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187A -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 - Google Patents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187A
KR20230132187A KR1020220029396A KR20220029396A KR20230132187A KR 20230132187 A KR20230132187 A KR 20230132187A KR 1020220029396 A KR1020220029396 A KR 1020220029396A KR 20220029396 A KR20220029396 A KR 20220029396A KR 20230132187 A KR20230132187 A KR 20230132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cooking
container
container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희
양수지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플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플램 filed Critical (주)네오플램
Priority to KR102022002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187A/ko
Priority to CN202210529886.3A priority patent/CN115299781A/zh
Publication of KR20230132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165Stirring devices operatively connected to cooking vessels when being removably inserted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유식을 포함하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를 덮을 수 있는 가드본체와; 상기 가드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가드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가드본체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 형성된 가드개구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중앙에 가드개구부를 가지며 용기본체를 덮을 수 있고 용기본체에 수용된 이유식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며 용기본체에 내용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저어줄 수 있고, 동일한 쿠킹가드를 뒤집어 용기본체에 결합하여 쿠킹가드 중앙의 가드개구부에 중탕용기를 결합하여 중탕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 {Cooking Guide and Cooking Set thereof}
본 발명은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와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본체를 덮으면서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시간 음식물의 상태를 유지하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하여 식품을 밀폐용기에 담아 필요시 적절한 양만큼 덜어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밀폐용기 이외에 음식물을 조리 내지 요리하는 경우 가스를 사용하거나 전기를 사용한 인덕션 등으로 냄비를 포함하는 가열용기를 가열하여 냄비 등의 내용물을 가열을 한다.
이러한 가열용기는 튀김, 볶음 요리 등을 하면서 기름(예를 들면, 싱용유, 포도씨유, 카놀라유 등)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아기를 키우는 경우 이유식을 가열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이유식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가열되는 이유식이 튀어 오르거나 가열용기의 특허 바닥에 눌러 붙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내용물인 이유식을 저어주여야 한다.
또한, 가열냄비는 내부이 물 등을 이용하여 다른 용기 내부의 내용물의 온도를 올리는 중탕 작업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을 가열할 때 내용물이 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저어줄 수 있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중탕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쿠킹 세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관련 기술 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564619호 (2015.11.13.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4610호 (2016.01.13.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에 가드개구부를 가지며 용기본체를 덮을 수 있고 용기본체에 수용된 이유식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며 용기본체에 내용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저어줄 수 있는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쿠킹가드를 뒤집어 용기본체에 결합하여 쿠킹가드 중앙의 가드개구부에 중탕용기를 결합하여 중탕을 할 수 있는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구성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유식을 포함하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를 덮을 수 있는 가드본체와; 상기 가드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가드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가드본체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 형성된 가드개구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킹 가드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타측에는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포함되며, 상기 가드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개구부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드본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제1위치에서 180도 뒤집혀진 제2위치로 상기 가드본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의 형상에 대등하여 상기 가드본체와 결합되는 상기 가드손잡이에 형성된 내측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가드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돌기는 상기 가드개구부에 결합되는 중탕용기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는, 용기바닥과 상기 용기바닥에서 연장되어 내용물을 수용 가능하게 공간을 형성 가능하게 상측으로 연장된 용기벽체를 포함하되, 상기 전도위치에서 상기 쿠킹가드에 결합된 상기 중탕용기는 상기 용기바닥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쿠킹 가드가 결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가드본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제1위치에서 180도 뒤집혀진 제2위치로 상기 가드본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드개구부에 결합되는 중탕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킹 세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에, 중앙에 가드개구부를 가지며 용기본체를 덮을 수 있고 용기본체에 수용된 이유식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며 용기본체에 내용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저어줄 수 있는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쿠킹가드를 뒤집어 용기본체에 결합하여 쿠킹가드 중앙의 가드개구부에 중탕용기를 결합하여 중탕을 할 수 있는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킹 세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쿠킹 세트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쿠킹 세트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킹 가드(1000)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킹 세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쿠킹 세트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쿠킹 세트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쿠킹 세트(100)는 아이들의 이유식을 가열하고 중탕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유식 이외의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가열, 중탕 등의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쿠킹 세트(100)는, 이유식을 포함하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용기본체(2000)와, 용기본체(2000)의 상단부를 덮도록 결함되는 쿠킹 가드(100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2000)는 통상적으로 원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용기바닥(2200)과 용기바닥(2200) 자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용기바닥(2200)과 함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벽체(2300)와 용기벽체(2300)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용기본체(2000)를 이동시키거나 들 수 있는 용기손잡이(21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기본체(2000)는 철제, 도자기제 등 알려진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쿠킹 가드(1000)는 가드본체(1300)와, 가드손잡이(1500) 및 가드개구부(17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본체(1300)는 결합홈(1330), 개구부돌기(1350)를 구비하고 가드손잡이(1500)는 내측결합부재(15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본체(1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 가드개구부(1700)를 구비한 대략적으로 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가드본체(1300)는 도 1 및 도 2의 제1위치인 정상위치에서 도 3과 같이 180도 뒤집어진 제2위치인 전도위치에서도 용기본체(2000)에 결합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중앙에 관통 형성된 가드개구부(17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000)에 수용되어 가열되는 내용물에서 발생하는 수분이나 증기가 쿠킹 세트(100) 외부로 배출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가드개구부(1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열되는 내용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저어줄 수 있도록 숟가락(130) 등의 도구가 통과할 수 있는 기능도 한다. 그리고 도 3과 같은 제2위치에서 가드개구부(1700)는 중탕용기(150)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가드본체(1300)의 돔 형상의 가장자리에는 용기본체(2000)의 상단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맞물릴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된 결합홈(13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1330)에 의하여 가드본체(1300)는 용기본체(20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드본체(1300)에는 가드본체(1300)의 판면에서 가드개구부(1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위치를 기준으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개구부돌기(135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구부돌기(1350)는 제1위치에서 용기본체(2000)의 내용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나 내용물이 상측으로 올라오거나 튀는 경우 돔 형상의 가드본체(1300) 내측을 따라 가드개구부(1700)인 외부로 배출되는 수분을 모으거나 튀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돌기(1350)는 후술하는 가드본체(1300)가 180도 뒤집어져 제2위치로 용기본체(2000)에 결합되는 경우 중탕용기(150)를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가드본체(1300)는 상측이 개략적으로 돔 형상이면서도 결합홈(1330)에 근접된 부분에서는 다소 수직 벽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에 가드본체(1300)가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홈(1330) 내측이 용기벽체(2300)의 내주면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용기본체(2000)에서 가열되어 발생하는 수분, 증기, 튀어 오르는 내용물이 가드본체(1300)애 내측 판면에 부딪혀 수분 등이 모여서 자중으로 돔 형상의 내주면과 벽 형상의 내주면을 따라 용기본체(2000)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가드본체(1300)의 테두리 내지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가드손잡이(15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드손잡이(1500)가 가드본체(1300)와 결합되는 상측에는 용기본체(2000)의 용기벽체(2300)의 상단부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된 내측결합부재(1530)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드손잡이(1500) 및 용기손잡이(2100)는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 재질(에를 들면 나무, 실리콘 등이 공기된 재질)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측결합부재(1530)는 후술하는 가드본체(1300)가 180도 뒤집어져 제2위치로 용기본체(2000)에 결합되는 경우 중탕용기(150)를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가드본체(1300)의 재질은 내열성과 위생성을 구비한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 3과 같은 제2위치에서 중탕용기(150)가 가드본체(1300)에 결합되는 경우 중탕용기(150)와 용기바닥(2200) 사이는 이격(도 3의 ‘GAP’ 참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중탕용기(150)가 용기바닥(2200)에 접촉하면 중탕하는 과정에서 용기본체(2000)의 끊는 물 등으로 인해 중탕용기(150)와 용기바닥(2200)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쿠킹 세트(100)의 작동 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은 위치에서 도 2와 같이 돔 형상을 포함하는 가드본체(1300)가 제1위치로 용기본체(2000)의 용기벽체(2300) 상단부와 가드본체(1300)의 결합홈(1330)이 결합된다.
제1위치에서 미도시된 가열수단(인덕션 등)으로 용기본체(2000)의 내용물(예를 들면, 이유식 등)을 가열하면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증기, 수분 또는 내용물이 튀어 오르기도 한다. 이러한 증기, 수분 중 일부는 상부의 가드본체(1300) 내측을 따라 가드개구부(1700)를 통해 외부인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발생된 증기 등의 나머지는 가드본체(1300)의 내주면에 부딪히고 모여서 자중으로 가드본체(1300)의 내측 판면에 부딪히고 모여서 자중에 의하여 가드본체(1300)의 내측(돔 형상 및 벽 형상)을 따라 흘러내려 용기벽체(2300)측에 근접되게 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사용자는 숟가락(130) 등을 가드개구부(1700)에 넣어 가열되는 내용물이 용기본체(2000)에 눌러 붙지 않도록 내용물을 저어줄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가드본체(1300)를 180도 뒤집어 내측결합부재(1530)와 용기벽체(2300)의 상단부가 결합되도록 제2위치로 쿠킹 세트(1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위치에서는 중탕용기(150)가 가드개구부(1700)에 위치하여 개구부돌기(1350)에 지지된다.
제2위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탕용기(150)와 용기바닥(2200) 사이가 떨어져 있어 용기본체(2000)에 물을 가열하면 가열된 물에 담겨져 있는 중탕용기(150) 내부이 이유식 등의 내용물이 가열되어 중탕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쿠킹 가드(1000)는 앞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같이 용기본체(2000)에 각각 상이하게 결합된 제1위치와 제2위치에서 다른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에 가드개구부를 가지며 용기본체를 덮을 수 있고 용기본체에 수용된 이유식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하며 용기본체에 내용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저어줄 수 있는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쿠킹가드를 뒤집어 용기본체에 결합하여 쿠킹가드 중앙의 가드개구부에 중탕용기를 결합하여 중탕을 할 수 있는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성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쿠킹 세트 1000 : 쿠킹 가드
1300 : 가드본체 1330 : 결합홈
1350 : 개구부돌기 1500 : 가드손잡이
1530 : 내측결합부재 1700 : 가드개구부
2000 : 용기본체 2100 : 용기손잡이
2200 : 용기바닥 2300 : 용기벽체
130 : 숟가락 150 : 중탕용기

Claims (6)

  1. 이유식을 포함하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를 덮을 수 있는 가드본체와;
    상기 가드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가드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가드본체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 형성된 가드개구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킹 가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타측에는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결합홈이 포함되며,
    상기 가드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개구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킹 가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본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제1위치에서 180도 뒤집혀진 제2위치로 상기 가드본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의 형상에 대등하여 상기 가드본체와 결합되는 상기 가드손잡이에 형성된 내측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가드본체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킹 가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개구부돌기는 상기 가드개구부에 결합되는 중탕용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킹 가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용기바닥과 상기 용기바닥에서 연장되어 내용물을 수용 가능하게 공간을 형성 가능하게 상측으로 연장된 용기벽체를 포함하되,
    상기 전도위치에서 상기 쿠킹가드에 결합된 상기 중탕용기는 상기 용기바닥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킹 가드.
  6. 제1항의 쿠킹 가드가 결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가드본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된 제1위치에서 180도 뒤집혀진 제2위치로 상기 가드본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드개구부에 결합되는 중탕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킹 세트.
KR1020220029396A 2022-03-08 2022-03-08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 KR20230132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96A KR20230132187A (ko) 2022-03-08 2022-03-08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
CN202210529886.3A CN115299781A (zh) 2022-03-08 2022-05-16 烹饪护板及具有该护板的烹饪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96A KR20230132187A (ko) 2022-03-08 2022-03-08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87A true KR20230132187A (ko) 2023-09-15

Family

ID=83855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396A KR20230132187A (ko) 2022-03-08 2022-03-08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2187A (ko)
CN (1) CN11529978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299781A (zh)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46550B (en) Cookware handle assembly
JP5202507B2 (ja) マイクロ波蒸気調理容器システム
US4892213A (en) Microwave cooking and serving dish
ES2223421T3 (es) Aparato culinario electrico multifuncional.
TWM488276U (zh) 多功能鍋具
GB2376174A (en) Table top cooking appliance
US20080210101A1 (en) Steam bowl
KR20120115346A (ko) 간편한 취급성을 갖는 기구
US11517135B2 (en) Cookware assembly
US9675197B2 (en) Steam cooker
US5992308A (en) Cooking vessel
JP3194420U (ja) 多機能調理器
KR20230132187A (ko) 쿠킹 가드 및 이를 갖는 쿠킹 세트
JP3046000U (ja)
KR20180070042A (ko) 물배출 구조를 가지는 일회용 용기
JP3678214B2 (ja) 電気調理器
CN212678931U (zh) 多功能一体机
JP3053669U (ja) 電子レンジ用調理器
CN215583881U (zh) 一种多功能电煮锅
JP3684923B2 (ja) シチリン
CN217243736U (zh) 颠炒防漏式炒锅
CN211130627U (zh) 烹饪器具
KR200453883Y1 (ko) 결합이 용이한 조리기구
CN215604975U (zh) 一种养生壶过滤网与炖盅的支撑结构
CN219720392U (zh) 一种具有蒸炖功能的器具及加热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