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717A -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717A
KR20230129717A KR1020220026657A KR20220026657A KR20230129717A KR 20230129717 A KR20230129717 A KR 20230129717A KR 1020220026657 A KR1020220026657 A KR 1020220026657A KR 20220026657 A KR20220026657 A KR 20220026657A KR 20230129717 A KR20230129717 A KR 20230129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seat belt
buckle
tongu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효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바산업
Priority to KR1020220026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9717A/ko
Publication of KR2023012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8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fastening by superposing one part on top of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벨트의 텅부와 버클부의 결합을 자력으로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안전벨트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는 웨빙에 고정되거나 웨빙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일측에 래치가 돌출된 텅부와, 래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의 안쪽에 래치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잠금부가 형성된 콜릿을 구비한 버클부를 포함하며, 래치와 버클부 중 어느 한 쪽에는 자석이 고정되고, 다른 한 쪽에는 자석 또는 자성체가 고정되어 래치와 관통공이 대응하면 자석의 자력에 의해 래치가 콜릿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Seat belt}
본 발명은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벨트의 텅부와 버클부의 결합을 자력으로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안전벨트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착석자가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벨트(Seat belt)를 착용한다.
차량에 장착된 안전벨트의 경우, 차량에 고정된 웨빙에 텅부가 연결되고, 시트의 측부에 고정된 버클부에 텅부를 체결함에 따라 웨빙이 착석자를 감쌈으로써, 충격에도 착석자가 시트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벨트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1)는 웨빙(10), 웨빙(10)의 단부에 고정되거나 웨빙(10)을 따라 이동하도록 장착된 텅부(20), 시트의 측부에 고정된 버클부(30)를 포함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텅부(20)를 버클부(30)에 체결함으로써, 웨빙(10)이 착석자의 가슴 및 골반 전방을 감싸 충격에 의해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벨트(1)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텅부(20)에 형성된 삽입부(21)를 버클부(30)의 슬롯(31)에 삽입하면, 버클부(30)에 내장된 래치(미도시)가 삽입부(21)에 형성된 홈(23)에 잠금되어 텅부(20)의 삽입부(21)가 버클부(30)에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함으로써, 안전벨트(1)의 텅부(20)와 버클부(30)가 결합된다.
안전벨트(1)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버클부(30)에 형성된 버튼(33)을 누르면 래치가 삽입부(21)의 홈(23)에서 인출되어 잠금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버클부(30)에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텅부(20)의 삽입부(21)가 슬롯(31) 밖으로 인출되면서 안전벨트(1)가 풀리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안전벨트를 착용할 경우, 착석자는 텅부를 파지하고, 텅부를 버클부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텅부의 삽입부와 버클부의 슬롯을 정렬한 상태에서 삽입부를 슬롯에 삽입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주행 중에는 차량의 진동이 발생하고 차량의 가속 또는 제동 등의 주행 조건에 따라 탑승자가 텅부의 삽입부를 버클부의 슬롯에 삽입시킴에 있어 어려움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클부의 슬롯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슬롯이 박힐 경우에는 텅부의 삽입부를 버클부의 슬롯에 삽입할 수 없어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8927호(공개일자 2021년03월15일) US 10,111,499(2018.10.30.)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안전벨트의 텅부와 버클부의 결합을 자력으로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안전벨트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는 웨빙에 고정되거나 웨빙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일측에 래치가 돌출된 텅부와, 래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의 안쪽에 래치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잠금부가 형성된 콜릿을 구비한 버클부를 포함하며, 래치와 버클부 중 어느 한 쪽에는 자석이 고정되고, 다른 한 쪽에는 자석 또는 자성체가 고정되어 래치와 관통공이 대응하면 자석의 자력에 의해 래치가 콜릿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는 텅부의 래치를 버클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의 근처에 위치하면 래치에 수용된 자석과 콜릿에 장착된 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이끌려 래치가 버클부의 콜릿까지 진입하여 잠금하기 이전단계까지 완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는 종래의 안전벨트에 비해 착용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서 자력이 클 경우에는 잠금단계까지 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안전벨트는 텅부에 래치가 형성되고 버클부에는 래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버클부의 슬롯에 이물질이 끼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한 구조이다. 설령 버클부의 관통공에 이물질이 끼더라도 관통공이 종래의 버클부의 슬롯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있어 이물질 제거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벨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텅부의 래치에 장착된 자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버클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텅부가 버클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안전벨트는 차량의 시트, 놀이기구의 시트, 유모차 등에 안전을 위해 장착되는 장치이며, 아래에서는 차량에 장착된 안전벨트를 대표하여 설명하고 있을 뿐 본 발명의 안전벨트의 기술적 범주를 차량용 안전벨트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텅부의 래치에 장착된 자석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버클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텅부가 버클부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100)는 텅부(110)와 버클부(120)로 구분되며, 텅부(110)를 버클부(120)에 장착하여 잠금하고, 웨빙(101)이 착석자의 가슴 또는 골반을 약간 조일 정도로 웨빙(101)의 길이를 조절하면 안전벨트(100)의 착용이 완료된다. 반대로 안전벨트(100)를 풀기 위해서는 버클부(120)의 버튼(123)을 누르면 텅부(110)와 버클부(120)의 장착이 해제되면서 착석자는 시트 밖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벨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텅부(110)에는 장공(117)이 일측에 형성되고, 웨빙(101)이 텅부(110)의 장공(117)을 관통해 위치한다. 웨빙(101)의 끝단은 차량에 고정되며 텅부(110)가 버클부(120)에 잠금된 상태에서 웨빙(101)의 길이를 조절하면 웨빙(101)이 긴장되면서 착석자의 가슴 또는 골반 쪽을 가압한다.
텅부(110)의 타측에는 래치(111)가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11)의 끝단 원주면을 따라 걸림홈(113)이 형성되며 래치(111)의 안쪽에는 자석(115)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래치(111)의 끝단에는 원주를 따라 모따기 구조의 경사면(111S)이 형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부(120)는 버클 본체(121)를 감싸는 하우징(122)과, 버클 본체(121)의 내부에 장착되며 텅부(110)의 래치(111)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콜릿(130)과, 래치(111)와 콜릿(130)의 잠금 해제를 위해 콜릿(130)을 가압하는 버튼(123)과, 콜릿(130)에 고정되어 자력으로 래치(111)와 콜릿(130)의 결합을 안내하는 자석(127), 그리고 래치(111)와 콜릿(130)의 잠금에 따른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128)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버클부(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버클 본체(121)에는 텅부(110)의 래치(111)가 삽입되는 관통공(121H)이 형성되며, 버클 본체(121)를 감싸는 하우징(122) 또한 래치(111)가 삽입되는 관통공(122H)이 버클 본체(121)의 관통공(121H)과 대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버클 본체(121)에는 콜릿(130)이 위치하며 콜릿(130)의 상부에는 버튼(123)이 위치한다.
콜릿(130)은 관통공(121H, 122H)을 통해 삽입된 래치(111)를 양측에서 감싸도록 잠금부(131)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며, 잠금부(131)에는 래치(111)의 삽입방향으로 경사면(131S)이 형성되어 래치(111)가 잠금부(131)의 안쪽으로 삽입됨에 있어 래치(111)의 경사면(111S)과 잠금부(131)의 경사면(131S)이 접하면서 래치(111)의 삽입방향을 안내한다.
대칭되게 위치한 잠금부(131)의 경사면(131S)과 래치(111)의 경사면(111S)이 접하면서 래치(111)가 잠금부(131)의 안쪽으로 진입하면, 대칭되게 위치한 잠금부(131)의 그 상단은 개방된 구조로서 래치(111)가 삽입됨에 따라 양측 잠금부(131)는 벌어지게 되고, 래치(111)가 양측 잠금부(131)의 사이로 완전하게 삽입되면 래치(111)의 걸림홈(113)에 잠금부(131)의 걸림턱(133)이 삽입되어 래치(111)는 잠금된다.
한편, 콜릿(130)의 상부에 위치한 버튼(123)은 버클 본체(121)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버튼(123)이 하향으로 이동하면 콜릿(130)의 상단을 가압하게 되고, 콜릿(130)은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래치를 잠금하고 있는 잠금부(131)가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착석자가 안전벨트(100)를 풀기 위해서는 버튼(123)을 누르면 버튼(123)이 하향으로 이동하여 잠금부(131)를 벌리면서 잠금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텅부(110)를 버클부(120)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면 래치(111)가 잠금부(131)에서 완전히 이탈하면서 잠금 해제된다.
콜릿(130)에는 신호발생부(128)가 장착된다. 래치(111)가 잠금부(131)에 완전히 삽입되면 래치(111)는 콜릿(130)에 장착된 니플(128N)을 가압하게 되고, 니플(128N)은 PCB에 장착된 스위치(128S)를 누르게 되면서 전기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전기 신호는 안전벨트(100)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로서 안전벨트(100)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이 이루어질 경우 경고메시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100)의 버클부(12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릿(130)의 안쪽에는 완전히 삽입된 래치(111)의 끝단과 대응하는 격벽(125)이 형성되며, 격벽(125)과 니플(128N)의 사이에는 자석(127)이 위치한다. 여기에서 자석(127)은 환형 구조이고, 격벽(125)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니플(128N)의 중심축이 자석(127)의 중심과 격벽(125)의 관통공을 통해 래치(111) 쪽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래치(111)가 잠금부(131)에 잠금된 상태가 되면 래치(111)의 끝단이 니플(128N)을 가압하게 되고, 그로 인해 안전벨트(100)의 잠금상태를 알리는 전기적신호가 신호발생부(128)에서 발생한다.
한편 텅부(110)의 래치(111)가 하우징(122)의 관통공(122H)에 위치할 경우 래치(111)에 수용된 자석(115)과 콜릿(130)에 장착된 자석(127) 사이에 인력이 발생하게 되고, 래치(111)는 인력에 이끌려 하우징(122)의 관통공(122H)과 버클 본체(121)의 관통공(121H)을 통과한 후 콜릿(130)의 잠금부(131) 안쪽으로 삽입되어 잠금 위치에 정렬된 상태가 된다. 이때 착석자가 텅부(110)를 버클부(120) 쪽으로 밀어 넣으면 래치(111)가 잠금부(131) 사이로 진입해 들어가면서 래치(111)의 걸림홈(113)에 잠금부(131)의 걸림턱(133)이 삽입되어 잠금된다. 여기에서 자석(115, 127)의 자력이 잠금부(131)의 탄성보다 클 경우에는 자력에 의해 래치(111)가 잠금부(131)로 진입하여 잠금될 수도 있다.
한편 버클부(120)의 내부에는 콜릿(130)을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스프링(129)이 내장되어 착석자가 버튼(123)을 가압하여 잠금 해제된 상태에서 버튼(123)을 놓으면 스프링(129)의 탄성에 의해 버튼(123)은 상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탑승자가 차량의 진동 또는 차량의 운전상태 즉 가속 또는 감속 등의 조건에서 텅부(20)의 삽입부(21)를 버클부(30)의 슬롯(31)에 정렬하고 삽입시켜야 착용이 완료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100)는 텅부(110)의 래치(111)를 버클 하우징(122)에 형성된 관통공(122H)의 근처에 위치하면 래치(111)에 수용된 자석(115)과 콜릿(130)에 장착된 자석(127)의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에 이끌려 래치(111)가 버클부(120)의 콜릿(130)까지 진입하여 잠금하기 이전단계인 정렬단계까지 자연스럽게 안내한다. 이후 착석자가 힘을 주어 텅부(110)를 버클부(120) 쪽으로 밀게 되면 래치(111)가 잠금부(131)에 잠금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100)는 종래의 안전벨트에 비해 착용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100)는 텅부(110)에 래치(111)가 형성되고 버클부(120)에는 래치(111)가 삽입되는 관통공(121H, 122H)이 형성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버클부에 슬롯에 이물질이 끼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한 구조이다. 설령 버클부(120)의 관통공(121H, 122H)에 이물질이 끼더라도 관통공(121H, 122H)이 종래의 버클부(30)의 슬롯(31)보다 넓은 면적을 갖고 있어 이물질 제거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앞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텅부(110)와 버클부(120)에 자석(115, 127)이 각각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이며, 텅부(110)와 버클부(120) 중 어느 한 쪽에만 자석을 고정하고 다른 한 쪽에는 철판 등과 같은 강자성체를 위치하여 자석에 의해 강자성체가 자화되어 인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자성의 자성 크기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는 예로서, 이와 같은 구성의 교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 포함될 것이다.
100 : 안전벨트
101 : 웨빙
110 : 텅부
111 : 래치
111S, 131S : 경사면
113 : 걸림홈
115 : 자석
117 : 장공
120 : 버클부
121 : 버클 본체
121H, 122H : 관통공
122 : 하우징
123 : 버큰
125 : 격벽
127 : 자석
128 : 신호발생부
128S : 스위치
128N : 니플
129 : 스프링
130 : 콜릿
131 : 잠금부
133 : 걸림턱

Claims (1)

  1. 웨빙에 고정되거나 웨빙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일측에 래치가 돌출된 텅부와,
    래치가 삽입되는 관통공의 안쪽에 래치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잠금부가 형성된 콜릿을 구비한 버클부를 포함하며,
    래치와 버클부 중 어느 한 쪽에는 자석이 고정되고, 다른 한 쪽에는 자석 또는 자성체가 고정되어 래치와 관통공이 대응하면 자석의 자력에 의해 래치가 콜릿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KR1020220026657A 2022-03-02 2022-03-02 안전벨트 KR20230129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657A KR20230129717A (ko) 2022-03-02 2022-03-02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657A KR20230129717A (ko) 2022-03-02 2022-03-02 안전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717A true KR20230129717A (ko) 2023-09-11

Family

ID=8802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657A KR20230129717A (ko) 2022-03-02 2022-03-02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971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1499B2 (en) 2015-02-04 2018-10-30 Fidlock Gmbh Buckle assembly for a belt strap
KR20210028927A (ko) 2019-09-05 2021-03-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벨트 풀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1499B2 (en) 2015-02-04 2018-10-30 Fidlock Gmbh Buckle assembly for a belt strap
KR20210028927A (ko) 2019-09-05 2021-03-15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벨트 풀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091B1 (en) Latch sensing seat belt buckle
US10357083B2 (en) Buckle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with child seats and other restraint systems
EP0861763B1 (en) Seat belt buckle with hall effect locking indicator and method of use
US6389661B1 (en) Latch sensing seatbelt buckle
US6205629B1 (en) Latch sensing seatbelt buckle
SE8903158L (sv) Baelteslaas med massutjaemning
US5233732A (en) Seat belt buckle
US6431652B1 (en) Seat belt restraint lock for children
US6175304B1 (en) Latch sensing seatbelt buckle
JP2020011717A (ja) ウェビング高さ調節装置
US11771181B2 (en) Buckle assembly
US5218744A (en) Magnet-inclusive component suitable for use in occupant-protecting means for motor vehicle
KR20230129717A (ko) 안전벨트
CN108501860B (zh) 带扣装置
EP1075803B1 (en) Seat belt buckle with a shield blocking a tongue receiving opening
EP1547484B1 (en) Tongue for a child restraint system and child restraint system
US5784766A (en) Buckle mechanism
KR100736463B1 (ko) 시트벨트 위치 조절장치
JP3886087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6385823B1 (en) Buckle with noise prevention mechanism
US10709209B2 (en) Closure device
EP4090560A1 (en) Belt buckle for a safety belt in a child restraint system
KR100463996B1 (ko) 차량용 리어 시트벨트의 텅 고정구조
JP3207871U (ja) チャイルドシート用の超簡単ベルト通し
SU1667825A1 (ru) Замок дл ремн безопасност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