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567B1 -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567B1
KR102259567B1 KR1020200112090A KR20200112090A KR102259567B1 KR 102259567 B1 KR102259567 B1 KR 102259567B1 KR 1020200112090 A KR1020200112090 A KR 1020200112090A KR 20200112090 A KR20200112090 A KR 20200112090A KR 102259567 B1 KR102259567 B1 KR 10225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cy
online shopping
shopping mall
product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지은
Original Assignee
서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은 filed Critical 서지은
Priority to KR102020011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정보를 저장하는 입점사 DB,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가 제공 가능한 복수의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DB, 입점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복수의 대리점 정보를 저장하는 대리점 DB 및 입점사 DB의 입점사 정보 및 상품 DB의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중 하나 이상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 및 관리하는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NLINE SHOPPING MALLS BASED ON COMMODITY BRANDS}
본 개시는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개별 브랜드 또는 입점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대리점 역할을 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고 관리 및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 인터넷 기술 및 온라인 결제 기술의 발달과 함께 온라인 거래 및 온라인 쇼핑 산업의 규모가 활발하게 확장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쉽게 쇼핑할 수 있고, 수많은 상품을 비교할 수 있다는 온라인 쇼핑의 장점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온라인 쇼핑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창업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위해서, 쇼핑몰 운영자가 직접 상품 납품 업체 또는 상품 브랜드를 찾아 각각의 업체 및 브랜드와 상품 공급 계약을 체결해야 하며, 공급받은 상품의 재고 관리, 물류 관리, 배송 처리, 결제 처리 등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온라인 쇼핑몰 창업을 쉽게 결정하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브랜드 직영 쇼핑몰 외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개별 브랜드의 상품에 대한 정품 보증 및 품질에 대한 보장을 제공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일반적인 온라인 종합 쇼핑몰에서 선호하는 브랜드의 상품에 대한 구매 결정을 쉽게 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기존의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판매가 활성화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53982호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를 대리하여 해당 브랜드의 상품을 판매하는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고 관리 및 운영하는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방법, 시스템, 장치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정보를 저장하는 입점사 DB,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가 제공 가능한 복수의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DB, 입점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복수의 대리점 정보를 저장하는 대리점 DB 및 입점사 DB의 입점사 정보 및 상품 DB의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중 하나 이상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 및 관리하는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대리점 계약 체결 요청을 기초로 대리점 계약을 처리하는 대리점 계약 처리부, 대리점 계약을 기초로,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중에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브랜드를 결정하는 판매 브랜드 선택부, 판매 브랜드 선택부에서 결정된 판매 브랜드의 상품 중에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결정하는 판매 상품 선택부, 판매 상품 선택부에서 결정된 판매 상품 각각의 가격을 결정하는 가격 결정부,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각각의 가격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는 온라인 쇼핑몰 생성부 및 온라인 쇼핑몰 상에 판매 상품을 정렬하는 상품 진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기초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및 구매 요청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배송을 처리하는 재고 및 배송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재고 및 배송 관리부는, 입점사에 상품 제공을 요청하고,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고, 상품 DB에 상품의 재고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기초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및 구매 요청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상품과 연관된 입점사에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배송을 요청하는 재고 및 배송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재고 및 배송 관리부는, 입점사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 DB를 업데이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복수의 대리점을 관리하는 대리점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대리점 관리부는, 대리점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판매 수입을 기초로, 대리점의 수익을 정산하는 대리점 수익 정산부 및 대리점에 대한 수수료를 결정하여 수수료의 결제를 처리하는 대리점 수수료 정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수료는, 초기 대리점 분양 비용, 월 사용료 또는 매출에 비례하는 판매 수수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리점 관리부는, 대리점을 평가하는 대리점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대리점 수수료 정산부는, 대리점 평가부로부터 대리점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평가 결과를 기초로 대리점에 대한 수수료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리점 관리부는, 대리점을 평가하는 대리점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는, 대리점 평가부로부터 대리점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평가 결과를 기초로 대리점이 판매할 수 있는 브랜드, 상품, 브랜드의 수 또는 상품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복수의 대리점을 관리하는 대리점 관리부 및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와의 입점 계약을 처리하는 입점사 계약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대리점 관리부는, 대리점으로부터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를 포함하고, 자제 상품 판매 승인부에 의해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가 승인된 경우, 입점사 계약 체결부는, 대리점과 대리점의 자체 상품에 대한 입점 계약을 처리하고,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는, 대리점의 자체 상품을 대리점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으로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는, 대리점으로부터 수신한 자체 상품의 이미지, 브랜드, 상품의 품질, 상품의 가격, 대리점의 상품 공급 능력 또는 배송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브랜드별 대리점인 온라인 쇼핑몰 생성, 브랜드 입점사 계약, 상품 결제 처리, 배송, 상품 재고 관리, 고객 서비스 관리, 쇼핑몰 서버 관리 등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브랜드별 대리점들은 해당 브랜드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을 보다 쉽게 창업 및 운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브랜드별 입점사에서 상품을 제공받아 고객에게 상품을 배송하거나, 해당 브랜드별 입점사에서 직접 고객에게 상품을 배송하므로, 해당 브랜드의 대리점인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판매되는 상품들의 정품 보장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브랜드별 대리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평가 결과를 기초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할 수 있는 브랜드 및 상품을 제한함으로써, 온라인 쇼핑몰 각각의 판매 브랜드 및 판매 상품의 차별화가 가능하다. 또한, 평가 결과를 기초로 중계 수수료를 결정함으로써, 대리점들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대리점이 자체 브랜드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에게 더욱 다양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대리점의 자체 브랜드 상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해당 상품을 평가하고, 판매를 승인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판매되는 대리점의 자체 브랜드 상품에 대한 품질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복수의 입점사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고,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리점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복수의 입점사 및 대리점과의 계약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복수의 입점사 및 대리점과의 계약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수수료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대리점 계약을 처리하고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를 기초로, 대리점의 자체 상품에 대한 입점 계약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운영하는 쇼핑몰을 통한 상품 구매, 배송 및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브랜드" 또는 "입점사"는, 동일한 브랜드(brand) 또는 상표를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을 지칭할 수 있다. 브랜드 또는 입점사는 본 개시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과 입점사 계약을 통해 해당 브랜드의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 또는 입점사는, 일부의 경우에, 쇼핑몰 운영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해당 브랜드의 온라인 쇼핑몰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의 배송 및/또는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대리점" 또는 "온라인 쇼핑몰 대리점"은 특정 브랜드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자를 지칭할 수 있다. 대리점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과 대리점 계약을 통해 복수의 브랜드 중 특정 브랜드에 대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온라인 쇼핑몰을 분양 받을 수 있다. 또한, 대리점은 특정 브랜드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하나 이상 운영할 수 있으며, 일부의 경우에,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검증 또는 심사 절차를 통해 자체 브랜드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온라인 쇼핑몰"은,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특정 브랜드의 하나 이상의 상품만을 판매하도록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각 온라인 쇼핑몰은, 해당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 또는 사용자들에게 특정 브랜드의 대리점 또는 아울렛의 기능 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복수의 입점사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고,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네트워크(140)를 통해 복수의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 및 복수의 고객 단말기(150_1, 150_2, 150_3, 150_4, 150_5)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복수의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 및 복수의 고객 단말기(150_1, 150_2, 150_3, 150_4, 150_5),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140),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140)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4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입점사 단말기(210_1, 210_2, 210_3) 사이 또는 고객 단말기(150_1, 150_2, 150_3, 150_4, 150_5)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4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4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입점 계약 요청, 상품 정보 및/또는 상품 재고 정보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으로 전송하거나 상품 재고 관리 및/또는 배송 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또는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150_1, 150_2, 150_3, 150_4, 150_5)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이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130_1, 130_2, 130_3)에 접속하여 상품 구매 요청 및 결제 요청을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구매 요청 및 결제 요청은 고객 단말기(150_1, 150_2, 150_3, 150_4, 150_5)에 설치된 온라인 쇼핑몰 웹 브라우저 또는 온라인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 또는 고객 단말기(150_1, 150_2, 150_3, 150_4, 150_5)는,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단말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3개의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이 네트워크(140)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입점사 단말기가 네트워크(140)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는 온라인 쇼핑몰(130_1, 130_2, 130_3) 및 네트워크(140)을 통해 각각 2개의 고객 단말기(150_1, 150_2, 150_3, 150_4, 150_5)가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고객 단말기가 온라인 쇼핑몰(130_1, 130_2, 130_3) 및 네트워크(140)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로부터 입점 계약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로 입점 계약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고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대리점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브랜드와의 입점 계약을 위해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로 입점 계약에 대한 요청을 전송하고,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로부터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수신한 입점 계약에 대한 요청 및 요청에 대한 수락 응답을 기초로 복수의 브랜드의 입점 계약 체결을 진행 및 처리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입점 계약 체결을 진행 및 처리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140)를 통해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로부터 입점 계약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로 입점 계약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복수의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로부터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정보 및 입점사 브랜드의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수신한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정보를 입점사 DB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수신한 입점사 브랜드의 상품 정보 즉,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가 제공 가능한 복수의 상품 정보를 상품 DB에 저장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130_1, 130_2, 130_3)을 생성 및 운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대리점(미도시) 계약을 기초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130_1, 130_2, 130_3)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복수의 대리점과의 대리점 계약을 기초로 판매 브랜드, 판매 상품, 상품 가격, 상품 배치, 쇼핑몰 디자인 등이 상이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130_1, 130_2, 130_3)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대리점 각각은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130_1, 130_2, 130_3) 각각을 운영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대리점 계약을 통해 입점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130_1, 130_2, 130_3)을 운영하는 복수의 대리점 정보를 대리점 DB에 저장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각각의 온라인 쇼핑몰(130_1, 130_2, 130_3)을 통해 고객 단말기(150_1, 150_2, 150_3, 150_4, 150_5)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및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내부 또는 외부의 결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각의 상품 주문에 대한 결제를 처리할 수 있고, 처리 결과를 고객 단말기(150_1, 150_2, 150_3, 150_4, 150_5)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고객의 상품 주문 내역 및 결제 처리 내역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주문 내역 및 결제 처리 내역은 고객의 주문이 이루어진 온라인 쇼핑몰, 구매 상품, 상품 수량, 고객 정보, 결제 금액, 결제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상품 주문 내역 및 결제 처리 내역은 이후 대리점의 중계 수수료 정산, 입점사와의 상품 대금 정산, 상품 재고 및 배송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각 브랜드별 입점사가 제공가능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및 인도 요청을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에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입점사 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고객의 상품 구매 요청이 있기 전에 미리 각 입점사의 상품을 구매할 수 있고, 각 입점사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과 연관된 물류 센터(예를 들면, 물류 창고)에 해당 상품을 배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물류 센터에 배송된 상품들의 재고를 직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운영 시스템(110)은 온라인 쇼핑몰(130_1, 130_2, 130_3)을 통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품 구매 요청에 따라, 물류 센터에 보관 중인 해당 상품의 직접 배송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내부에 물류 관리 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하거나, 외부 물류 관리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고객 단말기(150_1, 150_2, 150_3, 150_4, 150_5)로부터 수신한 상품 구매 요청에 따라,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로 상품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품 배송을 위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에 고객 주문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입점사 단말기(120_1, 120_2, 120_3)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따라 고객 주문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배송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이 고객 단말기로부터 A 상품(X 브랜드의 상품), B 상품(Y 브랜드의 상품), C 상품(X 브랜드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A 상품 및 C 상품의 브랜드인 X 입점사 단말기로 고객 주문 정보와 함께 A 상품 및 C 상품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B 상품의 브랜드인 Y 입점사 단말기로 고객 주문 정보와 함께 B 상품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입점사 단말기가 상품의 배송 및 재고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각 입점사 단말기로부터 상품 재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각 입점사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주기마다 대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한달에 한 번씩, 지난 한달동안 각 입점사에서 배송 처리한 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통신부(210), 입점사 계약 체결부(220),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 결제 처리부(240), 재고 및 배송 관리부(250), 대리점 관리부(260), 대리점 DB(270), 입점사 DB(280) 및 상품 DB(2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에서 동작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및 관리를 위한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이 복수의 입점사 단말기, 복수의 대리점 단말기, 복수의 고객 단말기 및/또는 다른 외부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물류 시스템, 별도의 결제/금융 시스템 등)과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210)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이 처리한 정보 또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위한 요청을 복수의 입점사 단말기, 복수의 대리점 단말기, 복수의 고객 단말기 및/또는 다른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역으로 통신부(210)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이, 복수의 입점사 단말기, 복수의 대리점 단말기, 복수의 고객 단말기 및/또는 다른 외부 시스템이 처리한 정보 또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210)를 통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복수의 대리점 단말기 또는 복수의 입점사 단말기로부터 계약 체결 요청 또는 계약 체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품 구매 요청, 결제 요청 및 주문 정보는 통신부(210)의 제어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입점사 계약 체결부(220)는 복수의 브랜드와의 입점 계약을 처리할 수 있다. 입점사 계약 체결부(220)는 입점사 DB(280)에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입점사 계약에 따라, 복수의 입점사가 제공가능한 복수의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 DB(29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입점사 정보는, 브랜드 명, 제조/판매 조직 정보, 제공 가능 상품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 정보는, 상품 이미지, 사양, 재고량, 원자재, 제조국, 제조일자, 상품 사이즈, 납품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는 입점사 DB(280)의 입점사 정보 및 상품 DB(290)의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중 하나 이상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고,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는 대리점 계약을 기초로 복수의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40)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기초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제 처리부(240)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의 내부 또는 외부의 결제 시스템과 연결되어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처리 결과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재고 및 배송 관리부(250)는 직접 상품에 대한 배송을 처리하거나, 입점사 단말기로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고 및 배송 관리부(250)는 상품 DB에 저장된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직접 상품에 대한 배송을 처리하고, 나머지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입점사 단말기로 배송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일부 상품에 대해서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이 직접 재고 및 배송을 관리하며, 나머지 상품에 대해서는 입점사에서 재고 및 배송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고 및 배송 관리부(250)는 고객의 구매 요청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배송을 직접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재고 및 배송 관리부(250)는 입점사 단말기에 온리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으로의 상품 제공을 요청하고, 직접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고, 상품 DB(290)에 상품의 재고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재고 및 배송 관리부(250)는 고객의 구매 요청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상품과 연관된 입점사 단말기에 해당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배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재고 및 배송 관리부(250)는 고객의 상품 주문 내역 및/또는 결제 내역을 입점사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고, 입점사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 DB(290)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대리점 관리부(260)는 복수의 대리점과의 온라인 쇼핑몰 생성 및 운영과 관련된 대리점 계약 체결을 처리하고,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복수의 대리점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대리점 관리부(260)는 복수의 대리점을 평가하고, 대리점 수익 및 중계 수수료를 정산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는 대리점 계약 처리부(310), 판매 브랜드 선택부(320), 판매 상품 선택부(330), 가격 결정부(340), 온라인 쇼핑몰 생성부(350), 상품 진열부(360) 및 고객 서비스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에서 동작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온라인 쇼핑몰 생성 및 관리를 위한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리점 계약 처리부(310)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고자 하는 대리점의 계약 체결 요청을 기초로 대리점 계약을 처리할 수 있다. 대리점 계약 처리부(310)는 대리점 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입점사(즉, 입점 계약 브랜드)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분양받은 대리점주 및 대리점에 대한 정보를 대리점 DB에 저장할 수 잇다. 여기서 대리점주 및 대리점에 대한 정보는 대리점주 프로필, 대리점 등급, 타 쇼핑몰과 연계 여부, 자사 브랜드 쇼핑몰 보유 여부, 자체 상품 생산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리점 계약 처리부(310)는 처리한 계약 결과 및 계약 정보를 대리점 DB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리점 계약 처리부(310)는 계약서 내용, 계약 기간, 약정 내용, 계약 조건, 수수료 조건, 정산 조건 등을 대리점 DB에 함께 저장할 수 있다.
판매 브랜드 선택부(320)는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중에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브랜드를 결정할 수 있다. 판매 상품 선택부(330)는 판매 브랜드 선택부(320)에서 결정된 판매 브랜드의 상품 중에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가격 결정부(340)는 판매 상품 선택부(330)에서 결정된 판매 상품 각각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리점 계약 처리부(310)에서 처리된 대리점 계약을 기초로 판매 브랜드 선택부(320), 판매 상품 선택부(330), 가격 결정부(340)는 각각 판매 브랜드, 판매 상품, 판매 상품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대리점 단말기와 대리점 계약 체결시 판매 브랜드, 판매 상품 또는 상품 판매 가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협의할 수 있고, 이러한 협의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의 판매 브랜드 선택부(320), 판매 상품 선택부(330), 가격 결정부(340)는 판매 브랜드, 판매 상품, 판매 상품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대리점 단말기를 통해 판매 브랜드, 판매 상품 또는 상품 판매 가격 중 적어도 하나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한 대리점주의 입력을 기초로 판매 브랜드 선택부(320), 판매 상품 선택부(330), 가격 결정부(340)는 각각 판매 브랜드, 판매 상품, 판매 상품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생성부(350)는 대리점 계약을 기초로,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각각의 가격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쇼핑몰은 대리점 계약에 따라 결정된 판매 브랜드의 판매 상품들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웹 페이지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가상의 쇼핑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품 진열부(360)는 온라인 쇼핑몰 상에 판매 상품을 정렬하고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웹 페이지의 구성요소들을 재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품 진열부(360)는 상품의 가격, 후기, 브랜드, 평가 결과 또는 인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상품의 이미지, 상품 정보 및 구매를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들을 정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품 진열부(360)는 대리점 계약 또는 대리점의 요청에 따라 상품들을 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대리점 계약 등에 따라 구성된 온라인 쇼핑몰마다 상품이 정렬되는 형태가 상이할 수 있다.
고객 서비스부(370)는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고객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 서비스부(370)는, 전화, 메신저, 이메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등을 통해 접수되는 문의 사항 대응, 불만 사항 대응, 고객 대응, 상품A/S 접수 등 온라인 쇼핑몰 사용 고객을 위한 관련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리점 관리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리점 관리부(260)는 대리점 수익 정산부(410), 대리점 수수료 정산부(420), 대리점 평가부(430) 및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대리점 관리부(260)에서 동작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리점 관리부(260)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대리점 계약 체결 및 관리를 위한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리점 수익 정산부(410)는 대리점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판매 수입을 기초로 대리점의 수익을 정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리점 수익 정산부(410)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고객의 상품 구매 내역 및 결제 내역을 기초로 각 대리점의 수익을 정산할 수 있다. 대리점 수익 정산부(410)는 대리점 계약 체결시 미리 결정한 주기에 따라 대리점의 수익을 정산할 수 있다.
대리점 수수료 정산부(420)는 대리점에 대한 수수료를 결정하고, 수수료의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수수료는, 초기 대리점 분양 비용, 월 사용료 또는 매출에 비례하는 판매 수수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리점에 대한 수수료의 계산 방법은 대리점 계약 체결시 결정될 수 있으며, 각 대리점마다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리점 수수료 정산부(420)는 대리점에 대한 수수료를 결정하고, 대리점 수익 정산부(410)는 대리점 수수료 정산부(420)에서 결정된 대리점에 대한 수수료를 제외하고 대리점 수익을 대리점에 정산할 수 있다.
대리점 평가부(430)는 대리점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리점 평가부(430)는 각각의 대리점의 규모, 판매 상품, 판매실적 등을 기초로 대리점을 평가할 수 있고, 이러한 평가를 기초로 각 대리점에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리점 수수료 정산부(420)는 대리점 평가부(430)로부터 대리점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평가 결과를 기초로 대리점에 대한 수수료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리점의 등급에 따라 수수료 비율을 달리할 수 있으며, 대리점 수수료 정산부(420)는 대리점의 등급에 해당하는 수수료 비율에 따라 수수료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리점 평가부(430)는 대리점의 평가 결과를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는 평가 결과를 기초로 대리점이 판매할 수 있는 브랜드, 상품, 브랜드의 수 또는 상품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는 높은 등급의 대리점일수록, 온라인 쇼핑몰에서 더 많은 브랜드 또는 더 많은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440)는 대리점으로부터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440)는, 대리점으로부터 수신한 자체 상품의 이미지, 브랜드, 상품의 품질, 상품의 가격 또는 대리점의 상품 공급 능력, 배송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440)는 대리점의 자체 상품에 대하여 각 평가 요소에 대한 점수 및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고, 자체 상품에 대한 최종 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440)는 자체 상품에 대한 최종 점수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를 승인할 수 있다.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440)에서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가 승인된 경우,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는 입점사 계약 체결부(220)로 제공될 수 있고, 입점사 계약 체결부(220)는 대리점과 대리점의 자체 상품에 대한 입점 계약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대리점은 이러한 입점 계약에 따라 자체 상품에 대하여 입점사가 될 수 있고,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는, 대리점의 자체 상품을 대리점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230)는, 해당 자체 상품을 제공하는 대리점의 온라인 쇼핑몰뿐만 아니라, 다른 대리점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으로도 결정할 수 있다. 입점 계약에 따라, 대리점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자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해당 자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품 DB에 저장할 수 있고, 입점 계약을 체결한 대리점에 대한 정보를 입점사 DB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복수의 입점사 및 대리점과의 계약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대리점(또는 대리점 단말기)(510)과 대리점 계약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 및 운영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온라인 쇼핑몰 생성, 운영 및 관리에 대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리점(510)은 이에 대한 중계 수수료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에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또는 고객 단말기)(520)의 상품 구매 요청 및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결제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별도의 외부 결제 시스템 또는 금융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직접 상품 재고 관리 및 배송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미리 입점사(또는 입점사 단말기)(530)로부터 상품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고객의 상품 구매 요청이 있은 후 구매 요청에 따라 입점사에 상품을 요청하고 제공받을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입점사로부터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과 연관된 물류 센터(또는 물류 창고)(미도시)로 상품을 인도받아 직접 상품 재고 관리를 할 수 있고, 고객의 상품 주문에 따라, 직접 상품 배송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물류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별도의 외부 물류 시스템 또는 관리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상품 재고 정보를 상품 DB에 저장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각 입점사(530)에 대하여 상품 제공에 대한 대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각 입점사(53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주기마다 대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한달에 한 번씩, 지난 한달동안 각 입점사(530)에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으로 제공한 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하나의 입점사(530), 하나의 대리점(510), 하나의 고객(520)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상이한 수의 입점사, 상이한 수의 대리점, 상이한 수의 고객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복수의 입점사 및 대리점과의 계약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일부 구성 및 처리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고객의 구매 요청에 따라 입점사(530)로 상품 배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고객의 구매 상품을 제공하는 입점사(530)로 고객 주문 내역 및 결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 대신에 입점사(530)에서 직접 상품 배송을 처리하고 상품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입점사(530)로부터 상품 재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 DB에 저장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각 입점사(530)에 대하여 상품 판매에 대한 대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각 입점사(530)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주기마다 대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한달에 한 번씩, 지난 한달동안 각 입점사(530)에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으로 제공한 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하나의 입점사(530), 하나의 대리점(510), 하나의 고객(520)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110)은 상이한 수의 입점사, 상이한 수의 대리점, 상이한 수의 고객과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수수료를 결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대리점에 대해 부과하는 수수료는 해당 대리점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수수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리점 수수료 정산을 위해, 판매 수수료 계산시 매출액 구간을 나누어 각 구간 별로 수수료 비율을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액이 500만원인 경우, 500만원 중 A 구간에 해당하는 300만원에 대해서는 20%인 60만원의 수수료, B 구간에 해당하는 200만원에 대해서는 10%인 20만원의 수수료가 계산되며, 총 판매 수수료는 80만원으로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액이 3,500만원인 경우, 3,500만원 중 A 구간에 해당하는 300만원에 대해서는 20%인 60만원의 수수료, B 구간에 해당하는 700만원에 대해서는 10%인 70만원의 수수료, C 구간에 해당하는 2,000만원에 대해서는 12%인 240만원, D 구간에 해당하는 500만원에 대해서는 14%인 70만원의 수수료가 계산되며, 총 판매 수수료는 440만원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액이 8,000만원인 경우, 8,000만원 중 A 구간에 해당하는 300만원에 대해서는 20%인 60만원의 수수료, B 구간에 해당하는 700만원에 대해서는 10%인 70만원의 수수료, C 구간에 해당하는 2,000만원에 대해서는 12%인 240만원, D 구간에 해당하는 2,000만원에 대해서는 14%인 280만원의 수수료, E 구간에 해당하는 3,000만원에 대해서는 16%인 270만원의 수수료가 계산되며, 총 판매 수수료는 1,130만원으로 계산될 수 있다.
판매 수수료를 계산하는 데 있어서, 도 7에서는 매출액 구간을 A(300만원 미만), B(3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 C(1,000만원 이상 3,000만원 미만), D(3,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 E(5,000만원 이상) 5개의 단계로 나누고 있으며, 각각의 구간에 대한 수수료 비율을 20%, 10%, 12%, 14%, 16%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매 수수료는 상이한 매출액 구간, 상이한 수의 단계 및/또는 상이한 수수료 비율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판매 수수료 계산을 위한 값들(예를 들면, 매출액 구간 별 수수료 비율 등)은 대리점 계약 체결 시에 결정될 수 있으며, 각 대리점마다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대리점의 평가 결과, 대리점의 등급, 규모, 판매 상품 종류 등의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대리점 계약을 처리하고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는 방법(800)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는 방법(800)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대리점 계약 처리부에 의해,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대리점 계약 체결 요청을 기초로 대리점 계약을 처리하는 단계(S810)로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S820)에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판매 브랜드 선택부에 의해,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중에서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브랜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S830)에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판매 상품 선택부에 의해, 판매 브랜드의 상품 중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매 브랜드의 모든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판매 브랜드의 상품 중 일부 상품에 대한 대리점의 입력에 따라, 일부 상품만을 판매 상품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S840)에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가격 결정부에 의해, 판매 상품 각각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브랜드의 동일한 상품을 판매하는 두 온라인 쇼핑몰은 상이한 가격으로 해당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S850)에서,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온라인 쇼핑몰 생성부에 의해, 판매 상품을 판매 상품 각각의 가격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를 기초로, 대리점의 자체 상품에 대한 입점 계약을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대리점의 자체 상품에 대한 입점 계약을 처리하는 방법(900)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리점의 자체 상품에 대한 입점 계약을 처리하는 방법(900)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에 의해,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910)로 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는, 대리점으로부터 수신한 자체 상품의 이미지, 브랜드, 상품의 품질, 상품의 가격 또는 대리점의 상품 공급 능력, 배송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S920)에서,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가 승인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단계(S930)에서 입점사 계약 체결부에 의해, 대리점과 자체 상품에 대한 입점 계약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에서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가 승인된 경우,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는 입점사 계약 체결부(220)로 제공될 수 있고, 입점사 계약 체결부는 대리점과 대리점의 자체 상품에 대한 입점 계약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대리점은 이러한 입점 계약에 따라 자체 상품에 대하여 입점사가 될 수 있다.
그 후, 단계(S940)에서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에 의해, 대리점의 자체 상품을 대리점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리점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자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해당 자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품 DB에 저장할 수 있고, 입점 계약을 체결한 대리점에 대한 정보를 입점사 DB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이 운영하는 쇼핑몰을 통한 상품 구매, 배송 및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품 구매, 배송 및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1000)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구매, 배송 및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1000)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수신하는 단계(S1010)로 개시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고객으로부터 수신한 구매 요청 내역 즉, 주문 내역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S1020)에서, 결제 처리부에 의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기초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이러한 결제 처리 결과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S1030)에서, 구매 요청 상품의 재고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서 직접 관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단계(S1040)에서 재고 및 배송관리부에 의해, 구매 요청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배송을 처리하고, 단계(S1050)에서 재고 및 배송관리부에 의해, 상품의 재고를 직접 관리하고, 상품 DB에 상품의 재고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계(S1030)에서, 구매 요청 상품의 재고를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서 직접 관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단계(S1060)에서 재고 및 배송관리부에 의해, 구매 요청을 기초로 하나 이상의 상품과 연관된 입점사에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배송을 요청하고, 단계(S1070)에서 재고 및 배송관리부에 의해, 입점사로부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품 DB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주문 내역 및/또는 결제 처리 결과를 입점사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하는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0: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120_1, 120_2, 120_3: 입점사 단말기
130_1, 130_2, 130_3: 온라인 쇼핑몰
140: 네트워크
210: 통신부
220: 입점사 계약 체결부
230: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
240: 결제 처리부
250: 재고 및 배송 관리부
260: 대리점 관리부
270: 대리점 DB
280: 입점사 DB
290: 상품 DB

Claims (10)

  1.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정보를 저장하는 입점사 DB;
    상기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가 제공 가능한 복수의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품 DB;
    상기 입점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복수의 대리점 정보를 저장하는 대리점 DB;
    상기 입점사 DB의 입점사 정보 및 상기 상품 DB의 상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중 하나 이상의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서버를 관리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고객 서비스를 관리하는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
    상기 복수의 대리점을 관리하는 대리점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와의 입점 계약을 처리하는 입점사 계약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리점 관리부는,
    상기 대리점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대리점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자체 상품의 이미지, 브랜드, 상품의 품질, 상품의 가격, 상기 대리점의 상품 공급 능력 또는 배송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체 상품 판매 승인부에 의해 상기 대리점의 자체 상품 판매가 승인된 경우, 상기 입점사 계약 체결부는, 상기 대리점과 상기 대리점의 자체 상품에 대한 입점 계약을 처리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는, 상기 대리점의 자체 상품을 상기 대리점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으로 결정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대리점 계약 체결 요청을 기초로 대리점 계약을 처리하는 대리점 계약 처리부;
    상기 대리점 계약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브랜드별 입점사 중에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브랜드를 결정하는 판매 브랜드 선택부;
    상기 판매 브랜드 선택부에서 결정된 판매 브랜드의 상품 중에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품을 결정하는 판매 상품 선택부;
    상기 판매 상품 선택부에서 결정된 판매 상품 각각의 가격을 결정하는 가격 결정부;
    상기 판매 상품을 상기 판매 상품 각각의 가격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생성하는 온라인 쇼핑몰 생성부; 및
    상기 온라인 쇼핑몰 상에 상기 판매 상품을 정렬하는 상품 진열부
    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기초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구매 요청을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배송을 처리하는 재고 및 배송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고 및 배송 관리부는,
    상기 입점사에 상품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상품의 재고를 관리하고, 상기 상품 DB에 상기 상품의 재고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고객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을 기초로 결제를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 및
    상기 구매 요청을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과 연관된 입점사에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배송을 요청하는 재고 및 배송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고 및 배송 관리부는,
    상기 입점사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상품에 대한 재고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품 DB를 업데이트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상기 대리점 관리부는,
    상기 대리점이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상품 판매 수입을 기초로, 상기 대리점의 수익을 정산하는 대리점 수익 정산부; 및
    상기 대리점에 대한 수수료를 결정하여 상기 수수료의 결제를 처리하는 대리점 수수료 정산부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수료는, 초기 대리점 분양 비용, 월 사용료 또는 매출에 비례하는 판매 수수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점 관리부는,
    상기 대리점을 평가하는 대리점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리점 수수료 정산부는,
    상기 대리점 평가부로부터 상기 대리점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대리점에 대한 수수료를 결정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점 관리부는,
    상기 대리점을 평가하는 대리점 평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쇼핑몰 관리부는,
    상기 대리점 평가부로부터 상기 대리점의 평가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대리점이 판매할 수 있는 브랜드, 상품, 브랜드의 수 또는 상품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12090A 2020-09-03 2020-09-03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2259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90A KR102259567B1 (ko) 2020-09-03 2020-09-03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90A KR102259567B1 (ko) 2020-09-03 2020-09-03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567B1 true KR102259567B1 (ko) 2021-06-01

Family

ID=7637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090A KR102259567B1 (ko) 2020-09-03 2020-09-03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5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47461A (zh) * 2021-10-27 2022-01-18 温州大学 一种高校智慧商圈一体化融合商城
KR102366233B1 (ko) * 2021-05-03 2022-02-23 홍신석 복수의 판매자들의 휴대폰 소매업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폰 재고 관리시스템
KR102392212B1 (ko) * 2021-07-26 2022-04-27 조은영 마트 운영을 위한 매출 분석 및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3003715A1 (en) * 2021-07-22 2023-01-26 Flexe, Inc.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for third-party management of promotions based on warehouse inventory
CN113947461B (zh) * 2021-10-27 2024-06-07 温州大学 一种高校智慧商圈一体化融合商城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982A (ko) 2000-05-16 2000-09-05 황철웅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한 쇼핑몰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KR20020079302A (ko) * 2001-04-13 2002-10-19 김선경 인터넷쇼핑몰 운영 방법
KR20070042515A (ko) * 2007-03-30 2007-04-23 권영춘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20110050968A (ko) * 2009-11-09 2011-05-17 이대환 쇼핑몰 창업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982A (ko) 2000-05-16 2000-09-05 황철웅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한 쇼핑몰 시스템과 그 운영방법
KR20020079302A (ko) * 2001-04-13 2002-10-19 김선경 인터넷쇼핑몰 운영 방법
KR20070042515A (ko) * 2007-03-30 2007-04-23 권영춘 온라인 통합쇼핑몰 서비스방법 및 장치
KR20110050968A (ko) * 2009-11-09 2011-05-17 이대환 쇼핑몰 창업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233B1 (ko) * 2021-05-03 2022-02-23 홍신석 복수의 판매자들의 휴대폰 소매업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폰 재고 관리시스템
WO2023003715A1 (en) * 2021-07-22 2023-01-26 Flexe, Inc.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for third-party management of promotions based on warehouse inventory
KR102392212B1 (ko) * 2021-07-26 2022-04-27 조은영 마트 운영을 위한 매출 분석 및 재고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947461A (zh) * 2021-10-27 2022-01-18 温州大学 一种高校智慧商圈一体化融合商城
CN113947461B (zh) * 2021-10-27 2024-06-07 温州大学 一种高校智慧商圈一体化融合商城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025B1 (ko) 대체 불가능 토큰 기반 디지털 아트 거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품 거래 방법
KR102259567B1 (ko) 브랜드 기반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76374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finding an alternative grouping of selected items
JP5719363B2 (ja) 位置に基づくタスク仲介システム
JPH10320470A (ja) 電子取引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7522656A (ja) 商品対象についての取引情報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2101742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future purchases of goods
EP3918745A2 (en) Digital asset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KR20170084769A (ko) 신용카드 포인트를 이용한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당사자 거래 정보 유료화를 통한 부동산 중개 관리 방법
CN112074859A (zh) 福利型低价商城系统及其运行方法
US20220391845A1 (en) Green-light campaign(tm) system and method
US8612304B1 (en) Seller to seller transactions
JP2019512830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選択機能を搭載した購入ガイド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11488155B2 (en) Proxy checkout and payment transaction services
KR102252937B1 (ko)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할인 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4055A (ko) 상품 거래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160131374A (ko) 회원제 쇼핑몰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141000A (ko) 경매 과정에서의 바로 구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26301B1 (ko) 입찰 횟수에 따라 하락하는 낙찰가를 결정하는 경매 방법
WO2001082159A1 (fr) Procede de commerce de fil de coton faisant appel a un reseau
KR102193058B1 (ko) 도메인-디지털 자산 연동 기반 저작권 과금 및 수익 분배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90395A1 (en) Merchandise trading system,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same
KR101398661B1 (ko) 온라인 경매 방법
US20230013399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deliverables
KR20220139047A (ko) 공유 부동산 매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