출개구를 차폐하는 위치에서 개폐부(30)와 메인부상하우징(10)과 보조부상하우징(15) 사이에 개재되어 상호 접근에 의해 압축되면서 기밀 또는 수밀하게 물과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실링부(35)는 오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40)는 개폐부(30)에 지지되어 구조물(2)을 지지한다. 지지대(40)는 긴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개폐부(30)의 지지대결합부(31)에 수용되며 결합된다.
지지대(40)는 소정 길이의 관 들이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소정 길이의 관 들은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져 하나의 관이 연결된 다른 관 내측으로 중첩되어 그 길이가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관은 외측에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관은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둘 중 적어도 하나의 관을 회전시키면 상호 중첩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지지대(40)는 상호 결합이 되기 위하여 길이방향이 아닌 수직으로 연결이 되기도 하는데, 연결되는 분기점부분에는 상호 연결된 후 상호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지대(40)의 소정 길이의 관은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자동으로 길이가 증가하거나 감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40)의 경우 개폐부(30) 및 하우징(10) 중 적어도 하나에 암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지지대 수용공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수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40)가 회전되어 개폐부(30) 및 하우징(10)에 대한 수직방향으로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다.
탄성지지연결부(50)는 지지대(40)와 개폐부(30)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대(30)와 개폐부(30)를 상호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연결한다. 탄성지지연결부(50)는 측방탄성지지부(51), 상방탄성지지부(52) 및 하방탄성지지부(53)을 갖는다.
측방탄성지지부(51)는 개폐부(30)의 측방탄성수용부(32)에 수용되는 측방피스톤(511)과 측방탄성부재(512)로 이루어진다. 측방탄성지지부(51)는 파도 등에 의해 흔들리는 구조물(2)과 메인부상하우징(10)에 의해 지지대(40)가 측방으로 부하를 받는 경우 완충시키는 탄성을 지지대(40)의 측방으로 가한다.
상방탄성지지부(52)는 개폐부(30)의 상방탄성수용부(33)에 수용되는 상방피스톤(521)과 상방탄성부재(522)로 이루어진다. 상방탄성지지부(52)는 파도 등에 의해 흔들리는 구조물(2)과 메인부상하우징(10)에 의해 지지대(40)가 하방으로 부하를 받는 경우 완충시키는 탄성을 지지대(4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가한다.
하방탄성지지부(53)는 후술할 이탈저지부(60)의 하방탄성수용부(62)에 수용되는 하방피스톤(531)과 하방탄성부재(532)로 이루어진다. 하방탄성지지부(53)는 파도 등에 의해 흔들리는 구조물(2)과 메인부상하우징(10)에 의해 지지대(40)가 상방으로 부하를 받는 경우 완충시키는 탄성을 지지대(4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한다.
탄성지지연결부(5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 있지만 압축공기로 마련되어 탄성을 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탈저지부(60)는 지지대(40)가 지지대결합부(31)에 수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 해제되는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할 수 있다. 이탈저지부(60)는 복수로 마련되며 막대형상의 이탈저지본체(61)와 하방탄성수용부(62)를 갖는다. 하방탄성수용부(62)는 하방탄성지지부(53)의 하방피스톤(531)과 하방탄성부재(532)를 수용할 수 있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련된다. 하방탄성수용부(33)는 복수의 이탈저지본체(61)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날개(70)는 수면 아래에 잠기는 메인하우징본체(10)로부터 측방, 측하방 및 측상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물의 움직임에 대한 메인하우징본체(10)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완충날개(70)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둥그런 형상으로 마련되어 메인하우징본체(10)의 상방으로 움직임에 대한 저항력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메인하우징본체(11)와 보조하우징본체(15)의 측단면도이다.
구획벽(12)에 의해 다수의 격실이 마련되는 메인하우징본체(11)의 중앙수용공간(A)과, 상부외향연장부(111-1)와 하부외향연장부(112-1)에 의한 메인하우징본체(11)의 외곽수용공간(B)과, 보조구획벽(152)에 의해 다수의 격실이 마련되는 보조하우징본체(151)의 중앙수용공간(C)과, 보조외향연장부(151-1)에 의해 형성된 보조하우징본체(151)의 외곽수용공간(D)를 나타낸다.
도 5는 탄성지지연결부(50)의 상세도이다.
도 5 (a) 지지대(40)의 길이방향 즉, 축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의 단면이다.
도 5 (b) 지지대(40)의 길이방향을 볼 수 있는 측의 단면이다.
도 6은 지지대(40)와 탄성지지연결부(50)의 설치단면도이다.
도 9는 수평의 지지대 길이가 조절되는 예시도이다.
수평의 지지대(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각각에는 수평회전모터(401 내지 408)가 연결되어 있고, 풍속센서(80) 및 파도높이센서(82)가 장착되어 있으며,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1)는 풍속센서(80) 및 파도높이센서(82)의 신호를 수신하면 소정 풍속 이상이거나 소정 파도높이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수평회전모터(401 내지 408)가 회전되도록 하여 수평의 지지대(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가 상호 중첩되면서 길이가 감소하도록 할 수 있는 제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a) 좌측의 메인부상하우징(10-1)과 우측의 메인부상하우징(10-2)이 수평의 지지대(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에 의해 상호 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9 (b) 제어부(90)는 풍속센서(80) 및 파도높이센서(82)의 신호가 소정 풍속 이상이거나 소정 파도높이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수평회전모터(401 내지 408)가 회전되도록 하여 수평의 지지대(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가 상호 중첩되면서 길이가 감소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좌측의 메인부상하우징(10-1)과 우측의 메인부상하우징(10-2)의 간격이 없어지며 파도에 저항하기 쉬운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10은 수직의 지지대 길이가 조절되는 예시도이다.
수직의 지지대(40-9, 40-10, 40-11, 40-12)에는 각각에는 수직회전모터(409 내지 412)가 연결되어 있고, 풍속센서(80) 및 파도높이센서(82)가 장착되어 있으며,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1)는 풍속센서(80) 및 파도높이센서(82)의 신호를 수신하면 소정 풍속 이상이거나 소정 파도높이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수직회전모터(409 내지 412)가 회전되도록 하여 수직의 지지대(40-9, 40-10, 40-11, 40-12)가 개폐부(30) 및 하우징(10) 중 적어도 하나에 암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지지대 수용공을 따라 하강하도록 하는 제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 (a) 좌측의 메인부상하우징(10-1)과 우측의 메인부상하우징(10-2)이 수직의 지지대(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에 의해 상호 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수직의 지지대(40-9, 40-10, 40-11, 40-12)가 태양광발전구조물(2)을 상방으로 소정 높이 이상으로 들어올려 지지하고 있다.
도 10 (b) 제어부(90)는 풍속센서(80) 및 파도높이센서(82)의 신호가 소정 풍속 이상이거나 소정 파도높이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수직회전모터(409 내지 412)가 회전되도록 하여 수직의 지지대(40-9, 40-10, 40-11, 40-12)가 개폐부(30) 및 하우징(10) 중 적어도 하나에 암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지지대 수용공을 따라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태양광발전구조물(2)와 좌측의 메인부상하우징(10-1) 및 우측의 메인부상하우징(10-2)의 간격이 없어지며 파도에 저항하기 쉬운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 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상기 지지대(40)는 길이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분리된 지지대 각각은 소정 각도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결합되어 파도의 흔들림에 대하여 부하를 줄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와 개폐부 중 일측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축과 연장축과 일체로 형성된 볼형상의 회전연결부를 갖고, 타측은 상기 회전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공을 갖는 회전연결부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대와 개폐부는 상호 흔들리는 경우에 회전연결부가 회전연결부수용부에 회전되어 흔들림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1)로 인하여, 지지대에 개폐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도에 의해 부상하우징과 구조물이 상호 흔들리는 경우에도 탄성지지연결부에 의해 연결부위가 유연하게 되므로 부하가 작아져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침수되는 하부본체가 상부본체보다 넓게 형성되어 파도와 같은 물의 움직임에 안정적일 수 있다. 외곽수용공간이 중앙수용공간보다 넓게 형성되어 파도에도 안정적인 부력을 형성할 수 있다. 파도에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상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함몰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파도에 따른 흔들림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될 수 있다.
지지대결합부로 인하여 지지대가 개폐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측방탄성지지부와 상방탄성지지부로 인하여 측방과 하방에서 탄성을 가하여 흔들림에 대한 유연성을 갖도록 하여 흔들림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수의 하방탄성지지부로 인하여 지지대의 상방에서 탄성을 가하여 흔들림에 대한 상하 유연성을 증가시켜 흔들림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완충날개로 인하여 바람에 의해 구조물과 부상조립체가 기울어지면서 흔들리는 경우에도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물림결합부로 인하여 구획벽의 일부가 물림결합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므로 다수의 격실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1 :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2 : 구조물
10 : 메인부상하우징 11 : 메인하우징본체
12 : 구획벽 15 : 보조부상하우징
20 : 부력체 30 : 개폐부
31, 114 : 지지대결합부 32 : 측방탄성수용부
33 : 상방탄성수용부 34 : 물림결합부
35 : 실링부 40 : 지지대
50 : 탄성지지연결부 51 : 측방탄성지지부
52 : 상방탄성지지부 53 : 하방탄성지지부
60 : 이탈저지부 61 : 이탈저지본체
62 : 하방탄성수용부 70 : 완충날개
80: 풍속센서 82: 파도높이센서
90: 제어부 111 : 메인상부본체
112 : 메인하부본체 113 : 함몰부
115 : 하우징물림부 116 : 관통부
151 : 보조하우징본체 152 : 보조구획벽
401 내지 408: 수평회전모터 409 내지 412: 수직회전모터
511 : 측방피스톤 512 : 측방탄성부재
521 : 상방피스톤 522 : 상방탄성부재

Claims (10)

  1.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에 있어서,
    상방으로 개방된 입출개구를 갖고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수용공간을 다수의 격실로 구획하는 구획벽을 갖는 부상하우징;
    상기 다수의 격실에 입출 가능하게 수용되며 부력을 갖는 다수의 부력체;
    상기 입출개구 및 상기 다수의 격실을 개방 가능하게 차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지지되어 상기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개폐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개폐부를 상호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연결하는 탄성지지연결부;
    수면 아래에 잠기는 상기 하우징본체로부터 측방, 측하방 및 측상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물의 움직임에 대한 상기 하우징본체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완충날개;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개폐부 중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축과 연장축과 일체로 형성된 볼형상의 회전연결부;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개폐부 중 타측으로부터 상기 회전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공을 갖는 회전연결부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풍속을 감지하는 풍속센서;
    파도높이를 감지하는 파도높이센서; 및
    상기 풍속센서 및 상기 파도높이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면 소정 풍속 이상이거나 소정 파도높이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지지대가 상호 중첩되면서 길이가 감소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하우징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부상하우징은 수평영역 및 수직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수면에 부상된 상태에서 수평영역 중앙영역에서 수직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하방외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부외향연장부를 갖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외향연장부 연장말단으로부터 하방외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외향연장부를 갖는 하부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다수의 부력체를 수용하며 상기 다수의 격실을 이루는 중앙수용공간과, 상기 상부외향연장부와 상기 하부외향연장부에 의해 형성되는 외곽수용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지지대가 결합되기 위한 지지대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연결부는,
    상기 지지대결합부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대의 다수의 측방에서 탄성을 가하는 다수의 측방탄성지지부와, 상기 지지대결합부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대의 다수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탄성을 가하는 다수의 상방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상기 지지대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해제되는 방향으로의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연결부는, 상기 이탈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대의 다수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탄성을 가하는 다수의 하방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구획벽의 일부를 물림수용하는 물림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KR1020230116624A 2021-09-06 2023-09-04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KR102657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6624A KR102657017B1 (ko) 2021-09-06 2023-09-04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17A KR102609539B1 (ko) 2021-09-06 2021-09-06 수상용 부상조립체
KR1020230116624A KR102657017B1 (ko) 2021-09-06 2023-09-04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417A Division KR102609539B1 (ko) 2021-09-06 2021-09-06 수상용 부상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416A true KR20230132416A (ko) 2023-09-15
KR102657017B1 KR102657017B1 (ko) 2024-04-11

Family

ID=8550300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417A KR102609539B1 (ko) 2021-09-06 2021-09-06 수상용 부상조립체
KR1020230116624A KR102657017B1 (ko) 2021-09-06 2023-09-04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KR1020230116622A KR20230132414A (ko) 2021-09-06 2023-09-04 부양보조유닛
KR1020230116623A KR20230132415A (ko) 2021-09-06 2023-09-04 흔들림을 방지하는 부유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417A KR102609539B1 (ko) 2021-09-06 2021-09-06 수상용 부상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6622A KR20230132414A (ko) 2021-09-06 2023-09-04 부양보조유닛
KR1020230116623A KR20230132415A (ko) 2021-09-06 2023-09-04 흔들림을 방지하는 부유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6095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273A (ja) * 1993-09-03 1995-03-14 Sumitomo Electric Ind Ltd 水面ブイ
KR101083025B1 (ko) * 2010-11-29 2011-11-16 주식회사 지주 외력에 대한 휨강도가 강화된 폰툰 구조물
KR20160054231A (ko) * 2014-11-06 2016-05-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813573B1 (ko) * 2016-12-29 2018-01-02 넥스트 주식회사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20190121908A (ko) * 2018-04-19 2019-10-29 임재호 부력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273A (ja) * 1993-09-03 1995-03-14 Sumitomo Electric Ind Ltd 水面ブイ
KR101083025B1 (ko) * 2010-11-29 2011-11-16 주식회사 지주 외력에 대한 휨강도가 강화된 폰툰 구조물
KR20160054231A (ko) * 2014-11-06 2016-05-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KR101813573B1 (ko) * 2016-12-29 2018-01-02 넥스트 주식회사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20190121908A (ko) * 2018-04-19 2019-10-29 임재호 부력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414A (ko) 2023-09-15
KR102609539B1 (ko) 2023-12-01
KR20230132415A (ko) 2023-09-15
KR102657017B1 (ko) 2024-04-11
KR20230035873A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1425B1 (en) Tethered marine stabilizing system
CA2239286C (en) Hybrid boat and underwater watercraft
KR100651203B1 (ko) 심해무인잠수정의 부력 및 자세 조절장치 및 그 시스템
JP2006326055A (ja) 魚ロボット構造
KR102087229B1 (ko) 부력조립체
KR102657017B1 (ko) 부유한 상태에서 흔들림부하를 감소시키는 부유조립체
US5655938A (en) Variable buoyancy ballast and flotation unit for submerged objects or structures
WO2015056837A1 (ko) 복합 다기능 피이 부잔교
CA2014361A1 (en) Float
GB2114079A (en) Semi-submersible vessel
KR100951177B1 (ko) 어초블록을 가진 부상장치
JP2018094961A (ja) 浮沈装置
KR102145055B1 (ko) 기압차에 의한 요동저감장치를 구비한 콘크리트 부유체
KR101358201B1 (ko) 선저에 공기공동으로 인한 침수표면적 감소로 인한 마찰저항 저감장치를 구비하는 선박
JPH0325136B2 (ko)
KR102448906B1 (ko) 리프트장치를 수납할 수 있는 선박
KR102404347B1 (ko) 소형선의 안정성 강화를 위한 이중선체구조
JP2001081721A (ja) 免振水上浮設構造物
KR101479168B1 (ko) 반잠수 만곡판 부방파제
WO2023055117A1 (ko) 조파 저항 저감형 선박
KR102509363B1 (ko) 부유식 해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평형수 저장수단을 구비한 부력장치
KR102268241B1 (ko) 무인 수상정 및 그 제조방법
CN109229313B (zh) 一种潜水器框架结构及潜水器
KR200396791Y1 (ko) 해상구조물의 동요 방지장치
JPS583756Y2 (ja) 浮体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