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450B1 -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 Google Patents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450B1
KR100559450B1 KR1020050136255A KR20050136255A KR100559450B1 KR 100559450 B1 KR100559450 B1 KR 100559450B1 KR 1020050136255 A KR1020050136255 A KR 1020050136255A KR 20050136255 A KR20050136255 A KR 20050136255A KR 100559450 B1 KR100559450 B1 KR 10055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shade
detachable
sunshade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5332A (ko
Inventor
이삼준
Original Assignee
이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삼준 filed Critical 이삼준
Priority to KR102005013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4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6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ars or nape
    • A42B1/0187Removable protection for the nape, e.g. sun or rai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6Visors with sunscreens, e.g. tinted or dual visor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막을 안전모 및 모자에 설치하게 하는 차양막결착구가 안전모 및 모자의 전방테두리부 및 차양(이하, 안전모 및 모자를 안전모로 통칭하고, 전방테두리부와 차양을 전방테두리부로 각각 통칭함)의 중앙부에 클립식으로 끼워지게 하고, 차양막결착구의 양측에는 차양막을 설치함으로서, 안전모에 설치하는 착탈그늘막을 안전모에 쉽게 끼움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 일단 설치한 착탈그늘막이 저절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 상측에는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차양막결착구(5)를 설치한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결착구(5)는 안전모(3)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방테두리(4)의 중앙상면에 얹혀지는 상면고정판(7)이 구비되고, 이 상면고정판(7)의 중앙하부에는 단면이 "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차양막(2)은 상부에 고무줄(12)이 장착되며,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는 차양막결착구(5)의 양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모, 차양막, 착탈그늘막, 클립, 차양막결착구, 고무줄삽입부

Description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Detachable shading screen for a safety helmet and a ca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차양막결착구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의 (가)(나)는 도 5에 표시된 "A"부의 구조와 작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사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7에 표시된 "B"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오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육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칠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칠실시예의 요부인 차양막결착구의 저면 사시도.
도 13의 (가) 내지 (라)는 도 12에 도시된 차양막결착구의 각종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착탈그늘막 2 : 차양막 3 : 안전모
4 : 전방테두리 5 : 차양막결착구 6 : 후방걸이구
7 : 상면고정판 8 : 하부지지살 9 : 클립
10 : 마스크 11 : 끼움수단 12 : 고무줄
13 : 힌지핀 14 : 연결구 15 : 힌지구멍
16 : 끼움수단 17 : 걸이핀 18 : 걸림구
19 : 링형밴드 20 : 고무줄삽입부 21 : 고무줄관통부
본 발명은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막을 안전모 및 모자에 설치하게 하는 차양막결착구가 안전모 및 모자의 전방테두리부 및 차양(이하, 안전모 및 모자를 안전모로 통칭하고, 전방테두리부와 차양을 전방테두리부로 각각 통칭함)의 중앙부에 클립식으로 끼워지게 하고, 차양막결착구의 양측에는 차양막을 설치함으로서, 안전모에 설치하는 착탈그늘막을 안전모에 쉽게 끼움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서 일단 설치한 착탈그늘막이 저절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은 실용신안등록 제397264호로 알려져 있으며, 이 종래고안은 그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햇빛을 가리기 위 해 작업안전모에 착용되는 햇빛가리개에 있어서, 원형의 고무밴드 측면과 후방외주로 원형에 가까운 햇빛차단 망을 일체로 재봉 설치한 다음 상기 햇빛차단 망의 일측 단부에 망으로 된 앞면 가리개의 일측단을 재봉 설치하되, 상기 앞면 가리개는 그 타측단으로 결합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햇빛차단 망의 타측 단부에 설치된 결합수단 내지는 햇빛차단 망의 중앙부에 마련된 결합수단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고안은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을 안전모에 착용 설치할 원형의 고무밴드를 반구형으로 형성된 안전모의 상부외측에 끼우는 것으로, 상기 고무밴드의 내주면이 깨끗한 경우에는 고무밴드가 반구형으로 형성된 안전모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안전모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조여주면서 착용된 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나, 작업현장에서는 흙먼지 등의 이물질이 많이 분포되어 고무밴드부의 내부면이나 안전모의 외부면에 묻어 있어서, 이런 상태에서 고무밴드를 안전모의 외부면에 끼웠을 때 고무밴드부가 안전모의 외부에서 상측으로 쉽게 빠져나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전모를 착용하는 산업현장에서는 각종 날카로운 물체나, 용접 불꽃과 같이 얇은 고무밴드를 손상시키는 조건들이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무밴드가 쉽게 손상되어 종래의 고무밴드에 의한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실시예는 착탈그늘막 을 안전모에 설치하기 위한 차양막결착구를 클립식으로 형성하고, 이런 클립식의 차양막결착구의 양단부에 차양막의 양측 상단부를 고정되게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착탈그늘막을 안전모에 간단하게 끼워 설치할 수 있으면서 한 번 설치된 착탈그늘막은 안전모에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차양막결착구의 양측에 하부지지살을 힌지식으로 하향 형성하여 차양막이 얼굴에 닿지 않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삼사실시예는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차양막결착구의 양측에 차양막결착구와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연결구를 추가 설치하고, 이 연결구에 하부지지살을 힌지식으로 하향 설치함으로서, 차양막의 양측 전방이 얼굴에 닿지 않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지지살을 필요에 따라 후방상측으로 들어올려서 작업자의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차양막결착구와 연결구를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이 간편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사실시예는 삼실시예의 구조적으로 유사한점이 있으나, 연결구의 구조를 보다 더 간단하게 하여 제작이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오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오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차양막결착구와 차양막을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세탁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육실시예는 안전모의 상부외측에 끼움식으로 설치하는 링형밴드의 전방 양측에 하부지지살을 힌지식으로 하향 설치하여 차양막이 얼굴에 닿지 않는 또 다른 형태의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칠실시예는 양단부가 묶여서 링형으로 형성되는 고무줄을 차양막의 상부 전체에 설치하여 차양막의 전방 부분에 고무줄이 노출되고 하고, 안전모의 전방테두리부에 클립식으로 끼워지는 차양막결착구에 고무줄이 끼워져 걸리게 하는 고무줄삽입부을 형성하여 차양막과 차양막결착구를 안전모에 결착시키는 것과, 차양막과 차양막결착구의 결합과 분리이 간편함은 물론이고, 차양막의 세탁이 간편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착탈그늘막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안전모(3)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방테두리(4)에 삽탈식으로 끼워지는 차양막결착구(5)와, 차양막결착구(5)의 양단부에 양측 선단부가 결합 설치되어 안전모(3)를 둘러싸는 차양막(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양막결착구(5)는 안전모(3)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방테두리(4)의 중앙상면에 얹혀지는 상면고정판(7)이 구비되고, 이 상면고정판(7)의 중앙하부에는 단면이 "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 상면이 긴 "ㄷ"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양막(2)은 부직포나 망사지, 헝겊과 같이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얇은 재료로 제작되며, 상부에 고무줄(12)이 장착되며 상부 중앙부에는 안전모(3)의 후방 하단부에 걸게 되는 후방걸이구(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는 차양막결착구(5)의 양단부에 재봉이나 리벳에 의해 고정식으로 결합 설치된다.
다음은 도 4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상면고정판(7)의 선단부 중앙하부에 "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 상면이 긴 "ㄷ"형으로 형성되는 차양막결착구(5)가 형성되고, 이 차양막결착구(5)의 양단부에는 상부에 고무줄(12)이 설치되고 상부 중앙에 후방걸이구(6)가 설치된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 상측이 고정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차양막(2)의 상측 선단부가 결합 설치된 상면고정판(7)의 양측에는 하부지지살(8)이 힌지핀(13) 또는 리벳 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 힌지식으로 결합 설치되며, 이 양측 하부지지살(8)에는 차양막(2)의 양측 선단 수직부가 재봉에 의해 결합되고, 양측 하부지지살(8)의 하단부에는 양측 하부지지살(8)의 하단부를 삽탈식으로 끼울 수 있는 끼움수단(11)이 구비되어 있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차양막(2)는 일이실시예에서 설명한 차양막(2)와 동일하므로 그 것에 대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삼실시예의 본 발명은 양측 상면에는 힌지핀(13)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상면고정판(7)의 선단부 중앙하부에 "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 상면이 긴 "ㄷ"형으로 형성되는 차양막결착구(5)가 형성된다.
상기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 상측에는 일측 선단부가 일측방으로 절개된 힌지구멍(15)을 형성한 연결구(14)의 끝단부가 재봉 또는 리벳으로 고정 결합되고, 이 양측 연결구(14)의 중앙에는 하단부에 끼움수단(11)을 구비한 하부지지살(8)이 힌지식으로 하향 설치되며, 이 양측 하부지지살(8)에는 차양막(2)의 양측 선단 수직부가 재봉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결착구(5)의 양측에 상향 돌출된 힌지핀(13)에는 양측 연결구(14)의 선단부에 형성된 힌지구멍(15)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다음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사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차양막(2)는 일이실시예에서 설명한 차양막(2)와 동일하므로 그 것에 대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사실시예의 본 발명은 양측 상면에 힌지핀(13)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상면고정판(7)의 선단부 중앙하부에 "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 상면이 긴 "ㄷ"형으로 형성되는 차양막결착구(5)가 형성된다.
상기 차양막(2)의 양측 선단 수직부에는 선단부에 힌지구멍(15a)을 형성하고 말단부에 끼움수단(11)을 구비한 하부지지살(8)가 수직방향으로 재봉에 의해 결합되고, 이 하부지지살(8)의 선단 힌지구멍(15a)은 상기 양측 힌지핀(13)에 힌지식으로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 상측에는 일측 선단부에 힌지구멍(15)을 형성한 연결구(14)의 끝단부가 재봉 또는 리벳으로 고정 결합되고, 이 양측 연결구(14)의 힌지구멍(15)은 상기 양측 힌지핀(13)에 힌지식으로 삽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다음은 도 9에 도시된 오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안전모(3)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방테두리(4)에 삽탈식으로 끼워지는 차양막결착구(5)와, 차양막결착구(5)의 양단부에 양측 선단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안전모(3)를 둘러싸는 차양막(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양막결착구(5)는 양측 상면에 걸이핀(17)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상면고정판(7)의 선단부 중앙하부에 "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 상면이 긴 "ㄷ"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차양막(2)은 부직포나 망사지, 헝겊과 같이 햇빛을 가릴 수 있는 얇은 재료로 제작되며, 상부에 고무줄(12)이 장착되며 상부 중앙부에는 안전모(3)의 후방 하단부에 걸게 되는 후방걸이구(6)가 설치되고, 양측 선단부 상측에는 상기 걸이핀(17)에 끼워져 걸리게 되는 걸림구(18)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구(18)은 걸이핀(17)에 끼워지는 통공을 형성한 띠형판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차양막(2)의 상부에 장착된 고무줄(12)을 연장하여 차양막(2)의 양측 상부 선단부로 노출되게 한 뒤에 그 노출된 단부를 고리형으로 형성하여 걸이핀(17)에 걸리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음은 도 10에 도시된 육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이는 안전모(3)의 외측 상부에 끼워지는 링형밴드(19)의 전방 양측에 하부지지살(8)을 하향 설치하며, 링형밴드(19)의 전방을 제외한 전둘레에 차양막(2)을 재봉으로 설치하며, 차양막(2)의 양측 수직부를 양측 하부지지살(8)에 재봉으로 고정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실시예와, 삼실시예, 사실시예의 경우에 양측 하부지지 살(8)이 설치된 차양막(2)의 양측 전방에 마스크(10)를 매직테이프로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칠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차양막(2)과 차양막결착구(5)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양막(2)는 차양막(2)의 상부 전길이를 소정의 폭으로 접은 뒤에 단부를 재봉으로 결합하여 고무줄(12)이 관통하는 고무줄관통부(21)가 형성되고, 이 고무줄관통부(21)에는 양단부가 결합된 링형태의 고무줄(12)을 삽입 설치하여 차양막(2)의 양측 전방에는 고무줄(12)의 전방이 노출되게 되며, 차양막(2)의 후방 중앙부 내측에는 안전모(3)의 후방단부에 걸게 되는 후방걸이구(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결착구(5)는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의 중앙상부에 덮어씌워지는 상면고정판(7)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차양막(2)의 전방으로 노출된 고무줄(12)이 삽입되는 고무줄삽입부(20)가 형성되고, 이 상면고정판(7)의 선단부 중앙하부에 전방테두리(4)에 클립식으로 끼워지는"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무줄삽입부(20)는 도 13의 (가) 내지 (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줄삽입부(20)가 개구된 3가지 실시예와, 개구부가 없이 터널형으로 관통된 1개의 실시예가 있으며, 전자의 고무줄삽입부(20)가 개구된 3개의 실시예는 개구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과, 하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것과, 전방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이 있는데, 도 13의 (나)와 같이 고무줄삽입부(20)의 개구된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는 경우는 고무줄삽입부(20)이 저면을 향하고, 고무줄삽입부(20)로 삽입되는 고무줄(12)이 감춰지므로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무줄관통부(21)는 터널형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이 터널형 고무줄관통부(21)로 삽입되는 고무줄(12)은 헐렁하게 관통되어 차양막(2)의 양단부를 전후방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양측 차양막(2)의 전방 하측에는 암매직테이프(22)를 설치하고 차양막(2)의 중앙부 후방 외측에는 수매직테이프(23)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앞으로 늘어트려진 양측 차양막(2)의 전방부분을 후방으로 제켜서 차양막(2)의 전방측에 설치된 암매직테이프(22)를 차양막(2)의 후방 상측의 수매직테이프(23)에 부착시켜 올릴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착탈그늘막(1)을 안전모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양막(2)의 양측에 설치된 차양막결착구(5)의 클립(9)을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클립식으로 끼우면서 차양막(2)의 상측을 안전모(3)의 둘레에 둘러씌운다.
이때, 서로 일체로 형성된 상면고정판(7)과 클립(9)은 전체적으로 단면이 상측이 긴 "ㄷ"형으로 형성되어서 이 클립(9)이 형성된 상면고정판(7)을 전방테두리(4)의 외측에 끼울 수 있는 것이며, 이렇게 상면고정판(7)과 클립(9)의 사이로 끼워진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자체탄력을 지닌 상면고정판(7)과 클립(9) 사이에 꽉 물린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양막결착구(5)가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클립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차양막결착구(5)의 양단에 양측 선단부가 재봉이나 리벳으로 결합된 차양막(2)을 안전모(3)의 외부에 둘러씌움에 따라 일실시예의 착탈그늘막(1)이 안전모(3)에 둘러씌워지게 되는데, 이 착탈그늘막(1)의 차양막(2)에는 고무줄(1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모(3)의 둘레에 밀착되게 감싸여지게 된다.
그 뒤, 차양막(2)의 중앙부에 설치된 걸고리형의 후방걸이구(6)를 도 3과 같이 안전모(3)의 후방 단부에 걸게 되면, 차양막(2)이 안전모의 상측으로 올라가지 않게 착탈그늘막(1)의 설치가 완료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안전모(3)에 착탈그늘막(1)이 설치됨에 따라 착용자의 양 옆 얼굴과 목덜미를 가려서 햇빛에 그을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으로서, 이실시예의 착탈그늘막(1)을 안전모(3)에 착용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무줄(12)이 설치된 차양막(2)의 상부둘레를 안전모(3)의 외주연에 둘러씌우면서 차양막결착구(5)를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클립식으로 끼우며, 차양막(2)의 중앙부 상측 중앙부에 설치된 후방걸이구(6)를 안전모 후방의 테두리부에 걸리도록 끼우면 착탈그늘막(1)의 설치가 완료하게 된다.
상기 차양막결착구(5)은 상면고정판(7)과 클립(9)과의 연결 형성부의 단면이 상면이 긴 "ㄷ"자 형으로 형성되어 차양막결착구(5)를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간편하게 끼움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이 차양막결착구(5)의 양측 단부에는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가 재봉이나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으면서, 차양막(2) 의 선단부와 상면고정판(7)이 연결된 부분의 안쪽으로 양측에 하부지지살(8)이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이 양측 하부지지살(8)에는 차양막(2)의 양측 전방 수직부분이 재봉등의 결합 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양측 하부지지살(8)이 설치된 차양막(2)의 전방측 수직부분은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늘어뜨려지는 것이 아니라,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어느 정도 뻣뻣하나 심재역할을 하는 하부지지살(8)의 형상대로 펼쳐지게 되어 양측 차양막(2)의 수직부분이 얼굴에 닫지 않으며 얼굴의 측면을 가려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측 하부지지살(8)이 힌지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얼굴이 갑갑한 경우는 이들 양측 하부지지살(8)을 후방측으로 제켜서 차양막(2)의 전방 수직부분이 귀쪽으로 제켜지게 하여 얼굴의 측면을 가리는 것에 대한 갑갑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으로서, 삼실시예의 착탈그늘막(1)도 안전모(3)에 착용 설치하는 것은 고무줄(12)이 들어 있는 차양막(2)의 상부를 안전모(3)의 외부면에 둘러씌우고, 후방걸이구(6)를 안전모(3)의 후방 테두리에 걸고리식으로 끼워서 설치하는 것이 이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차양막결착구(5) 양측에 착탈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연결구(14)에 하부지지살(8)이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이 하부지지살(8)에 설치된 차양막(2)의 양측 전방의 수직부분을 후방으로 제킬 수 있는 것도 이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삼실시예에만 있는 기능은 후단부가 차양막(2)의 선단부 양단에 재봉이나 리벳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면서 선단부는 상면고정판(7)의 양측 상부에 돌 출되게 형성된 힌지핀(13)이 힌지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되,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구(14)의 선단부 내측에 설치된 힌지구멍(15)이 일측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으므로 상면고정판(7)에 형성된 힌지핀(13)과 절개부를 구비한 힌지구멍(15)이 용이하게 삽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만약의 사고 발생으로 주변의 물품에 차양막(2)이 걸려서 글려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힌지구멍(15)에는 일측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서, 일방적으로 어떤 주변 물품이나 기계에 따려들어가는 경우에 상기 절개부에서 상면고정판(7)의 상부에 돌출된 힌지핀(13)과의 삽입 상태가 쉽게 해제되어 2차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삼실시예의 경우에도 차양막(2)이 얼굴과 목덜미를 가려서 햇빛에 그을리는 것을 막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다음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으로서, 사실시예의 경우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삼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안전모(3)에 착탈그늘막(1)가 착용 설치되고, 힌지식으로 설치된 양측 하부지지살(8)에 의해 차양막(2)의 양측 전방 수직부가 얼굴에 닿지 않고 필요에 따라 하부지지살(8)이 설치된 차양막(2)의 양측 전방 수직부를 귀쪽으로 제킬 수 있는 것도 동일하다.
그러나, 사실시예가 삼실시와 다른점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양막결착구(5)의 상면고정판(7) 양측 상부에 돌출된 힌지핀(13)에 연결구(14)와 하부지지살(8)이 힌지식으로 삽입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연결구(14)의 구조를 보다 더 간단하게 하여 제작이 용이하게 한 것이다.
다음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으로서, 오실시예의 경우는 안전모(3)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전방테두리(4)의 전방중앙부에 차양막결착구(5)의 저면이 형성된 클립(9)을 클립식으로 끼우는 간단한 동작으로 차양막결착구(5)를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뒤에 차양막(2)의 양측 상측 선단부에 설치된 걸림구(18)를 전방테두리(4)에 이미 설치된 차양막결착구(5)의 양측 상부에 돌출된 걸이핀(17)에 걸은 뒤에, 내측에 고무줄(12)이 들어 있는 차양막(2)의 상부둘레를 안전모(3)의 외부에 둘러싸게 설치하며, 후방측 내면에 설치된 후방걸이구(6)를 안전모(3)의 후방 테두리에 걸리도록 설치함으로서, 오실시예에 따른 착탈그늘막(1)의 설치작업이 완료하게 되는 것이며, 이 경우도 차양막(2)이 착용자의 얼굴과 목덜미를 가려서 얼굴과 목덜미가 햇빛에 그을리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으로서, 육실시예의 경우에 링형밴드(19)를 안전모(3)의 외부에 꼭 끼도록 끼우는 한번의 동작으로 착탈그늘막(1)를 안전모(3)에 설치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링형밴드(19)에 하부지지살(8)이 하향 설치되고 이 양측 하부지지살(8)에 차양막(2)의 전방 수직부가 결합되어 하부지지살(8)에 의한 차양막(2)의 전방 수직부가 얼굴에 닿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도 차양막(2)이 착용자의 얼굴과 목덜미를 가려서 얼굴과 목덜미가 햇빛에 그을리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칠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의 설명으로서, 칠실시예는 도 11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모(3)의 전방에 돌출되게 형성된 전방테두리(4)에 클립(9)을 클립식으로 끼우면, 차양막결착구(5)는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클립식으로 간편하게 끼워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무줄(12)이 설치된 차양막(2)을 안전모(3)의 외부 둘레에 고무밴드를 감싸게 설치하듯이 감싸지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차양막(2)의 상부에는 고무줄(12)이 유동할 수 있는 고무줄관통부(21)가 재봉에 의해 터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끝단부가 결합되어 링형상을 하고 있는 고무줄(12)이 삽입되어서 고무줄(12)의 전방부분이 차양막(2)의 양측 전방측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렇게 전방으로 노출된 고무줄(12)을 도 11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줄삽입부(20)에 끼움에 따라 고무줄(12)이 당겨지면서 탄력적으로 차양막결착구(5)와 연결되면서 착탈그늘막(1)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칠실시예는 터널형의 고무줄관통부(21)에 고무줄(12)이 유동가능하게 관통 설치되어서 도 11의 화살표와 같이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를 앞쪽으로 당기거나 귀쪽으로 밀어 넣으면서 햇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햇빛을 가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무줄삽입부(20)는 도 13의 (가) 내지 (다)와 같이 절개되어 고무줄(12)의 삽탈이 자유로운 것과, (라)와 같이 처음부터 고무줄(12)을 개구부가 없는 고무줄삽입부(20)로 끼워야하는 두 가지 형태의 것이 있는데, 전자와 같이 절개부를 형성한 것이 사용상 편리함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도 13의 (나)에 되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가 하향 형성된 경우에 고무줄삽입부(20)로 고무줄(12)이 삽입된 것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외관이 단정해지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절개부가 하향 설치된 경우는 절개부가 하향 형성된 고무줄삽입부(20)에 고무줄(12)을 끼운 뒤에 차양막결착구(5)를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클립식으로 끼워 설치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이 경우도 차양막(2)이 착용자의 얼굴과 목덜미를 가려서 얼굴과 목덜미가 햇빛에 그을리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칠실시예를 사용하다가 차양막(2)의 양측 전방의 수직부를 뒤로 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측 선단 수직부를 뒤로 제키면서 그 선단부에 각각 설치된 암매직테이프(22)를 차양막(2)의 후방 외측에 설치된 수매직테이프(23)에 부착시키면 양 볼을 가리던 차양막(2)의 양측 전방의 수직부를 뒤로 제켜서 넓은 시야를 확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위의 하부지지살(8)이 설치된 이,삼,사실시예의 경우에 전방에 마스크(10)를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하단부에 양측 하부지지살(8)을 서로 끼울 수 있는 끼움수단(11)이 구비되어 차양막(2) 양측 전방을 필요에 따라 오므릴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은, 차양막을 안전모(군인의 헬멧 포함) 및 모자에 설치하게 하는 차양막결착구가 안전모 및 모자의 전방테두리부 및 차양의 중앙부에 클립식으로 간편하게 끼워짐에 따라 안전모에 설치하는 착탈그늘막을 안전모에 쉽게 끼움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면서 일단 설치한 착탈그늘막이 저절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는 착탈그늘막을 안전모에 설치하기 위한 차양막결착구를 클립식으로 형성하고, 이런 클립식의 차양막결착구의 양단부에 차양막의 양측 상단부를 고정되게 함으로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착탈그늘막을 안전모에 간단하게 끼워 설치할 수 있으면서 한 번 설치된 착탈그늘막은 안전모에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 실시예는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한 효과 외에 차양막결착구의 양측에 하부지지살을 힌지식으로 하향 형성하여 차양막이 얼굴에 닿지 않게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삼사실시예는 상기 일실시예에 의한 차양막결착구의 양측에 차양막결착구와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연결구를 추가 설치하고, 이 연결구에 하부지지살을 힌지식으로 하향 설치함으로서, 차양막의 양측 전방이 얼굴에 닿지 않게 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지지살을 필요에 따라 후방상측으로 들어올려서 작업자의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차양막결착구와 연결구를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하지 않을 때 보관이 간편한 효과가 있으며, 사실시예는 삼실시예의 구조적으로 전체적으로 유사한점이 있으나, 연결구의 구조를 보다 더 간단하게 하여 제작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오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오실시예는 간단한 구조의 차양막결착구와 차양막을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어 세탁 및 보관이 간편한 한 잇점이 있다.
육실시예는 안전모의 상부외측에 끼움식으로 설치하는 링형밴드의 전방 양측에 하부지지살을 힌지식으로 하향 설치하여 차양막이 얼굴에 닿지 않는 또 다른 형태의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칠실시예는 링형으로 형성되는 고무줄을 차양막의 상부 전체에 설치하여 차양막의 전방 부분에 고무줄이 노출되고 하고, 안전모의 전방테두리부에 클립식으로 끼워지는 차양막결착구에 고무줄이 끼워져 걸리게 하는 고무줄삽입부를 형성하여 차양막과 차양막결착구를 안전모에 결착시키는 것과, 차양막과 차양막결착구의 결합과 분리가 간편함은 물론이고, 차양막의 세탁이 간편하며, 햇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차양막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 상측에는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차양막결착구(5)를 설치한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결착구(5)는 안전모(3)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방테두리(4)의 중앙상면에 얹혀지는 상면고정판(7)이 구비되고, 이 상면고정판(7)의 중앙하부에는 단면이 "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 상면이 긴 "ㄷ"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양막(2)은 상부에 고무줄(12)이 장착되며,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는 차양막결착구(5)의 양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2)의 상측 선단부가 결합 설치된 상면고정판(7)의 양측에는 하부지지살(8)이 힌지핀(13) 또는 리벳 중 어느 하나를 택하여 힌지식으로 결합 설치되며, 이 양측 하부지지살(8)에는 차양막(2)의 양측 선단 수직부가 재봉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차양막(2)의 전방 수직부에는 마스크(10)가 매직테이프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4.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 상측에는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차양막결착구(5)를 설치한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결착구(5)는 양측 상면에 힌지핀(13)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상면고정판(7)의 선단부 중앙하부에 "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 상면이 긴 "ㄷ"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고무줄(12)이 장착된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 상측에는 일측 선단부가 일측방으로 절개된 힌지구멍(15)을 형성한 연결구(14)의 끝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이 양측 연결구(14)의 중앙에는 하부지지살(8)이 힌지식으로 하향 설치되며, 이 양측 하부지지살(8)에는 차양막(2)의 양측 선단 수직부가 재봉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차양막결착구(5)의 양측에 상향 돌출된 힌지핀(13)에는 양측 연결구(14)의 선단부에 형성된 힌지구멍(15)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차양막(2)의 전방 수직부에는 마스크(10)가 매직테이프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6.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 상측에는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착탈 가능 하게 끼워지는 차양막결착구(5)를 설치한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결착구(5)는 양측 상면에 힌지핀(13)이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상면고정판(7)의 선단부 중앙하부에 "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단면형상이 상면이 긴 "ㄷ"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고무줄(12)이 장착된 차양막(2)의 양측 선단 수직부에는 선단부에 힌지구멍(15a)을 형성하고 말단부에 하부지지살(8)가 수직방향으로 재봉에 의해 결합되고, 이 하부지지살(8)의 선단 힌지구멍(15a)은 상기 양측 힌지핀(13)에 힌지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 상측에는 일측 선단부에 힌지구멍(15)을 형성한 연결구(14)의 끝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이 양측 연결구(14)의 힌지구멍(15)은 상기 양측 힌지핀(13)에 힌지식으로 삽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7. (정 정)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차양막(2)의 전방 수직부에는 마스크(10)가 매직테이프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8. 차양막(2)의 양측 선단부 상측에는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차양막결착구(5)를 설치한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2)는 차양막(2)의 상부에는 링형태의 고무줄(12)을 설치하되, 고무줄(12)이 차양막(2)의 상부 전체와 차양막(2)의 양측 전방으로 고무줄(12)의 전방이 노출되게 되며,
    상기 차양막결착구(5)는 안전모(3)의 전방테두리(4)의 중앙상부에 덮어씌워지는 상면고정판(7)의 길이방향으로 상고무줄삽입부(20)가 형성되고, 이 상면고정판(7)의 선단부 중앙하부에 전방테두리(4)에 클립식으로 끼워지는"ㄴ"형상으로 형성된 클립(9)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줄삽입부(20)에는 차양막(2)의 전방으로 노출된 고무줄(12)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2)의 상부 전길이를 소정의 폭으로 접은 뒤에 단부를 재봉으로 결합하여 고무줄(12)이 관통하는 고무줄관통부(21)가 형성되고, 이 고무줄관통부(21)에는 고무줄(12)이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줄삽입부(20)는 고무줄(12)의 삽탈이 용이하게 전길이에 걸쳐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KR1020050136255A 2005-12-31 2005-12-31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KR10055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255A KR100559450B1 (ko) 2005-12-31 2005-12-31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255A KR100559450B1 (ko) 2005-12-31 2005-12-31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332A KR20060005332A (ko) 2006-01-17
KR100559450B1 true KR100559450B1 (ko) 2006-03-10

Family

ID=3711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6255A KR100559450B1 (ko) 2005-12-31 2005-12-31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94B1 (ko) * 2006-05-09 2007-03-14 이삼준 모자용 착탈그늘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031B1 (ko) * 2006-05-01 2007-09-18 이삼준 안전모용 착탈그늘막
KR100768606B1 (ko) * 2006-07-27 2007-10-18 임재주 착탈이 용이한 목 그늘막
KR100776392B1 (ko) * 2006-07-29 2007-11-29 김복규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7936U (ja) 1983-03-08 1984-09-14 株式会社フェニックス 帽子
JPH0344389A (ja) * 1989-07-07 1991-02-26 Merck Patent Gmbh クロマン誘導体
US5669074A (en) 1995-08-10 1997-09-23 Newman, Jr.; Harry L. Removable neck sunshade for a cap
KR200363403Y1 (ko) 2004-06-18 2004-10-01 송혁진 뒷목 햇빛가리개
JP2005068585A (ja) 2003-08-22 2005-03-17 Daiho Kagaku Kogyo Kk 帽子用日除けカバー
KR20050088973A (ko) * 2005-08-16 2005-09-07 이삼준 모자용 착탈 그늘막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7936U (ja) 1983-03-08 1984-09-14 株式会社フェニックス 帽子
JPH0344389A (ja) * 1989-07-07 1991-02-26 Merck Patent Gmbh クロマン誘導体
US5669074A (en) 1995-08-10 1997-09-23 Newman, Jr.; Harry L. Removable neck sunshade for a cap
JP2005068585A (ja) 2003-08-22 2005-03-17 Daiho Kagaku Kogyo Kk 帽子用日除けカバー
KR200363403Y1 (ko) 2004-06-18 2004-10-01 송혁진 뒷목 햇빛가리개
KR20050088973A (ko) * 2005-08-16 2005-09-07 이삼준 모자용 착탈 그늘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94B1 (ko) * 2006-05-09 2007-03-14 이삼준 모자용 착탈그늘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332A (ko) 200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752B1 (ko) 모자용 착탈 그늘막
US8769723B1 (en) Hat with ear warmer
US5448778A (en) Detachable sun shield for caps
US6131201A (en) Cap with detachable sunshade member
KR101911738B1 (ko)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US20100072793A1 (en) Baby Seat With Detachable Cover
KR100559450B1 (ko) 안전모 및 모자용 착탈그늘막
KR200472872Y1 (ko) 마스크가 부착된 차양모자
JP3125153U (ja) 帽子
JP3110940U (ja) 帽子
KR100669488B1 (ko) 모자 및 안전모용 착탈그늘막
JP3990434B1 (ja) 帽子用装着具
KR20060001982A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100760031B1 (ko) 안전모용 착탈그늘막
KR100952233B1 (ko) 햇빛가리개가 설치되는 안전모
KR200430658Y1 (ko) 모자용 착탈 그늘막
KR20110006039U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200442241Y1 (ko) 덮개가 구비된 선캡
KR100776392B1 (ko) 안전모용 햇빛가리개
KR100791911B1 (ko) 햇빛가림모자
JP3180615U (ja) ヘアキャップ兼用毛染め用ケープ
KR20120000506U (ko) 차양막이 형성된 모자
KR200454906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모자
CN213664041U (zh) 一种采茶时用于遮阳的伞
JP3177498U (ja) ヘアー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