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195A - 안전모 보관대 - Google Patents

안전모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195A
KR20230132195A KR1020220029422A KR20220029422A KR20230132195A KR 20230132195 A KR20230132195 A KR 20230132195A KR 1020220029422 A KR1020220029422 A KR 1020220029422A KR 20220029422 A KR20220029422 A KR 20220029422A KR 20230132195 A KR20230132195 A KR 20230132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safety helmet
insertion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빈
Original Assignee
이종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빈 filed Critical 이종빈
Priority to KR102022002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195A/ko
Publication of KR20230132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0Hat holders; Hat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에 결합되며 상향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모 보관대{A safety helmet holder}
본 발명은 안전모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모를 보관할 수 있는 안전모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안전모 보관대는 각종 산업 현장에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안전모를 사용하고 난 후, 보관할 때에 안전모 보관대에 안전모를 걸어 보관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모 보관대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의 안전모 보관대는 평판을 이루고 있는 몸체(10)에 상부에 등간격으로 안전모(30)를 삽입 안착시킬 수 있는 안전모 재치부(11)를 형성시키고, 이의 상방에는 인식표(13)를 삽입할 수 있는 인식표삽입구(12)를 구비시켜 개개인의 안전모(30)를 지정된 안전모 재치부(11)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에서 20은 갈고리 형태의 걸이구를 도시한 것으로, 작업복(40)이나 기타 안전모(30)에 설치되는 안전벨트(31) 및 각종 용구들을 걸어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모 보관대는 안전모 재치부(11)로부터 안전모(30)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하나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안전모(30)를 삽입할 수 있는 안전모 재치부(11)의 개수 조정이 용이하지 않고, 제조가 어려우며, 이동 설치가 어려워 차량 실내와 같은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안전모(30)가 비나 눈 또는 먼지에 노출되어 위생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1997-0056784호 공개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체에 결합된 삽입부재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안전모의 이탈이 방지되며, 안전모 개수에 따라 안전모 보관대 설치가 가능하고, 벽 또는 차량 등에 설치 가능하여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이 적으며, 커버가 구비되어 안전모를 위생적으로 보관 가능한 안전모 보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판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구비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에 결합되며 상향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보관대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삽입부재는 폭 방향 양측이 본체에 결합된 밴드인 삽입테두리부와, 상단이 상기 삽입테두리부에 결합되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에 결합된 망체인 삽입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테두리부의 길이는 본체의 폭보다 길고, 삽입본체도 본체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재와 본체 사이에는 상향 개구된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는 지지체가 되는 판상의 본체지지부와, 상기 본체지지부의 전방에 구비된 전면부와, 상기 지지체의 후방에 구비된 후면부와,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구비되는 본체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에는 삽입부재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와 본체지지부 사이로 구비되어 전면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 가능하여 본체와 삽입부재 사이로 삽입된 안전모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커버는 방수 재질의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안전모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는 삽입부재의 외측으로 안전모를 덮고 커버테두리 일부는 본체의 하부를 지나 본체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전면부의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지퍼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는 신축 가능한 밴드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부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의 타단은 전면부의 개구부의 내측으로 본체에 결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본체의 상단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는 설치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밴드 형태의 보조고정부가 결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는 본체에 결합된 삽입부재가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안전모의 이탈이 방지되며, 안전모 개수에 따라 안전모 보관대 설치가 가능하고, 벽 또는 차량 등에 설치 가능하여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이 적으며, 커버가 구비되어 안전모를 위생적으로 보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모 보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에 안전모를 보관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를 도시한 배면도로서 커버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3의 "A"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안전모 보관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에 안전모를 보관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를 도시한 배면도로서 커버가 씌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3의 "A"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 3의 좌측을 전방으로 기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100)는 본체(110)와, 삽입부재(120)와, 커버(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110)는 판상으로 하부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폭 방향 양측은 하부 라운드 형태에서 상향 연장되고, 상단은 폭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과 폭 방향 양측의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는 본체(110)의 일 형태를 설명한 것으로 다양한 변형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본체(110)는 본체지지부(113)와, 전면부(111)와, 후면부(115)와, 본체테두리부(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지지부(113)는 지지체가 되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지지부(113)는 플라스틱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지지부(113)는 하부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 폭 방향 양측은 하부 라운드 형태에서 상향 연장되고, 상단은 폭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과 폭 방향 양측의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111)는 상기 본체지지부(113)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전면부(111)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부(111)는 도 5와 같이 상기 본체지지부(113)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본체지지부(113)와 전면부(111)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부(111)에는 삽입부재(120)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지퍼(114)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부(111)에는 상기 지퍼(114)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사용자의 인식표를 삽입할 수 있는 인식표부(1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면부(115)는 상기 본체지지부(113)의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후면부(115)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면부(115)는 상기 본체지지부(113)의 후방에 접착제로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테두리부(117)는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부(111)와 후면부(115)를 감싸 구비된다. 상기 본체테두리부(117)는 섬유로 이루어진 밴드 형태로, 본체지지부(113)의 전후로 전면부(111)와 후면부(115)가 적층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부(111)와 후면부(115) 양측을 덮은 상태에서 박음질되어 구비된다. 이때 삽입부재(120)의 가장자리도 전면부(111)와 본체테두리부(117) 사이에 위치하여 함께 박음질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단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 설치공(119)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119)은 금속 링을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설치공(119)에 고리 등을 걸어 안전모 보관대(100)를 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110)의 하단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밴드 형태인 보조고정부(116)가 더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부(116)에는 관통공(116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161)은 금속 링을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부(116)를 구비함으로써 보조고정부(116)에 고리 등으로 결합하여, 설치된 장소로부터 바람 등에 의하여 안전모 보관대(100)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된다.
차량에 설치될 경우, 양측 설치공(119)으로 밴드를 삽입하여 헤드레스트 부분에 결합하고, 보조고정부(116)에 밴드(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하단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110)에 결합된다. 상기 삽입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에 결합되어 상향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재(120)는 폭 방향 양측이 본체(110)에 결합된 신축 가능한 밴드인 삽입테두리부(121)와, 망체이며 상단이 상기 삽입테두리부(121)에 결합되며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110)에 결합된 삽입본체(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테두리부(121)의 길이는 본체(110)의 폭보다 길고, 삽입본체(123)도 본체(1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재(120)와 본체(110) 사이에는 상향 개구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테두리부(121)의 폭 방향 중심부에는 손으로 파지하여 당길 수 있는 손잡이(118)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120)와 본체(110) 사이인 상향 개구된 공간 상부에서 상기 삽입부재(120)와 본체(110) 사이로 안전모(SC)를 넣어 보관한다. 이때 손잡이(118)를 당겨 삽입부재(120)가 늘어난 상태에서 안전모(SC)를 넣으면 편하게 넣을 수 있다. 안전모(SC)는 삽입부재(120)와 본체(110) 사이로 삽입되어, 외측에서 삽입부재(120)가 안전모(SC)를 감싼 상태로 된다. 상기 삽입본체(123)는 망체로 형성되어 안전모(SC)에 묻은 이물질은 하부로 삽입본체(123)를 지나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부(111)와 본체지지부(113) 사이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전면부(111)에 형성된 개구부인 지퍼(114)를 통하여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커버(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퍼(114) 내에서 일부분이 본체(110)의 전면부(111) 내측으로 박음질되어 결합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지퍼(114)를 통하여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커버(13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면부(111)와 본체지지부(113) 사이로 넣어 지퍼(114)를 닫아 보관하며, 사용할 때는 지퍼(114)를 열고 커버(130)를 꺼내어 사용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본체(110)와 삽입부재(120) 사이로 삽입 구비된 안전모(SC)를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130)는 커버본체(133)와 커버테두리(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본체(133)는 방수 재질이다. 상기 커버본체(133)는 방수 코팅된 합성 섬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133)는 안전모(SC)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본체(1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퍼(114) 내에서 일부분이 전면부(111) 내측으로 박음질되어 본체(11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테두리(131)는 상기 커버본체(133)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커버테두리(131)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테두리(131)는 상기 커버본체(133)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되어 구비된다. 상기 커버테두리(131)는 상기 커버본체(133)의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되어 양단이 상기 커버본체(133)와 함께 전면부(111) 내측으로 박음질되어 본체(110)에 결합된다. 상기 커버테두리(131)가 박음질되어 결합되고, 커버본체(133)는 오목하게 변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져, 안전모(SC)가 삽입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30)가 안전모(SC)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130)는 삽입부재(120)의 외측으로 안전모(SC)를 덮고 커버테두리(131) 일부는 본체(110)의 하부를 지나 본체(110)의 배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모 보관대(100)는 전면부(111)에 연결된 밴드 재질인 연결부(1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커버(130)가 본체(110)에 연결부(140)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연결부(140)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부(111)에 형성된 개구부인 지퍼(114)를 통하여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40)는 신축 가능한 밴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140)의 일단은 상기 커버(13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전면부(111)의 개구부 내측으로 본체(110)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40)는 연결밴드(141)와 결합부(1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밴드(141)는 2개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연결밴드(141)는 일측 단부가 상기 커버(130)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는 결합부(143)가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의 연결밴드(141)는 일측 단부가 전면부(111)의 개구부 내측으로 본체(110)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결합부(143)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43)는 착탈 가능한 버클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밴드(141)는 결합부(143)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결합부(143)가 착탈 가능하여 커버(130)가 오염되는 경우 본체(110)로부터 커버(130)를 분리하여 세탁할 수 있어 커버(130)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안전모 보관대(100)는 필요한 개수만큼 낱개로 설치할 수 있어 비용과 공간이 절약되며, 벽 또는 차량 등에 설치 가능하여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이 감소하였다.
100: 안전모 보관대 SC: 안전모
110: 본체 120: 삽입부재
130: 커버 140: 연결부

Claims (6)

  1. 판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부재(120)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120)는 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이격된 위치에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110)에 결합되며 상향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보관대(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120)는 폭 방향 양측이 본체(110)에 결합된 밴드인 삽입테두리부(121)와, 상단이 상기 삽입테두리부(121)에 결합되며 본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110)에 결합된 망체인 삽입본체(123)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테두리부(121)의 길이는 본체(110)의 폭보다 길고, 삽입본체(123)도 본체(110)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재(120)와 본체(110) 사이에는 상향 개구된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보관대(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지지체가 되는 판상의 본체지지부(113)와, 상기 본체지지부(113)의 전방에 구비된 전면부(111)와, 상기 본체지지부(113)의 후방에 구비된 후면부(115)와,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부(111)와 후면부(115)를 감싸 구비되는 본체테두리부(117)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111)에는 삽입부재(120)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서 폭 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111)와 본체지지부(113) 사이로 구비되어 전면부(111)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인출 가능하여 본체(110)와 삽입부재(120) 사이로 삽입된 안전모(SC)를 덮는 커버(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보관대(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30)는 방수 재질의 커버본체(133)와, 상기 커버본체(133)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커버테두리(131)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30)가 안전모(SC)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커버(130)는 삽입부재(120)의 외측으로 안전모(SC)를 덮고 커버테두리(131) 일부는 본체(110)의 하부를 지나 본체(110)의 배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보관대(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1)의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지퍼(114)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130)에는 신축 가능한 밴드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부(140)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140)의 타단은 전면부(111)의 개구부의 내측으로 본체(110)에 결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보관대(100).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상단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는 설치공(119)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의 하단에는 관통공(1161)이 형성된 플렉시블한 재질의 밴드 형태의 보조고정부(116)가 결합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보관대(100).
KR1020220029422A 2022-03-08 2022-03-08 안전모 보관대 KR20230132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422A KR20230132195A (ko) 2022-03-08 2022-03-08 안전모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422A KR20230132195A (ko) 2022-03-08 2022-03-08 안전모 보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95A true KR20230132195A (ko) 2023-09-15

Family

ID=8801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422A KR20230132195A (ko) 2022-03-08 2022-03-08 안전모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19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784U (ko) 1996-04-04 1997-11-10 곽진섭 다목적 걸이구를 구비한 안전모 보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784U (ko) 1996-04-04 1997-11-10 곽진섭 다목적 걸이구를 구비한 안전모 보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8272E1 (en) Golf cart frame enclosure attachment device
US6209941B1 (en) All-terrain vehicle rack utility box
US6441288B1 (en) Guitar cover for protecting guitar supported on guitar stand
CH667377A5 (it) Casco protettivo trattenuto posteriormente alla testa.
US7320411B1 (en) Selectively sealable container liner
US20060277646A1 (en) Garment with retractable fringes
US7959006B2 (en) Bag with elastic support members
JP6153186B1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KR20230132195A (ko) 안전모 보관대
US4389806A (en) Lure case
JP6415169B2 (ja) 自転車用前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KR100559450B1 (ko)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CN212572905U (zh) 一种耳机头梁保护套
JP2003227681A (ja) 冷蔵庫用収納具
US20060026747A1 (en) Shower curtain liner assembly
JP6647615B1 (ja)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カバー
KR102014995B1 (ko) 애완동물 캐리어
JP2006129997A (ja) カバー用具保持具
KR100929708B1 (ko) 휴대용 루프캐리어
JP3023555B2 (ja) 綴り込み可能な収納ケース
US20040004050A1 (en) Closet shelf dust protection system
JP3043044U (ja) 携帯電話の収納構造
JP3704316B2 (ja) 寝具カバー
JP7116876B2 (ja) ランドセル
KR200228045Y1 (ko) 골프 클럽 헤드카바가 장착되어진 골프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