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1041A -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 Google Patents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1041A
KR20230131041A KR1020220028417A KR20220028417A KR20230131041A KR 20230131041 A KR20230131041 A KR 20230131041A KR 1020220028417 A KR1020220028417 A KR 1020220028417A KR 20220028417 A KR20220028417 A KR 20220028417A KR 20230131041 A KR20230131041 A KR 20230131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pipe
housing
ki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3871B1 (ko
Inventor
이운영
Original Assignee
(주)제일에치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에치티에스 filed Critical (주)제일에치티에스
Priority to KR1020220028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871B1/ko
Publication of KR2023013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Landscapes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동파 방지를 위해 배관 상에 설치된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원의 공급상태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효과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으며,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및 상기 히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키트기판부; 상기 키트기판부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키트기판부를 경유한 통전라인을 상기 히터 측으로 안내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배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단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안내홈을 가지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도록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블록을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A KIT FOR MONITORING  POWER CONDITION OF HEATER FOR PREVENTING PIPE FREEZING}
본 발명은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배관의 동파 방지를 위해 배관 상에 설치된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원의 공급상태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효과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으며,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각종 배관의 동파가 우려된다.
따라서, 주변 온도 또는 배관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배관을 가열하는 배관 동파 방지장치가 사용된다.
배관을 가열하는 히터로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배관에 열선을 감아서 구성되는 케이블형 히터 방식이 사용되고, 최근에는 배관에 스테인레스강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을 부착하고 상기 금속판을 가열하는 방식의 일명 메탈 히터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배관 동파 방지를 위해서는 동절기 영하의 날씨에 히터에 상시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며, 이처럼 히터의 전원 공급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가 사용된다.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는 외부 전원공급부로부터 배선되는 통전라인이 연결되고, 이러한 통전라인은 다시 배관 상에 설치된 히터로 연장되어야 하므로, 배관 상에 설치된 히터에 인접하게 설치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는 전원 및 히터의 정상 동작을 표시하는 램프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주변 작업자가 쉽게 접근하거나 식별할 수 있는 공간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는 배관 또는 히터에 직접 고정되는 방식이 대부분이여서, 주변 장애 구조물이 존재하는 등 배관의 구조적인 문제로 히터에 인접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주변 작업자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거나 램프 표시기를 쉽게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면, 히터와 연결되는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의 통전라인이 불필요하게 연장되어야 하는 등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의 초기 설치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초기 시공 완료된 후 정기 점검을 위한 분리 및 재조립 등 유지 보수 과정에서도 많은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는 위치 조절이 불가하기 때문에, 배관 및 주변 장애구조물로 인하여, 정기 점검을 위한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램프 표시기에서 표시되는 동파 방지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용이하지 못해 배관 동파 방지장치의 유지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6484호 (2018.02.08.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배관의 동파 방지를 위해 배관 상에 설치된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원의 공급상태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효과적으로 표시해줄 수 있으며, 설치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는, 배관에 설치된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및 상기 히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키트기판부; 상기 키트기판부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키트기판부를 경유한 통전라인을 상기 히터 측으로 안내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배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단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안내홈을 가지는 제1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도록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블록을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에 상기 제2결합부를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블록의 하면이 이웃하는 상기 안내홈의 사이 영역에 마련되는 상면지지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하우징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배관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과의 사이 공간에 상기 통전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수평배선홈을 가지는 수평연결부와, 상기 수평연결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평배선홈 및 상기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수직배선홀을 가지는 수직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연결부는, 상기 배관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수평연결부의 내면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수평배선홈 내의 상기 통전라인이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수평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배선홈과, 상기 수평배선홈 내의 상기 통전라인이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수평연결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배선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상면지지부 및 상기 안내홈의 사이 영역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을 통과한 상기 지지블록의 원주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인접한 상기 상면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지지부에 밀착된 상기 지지블록의 반대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서 이격된 상기 상면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지지부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지지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트기판부는,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공급상태 감지부와, 상기 히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히터 작동상태 감지부와, 상기 전원 공급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상태를 표시하는 제1램프와, 상기 히터 작동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2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제1램프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외부로 발산하는 제1작동상태 표시부와, 상기 제2램프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외부로 발산하는 제2작동상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작동상태 표시부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램프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외부로 발산하는 광발산부와, 상기 광발산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램프 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램프에서 발산된 광을 상기 광발산부 측으로 안내하는 광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트기판부가 내장되는 하우징이 배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로부터 원터치식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의 초기 설치 시공 및 유지 관리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로부터 하우징의 설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관 및 주변 구조물에 의한 설치 제약에도 불구하고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를 용이하게 설치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및 히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시인성을 높여 작업자가 매번 많은 수량의 동파 방지장치에 가까이 이동하지 않더라도 원거리에서 동파 방지장치에 대한 유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배관 동파 방지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제1결합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상태를 상태를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작동상태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하우징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배관 동파 방지장치(10)는 히터(12) 및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2)는 배관(1)을 가열하는 것으로, 동파가 예상되는 영역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12)는 배관(1)의 일측에 스테인레스강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판을 부착하고 금속판을 가열하는 방식의 이른바 메탈 히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히터(12)는 배관(1)에 열선을 감아서 구성되는 케이블형 히터 방식이 사용되는 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100)는 히터(12)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및 히터(12)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제1결합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의 결합상태를 상태를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추가 참조하면,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100)는 키트기판부(110), 하우징(120), 연결부재(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기판부(110)는 히터(12)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및 히터(12)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전원 공급상태 감지부, 히터 작동상태 감지부 및 표시부를 가질 수 있다.
전원 공급상태 감지부는 외부 전원공급부(11: 도 1 참조)에서 히터(12)로 연결되는 통전라인(L: 도 1 참조)의 전원 공급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히터 작동상태 감지부는 히터(12)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히터 작동상태 감지부는 히터(12)에서 발생되는 부하를 감지하여 히터(12)의 작동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과부하에 의한 오동작도 감지할 수 있다. 즉, 히터(12)에 아무런 부하가 발생되지 않으면 히터(12)는 작동 정지 상태일 수 있고, 히터(12)에 미리 설정된 적정의 부하가 발생되면 히터(12)가 정상 작동 상태일 수 있으며, 히터(12)에 미리 설정된 적정의 부하를 초과한 과부하가 발생되면 히터(12)는 오작동에 의한 과부하 상태일 수 있다.
표시부는 전원 공급상태 감지부 및 히터 작동상태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히터(12)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상태 및 히터 작동상태 등 히터(12)의 정상 혹은 이상 동작 여부를 표시해줄 수 있다.
표시부는 제1램프(113) 및 제2램프(114)를 가질 수 있다. (도 7 참조)
제1램프(113)는 전원 공급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히터(12)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직접 검침하지 않더라도 제1램프(113)의 점등 여부에 근거하여 히터(12)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2램프(114)는 히터 작동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온오프 작동하며, 히터(12)의 작동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다. 예컨대, 히터(12)에 아무런 부하가 발생되지 않으면 제2램프(114)는 소등되어 현재 히터(12)가 꺼진 상태임을 표시해주고, 히터(12)에 적정의 부하가 발생되면 제2램프(114)는 점등되어 현재 히터(12)가 정상 작동 중임을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히터(12)에 적정 부하를 초과하는 과부하가 발생되면 제2램프(114)는 점멸되는 등 현재 히터(12)가 오작동 중임을 표시해줄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매번 많은 수량의 히터(12)에 가까이 이동해야 하는 번기로운 유지 관리를 수행할 필요 없이 제2램프(114)의 표시 상태에 근거하여 히터(12)의 작동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키트기판부(110)는 통신부를 더 가질 수 있다.
통신부는 전원 공급상태 감지부 및 히터 작동상태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원거리의 관리부와 유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여러 장소에 배치되는 많은 수량의 배관 동파 방지장치(10)를 관리부에서 일괄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다.
하우징(120)은 키트기판부(110)를 설치 및 보호하는 것으로, 키트기판부(11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본체(121)와, 하우징본체(121)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커버(123)는 일단부가 하우징본체(121)에 힌지(123a)로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걸게(123b)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20)에 대한 키트기판부(110)의 초기 설치 및 사용 중 키트기판부(110)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커버(123)는 테두리에 실링부재(123c)를 더 가질 수 있다. 실링불재(123c)는 하우징본체(121)에 하우징커버(123)가 닫힌 상태에서 하우징본체(121) 및 하우징커버(123) 사이의 수밀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옥외에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100)가 설치되더라도 키트기판부(110)가 설치되는 하우징(120)의 내부공간에 대한 수밀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커버(123)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하우징커버(123)가 닫힌 상태에서도 키트기판부(110)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전원 공급상태 및 히터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하우징(120) 및 배관(1)을 연결하는 것으로, 상단부는 하우징(120)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배관(1)에 결합되며, 키트기판부(110)를 경유한 통전라인(V)을 히터(12)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수평연결부(131) 및 수직연결부(133)를 가질 수 있다.
수평연결부(131)는 배관(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배관(1)의 외면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연결부(131)는 배관(1)과의 사이 공간에 통전라인(V)을 안내하기 위한 수평배선홈(131a)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평연결부(131)는 내면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지지구(132)를 가질 수 있다. 지지구(132)가 배관(1)의 외면 상측에 지지되면서 수평연결부(131)와 배관(1)의 사이 공간에는 통전라인(V)을 안내하는 수평배선홈(131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연결부(131)는 외면에 고정부(140)가 체결되는 체결홈(131d)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구(132)는 체결홈(131d)에 체결되는 고정부(140)의 체결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체결홈(131d)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연결부(131)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배선홈(131b)을 가질 수 있다. 제1배선홈(131b)을 통하여 수평배선홈(131a) 내의 통전라인(V)은 배관(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히터(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수평연결부(131)는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배선홈(131c)을 가질 수도 있다. 제2배선홈(131c)을 통하여 수평배선홈(131a) 내의 통전라인(V)은 배관(1)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히터(12)에 연결될 수 있다.
수평연결부(131)의 제1배선홈(131b) 및 제2배선홈(131c)을 통하여,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100)를 경유하는 통전라인(V)은 배관(1)의 다양한 위치 및 방향으로 배선될 수 있으므로, 배관(1)에 설치된 히터(12)와 연결되는 배선 작업이 용이해지고, 배관(1)에 설치되는 히터(12)의 설치 위치에 많은 제약이 해소될 수 있다.
수직연결부(133)는 수평연결부(13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수평배선홈(131a) 및 하우징(120)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수직배선홀(133a)을 가질 수 있다.
수평연결부(131) 및 수직연결부(133)는 T자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혹은 도시된 바와 달리, 수평연결부(131) 및 수직연결부(133) 별도 제작된 후 결합되면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부(140)는 연결부재(130)를 배관(1)에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부(140)로는 클램프나 스트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히터(12)로 메탈 히터가 사용될 경우 고정부(140)는 배관(1)에 연결부재(130) 및 히터(12)를 함께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20)은 연결부재(130)에 대해 원터치식 탈부착이 가능하며,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100)가 설치되는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연결부재(130)로부터 하우징(120)의 설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하우징(120) 및 연결부재(13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하우징(120)은 제1결합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25)는 하우징본체(121)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30)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125)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안내홈(125a)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로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안내홈(125a)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안내홈(125a)의 사이 영역에는 연결부재(130)의 지지블록(135a)이 걸림 지지되는 상면지지부(125e)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125)는 상면지지부(125e) 및 안내홈(125a)의 사이 영역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안내홈(125a)을 통과한 지지블록(135a)의 원주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125b)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125)는 경사면(125b)에 인접한 상면지지부(125e)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면지지부(125e)에 밀착된 지지블록(135a)의 반대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125c)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결합부(125)는 걸림턱(125c)에서 이격된 상면지지부(125e)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면지지부(125e)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블록(135a)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25d)를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130)를 제2결합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135)는 수직연결부(133)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125)에 삽입되도록 수직연결부(133)의 상면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135)는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블록(135a)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135a)은 4개의 안내홈(125a)에 상응하게 4개의 지지블록(135a)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에 하우징(120)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지지블록(135a) 및 안내홈(125a)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제1결합부(125)에 제2결합부(135)를 삽입한 후 하우징(120)을 회전시키면, 지지블록(135a)의 하면은 경사면(125b)을 따라 이동하다가 걸림턱(125c)을 타고 넘은 후, 스토퍼(125d)에 지지되면서 상면지지부(125e)에 밀착될 수 있다. 결국 지지블록(135a)이 상면지지부(125e)에 걸림 지지되면서 연결부재(130) 및 하우징(120)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조립 과정과 반대로 하우징(12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연결부재(130) 및 하우징(120)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에 하우징(120)을 조립할 시 안내홈(125a)에 대한 지지블록(135a)의 삽입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연결부재(130)에 대한 하우징(12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홈(125a) 및 지지블록(135a)이 90도 간격을 유지하므로 연결부재(130)에 대한 하우징(120)의 설치 각도를 90도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안내홈(125a) 및 지지블록(135a)이 간격 및 수량을 변경함으로써 연결부재(130)에 대한 하우징(120)의 설치 각도는 더욱 조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하우징(120)의 설치 각도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배관(1)이나 주변 구조물을 고려하여 원하는 장소에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100)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키트기판부(110)의 표시부가 식별 가능한 하우징(120)의 전면 즉, 하우징커버(123)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작동상태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하우징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100)는 원거리의 작업자가 키트기판부(110)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전원 공급상태 및 히터 작동상태를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작동상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동상태 표시부는 하우징커버(12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작동상태 표시부(127) 및 제2작동상태 표시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작동상태 표시부(127)는 키트기판부(110)의 제1램프(113)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하우징커버(123)의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제1작동상태 표시부(127)는 광발산부(127a) 및 광안내부(127b)를 가질 수 있다.
광발산부(127a)는 하우징커버(123)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제1램프(113)로부터 전달받은 광은 광발산부(127a)를 통과하면서 주변으로 반사 및 산란될 수 있다.
광발산부(127a)는 투명 소재로 제작되는 하우징커버(123) 제작 시 일체로 제작될 수 있고, 하우징커버(123)와 다른 소재로 제작된 후 하우징커버(123)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1작동상태 표시부(127)는 광산란 리브(127c)를 더 가질 수 있다.
광산란 리브(127c)는 광발산부(127a)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광발산부(127a)의 내면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광산란 리브(127c)는 광발산부(127a)의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광발산부(127a)의 내측면에 도달한 광을 산란시켜 광발산부(127a)를 통과하는 광을 더욱 산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원거리 작업자로 하여금 제1작동상태 표시부(127)의 시인성이 높아질 수 있다.
광안내부(127b)는 광발산부(127a)의 내측면에서 제1램프(113) 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제1램프(113)에서 발산된 광을 광발산부(127a)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광안내부(127b)는 일단부는 광발산부(127a)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램프(113)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제1램프(113)에서 방사된 광의 소실량을 최소화하여 광발산부(127a)까지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광안내부(127b) 제1램프(133)에 인접한 일단부에서 광발산부(127a)에 연결되는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광안내부(127b)는 광섬유로 제작될 수 있으며, 광섬유는 내부 및 외부가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는 유리나 플라스틱 섬유로 제작되며, 내부로 유입된 광이 외부로 반사 및 굴절되지 않고 내부에서만 반사 및 굴절되도록 함으로써, 일측에서 타측으로 광의 직진성이 유지될 수 있다.
제2작동상태 표시부(128)는 키트기판부(110)의 제2램프(114)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하우징커버(123)의 외부로 발산할 수 있다. 제2작동상태 표시부(128)는 앞서 설명한 제1작동상태 표시부(127)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히터 전원 상태 감시 키트 110: 키트기판부
120: 하우징 121: 하우징본체
123: 하우징커버 125: 제1결합부
130: 연결부재 131: 수평연결부
133: 수직연결부 135: 제2결합부
140: 고정부

Claims (5)

  1. 배관에 설치된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및 상기 히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키트기판부;
    상기 키트기판부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키트기판부를 경유한 통전라인을 상기 히터 측으로 안내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배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본체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단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안내홈을 가지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홈부에 삽입되도록 상단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블록을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에 상기 제2결합부를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블록의 하면이 이웃하는 상기 안내홈의 사이 영역에 마련되는 상면지지부에 밀착되면서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배관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과의 사이 공간에 상기 통전라인을 안내하기 위한 수평배선홈을 가지는 수평연결부와,
    상기 수평연결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평배선홈 및 상기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수직배선홀을 가지는 수직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결부는,
    상기 배관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수평연결부의 내면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지지구와,
    상기 수평배선홈 내의 상기 통전라인이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수평연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1배선홈과,
    상기 수평배선홈 내의 상기 통전라인이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수평연결부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양측면에 형성되는 제2배선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상면지지부 및 상기 안내홈의 사이 영역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을 통과한 상기 지지블록의 원주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 인접한 상기 상면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지지부에 밀착된 상기 지지블록의 반대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서 이격된 상기 상면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상면지지부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지지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기판부는,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전원 공급상태 감지부와,
    상기 히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히터 작동상태 감지부와,
    상기 전원 공급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 공급상태를 표시하는 제1램프와,
    상기 히터 작동상태 감지부에서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2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제1램프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외부로 발산하는 제1작동상태 표시부와,
    상기 제2램프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외부로 발산하는 제2작동상태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작동상태 표시부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램프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외부로 발산하는 광발산부와,
    상기 광발산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램프 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램프에서 발산된 광을 상기 광발산부 측으로 안내하는 광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KR1020220028417A 2022-03-04 2022-03-04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KR102643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17A KR102643871B1 (ko) 2022-03-04 2022-03-04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417A KR102643871B1 (ko) 2022-03-04 2022-03-04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041A true KR20230131041A (ko) 2023-09-12
KR102643871B1 KR102643871B1 (ko) 2024-03-07

Family

ID=8801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417A KR102643871B1 (ko) 2022-03-04 2022-03-04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8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8087A (ja) * 2003-02-17 2006-08-03 タイコ・サーマル・コントロール・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電気式ヒートトレース
KR101826484B1 (ko) 2017-09-12 2018-02-08 (주)썸텍 메탈 히터를 구비한 배관 시스템의 동파 방지 장치
KR200488100Y1 (ko) * 2018-06-26 2018-12-12 정경모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배관용 히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8087A (ja) * 2003-02-17 2006-08-03 タイコ・サーマル・コントロール・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電気式ヒートトレース
KR101826484B1 (ko) 2017-09-12 2018-02-08 (주)썸텍 메탈 히터를 구비한 배관 시스템의 동파 방지 장치
KR200488100Y1 (ko) * 2018-06-26 2018-12-12 정경모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배관용 히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871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5227B2 (en) Cable installation
KR102643871B1 (ko) 배관 동파 방지용 히터의 전원 상태 감시 키트
JP5914847B2 (ja) 火災感知器
US4650971A (en) Energization indicator and method for heat trace cable and the like
EP2818795A1 (en) Lighting device enabling arbitrary distribution of light
US11662266B2 (en) Water heater with an integrated leak detection system
US10794785B2 (en) Pressure indicating mechanical tee
EP3525349B1 (en) Door switch
ES2303759B1 (es) Disposicion de reguladores en el aislamiento termico de modulos de griferias.
US20170090088A1 (en) Light-emitting apparatus
KR20110094746A (ko) 방수패킹을 포함하는 유도등 조립체
KR100847876B1 (ko) 공동주택의 지중케이블 위치 및 도로경계 표시장치
KR20140052515A (ko)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032711B1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방호장치
KR100506001B1 (ko) 터널용 조명 안전진단장치
KR20110001062U (ko) 부가기기 고정장치
KR20100113318A (ko) 전등용 덕트
KR20170083675A (ko) 리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KR20210109923A (ko) 히터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파 방지 시스템
KR101593500B1 (ko) 터널용 조명의 이탈 및 조도변화 진단장치
CN221149453U (zh) 电缆标识牌报警装置
KR101614112B1 (ko) 주차노면 관리용 센서고정모듈
KR101658422B1 (ko)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광케이블용 유지보수 장치
KR102703451B1 (ko) 불꽃 및 온도감지기능을 갖는 iot 무선전력 등기구
KR101024195B1 (ko) 콘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