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018A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018A
KR20170027018A KR1020150123410A KR20150123410A KR20170027018A KR 20170027018 A KR20170027018 A KR 20170027018A KR 1020150123410 A KR1020150123410 A KR 1020150123410A KR 20150123410 A KR20150123410 A KR 20150123410A KR 20170027018 A KR20170027018 A KR 20170027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bobbin
circuit board
cover membe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4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국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018A/en
Publication of KR20170027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0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op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ver member equipped with a hollow yoke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 bobbin installed inside the cover member,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arranged outside the bobbin; a first magnet configured to face the first coil in the cover member; a first circuit board installed under the bobb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 second circuit board having at least a part attached to the cover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 damping portion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may decrease vibrations generated by optic-axial movement of a bobbin, and prevents or restrains a resultant mechanical resonance.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driv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apparatus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apparatus.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T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notebooks, which incorporate ultra-compact digital cameras, are actively under development.

종래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되는 IT제품의 경우, 외부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렌즈 구동유닛이 내장되어 있다.In the case of an IT product in which a conventional miniature digital camera is incorporated,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external light into a digital image or a digital image and a lens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es and aligning the focal distance of the lens are incorporated.

일반적으로,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는,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형성된 디지털 이미지의 선명성을 기준으로 이미지 센서에 가장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되는 지점을 찾는 제어과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lens driving apparatus included in a miniature digital camera has a function of generating a sharpest image on an image sensor based on the sharpness of a digital image formed on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And to execute a control process of finding a point.

이러한 오토 포커싱을 실행하는 경우 렌즈가 장착된 보빈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러한 보빈의 광축방향 이동시 보빈에는 진동이 발생한다.When such auto focusing is performed, the bobbin on which the lens is mounted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vibration occurs in the bobbin when the bobbin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이러한 보빈의 광축방향 이동시 발생하는 진동수가 보빈 및 하우징의 고유 진동수에 가까워지거나 일치하는 경우, 보빈과 하우징 등에는 공진현상이 발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렌즈 구동장치의 수명이 저하되거나 또는 공진 현상이 심한 경우 보빈, 하우징 기타의 부품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When the frequency of the bobbin moving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pproaches or approaches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bobbin and the housing, a resonance phenomenon occurs in the bobbin, the housing, and the like. As a result, the life of the lens driving device is reduce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bobbin, the housing, and other parts are damaged.

따라서, 실시예는, 보빈의 광축방향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쇠시키고, 이러한 진동으로 인한 기계공진 현상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ttenuating vibration caused by movement of the bobbi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preventing or suppressing mechanical resonance due to such vibration,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렌즈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부에 중공형의 요크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구비되고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제1코일과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회로기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 및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는 댐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cover member having a hollow yok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cover member and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disposed outside the bobbin;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cover member so as to face the first coil; A first circuit board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 second circuit board at least partially attached to the cover member, the second circuit board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 damping portion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상기 댐핑부는 유연한 재질의 접착제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damping unit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The adhesive may be formed of an ultraviolet ray hardenable material.

상기 댐핑부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요크에 결합하는 제1댐핑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damp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amping uni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yoke.

상기 제1댐핑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damp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symmetric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상기 제1댐핑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damping portion may be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상기 댐핑부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커버부재 하부에 결합하는 제2댐핑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damp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damping portion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member.

상기 제2댐핑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2댐핑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second damp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damping units, and the second damping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댐핑부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제3댐핑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damping unit may include a third damping uni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상기 제3댐핑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3댐핑부는 상기 제1회로기판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third damping units may be provided, and the third damping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상기 댐핑부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2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제4댐핑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damping unit may include a fourth damping uni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상기 제4댐핑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4댐핑부는 상기 제2회로기판의 표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fourth damping portions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fourth damping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상기 제1회로기판 또는 상기 제2회로기판은 유연회로기판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circuit board or the second circuit board may be a flexible circuit board.

렌즈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부에 중공형의 요크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구비되고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제1코일;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제1코일과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회로기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 및 일측이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제5댐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includes a cover member having a hollow yok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cover member and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cover member so as to face the first coil; A first circuit board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 second circuit board at least partially attached to the cover member, the second circuit board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 fifth damping uni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cover membe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camera module comprises: an image sensor; And the lens driving device.

실시예에서, 제1댐핑부 내지 제5댐핑부를 포함하는 상기 댐핑부는 오토 포커싱의 실행시 보빈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amping portion including the first damping portion to the fifth damping portion may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bobbin upon execution of autofocusing.

이로 인해,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의 실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기계공진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can prevent or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mechanical resonance phenomenon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auto focusing is performed.

기계공진 현상의 발생 방지 또는 억제로 인해 상기 기계공진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의 각 부품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each compon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due to the mechanical resonance due to prevention or suppression of the mechanical resonance phenomen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핑부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댐핑부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댐핑부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핑부의 위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댐핑부의 위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4댐핑부의 위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D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5댐핑부의 위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은 E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member is removed from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plan view of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A of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position of a first damp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amp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amp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a second damping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1 is a view showing a portion B in Fig.
1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a third dam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s a view showing a portion C in Fig.
1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ourth damp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5 is a view showing part D in Fig.
16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a fifth damp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7 is a view showing part E of Fig. 16. Fig.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a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are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re only intended to illustrate the embodiment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the "upper" or "on or under" of each element, the upper or lower (on or under Quot; includes both that the two elem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at one or more other elements are indirectly formed between the two elements. Also, when expressed as "on" or "on or under", it may include not only an upward direction but also a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element.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top / top / top" and "bottom / bottom / bottom", as used below, do not necessarily imply nor imply any physical or logic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elements, But may b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element from another entity or element.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Further, in the drawings,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x, y, z) can be used. In the drawing, the x axis and y axis mea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convenience, the optical axis direction (z axis direction) can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the x axis direction as a second direction, and the y axis direction as a third direction .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렌즈 구동 장치는 가동자(100), 커버부재(200), 제1마그네트(500) 및 베이스(7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00)는 베이스(7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200)의 하측은 베이스(70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The lens driv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may include a mover 100, a cover member 200, a first magnet 500, and a base 700. The cover member 200 may be coupled to the base 700 and the underside of the cover member 200 may be supported by the base 700. [

또한, 커버부재(2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중공의 내주면 상부에 자기장을 차폐하는 요크(21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200)는 철과 같은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200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 yoke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hollow inner peripheral surface to shield the magnetic field. At this time, the cover member 200 may be formed of a ferromagnetic material such as iron.

또한, 커버부재(200)는 보빈(150)을 모두 감쌀 수 있도록 상측에서 보았을 때 외측이 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내측이 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200 may have an oute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nd may have a circular inner shape so as to cover the bobbin 150, but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이때, 커버부재(200)는 도 1과 같이 모서리가 라운딩 형상을 가지는 4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8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member 200 may be provided in a quadrangular shape having rounded corners as shown in FIG. 1, or may be provided in an octagonal shape, as shown in FIG.

또한, 커버부재(200)의 모서리에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500)의 형상이 제1방향으로 보았을 때 사다리꼴 형상이라면 커버부재(200)의 모서리에서 외부로 누설되는 자기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first magnet 500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cover member 200 has a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magnetic field leaking from the corner of the cover member 200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실시예에서 자기장을 차폐하여 자기장의 외부 누설을 제한하는 요크(210)는 커버부재의 상부 내주면에 커버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커버부재(200)는 커버부재(200)의 상면과 외면으로 누설되는 자기장을 주로 차폐하고, 요크(210)는 그 내주면 방향으로 누설되는 자기장을 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yoke 210, which shields the magnetic field and limits external leakage of the magnetic fiel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member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At this time, the cover member 200 mainly shields the magnetic field leaking from the upp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00, and the yoke 210 can mainly shield the magnetic field leaking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실시예에서 상기 요크(210)는 제1방향으로 보아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권선링(180) 및 상기 제1코일(190)은 상기 요크(210)의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에 대응하여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yoke 210 is circular in cross section in the first direction, but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he winding ring 180 and the first coil 19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ircular or polygonal shape of the yoke 210.

제1마그네트(500)는 상기 커버부재에 제1코일(190)과 대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동자(100)를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마그네트(500)는 커버부재(20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다.The first magnet 500 is opposed to the first coil 190 on the cover member and serves to drive the mover 100. At this time, the first magnet 500 may be fixed directly to the cover member 200.

이처럼 제1마그네트(500)가 커버부재(200)에 직접 고정될 경우, 제1마그네트(500)는 커버부재(200)의 측면 또는 모서리에 직접 접착제 등에 의해 본딩 고정될 수도 있다.When the first magnet 500 is directly fixed to the cover member 200, the first magnet 50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side or edge of the cover member 200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커버부재(200)의 재질이 금속일 경우, 제1마그네트(500)와 면접하는 커버부재(200)의 면이 많으면 자기장을 차폐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제1마그네트(500)는 적어도 2면 이상이 커버부재(200)와 접촉할 수 있다.When the cover member 200 is made of metal, it is effective to shield the magnetic field if the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0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magnet 500 is large. In addition, at least two surfaces of the first magnet 500 can contact the cover member 200.

예를 들어, 제1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1마그네트(500)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일 경우, 제1마그네트(500)는 커버부재(200)의 내측면과 적어도 3측면 이상 접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magnet 500 has a trapezoidal shape in a first direction, the first magnet 500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00 by at least three sides.

또한, 실시예의 경우, 제1마그네트(500)는 2개로 구비되고 각각 커버부재(200)의 2개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으나. 4개로 구비되고 커버부재(200)의 4개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Also, in the embodiment, the first magnets 500 are provided in two and are disposed at two corners of the cover member 200, respectively. And may be disposed on four inner sides of the cover member 200. [

한편, 가동자(100)는 보빈(150), 권선링(180) 및 제1코일(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빈(150)은 커버부재(20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200)의 내부 공간에서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ver 100 may include a bobbin 150, a winding ring 180, and a first coil 190. At this time, the bobbin 150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member 200 and can be install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member 200.

보빈(150)은 제1마그네트(50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도록 그 외주면에 권선링(180)과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권선링 외주면에 제1코일(190)이 권선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The bobbin 15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150 such that the bobbin 150 can be electromagnetically interacted with the first magnet 500 and the first coil 190 may be wound or coupled .

보빈(15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 배럴(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렌즈 배럴은 보빈(150)의 내부에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bobbin 150 may be coupled with a lens barrel (not shown) in which at least one lens is installed, and the lens barrel may be formed to be screwable inside the bobbin 150.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렌즈 배럴이 보빈(15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되거나, 렌즈 배럴 없이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5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lens barrel is direct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150 by a method other than screwing, or one or more lenses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bbin 150 without a lens barrel . The lens may be composed of a single sheet, or two or more lenses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optical system.

한편, 제1마그네트(500)와 권선링(180)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보빈(150)의 제1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 시에도 권선링(180) 및/또는 제1코일(190)이 제1마그네트(500)와 접촉 및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빈(150)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magnet 500 and the winding ring 18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nding ring 180 and / or the first coil 190 from contacting or interfering with the first magnet 500 even when the bobbin 150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bobbin 150 can move smoothly.

이와 같은 이격 거리는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빈(150)이 제1방향으로 움직일 경우에도, 권선링(180)은 항상 제1마그네트(500)와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Such a separation distance may be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and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at is, even when the bobbin 15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winding ring 180 always needs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magnet 5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한편, 권선링(180)은 보빈(1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코일(190)은 권선링(180)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코일(190)은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권선링의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다.Meanwhile, the winding ring 180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50, and the first coil 190 may be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ing 180 to have a ring shape. At this time, the first coil 19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ring by, for example, an adhesive.

한편, 설명의 편의상 권선링(180)과 보빈(150)은 별개의 부재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보빈(150)과 권선링(180)은 인서트(insert) 사출 등에 의해 일체형일 수도 있고, 또한 상기 권선링(180)은 보빈(150)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bobbin 150 and the winding ring 18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insert injection or the like and the bobbin 150 and the winding ring 18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The ring 18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bbin 150.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권선링(180)은 자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실시예는 권선링(180)의 재질의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권선링(180)은 비자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winding ring 18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magnetism,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kind of the material of the winding ring 180. That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winding ring 180 may be made of a non-magnetic material.

실시예에 의하면, 권선링(180)은 보빈(150)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링(180)과 보빈(150) 각각은 예를 들어 환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inding ring 180 may have the same planar shape as the bobbin 150. As shown in FIG. 2, each of the winding ring 180 and the bobbin 150 may have, for example, an annular planar shape, although embodiments are not limited in this respect.

즉, 보빈(150)과 권선링(180) 각각은 다양한 평면 형상 예를 들어, 다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보빈(150)의 평면 형상과 권선링(180)의 평면 형상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That is, each of the bobbin 150 and the winding ring 180 may have various planar shapes, for example, a polygonal planar shape. Alternatively, the planar shape of the bobbin 150 and the planar shape of the winding ring 18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마그네트(500)와 서로 마주보는 제1코일(190)의 면이 원하는 곡률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코일(190)이 권선되는 권선링(18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shape of the winding ring 180 in which the first coil 190 is wound can be changed so that the surface of the first coil 190 facing the first magnet 500 has a desired curvature.

제1코일(190)은 상기 보빈(150)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1마그네트(50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의 경우 제1코일(190)이 원형 평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코일(190)은 원형이 아닌 각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각 형상 일수 있다.The first coil 190 is disposed outside the bobbin 150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500. Although the first coil 190 is shown as having a circular planar shape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il 190 may have an angular shape other than circular, for example, have.

이때, 제1코일(190)이 권선링(180)에 권선되므로, 권선링(180)의 평면 형상과 제1코일(190)의 평면 형상은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oil 190 is wound on the winding ring 180, the plane shape of the winding ring 180 and the plane shape of the first coil 190 can be the same.

예를 들어, 제1코일(190)은 원형 형태의 환선/사각형 형태의 편각선 코일, 재질은 구리선이나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알루미늄이 합쳐진 복합선일 수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코일의 외면은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il 190 may be a round wire / round wire shaped wire-wound coil, the material may be a copper wire, aluminum wire, or a composite wire of copper and aluminum, but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Fur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제1코일(190)과 제1마그네트(50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의 곡률이 같을 수 있으나,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대향 되게 배치되는 제1마그네트(500)와의 전자기작용을 고려한 것인데, 제1마그네트(500)의 대응되는 면이 평면이면 대면하는 제1코일(190)의 면도 평면일 경우에 전자기력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first coil 190 and the first magnet 500 may have the same curvatures on opposite surfaces, but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This is to consider the electromagnetic action of the first magnet 500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500. When the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first magnet 500 is flat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coil 190 facing the first magnet 500 is flat, It is because.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 사양에 따라 제1마그네트(500)의 면과 제1코일(190)의 대향하는 면은 모두 곡면, 모두 평면, 또는 하나는 곡면 다른 하나는 평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depending on the design specifications, the surfaces of the first magnet 500 and the first coil 190 may be all curved surfaces, all planar, or one curved surface and one planar surface .

제1회로기판(600)은 가동자(10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가동자(100)의 상기 제1방향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방향으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재질의 유연회로기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ircuit board 60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ver 10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90. The first circuit board 6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90, A flexible circuit board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an be provided.

예를 들어, 상기 제1회로기판(600)은 상기 보빈(15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로기판은 일측이 상기 보빈의 하부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2회로기판에 결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ircuit board 600 may be provided below the bobbin 150. That is, one end of the first circuit boar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ircuit board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또한, 실시예와 달리 일반적인 렌즈 구동장치와 같이 제1코일(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코일(190)에 전력을 공급하고,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을 탄력적 또는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장치로 보빈(15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Also, like the general lens driving device, unlike the embodiment, the first coil 19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90 to supply electric power, and the first direction movement of the bobbin 150 is resiliently or elastically (Not shown)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and / or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150 by a supporting device.

실시예에서는 제1코일(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은 제1회로기판(600)으로 대치되고,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은 후술하는 변위감지부(300) 및 이와 연결되는 외부 제어드라이버(미도시)가 조절한다.In the embodiment, the first coil 19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600 to supply electric power. The bobbin 15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through the displacement sensing unit 300 And an external control driver (not shown) connected thereto is controlled.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인 렌즈 구동장치에서 사용하는 상기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렌즈 구동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since the elastic member used in a general lens driving apparatus is not used, the structure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can be simplified.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회로기판(600)은 일측이 상기 보빈(150)의 하부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700)의 상부에 결합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회로기판(600)은 일측이 상기 보빈(150)의 하단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700)에 솔더링, 본딩 등의 방식에 의에 결합할 수 있다.10, one end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15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700. Referring to FIG. In one embodiment, the first circuit board 600 is coupled to a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bobbin 15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is coupled to the base 700 by soldering or bonding. have.

한편, 상기 제1회로기판(600)은 상기 보빈(150)과 상기 베이스(700) 사이에서 그 길이방향이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 및/또는 제3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ircuit board 6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obbin 150 and the base 700 in a second direction and / or a thi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보빈(150)이 제1방향으로 이동시 예를 들어, 상승하는 경우 제1회로기판(600)의 보빈(150)과 결합한 부위는 상승하게 되고, 하강하는 경우 제1회로기판(600)의 보빈(150)과 결합한 부위도 따라서 하강하게 된다.When the bobbin 15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bobbin 150 moves upward, the first circuit board 600 coupled with the bobbin 150 is moved upward, 150 are also lowered.

한편, 실시예에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를 제1회로기판(600)으로 대치함으로써 탄성부재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이에 따른 기계적 공진현상을 회피할 수 있고, 탄성부재 등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elastic member and the mechanical resonance phenomenon caused thereby can be avoided by replacing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with the first circuit board 600, and the noise generated by the elastic member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duced.

또한, 실시예에서 일반적인 렌즈 구동장치에 사용되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 하우징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마그네트를 2개 삭제할 수 있어 렌즈 구동장치에 있어서 원가절감 및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마그네트를 4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the housing, and the first magnet used in the general lens driving apparatus can be eliminated, thereby reducing cost and simplifying the process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It is effective. Also, the first magnet may be composed of four.

한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700) 및/또는 상기 커버부재(200)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6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610)은 제1회로기판(600)과 상기 외부제어드라이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circuit board 6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ircuit board 61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se 700 and / or the cover member 2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600 . The second circuit board 61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circuit board 600 and the external control driver.

이때, 제2회로기판(610)은 상기 제1회로기판(600)과 마찬가지로 유연한 재질의 유연회로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견고한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회로기판(610)을 유연한 재질로 형성할지, 견고한 재질로 형성할지는 렌즈 구동장치 전체의 구조, 제2회로기판(610)의 제작의 용이성, 제작비용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circuit board 61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circuit board of a flexible material similar to the first circuit board 600, but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The second circuit board 61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or a solid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entire lens driving apparatus, the easiness of manufacturing the second circuit board 610,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like.

변위감지부(300)는 상기 보빈(150)이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한 변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고, 제2마그네트(310), 제1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cement sensing unit 300 may sense the displacement of the bobbin 150 in the first direction and may include a second magnet 310 and a first sensor 320.

제2마그네트(310)는 가동자(100)의 보빈(150)에 결합 및 설치되고, 제1센서(320)는 커버부재(20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마그네트(3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2마그네트(310)와 일정한 이격거리를 가지고 구비된다.The second magnet 310 is coupled to and installed in the bobbin 150 of the mover 100 and the first sensor 320 is disposed inside the cover member 200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 310 And the second magnet 31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agnet 3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1센서(320)는 보빈(150)에 설치되는 제2마그네트(310)와 함께 상기 보빈(150)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변위값을 판단하는 변위감지부(300)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센서(320)는 상기 제2마그네트(3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The first sensor 320 may be a displacement sensing unit 300 for determining a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50 in the first direction together with a second magnet 310 installed on the bobbin 150 . For this, the first sensor 32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magnet 310.

상기 제1센서(320)는 보빈(150)의 제2마그네트(310)에서 방출되는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센서(320)는 홀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The first sensor 320 may be a sensor for sens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emitted from the second magnet 310 of the bobbin 150. Also, the first sensor 320 may be a Hall sensor.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홀센서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자기력 이외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포토리플렉터 등을 이용한 방식도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Hall sensor, and any sensor that can detect a change in magnetic force can be used, and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position in addition to the magnetic force is also possible.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reflector or the like.

변위감지부(300)와, 제1회로기판(600)을 통해 제1코일(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610) 및 이미지센서는 렌즈 구동장치의 외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어드라이버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방식에 따라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은 상기 제어드라이버에 의해 피드백 즉, 폐루프 방식으로 제어된다.A second circuit board 6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90 through the first circuit board 600 and an image sensor ar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lens driving devic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connection method, the movement of the bobbin 150 in the first direc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river in a feedback or closed loop manner.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은 오토 포커싱 즉,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센서 면에 결상시키기 위함이다. 오토 포커싱을 위한 제어드라이버에 의한 피드백 제어는 하기의 과정을 거친다.The movement of the bobbin 150 in the first direction is for auto focusing, that is, for automatically focusing the image of the object on the image sensor surface. The feedback control by the control driver for autofocusing is performed as follows.

변위감지부(300)에 의해 측정된 보빈(150)의 제1방향 변위값과, 이미지센서에 결상된 피사체의 화상을 제어드라이버가 전송받고, 피사체의 초점이 적절한지를 판단한다.The control driver receives the first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50 measured by the displacement detector 300 and the image of the object imaged on the image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focus of the object is appropriate.

피사체의 초점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보빈(150)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변화시켜 보빈(15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방향 변위값과 피사체의 화상을 제어드라이버가 다시 전송받고, 피사체의 초점이 적절한지를 판단한다.When the focus of the subject is not appropriate,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bobbin 150 is changed to move the bobbin 15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control driver again receives the first direction displacement value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Is appropriate.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제어드라이버는 적절한 피사체의 초점을 찾아낸다. 결국, 제어드라이버는 보빈(150)의 제1방향 변위값을 반복적으로 조절하여 오토 포커싱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피드백 제어방식으로 진행된다.By repeating this process, the control driver finds the proper focus of the subject. As a result, the control driver repeatedly adjusts the first direction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150 to perform autofocusing, and this process proceeds in a feedback control manner as described above.

한편, 상기한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커버부재(200), 보빈(150), 렌즈배럴, 제1회로기판(600), 이미지센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driving device may include a cover member 200, a bobbin 150, a lens barrel, a first circuit board 600, an image sensor, and a printed circuit board.

커버부재(2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장을 차폐하는 요크(21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빈(150)은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구비되고,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20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as described above, the yoke 210 that shields the magnetic field can be integrally formed. The bobbin 1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ver member and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by a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렌즈배럴은 상기 보빈 내부에 결합하고, 결합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산 결합 기타 다양한 방식의 결합이 가능하다. 제1회로기판(6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보빈(15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빈(150)에 결합된 제1코일(1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lens barrel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bbin, and the coupling method may be threaded or other various combin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ircuit board 600 is provided below the bobbin 15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190 coupled to the bobbin 150 as described above.

이미지센서는 베이스(7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배럴을 통해 입사하는 피사체의 화상이 결상된다.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이미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미지센서로부터 취득한 피사체의 이미지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The image sensor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700, and an image of an object incident through the lens barrel is image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e sensor, and image information of the object acquired from the image sensor can be received.

실시예는 일반적인 렌즈 구동장치에서 상측 및 하측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개루프제어 대신 폐루프제어 방식을 사용하므로 오토 포커싱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측 스프링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보빈(150)의 상면의 높이조절이 비교적 자유로우므로 보빈(150)에 렌즈 또는 렌즈배럴을 조립시 본딩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 uses a closed loop control method instead of the open loop control using the upper and lower elastic members in a general lens driving apparatus, so that the auto focusing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quickly.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ide spring is not used in th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150 is relatively free, so that the bonding operation is facilitated when the lens or the lens barrel is assembled to the bobbin 150.

또한, 실시예는 보빈(150)에 권선링(180)을 결합하고 권선링(180)에 제1코일(190)이 권선되는 구조이므로 제1코일(190)의 권선시 발생하는 열 또는 장력에 의한 보빈(150)의 변형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 조립 토크의 변화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nding ring 180 is coupled to the bobbin 150 and the first coil 190 is wound on the winding ring 180, the heat or tension generated when the first coil 190 is wound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reduce deformation of the bobbin 150 due to the rotation of the lens barrel.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member is removed from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plan view of Fig. 3.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제1마그네트(500)는 상기 제2마그네트(310)와 상기 권선링(18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for example, the first magnet 500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distance apart from the second magnet 310 by a certain distan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ding ring 180 have.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제1방향으로 보아 측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센서(320)는 상기 커버부재(200) 내부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ver member 2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n side view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sensor 320 may be provided at any one corner of the cover member 200.

또한, 상기 제1마그네트(500)는 상기 제1센서(320)가 구비되는 모서리 및 이와 마주보는 모서리를 제외한 모서리에서 상기 커버부재(200) 내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magnet 5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ver member 200 at the corners except the corner where the first sensor 320 is provided and the opposite corner.

일 실시예로, 제1마그네트(500)는, 커버부재(200)와 요크(1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에서 상기 제2마그네트(310) 및 제1센서(320)가 구비되는 모서리의 양쪽에 위치하는 모서리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magnet 5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rners where the second magnet 310 and the first sensor 320 are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cover member 200 and the yoke 10 And may be provided in a pair so that they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corner where they are located.

이때, 제1마그네트(500)는 상기 수용공간의 모서리에 대응되도록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삼각형상 등 다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다리꼴 형태가 커버부재(200)의 모서리에서 외부로 자기장 누설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magnet 500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but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ular shape. This trapezoidal shape may also minimize magnetic field leakage from the corners of the cover member 200 to the outside.

상기 수용공간에서의 제1마그네트(500), 제2마그네트(310), 제1센서(320)의 배치구조는 실시예의 상기 수용공간의 형상을 고려한 최적화된 배치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배치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제1마그네트(500), 제2마그네트(310), 제1센서(320) 등은 다른 방식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magnet 500, the second magnet 310 and the first sensor 320 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an optimized arrangement structure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embodiment. However, the first magnet 500, the second magnet 310, the first sensor 320,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in a different manner, not limited to the above arrangement.

예를 들어, 제1마그네트(500)는 상기 수용공간의 모서리 부위가 아니라, 면 부위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총 4개 또는 8개 등이 배치될 수도 있고, 그 형상은 사다리꼴이 아닌 대체적으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구조는 커버부재(200) 및 요크(210)의 형상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magnet 500 may be arranged in a total of four or eight such that the first magnet 500 is opposed to the corn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he shape of the first magnet 500 is not a trapezoid, It may have a cubic shape. In addition, such an arrangement structure may also be varied depending on the shapes of the cover member 200 and the yoke 210. [

한편,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에는 댐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렌즈 구동장치에서 예를 들어, 오토 포커싱 실행시 보빈(150)의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damping portion can be formed in the lens driving device of the embodiment. The damping unit may serve to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bobbin 150 in the lens driving apparatus, for example, during auto focusing.

상기 댐핑부는 예를 들어, 일측이 상기 보빈(150)에 결합하는 경우와, 일측이 상기 커버부재(200)에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 도 5 이하에서는, 전자의 경우 실시예로 제1댐핑부(2100) 내지 제4댐핑부(2400)를 도시하였고, 후자의 경우 실시예로 제5댐핑부(2500)를 도시하였다. 이하, 각 댐핑부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or example, the damping portion may have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150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cover member 200. [ 5 and 6,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to the fourth damping portion 2400 are shown as examples in the former case, and the fifth damping portion 2500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latter case. Hereinafter, each of the damping uni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한편, 상기 댐핑부는 유연한 재질의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댐핑부가 결합한 대상이 보빈(150), 제1회로기판(600) 등의 가동부품들인 경우에도, 상기 댐핑부가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동부품들은 상기 댐핑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mping unit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erefore, even when the object to which the damping unit is coupled is the movable parts such as the bobbin 150 and the first circuit board 600, the damping unit can be extended or contracted, so that the movable parts can be smoothly .

또한, 상기 댐핑부는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성 재질의 접착제로 형성되어, 상기 댐핑부를 용이하게 상기 렌즈 구동장치의 여러 부위에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mping portion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ultraviolet ray hardening adhesive, so that the damping portion can be easily formed at various portions of the lens driving devic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댐핑부는 제1댐핑부(2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댐핑부(2100)는 일측이 상기 보빈(150)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요크(210)에 결합할 수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part A of Fig. The damp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damping portion 2100. 5 and 6,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150 at one side and coupled to the yoke 210 at the other side.

즉, 상기 보빈(150)이 상기 요크(21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제1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 이동하기 위해, 상기 보빈(150)과 상기 요크(210)는 서로 대향되는 면이 제2방향 및 제3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That is, in order for the bobbin 150 and the yoke 210 to move up and down in the first direction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yoke 210, And may be spaced apart in the third direction.

이러한 이격된 부위 즉, 상기 보빈(150)과 상기 요크(210)가 형성하는 틈새에 상기 제1댐핑부(2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댐핑부는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접착제는 경화되어도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댐핑부가 보빈(150)과 요크(210)에 결합하더라도 상기 제1댐핑부(2100)는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may be formed in a gap formed between the bobbin 150 and the yoke 210. As described above, the damp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n adhesive. However, since the adhesive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even when cured, even if the damp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bobbin 150 and the yoke 210,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irst direction movement of the light guide plate 150.

상기 제1댐핑부(2100)는 접착부위 단면적이 클수록 댐핑효과는 증가할 수 있으나, 반대로 그 단면적이 과도하게 커지면 제1댐핑부(2100)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에 방해요인이 될 수 있다.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the damping effect may be increased. However, even if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t can be an obstacle to movement.

즉, 상기 제1댐핑부(2100)의 접착부위 단면적이 클수록 보빈(150)의 이동에 필요한 힘이 증가할 수 있고, 이는 제1코일(190)에 더 많은 양의 전류가 인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1댐핑부(2100)의 접착부위 단면적은 댐핑효과, 보빈(150)의 이동에 필요한 힘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타당하다.That is, the great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nding portion of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the greater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bobbin 150, which means that a larger amount of current must be applied to the first coil 190 do.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appropriately selec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joint portion of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in consideration of the damping effect and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bobbin 150.

한편, 상기 제1댐핑부(2100)는 상기 커버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댐핑부(2100)가 커버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댐핑부(2100)로 인해 보빈(150)이 제1방향으로 이동시 불필요한 틸트(tilt)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틸트는 렌즈 구동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first damping parts 2100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200. When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is provid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200,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prevents the bobbin 150 from moving unnecessarily when the bobbin 15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 May occur, and such tilt may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1댐핑부(2100)가 상기 커버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댐핑부(2100)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댐핑부(2100)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damping portions 2100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방향으로 보아 4각형의 외형을 가지는 커버부재(200)의 서로 마주보는 두변의 중심에 대응하는 상기 보빈(150)과 요크(210) 사이의 틈새에 각각 제1댐핑부(2100)를 형성하여, 서로 대칭되는 한쌍의 제1댐핑부(2100)를 형성할 수 있다.7 and 8, the bobbin 150 and the yoke 210, which correspond to the centers of two opposing sides of the cover member 200 having a quadrangular outer shape as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A pair of first damping portions 2100 symmetrical to each other can be formed.

한편, 렌즈 구동장치를 제1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바라볼 경우, 상기 보빈(150)과 요크(210) 사이의 틈새는 매우 작아서 보이지 않으므로 상기 제1댐핑부(2100)도 보기 힘들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서는 편의상 제1댐핑부(2100)의 형성위치만을 나타내었다. 이는 도 9에서도 마찬가지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s driving device is viewed in the first direction as a whole, the gap between the bobbin 150 and the yoke 210 is so small that it is difficult to see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Therefore, only the positions where the first damping parts 2100 are formed are shown in FIGS. 7 and 8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is is also the case in Fig.

도 7에서는 지면(paper)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1댐핑부(2100)가 형성되어, 지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상기 커버부재(200)의 중심을 지나도록 그을 수 있는 가상선(미도시)을 기준으로 상기 한쌍의 제1댐핑부(2100)는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7, a pair of first damping portions 2100 facing each oth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re formed on the paper, and a virtual line (not shown) that can be drawn across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200 in the left- The pair of first damping portions 2100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한편, 도 8에서는 지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1댐핑부(2100)가 형성되어, 지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상기 커버부재(200)의 중심을 지나도록 그을 수 있는 가상선(미도시)을 기준으로 상기 한쌍의 제1댐핑부(2100)는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8, a pair of first damping portions 2100 facing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are formed on the ground, and a virtual line (not shown in the figure) that can be drawn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200 in the up- The pair of first damping parts 2100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댐핑부(2100)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댐핑부(2100)는, 예를 들어, 상기 커버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9 is a plan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may be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200, for example.

즉, 상기 제1댐핑부(2100)는 상기 커버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보빈(150)과 요크(210) 사이의 틈새에 복수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도 7과 도 8의 제1댐핑부(2100)의 배치를 조합한 형태로 도시되었다.That is,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may be disposed radially in a plurality of gaps between the bobbin 150 and the yoke 21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200. In FIG. 9,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of FIG. 7 and FIG. 8 is shown as a combination.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댐핑부(2100)는 다양한 위치와 개수로 상기 커버부재(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may be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ver member 200 at various positions and numbers.

다만, 상기 제1댐핑부(2100)의 개수가 많아지면 댐핑효과는 증가할 수 있으나, 반대로 그 개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제1댐핑부(2100)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에 과도한 힘이 소요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number of the first damping parts 2100 is increased, the damping effect may increase.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of the first damping parts 2100 is excessively increased, Excessive force may be required to move in one direction.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댐핑부(2100)의 개수는 댐핑효과, 보빈(150)의 이동에 필요한 힘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타당하다.9, it is appropriate to appropriately select the number of the first damping portions 2100 in consideration of the damping effect and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bobbin 150.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댐핑부(2200)의 위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댐핑부는 제2댐핑부(2200)를 포함할 수 있다.10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11 is a view showing a portion B in Fig. The damp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damping portion 2200.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댐핑부(2200)는 일측이 상기 보빈(150)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커버부재(200) 하부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지면(paper)에서 우측에 위치한 보빈(150)과 커버부재(200) 사이의 틈새에 상기 제2댐핑부(2200)가 형성되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may be formed so that one side of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is coupled to the bobbin 15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member 200. 10 and 11,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is formed in a gap between the bobbin 150 and the cover member 200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per.

한편, 다른 실시예로, 도10을 참조하면, 지면에서 상측에 위치한 보빈(150)과 커버부재(200) 사이의 틈새에 상기 제2댐핑부(22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지면에서 우측 및 상측에 위치한 보빈(150)과 커버부재(200) 사이의 틈새에 각각 상기 제2댐핑부(2200)를 형성할 수도 있다.10,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may be formed in a gap between the bobbin 15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per and the cover member 20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may be formed in a gap between the bobbin 150 and the cover member 200 located on the right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paper.

이때, 상기 제2댐핑부(2200)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댐핑부(2200)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상기 제2댐핑부(220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only one second damping unit 2200 may be formed, but a plurality of second damping units 2200 may be formed. When a plurality of second damping portions 2200 are formed, the respective second damping portions 22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2댐핑부(2200)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제2댐핑부(2200) 서로간 이격거리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제2댐핑부(2200)는 서로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econd damping portions 2200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damping portions 2200 may not be the same. That is, each of the second damping units 22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2댐핑부(2200)는 접착부위의 단면적이 클수록, 그 개수가 증가할수록 댐핑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제2댐핑부(2200)의 접착부위의 단면적이 과도하게 크거나 그 개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제2댐핑부(2200)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에 과도한 힘이 소요될 수도 있다.The damping effect of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can be increased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dhesive portion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he adhesive portions is increased. However,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nding portion of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is excessively large or excessively large, even if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Excessive force may be required.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댐핑부(2200)의 접착부위의 단면적 및/또는 그 개수는 댐핑효과, 보빈(150)의 이동에 필요한 힘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타당하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0 and 11, the cross-sectional area and / or the number of the bonded portions of the second damping portion 2200 ar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amping effect and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bobbin 150 It is reasonable to choose.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댐핑부(2300)의 위치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댐핑부는 제3댐핑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1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osition of the third damping portion 2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13 is a view showing a portion C in Fig. The damping unit may include a third damping unit 2300.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댐핑부(2300)는 일측이 상기 보빈(150)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회로기판(600)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댐핑부(2300)는 상기 보빈(150)과 상기 제1회로기판(600)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third damping unit 2300 may have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150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600. The third damping portion 2300 may be formed at a stepped portion formed between the bobbin 150 and the first circuit board 600. [

즉, 상기 제1회로기판(600)은 상기 보빈(150)의 하부에 구비되고 그 일부분이 상기 보빈(150)의 하면과 접촉하므로 상기 보빈(150)의 하면과 상기 제1회로기판(600)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600)의 측면이 단차면을 형성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ircuit board 600 is provided below the bobbin 150 and a part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50,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50 and the first circuit board 600,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may form a stepped surface.

따라서, 상기 제3댐핑부(2300)는 그 일부가 상기 보빈(150)의 하면과 단차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회로기판(600)의 측면에 각각 접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third damping portion 2300 may be formed by bonding a part of the third damping portion 2300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forming a stepped surfac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15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3댐핑부(2300)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댐핑부(2300)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상기 제3댐핑부(2300)는 상기 제1회로기판(600)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only one third damping unit 2300 may be formed, but a plurality of third damping units 2300 may be formed. 12, when a plurality of third damping portions 2300 are formed, the respective third damping portions 2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3댐핑부(2300)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제3댐핑부(2300) 서로간 이격거리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제3댐핑부(2300)는 상기 제1회로기판(600)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third damping portions 2300 are formed in plural,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damping portions 2300 may not be the same. That is, each of the third damping parts 23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상기 제3댐핑부(2300)는 접착부위의 단면적이 클수록, 그 개수가 증가할수록 댐핑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제3댐핑부(2300)의 접착부위의 단면적이 과도하게 크거나 그 개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제3댐핑부(2300)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에 과도한 힘이 소요될 수도 있다.The damping effect of the third damping portion 2300 may increase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dhesive portion increases, and as the number increases. However,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rd damping portion 2300 is excessively large or excessively large, even if the third damping portion 230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Excessive force may be required.

따라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댐핑부(2300)의 접착부위의 단면적 및/또는 그 개수는 댐핑효과, 보빈(150)의 이동에 필요한 힘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타당하다.12 and 13, the cross-sectional area and / or the number of the bonded portions of the third damping portion 2300 ar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amping effect and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bobbin 150 It is reasonable to choose.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4댐핑부(2400)의 위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D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댐핑부는 제4댐핑부(2400)를 포함할 수 있다.14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ourth damping portion 2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5 is a view showing part D in Fig. The damping unit may include a fourth damping unit 2400.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댐핑부(2400)는 일측이 상기 보빈(150)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2회로기판(610)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보빈(150)과 제2회로기판(610)이 서로 대향하는 면들 사이에 틈새가 있고, 상기 제4댐핑부(2400)는 상기 틈새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fourth damping unit 2400 may be provid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coupled to the bobbin 150,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coupl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610. That is, there is a gap between the surfaces of the bobbin 150 and the second circuit substrate 610 facing each other, and the fourth damping portion 2400 may be formed in the gap.

이때, 상기 제4댐핑부(2400)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댐핑부(2400)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상기 제4댐핑부(2400)는 상기 제2회로기판(610)의 표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only one fourth damping unit 2400 may be formed, but a plurality of the fourth damping units 2400 may be formed. 14 and 15, when a plurality of fourth damping portions 2400 are formed, each of the fourth damping portions 2400 is fix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610 along the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610 Spaced apart.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4댐핑부(2400)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제4댐핑부(2400) 서로간 이격거리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제4댐핑부(2400)는 상기 제2회로기판(610)의 표면을 따라 서로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ourth damping portions 2400 are formed in plural, the fourth damping portions 2400 may not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each of the fourth damping portions 24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6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제4댐핑부(2400)는 접착부위의 단면적이 클수록, 그 개수가 증가할수록 댐핑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제4댐핑부(2400)의 접착부위의 단면적이 과도하게 크거나 그 개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제4댐핑부(2400)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에 과도한 힘이 소요될 수도 있다.The damping effect of the fourth damping portion 2400 may be increased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nding portion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he bonding portions is increased. However,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nded portion of the fourth damping portion 2400 is excessively large or excessively large, even if the fourth damping portion 240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Excessive force may be required.

따라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댐핑부(2400)의 접착부위의 단면적 및/또는 그 개수는 댐핑효과, 보빈(150)의 이동에 필요한 힘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타당하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4 and 15, the cross-sectional area and / or the number of the bonded portions of the fourth damping portion 2400 ar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amping effect and the force necessary for moving the bobbin 150 It is reasonable to choose.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5댐핑부(2500)의 위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은 E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댐핑부는 제5댐핑부(2500)를 포함할 수 있다.16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fifth damping portion 2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7 is a view showing part E of Fig. 16. Fig. The damping unit may include a fifth damping unit 2500.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댐핑부(2500)는 일측이 상기 커버부재(200)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회로기판(600)에 결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200)의 내측면과 이에 대향하는 제1회로기판(600)의 측면 사이에 틈새가 있고, 상기 제5댐핑부(2500)는 상기 틈새에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fifth damping unit 2500 may be provided such that one side of the fifth damping unit 2500 is coupled to the cover member 200, and the other side of the fifth damping unit 2500 is coupl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600. That is, there is a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0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00, and the fifth damping portion 2500 can be formed in the gap.

이때, 상기 제5댐핑부(2500)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댐핑부(2500)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상기 제5댐핑부(2500)는 상기 제1회로기판(600)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only one of the fifth damping units 2500 may be formed, but a plurality of the fifth damping units 2500 may be formed. 16 and 17, when a plurality of fifth damping portions 2500 are formed, each of the fifth damping portions 2500 is fix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Spaced apart.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5댐핑부(2500)가 복수로 형성될 경우, 각각의 제5댐핑부(2500) 서로간 이격거리는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제5댐핑부(2500)는 상기 제1회로기판(600)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fifth damping portions 2500 are formed in plural, the distance between the fifth damping portions 2500 may not be the same. That is, each of the fifth damping units 25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상기 제5댐핑부(2500)는 접착부위의 단면적이 클수록, 그 개수가 증가할수록 댐핑효과가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제5댐핑부(2500)의 접착부위의 단면적이 과도하게 크거나 그 개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제5댐핑부(2500)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에 과도한 힘이 소요될 수도 있다.The damping effect of the fifth damping portion 2500 may be increased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nding portion i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he bonding portions is increased. However,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nding portion of the fifth damping portion 2500 is excessively large or excessively large, even if the fifth damping portion 2500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Excessive force may be required.

즉, 제5댐핑부(2500)의 접착부위의 단면적이 과도하게 크거나 그 개수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제5댐핑부(2500)와 제1회로기판(600) 모두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제5댐핑부(2500)로 인해 제1회로기판(600)의 인장, 수축 기타 형태의 변형이 제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회로기판(600)의 변형에 과도함 힘이 소요될 수 있고, 이러한 과도한 힘은 결국 보빈(150)의 제1방향 이동에 투입되는 힘으로 충당되기 때문이다.That is, even if the fifth damping unit 2500 and the first circuit board 600 ar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dhesive portion of the fifth damping unit 2500 is excessively large or excessively large, The fifth damping portion 2500 may limit the tensile, shrinkage, or other deformat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and thus excessive force may be applied to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600, This excessive force is due to the force applied to the bobbin 150 in the first direction.

따라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5댐핑부(2500)의 접착부위의 단면적 및/또는 그 개수는 댐핑효과, 보빈(150)의 이동에 필요한 힘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하는 것이 타당하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6 and 17, the cross-sectional area and / or the number of the bonding portions of the fifth damping portion 2500 are appropriate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amping effect and the force required to move the bobbin 150 It is reasonable to choose.

한편, 상기 제1댐핑부(2100) 내지 제5댐핑부(2500)는 단독으로 또는 그 중 일부분들 또는 전체가 상기 렌즈 구동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amping unit 2100 to the fifth damping unit 2500 may be provided alone or in part or in whole of the lens driving apparatus.

실시예에서, 제1댐핑부(2100) 내지 제5댐핑부(2500)를 포함하는 상기 댐핑부는 오토 포커싱의 실행시 보빈(150)의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amping portion including the first damping portion 2100 to the fifth damping portion 2500 may attenuate the vibration of the bobbin 150 when the autofocusing is performed.

이로 인해, 실시예의 렌즈 구동장치가 오토 포커싱의 실행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기계공진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the lens driv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can prevent or suppress the occurrence of the mechanical resonance phenomenon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auto focusing is performed.

기계공진 현상의 발생 방지 또는 억제로 인해 상기 기계공진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의 각 부품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each component of the lens driving device due to the mechanical resonance due to prevention or suppression of the mechanical resonance phenomenon.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렌즈 구동장치는 다양한 분야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Meanwhile, the lens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 camera module.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can be applied to a mobile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보빈(150)과 결합되는 렌즈배럴,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배럴은 이미지 센서에 화상을 전달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ens barrel and an image sensor (not shown) coupled to the bobbin 150. At this time, the lens barrel may include at least one lens that transmits an image to the image sensor.

또한,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빛이 입사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cut filter (not shown). The infrared cut filter serves to block the infrared light from entering the image sensor.

이 경우, 도 2에 예시된 베이스(700)에서, 이미지 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홀더 부재는 베이스(70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base 700 illustrated in FIG. 2, an infrared cutoff filte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may be coupled to a holder member (not shown). Further, the holder member can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base 700.

베이스(700)에는 외부전원과의 통전을 위해 별도의 터미널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고, 표면 전극 등을 이용하여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ase 7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terminal member for energiz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 surface electrode or the like.

한편, 베이스(700)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 홀더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700)의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센서 홀더가 베이스(700)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ase 700 may function as a sensor holder for protecting the image sensor. In this case, a protrusion may be formed downwar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700. However, this is not essential, an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sensor holder may be disposed below the base 700 to perform its role.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While only a few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various other forms of implementation are possible.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mutually incompatible technologies, and may be implemented in a new embodiment through the same.

150: 보빈
180: 권선링
190: 제1코일
200: 커버부재
210: 요크
300: 변위감지부
310: 제2마그네트
320: 제1센서
500: 제1마그네트
600: 제1회로기판
610: 제2회로기판
700: 베이스
2100: 제1댐핑부
2200: 제2댐핑부
2300: 제3댐핑부
2400: 제4댐핑부
2500: 제5댐핑부
150: Bobbin
180: winding ring
190: first coil
200: cover member
210: York
300: Displacement sensing unit
310: second magnet
320: first sensor
500: first magnet
600: first circuit board
610: second circuit board
700: Base
2100: first damping portion
2200: second damping portion
2300: third damping portion
2400: fourth damping portion
2500: fifth damping portion

Claims (15)

상부에 중공형의 요크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구비되고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1코일;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제1코일과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회로기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 및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는 댐핑부
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A cover member having a hollow yok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cover member and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disposed outside the bobbin;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cover member so as to face the first coil;
A first circuit board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 second circuit board at least partially attached to the cover member, the second circuit board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nd a damping portion
And the lens driv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유연한 재질의 접착제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mping portio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성 재질로 형성되는 렌즈 구동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hesive is formed of an ultraviolet ray hardenabl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요크에 결합하는 제1댐핑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mping unit comprises:
And a first damping uni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yok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핑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복수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damping portion comprises:
And a plurality of lens unit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center of the cover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핑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렌즈 구동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damping portion comprises:
Wherein the cover member is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a center of the cov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커버부재 하부에 결합하는 제2댐핑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mping unit comprises:
And a second damping portion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memb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핑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2댐핑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second damping unit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second damping units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제3댐핑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mping unit includes a third damping uni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댐핑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3댐핑부는 상기 제1회로기판의 측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third damping unit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third damping units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일측이 상기 보빈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2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제4댐핑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mping unit includes a fourth damping unit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bobbin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댐핑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4댐핑부는 상기 제2회로기판의 표면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lurality of fourth damping portion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fourth damping portions i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long a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로기판 또는 상기 제2회로기판은 유연회로기판으로 구비되는 렌즈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ircuit board or the second circuit board is provided as a flexible circuit board.
상부에 중공형의 요크가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측에 구비되고 제1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제1코일;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제1코일과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
상기 보빈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회로기판;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 및
일측이 상기 커버부재에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제1회로기판에 결합하는 제5댐핑부
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
A cover member having a hollow yok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bobbin provided inside the cover member and movable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coil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cover member so as to face the first coil;
A first circuit board provided below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 second circuit board at least partially attached to the cover member, the second circuit board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nd a second damping porti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ver member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nd the lens driving device.
이미지 센서; 및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Image sensor; And
A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1.
KR1020150123410A 2015-09-01 2015-09-01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1700270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410A KR20170027018A (en) 2015-09-01 2015-09-01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410A KR20170027018A (en) 2015-09-01 2015-09-01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018A true KR20170027018A (en) 2017-03-09

Family

ID=5840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410A KR20170027018A (en) 2015-09-01 2015-09-01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01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592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2322840B1 (en) Lens driving unit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370739B1 (en) Lens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Terminal with Camera
US20240048038A1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160045382A (en) Lens moving apparatus
KR20110008478U (en) Base for Camera Module and Lens Actuator Having Thereof
KR20150007665A (en) Camera module
KR20230130593A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559023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US11215786B2 (en) Lens driving device
KR20220130660A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30106547A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1230063B1 (en) Voice coil motor
KR102344454B1 (en) Lens moving apparatus
KR102477308B1 (en)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1253846B1 (en) Voice coil motor
KR20170027018A (en)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444963B1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50084399A (en) Camera module
KR102344455B1 (en) Lens moving apparatus
JP6310237B2 (en) Lens drive device
KR20210134283A (en) Camera module
JP6192504B2 (en) Lens drive device
JP2015099277A (en) Lens driving device
JP2015099280A (en) Lens dr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