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031A -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031A
KR20230129031A KR1020237026478A KR20237026478A KR20230129031A KR 20230129031 A KR20230129031 A KR 20230129031A KR 1020237026478 A KR1020237026478 A KR 1020237026478A KR 20237026478 A KR20237026478 A KR 20237026478A KR 20230129031 A KR20230129031 A KR 20230129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creen
displayed
work
work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로 요시다
게이치로 나카무라
신이치 사사자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03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표시의 선명도가 확보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하면서도,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메모리의 용량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를 제공한다. 작업 시에 사용되는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 및 메인터넌스 시에 사용되는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402)을 표시하는 모니터(4)와, 모니터(4)의 표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6)를 구비한 유압 셔블(1)에 있어서, 컨트롤러(6)는,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에 표시되는 제 1 화상 데이터와,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402)에 표시되는 제 2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제 2 화상 데이터는,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과 다른 품질로 설정된 고유 화상 데이터(X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 기계
본 발명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운전실 내에 마련된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 등의 작업 기계의 운전실에는, 작업 기계의 가동(稼動) 상황 등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리기 위하여,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는, 연료의 잔량이나 냉각수의 온도, 작업 장치의 자세 등의 기본 정보 외, 고장 진단이나 주위 감시와 같은 기능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다종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나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가 필요하게 되어, 이들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용량이 압박되기 쉽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배경과의 경계가 되는 윤곽부와, 윤곽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본체부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본체부의 색을 화면의 배경색과 동일 또는 유사로 하고, 윤곽부의 색을 화면의 배경색과 다른 색으로 함으로써, 메모리의 용량의 절감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작업 기계의 표시 장치에서는, 작업 기계의 차체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 제어장치와, 차체 기본 정보보다 사용 빈도가 낮은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한정된 메모리의 용량 중에서 표시의 다기능화에 대응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제5548880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00251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서는, 윤곽부를 가지는 화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윤곽부를 가지지 않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화면의 배경색에 따른 색의 화상 데이터를 각각 작성하게 되어,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표시 장치의 경우, 2개의 표시 제어장치를 실장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비용의 증가에 연결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의 선명도가 확보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하면서도,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메모리의 용량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업 시에 사용되는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 및 메인터넌스 시에 사용되는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제 1 화상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제 2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는,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과 다른 품질로 설정된 고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에 대하여 선명도가 확보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면서도,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메모리의 용량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유압 셔블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외관 측면도이다.
도 2는 모니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작업 모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비스 모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작업 기계의 일 양태로서,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압 셔블(1)의 전체 구성>
우선, 유압 셔블(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유압 셔블(1)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외관 측면도이다.
유압 셔블(1)은, 자주(自走) 가능한 크롤러식의 주행체(11)와, 주행체(11)의 상방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된 선회체(12)와, 선회체(12)의 전부(前部)에 장착되어서 굴삭이나 정지(整地)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 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체(11)는,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크롤러(110)를 좌우에 구비하고, 한 쌍의 주행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에 의해 한 쌍의 크롤러(110)를 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회전시켜서 차체를 이동시킨다. 한 쌍의 주행 모터는, 좌우 각각의 크롤러(110)에 대응하여 주행체(11)의 좌우에 탑재되며, 서로 독립하여 구동함으로써 좌우의 크롤러(110)를 각각 독립하여 정역(正逆)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110) 중, 좌측의 크롤러(110)만을 나타내고 있다.
선회체(12)는, 베이스가 되는 선회 프레임(21)과,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운전실(22)과, 유압 셔블(1)이 경도(傾倒)하지 않도록 작업 장치(13)와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카운터 웨이트(23)와, 유압 셔블(1)을 구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기류를 내부에 수용하는 기계실(24)을 구비한다.
선회 프레임(21) 상에 있어서, 운전실(22)은 전부 좌측에, 카운터 웨이트(23)는 후단부에, 기계실(24)은 운전실(22)과 카운터 웨이트(23)의 사이에, 각각 재치되어 있다. 운전실(22)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22A)과, 운전석(22A)의 전방에 배치되어서 유압 셔블(1)의 가동 상황 등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의 모니터(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운전석(22A) 및 모니터(4)를 각각,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작업 장치(13)는, 기단부(基端部)가 선회 프레임(21)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붐(31)과, 붐(31)을 구동하는 붐 실린더(31A)와, 붐(31)의 선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32)과, 아암(32)을 구동하는 아암 실린더(32A)와, 아암(32)의 선단부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버킷(33)과, 버킷(33)을 구동하는 버킷 실린더(33A)를 구비한다.
붐 실린더(31A)는, 선회 프레임(21)과 붐(31)을 연결하며, 로드가 신축함으로써 붐(31)을 선회체(12)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부앙(俯仰))시킨다. 아암 실린더(32A)는, 붐(31)과 아암(32)을 연결하며, 로드가 신축함으로써 아암(32)을 붐(3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버킷 실린더(33A)는, 아암(32)과 버킷(33)을 연결하며, 로드가 신축함으로써 버킷(33)을 아암(32)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버킷(33)은, 토사 등의 짐을 퍼올려서 소정의 위치에 짐을 내리는 것이다. 또한, 이 버킷(33)은, 예를 들면, 목재나 암석, 폐기물 등을 움켜 쥐는 그래플이나, 암반을 굴삭하는 브레이커와 같은 각종의 어태치먼트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유압 셔블(1)은, 작업 내용에 적합한 어태치먼트를 이용하여, 굴삭이나 파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모니터(4)의 구성>
다음으로, 모니터(4)의 구성에 대하여,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모니터(4)의 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의 천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작업 모드 화면(401)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서비스 모드 화면(40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모니터(4)는, 연료의 잔량, 냉각수의 온도, 작업 장치의 자세. 및 각 센서값 등의 유압 셔블(1)과 관련되는 기본 정보, 및,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기기류나 시스템의 고장 진단이나 유압 셔블(1)의 주위 감시와 같은 기능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유압 셔블(1)의 상태를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통지한다.
모니터(4)는, 각종 정보가 나타내어진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41)와, 화면의 전환이나 각종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부(42)를 구비한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모니터(4)는, 터치 패널식에 있어서, 표시부(41)의 기능을 가지는 액정 패널과 조작부(42)의 기능을 가지는 터치패드가 조합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표시부(41)에 표시된 화면 중, 「에어컨」, 「오디오」, 「어태치먼트」, 「크레인」, 「세팅」, 「디스플레이」, 및 「인포메이션」이라고 표시된 각 영역이 조작부(42)도 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퍼레이터가, 예를 들면 「오디오」라고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면, 표시부(41)가 음량을 조정하기 위한 음량 조정 화면으로 전환되고, 이어서, 오퍼레이터가 음량 조정 화면에서 음량의 대소의 아이콘 등을 터치함으로써, 음량이 조정된다.
또한, 모니터(4)는, 반드시 터치 패널식일 필요는 없으며, 표시부(41)와 조작부(42)가 다른 하드 구성으로 하여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표시부(41)의 좌우측이나 상하측에 조작부(42)로서 복수의 조작 버튼 등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니터(4)의 표시부(41)에는, 크게 나누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유압 셔블(1)을 조작할 때(작업 시)에 사용되는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과, 서비스맨에 의해 유압 셔블(1)의 메인터넌스 시(서비스 시)에 사용되는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402)이 표시된다.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은, 오퍼레이터가 유압 셔블(1)을 조작할 때(작업할 때)에 필요한 화면이다. 한편,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402)은, 서비스맨이 유압 셔블(1)의 조정 작업(메인터넌스)을 행할 시(서비스 시)에 필요한 화면에 있어서, 오퍼레이터는 통상 사용하지 않는 화면이다.
우선, 모니터(4)의 전원을 OFF의 상태에서 ON의 상태로 하면, 표시부(41)에는,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 중 하나인 기본 화면이 표시된다. 기본 화면에는, 「에어리어 컨트롤」, 「어태치먼트」,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세팅」, 및 「서비스」 등의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도 3은, 작업 모드 화면(401)으로서의 기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기본 화면에 있어서 「어태치먼트」라고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표시부(41)에는, 어태치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기본 화면에 있어서 「인포메이션」이라고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표시부(41)에는, 「모니터링」 등의 정보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기본 화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라고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표시부(41)에는, 「날짜와 시각」, 「밝기 조정」, 및 「Language/언어」 등의 설정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기본 화면에 있어서 「세팅」이라고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표시부(41)에는, 어태치먼트 명칭을 입력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명칭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어태치먼트 명칭 입력 화면에 있어서 어태치먼트 명칭을 입력하면, 표시부(41)에는, 입력된 어태치먼트 명칭에 대응한 어태치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기본 화면에 있어서 「서비스」라고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표시부(41)에는, 「모니터링」 및 「어태치먼트 설정」 등의 서비스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서비스 메뉴 화면에 있어서 「어태치먼트 설정」이라고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어태치먼트를 선택하기 위한 어태치먼트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기본 화면에 있어서 「서비스」를 선택하면 서비스 모드 화면(402)(도 4에 일례를 나타낸다)으로 천이하고, 기본 화면에 있어서 「서비스」 이외의 각 메뉴를 선택하면 작업 모드 화면(401)(도 3에 일례를 나타낸다)으로 천이한다.
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의 천이는, 컨트롤러(6)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즉, 컨트롤러(6)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부(42)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41)에 대하여 출력하는 화면 및 화상 데이터를 제어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 및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402)의 각각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에는, 예를 들면 「어태치먼트」나 「세팅」과 같은 문자 데이터와, 아이콘 등의 그림 데이터가 포함된다.
컨트롤러(6)는,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제 1 화상 데이터로서,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402)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를 제 2 화상 데이터로서, 메모리(후술하는 기억부(64))에 각각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도 3과 도 4를 비교하면, 작업 모드 화면(401)의 하방 위치에 표시된 「인포메이션」이라고 하는 문자가, 서비스 모드 화면(402)의 상방 위치에도 표시되어 있다. 이처럼, 제 2 화상 데이터는,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402)에만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인 고유 화상 데이터(X1)(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의 「레귤레이터 신호」, 「연료계」, 및 「엔진 이상 스위치」 등의 문자 데이터) 외에,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 중 적어도 어느 것의 화면에도 표시되는 공통 화상 데이터(X2)를 포함한다.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은, 통상, 오퍼레이터가 사용하는 화면이므로,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에 표시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는, 표시의 선명도가 확보된 품질이 높은 것인 쪽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 화상 데이터 중, 서비스맨이 사용하는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402)에만 표시되는 고유 화상 데이터(X1)는,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보다도 낮은 품질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해상도의 저하, 인터레이스, 및 안티 에일리어스 처리를 없음으로 하는 것 등에 의해, 고유 화상 데이터(X1)의 품질을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보다도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고유 화상 데이터(X1)에 대하여, 해상도의 저하, 인터레이스, 및 안티 에일리어스 처리를 없음으로 하는 것의 모두를 행하여 품질을 저하시켜도 되고, 어느 하나의 수법에 의해 품질을 저하시켜도 된다.
또한, 「해상도」는, 모니터(4)의 화면 상에서의 종방향 또는 횡방향의 화소수를 의미한다. 「인터레이스」는, 주사선을 1개 간격으로 전송하고, 1매의 화상을 2회로 나누어서 표시시키는 방식의 것을 의미한다. 「안티 에일리어스 처리」는, 곡선이나 경사진 선에 생기는 들쭉날쭉을 억제하는 처리에 있어서, 경계선의 주위에 중간색을 배합하는 처리를 가리킨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높은 품질의 화상」이란, 선명도가 확보된 해상도가 높은 화상이거나, 인터레이스나 안티 에일리어스 처리를 행한 화상을 의미한다.
이처럼, 고유 화상 데이터(X1)의 품질을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보다도 낮게 설정함으로써, 컨트롤러(6)의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기 위한 메모리와 제 2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기 위한 메모리를 각각 준비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컨트롤러(6)의 메모리의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 화상 데이터 중 공통 화상 데이터(X2)에 대해서는,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과 같은 품질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6)는, 작업 모드 화면(401) 및 서비스 모드 화면(402)의 양방에 표시되는 동일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저품질인 것 및 고품질인 것의 2개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에 기억하여 둘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유압 셔블(1)에서는, 예를 들면, 작업 장치(13)의 작동 영역을 제한하는 영역 제한 기능(도 2에 나타내는 에어리어 컨트롤)이나 기초 공사에 이용되는 옵션 기능 등, 다른 작업 기계와 비교하여 다종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 모니터(4)에 표시되는 정보량이 많기 때문에, 컨트롤러(6)의 메모리의 용량이 압박되기 쉽다. 그 때문에, 미리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메모리의 용량 삭감을 도모해 두는 것에 의해, 다종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경우여도 메모리를 개조하는 일 없이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6)의 구성 및 컨트롤러(6) 내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6)가 가지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6)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컨트롤러(6)는, CPU, RAM, ROM, 입력 I/F, 및 출력 I/F가 버스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되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모니터(4)의 조작부(42)가 입력 I/F에 접속되고, 모니터(4)의 표시부(41)가 출력 I/F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구성에 있어서, ROM 혹은 광학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소프트웨어)을 CPU가 독출하여 RAM 상에 전개하고, 전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프로그램과 하드웨어가 협동하여, 컨트롤러(6)의 기능을 실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6)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컴퓨터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른 컴퓨터의 구성의 일례로서, 유압 셔블(1)의 측에서 실행되는 제어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현하는 집적회로를 이용하여도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6)는, 화면 취득부(61)와, 화면 판정부(62)와, 화상 데이터 선택부(63)와, 기억부(64)와, 화상 데이터 출력부(65)를 포함한다.
화면 취득부(61)는, 조작부(42)의 조작에 따라 표시부(41)에 표시되는 화면(표시 화면)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화면 판정부(62)는, 화면 취득부(61)에서 취득된 표시 화면이, 작업 모드 화면(401) 및 서비스 모드 화면(402) 중 어느 화면인지를 판정한다.
화상 데이터 선택부(63)는, 화면 판정부(62)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독출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데이터 선택부(63)는, 화면 판정부(62)에 있어서 표시 화면이 작업 모드 화면(401)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화면 판정부(62)에 있어서 표시 화면이 서비스 모드 화면(402)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 2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 추가로, 화상 데이터 선택부(63)는, 제 2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표시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가 고유 화상 데이터(X1) 및 공통 화상 데이터(X2) 중 어느 화상 데이터인지를 판정한다.
기억부(64)는, 컨트롤러(6)의 메모리이다. 기억부(64)에는, 미리 설정된 제 1 화상 데이터 및 제 2 화상 데이터가 각각 기억되어 있다. 또한, 제 2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고유 화상 데이터(X1)와 공통 화상 데이터(X2)로 구별된 후에, 각각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 출력부(65)는, 화상 데이터 선택부(63)에 있어서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41)에 대하여 출력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컨트롤러(6)에서는, 화면 취득부(61)가, 조작부(42)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표시부(4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601).
이어서, 화면 판정부(62)는, 단계 S601에서 취득된 표시 화면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표시부(4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이 작업 모드 화면(401)인지, 혹은, 서비스 모드 화면(402)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602).
단계 S602에 있어서 작업 모드 화면(401)이라고 판정된 경우(단계 S602/작업 모드 화면), 화상 데이터 선택부(63)는, 제 1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단계 S603). 그리고, 화상 데이터 출력부(65)는, 단계 S603에서 선택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41)에 대하여 출력한다(단계 S604).
한편, 단계 S602에 있어서 서비스 모드 화면(402)이라고 판정된 경우(단계 S602/서비스 모드 화면), 화상 데이터 선택부(63)는, 제 2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단계 S605). 이어서, 화상 데이터 선택부(63)는, 표시 대상의 화상 데이터가 작업 모드 화면(401)에도 표시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606).
단계 S606에 있어서, 표시 대상의 화상 데이터가 작업 모드 화면(401)에도 표시된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606/YES), 화상 데이터 선택부(63)는, 공통 화상 데이터(X2)를 선택한다(단계 S607). 그리고, 화상 데이터 출력부(65)는, 단계 S607에서 선택된 공통 화상 데이터(X2)를 표시부(41)에 대하여 출력한다(단계 S608).
한편, 단계 S606에 있어서, 표시 대상의 화상 데이터는 작업 모드 화면(401)에 표시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단계 S606/NO), 화상 데이터 선택부(63)는, 고유 화상 데이터(X1)를 선택한다(단계 S609). 그리고, 화상 데이터 출력부(65)는, 단계 S609에서 선택된 고유 화상 데이터(X1)를 표시부(41)에 대하여 출력한다(단계 S610).
컨트롤러(6)는, 화상 데이터 출력부(65)가 표시부(41)에 대하여 각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단계 S604, S608, S610) 후에는, 단계 S601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6)는, 메모리인 기억부(64)에, 품질이 다른 화상 데이터를 미리 설정하여 기억시켜 두고, 표시 화면의 종류(작업 모드 화면(401) 또는 서비스 모드 화면(402))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64)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41)에 대하여 출력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 대한 표시에는 선명도가 확보된 제 1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면서도, 비용을 증가시키지 않고 메모리의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6) 내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6)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6)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6)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6) 내에서의 처리를 실행하였을 경우여도, 아직 컨트롤러(6)의 메모리의 용량을 압박하고 있는 경우에, 메모리의 용량을 추가로 삭감하기 위한 처리를 추가하고 있다.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401)에는, 예를 들면 기본 화면(도 2 및 도 3 참조)과 같이 빈번히 사용되는 제 1 작업 모드 화면(401A)과,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조정하는 화면이나 언어를 전환하기 위한 화면 등(도 2 참조)과 같이 대부분 사용되지 않는, 즉 제 1 작업 모드 화면(401A)보다도 사용 빈도가 낮은 제 2 작업 모드 화면(401B)이 포함된다.
그래서, 제 1 작업 모드 화면(401A)에 표시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는, 표시의 선명도가 확보된 고품질의 화상 데이터(고품질 화상 데이터)로 설정되고, 제 2 작업 모드 화면(401B)에 표시되는 제 1 화상 데이터는, 제 1 작업 모드 화면(401A)에 표시되는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보다도 낮은 품질의 화상 데이터(저품질 화상 데이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저품질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고유 화상 데이터(X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해상도의 저하, 인터레이스, 및 안티 에일리어스 처리를 없음으로 하는 것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컨트롤러(6)에서는, 화상 데이터 선택부(63)에 있어서 제 1 화상 데이터가 선택되면(단계 S603), 이어서, 화면 판정부(62)는, 단계 S602에서 판정된 작업 모드 화면(401)이, 제 1 작업 모드 화면(401A) 및 제 2 작업 모드 화면(401B) 중 어느 화면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611).
단계 S611에 있어서 제 1 작업 모드 화면(401A)이라고 판정된 경우(단계 S611/제 1 작업 모드 화면), 화상 데이터 선택부(63)는, 고품질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단계 S612). 그리고, 화상 데이터 출력부(65)는, 단계 S612에서 선택된 고품질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41)에 대하여 출력한다(단계 S613).
한편, 단계 S611에 있어서 제 2 작업 모드 화면(401B)이라고 판정된 경우(단계 S611/제 2 작업 모드 화면), 화상 데이터 선택부(63)는, 저품질 화상 데이터를 선택한다(단계 S614). 그리고, 화상 데이터 출력부(65)는, 단계 S614에서 선택된 저품질 화상 데이터를 표시부(41)에 대하여 출력한다(단계 S615).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컨트롤러(6)는, 화상 데이터 출력부(65)가 표시부(41)에 대하여 각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단계 S608, S610, S613, S615) 후에는, 단계 S601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모드 화면(402)에 표시되는 제 2 화상 데이터에 관하여 품질을 저하시켜도, 아직 컨트롤러(6)의 메모리의 용량이 압박받고 있을 경우에는, 작업 모드 화면(401)에 표시되는 제 1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도, 사용 빈도가 낮은 제 2 작업 모드 화면(401B)에 표시되는 것의 품질을 저하시킴으로써, 메모리의 용량을 보다 삭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추가로, 본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하여,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기계의 일 양태로서 유압 셔블(1)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휠 로더나 덤프트럭 등의 다른 작업 기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유압 셔블(작업 기계)
4 : 모니터(표시 장치)
6 : 컨트롤러
401 : 작업 모드 화면
401A : 제 1 작업 모드 화면
401B : 제 2 작업 모드 화면
402 : 서비스 모드 화면
X1 : 고유 화상 데이터
X2 : 공통 화상 데이터

Claims (4)

  1. 작업 시에 사용되는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 및 메인터넌스 시에 사용되는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제 1 화상 데이터와,
    상기 복수의 서비스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제 2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는,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과 다른 품질로 설정된 고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화상 데이터는,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보다도 낮은 품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상 데이터는,
    상기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 중 적어도 어느 것의 화면에도 표시되는 공통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공통 화상 데이터는,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과 같은 품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업 모드 화면은,
    제 1 작업 모드 화면과,
    상기 제 1 작업 모드 화면보다도 사용 빈도가 낮은 제 2 작업 모드 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작업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는,
    상기 제 1 작업 모드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제 1 화상 데이터의 품질보다도 낮은 품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KR1020237026478A 2021-08-31 2022-08-31 작업 기계 KR20230129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41249 2021-08-31
JP2021141249A JP7186270B1 (ja) 2021-08-31 2021-08-31 作業機械
PCT/JP2022/032773 WO2023033046A1 (ja) 2021-08-31 2022-08-31 作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031A true KR20230129031A (ko) 2023-09-05

Family

ID=8438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478A KR20230129031A (ko) 2021-08-31 2022-08-31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41626A1 (ko)
EP (1) EP4286610A1 (ko)
JP (1) JP7186270B1 (ko)
KR (1) KR20230129031A (ko)
CN (1) CN116897237A (ko)
WO (1) WO202303304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515B1 (ko) 1970-04-30 1975-01-27
JPS5548880U (ko) 1978-09-27 1980-03-31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374B1 (ko) 2000-11-29 2005-10-18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정보표시장치 및 표시제어장치
JP2002332666A (ja) 2001-05-08 2002-11-22 Komatsu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5002515B2 (ja) 2008-04-01 2012-08-15 日立建機株式会社 多機能表示装置
JP5548880B2 (ja) 2010-04-26 2014-07-16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表示装置
CN111868337B (zh) 2018-03-30 2023-05-02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信息处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515B1 (ko) 1970-04-30 1975-01-27
JPS5548880U (ko) 1978-09-27 1980-03-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41626A1 (en) 2024-05-02
JP2023034817A (ja) 2023-03-13
JP7186270B1 (ja) 2022-12-08
WO2023033046A1 (ja) 2023-03-09
EP4286610A1 (en) 2023-12-06
CN116897237A (zh)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8500B2 (ja) ショベルの画像表示装置
JP5548880B2 (ja)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6776343B2 (ja) ショベルの表示装置
CN108028911B (zh) 作业机械的显示装置及显示系统
WO2020138462A1 (ja) 表示制御装置、作業機、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WO2018207267A1 (ja) 作業機械
JP5002515B2 (ja) 多機能表示装置
JP2020039036A (ja) 作業機械のための表示システム
JP2024026790A (ja) 建設機械の制御方法
US20200399861A1 (en) Construction machine
KR20230129031A (ko) 작업 기계
JP6682476B2 (ja) 作業機
JP6559529B2 (ja) 建設機械
WO2022210488A1 (ja) 作業機械用表示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用表示システム、作業機械、作業機械用表示制御方法及び作業機械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230035397A (ko) 작업 기계의 장애물 통지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장애물 통지 방법
WO2024048576A1 (ja) 表示制御装置、作業機械、表示制御方法
JPH0811585A (ja) 移動式作業機の油圧制御部の操作装置
WO2022210989A1 (ja) ショベル
WO2022202013A1 (ja) トラクタの表示装置
JP2001138838A (ja) 移動農機における制御装置
JP7092714B2 (ja) 作業機械の制御装置及び作業機械の制御方法
JP2021155957A (ja) ショベル
JP2001213198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JP2024005874A (ja) 作業機械用制御方法、作業機械用制御プログラム、作業機械用制御システム、作業機械
JP2024055024A (ja) 作業機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