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593A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0593A KR20230130593A KR1020230114718A KR20230114718A KR20230130593A KR 20230130593 A KR20230130593 A KR 20230130593A KR 1020230114718 A KR1020230114718 A KR 1020230114718A KR 20230114718 A KR20230114718 A KR 20230114718A KR 20230130593 A KR20230130593 A KR 202301305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bobbin
- magnet
- disposed
-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s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IT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smartphones, tablet PCs, and laptops with built-in ultra-small digital cameras is actively underway.
종래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되는 IT제품의 경우, 외부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즉,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 구동장치가 내장되어 있다.In the case of IT products with a built-in conventional ultra-small digital camera, the lens performs an auto-focusing function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sensor that converts external light into a digital image or a lens and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It has a built-in driving device.
일반적으로,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형성된 디지털 이미지의 선명성을 기준으로 이미지 센서에 가장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되는 지점을 찾는 제어과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 lens driving device included in an ultra-small digital camera generates the clearest image on the image sensor based on the clarity of the digital image formed on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in order to perform the auto-focusing function. It is configured to execute a control process to find a point.
이러한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 구동장치에는 렌즈가 구비되는 렌즈배럴과 결합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이 포함된다. 따라서, 보빈의 광축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보빈의 광축방향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변위감지부가 렌즈 구동장치에 구비된다.The lens driving device that performs this autofocus function includes a bobbin that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combination with a lens barrel on which a lens is provided. Therefore, in order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obbi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displacement detection unit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lens driving device.
렌즈 구동장치가 정밀하고 정확한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빈의 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변위감지부를 포함하는 구조가 필요하다.In order for the lens driving device to perform a precise and accurate auto-focusing function, a structure including a displacement detection unit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is required.
따라서, 실시예는, 보빈의 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변위감지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 displacement detection unit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코너와 제2 코너 및 서로 마주보는 제3 코너와 제4 코너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코너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 유닛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코너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코너에 배치된다.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ase including first and second corners facing each other and third and fourth corners facing each other; a bobbin disposed on the base; a first magnet including a first magnet unit disposed at the first corner of the base and a second magnet unit disposed at the second corner of the bas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nd mov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by interacting with the first magnet; a first sensor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bobbin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bobbin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wherein the first sensor is disposed at the third corner of the base.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및 제2 코너들보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코너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magnet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third corner of the base than to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base.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마그넷 유닛과 중첩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상기 제2 마그넷 유닛과 중첩될 수 있다.The second magnet may overlap the first magnet uni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may overlap the second magnet unit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및 제4 코너들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magnet may not be disposed at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of the base.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보빈을 내측에 수용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보빈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ns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cover member that accommodates the bobbin inside. The lens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상기 렌즈 구동 장치는 상기 보빈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커버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2 회로 기판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할 수 있다.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first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nd a second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cover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first sensor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The second circuit board may be coupled to the base.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의 하면은 상기 제1 지지부와 접촉할 수 있다.The base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nsor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상기 상기 베이스는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측면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높게 돌출될 수 있다.The base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may be in contact. The second support part may protrude higher than the first support part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권선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권선링의 외주면에 감길 수 있다.It includes a winding ring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nd the first coil may b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ring.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1 마그네트가 배치되기 위한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may include a third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tep portion on which the first magnet is placed.
상기 제1 센서의 상기 하면은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센서의 측면은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2 지지부의 상기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및 제2 코너들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nsor may be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by an adhesiv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sensor may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art by an adhesive. The third support portion may be disposed 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base.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코너와 제2 코너 및 서로 마주보는 제3 코너와 제4 코너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코너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 유닛 및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 코너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및 제4 코너들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및 제2 코너들보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코너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기 제2 마그네트는 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및 제2 코너들보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코너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base including first and second corners facing each other and third and fourth corners facing each other; a bobbin disposed on the base; a first magnet including a first magnet unit disposed at the first corner of the base and a second magnet unit disposed at the second corner of the cover member;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nd mov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by interacting with the first magnet; a first sensor disposed on the base and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bobbin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bobbin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wherein the first magnet is not disposed at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of the base, and the first sensor is It is disposed closer to the third corner of the base than to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base. The second magnet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third corner of the base than to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existing base.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에 상기 제1센서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센서가 상기 베이스에 의해 지지되어 보빈의 제1방향 변위를 정확히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sensor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formed on the base, so that the first sensor is supported by the base and can accurately sense or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in the first direction. It works.
또한, 상기 제1지지부의 제1방향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센서가 이와 대향하는 제2마그네트의 자기력 변화를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part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ensor can be plac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more accurately measure the change in magnetic force of the second magnet opposing it.
또한, 상기 제2회로기판은 제1지지부, 커버부재 및 베이스와 견고히 결합하므로, 렌즈 구동장치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효과적으로 견딜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ircuit board is firm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art, the cover member, and the base, it can effectively withstand vibrations generated when the lens driving device operates and shocks applied from the outsid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위감지부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부분을 C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회로기판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removed from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plan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part A of Figure 5.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part B of Figure 7.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parts B and C of Figure 9.
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each elem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 includes two element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elements that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elem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up” or “on or under,”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elemen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relational terms such as "top/top/top" and "bottom/bottom/bottom" used below do not necessarily require 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I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Additionally, a 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x, y, z) can be used in the drawing. In the drawing, the x-axis and y-axis refer to plan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convenience, the optical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the third direction.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렌즈 구동 장치는 가동자(100), 커버부재(200), 제1마그네트(500) 및 베이스(7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00)는 그 하부에 베이스(7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200)의 하측은 베이스(70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The lens driving device illustrated in FIGS. 1 and 2 may include a
또한, 커버부재(2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중공의 내주면 상부에 자기장을 차폐하는 요크(21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200)는 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또한, 커버부재(200)는 보빈(150)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상측에서 보았을 때 외측이 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내측이 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이때, 커버부재(200)는 도 1과 같이 모서리가 라운딩 형상을 가지는 4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8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커버부재(20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500)의 형상이 제1방향으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이라면 커버부재(200)의 모서리에서 외부로 누설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Additionally, if the shape of the
실시예에서 자기장을 차폐하여 자기장의 외부 누설을 제한하는 요크(210)는 커버부재의 상부 내주면에 커버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커버부재(200)는 커버부재(200)의 상면과 외면으로 누설되는 자기장을 주로 차폐하고, 요크(210)는 그 내주면 방향으로 누설되는 자기장을 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실시예에서 상기 요크(210)는 제1방향으로 보아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권선링(180) 및 상기 제1코일(190)은 상기 요크(210)의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제1마그네트(500)는 상기 커버부재에 제1코일(190)과 대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동자(100)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마그네트(500)는 커버부재(20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The
이처럼 제1마그네트(500)가 커버부재(200)에 직접 고정될 경우, 제1마그네트(500)는 커버부재(20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직접 접착제 등에 의해 본딩 고정될 수도 있다.When the
커버부재(200)의 재질이 금속일 경우, 제1마그네트(500)와 면접하는 커버부재(200)의 면이 많으면 자기장을 차폐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제1마그네트(500)는 적어도 2면 이상이 커버부재(200)와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material of the
예를 들어, 제1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1마그네트(500)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일 경우, 제1마그네트(500)는 커버부재(200)의 내측면과 적어도 3측면 이상 접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또한, 실시예의 경우, 제1마그네트(500)는 2개로 구비되고 각각 커버부재(200)의 2개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으나. 4개로 구비되고 커버부재(200)의 4개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there are two
한편, 가동자(100)는 보빈(150), 권선링(180) 및 제1코일(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빈(150)은 커버부재(20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200)의 내부 공간에서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보빈(150)은 제1마그네트(50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그 외주면에 권선링(180)과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권선링 외주면에 제1코일(190)이 권선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The
보빈(15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 배럴(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렌즈 배럴은 보빈(150)의 내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렌즈 배럴이 보빈(15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되거나, 렌즈 배럴 없이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5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owever, this is not limited, and al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for the lens barrel to be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한편, 제1마그네트(500)와 권선링(180)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보빈(15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 시에도 권선링(180) 및/또는 제1코일(190)이 제1마그네트(500)와 접촉 및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빈(150)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Meanwhile, the
이와 같은 이격 거리는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빈(150)이 제1방향으로 움직일 경우에도, 권선링(180)은 항상 제1마그네트(500)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This separation distanc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even when the
한편, 권선링(180)은 보빈(1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코일(190)은 상기 보빈(15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권선링(180)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코일(190)은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권선링의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nding
한편, 설명의 편의상 권선링(180)과 보빈(150)은 별개의 부재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보빈(150)과 권선링(180)은 인서트(insert) 사출 등에 의해 일체형일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권선링(180)은 보빈(150)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winding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권선링(180)은 자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실시예는 권선링(180)의 재질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권선링(180)은 비자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nding
실시예에 의하면, 권선링(180)은 보빈(150)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링(180)과 보빈(150) 각각은 예를 들어 환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inding
즉, 보빈(150)과 권선링(180) 각각은 다양한 평면 형상 예를 들어, 다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보빈(150)의 평면 형상과 권선링(180)의 평면 형상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That is, each of the
제1마그네트(500)와 서로 마주보는 제1코일(190)의 면이 원하는 곡률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코일(190)이 권선되는 권선링(18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In order to ensure that the surface of the
제1코일(190)은 상기 보빈(150)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1마그네트(5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 제1코일(190)이 원형 평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코일(190)은 원형이 아닌 각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각 형상일 수 있다.The
이때, 제1코일(190)이 권선링(180)에 권선되므로, 권선링(180)의 평면 형상과 제1코일(190)의 평면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예를 들어, 제1코일(190)은 원형 형태의 환선/사각형 형태의 편각선 코일, 재질은 구리선이나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알루미늄이 합쳐진 복합선일 수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코일의 외면은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제1코일(190)과 제1마그네트(50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의 곡률이 같을 수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대향 되게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500)와의 전자기작용을 고려한 것인데, 제1마그네트(500)의 대응되는 면이 평면이면 대면하는 제1코일(190)의 면도 평면일 경우에 전자기력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 사양에 따라 제1마그네트(500)의 면과 제1코일(190)의 대향하는 면은 모두 곡면, 모두 평면, 또는 하나는 곡면 다른 하나는 평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depending on the design specifications, the surface of the
제1회로기판(600)은 가동자(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동자(100)의 상기 제1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유연회로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상기 제1회로기판(600)은 상기 보빈(15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로기판은 일측이 상기 보빈의 하부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2회로기판에 결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실시예와 달리 일반적인 렌즈 구동장치와 같이 제1코일(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코일(190)에 전력을 공급하고,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을 탄력적 또는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장치로 보빈(15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unlike the embodimen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실시예에서는 제1코일(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은 제1회로기판(600)으로 대치되고,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은 후술하는 변위감지부(300) 및 이와 연결되는 외부 제어드라이버(미도시)가 조절한다.In the embodiment, the rol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렌즈 구동장치에서 사용하는 상기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used in a general lens driving device is not used, which has the effect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ns driving device.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회로기판(600)은 일측이 상기 보빈(150)의 하부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700)의 상부에 결합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회로기판(600)은 일측이 상기 보빈(150)의 하단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700)에 솔더링, 본딩 등의 방식에 의에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0, one side of the
한편, 상기 제1회로기판(600)은 상기 보빈(150)과 상기 베이스(700) 사이에서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보빈(150)이 제1방향으로 이동시 예를 들어, 상승하는 경우 제1회로기판(600)의 보빈(150)과 결합한 부위는 상승하게 되고, 하강하는 경우 제1회로기판(600)의 보빈(150)과 결합한 부위도 따라서 하강하게 된다.When the
한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를 제1회로기판(600)으로 대치함으로써 탄성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이에 따른 기계적 공진현상을 회피할 수 있고, 탄성부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by replacing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with the
또한, 실시예에서 일반적인 렌즈 구동장치에 사용되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하우징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마그네트를 2개 삭제할 수 있어 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원가절감 및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마그네트를 4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used in a general lens driving device, the housing, an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wo first magnets can be deleted, which can reduce costs and simplify the process in the lens driving device. It works. Additionally, the first magnet may be composed of four magnets.
한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700) 및/또는 상기 커버부재(200)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610)은 제1회로기판(600)과 상기 외부제어드라이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a
이때, 제2회로기판(610)은 상기 제1회로기판(600)과 마찬가지로 유연한 재질의 유연회로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견고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회로기판(610)을 유연한 재질로 형성할지, 견고한 재질로 형성할지는 렌즈 구동장치 전체의 구조, 제2회로기판(610)의 제작의 용이성,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변위감지부(300)는 상기 보빈(150)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한 변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2마그네트(310), 제1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2마그네트(310)는 가동자(100)의 보빈(150)에 결합 및 설치되고, 제1센서(320)는 커버부재(2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3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마그네트(310)와 일정한 이격거리를 가지고 구비된다.The
상기 제1센서(320)는 보빈(150)에 설치되는 제2마그네트(310)와 함께 상기 보빈(150)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변위값을 판단하는 변위감지부(300)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센서(320)는 상기 제2마그네트(3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상기 제1센서(320)는 보빈(150)의 제2마그네트(310)에서 방출되는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센서(320)는 홀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The
상기 제1센서(320)가 홀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센서(320)는 상기 제2마그네트(310)가 보빈(150)과 함께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자기력 변화량을 측정하여 상기 보빈(150)의 제1방향 변위값을 측정 및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홀센서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자기력 이외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포토리플렉터 등을 이용한 방식도 가능하다.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Hall sensor. Any sensor that can detect changes in magnetic force can be used, and a sensor that can detect location in addition to magnetic force is also possible, for example, a photo sensor. A method using a reflector, etc. is also possible.
변위감지부(300)와, 제1회로기판(600)을 통해 제1코일(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610) 및 이미지센서는 렌즈 구동장치의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어드라이버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방식에 따라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은 상기 제어드라이버에 의해 피드백 즉, 폐루프 방식으로 제어된다.The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은 오토 포커싱 즉,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센서 면에 결상시키기 위함이다. 오토 포커싱을 위한 제어드라이버에 의한 피드백 제어는 하기의 과정을 거친다.The movement of the
변위감지부(300)에 의해 측정된 보빈(150)의 제1방향 변위값과, 이미지센서에 결상된 피사체의 화상을 제어드라이버가 전송받고, 피사체의 초점이 적절한지를 판단한다.The control driver receives the displacement value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피사체의 초점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보빈(150)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변화시켜 보빈(15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방향 변위값과 피사체의 화상을 제어드라이버가 다시 전송받고, 피사체의 초점이 적절한지를 판단한다.If the focus of the subject is not appropriate,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제어드라이버는 적절한 피사체의 초점을 찾아낸다. 결국, 제어드라이버는 보빈(150)의 제1방향 변위값을 반복적으로 조절하여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피드백 제어방식으로 진행된다.By repeating this process, the control driver finds the appropriate focus of the subject. Ultimately, the control driver performs auto-focusing by repeatedly adjusting the displacement value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한편, 상기한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커버부재(200), 보빈(150), 렌즈배럴, 제1회로기판(600), 이미지센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device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커버부재(2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장을 차폐하는 요크(2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150)은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구비되고,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렌즈배럴은 상기 보빈 내부에 결합하고, 결합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산 결합 기타 다양한 방식의 결합이 가능하다. 제1회로기판(6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빈(15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150)에 결합된 제1코일(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lens barrel is coupled inside the bobbin, and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threaded coupling are possible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이미지센서는 베이스(7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배럴을 통해 입사하는 피사체의 화상이 결상된다.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이미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취득한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The image sensor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실시예는 일반적인 렌즈 구동장치에서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개루프제어 대신 폐루프제어 방식을 사용하므로 오토 포커싱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측 스프링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보빈(150)의 상면의 높이조절이 비교적 자유로우므로 보빈(150)에 렌즈 또는 렌즈배럴을 조립시 본딩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 uses a closed-loop control method instead of the open-loop control method using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in a typical lens driving device, so autofocusing is performed accurately and quickly.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pring is not used in the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실시예는 보빈(150)에 권선링(180)을 결합하고 권선링(180)에 제1코일(190)이 권선되는 구조이므로 제1코일(190)의 권선시 발생하는 열 또는 장력에 의한 보빈(150)의 변형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 조립 토크의 변화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nding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removed from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plan view of Figure 3.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1마그네트(500)는 상기 제2마그네트(310)와 상기 권선링(18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for example, the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제1방향으로 보아 측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센서(320)는 상기 커버부재(200) 내부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500)는 상기 제1센서(320)가 구비되는 모서리 및 이와 마주보는 모서리를 제외한 모서리에서 상기 커버부재(200) 내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t least one
일 실시예로, 제1마그네트(500)는, 커버부재(200)와 요크(1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2마그네트(310) 및 제1센서(320)가 구비되는 모서리의 양쪽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이때, 제1마그네트(500)는 상기 수용공간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삼각형상 등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다리꼴 형태가 커버부재(200)의 모서리에서 외부로 자기장 누설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수용공간에서의 제1마그네트(500), 제2마그네트(310), 제1센서(320)의 배치구조는 실시예의 상기 수용공간의 형상을 고려한 최적화된 배치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배치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제1마그네트(500), 제2마그네트(310), 제1센서(320) 등은 다른 방식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예를 들어, 제1마그네트(500)는 상기 수용공간의 모서리 부위가 아니라, 면 부위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총 4개 또는 8개 등이 배치될 수도 있고, 그 형상은 사다리꼴이 아닌 대체적으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구조는 커버부재(200) 및 요크(210)의 형상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For example, a total of 4 or 8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7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변위감지부(300)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7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7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part A of Figure 5. A portion of the
특히, 변위감지부(300)를 구성하는 제1센서(32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7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700)는 제1지지부(710), 제2지지부(720) 및 제3지지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ower end of the
상기 제1지지부(710)는 상기 베이스(700)의 상면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700)의 상면에서 상기 베이스(700)의 측방향으로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제1지지부(710) 상면(710a)과 제1센서(320)의 하단이 서로 접촉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1센서(320)의 하단은 상기 제1지지부(7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710)는 상기 제1센서(32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즉, 상기 제1지지부(710)의 상기 베이스(700) 상면으로부터 측정되는 높이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제1지지부(71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센서(3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adjusting the height measur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즉, 상기 제1센서(320)와 대향되어 구비되는 제2마그네트(310)의 자기력 변화를 상기 제1센서(320)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센서(320)가 배치되는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상기 제1지지부(7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That is, in order for the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지지부(710)는 상기 제1센서(320)를 하측에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센서(320)가 상기 렌즈 구동장치 내부에서 배치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센서(320)의 보빈(150) 변위값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한편, 상기 제1지지부(710) 상면(710a)과 상기 제1센서(320) 하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제1센서(320)를 상기 제1지지부(7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제2지지부(720)는 상기 베이스(700) 상면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또는 막대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720)는 상기 제1센서(320)의 측면을 지지하므로 상기 제1지지부(710)에 비해 제1방향으로 더 높이 돌출되는 것이 적절하다.The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지지부(720) 측면(720a)과 상기 제1센서(320) 측면은 서로 접촉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1센서(320)의 측면은 상기 제2지지부(72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센서(320) 측면은 상기 제2지지부(7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9, the
상기 제2지지부(720)는 상기 제1지지부(710)와 함께 상기 제1센서(320)와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부(710)의 렌즈 구동장치 내부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제2지지부(720) 측면(720a)과 상기 제1센서(320) 측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제1센서(320)를 상기 제2지지부(72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dhesive can be applied between the
이때, 상기 제1선서를 상기 제1지지부(710) 및 제2지지부(720)에 결합시키는 접착제는 예를 들어, 에폭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hesive that bonds the first line to the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700)에 형성되는 제1지지부(710)와 제2지지부(720)에 상기 제1센서(320)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센서(320)가 상기 베이스(700)에 의해 지지되어 보빈(150)의 제1방향 변위를 정확히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n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제1지지부(710)의 제1방향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센서(320)가 이와 대향하는 제2마그네트(310)의 자기력 변화를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한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렌즈 구동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즉,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도 상기 제1지지부(710)와 제2지지부(720)를 사용하여 상기 제1센서(320)의 배치높이 및 배치위치를 조절 및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a lens driving device without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That is, even in a lens driving device provided with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the placement height and placement position of the
제3지지부(7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700)의 상면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700)는 제1방향으로 보아 측면이 상기 커버부재(200)에 대응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지지부(730)는 상기 제1마그네트(500)의 배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700)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이때, 상기 제3지지부(730)는 상기 제1마그네트(5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3지지부(730)는 상기 제1마그네트(500)가 안착할 수 있도록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제3지지부(730)에 형성되는 상기 단차부에 상기 제1마그네트(500)가 안착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500)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3지지부(73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730)는 상기 제1마그네트(500)를 지지하므로, 상기 제3지지부(730)는 상기 제1마그네트(50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The
실시예에서, 상기 제1마그네트(5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서로 마주보는 상기 커버부재(200)의 모서리 내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지지부(730)도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500)의 배치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700)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제1지지부(710), 제2지지부(720) 및 제3지지부(730)는 상기 베이스(7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출성형 방식을 사용하여 그 형상과 규격을 설계치에 맞게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the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part B of Figure 7.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로기판(61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200) 내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센서(320)는 상기 제2회로기판(61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회로기판(610)은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00)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and 8, at least a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제1센서(320)는 상기 제2회로기판(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1센서(320) 및 제2회로기판(610) 각각의 단자부분은 솔더링,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센서(320)와 상기 제2회로기판(610)의 단자부분을 제외한 부위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Meanwhile, since the
따라서, 상기 제1센서(320)는 제1지지부(710)와 제2지지부(720)와 결합하여 상기 제1지지부(710)와 제2지지부(720)에 의해 배치높이 및 배치위치가 결정되고, 제2회로기판(6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710)는 제1방향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제1센서(320)의 배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the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위감지부(300)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로기판(610)은 일부가 상기 제2지지부(72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지지부(720)의 일 측면과 상기 제2회로기판(610)이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9 and 10, a portion of the
상기 제2회로기판(610)은 렌즈 구동장치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견디기 위해, 렌즈 구동장치의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It may be appropriate for the
따라서, 상기 제2회로기판(610)은 상기 제2지지부(720)에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상기 제2회로기판(610)은 베이스(700)와 결합할 수도 있고, 커버부재(20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상기 제2회로기판(610)이 제2지지부(720)와 커버부재(200)에 결합한 구조는 상기에 설명하였고, 베이스(700)와 결합하는 구조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한편,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700)는 제1방향으로 보아 측면이 사각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부(710)와 제2지지부(720)는 상기 베이스(700)의 모서리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5 and 9, for example, the
이때, 상기 한쌍의 제3지지부(730)는 상기 제1지지부(710) 및 제2지지부(720)가 구비되는 모서리 및 이와 마주보는 모서리를 제외한 상기 베이스(700)의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710), 제2지지부(720) 및 제3지지부(730)의 배치는 이들에 결합하는 제1마그네트(500)와 제2마그네트(310)의 배치와 관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ir of
즉, 보빈(150)의 이동에 사용되는 제1마그네트(500)와 보빈(150)의 변위감지에 사용되는 제2마그네트(310)는 서로간 자기장이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제1마그네트(500)와 제2마그네트(310) 서로간 자기장이 크게 미치는 경우, 제1마그네트(500)에 의한 보빈(150) 이동이 방해받을 수 있고, 제2마그네트(310)에 의한 보빈(150) 변위감지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따라서, 제1마그네트(500)와 제2마그네트(310)는 서로간 자기장이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커버부재(200) 내측 및 베이스(700)의 상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Therefore, it is appropriate for the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마그네트(500)와 결합하는 제3지지부(730)와 상기 제2마그네트(310)와 결합하는 제1지지부(710) 및 제2지지부(720)도 베이스(700)의 서로 이웃하는 모서리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Correspondingly, the
도 11 및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회로기판(610)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로기판(610)은 일부분이 상기 베이스(70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회로기판(610)을 렌즈 구동장치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함이다.11 and 12 are diagrams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제2회로기판(610)은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610)과 상기 베이스(700)가 결합할 수 있는 부위는, 제2지지부(720) 측면(720a)을 제외하면, 폭이 좁은 제2회로기판(610)의 하면의 일부가 베이스(700)와 결합할 수 있다.The
따라서, 제2회로기판(610)의 하면과 베이스(700) 사이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베이스(700)의 상면에는 결합돌기(7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740)는 상기 베이스(7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고, 제2회로기판(610)은 상기 결합돌기(740)와 형합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제2회로기판(610)의 함몰부는 상기 결합돌기(740)와 형합될 수 있고, 결합돌기(740)를 포함하는 베이스(700)의 상면과 상기 함몰부를 포함하는 제2회로기판(610)의 하면 사이에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The recessed portion of the
이때, 상기 결합돌기(74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740)가 상기 제2회로기판(610)이 렌즈 구동장치 내부에서 배치되는 위치를 비교적 정확히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74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회로기판(610)의 하면의 접착부위의 면적을 다소 넓힐 수 있는 효과도 있다.At this time, by forming the
실시예에서, 상기 제2회로기판(610)은 제1지지부(710), 커버부재(200) 및 베이스(700)와 견고히 결합하므로, 렌즈 구동장치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효과적으로 견딜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camera modules. For example, camera modules can be applied to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50)과 결합되는 렌즈배럴,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은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ens barrel and an image sensor (not shown) combined with the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Additionally,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blocking filter (not shown). The infrared cut-off filter serves to block light in the infrared range from entering the image sensor.
이 경우, 도 2에 예시된 베이스(70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홀더 부재는 베이스(70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base 700 illustrated in FIG. 2, an infrared cut-off filter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may be combined with a holder member (not shown). Additionally, the holder member ma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베이스(700)에는 외부전원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 separate terminal member may be installed in the base 700 to conduct electricity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or the terminal may be formed integrally using surface electrodes, etc.
한편, 베이스(70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70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7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hough only a few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unless they are incompatible technologies, and through this, can be implemented as a new embodiment.
150: 보빈 180: 권선링
190: 제1코일 200: 커버부재
300: 변위감지부 310: 제2마그네트
320: 제1센서 500: 제1마그네트
600: 제1회로기판 610: 제2회로기판
700: 베이스 710: 제1지지부
710a: 제1지지부 상면 720: 제2지지부
720a: 제2지지부 측면 730: 제3지지부
740: 결합돌기150: bobbin 180: winding ring
190: first coil 200: cover member
300: Displacement detection unit 310: Second magnet
320: first sensor 500: first magnet
600: first circuit board 610: second circuit board
700: Base 710: First support
710a: Top surface of first support part 720: Second support part
720a: second support side 730: third support side
740: Combined protrusion
Claims (18)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코너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 유닛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코너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코너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a base including first and second corners facing each other and third and fourth corners facing each other;
a bobbin disposed on the base;
a first magnet including a first magnet unit disposed at the first corner of the base and a second magnet unit disposed at the second corner of the bas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nd mov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by interacting with the first magnet;
a first sensor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bobbin in the first direction; and
It includes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bobbin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The first sensor is a lens driving device disposed at the third corner of the base.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및 제2 코너들보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코너에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closer to the third corner of the base than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base.
상기 제2 마그네트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마그넷 유닛과 중첩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상기 제2 마그넷 유닛과 중첩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magnet drives a lens that overlaps the first magnet unit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overlaps the second magnet unit in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Device.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및 제4 코너들에 배치되지 않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first magnet is not disposed at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of the base.
상기 보빈을 내측에 수용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cover member accommodating the bobbin inside.
상기 보빈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A lens driv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상기 보빈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회로 기판; 및
상기 커버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2 회로 기판과 결합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clause 5,
a first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nd
A second circuit board coupled to the cover memb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The first sensor is a lens driving device coupl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상기 제2 회로 기판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하는 렌즈 구동 장치.In clause 7,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second circuit board is coupled to the base.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의 하면은 상기 제1 지지부와 접촉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ase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n the first direction,
A lens driving device in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nsor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part.
상기 베이스는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측면은 접촉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clause 9,
The base includes a second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높게 돌출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clause 10,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second support portion protrudes higher than the first support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권선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은 상기 권선링의 외주면에 감기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It includes a winding ring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The first coil is a lens driving device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nding ring.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제1 마그네트가 배치되기 위한 단차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ase includes a third support portion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includes a step portion on which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상기 제1 센서의 상기 하면은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센서의 측면은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제2 지지부의 상기 측면에 고정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clause 10,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ensor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part by adhesive,
A lens driving device wherein the side of the first sensor is fixed to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by adhesive.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및 제2 코너들 각각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clause 13,
The third support portion is disposed 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base.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코너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 유닛 및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2 코너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넷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및 제4 코너들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및 제2 코너들보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코너에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a base including first and second corners facing each other and third and fourth corners facing each other;
a bobbin disposed on the base;
a first magnet including a first magnet unit disposed at the first corner of the base and a second magnet unit disposed at the second corner of the cover member;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nd mov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by interacting with the first magnet;
a first sensor disposed on the base and detecting displacement of the bobbin in the first direction; and
It includes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bobbin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nsor,
The first magnet is not disposed at the third and fourth corners of the base,
The first sensor is disposed closer to the third corner of the base than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base.
상기 제2 마그네트는 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및 제2 코너들보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3 코너에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clause 16,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closer to the third corner of the base than to the first and second corners of the base.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네트;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 및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변위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Base;
a bobbin disposed on the base;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base;
a first coil disposed on the bobbin and moving the bobbin in a first direction by interacting with the first magnet; and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first sensor that detects displacement of the bobbin in the first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14718A KR20230130593A (en) | 2015-09-08 | 2023-08-30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6679A KR102574399B1 (en) | 2015-09-08 | 2015-09-08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KR1020230114718A KR20230130593A (en) | 2015-09-08 | 2023-08-30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6679A Division KR102574399B1 (en) | 2015-09-08 | 2015-09-08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0593A true KR20230130593A (en) | 2023-09-12 |
Family
ID=584979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6679A KR102574399B1 (en) | 2015-09-08 | 2015-09-08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KR1020230114718A KR20230130593A (en) | 2015-09-08 | 2023-08-30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6679A KR102574399B1 (en) | 2015-09-08 | 2015-09-08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57439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9277B1 (en) * | 2017-11-30 | 2022-06-1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
CN116299940A (en) * | 2018-01-10 | 2023-06-23 | Lg伊诺特有限公司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KR102432737B1 (en) * | 2018-01-10 | 2022-08-1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instrument includ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702897D0 (en) * | 2007-02-15 | 2007-03-28 | Johnson Electric Sa | Voice coil motor |
KR20100125978A (en) * | 2009-05-22 | 2010-12-01 |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 Lens actuator for image pickup with magnet moving type |
KR101283208B1 (en) * | 2010-12-20 | 2013-07-0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Motor for driving lens |
KR101246178B1 (en) * | 2011-12-16 | 2013-03-25 | 에쓰이에이치에프코리아 (주) | Camera lens assembly |
KR102163005B1 (en) * | 2013-12-23 | 2020-10-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Motor for actuating lens |
-
2015
- 2015-09-08 KR KR1020150126679A patent/KR102574399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8-30 KR KR1020230114718A patent/KR20230130593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4399B1 (en) | 2023-09-04 |
KR20170029734A (en) | 2017-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0592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2626951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322840B1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EP2887514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232029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20230130593A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504846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20160045382A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20150128265A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619641B1 (en) |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20150128262A (en) | Lens apparatus | |
KR102344454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20230110694A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571260B1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KR20230095045A (en) |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KR102376814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20220132518A (en) |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17672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2344455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554388B1 (en) | Camera module | |
KR102444963B1 (en) |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
KR102384603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20220038634A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20170027018A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