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0475A -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0475A
KR20230130475A KR1020220027738A KR20220027738A KR20230130475A KR 20230130475 A KR20230130475 A KR 20230130475A KR 1020220027738 A KR1020220027738 A KR 1020220027738A KR 20220027738 A KR20220027738 A KR 20220027738A KR 20230130475 A KR20230130475 A KR 20230130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secondary battery
unit
inspection device
protrud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상
김태희
정하용
이점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27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0475A/en
Publication of KR2023013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4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48Polarisation of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 타입의 이차전지의 외관을 검사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연장되는 테두리부가 구비된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검사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코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코너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유닛; 및 상기 수납부의 코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코너의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that inspects the appearance of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 stor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battery case provided with an edge extending from the storage unit, at least one devic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orner of the storage unit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corner. lighting unit; and at least one camera unit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orner of the storage unit to obtain a polarized image of the corner.

Description

이차전지 검사장치{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이차전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 타입의 이차전지의 외관을 검사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that inspects the appearance of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물질의 물리적 반응이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시켜 외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전지(cell, battery)는 각종 전기전자 기기로 둘러싸여 있는 생활환경에 따라, 건물로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획득하지 못할 경우나 직류전원이 필요할 경우 사용하게 된다.Batteries, which generate electrical energy through physical or chemical reactions of materials and supply power to the outside, may not be able to obtain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ied to the building, depending on the living environment surrounded by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It is used when direct current power is required.

이와 같은 전지 중에서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화학전지인 일차전지와 이차전지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일차전지는 건전지로 통칭되는 것으로 소모성 전지이다. 또한 이차전지는 전류와 물질 사이의 산화환원과정이 다수 반복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재충전식 전지로서, 전류에 의해 소재에 대한 환원반응이 수행되면 전원이 충전되고, 소재에 대한 산화반응이 수행되면 전원이 방전되는데, 이와 같은 충전-방전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전기가 생성되게 된다. 근래 시장에서는, 이차 전지 중에서도 부피가 작고 디자인의 자유도가 높은 파우치 타입의 이차전지가 각광받고 있다. Among such batteries, prim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chemical batteries that use chemical reactions, are generally used. Here, the primary battery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battery and is a consumable battery. 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rechargeable batteries manufactured using materials that can repeat multiple oxidation-reduction processes between current and materials. When a reduction reaction on materials is performed by current, the power is charged, and an oxidation reaction on materials is performed. When this occurs, the power is discharged, and electricity is generated as this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 is performed repeatedly. In the recent market, among secondary batteries,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which are small in volume and have high design freedom, are in the spotlight.

구체적으로 파우치 타입의 이차전지는,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12)에 전극조립체(11)가 수용되는 이차전지이다. 여기서 상기 전지 케이스(12)는,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극조립체(11)가 수납되는 수납부(12a)와 상기 수납부(12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12b)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Specifically,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s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11 is accommodated in a pouch-type battery case 12, as shown in FIGS. 1A to 1B. Here, the battery case 12, as shown in FIGS. 1A to 1B, generally includes an accommodating portion 12a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1 is stored, and an edge portion 12b extend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12a. ) has a structure that includes.

한편, 상기 수납부(12a)는 내부에 전극조립체(11)가 수납되므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지 케이스(12) 상에서 테두리부(12b)보다 돌출 형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내부 다층막이 연신되며 이에 테두리부(12b)보다 상대적으로 크랙(crack)이 발생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크랙은 응력이 집중되는 수납부(12a)의 코너(C)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종종 발생하며(도 2 참고), 이는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Meanwhile,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11 is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12a, as shown in FIG. 1B, the storage portion 12a protrudes beyond the edge portion 12b on the battery case 12, which causes the internal multilayer film to be stretched. As a result, cracks are relatively more likely to occur than the edge portion 12b. Such cracks often occur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orner C of the storage portion 12a where stress is concentrated (see FIG. 2), and this is a fatal problem that can cause product defects.

이에 파우치 타입의 이차전지 제조 시, 전지 케이스에 크랙 발생 유무를 확인하는 이차전지 외관 검사는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다만 종래에는 전지 케이스 크랙 발생에 대하여 검사자가 루페(loupe) 등의 확대경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전지 케이스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였으므로, 검사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검사자의 부하율 증가로 인하여 생산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검사 결과에 대한 검사 정보 데이터화의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Accordingly, when manufacturing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external inspec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to check for cracks in the battery case is essential. However, in the past, inspectors visually inspected battery case cracks using a magnifying glass such as a loupe to determine whether the battery case was defective.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decreased and the production rate in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the inspector's load. There was a problem with this being lowered. Additionally, difficulties arose in converting test information into data regarding test results.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chnolog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편광 이미지를 활용하여 전지 케이스의 외관 검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이차전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that can effectively inspect the appearance of the battery case using polarized images and database the inspection results. will be.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연장되는 테두리부가 구비된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검사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코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코너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유닛; 및 상기 수납부의 코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코너의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 storing an electrode assembly; And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battery case provided with an edge extending from the storage unit, at least one devic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orner of the storage unit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corner. lighting unit; and at least one camera unit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orner of the storage unit to obtain a polarized image of the corner.

상기 조명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수납부 코너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and the camera unit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orners of the storage unit.

상기 카메라 유닛은, 서로 다른 편광 방향을 가지는 복수개의 편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이미지는, 상기 복수개의 편광소자에 의해 서로 다른 편광 방향으로 편광된 광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camera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having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The polarized image may be formed by light polarized in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by the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상기 편광 방향은, 서로 40도 내지 50도의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olarization directions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ce of 40 to 50 degrees from each other.

서로 다른 상기 편광 방향은 각각 0도, 45도, 90도 및 135도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may be 0 degrees, 45 degrees, 90 degrees, and 135 degrees, respectively.

상기 조명 유닛은, 서로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너에 서로 다른 각도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hat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rradiate light at different angles to the corner.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상기 코너의 수평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면 조명부; 상기 수평면 조명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너의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면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may include at least one horizontal lighting unit that irradiates light to a horizontal surface of the corn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orizontal lighting unit to irradiate light to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상기 돌출면 조명부는, 상기 코너의 제1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제1 돌출면 조명부; 및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코너의 제2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제2 돌출면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that irradiates light to a first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and a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rotruding lighting unit to irradiate light to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조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The lighting un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평면 조명부 및 상기 제2 돌출면 조명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includes at least one firs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horizontal surface lighting part and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part; and at least one second support part that protrudes perpendicularly from the first support part and supports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상기 카메라 유닛은, 복수개의 편광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코너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includes a camera uni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and captures an image of the corner; And it may include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camera unit.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amera uni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각도에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부를 이용하여 코너 이미지의 조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편광 카메라를 활용하여 시인성이 높은 이미지를 선택하여 크랙 불량 검출에 유리한 이미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rove the illuminance of corner images by using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hat irradiate light at different angles, and by selecting images with high visibility by using a polarization camera, images that are advantageous for detecting crack defects can be quickly and easily creat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ing able to obtain it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은 손상이 발생한 코너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검사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화된 편광 이미지를 딥러닝 등의 학습 이미지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cquire images of damaged corners and create a database of inspection results, and to use the databased polarization images as learning images for deep learning, etc.

도 1a는, 일반적인 이차전지의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이차전지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이차전지에서 수납부 코너에 크랙이 발생한 모습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도 1a의 이차전지가 검사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차전지 검사장치를 통과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차전지 검사장치의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이차전지 검사장치에서 조명유닛 및 카메라 유닛의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카메라 유닛이 획득한 편광 이미지로서, 서로 다른 편광 방향을 가지는 복수의 편광 이미지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이차전지 검사장치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이차전지 검사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Figure 1a is a front view showing a typical secondary battery.
FIG. 1B is a side view showing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A as seen from the side.
FIG. 2 is an image showing a crack occurring at a corner of the storage por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A.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econdary battery of FIG. 1A passing through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nspec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of Figure 3 in more detail.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lighting unit and camera unit in the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of FIG. 4 in more detail.
6A to 6D. This is a polarized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unit according to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lurality of polarized images having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of Figure 7 as seen from the side.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 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or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omitted, and reference signs are added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n this regard, identical or similar reference sign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이차전지 검사장치(100)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100)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11)를 수납하는 수납부(12a); 및 상기 수납부(12a)로부터 연장되는 테두리부(12b)가 구비된 전지 케이스(12)를 포함하는 이차전지(10)를 검사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2a)의 코너(C)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코너(C)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유닛(110); 및 상기 수납부(12a)의 코너(C)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코너(C)의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유닛(120)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100)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2a) for storing an electrode assembly (11); In the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100) for inspecting a secondary battery (10) including a battery case (12) provided with an edge portion (12b) extending from the storage portion (12a), the storage portion (12a) At least one lighting unit 11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orner (C) and irradiates light to the corner (C); and at least one camera unit 120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C of the storage unit 12a to obtain a polarized image of the corner C. .

이때 상기 이차전지 검사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이송되는 이차전지(10)의 이송 경로에 마련되어 이차전지(10)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100 is provided in the transport path of the secondary battery 10 transported on a conveyor belt, as shown in FIG. 3, and can inspect the appear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10.

한편, 상기 조명 유닛(110)은 상기 수납부(12a)의 코너(C)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코너(C)에 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조명 유닛(110)은 상기 수납부(12a) 코너(C)의 개수에 대응되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lighting unit 11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C of the storage unit 12a and radiates light to the corner C,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ing unit 110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rners C of the storage unit 12a.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 유닛(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너(C)에 서로 다른 각도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부(111A, 111B, 111C)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the lighting uni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111A, 111B, and 111C that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rradiate light at different angles to the corner C. ) may include.

이때 상기 복수의 조명부(111A, 111B, 111C)들은 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며, 도 4에는 상기 복수의 조명부(111A, 111B, 111C)의 형성 위치가 보다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지지부(112)의 표현은 생략되었음에 유의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111A, 111B, and 111C may be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112. Howeve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ranch will be provided later, and note that the representation of the support part 112 is omitted in FIG. 4 so that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ing parts 111A, 111B, and 111C are revealed more clearly.

보다 상세하게 복수의 조명부(111A, 111B, 111C)는,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C)의 수평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면 조명부(111A); 및 상기 수평면 조명부(111A)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너(C)의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면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111A, 111B, and 111C include, as shown in FIGS. 4 and 5, at least one horizontal lighting unit 111A that radiates light to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rner C; and at least one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orizontal lighting unit 111A to irradiate light to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여기서 수평면 조명부(111A)는 상기 코너(C)의 수평면에 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코너(C)의 수평면은 상기 코너(C)에서 도 4 내지 도 5 기준 X-Y 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Here, the horizontal surface lighting unit 111A is a component that radiates light to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rner C,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Here,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rner C may be understood as a surface formed at the corner C parallel to the reference X-Y plane of FIGS. 4 and 5.

즉 상기 수평면 조명부(111A)는 상기 코너(C)의 수평면의 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너(C)의 수평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면 조명부(111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전지(10)를 기준으로 상측 및/또는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horizontal surface lighting unit 111A may irradiate light to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rner C in order to improve the illuminance of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rner C. In this case, the horizontal lighting unit 111A may be provided above and/or below the secondary battery 10, as shown in FIG. 4.

그리고 상기 돌출면 조명부는, 상기 수평면 조명부(111A)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너(C)의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The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orizontal lighting unit 111A to radiate light to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어, 상기 돌출면 조명부는, 상기 코너(C)의 제1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제1 돌출면 조명부(111B); 및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111B)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코너(C)의 제2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제2 돌출면 조명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B that irradiates light to a first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and a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C that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rotruding lighting unit 111B and irradiates light to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여기서 제1 돌출면 조명부(111B)는 상기 코너(C)의 제1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코너(C)의 제1 돌출면은 상기 코너(C)에서 도 4 내지 도 5 기준 X-Z 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B is a component that radiates light to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Here,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may be understood as a surface formed at the corner C parallel to the reference X-Z plane of FIGS. 4 and 5.

즉,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111B)는 상기 코너(C)의 제1 돌출면의 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너(C)의 제1 돌출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111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차전지(1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B may irradiate light to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in order to improve the illumination of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In this case,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B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ary battery 10 as shown in FIG. 4.

그리고, 상기 제2 돌출면 조명부(111C)는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111B)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코너(C)의 제2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코너(C)의 제2 돌출면은 상기 코너(C)에서 도 4 내지 도 5 기준, Y-Z 평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C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B to radiate light to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do. Here,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may be understood as a surface formed at the corner C parallel to the Y-Z plane based on FIGS. 4 and 5.

즉, 상기 제2 돌출면 조명부(111C)는 상기 코너(C)의 제2 돌출면의 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코너(C)의 제2 돌출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돌출면 조명부(111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1 돌출면 조명부(111B)와 약 90도의 각을 이루면서 상기 이차전지(1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C may irradiate light to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in order to improve the illumination of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C.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C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ary battery 10 while forming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protruding lighting unit 111B. .

한편, 상기 복수의 조명부(111A, 111B, 111C)들로 인하여 조도가 향상된 상기 수납부(12a)의 코너(C)는 상기 카메라 유닛(120)에 의하여 촬상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rner C of the storage unit 12a, where the illumination intensity is improved due to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111A, 111B, and 111C, can be imaged by the camera unit 120.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유닛(120)은 상기 수납부(12a)의 코너(C)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코너(C)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카메라 유닛(120)은 상기 수납부(12a) 코너(C)의 개수에 대응되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camera unit 12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C of the storage unit 12a to obtain an image of the corner C,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mera unit 120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orners C of the storage unit 12a.

특히, 상기 카메라 유닛(120)은, 상기 수납부(12a)의 코너(C)가 주름과 접힘 등으로 인해 난반사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서로 다른 편광 방향을 가지는 복수개의 편광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amera unit 120 has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to obtain a polarized image, considering that the corner C of the storage portion 12a may have severe diffuse reflection due to wrinkles and folds.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not shown).

이에 상기 카메라 유닛(120)은 상기 복수개의 편광소자에 의해 서로 다른 편광 방향으로 편광된 복수의 편광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편광 방향은 서로 다양한 각도 차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40도 내지 50도의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서로 다른 상기 편광 방향은 각각 0도, 45도, 90도 및 135도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amera unit 120 can acquire a plurality of polarized images polarized in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by the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At this time, the polarization directions may be formed at various angles, for example, at a difference of 40 to 50 degrees. In more detail, the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may be 0 degrees, 45 degrees, 90 degrees, and 135 degrees,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카메라 유닛(120)이 획득한 편광 이미지들은 메모리 장치 등으로 송신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이미지들은 크랙의 불량 위치와 형태를 학습시키기 위한 딥러닝(deep learning)의 학습 이미지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And the polarized images acquired by the camera unit 120 can be transmitted to a memory device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the databaseized images can be used as learning images for deep learning to learn the defective location and shape of cracks.

한편, 상기한 카메라 유닛(120)이 획득한 상기 수납부(12a) 코너(C)의 복수의 편광 이미지는 도 6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a는 0°로 편광된 방향의 이미지이며, 도 6b는 45°로 편광된 방향의 이미지이고, 도 6c는, 90°로 편광된 방향의 이미지이며, 도 6d는, 135°로 편광된 방향의 이미지이다. 이때 도 6a 내지 도 6d는 각각 동일한 코너(C)의 이미지이며, 편광 방향만 달리한 이미지임에 유의한다. Meanwhile, a plurality of polarized images of the corners C of the storage unit 12a obtained by the camera unit 120 can be confirmed in FIG. 6. Here, Figure 6a is an image in the direction polarized at 0°, Figure 6b is an image in the direction polarized at 45°, Figure 6c is an image in the direction polarized at 90°, and Figure 6d is an image in the direction polarized at 135°. It is an image of direction. At this time, note that FIGS. 6A to 6D are images of the same corner C, with only the polarization direction being different.

즉, 상기 도 6a 내지 도 6d를 살펴보면, 0° 및 45°로 편광된 방향의 이미지 보다, 90° 및 135°로 편광된 방향의 이미지에서 시인성이 보다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유닛(120)은 상기 복수개의 편광소자에 의해 서로 다른 편광 방향으로 편광된 복수의 편광 이미지를 획득함으로써 크랙 검출에 유리한 이미지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looking at FIGS. 6A to 6D, it can be seen that visibility is more improved in images polarized at 90° and 135° than in images polarized at 0° and 45°. Considering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amera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obtain images advantageous for crack detection by acquiring a plurality of polarized images polarized in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by the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there is.

한편, 이러한 카메라 유닛(120)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is camera unit 12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유닛(120)은, 복수개의 편광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코너(C)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카메라부(121); 및 상기 카메라부(121)를 지지하는 지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mera unit 120 includes a camera unit 121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and captures an image of the corner C; And it may include a support part 112 supporting the camera unit 121.

구체적으로 카메라부(121)는 복수개의 편광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코너(C)의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수납부(12a)의 코너(C)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카메라부(121)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Specifically, the camera unit 121 includes a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to acquire a polarized image of the corner C, and may be arranged to face the corner C of the storage unit 12a. Of course, the camera unit 12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12 to adjust the angle.

그리고 지지부(112)는 상기 카메라부(121)가 상기 수납부(12a)의 코너(C)를 마주보게 위치되도록 상기 카메라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지면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본체(130)로부터 상방향(도 8 기준 Z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2)는 상기 카메라부(121)와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부(121)를 직접 지지할 수도 있고,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3)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21)를 간접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다.And the support part 112 i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camera so that the camera part 121 is positioned facing the corner C of the storage part 12a, and is moved upward from the main body 130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It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Z direction (based on FIG. 8). This support part 112 may be combined with the camera unit 121 to directly support the camera unit 121, and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camera uni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camera unit 121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23. ) can also be indirectly supported.

한편, 전술한 조명유닛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조명부(111A, 111B, 111C)를 지지하는 지지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2)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ligh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ortion 112 supporting the plurality of lighting portions 111A, 111B, and 111C, as shown in FIGS. 7 to 8. And the support portion 112 may have various structures.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112)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면 조명부(111A) 및 상기 제2 돌출면 조명부(111C)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112A); 및 상기 제1 지지부(112A)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111B)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upport part 112 includes at least one first support part 112A that supports the horizontal surface lighting part 111A and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part 111C, as shown in FIGS. 7 and 8. ;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support part 112B that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first support part 112A and supports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part 111B.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112A)는 상기 수평면 조명부(111A) 및 상기 제2 돌출면 조명부(111C)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Here, the first support part 112A supports the horizontal lighting part 111A and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part 111C,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어 상기 제1 지지부(112A)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지지부(112A)는 지면에 접촉하게 마련되는 본체(130)로부터 상방향(도 8 기준 Z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portions 112A may be provided as a pair. Additionally, the pair of first support portions 112A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Z-direction based on FIG. 8) from the main body 130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112A) 사이에 상기 수평면 조명부(111A) 및 상기 제2 돌출면 조명부(111C)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면 조명부(111A) 및 상기 제2 돌출면 조명부(111C)의 양 단은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부(112A)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서는 상기 수평면 조명부(111A) 및 상기 제2 돌출면 조명부(111C)가 상기 제1 지지부(112A)에 가려지므로 점선으로 표시되었음에 유의한다. Specifically, the horizontal surface lighting unit 111A and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support parts 112A.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horizontal lighting unit 111A and the second protruding lighting unit 111C may be respectively fixed to the pair of first support units 112A. At this time, note that in FIG. 8 , the horizontal lighting unit 111A and the second protruding lighting unit 111C are displayed as dotted lines because they are covered by the first support unit 112A.

한편 상기 제2 지지부(112B)는 상기 제1 지지부(112A)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111B)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second support part 112B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first support part 112A and supports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part 111B,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예를 들어 상기 제2 지지부(112B)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지지부(112B)는 상기 제1 지지부(112A)로부터 적어도 일 방향(도 7 기준 Y와 나란한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portions 112B may be provided as a pair. Additionally, the pair of second support parts 112B may protrude from the first support part 112A in at least one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reference Y in FIG. 7 ).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지지부(112B) 사이에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11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111B)의 양 단은 한 쌍의 제2 지지부(112B)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B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second support units 112B.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B may be respectively fixed to a pair of second support units 112B.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implement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claims.

10: 이차전지
11: 전극조립체
12: 전지 케이스
12a: 수납부
12b: 테두리부
100: 이차전지 검사장치
110: 조명 유닛
111A: 수평면 조명부
111B: 제1 돌출면 조명부
111C: 제2 돌출면 조명부
112: 지지부
112A: 제1 지지부
112B: 제2 지지부
120: 카메라 유닛
121: 카메라부
122: 지지부
123: 연결부
130: 본체
C: 코너
10: Secondary battery
11: Electrode assembly
12: Battery case
12a: storage unit
12b: border part
100: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110: lighting unit
111A: Horizontal plane lighting unit
111B: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1C: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112: support part
112A: first support
112B: second support
120: Camera unit
121: Camera unit
122: support part
123: connection part
130: main body
C: corner

Claims (11)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로부터 연장되는 테두리부가 구비된 전지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를 검사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코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코너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 유닛; 및
상기 수납부의 코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코너의 편광 이미지를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유닛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A storage portion that stores the electrode assembly; In the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battery case provided with an edge portion extending from the storage portion,
at least one lighting unit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orner of the storage unit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corner; and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camera unit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corner of the storage unit and acquiring a polarized image of the cor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 및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수납부 코너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In claim 1,
The lighting unit and the camera unit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corners of the storage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서로 다른 편광 방향을 가지는 복수개의 편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이미지는, 상기 복수개의 편광소자에 의해 서로 다른 편광 방향으로 편광된 광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In claim 1,
The camera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having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The polarized image is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formed by light polarized in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by the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편광 방향은, 서로 40도 내지 50도의 차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In claim 3,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in which the polarization directions are formed to have a difference of 40 to 50 degrees from each other.
청구항 3에 있어서,
서로 다른 상기 편광 방향은 각각 0도, 45도, 90도 및 135도로 형성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In claim 3,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in which the different polarization directions are formed at 0 degrees, 45 degrees, 90 degrees, and 135 degrees, respective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서로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너에 서로 다른 각도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In claim 1,
The lighting unit is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ing units that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rradiate light at different angles to the corn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부는,
상기 코너의 수평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면 조명부; 및
상기 수평면 조명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상기 코너의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면 조명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In claim 6,
The plurality of lighting units,
at least one horizontal lighting unit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horizontal surface of the corner; and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horizontal lighting unit and irradiating light to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돌출면 조명부는,
상기 코너의 제1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제1 돌출면 조명부; 및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코너의 제2 돌출면에 광을 조사하는 제2 돌출면 조명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In claim 7,
The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a first protruding surface illumination unit that radiates light to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of the corner; and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comprising a second protruding surface illumination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unit and irradiating light to a second protruding surface of a corn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복수의 조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평면 조명부 및 상기 제2 돌출면 조명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며 상기 제1 돌출면 조명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In claim 8,
The lighting unit is,
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part supporting the plurality of lighting parts;
The support part,
at least one firs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horizontal surface lighting part and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lighting part; and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support part that protrudes vertically from the first support part and supports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lighting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유닛은,
복수개의 편광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코너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In claim 1,
The camera unit is,
a camera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polarizing elements to capture an image of the corner; and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including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camera por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차전지 검사장치.
In claim 10,
A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in which the camera un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unit.
KR1020220027738A 2022-03-03 2022-03-03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KR202301304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738A KR20230130475A (en) 2022-03-03 2022-03-03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738A KR20230130475A (en) 2022-03-03 2022-03-03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475A true KR20230130475A (en) 2023-09-12

Family

ID=8801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738A KR20230130475A (en) 2022-03-03 2022-03-03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04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201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alignment of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inspecting electrode assembly using the same
JP4955792B2 (en) Electronic component operation function measur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omponent operation function measuring method
JP6570977B2 (en) Surface inspection apparatus and surface inspection method
KR102003729B1 (en) Inspection apparatus
CN110261755B (en) Probe card, detection device and wafer detection method
JP2013181832A (en) Device for inspecting edge surface of laminated sheet material
US11835468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air void at lead film of battery
KR101030450B1 (en) Metal inspecting apparatus of cylinder type rechargeable battery
KR20230130475A (en) Secondary battery inspection device
CN206990465U (en) The defects of liquid crystal panel detection means
TW201423089A (en) Inspection device
CN1146513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TWI360854B (en) Carrier wafer position device and examination meth
KR101590455B1 (en) Lens surfaces inspection apparatus, lens center inspection apparatus, lens particle inspection apparatus and lens inspection system having the same
KR20170093377A (en) Device for Welding Electrode Tabs Comprising Vision Inspection Part
JP6331809B2 (en)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device
KR1023318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secondary battery
KR20230016911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KR20130022126A (en) Probe unit and apparatus for tes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including the same
KR20230065081A (en) Battery inspection apparatus and battery inspection system
JPWO2013132638A1 (en)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H1196981A (en) Visual inspection method of battery and inspecting device
JP2001283935A (en) Inspection method of battery sealing structured and battery-sealing structure inspection device
KR20240042820A (en) Detecting Device of Electrode Assembly And De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US8519458B2 (en) Light-emitting eleme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