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849A -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849A
KR20230130849A KR1020220027942A KR20220027942A KR20230130849A KR 20230130849 A KR20230130849 A KR 20230130849A KR 1020220027942 A KR1020220027942 A KR 1020220027942A KR 20220027942 A KR20220027942 A KR 20220027942A KR 20230130849 A KR20230130849 A KR 20230130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eating
aerosol generator
metal structur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원
김범준
김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2002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849A/ko
Publication of KR20230130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8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원통 형상의 금속 구조물; 및 금속 구조물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발열 구조물;을 포함하며, 금속 구조물의 양단부는 벤딩 가공되어 외피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HEATER FOR AEROSOL GENERATOR}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의 에어로졸, 즉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것으로 흔히 말하는 흡연과 같은 기호 물질 흡입이 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궐련 형태의 담배가 이러한 기호 물질 흡입의 거의 유일한 수단이었으나 최근에는 전자 담배라는 것도 또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전자 담배는 흡입 물질이 액체 형태로 담긴 카트리지에 열이나 초음파를 가하여 흡입 물질을 증기로 기화시켜 미세 입자를 발생시키므로 연소를 시켜 연기를 발생시키는 종래의 궐련 형태의 담배와는 방식 면에서 완전히 차별되며, 그로 인한 장점, 특히 연소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유해 물질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보유한다.
또한, 궐련 형태의 통상의 담배를 선호하는 수요자들의 요구에 따라, 통상의 담배의 필터부와, 궐련부의 모양을 갖는 전자 담배도 제안되고 있는데, 이 전자담배는 궐련부에 포함된 흡입물질을 전자히터로 기화시키면서 통상의 담배와 동등한 구성을 갖는 필터부를 통해 사용자가 흡입하는 구성을 갖는다. 전자 담배를 홀더에 끼우고 홀더 내부의 히터가 가열되어 궐련부 내부의 흡입물질을 기화시키면 사용자가 필터부를 통해 기화되는 흡입 물질을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종전의 전자 담배와 마찬가지로 연소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은 가지면서 통상의 담배를 피울 때와 똑같은 메카니즘으로 필터부를 통해 기화된 흡입 물질을 흡입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통상의 담배를 피우는 것과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의 단면도이다.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는, 원통 형상의 금속 구조물(10)과, 금속 구조물(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필름 구조물(20)을 포함한다. 필름 구조물(20)은 발열층과 센서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절연 필름 상에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필름을 합지하여 제조된다.
절연 필름으로는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LCP 필름이 적당하며, 폴리이미드 필름은 비교적 열 전도도가 높아, 금속 구조물(10)로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에 적합하다. 필름 구조물(20)은 에폭시나 본드 등 비교적 열에 강하며, 열 전도도가 높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금속 구조물(10)에 부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이 발열체가 금속 구조물을 감싸는 형태의 히터는 사용자의 사용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금속 구조물과 이를 가열하는 발열체 사이 접촉부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히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7427호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사용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히터의 외관을 형성하는 가열부와 가열부를 가열하는 발열체 사이의 접촉성이 떨어져 가열 성능이 낮아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원통 형상의 금속 구조물; 및 금속 구조물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발열 구조물;을 포함하며, 금속 구조물의 양단부는 벤딩 가공되어 외피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금속 구조물의 아이어닝 가공에 의해 직경이 확장되어 발열 구조물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금속 구조물은 아이어닝 가공 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필름을 내측으로 지지하는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발열 구조물의 외측에 부착되는 보호용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보호용 구조물은 발열 구조물보다 길이가 더 길어 양단이 금속 구조물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보호용 구조물은 금속 소재 또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발열 구조물은 고분자 필름에 발열 패턴이 인쇄된 발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 발열 구조물은 소정의 고정된 형상을 가지는 발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는, 가열부 내부에 발열선이 삽입되어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사용 기한이 길어지더라도 내구력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의 가공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의 가공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원통 형상의 금속 구조물(100) 외주면에 발열 구조물(200)이 부착되어 만들어진다. 이때, 발열 구조물(200)과 금속 구조물(100)의 결합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 구조물(100)의 양단부(120, 130)가 벤딩 가공되어 발열 구조물(200)을 감싼다.
이때, 발열 구조물(2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발열 구조물(200)의 외측에 부착되는 보호용 구조물(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용 구조물(300)은 발열 구조물(200)보다 상하 길이가 더 길어 양단이 금속 구조물(100)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구조물(100)의 벤딩 가공부는 보호용 구조물(300)의 상, 하단과 맞닿는 벤딩부(120)와, 보호용 구조물(300)의 외측면과 맞닿도록 말린 컬링부(130)를 구비한다. 보호용 구조물(300)은 금속 구조물(100)의 벤딩 시에 발열 구조물(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용 구조물(300)은 금속 재질로 제조되거나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 가공 전 금속 구조물(100a)은 발열 구조물(200)의 내경보다 더 작은 외경(D0)을 가지나, 결합 가공 중 금속 구조물(100)의 양단부의 벤딩 가공 뿐 아니라 내경에서 외측으로 가압하여 내,외경을 증가시키는 아이어닝 가공에 의해 외경(D1)이 증가한다. 즉, 결합 가공 전 금속 구조물(100a)의 외경(D0)보다 결합 가공 후 금속 구조물(100)의 외경(D1)이 더 작다.
그러나, 금속 구조물(100a)의 아이어닝 가공 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필름(200)을 내측으로 지지하는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발열 구조물(200) 및 보호용 구조물(300)은 단순한 지지역할을 하는 것으로 발열 구조물(200) 및 보호용 구조물(300)의 내, 외경 사이즈에는 변화를 일으키기 않는다. 따라서 결합 가공 전 보호용 구조물(300)의 외경(O0)과 결합 가공 후 보호용 구조물(300)의 외경(O1)은 같다.
금속 구조물(100a)의 아이어닝 가공에 의해 금속 구조물(100)의 원통부(110)가 발열 구조물(200)과 밀착하여 열 전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금속 구조물(100)은 Stainless Steel, Aluminum, Copper, Blass 등 일반적인 열 전도성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발열 구조물(200)은 고분자 필름 상에 발열 패턴이 인쇄된 발열 필름 형태의 유연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금속 구조물(100)이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의 강성을 가지는 구조물일 수 있다.

Claims (8)

  1. 원통 형상의 금속 구조물; 및
    금속 구조물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발열 구조물;을 포함하며,
    금속 구조물의 양단부는 벤딩 가공되어 외피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 구조물은 아이어닝 가공에 의해 직경이 확장되어 발열 구조물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3. 제3항에 있어서,
    금속 구조물의 아이어닝 가공 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발열필름을 내측으로 지지하는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열 구조물의 외측에 부착되는 보호용 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5. 제4항에 있어서,
    보호용 구조물은 발열 구조물보다 길이가 더 길어 양단이 금속 구조물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6. 제4항에 있어서,
    보호용 구조물은 금속 소재 또는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7. 제1항에 있어서,
    발열 구조물은 고분자 필름에 발열 패턴이 인쇄된 발열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8. 제1항에 있어서,
    발열 구조물은 소정의 고정된 형상을 가지는 발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KR1020220027942A 2022-03-04 2022-03-04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KR202301308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42A KR20230130849A (ko) 2022-03-04 2022-03-04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942A KR20230130849A (ko) 2022-03-04 2022-03-04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849A true KR20230130849A (ko) 2023-09-12

Family

ID=8801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942A KR20230130849A (ko) 2022-03-04 2022-03-04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84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427A (ko)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이엠텍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터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427A (ko) 2019-05-30 2020-12-09 주식회사 이엠텍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61397A1 (en) Aerosol Generating Systems
KR102323782B1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터 구조
JP5990500B2 (ja) 非燃焼タイプ香味吸引物品
RU2719235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системы, генерирующей аэрозоль
KR101987235B1 (ko) 전기 가열식 흡연기의 히터
US20150034103A1 (en) Electronic cigarette
JP2024029148A (ja) エアロゾル発生物品、エアロゾル発生物品の製造方法、及びエアロゾル発生システム
TW201023769A (en) Non-burning type flavor inhalation article
KR20210079533A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기화부
WO2021104472A1 (zh) 加热器以及包括该加热器的烟具
KR102367020B1 (ko) 열효율이 우수한 궐련형 전자담배 장치용 필름히터 구조체
KR20230130849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KR102498977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용 히터 및 그 설치구조
KR20200137427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히터 구조
JP7274555B2 (ja) 微細粒子発生装置用ヒータ及びその設置構造
KR20230129657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용 히터
KR20220102385A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가지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KR102614317B1 (ko) 분리형 미세입자 발생장치
KR20220137308A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용 히터 및 그 설치구조
KR102381037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히팅 파이프 조립 구조
KR102569308B1 (ko) 휴대용 에어로졸 발생장치
EP4371430A1 (en) Flavour inhaler, and heater manufacturing method
JP7315792B2 (ja) 吸引装置
WO2023286194A1 (ja) 香味吸引器及びヒータの製造方法
CN117770526A (zh) 加热组件以及气溶胶生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