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155A - 고분자 소재의 지속 가능성과 고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들과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소재의 지속 가능성과 고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들과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155A
KR20230132155A KR1020220029339A KR20220029339A KR20230132155A KR 20230132155 A KR20230132155 A KR 20230132155A KR 1020220029339 A KR1020220029339 A KR 1020220029339A KR 20220029339 A KR20220029339 A KR 20220029339A KR 20230132155 A KR20230132155 A KR 20230132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prepolymer
amine
schiff
base
aldehy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수
이시호
양준
Original Assignee
이대수
이시호
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수, 이시호, 양준 filed Critical 이대수
Priority to KR102022002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155A/ko
Publication of KR20230132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15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2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nly
    • C08G18/022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nly the polymeric product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25Polyamines
    • C08G18/3237Polyamines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71Hydroxyamines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제조 공정에서 분자 수준 보강 효과를 보이는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 조성물을 도입하여 대기압하의 100℃ 이하 온도 조건에서 가수분해를 통한 화학적 재활용이 가능한 고탄성 고분자 소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써, 말단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와 아민 또는 물과의 반응으로 생성된 아민 그룹 말단 예비중합체가 알데히드 화합물과 시프-염기의 형성으로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 특성에 의한 고탄성을 부여하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제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폴리우레탄 제종공정에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말단에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이 아민그룹으로 전환되고 알데히드화합물과 시프-염기를 형성하는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수산 그룹, 카르복실 그룹, 비닐 그룹 등을 도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 구조 도입으로 제조된 고분자 소재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 시프-염기 그룹에 의한 복분해 특성으로 용융 점도가 매우 낮으며, 사용이 끝난 후 재활용을 위해 대기압하의 100℃ 이하 온도 조건에서 가수 분해 반응으로 원료화가 가능해져 친환경적이다.

Description

고분자 소재의 지속 가능성과 고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들과 그 제조 방법{Functional polyurethane prepolymers of Schiff-base imparting sustainability and high modulus to polymeric material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수분해를 통한 화학적 재활용과 자기 치유 능력으로 지속 가능성을 구현하고 탄성이 높은 고분자 소재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시프-염기를 포함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들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소재는 만 달톤 이상의 분자량과 반복 단위 화학구조의 특성을 바탕으로 플라스틱, 고무, 섬유, 접착제, 도료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 소재들은 제품의 경량화, 내식성과 같은 화학적 안정성, 경제성 등의 장점들 덕분에 지속적으로 사용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고분자 소재들은 사용 후에 발생하는 폐기물들이 자연 환경을 해치는 문제점이 크게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고분자 소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사용 후 폐기물의 재활용으로 지속가능성을 구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고분자 소재는 분자 사슬 골격이 선형이고 가열하여 연화되는 과정으로 성형 가공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열가소성 고분자와, 수지를 가열 또는 높은 에너지 조사를 통한 가교 반응으로 그물 구조를 형성하여 반복적 성형 가공이 곤란한 열경화성 고분자로 구분이 가능하다. 열가소성 고분자의 예로는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등의 범용 플라스틱과 폴리아미드-6 및 폴리아미드-6,6,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필름 및 섬유 소재를 들 수 있다. 열경화성 고분자의 예로는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등과 전통 가교 고무들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고분자로 만들어진 제품들은 사용이 끝난 후, 분리 수거 후 분쇄 및 세척을 거치면, 신재 수지와 혼합 사용하거나 단독으로 용융 성형 가공공정에 의한 물리적인 재활용이 용이하다. 그러나 오염이 심한 열가소성 고분자와 가교 열경화성 고분자 소재는 물리적인 재활용이 어려워 주로 고온 열분해 반응을 거치는 화학적인 재활용 공정이 필요하여 산업적으로 활성화되지 못한 편이다.
고분자 소재들의 재활용을 통한 지속 가능성의 구현을 위해서는 고분자 소재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물리적, 화학적 재활용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화학적 재활용이 필요한 오염이 심한 열가소성 고분자와 가교 열경화성 고분자 소재의 경우 지속 가능성을 부여하는 물질이 최초 합성 단계에서 고분자 소재 분자 골격에 도입됨으로써 사용이 끝난 후 가수분해와 같은 온화한 조건의 화학적 재활용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이 끝난 후 제품의 화학적 재활용 공정에서 가수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올리고머 조성물을 도입하여 포함시키는 것이다.
기존의 열분해를 통한 화학적인 재활용을 통한 고분자 소재 스크랩의 원료화는 최소한 200℃ 정도 또는 그 이상의 고온에서 다양한 열분해 반응을 이용하는 공정이어서 부반응에 의한 열화가 불가피하고 재활용 제품의 품질이 신재 품질에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수분해는 상대적으로 온화한 조건(~100℃)에서 물에 의한 저분자량화에 의한 원료화를 도모하여 부반응을 최소화하면서 화학적 재활용이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할 수 있어 매력적이다. 하지만 분자 구조적인 가수분해성의 도입은 고분자 소재들의 용도 개발에서 기계적인 강도 및 화학적 안정성의 저하가 문제점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품 용도에서 필요한 성능을 충족하면서, 사용이 끝난 후에는 기술적으로 가수분해를 이용한 원료화를 통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적인 올리고머 조성물의 도입이 최선이다.
최근 동적 공유 결합(Dynamic Covalent Bond)의 특성을 보이는 것을 고분자 소재에 도입하여 자기 치유(self-healing)와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기술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들 가운데 다음 반응식 (1)에 나타낸 아민 그룹과 알데히드 그룹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시프-염기(Schiff-base)는 가역적으로 가수분해가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어 화학적 재활용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R1-NH2 + HOC-R2 R1-N=C-R2 + H2O (1)
위 반응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아민 및 알데히드 그룹이 연결된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 등 구조 조성물을 나타낸다.
그러나 일반적인 시프-염기 화합물은 흔히 기본 수지와 혼합이 제한적이어서 유기 용매를 이용해야 하고, 도입된 고분자 소재들을 이용한 제품의 탄성력과 같은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들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아서 실용화가 활성화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사용 후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인 물성 및 화학적 안정성과 같은 성능을 종래의 제품과 비교해서 동등 이상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사용 후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수분해를 통한 원료화가 가능하고, 제조 과정에서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시프-염기를 포함한 기능적 올리고머 조성물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물질은 액체 상태에서 분자의 움직임이 활발하고 등방성을 보이는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분자들이 강직한 봉(rigid rod)과 같은 특성의 메조젠(mesogene)을 포함한 경우, 액체 상태에서도 부분적인 배향성을 보이는 액정(liquid crystalline) 상태를 보이고, 농도 및 온도에 따라 배향성을 보이는 것에서 등방성을 보이는 전이를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액정 물질은 디스플레이 소재로 이용되기도 하고, 액정 고분자들은 강직한 구조에 의한 분자 수준의 보강 효과가 우수하여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경우 '케블라'와 같은 특수 섬유 및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액정 고분자들의 강직성은 흔히 메조젠을 구성하는 방향족 조성물의 공액 구조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액정 특성을 부여하는 메조젠과 같은 구조를 포함하는 시프-염기 조성물을 올리고머 상태로 고분자 제조 공정에서 고분자 사슬의 일부로 도입할 수 있다면, 고분자 소재는 기계적 물성과 내약품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가수분해를 통한 재활용도 용이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올리고머 가운데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되는 것으로,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탄성체, 도료, 섬유 등의 제조의 중간 물질로 이용되고 있다.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조성은 용도에 따라 폴리올들의 종류 및 분자량를 적절히 조절하여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고분자 소재 제조 공정에서 혼합 사용이 가능한 상용성을 확보하면서 기능성의 부여가 가능하다. 따라서 화학적 재활용이 필요한 고분자 소재의 제조 단계에서 원료의 일부로 투입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열경화성 고분자 소재인 에폭시 수지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강인성 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용도 개발이 이루어졌었다(1, 2).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에 가수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시프-염기를 도입한 기능성 예비중합체는 이들이 적용된 열경화성 고분자는 물론 열가소성 고분자 소재 제품들의 가수분해를 통한 화학적 재활용이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 특히 시프-염기를 도입한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가 메조젠과 같은 구조를 가지도록 하면, 제품의 사용 기간 중에는 기계적 강도와 내약품성의 저하가 우려되지 않으면서, 적절한 자극으로 자기 치유 특성으로 제품 수명을 연장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기술적으로 가수분해를 통한 재활용의 수월성도 구현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공정의 구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기술은 아직 소개되어 있지 않은 것 같다.
EP 16183891.7, Blocked polyurethane impact modifiers for improving the impact strength of low temperature curing single component epoxy adhesives, SIKA Technology AG, 2016.11.8. US Patent, 5,296,544, Polyester-polyurethane hybrid resin systems containing low levels of unsaturation having improved low profiling behavior, Cook Composites and Polymers 1992. 7. 14.,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언급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제품의 기계적인 물성들을 종래의 제품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수준을 유지하게 되면서 자기 치유를 통해 수명을 연장하고, 사용 후 폐기물의 화학적 재활용이 대기압 하에서 100℃ 이하의 조건으로 가수분해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구현하도록 하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 조성물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제품의 기계적인 물성을 종래의 제품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수준을 유지하게 되면서 자기 치유를 통해 수명을 연장하고, 사용 후 폐기물의 화학적 재활용이 대기압 하에서 100℃ 이하의 조건으로 가수분해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구현하도록 하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 조성물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고분자 재활용에서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올과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올리고머인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물과 반응시켜서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로 전환시키고, 상기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알데히드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Aromatic Conjugared Schiff-base: ACS) 를 포함하고 있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얻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ACS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말단이 아민그룹인 경우 추가적으로 알돌화합물 및 비닐알데히드 화합물과의 시프-염기 반응으로 수산 그룹 및 비닐그룹이 말단에 도입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ACS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말단이 알데히드 그룹인 경우 추가적으로 히드록시아민 화합물 및 아미노산과의 시프-염기 형성 반응으로 수산 그룹 및 카르복실산 그룹이 말단에 도입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CS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공정에서 도입되어진다. ACS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성분과 알데히드 성분의 시프-염기 형성 반응에 의해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분자 구조의 내부에 직접 형성되어 지게 된다. 그리고 ACS는 액정 특성을 보이는 메조젠과 같은 분자 수준의 기계적인 물성 보강효과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구조에 지방족 시프-염기를 포함하게 될 경우, 고분자 소재의 물성을 저하시키거나 화학적 안정성을 약화시키는 경향을 보여주게 되지만,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구조 내에 상기 시프-염기 성분이 방향족 공액 구조를 이루어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므로, 고분자 소재에 적용하면 기계적인 물성이 양호한 특징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ACS는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 소재 제품을 사용하고 난 이후, 폐기물로 존재할 경우, 그 고분자 소재 폐기물의 재활용시 100 ℃ 이하의 상압 조건에서 가수분해를 이용한 해중합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프-염기 구조를 도입할 경우, ACS를 반응공정에서 생성시킴으로써, 메조젠과 같은 분자 수준의 보강 효과를 통한 고탄성 제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용된 고분자 제품 소재의 용융 가공공정에서 시프-염기의 복분해 반응을 통해 용융 점도를 낮아지게 함으로써 흐름성이 우수한 장점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품으로 적용되어 사용 중인 환경에서는 적절한 자극을 통하여 크랙과 스크래치의 회복은 물론 가교형 접착제의 경우 재작업도 가능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ACS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조성물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물론 에폭시 수지 조성물,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수지, 비닐 고분자 등의 일부로 도입되어 최종 고분자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기능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프 염기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말단에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알데히드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 구조 내에 ACS를 형성시키는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얻는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할 실시예로서, 상기 ACS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말단이 아민그룹인 경우 추가적으로 알돌화합물 및 비닐알데히드 화합물과의 시프-염기 반응으로 수산 그룹 및 비닐그룹이 말단에 도입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ACS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말단이 알데히드 그룹인 경우 추가적으로 히드록시아민 화합물 및 아미노산과의 시프-염기 형성 반응으로 수산 그룹 및 카르복실산 그룹이 말단에 도입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단계로, 양쪽 말단에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는 기존의 폴리우레탄 원료들 가운데 4,4-Diphenyl methanediisocyanate (MDI)을 이용해 제조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폴리우레탄 중합체를 물과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방식의 예로써 구체적인 그 반응식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물 대신에 4,4'-Methylenedianiline (MDA)와 같은 방향족 디아민을 반응시킬 경우에도, MDI를 이용해 제조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중합체는 말단이 방향족 아민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2 단계로, 상기 제 1 단계에서 얻은 방향족 아민을 양쪽 말단에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알데히드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양론을 달리한 반응을 대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그 구체적인 반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제 2 단계에서는 상기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반응하는 화학성분을 알데히드 화합물로 특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알데히드 화합물이 대칭 구조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반응하여 시프-염기를 형성하였을 때, 최종적인 목적 화합물인 시프-염기가 고분자 올리고머 조성물의 내부에 대칭적인 ACS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메조젠 효과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 화합물로서는, 지방족의 경우에는 글리옥살, 방향족인 경우에는 테레프탈알데히드와 같이 두 시프-염기가 단일 결합 또는 방향족 구조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단계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에 반응하는 화학성분을 알데히드 화합물로 특정하여 사용하는 이유 및 그 진행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도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3의 반응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한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출발물질로 이용하여 진행하는 방법은, 별도의 합성공정에서 제조한 방향족 공액 화합물에서 발생하는 결정화가 억제되고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액상으로 다루기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알데히드 화합물과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시프-염기 형성 반응에 있어서,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의 아민 농도가 상기 디알데히드 화합물의 알데히드 농도보다 높을 경우,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올리고머의 말단이 아민으로 이루어진 것 (이하, ACS-Ⅰ로 약칭)이 얻어진다. 말단이 아민으로 이루어진 ACS-I은 폴리우레아, 폴리아미드, 에폭시 수지 경화제 등의 제조 원료로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의 아민 농도가 상기 디알데히드 화합물의 알데히드 농도보다 낮은 경우, 말단이 알데히드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올리고머(이하, ACS-Ⅱ로 약칭)가 얻어지고, 이는 이민 수지의 제조는 물론 다양한 작용기를 말단에 도입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ACS 조성물들이 다양한 고분자 소재의 골격 사슬의 일부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말단이 아민 그룹(-NH2), 수산 그룹(-OH), 카르복실산 그룹(-COOH), 비닐 그룹(-CH=CH2) 등의 작용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2에 나타낸 경우와 같이 말단이 아민기로 이루어진 경우, 이를 수산 그룹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닐린과 같은 알돌 화합물과의 반응으로 추가적인 시프-염기 형성 반응을 진행하면 수산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로써 방향족 공액 구조인 것 (이하ACS-Ⅲ 로 칭함)이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산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에비중합체 시프-염기는 폴리우레탄 제조는 물론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 수지 제조 조성물로 적용하여 고분자 소재의 자기 치유와 가수분해를 통한 화학적 재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말단이 아민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는 반응식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로레인과 같은 비닐알데히드 화합물과 추가적으로 시프-염기 형성 반응으로 말단이 비닐 그룹으로 이루어진 조성물 (이하 ACS-Ⅳ로 약칭)을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은 각종 비닐 수지 조성물로 적용하면 고분자 소재의 자기 치유와 가수분해를 통한 화학적 재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말단이 알데히드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는 반응식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노에탄올 아민과 같은 히드록시아민 화합물과 추가적으로 시프-염기 형성 반응으로 말단이 수산기로 이루어진 조성물 (이하 ACS-Ⅴ로 약칭)을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은 다양한 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적용이 가능하게되고, 적용된 고분자 소재의 자기 치유와 가수분해를 통한 화학적 재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말단이 알데히드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는 반응식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리신과 같은 아미노산과 추가적으로 시프-염기 형성 반응으로 말단이 카르복실 산 그룹으로 이루어진 조성물 (이하 ACS-Ⅵ로 약칭)을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 구조를 가지는 저분자 화합물은 결정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면 폴리우레탄 등의 고분자 제조 공정에 도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 1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단계의 공정들을 진행하여 고분자 소재의 내부 구조에 ACS를 쉽게 도입할 수 있으며, 자기치유 기능과 가수분해를 통한 화학적 재활용으로 지속 가능성을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ACS를 포함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는 고분자 소재에서 메조젠과 같은 분자 수준의 보강 효과를 보임으로써, 높은 강도 내지 탄성을 보유하게 된다. ACS 구조들을 도입한 고탄성의 고분자 소재의 경우 용융 가공 공정에서 시프-염기의 복분해 반응을 통해 용융 점도가 낮아져 흐름성이 우수한 장점도 갖는다.
본 발명은 고분자 소재 분자의 내부에 ACS를 포함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구조를 화학반응에 의해 도입함으로써, ACS 조성물의 결정화가 억제되고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액상으로 다루기 용이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말단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인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말단을 아민그룹으로 전환시키고, 디알데히드화합물과 시프-염기를 형성하는 반응을 통상적인 폴리우레탄 단위 공정에서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CS를 포함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도입된 각종 고분자 소재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면서, 시프-염기 그룹에 의한 복분해 특성으로 자기 치유가 가능하고, 사용이 끝난 후 재활용을 위해 대기압하의 온화한 온도 조건에서 가수 분해 반응으로 원료화가 가능해져 친환경적이다.
도 1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한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인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물의 반응으로 아민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반응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아민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디알데히드의 반응으로 말단이 아민 그룹으로 이루어진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ACS-Ⅰ)를 제조하는 반응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은 아민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CS-Ⅰ과 디알데히드의 반응으로 말단이 알데히드 그룹으로 이루어진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ACS-Ⅱ)를 제조하는 반응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는 아민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CS-Ⅰ과 바닐린의 반응으로 수산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ACS-Ⅲ)를 형성하는 반응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5는 아민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CS-Ⅰ과 아크로레인의 반응으로 비닐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ACS-Ⅳ)을 형성하는 반응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6는 알데히드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ACS-Ⅱ와 모노에탄올 아민의 반응으로 수산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ACS-Ⅴ)을 형성하는 반응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은 알데히드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ACS-Ⅱ)와 아미노산과의 반응으로 카르복실산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 (ACS-Ⅵ)을 형성하는 반응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과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주 원료로 이용하여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프-염기 구조를 도입하여 탄성과 용융 흐름성이 우수하고 화학적 재활용이 용이한 장점을 구현하기 위해 ACS 구조를 포함한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말단에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알데히드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폴리우레탄 분자 내부에 ACS를 형성시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조성물을 얻는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ACS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말단이 아민그룹인 경우 추가적으로 알돌화합물 및 비닐알데히드 화합물과의 시프-염기 반응으로 수산 그룹 및 비닐그룹을 말단에 도입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ACS를 포함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말단이 알데히드 그룹인 경우 추가적으로 히드록시아민 화합물 및 아미노산과의 시프-염기 형성 반응으로 수산 그룹 및 카르복실산 그룹이 말단에 도입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단계로, 양쪽 말단에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CS 구조를 포함한 조성물은 말단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로 전환시킨 후, 알데히드와의 시프-염기 형성과정을 거쳐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시프-염기 화합물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트레르 수지, 비닐 수지 제조 과정에서 고분자 사슬의 일부로 도입하여 기능적인 특성으로 화학적 재활용이 용이해지고 탄성과 용융 가공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ACS의 출발 물질인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로 말단이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는 분자내에 수산기가 2개 이상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200~10,000g/mol인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글리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 다양한 공중합 폴리올, 천연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용융 및 성형 공정, 도포 등으로 제조되는 제품을 위한 폴리우레탄의 경우는 상기 폴리올들 가운데 분자내 수산기가 2개이고, 수평균 분자량이 200~6,000g/mol의 범위에 있는 폴리올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로 toluene diisocyanate (TDI), MDI, xylene diisocyanate (XDI), naphthalene diisocyanate (NDI)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온에서 액상을 유지하는 변성 MDI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제조는 선형의 사슬 구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allophanate 형성 반응으로 가지 구조 내지 부분적인 가교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60℃ 정도에서 합성하는 통상적인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 제조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말단이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는 시프-염기 합성을 위해 방향족 아민 그룹으로 말단이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로 전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으로 말단이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방향족 디아민과의 반응을 진행하거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과의 반응으로도 가능하다.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으로 말단이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로부터 아민그룹으로 말단이 이루어진 예비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방향족 디아민 화합물로는 페닐렌 디아민 이성질체들, methylenedianiline 이성질체들, 나프탈렌디아민 이성질체들, 안트라센디아민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와 시프-염기 형성을 통하여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를 형성하기 위한 디알데히드로는, 글리옥살, 테레프탈알데히드 및 이성질체들, 2,5-퓨란디카르복스알데히드 (2,5-Furandicarboxaldehyde), 나프탈렌 디알데히드 이성질체들, 안트라센 디알데히드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 말단이 알데히드로 이루어진 다양한 구조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CS 조성물의 분자량은 아민 그룹으로 말단이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분자량은 물론 이들의 몰수와 디알데히드 화합물의 몰수의 비율 (r)에 의해 결정되며, r은 1보다 작은 값을 가지도록 정의된다. 아민그룹 말단 예비중합체와 디알데히드 화합물의 시프-염기 형성도(Degree of Schiff-base formation: DS)는 일종의 축중합 반응이어서 아래와 같이 결정된다.
(2)
만일 말단이 아민 그룹으로 이루어진 ACS-Ⅰ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응시키는 디알데히드 그룹의 농도 (CAL)를 아민 그룹의 농도 (CAM)보다 적게 하며, r = CAL/CAM < 1 이 요구된다. 반면 말단이 알데히드 그룹으로 이루어진 ACS-Ⅱ가 필요한 경우에는 디알데히드 그룹의 농도를 아민기 농도보다 높게 하는 것이 요구되며, r = CAM/CAL < 1, 시프-염기 형성 반응을 통하여 말단이 알데히드 그룹으로 이루어진 예비중합체가 얻어지면, 이어서 히드록시 아민 화합물과 시프-염기 형성 반응으로 말단이 수산 그룹으로 이루어진 예비중합체인 ACS-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ACS-Ⅱ와 반응하여 ACS-Ⅴ의 제조에 사용하는 히드록시아민은 지방족의 에탄올 아민, 프로판올 아민, 부탄올 아민 등의 이성질체들은 물론 방향족의 아미노페놀과 같은 화합물 이성질체들, 지환족의 아미노싸이클로헥사놀과 같은 화합물의 이성질체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의 사용이 가능하다.
말단이 아민 그룹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 중합체와 알데히드의 시프-염기를 형성시키면 ACS가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공액을 통하여 메조젠과 같은 분자 수준의 보강 효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알데히드는 테레프탈알데히드와 같은 방향족 디알데히드를 사용하거나 글리옥살과 같이 시프-염기 형성 후 공액을 가능하게 하는 지방족 디알데히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성된 ACS 구조는 분자 수준의 보강효과를 보임으로써 고분자 소재의 고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시프-염기 구조의 복분해 특성을 통하여 크랙이나 스크래치의 복원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용융 가공시에 점도를 낮추고 냉각 후 잔류 응력이 없는 장점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이 끝난 후 반복적인 물리적 재활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온화한 대기압 조건의 가수분해를 통한 화학적 재활용을 통하여 원료화가 가능한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써 다양한 적용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 예에서 주어진 숫자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 제조 실시예 1: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를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표준 실험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제조를 위해, 상온에서 가열 맨틀에 위치시킨 1 리터 4구 플라스크에 NCO 함량이 29.1wt.%인 변성 MDI (금호미쓰이화학 제품: COSMONATE LL)를 200.0 그램 투입하고, 질소 기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한 수평균 분자량이 650 g/mol인 폴리올(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PTMEG)(Merk사 시약급) 225.0 그램을 투입한 다음, 교반하면서 반응물의 온도를 60℃까지 승온하였다. 60℃에서 2시간 반응이 이루어진 이후, 생성물의 NCO 함량을 ASTM D1638-74에 따라 N-butyl amine 역적정법으로 확인한 결과 6.7wt.%로 나타나, 실험 오차를 감안할 때 이론적으로 예상되는 함량 (6.8wt%)에 근접한 값이어서, 말단이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정상적으로 얻어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제조 실시예-2: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
제조 실시예-1에 기술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NCO 함량이 6.7wt%인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200 그램을 상온에서 가열 맨틀에 위치시킨 500 mL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기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12그램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투입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과 폴리우레탄 에비중합체의 발열 반응으로 반응물의 온도는 60℃까지 증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 ACS-Ⅰ은 회전 증발 농축기로 미반응 여분의 물을 건조한 다음 ASTM D-2074-07 방법으로 아민가를 측정한 결과 95.1 mgKOH/g 이었다.
<< 제조 실시예-3: ACS-Ⅰ 조성물 합성 >>
제조 실시예-2에 기술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아민가 값이 95.1 mgKOH/g 인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200 그램을 상온에서 가열 맨틀에 위치시킨 500 mL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기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12.4 그램의 40% 글리옥살 수용액을 투입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글리옥살과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에비중합체의 발열 반응으로 반응물의 온도는 40℃까지 증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 ACS-Ⅰ은 회전 증발 농축기로 80℃에서 휘발분을 건조한 다음 ASTM D-2074-07 방법으로 아민가를 측정한 결과 47. 2 mgKOH/g 이었다.
<< 제조 실시예-4: ACS-Ⅱ 조성물 합성 >>
제조 실시예-2에 기술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아민가 값이 95.1 mgKOH/g 인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200 그램을 상온에서 가열 맨틀에 위치시킨 500 mL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기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37 그램의 40% 글리옥살 수용액을 투입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글리옥살과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에비중합체의 발열 반응으로 반응물의 온도는 50℃까지 증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 ACS-Ⅱ는 회전 증발 농축기로 80℃에서 휘발분을 건조한 다음 ASTM D-2192-06 방법으로 알데히드 농도를 측정한 결과 7.9wt% 이었다.
<< 제조 실시예-5: ACS-Ⅲ 조성물 합성 >>
제조 실시예-3에 기술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아민가 값이 47.2 mgKOH/g 인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100 그램을 상온에서 가열 맨틀에 위치시킨 500 mL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기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12.8 그램의 바닐린을 투입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바닐린과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에비중합체의 발열 반응으로 반응물의 온도는 40℃까지 증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 ACS-Ⅲ은 회전 증발 농축기로 80℃에서 휘발분을 건조한 다음 ASTM D-4274-1 방법으로 수산가를 측정한 결과 42.4 mgKOH/g 이었다.
<< 제조 실시예-6: ACS-Ⅳ 조성물 합성 >>
제조 실시예-3에 기술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아민가 값이 47.2 mgKOH/g 인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100 그램을 상온에서 가열 맨틀에 위치시킨 500 mL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기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12.8 그램의 아크롤레인을 투입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바닐린과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에비중합체의 발열 반응으로 반응물의 온도는 35℃까지 증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 ACS-Ⅳ를 회전 증발 농축기로 80℃에서 휘발분을 건조한 다음 비닐 그룹 농도의 척도로 ASTM D-5768-95 방법으로 요오드가를 측정한 결과 20 이었다.
<< 제조 실시예-7: ACS-Ⅴ 조성물 합성 >>
제조 실시예-4에 기술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알데히드가 값이 7.9wt% 인 알데히드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100 그램을 상온에서 가열 맨틀에 위치시킨 500 mL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기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12.8그램의 모노에탄올 아민을 투입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바닐린과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에비중합체의 발열 반응으로 반응물의 온도는 35℃까지 증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 ACS-Ⅴ을 회전 증발 농축기로 80℃에서 휘발분을 건조한 다음 ASTM D-4274-21 방법으로 수산가를 측정한 결과 44.1 mgKOH/g 이었다.
<< 제조 실시예-8: ACS-Ⅵ 조성물 합성 >>
제조 실시예-4에 기술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제조 방법으로 얻어진 알데히드가 값이 7.9wt%인 알데히드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100 그램을 상온에서 가열 맨틀에 위치시킨 500 mL 4구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질소기체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12.8 그램의 글리신올 투입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글리신과 아민 그룹 말단 폴리우레탄 에비중합체의 발열 반응으로 반응물의 온도는 35℃까지 증가하였다. 얻어진 생성물 ACS-Ⅵ 을 회전 증발 농축기로 80℃에서 휘발분을 건조한 다음 ASTM D-4817 방법으로 산가를 측정한 결과 43.5 mgKOH/g 이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주원료로 하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말단에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에 알데히드 화합물의 반응으로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ACS)를 형성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아민 농도가 상기 디알데히드 화합물의 알데히드 농도보다 높을 경우, 올리고머의 말단이 아민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얻어지면 이들을 알돌 화합물과 반응시키고, 수산기 말단 예비중합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아민 농도가 상기 디알데히드 화합물의 알데히드 농도보다 높은 경우, 올리고머의 말단이 아민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얻어지면 이들과 비닐 알데히드 화합물을 반응시켜, 비닐 그룹 말단 예비중합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아민 농도가 상기 디알데히드 화합물의 알데히드 농도보다 낮은 경우, 올리고머의 말단이 알데히드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얻어지면 이들과 히드록시아민 화합물을 반응시켜 수산 그룹 말단 예비중합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아민 농도가 상기 디알데히드 화합물의 알데히드 농도보다 낮은 경우, 올리고머의 말단이 알데히드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가 얻어지면 이들과 아미노산 화합물을 반응시켜 카르복실 그룹 말단 예비중합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의 제조방법.
  6. 이소시아네이트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물과 반응시켜서 말단에 방향족 아민을 포함하고 있는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로 전환시키고, 상기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를 알데히드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구조 내에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ACS)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에 알돌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수산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구조 내에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ACS)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아민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에 비닐 알데히드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비닐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구조 내에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ACS)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의 말단이 알데히드로 이루어진 알데히드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에 히드록시아민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수산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구조 내에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ACS)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의 말단이 알데히드로 이루어진 알데히드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에 아미노산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카르복시기 말단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구조 내에 방향족 공액 시프-염기(ACS)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KR1020220029339A 2022-03-08 2022-03-08 고분자 소재의 지속 가능성과 고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들과 그 제조 방법 KR20230132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39A KR20230132155A (ko) 2022-03-08 2022-03-08 고분자 소재의 지속 가능성과 고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들과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39A KR20230132155A (ko) 2022-03-08 2022-03-08 고분자 소재의 지속 가능성과 고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들과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155A true KR20230132155A (ko) 2023-09-15

Family

ID=8801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339A KR20230132155A (ko) 2022-03-08 2022-03-08 고분자 소재의 지속 가능성과 고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들과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155A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P 16183891.7, Blocked polyurethane impact modifiers for improving the impact strength of low temperature curing single component epoxy adhesives, SIKA Technology AG, 2016.11.8.
US Patent, 5,296,544, Polyester-polyurethane hybrid resin systems containing low levels of unsaturation having improved low profiling behavior, Cook Composites and Polymers 1992. 7. 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shra et al. (UV/Oxidative) dual curing polyurethane dispersion from cardanol based polyo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JP4027601B2 (ja) 部分的にフッ素化された側鎖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
US4129715A (en) Polyester amides suitable for injection molding
US8242232B2 (en) Copolymers with amorphous polyamide segments
JP6392787B2 (ja) テレケリックn−アルキル化ポリアミドポリマーおよびコポリマー
Ireni et al. Poly (thiourethane-urethane)-urea as anticorrosion coatings with impressive optical properties
US4456745A (en) Polyurethanes prepared from polycarbonates
US4423205A (en) Cationic polymerization of cyclic carbonates
US5115071A (en) High performance polyurethane coating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US20210403670A1 (en) Method for recycling polyester/polyurethane
US6897266B2 (en) Dendritically modified polyurethanes
CN114805748B (zh) 可持续和高模量席夫碱功能性聚氨酯预聚物及其制备方法
Macijauskas et al. Epoxy resin and polyurethane compositions from glycolized poly (ethylene terephthalate) wastes
TW201439204A (zh) 由遙爪n-烷基化聚醯胺所製造的聚合物
Sivanesan et al. Effects of flexible and rigid parts of ε-caprolactone and tricyclodecanediol derived polyurethane on the polymer properties of epoxy resin
CN113136017B (zh) 一种具有pH响应与自愈合性能的聚氨酯及其制备方法
Yan et al. Thiol‐assisted bioinspired deposition of polyurethane onto cellulose as robust elastomer for reinforcing soy protein‐based composites
KR20230132155A (ko) 고분자 소재의 지속 가능성과 고탄성을 부여하는 기능성 폴리우레탄 예비중합체 시프-염기들과 그 제조 방법
US2020029948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and an additive
CN115612054A (zh) 一种动态交联聚氨酯材料及其合成方法
CN114096602B (zh) 用于制备片材、膜、纤维和成型部件的组合物和方法
JP2023531392A (ja) ベンゾオキサジン誘導体ビトリマー
CN116925320A (zh) 一种桐油基聚氨酯型环氧增韧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wak et al. Transparent epoxy resin toughened with in-situ azide-alkyne polymerized aliphatic toughening agent
JP2023552719A (ja) ベンゾオキサジン誘導体ビトリマ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