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006A - 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2006A
KR20230132006A KR1020220028766A KR20220028766A KR20230132006A KR 20230132006 A KR20230132006 A KR 20230132006A KR 1020220028766 A KR1020220028766 A KR 1020220028766A KR 20220028766 A KR20220028766 A KR 20220028766A KR 20230132006 A KR20230132006 A KR 20230132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hinge
adjustment
lo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원이노텍
Priority to KR1020220028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2006A/ko
Publication of KR2023013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에 장착되는 제1힌지부와, 문틀에 장착되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돌출되어 제2힌지부에 연결되는 샤프트가 구비되고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장치 또는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부에는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가 구비되어,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미세조정할 수 있고, 간격 조절이 쉽고 편리하다.

Description

도어 힌지장치{HINGE APPARATUS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닫히거나 열릴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와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스프링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와 문틀 사이에 장착되어 도어가 회전되면서 열리고 닫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의 도어힌지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947919(2019년 02월 07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하편으로 나누어져 샤프트가 내부에 구비되는 아웃경첩프레임과, 샤프트에 의해 회전되어 아웃경첩프레임에 대해 회동되는 이너경첩프레임과, 아웃경첩프레임에 대해서 이너경첩프레임이 회전상태를 이루는 회전축을 이루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샤프트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과 캠 구조에 의해 도어가 열림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도어가 닫힘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힌지는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가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힌지는 도어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도어를 문틀에 설치하기 어렵고 추후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도어힌지는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때 볼트를 푼 후 작업자가 도어를 잡고 간격을 조절한 후 볼트를 조이는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도어의 좌우방향 간격이 미세하게 조절하기 어렵고 간격 조절시 작업자가 적어도 둘 이상이 필요하며,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947919(2019년 02월 07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도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고,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때 조절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간격 조절을 쉽게할 수 있고 미세한 조절이 가능한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에 장착되는 제1힌지부; 문틀에 장착되는 제2힌지부와,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돌출되어 제2힌지부에 연결되는 샤프트가 구비되고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장치 또는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부에는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부는 케이싱이 삽입되는 제1원통부와, 제1원통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도어에 장착되며,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부는 제1원통부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브라켓부와, 도어에 고정되고 제1브라켓부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브라켓부와, 상기 제1브라켓부와 제2브라켓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2브라켓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부는 제1원통부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평판부와, 제1평판부에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평판부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제2평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부는 제1평판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3평판부와, 상기 제3평판부에서 직각으로 형성되고 제2평판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며 도어에 볼트 체결되는 제4평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은 제1브라켓부의 상면에 제1브라켓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홈부와, 상기 제2브라켓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장홈부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원형홈부와, 상기 원형홈부의 중앙에서 관통되게 형성되어 조절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홀부와, 상기 장홈부와 원형홈부에 삽입되고 조절공구가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2브라켓부가 제1브라켓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는 원형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의 조절 헤드부와, 상기 조절 헤드부의 하면에 조절 헤드부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인 조절 헤드부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 헤드부가 회전운동되면 상기 장홈부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이동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힌지장치는 스프링 장치 또는 댐핑장치가 구비되어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도어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거나,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어와 문틀 사이에 간격 조절부가 구비되어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쉽게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미세 조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간격 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간격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간격 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도어 높낮이 조절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상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에 장착되는 제1힌지부(10)와, 제1힌지부(10)의 양쪽에 배치되고 문틀에 장착되는 제2힌지부(12)와, 제1힌지부(10)와 제2힌지부(12,14) 사이에 설치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장치(20) 및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30)를 포함한다.
스프링 장치(20)는 제1힌지부(10)에 연결되는 케이싱(22)과, 케이싱(22)의 일측에 돌출되어 제2힌지부(12)에 연결되는 샤프트(40)와, 케이싱(22)의 중앙부분에 케이싱(22)의 양쪽 부분에 비해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고, 제1힌지부(10)에 삽입되어 제1힌지부(10)와 같이 회전되는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평면 형태인 제1평면부(23)를 포함한다.
케이싱(22) 내부에는 케이싱(22)과 샤프트(40) 사이에 연결되어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어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이고, 도어가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댐핑장치(30)도 마찬가지로,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의 댐핑장치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의 상측 및 하측에 도어 힌지장치가 각각 설치될 경우 하나에는 스프링 장치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댐핑장치가 설치되는 구조도 적용될 수 있다.
제1힌지부(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22)의 제1평면부(23)에 위치되는 제1원통부(50)와, 제1원통부(50)의 일측에 형성되고 도어에 장착되며,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52)를 포함한다.
제1원통부(50)는 내면에는 케이싱(22)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평면부(23)에 삽입되어 제1힌지장치(10)와 케이싱(22)이 같이 회전되도록 하는 제2평면부(54)가 형성되고, 그 외면에는 제1힌지커버(94)가 장착된다.
간격 조절부(52)는 도어에 문틀을 최초에 장착할 때 도어와 문틀 사이가 좌우방향 틀어짐없이 정렬되도록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사용기간이 경과한 후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틀어지면 이를 다시 정밀하게 맞추기 위해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간격 조절부(52)는 제1원통부(5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브라켓부(62)와, 도어에 고정되고 제1브라켓부(62)에 안착되며 제1브라켓부(62)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브라켓부(64)와, 제1브라켓부(62)와 제2브라켓부(64) 사이에 배치되어 조절공구를 사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브라켓부(64)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브라켓부(6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브라켓부(64)를 제1브라켓부(62)에 대해 상대적으로 미세 이동시키는 조절유닛(70)과, 제1브라켓부(62)에 형성되는 볼트 체결홀(72)에 볼트 체결되고, 제1브라켓부(62)에 형성되는 슬롯부(74)를 통과하여 제1브라켓부(62)와 제2브라켓부(64)의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볼트(76)를 포함한다.
제1브라켓부(62)는 제1원통부(5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평판부(80)와, 제1평판부(80)에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평판부(80)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며 제1원통부(5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평판부(82)를 포함한다. 제1평판부(80)에는 고정볼트(79)가 볼트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 체결홀(72)이 형성된다.
제2브라켓부(64)는 제1평판부(8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3평판부(86)와, 제3평판부(86)에서 직각으로 형성되고 제2평판부(8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며 도어에 볼트(92) 체결되는 볼트 체결홀(68)이 형성되는 제4평판부(86)를 포함한다. 제3평판부(84)에는 고정볼트(76)가 통과하고 고정볼트(76)의 머리부가 걸림되는 슬롯부(74)가 형성된다. 슬롯부(74)는 제2브라켓부(64)의 길이방향의 직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2브라켓부(64)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제1브라켓부(62)와 제2브라켓부(64)는 제2브라켓부(64)가 제1브라켓부(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 후 고정볼트(76)를 조이면 제1브라켓부(62)와 제2브라켓부(64) 사이가 고정된다.
제4평판부(86)에는 제2브라켓부(64)를 도어에 장착할 때 장착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용 핀부재(90)가 장착된다.
조절유닛(70)은 제1평판부(80)의 상면에 제1평판부(8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는 장홈부(102)와, 제3평판부(84)의 하면 장홈부(102)와 마주보는 위치에 원형홈 형태로 형성되는 원형홈부(104)와, 원형홈부(104)의 중앙에서 관통되게 형성되어 조절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홀부(108)와, 장홈부(102)와 원형홈부(104)에 삽입되고 조절공구가 끼움되어 조절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제2브라켓부(64)가 제1브라켓부(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조절부재(106)를 포함한다.
조절부재(106)는 원형홈부(10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원형홈부(104)의 내경과 거의 일치되는 사이즈로 형성되는 원형의 조절 헤드부(110)와, 조절 헤드부(110)의 하면에 조절 헤드부(110)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인 조절 헤드부(1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장홈부(102)에 삽입되어 장홈부(102)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로드부(11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절부재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부(62)와 제2브라켓부(64)가 서로 겹쳐진 위치인 제2브라켓부(64)가 좌측에 위치되면 조절 헤드부(110)는 장홈부(102)의 좌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위치되고 이동 로드부(112)는 장홈부(102)의 한쪽 끝부분인 제1위치(P1)에 배치된다.
즉, 조절 헤드부(110)의 중심과 장홈부의 중심 사이가 장홈부(102)의 좌측방향으로 거리(T1)만큼 위치되되어 제2브라켓부(64)는 제1브라켓부(62)와 거의 겹쳐진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문과 문틀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위치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절 헤드부(110)에 조절공구를 삽입하고 조절 헤드부(1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헤드부(110)는 원형홈부(104) 내에서 회전 운동되고 이에 따라 이동 로드부(112)가 장홈부(102)를 따라 이동되어 장홈부(102)의 다른쪽 끝부분인 제2위치(P2)에 배치되고 이때 조절 헤드부(110)의 중심은 장홈부(102)의 중심과 일치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조절 헤드부(110)는 원형홈부(104)와 거리(T1)만큼 우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되고, 제2브라켓부(64)가 제1브라켓부(62)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조절 헤드부(110)를 더 회전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홈부(102)의 제2위치(P2)에 배치된 이동 로드부(112)가 다시 제1위치(P1)로 이동되고 조절 헤드부(110)는 장홈부(102)의 우측면에 위치되어 조절 헤드부의 중심과 장홈부의 중심은 거리(T2)만큼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되고, 제2브라켓부(64)가 우측방향으로 더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조절 헤드부(1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위의 조절 헤드부(110)가 장홈부(102)의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브라켓부(64)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부는 조절 헤드부(110)에 조절공구를 삽입하여 조절공구에 의해 조절 헤드부(110)가 미세하게 회전되어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미세 조정이 가능하고, 고정볼트(76)를 조금 푼 상태에서 간격 조절이 이루어진 후 고정볼트(76)를 조이면 간격 조절 작업이 완료되므로 간격조절이 쉽고 편리하다.
제2힌지부(12,14)는 케이싱(22)의 일측이 삽입되는 상부 힌지부(12)와, 케이싱(22)의 타측이 삽입되는 하부 힌지부(14)를 포함한다.
상부 힌지부(12)는 케이싱(22)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2원통부(130)와, 문틀에 볼트(140)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제3브라켓부(132)를 포함하고, 제2원통부(130)의 외면에는 볼트 체결홀부를 가리기 위한 제2힌지커버(138)가 장착된다. 제3브라켓부(132)에는 문틀에 체결할 때 체결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 정렬핀(134)이 장착된다.
제2원통부(130) 일측 내면에는 케이싱(22)의 일측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수지재질의 제1부싱부재(142)가 장착되고, 제2원통부(130) 타측에는 상단 캡(136)이 장착된다.
하부 힌지부(14)는 케이싱(22)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3원통부(150)와, 문틀에 고정되는 제4브라켓부(152)를 포함하고, 제4브라켓부(152)는 볼트(158) 체결에 의해 문틀에 고정되고, 문틀에 장착될 때 위치를 정렬하는 위치 정렬핀(154)이 장착된다.
제3원통부(150)에는 케이싱(22)의 타측이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지재질의 제2부싱부재(156)가 장착되고, 제2부싱부재(156)의 하단에는 샤프트(40)가 삽입되어 샤프트(40)와 같이 회전되는 고정 플레이트(170)가 장착된다.
고정 플레이트(170)는 제3원통부(150)의 내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그 외면에 복수의 걸림돌기(180)가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샤프트(40)가 삽입되는 장홈부(182)가 형성된다.
제3원통부(150)에는 제1힌지부(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제1힌지부(10)가 장착된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172)가 장착된다.
조절부재(17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원통부(270)의 하측 내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에나사 결합되도록 외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홀(18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조절부재(172)는 공구 삽입홀(184)에 공구를 삽입한 후 조절부재(17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재(172)가 상승된다. 그러면 조절부재(172)는 제2부싱부재(156)를 밀어주면 제2부싱부재(156)가 제3원통부(150)에서 상측방향으로 인출되고, 제2부싱부재(156)가 제1힌지부(10)를 밀어주면 제1힌지부(10)가 상승된다.
이와 같이, 조절부재(172)는 도어에 처짐이 발생되거나 기타의 요인으로 인하여 도어의 높낮이가 달라질 경우 도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와 문틀 사이가 서로 이격된 위치이거나 도어와 문틀의 형상에 따라 제1힌지부와 문틀 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이 다른 형태를 갖는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힌지장치는 제1원통부(50)에 연결용 브라켓(200)이 연결되고, 연결용 브라켓(200)의 타단에 문틀에 장착되는 문틀 장착부재(240)가 설치된다.
연결용 브라켓(200)은 제1원통부(50)의 측면에 장착되는 제1연결부(210)와, 제1연결부(21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220)와, 제2연결부(220)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문틀 장착부재(240)에 장착되는 제3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용 브라켓의 형태는 도어와 문틀 사이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제1힌지부 12,14: 제2힌지부
20: 스프링 장치 30: 댐핑장치
22: 케이싱 40: 샤프트
50: 제1원통부 62: 제1브라켓부
64: 제1브라켓부 70: 간격 조절부
80: 제1평판부 82: 제2평판부
84: 제3평판부 86: 제4평판부
102: 장홈부 104: 원형홈부
106: 조절부재

Claims (6)

  1. 도어에 장착되는 제1힌지부; 문틀에 장착되는 제2힌지부; 및 상기 제1힌지부에 연결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돌출되어 제2힌지부에 연결되는 샤프트가 구비되고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장치 또는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부에는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가 구비되는 도어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케이싱이 삽입되는 제1원통부와, 제1원통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도어에 장착되며,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 조절부는 제1원통부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브라켓부;
    도어에 고정되고 제1브라켓부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브라켓부; 및
    상기 제1브라켓부와 제2브라켓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2브라켓부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도어와 문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도어 힌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부는 제1원통부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평판부와, 제1평판부에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평판부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제2평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부는 제1평판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3평판부와, 상기 제3평판부에서 직각으로 형성되고 제2평판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며 도어에 볼트 체결되는 제4평판부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제1브라켓부의 상면에 제1브라켓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홈부;
    상기 제2브라켓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장홈부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원형홈부;
    상기 원형홈부의 중앙에서 관통되게 형성되어 조절공구가 삽입되는 공구 삽입홀부; 및
    상기 장홈부와 원형홈부에 삽입되고 조절공구가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제2브라켓부가 제1브라켓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원형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형의 조절 헤드부와, 상기 조절 헤드부의 하면에 조절 헤드부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인 조절 헤드부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 헤드부가 회전운동되면 상기 장홈부를 따라 직선 이동되는 이동 로드부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제2브라켓부가 제1브라켓부에 일치되게 위치되면 상기 조절 헤드부의 중심은 상기 장홈부의 좌측에 치우치게 위치되고, 상기 이동 로드부는 상기 장홈부의 일측 끝부분인 제1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조절 헤드부가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면 상기 조절 헤드부의 중심은 상기 장홈부의 중심과 일치되게 위치되고, 상기 이동 로드부는 상기 장홈부의 타측 끝부분인 제2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조절 헤드부가 일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상기 조절 헤드부의 중심은 상기 장홈부의 우측에 치우치게 위치되고, 상기 이동 로드부는 상기 장홈부의 일측 끝부분인 제1위치에 위치되는 도어 힌지장치.
KR1020220028766A 2022-03-07 2022-03-07 도어 힌지장치 KR20230132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766A KR20230132006A (ko) 2022-03-07 2022-03-07 도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766A KR20230132006A (ko) 2022-03-07 2022-03-07 도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006A true KR20230132006A (ko) 2023-09-15

Family

ID=8801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766A KR20230132006A (ko) 2022-03-07 2022-03-07 도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20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919B1 (ko) 2017-09-26 2019-02-13 원종석 반자동 클로저 및 스토퍼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919B1 (ko) 2017-09-26 2019-02-13 원종석 반자동 클로저 및 스토퍼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7231B2 (en) Hinge
US6266848B1 (en) Hinge
JP4229556B2 (ja) 安全スイッチ用アクチュエータ
US10920474B2 (en) Hinge device
US5787549A (en) Torsion rod hinge with friction dampening
JPH04136387A (ja) 蝶番ピン取り付け用の横方向調整装置
US10851573B2 (en) Hinge device
US11401745B2 (en) Furniture hinge having a blocking element for a linear damper
EP0066473A2 (en) Automatic return hinge
TW201402928A (zh) 用於玻璃門之自動歸位裝置
JP2021529904A (ja) 家具用金具
CN108851658B (zh) 用于抽屉的前装饰板的固定装置
CN208430910U (zh) 铰链
US7971319B2 (en) Hinge for doors or windows
US20080209677A1 (en) Furniture hinge
KR20230132006A (ko) 도어 힌지장치
CA2197391A1 (en) Cam adjusting device for iron fittings for furniture and iron fittings with such device
EP1626146A2 (en) Hinge assembly
CA3020835C (en) End load arm
KR200254755Y1 (ko) 가구용 힌지
EP2949845A2 (de) Verstellbares klappenlager
JP2590407Y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EP2639390A1 (en) A hinge element and a hinge containing the hinge element
GB2099497A (en) Hinges
JP3021608U (ja) 二方向調整蝶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