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955A -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955A
KR20230128955A KR1020220168996A KR20220168996A KR20230128955A KR 20230128955 A KR20230128955 A KR 20230128955A KR 1020220168996 A KR1020220168996 A KR 1020220168996A KR 20220168996 A KR20220168996 A KR 20220168996A KR 20230128955 A KR20230128955 A KR 20230128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ales
custom
sa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옴니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옴니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옴니아트
Publication of KR2023012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9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은 입점 상품 또는 커스텀 상품을 포함하는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판단하는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 사용자가 입력한 커스텀 디자인을 이용하여 상기 커스텀 상품을 생성하고, 상기 커스텀 상품과 상기 입점 상품의 비교를 통해 상기 커스텀 상품의 라이선스 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커스텀 상품 제조부; 및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추적하고,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이익을 분배하는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Online product entry, brokerage and sales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직접 온라인 상품을 디자인할 수 있으며, 기 등록된 상품의 판매를 중개함과 동시에 상품성을 확인하고, 높은 상품성을 가지는 경우 라이선스 등록을 수행하여 파생 상품에 대한 이익을 분배할 수 있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 마켓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상품의 판매가 온라인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마켓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상품의 다양화, 재방문율 증가, 재구매율 증가 등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꾸준한 마케팅, 추가 상품의 입점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꾸준한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정 이상의 입점 상품이 구비된 이후에는 자체적으로 상품을 생성하고(커스텀 상품), 이에 대한 리워드를 생산자에게 직접 제공함으로써 상품의 다양성을 증가시킴은 물론 재방문율을 높일 수 있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은, 입점 상품, 커스텀 상품 및 라이선스를 가지는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판단하는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 사용자가 입력한 커스텀 디자인을 이용하여 상기 커스텀 상품을 생성하고, 상기 커스텀 상품과 상기 입점 상품의 비교를 통해 상기 커스텀 상품의 라이선스 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커스텀 상품 제조부; 및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추적하고,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이익을 분배하는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는, 상기 판매 정보가 존재하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판매 정보 획득 모듈;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의 상기 상품성을 계산하는 상품성 계산 모듈; 및 상기 상품성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판매 상품의 상기 라이선스를 제안하는 라이선스 제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품성 계산 모듈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상품성의 상승 또는 하락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정보는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량, 판매 가격, 이익률, 재구매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성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판매 정보를 정규화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커스텀 상품 제조부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획득하는 커스텀 디자인 획득 모듈;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분석하고 상기 입점 상품과의 일치율을 비교하는 커스텀 디자인 비교 모듈; 상기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입점 상품과의 콜라보를 제안하거나 표절 주의 정보를 제공하는 일치 정보 제공 모듈; 상기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상기 커스텀 상품의 상품화 및 라이선스 등록을 제안하는 상품 등록 제안 모듈; 및 상기 라이선스를 가지는 상품 중 기준 상품성을 초과하는 라이선스 상품을 추천 라이선스로 등록하고,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추천 라이선스 제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일치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콜라보 수락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해당 입점 상품의 하위 분류로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상기 커스텀 상품을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는, 상기 판매 상품 중 상기 판매 정보의 추적을 위한 개별 블록체인이 존재하지 않는 판매 상품에 대해 개별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체인 생성 모듈; 및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상기 개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상기 개별 블록체인에 더 저장되는 상기 판매 상품의 라이선스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판매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판매 이익을 분배하는 이익 분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방법은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를 이용하여 입점 상품, 커스텀 상품 및 라이선스를 가지는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커스텀 디자인을 이용하여 커스텀 상품 제조부에서 상기 커스텀 상품을 생성하고, 상기 커스텀 상품과 상기 입점 상품의 비교를 통해 상기 커스텀 상품의 라이선스 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추적하고,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이익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 정보가 존재하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의 상기 상품성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성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판매 상품의 상기 라이선스를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성을 계산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상품성의 상승 또는 하락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정보는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량, 판매 가격, 이익률, 재구매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성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판매 정보를 정규화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커스텀 상품의 라이선스 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분석하고 상기 입점 상품과의 일치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입점 상품과의 콜라보를 제안하거나 표절 주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상기 커스텀 상품의 상품화 및 라이선스 등록을 제안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선스를 가지는 상품 중 기준 상품성을 초과하는 라이선스 상품을 추천 라이선스로 등록하고,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콜라보를 제안하거나 표절 주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콜라보 수락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해당 입점 상품의 하위 분류로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상기 커스텀 상품을 분류할 수 있다.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이익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 상품 중 상기 판매 정보의 추적을 위한 개별 블록체인이 존재하지 않는 판매 상품에 대해 개별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상기 개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상기 개별 블록체인에 더 저장되는 상기 판매 상품의 라이선스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판매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판매 이익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은, 상품 구매를 위해 접속하는 구매 희망자의 상품 등록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판매 가능한 상품의 수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스텀 상품 제조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계 S11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계 S13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5의 단계 S15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서 상품에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서 특정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진 후 이익을 분배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커스텀 상품 제조부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이하 편의상 시스템이라 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1)은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11), 커스텀 상품 제조부(13) 및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입점 상품을 판매 및 관리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커스텀 상품의 추가 입점 여부를 결정하고, 판매 상품의 라이선스 등록을 결정하며, 판매 상품으로 등록되는 경우 각 상품의 블록체인에 라이선스를 저장하고, 기존 판매 상품을 이용하여 커스텀 상품을 제조하는 경우, 연대 기여 이익 개념으로 이익을 분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1) 중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11)는 입점 상품 또는 커스텀 상품을 포함하는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판단하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11)는, 판매 정보 획득 모듈(111), 상품성 계산 모듈(113) 및 라이선스 제안 모듈(115)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판매 정보 획득 모듈(111)은 판매 정보가 존재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판매 정보 획득 모듈(111)은 판매 상품인 입점 상품 또는 커스텀 상품의 판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 정보가 존재한다는 의미는 새로운 판매 정보를 누적 저장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다 상세히는 판매 정보 획득 모듈(111)이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한 결과 기 저장된 판매 정보와 동일한 경우, 해당 판매 정보를 획득하지 않으며, 기 저장된 판매 정보와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판매 정보는 상품이 판매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환불 또는 교환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판매 정보는 일 예로 판매 상품의 판매량, 판매 가격, 이익률, 재구매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불 또는 교환의 경우 환불량, 교환량, 교환 대상 상품, 환불/교환 상품의 제조 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성 계산 모듈(113)은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품성은 해당 상품이 얼마나 구매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지를 의미하며,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품성 계산 모듈은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상품 사이에서의 상대 비교를 위해 사용되기 위해 판매 정보를 정규화한 값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또, 상품성 계산 모듈(113)은 기 설정된 주기 별로 상품성의 상승 또는 하락을 확인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기 설정된 주기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임의의 주기일 수 있다.
라이선스 제안 모듈(115)은 특정 판매 상품의 상품성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해당 판매 상품의 라이선스를 부여를 위해 라이선싱을 제안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해당 판매 상품의 개발(등록)자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저작권을 본 발명의 시스템(1)에 등록하고, 후술되는 커스텀 상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할 수 있다.
커스텀 상품 제조부(13)는 사용자가 입력한 커스텀 디자인을 이용하여 커스텀 상품을 생성하고, 커스텀 상품과 입점 상품의 비교를 통해 커스텀 상품의 라이선스 부여 여부를 결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커스텀 상품 제조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스텀 디자인 획득 모듈(131), 커스텀 디자인 비교 모듈(133), 일치 정보 제공 모듈(135), 상품 등록 제안 모듈(137) 및 추천 라이선스 제공 모듈(139)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커스텀 디자인 획득 모듈(131)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커스텀 디자인을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커스텀 디자인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디자인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커스텀 디자인 비교 모듈(133)은 커스텀 디자인을 분석하고 입점 삼품과의 일치율을 비교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스텀 디자인 비교 모듈(133)은 전체 입점 상품의 각 디자인과 해당 커스텀 디자인을 비교 분석하고, 그 일치율을 비교할 수 있다.
일치 정보 제공 모듈(135)은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입점 상품과의 콜라보를 제안하거나 표절 주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품 등록 제안 모듈(137)은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해당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커스텀 상품의 상품화 및 라이선스 등록을 제안하도록 형성된다.
일치 정보 제공 모듈(135)과 상품 등록 제안 모듈(137)은 커스텀 디자인 비교 모듈(133)에서 획득한 일치율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커스텀 디자인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디자인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품 등록 제안 모듈(137)은 해당 커스텀 디자인을 입점 상품으로 등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한편, 디자인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일치 정보 제공 모듈(135)은 해당 입점 상품과의 콜라보를 제안하거나 표절 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보조 기준값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가 결정될 수도 있다. 또, 일치 정보 제공 모듈(135)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콜라보를 수락한다는 정보인 콜라보 수락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해당 입점 상품의 하위 분류로 해당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커스텀 상품을 포함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천 라이선스 제공 모듈(139)은 라이선스를 가지는 상품 중 기준 상품성을 초과하는 라이선스 상품을 추천 라이선스로 등록하고,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순위를 결정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에서 라이선스를 가지는 상품은 입점 상품 또는 커스텀 상품으로, 현재 판매가 진행되고 있는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판매 상품 정보 추적부(15)는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추적하고,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 상품에 대한 이익을 분배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매 상품 정보 추적부(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생성 모듈(151) 및 이익 분배 모듈(153)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블록체인 생성 모듈(151)은 판매 상품 중 판매 정보의 추적을 위한 개별 블록체인이 존재하지 않는 판매 상품에 대해 개별 블록체인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생성 모듈(151)은 판매 상품의 히스토리를 저장하고, 이익 분배를 위한 비율을 관리하기 위해 각 판매 상품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이익 분배 모듈(153)은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개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개별 블록체인에 더 저장되는 판매 상품의 라이선스 비율을 이용하여 판매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판매 이익을 분배하도록 형성된다. 이익 분배 모듈(153)은 특정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 해당 상품과 연결된 라이선스를 확인하고, 그 비율을 획득한다. 이는 커스텀 상품이 기존 입점 상품의 라이선스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입점 상품 라이선스 보유자에게도 판매 기여를 인정하고, 인정된 기여에 대한 정당한 수익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라이선스 비율의 경우에는, 해당 입점 상품의 판매율과, 커스텀 상품의 판매율의 비교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커스텀 상품의 독자적인 디자인이 상품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계 S11의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5의 단계 S13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5의 단계 S15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방법(이하 편의상 방법이라 함)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의 방법이 반드시 도 1의 시스템을 사용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방법(10)은 판매 상품 상품성을 판단하는 단계(S11), 커스텀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S13) 및 상품 판매 정보를 추적하는 단계(S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10)은 입점 상품을 판매 및 관리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커스텀 상품의 추가 입점 여부를 결정하고, 판매 상품의 라이선스 등록을 결정하며, 판매 상품으로 등록되는 경우 각 상품의 블록체인에 라이선스를 저장하고, 기존 판매 상품을 이용하여 커스텀 상품을 제조하는 경우, 연대 기여 이익 개념으로 이익을 분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방법(10) 중 판매 상품 상품성을 판단하는 단계(S11)는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를 이용하여 입점 상품 또는 커스텀 상품을 포함하는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판단하도록 형성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판매 상품 상품성을 판단하는 단계(S11)는,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1), 상품성을 계산하는 단계(S113) 및 라이선스를 제안하는 단계(S1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1)는 판매 정보가 존재하는 판매 상품에 대한 판매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1)는 판매 상품인 입점 상품 또는 커스텀 상품의 판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 정보가 존재한다는 의미는 새로운 판매 정보를 누적 저장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보다 상세히는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1)이 상품의 판매 정보를 확인한 결과 기 저장된 판매 정보와 동일한 경우, 해당 판매 정보를 획득하지 않으며, 기 저장된 판매 정보와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판매 정보는 상품이 판매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환불 또는 교환과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도 있다. 판매 정보는 일 예로 판매 상품의 판매량, 판매 가격, 이익률, 재구매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환불 또는 교환의 경우 환불량, 교환량, 교환 대상 상품, 환불/교환 상품의 제조 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성을 계산하는 단계(S113)는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계산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품성은 해당 상품이 얼마나 구매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지를 의미하며,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품성 계산 모듈은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고, 나아가 다양한 상품 사이에서의 상대 비교를 위해 사용되기 위해 판매 정보를 정규화한 값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또, 상품성을 계산하는 단계(S113)는 기 설정된 주기 별로 상품성의 상승 또는 하락을 확인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기 설정된 주기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임의의 주기일 수 있다.
라이선스를 제안하는 단계(S115)는 특정 판매 상품의 상품성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해당 판매 상품의 라이선스를 부여를 위해 라이선싱을 제안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해당 판매 상품의 개발(등록)자는 판매 상품에 대한 저작권을 본 발명의 방법(10)에 등록하고, 후술되는 커스텀 상품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할 수 있다.
커스텀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S13)는 커스텀 상품 제조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커스텀 디자인을 이용하여 커스텀 상품을 생성하고, 커스텀 상품과 입점 상품의 비교를 통해 커스텀 상품의 라이선스 부여 여부를 결정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커스텀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S1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스텀 디자인을 획득하는 단계(S131), 커스텀 디자인을 비교하는 단계(S133), 일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5), 상품 등록을 제안하는 단계(S137) 및 추천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단계(S139)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커스텀 디자인을 획득하는 단계(S131)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커스텀 디자인을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커스텀 디자인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디자인으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커스텀 디자인을 비교하는 단계(S133)는 커스텀 디자인을 분석하고 입점 삼품과의 일치율을 비교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스텀 디자인을 비교하는 단계(S133)는 전체 입점 상품의 각 디자인과 해당 커스텀 디자인을 비교 분석하고, 그 일치율을 비교할 수 있다.
일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5)는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입점 상품과의 콜라보를 제안하거나 표절 주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상품 등록을 제안하는 단계(S137)는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해당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커스텀 상품의 상품화 및 라이선스 등록을 제안하도록 형성된다.
일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5)과 상품 등록을 제안하는 단계(S137)는 커스텀 디자인을 비교하는 단계(S133)에서 획득한 일치율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커스텀 디자인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디자인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품 등록을 제안하는 단계(S137)는 해당 커스텀 디자인을 입점 상품으로 등록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한편, 디자인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일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5)는 해당 입점 상품과의 콜라보를 제안하거나 표절 주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보조 기준값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정보가 결정될 수도 있다. 또, 일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5)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콜라보를 수락한다는 정보인 콜라보 수락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해당 입점 상품의 하위 분류로 해당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커스텀 상품을 포함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천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단계(S139)는 라이선스를 가지는 상품 중 기준 상품성을 초과하는 라이선스 상품을 추천 라이선스로 등록하고,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순위를 결정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10)에서 라이선스를 가지는 상품은 입점 상품 또는 커스텀 상품으로, 현재 판매가 진행되고 있는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10)은 상품 판매 정보를 추적하는 단계(S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품 판매 정보를 추적하는 단계(S15)는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를 통해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추적하고,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판매 상품에 대한 이익을 분배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정보를 추적하는 단계(S1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S151) 및 이익을 분배하는 단계(S153)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S151)는 판매 상품 중 판매 정보의 추적을 위한 개별 블록체인이 존재하지 않는 판매 상품에 대해 개별 블록체인을 생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단계(S151)는 판매 상품의 히스토리를 저장하고, 이익 분배를 위한 비율을 관리하기 위해 각 판매 상품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이익을 분배하는 단계(S153)는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개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개별 블록체인에 더 저장되는 판매 상품의 라이선스 비율을 이용하여 판매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판매 이익을 분배하도록 형성된다. 이익을 분배하는 단계(S153)는 특정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 해당 상품과 연결된 라이선스를 확인하고, 그 비율을 획득한다. 이는 커스텀 상품이 기존 입점 상품의 라이선스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입점 상품 라이선스 보유자에게도 판매 기여를 인정하고, 인정된 기여에 대한 정당한 수익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라이선스 비율의 경우에는, 해당 입점 상품의 판매율과, 커스텀 상품의 판매율의 비교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커스텀 상품의 독자적인 디자인이 상품의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서 상품에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상품에 라이선스를 부여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에서 커스텀 디자인을 입력하면, 시스템은 기존 상품과의 일치율을 비교한다. 기존 상품과의 디자인 일치율 비교 결과 라이선스 등록(상품 등록)이 필요한 경우, 시스템은 기 등록된 블록체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블록체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블록체인을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또, 디자인 일치율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기존 블록체인에 포함된 라이선스와 연계하여 새로운 블록체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생성된 블록체인 정보는 시스템으로 전달되고, 시스템은 해당 상품의 라이선스 및 입점을 등록하게 되고, 등록 결과는 커스텀 상품 등록 결과로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서 특정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진 후 이익을 분배하는 전체 프로세스를 간단히 나타낸 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먼저 구매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시스템은 구매 정보(판매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상품 에 대한 라이선스 비율 정보를 블록체인으로부터 획득한다. 시스템은 획득한 라이선스 비율 정보를 이용하여 이익 분배율을 계산하며, 이때 일 실시예로 이익 분배율은 상술한 바와 같이 라이선스가 연계되는 경우 해당 커스텀 디자인의 특징 부분이 얼마나 많은 판매량 관여를 수행하는지를 반영할 수도 있다.
이익 분배율이 계산되면, 시스템은 각 판매자 단말기로 계산된 이익 분배율 별 이익 분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11: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
13: 커스텀 상품 제조부 15: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
111: 판매 정보 획득 모듈 113: 상품성 계산 모듈
115: 라이선스 제안 모듈 131: 커스텀 디자인 획득 모듈
133: 커스텀 디자인 비교 모듈 135: 일치 정보 제공 모듈
137: 상품 등록 제안 모듈 139: 추천 라이선스 제공 모듈
151: 블록체인 생성 모듈 153: 이익 분배 모듈

Claims (10)

  1. 입점 상품, 커스텀 상품 및 라이선스를 가지는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판단하는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
    사용자가 입력한 커스텀 디자인을 이용하여 상기 커스텀 상품을 생성하고, 상기 커스텀 상품과 상기 입점 상품의 비교를 통해 상기 커스텀 상품의 라이선스 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커스텀 상품 제조부; 및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추적하고,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이익을 분배하는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는,
    상기 판매 정보가 존재하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판매 정보 획득 모듈;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의 상기 상품성을 계산하는 상품성 계산 모듈; 및
    상기 상품성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판매 상품의 상기 라이선스를 제안하는 라이선스 제안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상품성 계산 모듈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상품성의 상승 또는 하락을 확인하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정보는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량, 판매 가격, 이익률, 재구매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성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판매 정보를 정규화하여 획득하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상품 제조부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획득하는 커스텀 디자인 획득 모듈;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분석하고 상기 입점 상품과의 일치율을 비교하는 커스텀 디자인 비교 모듈;
    상기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입점 상품과의 콜라보를 제안하거나 표절 주의 정보를 제공하는 일치 정보 제공 모듈;
    상기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상기 커스텀 상품의 상품화 및 라이선스 등록을 제안하는 상품 등록 제안 모듈; 및
    상기 라이선스를 가지는 상품 중 기준 상품성을 초과하는 라이선스 상품을 추천 라이선스로 등록하고,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추천 라이선스 제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일치 정보 제공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콜라보 수락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해당 입점 상품의 하위 분류로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상기 커스텀 상품을 분류하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는,
    상기 판매 상품 중 상기 판매 정보의 추적을 위한 개별 블록체인이 존재하지 않는 판매 상품에 대해 개별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체인 생성 모듈; 및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상기 개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상기 개별 블록체인에 더 저장되는 상기 판매 상품의 라이선스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판매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판매 이익을 분배하는 이익 분배 모듈;을 포함하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6. 판매 상품 상품성 판단부를 이용하여 입점 상품, 커스텀 상품 및 라이선스를 가지는 디자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입력한 커스텀 디자인을 이용하여 커스텀 상품 제조부에서 상기 커스텀 상품을 생성하고, 상기 커스텀 상품과 상기 입점 상품의 비교를 통해 상기 커스텀 상품의 라이선스 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품 판매 정보 추적부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추적하고,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이익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상품의 상품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 정보가 존재하는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상기 판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 상품의 상기 상품성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성이 기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상기 판매 상품의 상기 라이선스를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성을 계산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상품성의 상승 또는 하락을 확인하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정보는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량, 판매 가격, 이익률, 재구매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성은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획득되며, 상기 판매 정보를 정규화하여 획득하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스텀 상품의 라이선스 부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분석하고 상기 입점 상품과의 일치율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 경우 해당 입점 상품과의 콜라보를 제안하거나 표절 주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일치율이 기 설정된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상기 커스텀 상품의 상품화 및 라이선스 등록을 제안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선스를 가지는 상품 중 기준 상품성을 초과하는 라이선스 상품을 추천 라이선스로 등록하고, 상기 판매 정보를 이용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콜라보를 제안하거나 표절 주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콜라보 수락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해당 입점 상품의 하위 분류로 상기 커스텀 디자인을 가지는 상기 커스텀 상품을 분류하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상품에 대한 이익을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 상품 중 상기 판매 정보의 추적을 위한 개별 블록체인이 존재하지 않는 판매 상품에 대해 개별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판매 상품의 판매 정보를 상기 개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상기 개별 블록체인에 더 저장되는 상기 판매 상품의 라이선스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판매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판매 이익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방법.
KR1020220168996A 2022-02-28 2022-12-06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289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26275 2022-02-28
KR1020220026275 2022-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955A true KR20230128955A (ko) 2023-09-05

Family

ID=8797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996A KR20230128955A (ko) 2022-02-28 2022-12-06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89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30B1 (ko) * 2023-11-07 2024-02-20 주식회사 콜리 Lmsin을 이용한 라이선스 상품 유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630B1 (ko) * 2023-11-07 2024-02-20 주식회사 콜리 Lmsin을 이용한 라이선스 상품 유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On product-level uncertainty and online purchase behavior: An empirical analysis
Li et al. Pricing decisions during inter‐generational product transition
KR20170004149A (ko) 수익 분배가 가능한 회원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JP7451862B2 (ja) 車両買取システム
US201800254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tting Up Sale Transactions for an Online Auction
KR102259567B1 (ko)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14707771B (zh) 基于大数据的医药供应链管理方法及平台
KR20230128955A (ko) 온라인 상품 입점, 중개 및 판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963711B1 (ko) 중고물품 거래방법
KR101865408B1 (ko) 고객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비즈니스 타겟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CN110415064A (zh) 一种整合零售供应链与销售链的利益共同体系统
KR102195873B1 (ko) 물류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77332B1 (ko) 캐쉬백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사업자 서버
KR20090001600A (ko) 사이버 쇼핑몰 운영방법
KR20210060418A (ko) 도매 거래를 위한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결제 방법
KR20070109523A (ko) 사용자 중심의 개인 맞춤형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9845A (ko) 온라인 상거래에 대한 오프라인 인센티브 부여(또는 매출 귀속) 커머스 모델
KR20000012586A (ko) 공동구매에 있어서 경쟁을 통해 개별적 권리를 취득하는상거래 장치 및 방법
KR20170093759A (ko) 도매 거래 중계 시스템
Endo et al. The developing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 manufacturer and consumers: Four group cases
KR102237215B1 (ko) 인터넷 공유몰 운영 방법
JP2002342554A (ja) 商品開発管理方法及び管理サーバ
KR101141264B1 (ko) 소비자가 구매한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되돌려 주는 무료상거래 시스템
KR20180119449A (ko) 오픈 마켓별 가격변동 자동 모니터링 및 변경 시스템
KR20240018744A (ko) 판매자 맞춤형 온라인 쇼핑몰 제공 방법 및 서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